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8250A -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48250A KR20080048250A KR1020060118394A KR20060118394A KR20080048250A KR 20080048250 A KR20080048250 A KR 20080048250A KR 1020060118394 A KR1020060118394 A KR 1020060118394A KR 20060118394 A KR20060118394 A KR 20060118394A KR 20080048250 A KR20080048250 A KR 2008004825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roll key
- user
- finger
- cursor
- scree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롤 키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크롤 키; 상기 스크롤 키의 주변 또는 상기 스크롤 키 상에 위치하고, 상기 스크롤 키를 회전시키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스크롤 키의 소정 부분에 위치했는가를 감지하는 감지 장치; 그리고 상기 스크롤 키의 회전 정보와 상기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커서의 위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화면을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스크롤 키의 소정 부분에 위치했는가를 감지하는 단계; 그리고 감지된 사용자의 손가락 위치 정보와 상기 스크롤 키의 회전 정보를 토대로 디스플레이의 출력 내용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단말기, 스크롤 키, 방향키, 감지 장치, 센서, 커서, 화면, 이동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를 보이는 정면도;
도 2는 일반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보이는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스크롤 키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보이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스크롤 키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장치의 사용 예들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H: 하우징 100: 입력 장치
200: 스크롤 키 300: 감지 장치
310: 제1 감지 유닛 320: 제2 감지 유닛
400: 제어부 410: 입력 인터페이스
500: 디스플레이 600: 메모리
본 발명은 스크롤 키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입력 장치가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및 PDA 등의 이동 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device)는 기술이 발전하면서 단순한 음성 정보만을 전달하는데 그치지 않고, 문자 정보, 화상 정보, 게임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최근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MP3 파일 등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오디오 플레이어 기능과 디지털 사진 및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 기능, 그리고 라디오 및 화상 방송 수신 기능까지 결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용도가 점점 확장되고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이제 생활 필수품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를 입력하여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입력 장치(10)와 사용자에게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25)가 구비된다. 참고로, 도 1의 단말기는 폴더 타입으로서 상기 입력 장치(10)는 본체부(A)에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25)는 폴더 부(B)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입력 장치(10)는 메뉴 선택 시 커서의 방향 전환을 위한 전, 후, 좌, 우 방향키(11)와, 발신, 전화번호부, 카메라 등의 구동을 위한 기능키(12)와, 숫자, 글자, 특수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 키(13)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상기 방향키(11)를 눌러 커서를 사용하기 원하는 메뉴로 이동시키고, 확인 키 등을 눌러 해당 메뉴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부(22)는 상기 입력 장치(10)의 입력 값을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Pin) 등을 포함하는 입력 인터페이스(23)를 통해 입력받은 후 메모리(24)에 저장된 키 맵 데이터(key map data)를 이용하여 입력 값에 상응하는 제어 명령을 해석한다.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22)는 해석된 제어 명령에 상응하는 구동 프로그램을 상기 메모리(24)로부터 읽어 들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능을 실행시킨다. 이때, 상기 구동 프로그램의 작동 결과는 상기 디스플레이(25)를 통해 출력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먼저, 원하는 기능을 실행시키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 방향키(11)를 여러 번 반복적으로 눌러서 커서를 이동시켜야 하므로 불편하다.
그리고, 사용자가 전자책 또는 사진 등을 보기 위해 파일 뷰어(file viewer) 기능을 이용할 때 파일의 화면 출력 사이즈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25)의 사이즈보 다 큰 경우, 상기 전자책 또는 사진 등을 보기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방향키(11)를 여러 번 눌러 디스플레이(25)의 출력 화면을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하므로 불편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스크롤 키를 이용하여 커서 또는 디스플레이의 출력 화면을 상하좌우 방향으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단말기의 입력 장치의 구성을 개선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스크롤 키를 이용하여 커서 또는 디스플레이의 출력 화면을 상하좌우 방향으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회전 가능한 스크롤 키; 상기 스크롤 키를 회전시키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 장치; 그리고 상기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정보와 상기 스크롤 키의 회전 정보를 입력받아 입력 신호를 제어부에 보내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감지 장치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스크롤 키의 소정 위치에 위치했을 때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로 신호를 보내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감지 장치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스크롤 키의 제1 단부에 위치했을 때 신호를 출력하는 제1 감지 유닛; 그리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스크롤 키 의 제2 단부에 위치했을 때 신호를 출력하는 제2 감지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스크롤 키의 중앙부에 위치해 있을 때 상기 제1 또는 제2 감지 유닛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감지 유닛과 상기 제2 감지 유닛은 상기 스크롤 키의 중앙부를 사이에 두고 소정 거리 떨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장치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근접해오면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스크롤 키의 주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비접촉식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하게 되면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스크롤 키의 주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하게 되면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스크롤 키의 소정 위치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상기 스크롤 키의 일부가 눌리면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스크롤 키의 아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는, 상기 감지 유닛으로부터의 신호 수신 없이 상기 스크롤 키의 회전 정보만을 받으면, 상기 단말기의 커서 또는 출력 화면을 상기 스크롤 키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입력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감지 유닛으로부터 보내온 신호와 상기 스크롤 키의 회전 정보를 함께 받으면, 상기 단말기의 커서 또는 출력 화면을 상기 스크롤 키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각인 제3 방향 또는 상기 제3 방향과 반대인 제4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입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스크롤 키의 중앙부에 위치하면 상기 단말기의 커서 또는 출력 화면을 상기 스크롤 키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입력 신호를 출력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스크롤 키의 제1 단부에 위치하면 상기 단말기의 커서 또는 출력 화면을 제1 및 제2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는 제3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입력 신호를 출력하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스크롤 키의 상기 제1 단부와 마주보는 제2 단부에 위치하면 상기 단말기의 커서 또는 출력 화면을 상기 제3 방향과 반대인 제4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입력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에서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크롤 키; 상기 스크롤 키의 주변 또는 상기 스크롤 키 상에 위치하고, 상기 스크롤 키를 회전시키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스크롤 키의 소정 부분에 위치했는가를 감지하는 감지 장치; 그리고 상기 스크롤 키의 회전 정보와 상기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커서의 위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화면을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장치로부터의 정보 수신 없이 상기 스크롤 키의 회전 정보만을 받으면, 상기 단말기의 커서 또는 출력 화면을 상기 스크롤 키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감지 장치로부터 보내온 정보와 상기 스크롤 키의 회전 정보를 함께 받으면, 상기 단말기의 커서 또는 출력 화면을 상기 스크롤 키의 회전 방향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스크롤 키는, 제1 단부, 제2 단부,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단부 사이에 위치한 중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감지 장치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제1 단부에 위치할 때 신호를 출력하는 제1 감지 유닛; 그리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제2 단부에 위치했을 때 신호를 출력하는 제2 감지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중앙부에 위치하면 상기 스크롤 키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커서 또는 상기 화면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제1 단부에 위치하면 상기 스크롤 키의 회전 시 상기 커서 또는 상기 화면을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제2 단부에 위치하면 상기 스크롤 키의 회전 시 상기 커서 또는 상기 화면을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형태에서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스크롤 키의 소정 부분에 위치했는가를 감지하는 단계; 그리고 감지된 사용자의 손가락 위치 정보와 상기 스크롤 키의 회전 정보를 토대로 디스플레이의 출력 내용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의 출력 내용을 제어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스크롤 키의 소정 부분에 위치하지 않으면 상기 스크롤 키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커서 또는 화면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그리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스크롤 키의 소정 부분에 위치하면 상기 스크롤 키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커서 또는 화면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출력 내용을 제어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스크롤 키의 중앙부에 위치하면 상기 스크롤 키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커서 또는 화면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그리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스크롤 키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에 위치하면 상기 스크롤 키의 회전 시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커서 또는 화면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장치는 PDA(Personal Disital Assistant), 휴대용 멀티 미디어 재생기, 휴대용 네비게이션 단말기,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의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어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장치가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적용된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 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보이는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장치(100), 텍스트, 이미지 및 영상 등의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500), 상기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부(400), 그리고 각종 데이터 및 제어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600), 기지국과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이동 통신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장치가 이동 통신 단말기가 아닌 다른 형태의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이동 통신 신호 처리부는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 부품들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H)에 장착된다. 상기 하우징(H)은 단순한 바타입, 접고 펼 수 있는 폴더 타입, 그리고 두 개의 몸체를 서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슬라이드 타입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참고로, 도 4의 하우징(H)은 슬라이드 타입으로 형성된 예를 보여준다.
상기 이동 통신 신호 처리부는, 상기 입력 장치(100)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처리하여 송신하는 송신 신호 처리부와 외부로부터 전파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수신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송수신 회로, 그리고 상기 송신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신호를 전파로 공중에 출력하고 공중의 전파를 수신하는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H)에는 위에서 언급한 부품들 외에도, 사용자가 통화할 수 있도록 마이크와 스피커 등이 구비되며, 사진이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가 구비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하우징(H)에는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하우징(H)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500), 마이크 및 스피커, 카메라, 이동 통신 신호 처리부, 배터리, 그리고 상기 제어부(400) 및 메모리(600)의 구성은 통상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것과 대동 소이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장치(100)는 숫자, 글자, 특수 문자 등을 입력할 수 있는 통상의 문자 키(미도시), 발신, 수신, 메시지 확인, 전화 번호부 찾기, 카메라 등의 기능을 바로 실행시킬 수 있는 통상의 기능키(미도시) 등 뿐만 아니라, 스크롤 키(200), 사용자의 손가락 위치 감지를 위한 감지 장치(300), 그리고, 상기 스크롤 키(200)에서 수신된 신호와 상기 감지 장치(300)에서 수신된 신호를 종합하여 상기 제어부(400)에 입력 신호를 보내는 입력 인터페이스(4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크롤 키(200)는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500)를 보면서 회전시킬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H)에 장착된다. 참고로, 도 4에는 상기 스크롤 키(200)가 상기 디스플레이(500)와 같은 면에 장착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스크롤 키(200)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H)의 외부에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롤러(210)와 상기 롤러(210)의 회전 시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5에는 상기 스크롤 키(200)의 구성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참조하여 상기 스크롤 키(200)의 구성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스크롤 키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롤 키(200)의 롤러(210)는 긴 원통 형상을 가지며,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그 외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홈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롤러(2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1 방향, 그리고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상기 센서부(250)는 상기 롤러(210)의 회전 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킨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센서부(250)는 상기 롤러(210)의 일측면에 일정 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빛을 반사하는 인코더(251)와, 상기 인코더(251)와 마주보게 제공되는 센서(25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센서(253)는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로 이루어지는 광 센서(optical sensor)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253)는 발광 소자를 이용해 빛을 출력하고, 상기 인코더(251)에서 반사된 빛을 수광 소자에서 받아들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킨다.
상기 롤러(210)의 회전 축은 상기 하우징(H)에 직접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겠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서포터(22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서포터(220)는 상기 롤러(210)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롤러(210)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롤러(210)를 지지한다. 상기 롤러(210)가 상기 서포터(220)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 상기 센서부(250)의 센서(253)는 상기 롤러(210)에 구비된 인코더(251)와 마주보는 상기 서포터(220)의 일측면에 제공된다.
상기 서포터(220)는 상기 하우징(H)에 직접 연결될 수 있으나, 도 5에 도시 된 바와 같이 탄성력을 가진 레그(230)에 의해 탄력 있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레그(230)는 서포터(220)에서 아래로 연장된 후 갈라진 제1 레그(231) 및 제2 레그(233)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레그(233)는 탄성력을 가지기 위한 절곡부를 각각 포함하고 있다. 상기 서포터(220)가 탄력있는 레그(230)에 의해 지지되면, 사용자가 상기 스크롤 키(200)의 롤러(210)를 회전시킬 때 상기 롤러(210)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탄력있게 눌리고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향상된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220)의 하면에는 롤러(210)가 사용자에 의해 눌렸을 때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240)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레그(233)의 단부는 상기 하우징(H)에 고정되지 않는 자유단으로 형성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레그(233)의 자유단 아래에 상기 스위치(240)가 배치된다.
사용자에 의해 롤러(210)가 눌리면, 상기 롤러(210)와 함께 서포터(220)가 아래로 내려가게 되어 상기 제2 레그(233)의 자유단이 상기 스위치(240)를 누르게 된다. 상기 스위치(240)가 눌리면, 전기적 신호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410)에 보내지며,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410)는 특정한 기능이 실행되도록 지시하는 입력 신호를 상기 제어부(400)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위칭 신호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410)를 통해 상기 제어부(400)로 전송되면, 상기 제어부(400)는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는 시점에 커서가 위치되어 있는 메뉴 항목의 기능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크롤 키(200)의 롤러(210)와 상기 스위치(240)는 확인키와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감지 장치(300)는 상기 스크롤 키(200), 좀더 상세하게는 상기 롤러(210)를 회전시키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위치를 감지한다. 상기 감지 장치(30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스크롤 키(200)의 소정 위치에 위치했을 때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410)로 전기적인 신호를 보내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하나의 감지 유닛이 상기 스크롤 키(200)의 일단부 상에 또는 그 근처에 배치되는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스크롤 키(200)를 돌리기 위해 상기 스크롤 키(200)의 일단부에 근접하거나 접촉하면, 상기 감지 유닛은 전기적인 신호를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410)로 출력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41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스크롤 키(200)의 일단부에 위치한다는 입력 신호를 상기 제어부(400)에 보낸다.
다른 예로, 여러 개의 감지 유닛이 상기 스크롤 키(200) 상에 또는 근처에 배치되는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스크롤 키(200)를 돌리기 위해 상기 스크롤 키(200)의 임의의 한 부분에 근접하거나 접촉하면, 해당 부분 상에 또는 그 근처에 배치된 감지 유닛이 전기적인 신호를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410)로 출력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410)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위치 신호를 상기 제어부(400)에 보낸다.
상기한 감지 유닛을 포함하는 감지 장치(300)는 도 4, 6, 그리고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들 실시예에 대해 각각 해당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감지 장치(300)는 상기 스크롤 키(200)의 양쪽 단부 근처에 배치된 두 개의 감지 유닛, 즉 제1 감지 유닛(310)과 제2 감지 유닛(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감지 유닛(310)은 상기 스크롤 키(200)의 제1 단부, 예를 들어 좌측 단부 근처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H)에 장착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제1 단부, 즉 좌측 단부에 위치할 때 전기적인 신호를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410)로 출력하여 보낸다. 상기 제2 감지 유닛(320)은 상기 스크롤 키(200)의 제2 단부, 예를 들어 우측 단부 근처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H)에 장착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제2 단부, 즉 우측 단부에 위치할 때 전기적인 신호를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410)로 출력하여 보낸다.
상기 제1 감지 유닛(310)과 제2 감지 유닛(320)은 상기 스크롤 키(200)의 중앙부를 사이에 두고 소정 거리 떨어지게 배치되는 것이 좋다. 이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스크롤 키(200)의 중앙부에 위치해 있을 때 상기 제1 감지 유닛(310) 또는 제2 감지 유닛(320)이 각각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스크롤 키(200)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감지 장치(300)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 위치 정보를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410)에 보내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감지 장치(300)로부터 사용자의 손가락 위치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서 상기 스크롤 키(200)의 회전 정보만 수신되는 경우,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410) 및 상기 제어부(40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스크롤 키(200)의 중앙부에 위치한다고 판단하고 이에 상응하는 입력 신호 또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킨다.
다르게는,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 감지 유닛(310)과 상기 제2 감지 유닛(320)의 사이에 제3 감지 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스크롤 키(200)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3 감지 유닛이 전기적 신호를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410)로 보내게 되므로,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410)와 상기 제어부(40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스크롤 키(200)의 중앙부에 위치한다고 판단하고 이에 상응하는 입력 신호 또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 장치(300)는 적어도 하나의 비접촉식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 감지 유닛(310)과 상기 제2 감지 유닛(320) 중 적어도 하나는 물체가 접촉하지 않고 근접했을 때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비접촉식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사용자가 손가락을 상기 스크롤 키(200)의 좌측 단부 또는 우측 단부에 대고 상기 스크롤 키(200)를 회전시킬 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제1 감지 유닛(310) 또는 상기 제2 감지 유닛(320)에 근접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상기 제1 감지 유닛(310) 또는 상기 제2 감지 유닛(320)이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410)와 제어부(400)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위치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 장치(300)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 감지 유닛(310)과 상기 제2 감지 유닛(320) 중 적어도 하나는 물체가 접촉했을 때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 는 비접촉식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사용자가 손가락을 상기 스크롤 키(200)의 좌측 단부 또는 우측 단부에 대고 상기 스크롤 키(200)를 회전시킬 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제1 감지 유닛(310) 또는 상기 제2 감지 유닛(320)에 접촉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상기 제1 감지 유닛(310) 또는 상기 제2 감지 유닛(320)이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410)와 제어부(400)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위치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비접촉식 센서와 터치 센서는, 정전용량 방식 또는 광학식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들 센서는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고, 당업자라면 위의 기재만으로도 발명을 충분히 실시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들 센서의 구성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상기 감지 장치(300)가 상기 스크롤 키(200)의 주변에 위치하도록 하우징(H)에 장착되는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감지 장치(300)는 상기 스크롤 키(20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보이는 정면도이다.
제2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 장치(30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하게 되면 신호를 출력하는 터치 센서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근접하면 신호를 출력하는 비접촉식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제2 실시예의 감지 장치(300)는 스크롤 키(200)에 구비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다르다.
상기 감지 장치(300)를 구성하는 제1 감지 유닛(310) 및 제2 감지 유닛(320) 은 각각 상기 스크롤 키(200)의 제1 및 제2 단부, 즉 좌측 및 우측 단부에 각각 내장된다. 상기 스크롤 키(200)의 중앙부는 상기 제1 감지 유닛(310)과 제2 감지 유닛(3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 두 감지 유닛들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며, 상기 제1 및 제2 감지 유닛(310, 320)과 연동하여 회전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상기 제1 감지 유닛(310)과 제2 감지 유닛(320) 중 어느 곳에 대고 상기 스크롤 키(200)를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감지 장치(300)가 감지한 손가락 위치 정보 뿐만 아니라 상기 스크롤 키(200)의 회전 정보도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410)에 전달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감지 장치(300)는 위에서 설명한 예들과는 달리 눌림 스위치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7에는 상기 감지 장치(300)가 눌림 스위치로 구현된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스크롤 키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감지 장치(300)를 구성하는 제1 감지 유닛(310)과 제2 감지 유닛(320)은 각각 눌림 스위치로 형성된다. 여기서, 앞서 설명한 스위치(240), 이 경우, 상기 제2 감지 유닛(320)으로서 기능한다. 상기 제1 감지 유닛(310)은 상기 스크롤 키(200)의 제1 단부, 즉 좌측 단부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감지 유닛(320)은 상기 스크롤 키(200)의 제2 단부, 즉 우측 단부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상기 제1 감지 유닛(310)과 제2 감지 유닛(320)의 위에는 위에서 설명한 제2 레그(233)의 자유단이 각각 위치한다.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스크롤 키(200)의 좌측 단부를 지그시 누른 상태로 상기 스크롤 키(200)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1 감지 유닛(310)이 상기 제2 레그(233)의 자유단에 의해 눌린 상태로 상기 롤러(210)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롤러(210)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제1 감지 유닛(310)과 상기 스크롤 키(200)의 센서부(250)가 모두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에 의해,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410)는 상기 제1 감지 유닛(310)으로 부터의 손가락 위치 정보와 상기 스크롤 키(200)로부터의 회전 정보를 각각 전달받을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스크롤 키(200)의 우측 단부를 지그시 누른 상태로 상기 스크롤 키(200)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2 감지 유닛(320)이 상기 제2 레그(233)의 자유단에 의해 눌린 상태로 상기 롤러(210)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롤러(210)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제2 감지 유닛(320)과 상기 스크롤 키(200)의 센서부(250)가 모두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에 의해,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410)는 상기 제2 감지 유닛(320)으로 부터의 손가락 위치 정보와 상기 스크롤 키(200)로부터의 회전 정보를 각각 전달받을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스크롤 키(200)의 중앙부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시키면, 상기 제1 및 제2 감지 유닛(310, 320)은 눌리지 않은 채로 상기 롤러(210)만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410)는 감지 장치(300)로부터의 신호 수신 없이 스크롤 키(200)로부터만 신호를 수신하므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스크롤 키(200)의 중앙부에 위치한다는 정보를 내포하는 입력 신호를 상기 제어부(400)에 보낸다.
한편, 단말기가 소정 모드를 실행하고 있을 때, 예를 들면 사용자가 여러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 선택 모드나, 이미지 파일이나 텍스트 파일 등을 볼 수 있는 파일 뷰어 모드를 실행하고 있을 때, 사용자는 상기 입력 장치(100)를 사용하면, 매우 편리하게, 커서를 상하좌우로 이동시켜 원하는 메뉴를 실행시킬 수 있고 화면의 일부 또는 전체를 상하좌우로 움직여 이미지 또는 텍스트 파일 전체를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사용자는 별도로 구비된 방향키를 누르지 않고도 스크롤 키(200) 만을 회전시켜 디스플레이(500) 상의 커서 또는 화면을 상하 방향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도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커서 및 화면의 이동 방향성은 상기 감지 장치(300)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손가락의 위치에 따라 1차적으로 결정되며 2차적으로는 상기 스크롤 키(200)의 회전 방향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커서 및 화면의 이동 거리는 상기 스크롤 키(200)의 회전각에 따라 결정된다.
이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의 휴대용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스크롤 키(200)의 소정 부분에 위치했는가를 감지하는 단계와, 감지된 손가락의 위치 정보와 상기 스크롤 키(200)의 회전 정보를 토대로 단말기의 작동, 좀더 상세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500)의 출력 내용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장치(100)와 제어부(400)가 상기 감지 장치(300)와 상기 스크롤 키(200)로부터 받은 신호를 토대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과정에 대해 좀더 상세하게 설명 한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스크롤 키(200)를 회전시키면 상기 센서부(250)는 롤러(210)의 회전에 따른 전기적 신호, 즉 스크롤 키(200)의 회전 정보를 발생시켜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410)에 보낸다. 이와 함께, 사용자의 손가락의 위치 정보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감지 장치(300)에 의해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410)에 전달된다.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410)는 상기 감지 장치(300)로부터의 신호 수신 없이 상기 스크롤 키(200)로부터만 회전 정보를 수신받으면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500) 상에 있는 커서 또는 출력 화면을 상기 스크롤 키(2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방향 및 이와 반대인 제2 방향, 예를 들어 상측 및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입력 신호를 제어부(400)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을 상기 스크롤 키(200)의 중앙부에 대고 상기 스크롤 키(200)를 제2 방향, 즉 하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410)는 상기 커서 또는 출력 화면을 제2 방향, 즉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입력 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410)의 입력 신호를 받은 제어부(400)가 구동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디스플레이(500) 상의 커서 또는 화면을 제2 방향, 즉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참고로, 도 8은, 커서가 2번 메뉴 상에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크롤 키(200)를 아래로 회전시켜 3번 메뉴 상으로 이동시킨 예를 보여준다.
반대로,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가 손가락을 상기 스크롤 키(200) 의 중앙부에 대고 상기 스크롤 키(200)를 제1 방향, 즉 상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위와는 반대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디스플레이(500) 상의 커서 또는 화면을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위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스크롤 키(200)의 소정 부분, 예를 들면 양쪽 단부에 위치하지 않으면 상기 감지 장치(300)가 상기 손가락을 감지한 신호를 출력하지 않으며,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500) 상의 커서 또는 화면은 상기 스크롤 키(2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스크롤 키(200)의 소정 부분에 위치하면, 즉 상기 감지 장치(300)로부터 보내온 신호와 상기 스크롤 키(200)의 회전 정보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410)에 함께 전해지면,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410)는 상기 스크롤 키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500) 상의 커서 또는 화면을 상기 제1 및 제2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는 제3 방향 또는 이와 반대인 제4 방향, 예를 들면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입력 신호를 제어부(400)로 출력하게 되므로 상기 커서와 화면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제어를 위해서는, 상기 감지 장치(300)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는 달리,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스크롤 키(200)의 제1 단부나 제2 단부 어느 곳에 위치하더라도 같은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치될 것이다. 다만, 상기 감지 장치(300)는 상기 스크롤 키(200)는 회전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할 것이다.
사용자의 손가락이 소정 위치, 즉 제1 단부나 제2 단부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스크롤 키(200)가 제1 방향, 즉 상측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입력 인터페이 스(410)는 상기 커서 또는 화면을 제3 방향, 즉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입력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입력 신호를 받은 제어부(400)가 상기 커서 또는 화면을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반대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소정 위치, 즉 제1 단부나 제2 단부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스크롤 키(200)가 제2 방향, 즉 하측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410)는 상기 커서 또는 화면을 제4 방향, 즉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입력 신호를 출력하고, 제어부(400)에 의해 상기 커서 또는 화면이 좌측으로 이동한다.
다시 말해, 위의 예에서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감지 장치(300)에 의해 감지될 수 없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스크롤 키(200)를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커서 또는 화면이 상기 스크롤 키(2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감지 장치(30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스크롤 키(200)를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커서 또는 화면이 스크롤 키(2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위의 예에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다른 예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감지 장치(300)에 의해 감지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스크롤 키(200)의 회전 방향에 관계없이 사용자의 손가락의 위치에 의해 상기 커서 및 화면의 이동 방향이 결정되도록 단말기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감지 장치(30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스크롤 키(200)의 제1 단부나 제2 단부에 위치할 때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치될 것이다.
먼저,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스크롤 키(200)의 중앙부에 위치한 채로 상기 스크롤 키(200)가 회전하는 경우는, 위의 예와 같이 상기 커서 또는 화면이 상기 스크롤 키(2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제어되며,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스크롤 키(200)의 제1 단부, 즉 좌측 단부에 위치한 채로 상기 스크롤 키(200)가 회전하면, 상기 제1 감지 유닛(310)과 상기 스크롤 키(200)에서 발생한 신호들은 각각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410)로 보내진다.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410)는 상기 스크롤 키(200)의 회전 방향과 관계없이 상기 제1 감지 유닛(310)에서 수신된 신호만을 토대로 상기 커서 및 화면의 이동 방향을 제3 방향, 즉 좌측 방향으로 결정하는 입력 신호를 상기 제어부(400)로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커서 및 상기 화면을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사용자의 손가락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롤 키(200)의 제2 단부, 즉 우측 단부에 위치한 채로 상기 스크롤 키(200)가 회전하면, 상기 제2 감지 유닛(320)과 상기 스크롤 키(200)에서 발생한 신호들은 각각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410)로 보내진다.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410)는 상기 스크롤 키(200)의 회전 방향과 관계없이 상기 제2 감지 유닛(320)에서 수신된 신호만을 토대로 상기 커서 및 화면의 이동 방향을 제4 방향, 즉 우측 방향으로 결정하는 입력 신호를 상기 제어부(400)로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커서 및 상기 화면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롤 키(200)를 회전시키는 사용자의 손가락 위치와 스크롤 키(200)의 회전 방향에 의해 디스플레이(500)에 출력된 커서 및 화면의 이동 방향성이 결정되고, 스크롤 키(200)의 회전각에 따라 그 이동 거리가 결정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로 구비된 방향키를 누르지 않고도, 스크롤 키(200)만을 조작하여 커서 또는 화면을 상하 방향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도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편리하다.
상기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별도의 버튼식 방향키를 누르지 않고도 스크롤 키만을 조작하여 디스플레이 상의 커서 또는 화면 등을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Claims (8)
- 하우징;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디스플레이;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크롤 키;상기 스크롤 키의 주변 또는 상기 스크롤 키 상에 위치하고, 상기 스크롤 키를 회전시키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스크롤 키의 소정 부분에 위치했는가를 감지하는 감지 장치; 그리고상기 스크롤 키의 회전 정보와 상기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커서의 위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화면을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 통신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감지 장치는,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하게 되면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스크롤 키의 주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 통신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상기 감지 장치로부터의 정보 수신 없이 상기 스크롤 키의 회전 정보만을 받 으면, 상기 단말기의 커서 또는 출력 화면을 상기 스크롤 키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상기 감지 장치로부터 보내온 정보와 상기 스크롤 키의 회전 정보를 함께 받으면, 상기 단말기의 커서 또는 출력 화면을 상기 스크롤 키의 회전 방향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스크롤 키는,제1 단부, 제2 단부,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단부 사이에 위치한 중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상기 감지 장치는,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제1 단부에 위치할 때 신호를 출력하는 제1 감지 유닛; 그리고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제2 단부에 위치했을 때 신호를 출력하는 제2 감지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 통신 단말기.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중앙부에 위치하면 상기 스크롤 키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커서 또는 상기 화면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제1 단부에 위치하면 상기 스크롤 키의 회전 시 상기 커서 또는 상기 화면을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제2 단부에 위치하면 상기 스크롤 키의 회전 시 상기 커서 또는 상기 화면을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 사용자의 손가락이 스크롤 키의 소정 부분에 위치했는가를 감지하는 단계; 그리고감지된 사용자의 손가락 위치 정보와 상기 스크롤 키의 회전 정보를 토대로 디스플레이의 출력 내용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디스플레이의 출력 내용을 제어하는 단계는,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스크롤 키의 소정 부분에 위치하지 않으면 상기 스크롤 키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커서 또는 화면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그리고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스크롤 키의 소정 부분에 위치하면 상기 스크롤 키 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커서 또는 화면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디스플레이의 출력 내용을 제어하는 단계는,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스크롤 키의 중앙부에 위치하면 상기 스크롤 키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커서 또는 화면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그리고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스크롤 키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에 위치하면 상기 스크롤 키의 회전 시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커서 또는 화면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18394A KR101147773B1 (ko) | 2006-11-28 | 2006-11-28 |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
DE102007056828A DE102007056828A1 (de) | 2006-11-28 | 2007-11-26 | Eingabevorrichtung für ein mobiles Endgerät mit einer Scroll-Taste |
US11/945,883 US8195252B2 (en) | 2006-11-28 | 2007-11-27 | Input device for mobile terminal using scroll key |
CNA2007101964199A CN101193138A (zh) | 2006-11-28 | 2007-11-28 | 使用滚动键的移动终端输入设备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18394A KR101147773B1 (ko) | 2006-11-28 | 2006-11-28 |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48250A true KR20080048250A (ko) | 2008-06-02 |
KR101147773B1 KR101147773B1 (ko) | 2012-05-25 |
Family
ID=39363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18394A KR101147773B1 (ko) | 2006-11-28 | 2006-11-28 |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8195252B2 (ko) |
KR (1) | KR101147773B1 (ko) |
CN (1) | CN101193138A (ko) |
DE (1) | DE10200705682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200803421A (en) * | 2006-06-30 | 2008-01-01 | Inventec Corp |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KR101122092B1 (ko) * | 2006-11-28 | 2012-06-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롤-키(roll-key)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입력신호 처리 방법 |
JP2009288882A (ja) * | 2008-05-27 | 2009-12-10 | Ntt Docomo Inc | 携帯端末及び情報表示方法 |
CN101515953B (zh) * | 2009-03-20 | 2015-04-01 | 上海闻泰电子科技有限公司 | 具有感应按键功能的移动终端及实现感应按键的方法 |
US9024873B2 (en) * | 2010-05-04 | 2015-05-05 | Chen-Min Hung | Control device |
JP2015170119A (ja) * | 2014-03-06 | 2015-09-28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操作装置 |
KR102501571B1 (ko) * | 2016-02-12 | 2023-02-2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전자장치의 키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142137A1 (en) | 2002-01-28 | 2003-07-31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Selectively adjusting the order of windows in response to a scroll wheel rotation |
CN1194283C (zh) | 2002-09-19 | 2005-03-23 | 张海舡 | 一种信息输入的设置方法和装置 |
KR20050056448A (ko) * | 2003-12-10 | 2005-06-16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횡축 휠을 가지는 마우스 |
US20050225531A1 (en) * | 2004-04-13 | 2005-10-13 | Annie Cheng | Horizontal scrolling mouse |
KR20050108736A (ko) * | 2004-05-13 | 2005-11-17 | 브이케이 주식회사 | 스크롤키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
US20060001657A1 (en) | 2004-07-02 | 2006-01-05 | Logitech Europe S.A. | Scrolling device |
US7443382B2 (en) * | 2004-08-27 | 2008-10-28 | Microsoft Corporation | Scroll wheel carriage |
US20060103633A1 (en) * | 2004-11-17 | 2006-05-18 | Atrua Technologies, Inc. | Customizable touch input module for an electronic device |
US7413124B2 (en) * | 2005-07-19 | 2008-08-19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RFID reader supporting one-touch search functionality |
US20080034319A1 (en) * | 2006-07-30 | 2008-02-07 | Hawkins Jeffrey C | Scroll mechanism and keyboard |
US7795553B2 (en) * | 2006-09-11 | 2010-09-14 | Apple Inc. | Hybrid button |
-
2006
- 2006-11-28 KR KR1020060118394A patent/KR10114777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7
- 2007-11-26 DE DE102007056828A patent/DE102007056828A1/de not_active Withdrawn
- 2007-11-27 US US11/945,883 patent/US8195252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7-11-28 CN CNA2007101964199A patent/CN101193138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102007056828A1 (de) | 2008-06-12 |
US20080125182A1 (en) | 2008-05-29 |
KR101147773B1 (ko) | 2012-05-25 |
CN101193138A (zh) | 2008-06-04 |
US8195252B2 (en) | 2012-06-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47773B1 (ko) |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 |
CN101828380B (zh) | 能够显示按键功能的经放大的图标的用户界面 | |
US20140317562A1 (en) | Portable terminal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 |
US20130150128A1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KR101725550B1 (ko) | 광학식 터치 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 |
US20070132740A1 (en) | Tactile input device for controlling electronic contents | |
KR20040083788A (ko) | 제스쳐 커맨드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구동시킬 수 있는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 구동 방법 | |
WO2007084078A1 (en) | A keyboard for a mobile phone or othe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 |
KR101339942B1 (ko) | 입력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 |
JP2001236859A (ja) | ロータリ・スイッチ | |
KR20100082552A (ko) |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감지 장치 및 방법 | |
JP2010079442A (ja) | 携帯端末 | |
JP4311254B2 (ja) | 携帯型電子機器 | |
JP2006325214A (ja) | 移動通信端末機の入力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移動通信端末機 | |
US20160147313A1 (en) | Mobile Terminal and Display Orientation Control Method | |
KR100786446B1 (ko) | 입력 장치 및 휴대 단말 장치 및 휴대 단말 장치에있어서의 콘텐츠 데이터의 조작 방법 | |
JP2010062849A (ja) | 携帯端末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の入力操作方法・表示制御方法 | |
JP5299273B2 (ja) | 回転式携帯端末機 | |
KR100800801B1 (ko) | 휴대단말기의 키 제어 장치 | |
US7369119B2 (en) | Handset device with dual side joystick | |
JP2007202124A (ja) | 入力装置およびこの入力装置を用いた携帯端末機器ならびに携帯端末機器におけるコンテンツデータの閲覧方法 | |
KR101344463B1 (ko) | 입력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 |
KR101229357B1 (ko) | 방향입력용 터치패드와 터치패널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 |
JP2002358155A (ja) | 入力装置 | |
JP2001237941A (ja) | 携帯電話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