KR101149397B1 -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용 초소형 포인팅 키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용 초소형 포인팅 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49397B1 KR101149397B1 KR1020100055096A KR20100055096A KR101149397B1 KR 101149397 B1 KR101149397 B1 KR 101149397B1 KR 1020100055096 A KR1020100055096 A KR 1020100055096A KR 20100055096 A KR20100055096 A KR 20100055096A KR 101149397 B1 KR101149397 B1 KR 1011493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inter
- key
- signal
- capacitive sensor
- tactile sens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20)의 스크린(21) 및 포인터(22)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계적 터치 또는 스크린 터치와 같은 입력수단(40) 이외에 디스플레이부(20)의 포인터(22)를 이동하거나 선택 또는 실행하기 위한 원키(One-Key) 타입의 초소형 포인팅 키(50)를 핵심구성으로 제안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용 초소형 포인팅 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부의 포인터의 이동을 제어하고 포인터의 선택 및 실행 이동 그리고 드래깅 앤드 드로핑을 제어하기 위한 원키(One-Key) 타입의 초소형 포인팅 키를 제안하고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아이폰, 스마트폰 또는 셀룰러폰 등으로 활용되고 있고, 이들 대부분의 휴대 단말기는 회로기판의 돔스위치에 연동되는 키패드의 누름압력에 따라 구동되는 기계적 터치에서부터 정전용량, 전자유도, 저항, NFI(Near Field Imaging), 음파 또는 적외선을 활용한 스크린 터치와 같은 다양한 입력수단에 의해 운영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도록 발전되고 있다.
기계적 터치에 의해 운영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휴대 단말기의 대표적인 예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예시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에 적용된 키패드(10)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프런트 하우징(F)의 홀(F1)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키탑(11)과, 프런트 하우징(F) 속으로 안착되는 베이스 부재(13)를 보여주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10)는 키탑(11)의 저면 중앙에 돔 스위치(14)의 탄성에 연동되면서 회로기판(15)의 접점(15a)을 터치할 수 있도록 돌출 성형된 보스(12)를 구비한다.
이때, 베이스 부재(13)와 키탑(11)은 연결부(16)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데, 이 연결부(16)는 키탑(11)의 상하이동을 보장할 수 있도록 얇은 두께로 마련되고, 키탑(11)의 상면에는 문자나 숫자가 인쇄된 인쇄면(17)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키 모듈의 키탑(11)을 누르면 그 저면에 형성된 보스(12)가 돔 스위치(14)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회로기판(15)의 접점(15a)과 접촉하여 시그널을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시그널을 발생시킨 다음 키탑(11)에서 손을 이탈시키면 돔 스위치(14) 및 연결부(16)의 자체 탄성으로 키탑(11)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다음으로, 스크린 터치에 의해 운영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휴대 단말기의 대표적인 예는 도 3과 같이 예시할 수 있다.
도 3은 스크린 터치가 적용된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최근 들어, 휴대 단말기의 종류가 다양해지면서 본체는 소형화하고 디스플레이부를 대형화할 수 있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고, 그 일환으로 정전용량, 전자유도, 저항, NFI(Near Field Imaging), 음파 또는 적외선을 활용한 스크린 터치가 급성장하고 있다.
하나의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는 터치스크린 패널이 장착되는 디스플레이부(100)와,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200)이라는 간단하고 슬림한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100)는 화면을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모듈로서,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또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0)의 상면에는 터치스크린 패널(미 도시됨)이 부착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정전용량) 또는 스타일러스 펜(전자유도) 등을 통한 입력수단으로 키 시그널을 발생토록 되어 있다.
본원 출원인은 상기한 바와 같은 휴대 단말기의 발전 트랜드에 맞추어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및 포인터를 보다 효과적으로 컨트롤 할 수 있는 원키(One-Key) 타입의 초소형 포인팅 키를 개발하여 본 발명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부의 포인터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촉각 센서부를 One-Key 타입으로 배치한 후 이 촉각 센서부 위에 포인터의 선택 및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정전용량 센서부를 탑재시켜 포인터의 이동과 선택 그리고 실행을 초소형 포인팅 키로서 정확하고도 간단히 구현토록 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용 초소형 포인팅 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초소형 포인팅 키로서 정전용량 센서부를 통한 셀렉팅 시그널로 포인터를 선택한 후 촉각 센서부를 통한 크루징 시그널로 포인터를 이동하거나 드래깅하고 다시 정전용량 센서부를 통한 드로핑 시그널로 포인터를 드로핑하는 드래그 앤드 드롭 시그널을 마이콤에 정확하고 간단하게 보낼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용 초소형 포인팅 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키(One-Key) 타입의 초소형 포인팅 키로서 포인터의 이동, 선택 및 실행은 물론이거니와 드래깅 앤드 드로핑까지 가능토록 하여 스크린상의 아이콘의 선택, 블록 지정 내지는 블록영역의 자유로운 이동, 복사 또는 삭제 등과 같은 동작을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의 슬림화 내지는 생산성 등을 함께 도모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용 초소형 포인팅 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운영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를 읽어 연산하면서 디스플레이부에 스크린 및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마이콤과, 상기 마이콤에 키 시그널을 보내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스크린 및 포인터를 구동시키는 입력수단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의 이동을 제어하는 크루징 시그널을 상기 마이콤에 보내는 촉각 센서부와, 상기 촉각 센서부 위에 탑재되어 상기 포인터의 선택 및 실행을 각각 제어하는 셀렉팅 시그널 및 액팅 시그널을 상기 마이콤에 보내는 정전용량 센서부로 된 초소형 포인팅 키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초소형 포인팅 키는,
압저항을 표출하는 스트레인 구조체, 상기 스트레인 구조체 위에 탑재되어 압저항을 센싱하는 촉각센서, 상기 촉각센서 위에 탑재되어 외부의 누름압력을 상기 스트레인 구조체에 전달하는 탑키를 구비한 촉각 센서부와,
상기 촉각센서 위에 탑재되어 상기 탑키에 터치되는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정전용량센서를 구비한 정전용량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다음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의 포인터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촉각 센서부를 One-Key 타입으로 배치한 후 이 촉각 센서부 위에 포인터의 선택 및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정전용량 센서부를 탑재시켜 포인터의 이동과 선택 그리고 실행을 초소형 포인팅 키로서 정확하고 간단히 구현토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초소형 포인팅 키로서 정전용량 센서부를 통한 셀렉팅 시그널로 포인터를 선택한 후 촉각 센서부를 통한 크루징 시그널로 포인터를 드래깅하고 다시 정전용량 센서부를 통한 드로핑 시그널로 포인터를 드로핑하는 드래그 앤드 드롭 시그널을 마이콤에 정확하고 간단하게 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원키(One-Key) 타입의 초소형 포인팅 키로서 포인터의 이동, 선택 및 실행은 물론이거니와 드래깅 앤드 드로핑까지 가능토록 하여 스크린상의 아이콘의 선택, 블록 지정 내지는 블록영역의 자유로운 이동, 복사 또는 삭제 등과 같은 동작을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의 슬림화 내지는 생산성 등을 함께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캔틸레버의 상측방향으로 돌기를 구비하여 탑키의 누름압력을 압저항으로 보다 정밀하게 표출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촉각센서 및 정전용량센서가 돌기 사이의 베이스에 탑재되어 보다 안전한 동작을 가능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촉각 센서부 및 정전용량 센서부로 된 초소형 포인팅 키가 케이스에 수납되어 휴대 단말기에 간단하게 조립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촉각센서 및 정전용량센서가 FPCB에 의해 마이콤에 연결되어 휴대 단말기의 슬림화를 가능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에 적용된 키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스크린 터치가 적용된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초소형 포인팅 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초소형 포인팅 키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초소형 포인팅 키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초소형 포인팅 키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초소형 포인팅 키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초소형 포인팅 키의 동작[선택 및 실행]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초소형 포인팅 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손가락 및 지면의 등가회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초소형 포인팅 키의 동작[드래깅 앤드 드로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초소형 포인팅 키의 동작[드래깅 앤드 드로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에 적용된 키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스크린 터치가 적용된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초소형 포인팅 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초소형 포인팅 키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초소형 포인팅 키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초소형 포인팅 키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초소형 포인팅 키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초소형 포인팅 키의 동작[선택 및 실행]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초소형 포인팅 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손가락 및 지면의 등가회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초소형 포인팅 키의 동작[드래깅 앤드 드로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초소형 포인팅 키의 동작[드래깅 앤드 드로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용 초소형 포인팅 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영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10)를 읽어 연산하면서 디스플레이부(20)에 스크린(21) 및 포인터(22)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마이콤(30)과, 이 마이콤(30)에 키 시그널을 보내어 디스플레이부(20)의 스크린(21) 및 포인터(22)를 구동시키는 입력수단(40)을 포함한다.
입력수단(40)은 종래의 기술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기계적 터치에서부터 스크린 터치에 이르기까지 마이콤(30)에 키 시그널을 보내어 디스플레이부(20)의 스크린(21) 및 포인터(22)를 구동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20)의 스크린(21) 및 포인터(22)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계적 터치 또는 스크린 터치와 같은 입력수단(40) 이외에 디스플레이부(20)의 포인터(22)를 이동하거나 선택 또는 실행하기 위한 원키(One-Key) 타입의 초소형 포인팅 키(50)를 핵심구성으로 하며, 이러한 초소형 포인팅 키(50)는 포인터(22)의 이동을 제어하는 크루징 시그널(Cruising Signal)을 마이콤(30)에 보내는 촉각 센서부(60)와, 이 촉각 센서부(60) 위에 탑재되어 포인터(22)의 선택 및 실행을 각각 제어하는 셀렉팅 시그널(Selecting Signal) 및 액팅 시그널(Acting Signal)을 마이콤(30)에 보내는 정전용량 센서부(70)를 포함한다.
즉, 포인터(22)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촉각 센서부(60)를 One-Key 타입으로 배치한 후 이 촉각 센서부(60) 위에 포인터(22)의 선택 및 실행을 제어하기 위하여 정전용량 센서부(70)를 탑재시켜 포인터(22)의 이동과 선택 그리고 실행을 초소형 포인팅 키(50)로서 정확하게 구현토록 하는 것이다.
한편, 포인터(22)의 선택 및 실행을 위하여 돔 스위치를 활용한 기계적 터치로도 고려해 볼 수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로기판, 접점, 돔 스위치, 그리고 돔 스위치를 누르기 위한 보스를 지닌 키패드 등과 같은 물리적인 구성들이 필요로 하여 그 구성이 복잡하고 공간 점유율 또한 커 휴대 단말기의 경박단소화(輕輕薄短小化)에 오히려 역행하는 단점을 안고 있고, 나아가 촉각 센서부(60)를 작동시키기 위한 누름압력에 의해 돔 스위치가 오히려 함께 오동작되어 그 정확성 또한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낳고 있어 바람직하지 않는 것으로 지적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포인팅 키(50)는 정전용량 센서부(70)를 통한 셀렉팅 시그널로 포인터(22)를 선택한 후 촉각 센서부(60)를 통한 크루징 시그널로 포인터(22)를 드래깅(Dragging Signal)하고 다시 정전용량 센서부(70)를 통한 드로핑 시그널(Dropping Signal)로 포인터(22)를 드로핑하는 드래그 앤드 드롭 시그널(Drag & Drop Signal)을 마이콤(30)에 보낼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원키(One-Key) 타입의 초소형 포인팅 키(50)로서 포인터(22)의 이동, 선택 및 실행은 물론이거니와 드래깅 앤드 드로핑까지 가능토록 하여 스크린(21)상의 아이콘의 선택, 블록 지정 내지는 블록영역의 자유로운 이동, 복사 또는 삭제 등과 같은 동작을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포인팅 키(50)는 촉각 센서부(60) 및 정전용량 센서부(70)로 이루어지고, 더욱 구체적으로 촉각 센서부(60)는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저항을 표출하는 스트레인(Strain) 구조체(91)와, 이 스트레인 구조체(91) 위에 탑재되어 압저항을 센싱하는 촉각센서(81), 그리고 촉각센서(81) 위에 탑재되어 외부의 누름압력을 스트레인 구조체(91)에 전달하는 탑키(95)를 포함하며, 정전용량 센서부(70)는 촉각센서(81) 위에 탑재되어 탑키(95)에 터치되는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정전용량센서(82)를 포함한다.
스트레인 구조체(91)는 평탄한 베이스(92)와, 이 베이스(92)의 네 변에 구비되어(다른 부분에 구비될 수도 있음) 탑키(95)에 가해진 누름압력에 따라 압저항을 표출하는 캔틸레버(Cantilever; 93)를 포함하고, 마이콤(30)은 촉각센서(81)에 의해 센싱된 캔틸레버(93)의 압저항을 좌표값으로 연산함과 동시에 크루징 신호로 인식하여 포인터(22)의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촉각 센서부(6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키(95)의 누름압력이 없을 경우 비동작 상태를 유지하다가 탑키(95)에 누름압력이 가해질 경우 촉각센서(81)가 반응하여 스트레인 구조체(91)의 캔틸레버(93)로부터 압저항을 센싱하고, 즉 탑키(95)에 가해진 누름압력에 연동되는 스트레인 구조체(91)로부터 압저항을 센싱하고, 이러한 압저항은 마이콤(30)에서 좌표값으로 연산됨과 동시에 크루징 신호로 인식하여 디스플레이부(20)의 스크린(21)에 포인터(22)의 위치를 결정 즉, 포인터(22)를 상하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그 위치를 결정하게 되고, 다시 탑키(95)의 누름압력이 없어질 경우 비동작 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한편, 정전용량센서(82)는 기준 터치시간(예를 들면 0.1~0.5초) 내의 원터치의 정전용량을 감지할 경우 셀렉팅 시그널을 발생하고, 기준 터치시간 내의 투터치의 정전용량을 감지할 경우 액팅 시그널을 발생하며, 기준 터치시간 이상의 정전용량을 감지할 경우 스탠바이 상태가 되도록 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은 수 pF정도의 정전용량을 지니고 있고, 이러한 손가락으로 탑키(95)를 터치할 경우 정전용량센서(82)는 손가락의 정전용량에 반응하여[전압드롭(voltage drop)을 발생하여] 셀렉팅 시그널 또는 액팅 시그널을 발생하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키(95)에 손가락이 닿지 않을 경우 정전용량센서(82)는 비동작 상태를 유지하다가, 사용자가 스크린(21)의 포인터(22)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탑키(95)를 상하좌우방향으로 누름압력을 줄 경우[기준 터치시간(예를 들면 0.1~0.5초) 이상의 정전용량을 감지할 경우; 촉각센서(81)를 작동시키는 경우] 스탠바이 상태를 유지하고, 다시 기준 터치시간(예를 들면 0.1~0.5초) 내의 원터치의 정전용량을 감지할 경우[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탑키(95)를 원터치할 경우] 셀렉팅 시그널을 발생하여 포인터(22)를 선택하고, 나아가 기준 터치시간 내의 투터치의 정전용량을 감지할 경우[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탑키(95)를 투터치할 경우] 액팅 시그널을 발생하여 포인터(22)를 실행토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초소형 포인팅 키(5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용량센서(82)에 의해 기준 터치시간 내의 원터치로서 셀렉팅 시그널을 발생하여 포인터(22)를 선택함과 동시에 재 터치하여 그 터치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촉각센서(81)에 의한 크루징 시그널로 포인터(22)를 드래깅한 후 다시 터치상태를 해제하여 정전용량센서(82)로 하여금 드로핑 시그널을 발생토록 하여 포인터(22)를 드로핑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포인터(22)를 드래깅 앤드 드로핑토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20)에 구현된 스크린(21)에서의 아이콘의 선택이나 블록 지정 내지는 파일의 이동 내지는 삭제 그리고 복사 나아가 실행 등을 원키(One-Key) 타입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편리하고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캔틸레버(93)는 상측방향으로 돌출된 돌기(94)를 구비하고, 촉각센서(81) 및 정전용량센서(82)는 돌기(94)를 제외한 베이스(92) 위에 탑재되고, 탑키(95)는 돌기(94) 위에 탑재되며, 나아가 정전용량센서(82) 및 탑키(95) 사이에는 접착시트(96)가 접착될 수 있다.
캔틸레버(93)의 상측방향으로 돌기(94)가 구비됨으로써 탑키(95)의 누름압력을 압저항으로 보다 정밀하게 표출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촉각센서(81) 및 정전용량센서(82)가 돌기(94) 사이의 베이스(92)에 탑재되어 보다 안전한 동작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촉각 센서부(60) 및 정전용량 센서부(70)로 된 초소형 포인팅 키(50)는 케이스에 수납되어 휴대 단말기에 간단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촉각센서(81) 및 정전용량센서(82)는 FPCB에 의해 마이콤(30)에 연결되어 휴대 단말기의 슬림화를 가능케 한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초소형 포인팅 키(5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용량센서(82)에 의해 1~2초이상의 원터치로서 셀렉팅 시그널을 발생하여 포인터(22)를 선택함과 동시에 그 터치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촉각센서(81)에 의한 크루징 시그널로 포인터(22)를 드래깅한 후 다시 터치상태를 해제하여 정전용량센서(82)로 하여금 드로핑 시그널을 발생토록 하여 포인터(22)를 드로핑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초소형 포인팅 키(5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평상시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 또는 별도의 키 모듈과 같은 입력수단(40)을 작동시켜 키 시그널로서 마이콤(30)을 통해 메모리(10)의 운영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을 구동시켜 디스플레이부(20)에 스크린(21) 또는 포인터(22)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포인터(22)를 선택, 실행 또는 드래깅 앤드 드롭핑하기 위하여 입력수단(40) 이외에 원키(One-Key) 타입으로 된 본 발명의 초소형 포인팅 키(50)를 간단히 작동시킬 수도 있다.
먼저, 촉각 센서부(60)의 동작을 보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키(95)의 누름압력이 없을 경우 비동작 상태를 유지하다가 탑키(95)에 누름압력이 가해질 경우 촉각센서(81)가 반응하여 스트레인 구조체(91)의 캔틸레버(93)로부터 압저항을 센싱하고, 이러한 압저항은 마이콤(30)에서 좌표값으로 연산됨과 동시에 크루징 신호로 인식하여 디스플레이부(20)의 스크린(21)에 포인터(22)를 상하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다시 탑키(95)의 누름압력을 받지 않으면 비동작 상태로 전환된다.
다음으로, 정전용량 센서부(70)의 동작을 보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키(95)에 손가락이 닿지 않을 경우 정전용량센서(82)는 비동작 상태를 유지하다가, 사용자가 스크린(21)의 포인터(22)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기준 터치시간(예를 들면 0.1~0.5초) 이상의 정전용량을 줄 경우 즉, 촉각센서(81)를 작동시키는 경우 스탠바이 상태를 유지하고, 다시 기준 터치시간(예를 들면 0.1~0.5초) 내의 원터치로서 정전용량을 부여할 경우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탑키(95)를 원터치할 경우] 마이콤(30)을 통한 셀렉팅 시그널을 발생하여 포인터(22)를 선택하고, 나아가 기준 터치시간 내(예를 들면 0.1~0.5초)의 투터치로서 정전용량을 2회에 걸쳐 감지할 경우[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탑키(95)를 투터치할 경우] 마이콤(30)을 통한 액팅 시그널을 발생하여 포인터(22)를 실행하게 된다.
그리고, 포인터(22)를 드래깅 앤드 드로핑하기 위해서는 정전용량 센서부(70) 및 촉각 센서부(60)를 함께 구동하게 되는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용량센서(82)에 의해 기준 터치시간 내의 원터치로서 마이콤(30)으로 하여금 셀렉팅 시그널을 발생하여 포인터(22)를 선택함과 동시에 재 터치하여 그 터치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촉각센서(81)에 의한 마이콤(30)의 크루징 시그널로 포인터(22)를 드래깅한 후 다시 터치상태를 해제하여 정전용량센서(82)로 하여금 마이콤(30)을 통한 드로핑 시그널을 발생토록 하여 포인터(22)를 드로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포인터(22)를 드래깅 앤드 드로핑토록 하여 디스플레이부(20)에 구현된 스크린(21)에서의 아이콘의 선택이나 블록 지정 내지는 파일의 이동 내지는 삭제 그리고 복사 나아가 실행 등을 원키(One-Key) 타입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편리하고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PDA, PMP,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아이폰, 스마트폰 또는 셀룰러폰 등에 원키(One-Key) 타입으로 된 초소형 포인팅 키(50)를 적용한 산업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10 : 메모리 20 : 디스플레이부
21 : 스크린 22 : 포인터
30 : 마이콤 40 : 입력수단
50 : 초소형 포인팅 키 60 : 촉각 센서부
70 : 정전용량 센서부 81 : 촉각센서
82 : 정전용량센서 91 : 스트레인 구조체
92 : 베이스 93 : 캔틸레버
94 : 돌기 95 : 탑키
96 : 접착시트 97 : 케이스
98 : FPCB
21 : 스크린 22 : 포인터
30 : 마이콤 40 : 입력수단
50 : 초소형 포인팅 키 60 : 촉각 센서부
70 : 정전용량 센서부 81 : 촉각센서
82 : 정전용량센서 91 : 스트레인 구조체
92 : 베이스 93 : 캔틸레버
94 : 돌기 95 : 탑키
96 : 접착시트 97 : 케이스
98 : FPCB
Claims (15)
- 운영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10)를 읽어 연산하면서 디스플레이부(20)에 스크린(21) 및 포인터(22)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마이콤(30)과, 상기 마이콤(30)에 키 시그널을 보내어 상기 디스플레이부(20)의 스크린(21) 및 포인터(22)를 구동시키는 입력수단(40)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22)의 이동을 제어하는 크루징 시그널을 상기 마이콤(30)에 보내는 촉각 센서부(60)와, 상기 촉각 센서부(60) 위에 탑재되어 상기 포인터(22)의 선택 및 실행을 각각 제어하는 셀렉팅 시그널 및 액팅 시그널을 상기 마이콤(30)에 보내는 정전용량 센서부(70)로 된 초소형 포인팅 키(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소형 포인팅 키(50)는 상기 정전용량 센서부(70)를 통한 셀렉팅 시그널로 상기 포인터(22)를 선택한 후 상기 촉각 센서부(60)를 통한 크루징 시그널로 상기 포인터(22)를 드래깅하고 다시 상기 정전용량 센서부(70)를 통한 드로핑 시그널로 상기 포인터(22)를 드로핑하는 드래그 앤드 드롭 시그널을 상기 마이콤(30)에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촉각 센서부(60)는 압저항을 표출하는 스트레인 구조체(91)와, 상기 스트레인 구조체(91) 위에 탑재되어 압저항을 센싱하는 촉각센서(81)와, 상기 촉각센서(81) 위에 탑재되어 외부의 누름압력을 상기 스트레인 구조체(91)에 전달하는 탑키(95)를 포함하고,
상기 정전용량 센서부(70)는 상기 촉각센서(81) 위에 탑재되어 상기 탑키(95)에 터치되는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정전용량센서(8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센서(82)는 기준 터치시간 내의 원터치의 정전용량을 감지할 경우 셀렉팅 시그널을 발생하고, 기준 터치시간 내의 투터치의 정전용량을 감지할 경우 액팅 시그널을 발생하며, 기준 터치시간 이상의 정전용량을 감지할 경우 스탠바이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터치시간은 0.1~0.5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인 구조체(91)는 평탄한 베이스(92)와, 상기 베이스(92)의 네 변에 구비되어 상기 탑키(95)에 가해진 누름압력에 따라 압저항을 표출하는 캔틸레버(93)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콤(30)은 상기 촉각센서(81)에 의해 센싱된 상기 캔틸레버(93)의 압저항을 좌표값으로 연산함과 동시에 크루징 신호로 인식하여 상기 포인터(22)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센서(82)에 의해 기준 터치시간 내의 원터치로서 셀렉팅 시그널을 발생하여 상기 포인터(22)를 선택함과 동시에 재 터치하여 그 터치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촉각센서(81)에 의한 크루징 시그널로 상기 포인터(22)를 드래깅한 후 다시 터치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정전용량센서(82)로 하여금 드로핑 시그널을 발생토록 하여 상기 포인터(22)를 드로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센서(82)에 의해 1~2초 이상의 원터치로서 셀렉팅 시그널을 발생하여 포인터(22)를 선택함과 동시에 그 터치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촉각센서(81)에 의한 크루징 시그널로 포인터(22)를 드래깅한 후 다시 터치상태를 해제하여 정전용량센서(82)로 하여금 드로핑 시그널을 발생토록 하여 포인터(22)를 드로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캔틸레버(93)는 상측방향으로 돌출된 돌기(94)를 구비하고,
상기 촉각센서(81) 및 정전용량센서(82)는 상기 돌기(94)를 제외한 상기 베이스(92) 위에 탑재되고,
상기 탑키(95)는 상기 돌기(94) 위에 탑재되며,
상기 정전용량센서(82) 및 탑키(95) 사이에 접착시트(96)가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촉각 센서부(60) 및 정전용량 센서부(70)로 된 초소형 포인팅 키(50)는 케이스(97)에 수납되어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촉각센서(81) 및 정전용량센서(82)는 FPCB(98)에 의해 상기 마이콤(3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압저항을 표출하는 스트레인 구조체(91), 상기 스트레인 구조체(91) 위에 탑재되어 압저항을 센싱하는 촉각센서(81), 상기 촉각센서(81) 위에 탑재되어 외부의 누름압력을 상기 스트레인 구조체(91)에 전달하는 탑키(95)를 구비한 촉각 센서부(60)와,
상기 촉각센서(81) 위에 탑재되어 상기 탑키(95)에 터치되는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정전용량센서(82)를 구비한 정전용량 센서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초소형 포인팅 키(50).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인 구조체(91)는 평탄한 베이스(92)와, 상기 베이스(92)의 네 변에 구비되어 상기 탑키(95)에 가해진 누름압력에 따라 압저항을 표출하는 캔틸레버(9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초소형 포인팅 키(50).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캔틸레버(93)는 상측방향으로 돌출된 돌기(94)를 구비하고,
상기 촉각센서(81) 및 정전용량센서(82)는 상기 돌기(94)를 제외한 상기 베이스(92) 위에 탑재되고,
상기 탑키(95)는 상기 돌기(94) 위에 탑재되며,
상기 정전용량센서(82) 및 탑키(95) 사이에 접착시트(96)가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초소형 포인팅 키(50).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촉각 센서부(60) 및 정전용량 센서부(70)는 케이스(97)에 수납되어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초소형 포인팅 키(5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5096A KR101149397B1 (ko) | 2010-06-10 | 2010-06-10 |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용 초소형 포인팅 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5096A KR101149397B1 (ko) | 2010-06-10 | 2010-06-10 |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용 초소형 포인팅 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35284A KR20110135284A (ko) | 2011-12-16 |
KR101149397B1 true KR101149397B1 (ko) | 2012-06-01 |
Family
ID=45502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55096A KR101149397B1 (ko) | 2010-06-10 | 2010-06-10 |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용 초소형 포인팅 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49397B1 (ko) |
-
2010
- 2010-06-10 KR KR1020100055096A patent/KR10114939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35284A (ko) | 2011-12-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818840B (zh) | 显示激励器 | |
US11656711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plurality of virtual buttons on a device | |
EP3525078B1 (en) | Key strike determination for pressure sensitive keyboard | |
US8441463B2 (en) | Hand-held device with touchscreen and digital tactile pixels | |
US20160070399A1 (en) | Multi-functional hand-held device | |
KR101081432B1 (ko) | 커서를 터치로 제어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 |
JP5519020B2 (ja) | 入力装置および入力装置の制御方法 | |
JP6246640B2 (ja) | 電子機器 | |
WO2015079688A1 (ja) | 電子機器 | |
KR101339942B1 (ko) | 입력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 |
JP2012084137A (ja) | 携帯電子機器、画面制御方法および画面制御プログラム | |
KR20070097948A (ko) |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의 표시 객체 위치 고정방법 및 이를 구현한 이동 단말기 | |
CN110543210A (zh) | 触摸和力感测装置和系统以及用于感测触摸和力的方法 | |
EP2954393B1 (en) | Touch sensitive surface for an electronic device with false touch protection | |
JP6109788B2 (ja) |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作動方法 | |
KR101073218B1 (ko) | 터치패드모듈 | |
KR101332708B1 (ko) | 배면 터치 보조 입력 장치를 갖는 모바일 단말기 및 배면 터치 보조 입력 장치를 탑재한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 |
WO2015098061A1 (ja) | 電子機器 | |
US10996712B2 (en) | Electronic device | |
KR101149397B1 (ko) |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용 초소형 포인팅 키 | |
WO2015079687A1 (ja) | 電子機器 | |
KR20150079445A (ko) | 표면 피쳐를 생성하기 위해 주름형 테셀레이션을 이용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 |
JP6530160B2 (ja) | 電子機器 | |
KR20070044758A (ko) | 방향입력용 터치패드와 터치패널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 |
JP6367547B2 (ja) | 電子機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