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2545A -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2545A
KR20120042545A KR1020100104266A KR20100104266A KR20120042545A KR 20120042545 A KR20120042545 A KR 20120042545A KR 1020100104266 A KR1020100104266 A KR 1020100104266A KR 20100104266 A KR20100104266 A KR 20100104266A KR 20120042545 A KR20120042545 A KR 20120042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case
recess
light source
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4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9460B1 (ko
Inventor
임빛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4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9460B1/ko
Priority to EP11002594.7A priority patent/EP2444952A3/en
Priority to US13/074,969 priority patent/US8591050B2/en
Publication of KR20120042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2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8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using both translucent and non-translucent lay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14Arrangements of reflectors therei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14Arrangements of reflectors therein
    • G09F2013/145Arrangements of reflectors therein curved reflec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면 및 외면을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두께가 주변보다 얇아지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서 상기 외면을 향하여 리세스되는 리세스부와,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며, 상기 리세스부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하도록 상기 광원과 연결되는 회로기판, 및 상기 리세스부 및 광원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의 빛이 아이콘을 형성하면서 통과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비춰지도록 상기 아이콘에 대응되는 투명패턴을 구비하는 아이콘 생성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기기{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케이스의 외면에 아이콘이 배치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는 전자장치나 부품을 기초로 하는 회로를 갖추고 있는 기기이며, 특히 휴대 전자기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전자기기이다.
전자기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한편, 휴대 전자기기의 일종인 모뎀(modem)이나 동글(dongle) 등은 컴퓨터, 전화기 등의 외장형 주변장치로서, 전자기기 본체에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을 제공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외장형 주변장치나 전자기기 본체가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다양한 디자인적 형태가 요구되고 있다. 전자기기의 케이스도 이러한 디자인적 형태 중 하나이며, 따라서 단말기 케이스에 대한 디자인적 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평탄한 외형의 전자기기 케이스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아이콘이 케이스의 외면상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전자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전자기기는, 내면 및 외면을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두께가 주변보다 얇아지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서 상기 외면을 향하여 리세스되는 리세스부와,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며, 상기 리세스부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하도록 상기 광원과 연결되는 회로기판, 및 상기 리세스부 및 광원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의 빛이 아이콘을 형성하면서 통과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비춰지도록 상기 아이콘에 대응되는 투명패턴을 구비하는 아이콘 생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아이콘 생성부는, 상기 리세스부의 바닥에 배치되는 투명시트, 및 상기 투명패턴이 상기 투명시트에 형성되도록 상기 투명시트의 일면에 인쇄되는 인쇄층을 포함한다.
상기 인쇄층은 상기 투명패턴을 제외한 부분이 불투명하게 처리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비춰지는 아이콘의 주변이 상기 케이스와 다른 색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인쇄층은 상기 투명패턴을 제외한 부분에 착색되며 빛을 투과하는 도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시트는 상기 리세스부의 바닥에 접착되며, 상기 투명시트의 접착부분은 상기 투명시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상기 아이콘 생성부는, 상기 리세스부의 바닥에 형성되며 상기 투명패턴의 음각으로 이루어지는 제1 패턴, 및 상기 투명패턴의 양각에 대응하는 제2 패턴을 구비하며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패턴이 상기 제1 패턴에 삽입되도록 배치되는 투명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투명부재는 상면, 하면 및 측면을 구비하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패턴은 상기 투명부재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광원은 상기 투명부재의 하면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투명부재는 측면에는 상기 하면을 통하여 입사되는 빛이 상기 상면을 향하도록 반사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상기 아이콘 생성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리세스부에 삽입되는 투명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부의 바닥은 평탄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투명부재의 상기 바닥을 바라보는 상면에는 상기 투명패턴이 양각 또는 음각으로 형성된다. 상기 투명부재의 하면에는 상기 광원을 수용하도록 이루어지는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상기 아이콘 생성부는 상기 리세스부의 바닥에 상기 투명패턴이 형성되도록 상기 투명패턴을 제외한 부분을 착색하는 불투명 인쇄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전자기기는 빛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상기 리세스부 및 광원의 사이를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빛샘 방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빛샘 방지부재는 상기 광원에서 생성된 빛이 중공부분을 통하여 상기 리세스부에 전달되도록 중공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광원은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되고, 상기 중공부분에는 상기 광원이 수용되며, 상기 빛샘 방지부재는 양단이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리세스부의 바닥에 각각 밀착되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콘 생성부는, 상기 리세스부의 바닥에 배치되는 투명시트, 및 상기 투명패턴을 제외한 부분이 불투명하게 처리되도록 상기 투명시트의 일면에 인쇄되는 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시트는 상기 리세스부의 바닥과 상기 빛샘 방지부재의 일단의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아이콘 생성부는 상기 중공부분에 끼워지는 투명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부의 바닥은 평탄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투명부재의 상기 바닥을 바라보는 상면에는 상기 투명패턴이 양각 또는 음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는 상기 중공부분에 끼워지는 끼움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끼움돌기는 상기 리세스부를 한정하는 폐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상기 케이스의 외면은 평탄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전원공급이 없을 때에 상기 아이콘이 상기 케이스의 평탄한 외면에 나타나지 않도록 불투명하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면 및 외면을 구비하며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가 불투명하게 처리되도록 상기 외면에 착색 또는 코팅되는 불투명 처리층과, 회로기판에 장착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광원과, 상기 케이스의 내면 및 광원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의 빛이 아이콘을 형성하면서 통과되어 상기 불투명 처리층에 비춰지도록 상기 아이콘에 대응되는 투명패턴을 구비하는 아이콘 생성부, 및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케이스의 내면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광원에서 생성된 빛이 중공부분을 통하여 상기 내면에 전달되도록 중공체로 이루어지는 빛샘 방지부재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개시한다.
상기 아이콘 생성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배치되는 투명시트, 및 상기 투명패턴을 제외한 부분이 불투명하게 처리되도록 상기 투명시트의 일면에 인쇄되는 인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전자기기는 리세스부, 아이콘 생성부 등을 통하여, 외관에서 드러나지 않으면서 특정한 기능이 구동 될 때에 비춰지는 아이콘을 구현한다. 즉, 전자기기의 미사용시에는 외관상의 아이콘이 눈에 보이지 않는(invisible) 방식의 디자인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리세스부의 바닥이 평탄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제조 불량이 저감될 수 있다. 반면, 리세스부의 바닥에 음각이 형성되더라도, 투명부재의 양각이 상기 음각에 채워짐에 따라 제조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빛샘 방지부재를 통하여 광원에서 발생되는 빛을 케이스의 특정부분에 집속시킨다. 나아가 투명부재가 빛샘 방지부재의 중공부분에 수용됨에 따라 투명부재의 결합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투명케이스, 아이콘 생성부 등을 통하여 케이스의 두께를 유지하면서도 선택적으로 외부로 드러나는 아이콘을 구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전자기기에서 아이콘이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동작도.
도 3은 도 1의 전자기기의 부분 분해도.
도 4는 도 3의 부분 확대도.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도 4에 대한 결합도 및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한 전자기기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과 관련한 전자기기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분해도 및 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과 관련한 전자기기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분해도.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한 전자기기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분해도.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한 전자기기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한 전자기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기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자기기에서 아이콘이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개시된 전자기기는 모뎀(modem)을 나타낸 것이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전자기기에는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렛 PC,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동글(dongl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전자기기(100)의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101, 102)들은 얇은 두께에서는 빛을 투과하고, 두꺼워지면 빛을 투과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예로서, 케이스들(101, 102)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케이스들(101, 102)은 적어도 일부에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전자기기(100)의 바디에는 인터페이스부(103)가 장착된다. 인터페이스부(103)는 전자기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03)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전자기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전자기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03)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03)는 다른 전자기기의 연결 포트에 장착 및 탈착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03)의 일 예로 인터페이스부(103)는 USB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기기(100)는 전자기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전자기기(100)와 전자기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100)는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100)의 내부에는 데이터의 무선통신을 위한 안테나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에 의하여 송수신되는 무선신호는 다른 전자기기와의 무선 데이터 통신에 이용될 수 있다.
전자기기(100)는 전자기기(100)의 현재 동작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표시는 전자기기의 외면에 표시되는 아이콘들(104, 105)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아이콘들은, 예를 들어 전원의 공급이나 무선신호의 송수신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 아이콘(104, 105)이 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자기기의 외면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이콘들이 표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아이콘(104, 105)이 표시되지 않는 상태(도 1의 상태, 이하 "제1 상태"라 한다)에서 전원이 공급되고 무선신호가 감지되면 제1 및 제2 아이콘(104, 105)이 각각 표시된다(도 2의 상태, 이하 "제2 상태"라 한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전자기기(100)의 외면 중 제1 및 제2 아이콘(104, 105)이 표시되는 부분은 홈이나 요철이 없는 평탄한 평면 또는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 상태에서는 매끄러운 외관상에 아이콘의 형상이 눈에 보이지 않으며, 제2 상태에서 아이콘이 외부로 표시되는 방식의 디자인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이러한 디자인을 구현하는 메커니즘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전자기기의 부분 분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도 4에 대한 결합도 및 단면도이다.
도시에 의하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되는 내장공간에 회로기판(111)이 장착된다. 회로기판(111)은, 예를 들어 안테나(미도시)와 연결되어 상기 안테나에서 송수신하는 무선 신호를 처리하도록 형성되며, 인터페이스부(103, 도 1 참조)와 연결될 수 있다.
회로기판(111)의 일면에는 광원(112)이 장착된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원(112)은 전자기기(100)의 내부에서 다른 부분에 장착되며, 회로기판(1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광원(112)은 빛을 생성하도록 이루어지며, 회로기판(111)에 의하여 전원공급이 제어된다. 광원(112)은, 예를 들어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등이 될 수 있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프론트 케이스(101)는 내면에는 리세스부(120)가 형성된다. 리세스부(120)는 케이스의 두께가 주변보다 얇아지도록 프론트 케이스(101)의 내면에서 외면을 향하여 리세스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세스부(120)는 프론트 케이스(101)가 광원에서 발생된 빛을 투과할 수 있는 두께를 가지도록 리세스된다. 이에 반해, 프론트 케이스(101)의 외면은 아이콘이 표시되기 위한 별도의 부속품이 없는 평탄한 면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프론트 케이스(101)는 광원(112)에 전원공급이 없을 때에 아이콘이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의 평탄한 외면에 나타나지 않도록 불투명하게 형성된다.
도시에 의하면, 광원(112)은 리세스부(120)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또한 리세스부(120)는 제1 및 제2 아이콘(104, 105, 도 2 참조)에 대응하도록 복수로 구비되며, 광원(112)은 제1 및 제2 리세스부(121, 122)에 대응하도록 제1 및 제2 광원(112a, 112b)으로 이루어진다.
광원(112)에서 발생된 빛은 아이콘 생성부(130)를 통과하면서 아이콘들(104, 105)을 형성하며, 아이콘들(104, 105)은 리세스부(120)의 얇은 두께에 의하여 프론트 케이스(101)의 외면에 비춰진다. 아이콘 생성부(130)은 제1 및 제2 아이콘을 생성하도록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아이콘 생성부(130)는 리세스부(120) 및 광원(112)의 사이에 배치되며, 아이콘들(104, 105)에 대응되는 투명패턴(P)을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아이콘 생성부(130)는 투명시트(131a, 131b) 및 인쇄층(132)을 포함한다.
투명시트(131a, 131b)는 리세스부(120)의 바닥에 배치되며, 투명 아크릴이나 투명 폴리카보네이트(PC) 등과 같은 광투과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투명시트(131a, 131b)는 리세스부(120)의 바닥에 접착되며, 상기 투명시트(131a, 131b)의 접착부분(133)은 상기 투명시트(131a, 131b)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접착부분(133)은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에 의하여 구현되며, 투명시트(131a, 131b)의 중앙에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가 배치되지 않도록 폐루프 형태로 형성된다.
인쇄층(132)은 투명패턴(P)이 투명시트(131a, 131b)에 형성되도록 상기 투명시트(131a, 131b)의 일면에 인쇄된다. 예를 들어, 인쇄층(132)은 투명패턴(P)을 제외한 부분이 불투명하게 처리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투명시트(131a, 131b)는 복수로 구비되며, 인쇄층(132)은 제1 및 제2 투명시트(131a, 131b)의 배면에 각각 형태를 달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및 제2 아이콘에 대응하는 패턴들은 각각 제1 및 제2 투명시트(131a, 131b)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메커니즘에 의하면, 전자기기(100)가 온되면 회로기판(111)은 제1 광원(112a)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1 광원(112a)에서 발생한 빛은 제1 투명시트(131a)를 지나면서 제1 아이콘(104)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제1 아이콘(104)은 프론트 케이스(101)의 얇은 두께를 관통하여 프론트 케이스(101)의 외면상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100)는 안테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여 무선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면 이를 감지하고, 회로기판(111)이 제2 광원(112b)에 전원을 공급함에 따라, 제2 아이콘(105)이 프론트 케이스(101)의 외면상에 표시된다.
이에 더하여, 제1 및 제2 리세스부(121, 122)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아이콘이 형성되는 부분만 두께가 얇게 되며 이를 통하요 복수의 아이콘에도 불구하고 케이스의 강도 및 강성이 확보될 수 있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전자기기(100)의 내부에는 빛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빛샘 방지부재(140)가 배치된다. 빛샘 방지부재(140)는 리세스부(120) 및 광원(112)의 사이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빛샘 방지부재(140)는 광원(112)에서 생성된 빛이 중공부분을 통하여 리세스부(120)에 전달되도록 중공체로 이루어진다. 도 5b를 참조하면, 빛샘 방지부재(140)의 중공부분에는 광원(112)이 수용되며, 빛샘 방지부재(140)는 양단이 회로기판(111)과 리세스부(120)의 바닥에 각각 밀착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빛샘 방지부재(140)는 블랙 러버와 같이 어두운 색상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이를 통하여 상기 밀착이 가능해지며 나아가 회로기판(111)과 리세스부(120)의 사이는 밀폐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a를 참조하면, 투명시트(131)는 리세스부(120)의 바닥과 빛샘 방지부재(140)의 일단의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투명시트(131a, 131b)는 빛샘 방지부재(140)의 중공체의 직경보다 더 크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통하여 접착부분(133)의 면적이 적어도 투명시트(131a, 131b)의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제1 및 제2 광원(112a, 112b)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빛샘 방지부재(140)는 제1 및 제2 광원(112a, 112b)을 각각 수용하도록 복수의 중공체들(141, 142)로 이루어진다. 복수의 중공체(141, 142)는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연결부(143)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중공체들(141, 142)의 외주에서는 연결돌기(144)가 돌출되고, 연결돌기(144)에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보스가 끼워지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빛샘 방지부재(140)는 별도의 체결요소없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회로기판(111)의 사이에서 설계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한 전자기기의 여러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한 전자기기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전자기기의 외면에는 아이콘들(204, 205) 뿐만 아니라, 아이콘들(204, 205)의 배경영역(204a, 205a)이 표시된다. 즉, 배경영역(204a, 205a)은 프론트 케이스(201)의 외면에 비춰지는 아이콘들(204, 205)의 주변을 형성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경영역(204a, 205a)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다른 색상을 형성하도록, 투명시트(131)의 인쇄층(132)에는 투명패턴(P, 이상 도 4 참조)을 제외한 부분에는 도료가 착색된다. 도료는 빛을 투과하며, 프론트 케이스(201)와 다른 색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과 관련한 전자기기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분해도 및 단면도이다.
도시에 의하면, 아이콘 생성부(330)는 적어도 일부가 리세스부(320)에 삽입되는 투명부재(331)를 포함한다. 리세스부(320)의 바닥은 평탄하도록 이루어지며, 투명부재(331)의 상기 바닥을 바라보는 상면에는 투명패턴이 양각(332) 또는 음각으로 형성된다. 상기 투명부재(331) 및 양각(332)은 도 3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 투명시트 및 인쇄층을 대체할 수 있다.
또한, 투명부재(331)는 빛샘 방지부재(340)의 중공부분에 끼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끼워맞춤을 위하여 투명부재(331)는 외경이 중공부분과 유사한 크기인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투명부재(331)의 하면에는 광원(312)을 수용하도록 이루어지는 수용홈(333)이 형성된다. 수용홈(333)은 투명부재(331)의 하면에서 상면을 향하여 리세스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통하여 광원(312)과 양각(332)의 사이가 보다 가까워지며, 전자기기에 대한 외부 충격에 대하여 광원(312)이 보호될 수 있다.
또한, 투명부재(331)의 측면에는 투명부재(331)의 하면을 통하여 입사되는 빛이 투명부재(331)의 상면을 향하도록 반사코팅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반사코팅층은, 예를 들어 투명부재(331)의 측면에 행하는 전반사 코팅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동일한 전원공급량에 대하여 전자기기의 외면으로 비춰지는 아이콘들의 밝기가 보다 증대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과 관련한 전자기기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분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아이콘 생성부(430)는 제1 및 제2 패턴(434, 432)을 포함한다.
제1 패턴(434)은 리세스부(420)의 바닥에 형성되며, 아이콘의 음각으로 이루어진다. 제1 패턴(434)은, 예를 들어 레이저 컷팅 등에 의하여 리세스부(420)의 바닥에 음각으로 각인될 수 있다.
제2 패턴(432)은 아이콘의 양각으로 이루어지며, 투명부재(431)의 상면에 형성된다. 투명부재(431)는 제2 패턴(432)이 상기 제1 패턴(434)에 삽입되도록 배치된다. 투명부재(431)의 하면을 바라보는 광원에서 빛이 생성되면, 상기 빛은 제1 및 제2 패턴(434, 432)을 지나면서 아이콘의 모양을 이루게 된다.
제1 패턴(434)이 얇은 리세스부(420)에 다시 음각으로 각인되는 형태이므로, 만약 제1 패턴(434)이 단독으로 사출되면 수축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투명부재(431)를 케이스의 사출 금형에 인서트 한 상태에서 이중 사출하면 투명부재(431)의 제2 패턴(432)이 제1 패턴(434)의 좁은 홈을 채우게 되므로 수축불량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제1 패턴(434)은 컷팅이 아니라 이중사출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프론트 케이스(401)의 내면에는 빛샘 방지부재(440)의 중공부분에 끼워지는 끼움돌기(406)가 돌출된다. 끼움돌기(406)는 리세스부(420)를 한정하는 폐루프를 형성하며, 이를 통하여 빛샘 방지부재(440)와 프론트 케이스(401)의 내면이 접촉하는 부분에 대한 빛샘 방지 구조가 보다 강화될 수 있다. 이는 특히 프론트 케이스(401)의 내면이 곡면인 경우에 빛샘 방지 구조로서 유용하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한 전자기기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분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아이콘 생성부(530)는 불투명 인쇄층(535)을 포함한다.
불투명 인쇄층(535)은 리세스부(520)의 바닥에 투명패턴이 형성되도록 리세스부(520)의 바닥에서 상기 투명패턴을 제외한 부분을 착색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투명시트(131, 도 4 참조)나 투명부재(331, 도 7 참조)가 없어도 전자기기는 아이콘을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한 전자기기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프론트 케이스(601)는 투명 아크릴이나 투명 폴리카보네이트(PC)와 같은 투명재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프론트 케이스(601)의 외면에는 프론트 케이스(601)가 불투명하도록 불투명 처리층(607)이 형성된다.
불투명 처리층(607)는 프론트 케이스(601)의 외면에 도료, 코팅제 등이 착색 또는 코팅됨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회로기판(611)에 장착되는 광원(612)은 프론트 케이스(601)의 내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빛샘 방지부재(640)에 수용된다. 빛샘 방지부재(640)는 회로기판(611)과 케이스(601)의 내면 사이에 끼워진다.
아이콘 생성부(630)는 케이스(601)의 내면 및 광원(612)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612)의 빛이 아이콘을 형성하면서 통과되어 불투명 처리층(607)에 비춰지도록 인쇄층이 형성된 투명시트(631)를 포함한다. 인쇄층은 투명패턴을 제외한 부분이 불투명하게 처리되도록 투명시트(631)의 일면에 인쇄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케이스의 두께를 유지하면서도 선택적으로 외부로 드러나는 아이콘이 구현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한 전자기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1은 전자기기(또는 휴대 전자기기)의 일예로서 테블렛 PC를 나타내고 있다.
전자기기(700)의 전자기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701)에는 디스플레이부(713), 음향출력 모듈(714), 카메라(715), 사용자 입력부(716)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13)는 프론트 케이스(7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713)는 시각 정보 또는 영상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13)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터치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713)는 터치 스크린으로서 동작한다.
사용자 입력부(716)는 전자기기(7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716a, 716b)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716a, 716b)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조작 유닛들(716a, 716b)은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13)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 출력 모듈(714)와 카메라(71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 모듈(714)은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715)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전자기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시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713)의 양단부 중 타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아이콘들(704, 705)이 표시된다. 상기 아이콘들(704, 705)은 전자기기(700)의 외면 중 홈이나 요철이 없는 평탄한 평면 또는 곡면 상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며,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자기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내면 및 외면을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두께가 주변보다 얇아지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서 상기 외면을 향하여 리세스되는 리세스부;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며, 상기 리세스부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광원;
    상기 광원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하도록 상기 광원과 연결되는 회로기판; 및
    상기 리세스부 및 광원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의 빛이 아이콘을 형성하면서 통과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비춰지도록 상기 아이콘에 대응되는 투명패턴을 구비하는 아이콘 생성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생성부는,
    상기 리세스부의 바닥에 배치되는 투명시트; 및
    상기 투명패턴이 상기 투명시트에 형성되도록 상기 투명시트의 일면에 인쇄되는 인쇄층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상기 투명패턴을 제외한 부분이 불투명하게 처리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비춰지는 아이콘의 주변이 상기 케이스와 다른 색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인쇄층은 상기 투명패턴을 제외한 부분에 착색되며 빛을 투과하는 도료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시트는 상기 리세스부의 바닥에 접착되며, 상기 투명시트의 접착부분은 상기 투명시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생성부는,
    상기 리세스부의 바닥에 형성되며, 상기 투명패턴의 음각으로 이루어지는 제1 패턴; 및
    상기 투명패턴의 양각에 대응하는 제2 패턴을 구비하며,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패턴이 상기 제1 패턴에 삽입되도록 배치되는 투명부재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재는 상면, 하면 및 측면을 구비하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패턴은 상기 투명부재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광원은 상기 투명부재의 하면을 바라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재는 측면에는 상기 하면을 통하여 입사되는 빛이 상기 상면을 향하도록 반사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생성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리세스부에 삽입되는 투명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부의 바닥은 평탄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투명부재의 상기 바닥을 바라보는 상면에는 상기 투명패턴이 양각 또는 음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재의 하면에는 상기 광원을 수용하도록 이루어지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생성부는 상기 리세스부의 바닥에 상기 투명패턴이 형성되도록 상기 투명패턴을 제외한 부분을 착색하는 불투명 인쇄층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12. 제1항에 있어서,
    빛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상기 리세스부 및 광원의 사이를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빛샘 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빛샘 방지부재는 상기 광원에서 생성된 빛이 중공부분을 통하여 상기 리세스부에 전달되도록 중공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되고, 상기 중공부분에는 상기 광원이 수용되며,
    상기 빛샘 방지부재는 양단이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리세스부의 바닥에 각각 밀착되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생성부는,
    상기 리세스부의 바닥에 배치되는 투명시트; 및
    상기 투명패턴을 제외한 부분이 불투명하게 처리되도록 상기 투명시트의 일면에 인쇄되는 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시트는 상기 리세스부의 바닥과 상기 빛샘 방지부재의 일단의 사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생성부는 상기 중공부분에 끼워지는 투명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부의 바닥은 평탄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투명부재의 상기 바닥을 바라보는 상면에는 상기 투명패턴이 양각 또는 음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는 상기 중공부분에 끼워지는 끼움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끼움돌기는 상기 리세스부를 한정하는 폐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면은 평탄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전원공급이 없을 때에 상기 아이콘이 상기 케이스의 평탄한 외면에 나타나지 않도록 불투명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9. 내면 및 외면을 구비하며,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가 불투명하게 처리되도록 상기 외면에 착색 또는 코팅되는 불투명 처리층;
    회로기판에 장착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광원;
    상기 케이스의 내면 및 광원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의 빛이 아이콘을 형성하면서 통과되어 상기 불투명 처리층에 비춰지도록 상기 아이콘에 대응되는 투명패턴을 구비하는 아이콘 생성부; 및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케이스의 내면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광원에서 생성된 빛이 중공부분을 통하여 상기 내면에 전달되도록 중공체로 이루어지는 빛샘 방지부재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생성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배치되는 투명시트; 및
    상기 투명패턴을 제외한 부분이 불투명하게 처리되도록 상기 투명시트의 일면에 인쇄되는 인쇄층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KR1020100104266A 2010-10-25 2010-10-25 전자기기 KR101799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266A KR101799460B1 (ko) 2010-10-25 2010-10-25 전자기기
EP11002594.7A EP2444952A3 (en) 2010-10-25 2011-03-29 Electronic device
US13/074,969 US8591050B2 (en) 2010-10-25 2011-03-29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266A KR101799460B1 (ko) 2010-10-25 2010-10-25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2545A true KR20120042545A (ko) 2012-05-03
KR101799460B1 KR101799460B1 (ko) 2017-11-20

Family

ID=45615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4266A KR101799460B1 (ko) 2010-10-25 2010-10-25 전자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591050B2 (ko)
EP (1) EP2444952A3 (ko)
KR (1) KR1017994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503B1 (ko) * 2012-05-29 2015-03-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7655A (ko) * 2012-05-15 2013-11-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윈도우 및 그 제조방법
CN103906384B (zh) * 2012-12-29 2018-09-25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子装置的壳体
US9736283B2 (en) * 2013-09-09 2017-08-15 Apple Inc. Light source window paint
WO2015079539A1 (ja) * 2013-11-28 2015-06-04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JP6381464B2 (ja) * 2015-03-13 2018-08-29 三菱電機株式会社 光インジケータ構造および車載機器
JP6350489B2 (ja) * 2015-11-16 2018-07-04 株式会社デンソー 表示装置
JP6370426B1 (ja) * 2017-03-16 2018-08-08 Nissha株式会社 表示パネル
DE102019135466A1 (de) * 2019-12-20 2021-06-24 Rehau Ag + Co Durchleuchtbares Verkleidungsteil für ein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urchleuchtbaren Verkleidungsteil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6546A (en) * 1976-05-19 1977-02-08 Gte Sylvania Incorporated Back-lighted display arrangement
US4254453A (en) * 1978-08-25 1981-03-03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Alpha-numeric display array and method of manufacture
US4772096A (en) * 1984-08-24 1988-09-20 Nissan Motor Company, Limited Light-shader
US5036440A (en) * 1989-05-23 1991-07-30 Alps Electric Co., Ltd. Illumination type keytop
CN101573004A (zh) * 2008-04-28 2009-11-0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503B1 (ko) * 2012-05-29 2015-03-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9442585B2 (en) 2012-05-29 2016-09-13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44952A2 (en) 2012-04-25
EP2444952A3 (en) 2015-01-28
US8591050B2 (en) 2013-11-26
KR101799460B1 (ko) 2017-11-20
US20120099292A1 (en) 201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9460B1 (ko) 전자기기
US7805172B2 (en) Cover for a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having same
KR101613919B1 (ko) 이동 단말기
KR101545584B1 (ko) 이동 단말기
KR101901610B1 (ko) 이동 단말기
CN109618031B (zh)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EP2523066A2 (en) Mobile terminal
KR20080035907A (ko)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EP2426896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fabricating case thereof
CN115885333A (zh) 包括柔性显示器的电子设备
KR101913213B1 (ko) 이동 단말기
KR10161393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에 적용된 케이싱의 제조방법
US7369119B2 (en) Handset device with dual side joystick
KR20140062225A (ko) 이동단말기
KR20130100667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에 구비되는 이미지 모듈의 제조 방법
KR20120021717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951415B1 (ko) 이동 단말기
KR101930492B1 (ko) 이동 단말기
KR10201822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8219308A (ja) 携帯端末貼付シート
KR101931942B1 (ko) 이동 단말기
CN111641738B (zh) 一种电子设备
KR101667429B1 (ko) 휴대 전자기기
KR101604749B1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제조방법
KR101973620B1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