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5388A - 광마우스 기능이 구현된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광마우스 기능이 구현된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5388A
KR20060015388A KR1020040064116A KR20040064116A KR20060015388A KR 20060015388 A KR20060015388 A KR 20060015388A KR 1020040064116 A KR1020040064116 A KR 1020040064116A KR 20040064116 A KR20040064116 A KR 20040064116A KR 20060015388 A KR20060015388 A KR 20060015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ttery
mouse
signal
termina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4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8117B1 (ko
Inventor
강지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4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8117B1/ko
Publication of KR20060015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5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8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8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by connection of exchangeable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61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in a hand or on fin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광마우스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실제 마우스를 작동하는 사용감을 제공하면서 마우스를 항시 별도로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특히 사용자의 필요에 의한 때에만 광마우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마우스 기능이 구현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배터리가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면서 컴퓨터용 광마우스 기능이 구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와 단말기 본체간에 신호를 전달하는 접속수단과; 상기 배터리 일면에 구비된 발광 소자에서 방출되어 바닥면에서 반사된 빛을 광학센서가 감지함으로써 배터리가 바닥면에 대하여 움직임에 따라 움직임신호를 발생하는 광센서부와; 상기 단말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눌림에 의하여 클릭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버튼과; 상기 움직임신호와 클릭신호를 인가받아 컴퓨터의 드라이버에 의하여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및 마우스 메뉴의 선택으로 인식되는 마우스 동작정보로 가공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마우스 동작정보를 컴퓨터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단말기, 마우스, USB

Description

광마우스 기능이 구현된 이동통신 단말기{A Cellular Phone having Sensor Mouse Function}
도 1은 종래의 마우스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광마우스 기능이 구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광마우스 기능이 구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와 단말기 본체가 제 1 위치로 결합하는 것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광마우스 기능이 구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와 단말기 본체가 제 2 위치로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배터리 110: 배터리 커버
120: 개구부 130: 단턱
200: 광센서부
210: 발광소자 220: 광학센서
300: 배터리셀 310: 보호회로
400: 접속수단 410: 제1 단자부
420: 제2 단자부 430: 제3 단자부
500: 단말기 본체 510: 맞단턱
520: 락커 530: 리브
600: 버튼
700: 신호처리부
800: 송신부
A: 전력단자 B: 신호단자
본 발명은 광마우스 기능이 구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필요에 의한 때만 광마우스로 사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전자 통신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항시 소지하고 다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순한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것에서 벗어나 인터넷 접속, 사진·동영상 촬영 및 재생 등의 다양한 부가적인 기능이 추가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사용자가 항시 소지하게 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성을 활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마우스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노트북 컴퓨터 등을 위하여 마우스를 항시 별도로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려는 기술이 제안되었었다.
즉, 도 1에서 도시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4354호 고안의 컴퓨터용 마우스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는, 통상의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10) 에서 폴더(20)의 외측에 터치 패드(30)를 설치하고 노트북 컴퓨터(50)의 마우스 대용으로 휴대용 단말기(1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휴대용 단말기(10)를 노트북 컴퓨터(50)에 케이블(40)로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기술은 터치 패드(30) 위에서 손가락을 움직임으로써 마우스 기능을 하게 되므로 실제 마우스를 움직여 작동하는 사용감을 제공하지는 못하므로 사용이 불편하여 마우스 기능이 완전히 구현되었다고 할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광마우스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실제 마우스를 작동하는 사용감을 제공하면서 마우스를 항시 별도로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특히 사용자의 필요에 의한 때에만 광마우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마우스 기능이 구현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배터리가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면서 컴퓨터용 광마우스 기능이 구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와 단말기 본체간에 신호를 전달하는 접속수단과; 상기 배터리 일면에 구비된 발광 소자에서 방출되어 바닥면에서 반사된 빛을 광학센서가 감지함으로써 배터리가 바닥면에 대하여 움직임에 따라 움직임신호를 발생하는 광센서부와; 상기 단말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눌림에 의하여 클릭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버튼과; 상기 움직임신호와 클릭신호를 인가받아 컴퓨터의 드라이버에 의하여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및 마우스 메뉴의 선택으로 인식되는 마우스 동작정보로 가공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마우스 동작정보를 컴퓨터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배터리는 단말기 본체에 임의의 두 위치로 장착이 가능하되, 상기 접속수단은 배터리가 단말기 본체에 제1 위치로 장착되었을 때에는 배터리의 전력만을 단말기 본체로 전달하고, 제2 위치로 장착되었을 때에는 배터리의 전력과 광센서부의 움직임신호를 단말기 본체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속수단은 단말기 본체에 구비된 다수의 단자로 이루어진 제1 단자부와; 배터리가 단말기 본체에 제1 위치로 장착되었을 때 제1 단자부의 전력 단자에 대응되는 단자만이 배터리에 구비되어 이루어진 제2 단자부와; 배터리가 단말기 본체에 제2 위치로 장착되었을 때 배터리에서 제1 단자부의 모든 단자에 대응되는 단자가 배터리에 구비되어 이루어진 제3 단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송신부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또는 적외선 통신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신부는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로 컴퓨터에 연결된 케이블이 접속되는 리셉터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 광마우스 기능이 구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광마우스 기능이 구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광마우스 기능이 구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와 단말기 본체가 제 1 위치로 결합하는 것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광마우스 기능이 구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와 단말기 본체가 제 2 위치로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마우스 기능이 구현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배터리(100)가 단말기 본체(500)에 장착되면서 광마우스 기능이 구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100)와 단말기 본체(500)간에 신호를 전달하는 접속수단(400)과; 상기 배터리(100) 일면에 구비된 발광 소자(210)에서 방출되어 바닥면에서 반사된 빛을 광학센서(220)가 감지함으로써 배터리(100)가 바닥면에 대하여 움직임에 따라 움직임신호를 발생하는 광센서부(200)와; 상기 단말기 본체(500)의 일측에 구비되어 눌림에 의하여 클릭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버튼(600)과; 상기 움직임신호와 클릭신호를 인가받아 컴퓨터의 드라이버에 의하여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및 마우스 메뉴의 선택으로 인식되는 마우스 동작정보로 가공하는 신호처리부(700)와; 상기 마우스 동작정보를 컴퓨터로 전송하는 송신부(8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배터리(100)가 단말기 본체(500)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면서 전원을 제공하게 된다.
배터리(100)는 배터리 커버(110) 내부에 소정 크기를 가지는 배터리 셀(300)에 보호회로(310)가 부가되어 구비되고, 발광소자(210)와 광학센서(220)를 포함한 광센서부(200)가 배터리 커버(110) 일면, 바람직하게는 배터리(100)가 단말기 본체(500)에 장착되었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단말기 배면에 형성된 개구부(120)를 통하여 노출된 채 내장된다.
광학센서(220)는 단말기 본체(500)에 배터리(100)가 장착된 상태로 바닥에 놓였을 때 발광소자(210)가 방출하는 빛이 바닥면에서 반사된 것을 감지하고, 이동통신 단말기가 움직임에 따라 바닥면에서 반사되는 빛의 변화를 계속적으로 감지하면서 움직임신호를 발생한다.
발광소자(210)와 광학센서(220)는 배터리셀(300)의 전력을 사용하여 작동할 수도 있으나, 접속수단(400)에 의하여 단말기본체(500)로 부터 전력을 제공받는 것이 마우스 기능이 사용되고 있지 않는 동안의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접속수단(400)은 일련의 접속단자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단자부(410,420,430)가 상호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써, 단말기 본체(500)에 구비된 제1 단자부(410)가 배터리(100)의 일측에 구비된 제2 단자부(420) 또는 배터리(100)의 타측에 구비된 제3 단자부(430)에 접속되면서 신호가 상호 교환된다.
접속단자는 배터리(100)의 전력을 단말기 본체(500)로 전달하기 위한 전력단자(A)와, 광센서부(200)에 전력을 제공하거나 광센서부(200)의 움직임신호를 단말기 본체(500)에 제공하기 위한 신호단자(B)로 나누어지며, 제1 단자부(410)와 제3 단자부(430)는 전력단자(A)와 신호단자(B)를 모두 포함하나, 제2 단자부(420)는 전력단자(A)만을 가지게 된다.
즉, 배터리(100)에 내장된 배터리셀(300)의 출력단은 제2 단자부(420)와 제3 단자부(430)의 전력단자(A)에 병렬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배터리(100)는 단말기 본체(500)에 임의의 두 위치로 장착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데, 배터리(100)가 단말기 본체(500)에 제1 위치로 장착이 될 때에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본체(500)의 제1 단자부(410)와 배터리(100)의 제2 단자부(420)가 상호 접속이 이루어지고,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00)가 단말기 본체(500)에 제2 위치로 장착이 될 때에는 제1 단자부(410)는 배터리(100)의 제3 단자부(430)에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단자부의 위치가 결정된다.
즉, 배터리(100)는 단말기 본체(500)에 제1 위치로 결합하거나, 제1 위치에서 동일한 면을 접한 상태로 180도 회전한 상태인 제2 위치로 결합될 수 있고 이때 제2 단자부(420)와 제3 단자부(430)의 위치는 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로 결합하였을 때 제1 단자부(410)의 위치에 대응하는 배터리(100)상의 위치이다.
이때, 배터리(100)가 단말기 본체(500)에 제1 위치로 결합한 상태에서는 전력단자(A)와 신호단자(B)를 모두 가지는 제1 단자부(410)에 전력단자(A)만을 가지는 제2 단자부(420)가 접속되므로, 배터리(100)의 전력만이 단말기 본체(500)로 전달되고 광센서부(200)에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광센서부(200)는 작동하지 않아 마우스 기능이 구현되지 않는다.
반면에 배터리(100)가 단말기 본체(500)에 제2 위치로 결합한 상태에서는 제1 단자부(410)에 전력단자(A)와 신호단자(B)를 모두 가지는 제3 단자부(430)가 접속되므로 배터리(100)의 전력이 단말기 본체(500)로 전달됨은 물론, 광센서부(200)에 전력이 제공되고 광센서부(200)의 움직임신호도 단말기 본체(500)로 전달되면서 마우스 기능이 구현 가능하게 된다.
배터리(100)가 단말기 본체(500)에 임의의 두 위치로 모두 장착이 가능하게 되기 위한 구조는 다수의 공지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배터리(100)의 양 말단에 동일한 구조의 단턱(130)이 구비되고, 단말기 본체(500)의 일단에는 배터리(100)의 단턱(130)에 대응하는 맞단턱(510)이, 타단에는 외력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슬라이드 하면서 단턱(130)에 고정되거나 이탈되는 락커(520)가 구비되면서, 배터리(100)가 측면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측면 리브(530)가 양편에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단말기 본체(500)의 일 측면에는 평상시에 통화음의 크기 조절 및 벨소리의 크기 조절, 그리고 버튼의 눌림음 크기 조절 등을 위하여 사용되다가, 단말기가 마우스로 기능할 때에는 클릭스위치로 사용되어지는 다수의 사이드 버튼(600)이 단말기 케이스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사이드 버튼(600)은 외력에 의하여 눌리면서 클릭신호를 발생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단말기 본체(500)에는 제1 단자부(410)와 제3 단자부(430)를 통하여 전달된 광센서부(200)의 움직임 신호와 사이드 버튼(600)의 클릭신호를 인가받아 마우스 동작정보로 가공하는 신호처리부(700)가 구비되고, 신호처리부(700)에는 상기 마우스 동작정보를 컴퓨터로 전송하는 송신부(800)가 연결된다.
신호처리부(700)는 광센서부(200)의 움직임신호를 통하여 마우스로 기능하는 단말기의 이동방향, 이동속도, 이동거리 등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고 사이드 버튼(600)의 클릭신호를 부가하여, 컴퓨터에 내장된 드라이버에 의하여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및 마우스 메뉴의 선택으로 인식되어지는 마우스 동작정보로 가공한다.
송신부(800)는 마우스 동작정보를 컴퓨터에 전송하는데, 적외선 통신을 사용하여 전송하는 경우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등의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적외선 통신 모듈이 사용되고,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사용하여 전송하는 경우에는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이 사용된다.
한편, 마우스 동작정보를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등의 유선을 통하여 컴퓨터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된 리셉터클(800)이 송신부로써 신호처리부(700)에 연결되고 컴퓨터에 연결된 케이블(미도시)이 접속된다.
이와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광마우스 기능이 구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및 작동을 본다.
본 발명의 광마우스 기능이 구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평상시 사용할 때에는 배터리(100)의 제2 단자부(420)가 단말기 본체(500)의 제1 단자부(410)에 접속되는 제1 위치인 상태로 배터리(100)를 단말기 본체(500)에 장착한다.
이때에는 접속수단(400)을 통하여 배터리셀(300)의 전력이 단말기 본체(500)로 공급되어 단말기가 구동되면서 통상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은 가능하지만 광센서부(200)에는 전력이 제공되지 않으므로 광마우스 기능은 구현되지 않으므로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동통신 단말기를 마우스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배터리(100)를 최초위치에서 탈거하여 제3 단자부(430)가 제1 단자부(410)에 접속되는 제2 위치인 상태로 재장착하고, 단말기와 컴퓨터가 USB 인터페이스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컴퓨터에 연결된 USB 케이블을 리셉터클(800)에 접속한다.
그리고, 마우스 기능의 구현을 위하여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의 소정의 메뉴를 진입하여 마우스 기능을 활성화 할것을 요구할 수도 있으며, 마우스 기능이 활성화 된 이후에야 비로소 광센서부(200)가 노출된 배터리(100)의 일면이 바닥면에 놓이도록 한 후 마우스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마우스로 사용하는 동안에는 신호단자(B)를 통하여 전력을 제공받은 발광소자(210)가 방출하는 빛이 바닥면에 반사될 때 광학센서(220)가 이를 감지하여 마우스로서의 단말기의 움직임신호를 발생하여 신호처리부(700)로 제공하고,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사이드 버튼(600)을 누를 때 클릭신호가 신호처리부(700)로 제공되어 마우스 동작정보로 가공된 후 컴퓨터에 전달됨으로써 마우스의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동통신 단말기로 마우스의 사용이 종료되면, 배터리(100)를 다시 제1 위치로 장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사용하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광마우스 기능이 구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로 실제 마우스를 작동하는 사용감을 제공하는 광마우스를 구현할 수 있어 마우스를 항시 별도로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특히 사용자의 필요에 의한 때에만 광마우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배터리가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면서 컴퓨터용 광마우스 기능이 구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와 단말기 본체간에 신호를 전달하는 접속수단과;
    상기 배터리 일면에 구비된 발광 소자에서 방출되어 바닥면에서 반사된 빛을 광학센서가 감지함으로써 배터리가 바닥면에 대하여 움직임에 따라 움직임신호를 발생하는 광센서부와;
    상기 단말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눌림에 의하여 클릭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버튼과;
    상기 움직임신호와 클릭신호를 인가받아 컴퓨터의 드라이버에 의하여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및 마우스 메뉴의 선택으로 인식되는 마우스 동작정보로 가공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마우스 동작정보를 컴퓨터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마우스 기능이 구현된 이동통신 단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단말기 본체에 임의의 두 위치로 장착이 가능하되, 상기 접속수단은 배터리가 단말기 본체에 제1 위치로 장착되었을 때에는 배터리의 전력만을 단말기 본체로 전달하고, 제2 위치로 장착되었을 때에는 배터리의 전력과 광센서부 의 움직임신호를 단말기 본체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마우스 기능이 구현된 이동통신 단말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은
    단말기 본체에 구비된 다수의 단자로 이루어진 제1 단자부와;
    배터리가 단말기 본체에 제1 위치로 장착되었을 때 제1 단자부의 전력 단자에 대응되는 단자만이 배터리에 구비되어 이루어진 제2 단자부와;
    배터리가 단말기 본체에 제2 위치로 장착되었을 때 배터리에서 제1 단자부의 모든 단자에 대응되는 단자가 배터리에 구비되어 이루어진 제3 단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마우스 기능이 구현된 이동통신 단말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또는 적외선 통신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로 컴퓨터에 연결된 케이블이 접속되는 리셉터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40064116A 2004-08-14 2004-08-14 광마우스 기능이 구현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28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116A KR100628117B1 (ko) 2004-08-14 2004-08-14 광마우스 기능이 구현된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116A KR100628117B1 (ko) 2004-08-14 2004-08-14 광마우스 기능이 구현된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5388A true KR20060015388A (ko) 2006-02-17
KR100628117B1 KR100628117B1 (ko) 2006-09-26

Family

ID=37124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4116A KR100628117B1 (ko) 2004-08-14 2004-08-14 광마우스 기능이 구현된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81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8692A (ko) * 2005-12-27 2007-07-0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핸드폰 마우스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컴퓨팅 시스템
KR100891024B1 (ko) * 2006-09-29 2009-03-31 주식회사 와이텔포토닉스 휴대용 마우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8692A (ko) * 2005-12-27 2007-07-0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핸드폰 마우스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컴퓨팅 시스템
KR100891024B1 (ko) * 2006-09-29 2009-03-31 주식회사 와이텔포토닉스 휴대용 마우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8117B1 (ko) 2006-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43630B1 (en) Multi-functional pen and method for using multi-functional pen
KR101172454B1 (ko)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KR20090006737A (ko) 입력 장치, 기억 매체, 정보 입력 방법 및 전자 기기
US20140104491A1 (en) Protective shell having shutter pressing structure and image capturing method
CN100499691C (zh) 用于便携式电子设备的小键盘
US20150355877A1 (en) Key input device, key input recognition device, and key input system using same
CN108388404A (zh) 终端、终端的控制方法、终端的制造方法和存储介质
KR100943031B1 (ko) 휴대단말기 부착용 입력장치
KR20080048250A (ko)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0628117B1 (ko) 광마우스 기능이 구현된 이동통신 단말기
US7369119B2 (en) Handset device with dual side joystick
JP5323201B2 (ja) マウス
JP2005506592A (ja) 処理入力および座標入力のためのインターフェース
CN108959885A (zh) 终端、终端的控制方法、终端的制造方法和存储介质
TW200805986A (en) Mobile phone with a slide cover
CN208607664U (zh) 终端
CN208444749U (zh) 按键模块、灯光按键单元及电子设备
JP2006042123A (ja) 携帯電話
KR100703209B1 (ko) 블루투스 마우스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KR100464002B1 (ko) 키패드 분리형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WO2004090664A2 (en) A combined mobile communication plus pointing device
CN213347742U (zh) 一种手机式vr手柄交互装置
CN208077147U (zh) 终端
US7941190B2 (en) Mobile phone
KR101166269B1 (ko) 마우스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