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6033B1 - 와이퍼 장치, 와이퍼 장치용 와이퍼 로드, 및 와이퍼 장치용 고정 부품 - Google Patents

와이퍼 장치, 와이퍼 장치용 와이퍼 로드, 및 와이퍼 장치용 고정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6033B1
KR101166033B1 KR1020067001355A KR20067001355A KR101166033B1 KR 101166033 B1 KR101166033 B1 KR 101166033B1 KR 1020067001355 A KR1020067001355 A KR 1020067001355A KR 20067001355 A KR20067001355 A KR 20067001355A KR 101166033 B1 KR101166033 B1 KR 101166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shape
restoring
wiper devic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1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7381A (ko
Inventor
미하엘 바일러
요아힘 찜머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60037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7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13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with means for holding the arm off the glass in an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the working position and the fully folded back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25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rm
    • B60S1/3436Mounting heads
    • B60S1/344Flat-type mounting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퍼 암(10a - 10c, 10k, 10l)을 가진, 특히 차량용 와이퍼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와이퍼 암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고정을 위한 와이퍼 로드(12a, 12c, 12k), 상기 와이퍼 로드(12a, 12c, 12k)에 힌지 없이 연결된 고정 부품(14a-14c, 14k, 14l) 및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탄성 부분 영역(16a - 16m)을 포함한다. 상기 와이퍼 암(10a - 10c, 10k, 10l)은 실질적으로 스프링 탄성에 의해 작동 형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 1 복원 형상으로 전환될 수 있고, 상기 형상에서 와이퍼 블레이드는 와이퍼 암(10a-10c, 10k, 10l)의 조립 상태에서 조립 가능하고 분리 가능하다.
와이퍼 장치, 와이퍼 암, 와이퍼 로드, 와이퍼 블레이드

Description

와이퍼 장치, 와이퍼 장치용 와이퍼 로드, 및 와이퍼 장치용 고정 부품{Wiper device, wiper rod for wiper device, and fixing element for wiper device}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와이퍼 장치, 제11항에 따른 와이퍼 장치용 와이퍼 로드, 및 제12항에 따른 와이퍼 장치용 고정 부품에 관한 것이다.
DE 31 42 716 C2 호에는 상기 방식의 와이퍼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와이퍼 장치는 자유 단부에 와이퍼 블레이드가 고정된 스프링 탄성 플라스틱 와이퍼 로드를 가진 와이퍼 암과 상기 와이퍼 로드를 힌지 없이 연결하는 고정 부품을 포함한다. 와이퍼 로드는 그 길이에 걸쳐 플라스틱 코어 및 상기 플라스틱 코어를 둘러싸는 플라스틱 외피를 가진 일정한 프로파일을 갖는다.
본 발명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고정을 위한 와이퍼 로드, 와이퍼 로드에 힌지 없이 연결된 고정 부품 및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탄성의 부분 영역을 포함하는 와이퍼 암을 가진, 특히 차량용 와이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와이퍼 암은 실질적으로 스프링 탄성에 의해 작동 형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 1 복원 형상으로 전환될 수 있고, 상기 복원 형상에서 와이퍼 블레이드는 와이퍼 암의 조립 상태에서 조립 및 분해 가능하므로, 와이퍼 블레이드의 교체를 위해 와이퍼 암을 분해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방지되고, 특히 와이퍼 블레이드의 교체 및 차량 윈드스크린의 세척을 위해 편리한, 실질적으로 와이퍼 암의 마모 없는 접힘 동작(folding out)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힌지 없이 연결된다는 의미는, 와이퍼 로드와 고정 부품이 서로에 대해 선회할 때 중심이 되는 실질적인 선회축 없이 와이퍼 로드와 고정 부품이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다. 재료 변형, 특히 탄성 변형으로 인해, 와이퍼 로드 또는 와이퍼 로드의 부분 영역과 고정 부품 간의 상대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부품은, 이와 관련하여 힌지가 아니며, 특히 예컨대 필름 힌지, 스프링 탄성 부품, 스프링 탄성 와이퍼 로드 등과 같이 보호 범위에 포함된다.
와이퍼 암은 일체형으로 또는 다수의 부분으로 구현될 수 있고, 재료 특성에 대한 상이한 요구 조건 때문에 와이퍼 로드로부터 분리된 고정 부품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부분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복원 형상이란, 특히 와이퍼 암이 적어도 조작자의 실질적인 지지력 없이도 유지되는 형상을 의미한다. 작동 형상이란 특히, 조립된 와이퍼 암이 와이퍼 블레이드를 통해 지내력을 와이핑될 면에 가하는 형상이다. 또한, 실질적으로 스프링 탄성에 의한 전환이란, 실질적으로 탄성 변형과 재료 특성의 유지를 특징으로 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그러나 전환 과정은 고정부의 개방 및/또는 예를 들어 접힘 동작의 댐핑에 이용되는 개별 부품들의 소성 변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와이퍼 암은 분해된 상태에서 제 1 복원 형상과 다른, 실질적으로 스프링 탄성에 의해 와이퍼 암이 전환되는 제 2 복원 형상을 갖는 것이 제안된다. 조립 위치로서 이용 가능한 제 1 복원 형상과 더불어 제 2 복원 형상에 의해 바람직하게 복원 공급 위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와이퍼 암을 제 1 복원 형상에서 제 2 복원 형상으로 전환시 나타나는 다수의 형상들에 작동 형상이 포함되면, 바람직하게 작동 형상에서 제 2 복원 형상의 방향으로 및 와이핑될 면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스프링 탄성의 부분 영역이 적어도 하나의 아치 성형부를 갖고, 상기 아치 성형부의 볼록한 측면은 제 1 복원 형상에서 제 1 방향으로 향하고 제 2 복원 형상에서는 특히 제 1 방향과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향하는 것이 제안된다. 아치형의 국부적 성형부가 뒤집힘으로써 균형을 유지하면서 바람직하게 와이퍼 암 형태가 크게 변형될 수 있으므로, 국부적 성형부는 와이퍼 암 전체의 형태에 대한 스위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와이퍼 암은 하나 또는 다수의 독립적인 및/또는 직렬 및/또는 병렬 연결된 이러한 성형부를 가질 수 있다. 반구형 또는 평면도로 볼 때 타원형 성형부가 특히 적합하며, 상기 성형부에 의해 스프링 탄성의 부분 영역을 포함하는 쌍안정(bistable) 부품이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와이퍼 운동 방향으로 높은 휨 강성이 보장될 수 있다.
스프링 탄성의 부분 영역이 아치형 성형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홀을 가지면, 바람직하게 복원 형상과 작동 형상 또는 다른 복원 형상 사이의 전환 이동시 재료의 작은 탄성 변형만 나타날 수 있고, 이로써 바람직하게 재료의 피로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홀의 크기와 형태는 바람직하게 전환 이동시 작용하는 힘 결정을 위해 선택될 수 있다.
쌍안정 와이퍼 암의 다른 구현은 스프링 탄성의 부분 영역이 적어도 하나의 아치형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섹션은 제 1 복원 형상에서 제 1 방향으로 곡률을 갖고, 제 2 복원 형상에서 제 2 방향으로 곡률을 가짐으로써 달성되고, 이로써 쌍안정 부품이 저렴하고 간단하게 제조될 수 있고, 상기 부품은 바람직하게 와이퍼 암의 긴 형태에 통합된다.
또한, 스프링 탄성의 부분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섹션은 적어도 복원 형상에서 예비 응력을 받는 것이 제안된다. 예비 응력은 바람직하게 전환 이동에 사용될 힘을 조절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파라미터이다. 예비 응력을 받는 형상에서 섹션은 형상끼워맞춤하게, 마찰 결합 방식으로 또는 재료 결합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와이퍼 장치가 스프링 탄성 부분 영역의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를 갖고, 복원 형상들 사이의 전환 과정 동안 상기 스토퍼에 의해 의도한 대로 스프링 탄성의 부분 영역의 범위에 힘이 가해질 수 있을 때, 바람직하게 형상들 간의 편리한 전환이 달성될 수 있다. 힘은 스토퍼를 통해 직접 스프링 탄성의 부분 영역에 또는 스프링 탄성의 부분 영역 외부에 배치된 스토퍼를 통해 그리고 레버 암을 통해 도입될 수 있다. 와이퍼 암에 가해진 힘은 스프링 탄성의 부분 영역의 액티브 섹션에, 특히 반구형 성형부 또는 예비 응력을 받은 아치부에 집중될 수 있고, 재료의 피로 현상을 일으키는 심한 변형이 배제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에 의해 바람직하게 2개의 형상들 사이의 전환 이동 동안 전환점이 조절된다. 전환점은 복귀력이 와이퍼 암을 상이한 형상의 방향으로 구동하는 전환 이동 동안, 2개의 단계를 분리한다.
스토퍼가 고정 부품에 형성되고 및/또는 스프링 탄성의 부분 영역이 와이퍼 로드 내에 일체형으로 통합되면, 바람직하게 와이퍼 암의 부품의 개수와 조립 공정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가 독립된 부품이거나 또는 고정 부품이 아닌 차량의 다른 부품에 형성되는 다른 실시예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탄성의 부분 영역을 고정 부품과 일체형으로 구현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스프링 탄성의 부분 영역이 펀칭 휨 박판부로 구현되면 저렴한 제품이 얻어질 수 있다.
다른 장점들은 하기 설명에서 제시된다.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시된다. 도면,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는 다양한 특징들을 조합하여 포함하고 있다. 당업자는 상기 특징들을 바람직하게 개별적으로 파악하여 의미 있는 다른 조합 형태로 통합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제 1 복원 형상, 작동 형상 및 제 2 복원 형상에서 스프링 탄성의 부분 영역을 포함하는 와이퍼 암의 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4 내지 도 5는 도 1 및 도 3의 와이퍼 암의 부분 영역의 종단면도.
도 6은 대안으로서 힌지를 포함하지 않는 와이퍼 암의 고정 부품 및 와이퍼 로드의 쌍안정 부품 섹션을 도시한 도면.
도 7 내지 도 9는 예비 각인된(pre-impressed) 아치를 갖는 형태 및 블랭크 형태의, 도 6에 따른 와이퍼 로드의 쌍안정 부품.
도 10 및 도 11은 블랭크 형태 및 신장된 중앙 섹션을 가진 형태의, 다른 대안적인 와이퍼 암을 위한 쌍안정 부품을 도시한 도면.
도 12 내지 도 14는 제 1 복원 형상, 작동 형상 및 제 2 복원 형상에서, 도 10 및 도 11에 따른 쌍안정 부품을 포함하는 와이퍼 암을 도시한 도면.
도 15 및 도 16은 다른 대안적인 와이퍼 암을 위한, 분리 및 용접된 상태의 아치형 부품과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17 내지 도 20은 정면 및 측면에서 본, 개별 섹션의 예비 응력에 의해 쌍안정 부품의 제조를 위한 개략도.
도 21 내지 도 32는 예비 응력이 가해진 그리고 가해지지 않은, 형상에서 다른 대안적인 와이퍼 암을 위한 스프링 탄성 부품을 도시한 도면.
도 33 내지 도 37은 스토퍼를 포함하는 다른 대안적인 와이퍼 암이 작동 형상으로부터 제 1 복원 형상으로 및 역으로 전환되는 과정의 순간을 도시한 도면.
도 38은 전환점 직전에 조립된 상태의 도 33 내지 37에 따른 와이퍼 암을 도시한 도면.
도 39 및 도 40은 2개의 형상에서 도 33 내지 도 38의 와이퍼 암의 부분의 사시도.
도 41 내지 도 43은 2개의 형상에서 다른 대안적인 와이퍼 암의 부분의 사시도.
도 1은 차량의 와이퍼 장치의 와이퍼 암(10a)의 부분을 도시한다. 상기 부분은 고정 부품(14a), 스프링 탄성의 부분 영역(16a) 및 와이퍼 로드(12a)의 일부를 도시한다. 모든 부분들(12a, 14a, 16a)은 힌지 없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와이퍼 암(10a)은 제 1 복원 형상을 갖고, 상기 형상에서 와이퍼 암(10a)의 조립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조립과 분해가 가능하다. 스프링 탄성의 부분 영역(16a)은 중앙에 배치된 둥근 홀(22a)을 포함하는 아치형의, 반구형 성형부(18a)를 갖고, 상기 성형부의 볼록한 측면(20a)은 도시되지 않은 차량 윈드스크린을 향한다(도 1 및 도 4). 또한 홀이 없는 성형부의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도 가능하다.
도 2는 작동 형상의 와이퍼 암(10a)을 도시하고, 도 3은 제 2 복원 형상의 와이퍼 암(10a)을 도시하고, 와이퍼 암(10a)은 제 1 복원 형상으로부터 작동 형상을 지나 스프링 탄성에 의해 상기 제 2 복원 형상으로 전환될 수 있다. 스프링 탄성의 부분 영역(16a)의 인장력(tension force)은 와이퍼 암(10a)을 도 2의 작동 형상으로부터 제 2 복원 형상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도 3). 와이퍼 암(10a)의 조립 상태에서, 작동 형상에서의 인장력은 차량 윈드스크린에 대한 와이퍼 블레이드의 지내력을 형성한다. 작동 형상에서 및 제 2 복원 형상에서 아치형 성형부(18a)의 볼록한 측면(20a)은 차량 윈드스크린의 방향(36a)과 반대 방향으로 향한다(도 2 및도 5).
도 6 내지 도 9는 고정 부품(14b), 및 힌지를 포함하지 않는 대안적인 와이퍼 암(10b)의 쌍안정 부품(50b)을 도시한다. 고정 부품(14b)에 스프링 탄성의 부분 영역(16b)으로서, 블랭크 상태의 평평한 별도의 부품(50b;도 9)이 고정된다. 부품(50b)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상태에서 아치형 성형부(18b)를 갖는다. 아치 형 성형부(18b)의 영역에서 부품(50b)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길이방향에 대해 횡으로 중앙에 배치된 긴 홀(22b)이 도시된다. 힘이 작용하면 상기 성형부(18b)는 초기의 방향(36b;도 8)과 반대 방향으로 뒤집어 질 수 있고, 이로써 와이퍼 암(10b)은 2개의 복원 형상 사이에서 전환된다.
다른 대안적인 와이퍼 암(10c)을 위한 쌍안정 부품(50c)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다. 블랭크 상태(도 10)에서 평평한 부품(50c)은 2개의 평행한 길이방향 섹션들(30c)을 갖고, 상기 섹션들은 부품(50c)을 중앙 섹션(40c)과 2개의 외부 섹션들(42c)로 나눈다. 쌍안정 부품(50c)의 제조를 위해 중앙 섹션(40c)은 재료의 소성 변형으로 인해 아치 형태로 연장되고(도 11), 상기 아치 형태의 볼록한 측면(20c)은 도 12에 도시된, 와이퍼 암(10c)의 제 1 복원 형상에서 차량 윈드스크린을 향한 제 1 방향(36c)으로 향하고, 도 13에 도시된 작동 형상 및 도 14에 도시된 제 2 복원 형상에서는 제 1 방향(36c)과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향한다.
다른 대안적인 와이퍼 암에서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쌍안정 부품(50e)은 프레임(38e)과 아치로 연장된 중앙 섹션(40e)으로 구성된다. 부품들(50e, 40e)은 도 15에서는 분리되어 도시되고, 도 16에서는 용접되어 도시된다.
도 17 내지 도 20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3개의 긴 섹션들(40m, 42m)을 가진 평평한 부품(50m)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섹션에 예비 응력이 가해짐으로써 어떻게 쌍안정 부품(50m)이 제조될 수 있는지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18에서 인장력(52m)이 중앙 섹션(40m)에 작용하고, 외부 섹션(42m)에 압축력(54m)이 작용한다. 도 18의 부품(50m)의 측면도인 도 20에서 잘 볼 수 있듯이, 외부 섹션들(42m)은 예비 응력을 받아 탄성적으로 아치형이 된다. 도 19에는 중앙 섹션(40m)에 작용하는 압축력(54m)과 외부 섹션(42m)에 작용하는 인장력(52m)이 중앙 섹션(40m)의 아치형 굴곡을 야기하는 것이 도시된다.
도 17 내지 도 20에 도시된 원리에 따른 스프링 탄성 부품(50d, 50d 내지 50j)에 대한 다수의 실시예들이 도 21 내지 도 32에 도시된다.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2개의 외부 섹션들(42d) 사이의 횡 결합부(56d)에 의해 와이핑 운동 방향으로 높은 휨 강성이 얻어진다. 도 22에 도시된 형상에서 압축력(54d)이 부품(50d)의 길이 방향으로 횡 결합부(56d)에 작용한다. 압축력(54d)은 2개의 외부 섹션들(42d)로 분배되고, 상기 외부 섹션들은 아치형으로 예비 응력을 받는다. 상기 형상에서 부품(50d)은 와이퍼 암에 조립되는 동안 클램프 연결에 의해 횡 결합부(56d) 영역에 고정될 수 있고, 이로써 섹션(42d) 내에 형성된 내부 인장력은 섹션(40)에서 지지된다.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실시예는 간단한 제조 과정 및 조립 과정과 개선된 안정성을 제공하고, 상기 실시예에서 중앙 섹션(40f)은 비이드(32f)에 의해 외부 섹션(42f)에 비해 짧아지므로, 상기 외부 섹션(42f)은 압축 응력을 받아 아치형이 되고, 부품(50f)의 중앙 섹션(40f) 내의 인장 응력에 의해 제 위치에 고정된다.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비이드(32g)에 의해 부품(50g)의 2개의 외부 섹션들(42g)은 짧아지고, 이로써 중앙 섹션(40g)이 인장되어 아치형이 되도록 하기 위해 동일한 원리가 이용된다.
도 21 및 도 22의 실시예에서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실시예가 도출되고, 상기 실시예에서 부품(50h)의 3개의 섹션들(40h, 42h)에 있는 비이드들(32h)은 홈의 3개의 섹션이고, 상기 홈은 예비 응력을 받는 섹션(42h)을 갖는 형상의 고정을 지원한다. 도 28에 도시된 형상에서 상기 형상들은 비이드(32h)로 형성된 홈에 스프링을 삽입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아치형으로 예비 응력을 받는 중앙 섹션(40i)의 고정을 위한 유사한 실시예가 도 29 및 도 30에 도시된다.
아치형으로 예비 응력을 받는 중앙 섹션(40j)의 고정을 위한 다른 방법은 도 31 및 도 32에 도시된다. 중앙 섹션(40j) 및 2개의 외부 섹션들(42j)은 측면 리세스(34j)를 갖고, 상기 리세스는 도 31에 도시된 예비 응력을 받는 형상에서 사각형 홀을 형성하고, 와이퍼 암에 조립시 상기 홀을 통해 고정핀이 삽입되고, 상기 고정핀은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완된 형상으로 상기 부품(50j)의 자동 복원을 저지한다.
도 33 내지 도 37은 고정 부품(14k)에 형성된 스토퍼(24k, 26k)를 구비한, 종단면도로 도시된 다른 대안적인 와이퍼 암(10k)이 작동 형상으로부터 제 1 복원 형상으로 및 그 반대로 전환되는 과정의 순간을 도시한다. 스프링 탄성의 부분 영역(16k)은 예비 응력을 받는 중앙 섹션(40k)과 와이퍼 로드(12k)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힘(46k, 46k')은 상기 과정 동안 와이퍼 로드(12k)의 자유 단부(44k)에 가해진다(도 38). 작동 형상(도 33 및 도 37)에서 상기 힘은 지내력을 상쇄하는 대항력(46k')이다.
도 34 및 도 36은 전환 형상을 도시하고, 상기 전환 형상 동안 와이퍼 로드(12k)의 자유 단부(44k)에 가해지는 힘(46k, 46k')은 차량 윈드스크린(28k)의 방향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작용한다. 스토퍼(24k, 26k)에 의해 힘(46k, 46k')이 각각 스프링 탄성 부분 영역(16k)의 아치형 중앙 섹션(40k)의 한 지점에서 시작한다. 스토퍼들(24k, 26k)은 효과적으로 및 직접적으로 와이퍼 암의 형태 변형을 일으킨다. 와이퍼 암(10k)이 제 1 복원 형상(도 35)에서 작동 형상(도 33 및 도 37)으로 전환하는 동안 와이퍼 암(10k)의 자유 단부(44k)가 스토퍼(26k)에 의해 정해진, 차량 윈드스크린(28k)과의 일정한 간격(48k)을 갖는, 도 38에 도시된, 특정한 형태를 거치자마자, 중앙 섹션(40k)이 갑자기 뒤집힌다. 도 35에 도시된 복원 형상에서 바람직하게 와이퍼 암(10k)의 조립 상태에서 와이퍼 블레이드가 조립되고 분해될 수 있다.
도 39 및 도 40은 도 33 내지 도 37의 와이퍼 암(10k)의 부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고정 부품(14k)과 와이퍼 로드(12k)는 펀칭 휨 박판부로 구현되고, 하부 스토퍼(26k)와 상부 스토퍼(24k)는 고정 부품(14k)의 리벳 결합되는 별도의 부품 에 형성된다. 도 41 내지 도 43은 다른 대안적인 와이퍼 암(10l)의 부분을 2개의 형상에서 사시도로 도시한다. 와이퍼 암(10l)의 고정 부품(14l)은 스토퍼들(26l, 24l)을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들은 고정 부품(14l)의 박판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하부 스토퍼(26l)는 고정 부품(14l)의 크림프된 브래킷에 의해 구현된다.

Claims (12)

  1. 와이퍼 블레이드의 고정을 위한 와이퍼 로드(12a, 12c, 12k), 상기 와이퍼 로드(12a, 12c, 12k)에 힌지 없이 연결된 고정 부품(14a - 14c, 14k, 14l) 및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탄성의 부분 영역(16a - 16m)을 포함하는 와이퍼 암(10a-10c, 10k, 10l)을 가지며,
    상기 와이퍼 암(10a - 10c, 10k, 10l)은 스프링 탄성에 의해 작동 형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 1 복원 형상으로 전환될 수 있고, 상기 제 1 복원 형상에서 와이퍼 블레이드는 상기 와이퍼 암(10a - 10c, 10k, 10l)의 조립 상태에서 조립 가능하고 분해 가능한, 차량용 와이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탄성의 부분 영역은 쌍안정(bistable) 부품(50c- 50j, 50m)을 포함하고, 상기 쌍안정 부품(50c- 50j, 50m)은 3개의 긴 섹션들(40c - 40m, 42c, 42f - 42m)을 가진 평평한 부품(50c- 50j, 50m)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섹션에 예비 응력이 가해짐으로써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암(10a - 10c, 10k, 10l)은 분해된 상태에서 제 1 복원 형상과 다른 제 2 복원 형상을 갖고, 상기 와이퍼 암(10a - 10c, 10k, 10l)은 스프링 탄성에 의해 상기 제 2 복원 형상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복원 형상에서 제 2 복원 형상으로 상기 와이퍼 암(10a - 10c, 10k, 10l)의 전환시 발생하는 형상은 작동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탄성의 부분 영역(16a, 16b)은 적어도 하나의 아치형 성형부(18a, 18b)를 갖고, 상기 아치형 성형부의 볼록한 측면(20a - 20b)은 제 1 복원 형상에서 차량의 윈드스크린을 향하는 제 1 방향(36a, 36b)을 향하고 제 2 복원 형상에서는 상기 제 1 방향(36a, 36b)과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탄성의 부분 영역(16a, 16b)은 상기 아치형 성형부(18a, 18b)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홀(22a, 22b)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탄성의 부분 영역(16c - 16m)은 적어도 하나의 아치형 섹션(40c, 40e, 40g, 40i - 40l, 42d, 42f, 42h)을 갖고, 상기 섹션은 제 1 복원 형상에서 차량의 윈드스크린을 향하는 제 1 방향(36c)으로 곡률을 갖고, 제 2 복원 형상에서 상기 제 1 방향(36c)과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탄성의 부분 영역(16d, 16f - 16m)의 적어도 하나의 섹션(40g, 40i - 40m, 42d, 42f, 42h)은 적어도 복원 형상에서 예비 응력 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24k, 24l, 26k, 26l)가 제공되고, 상기 스토퍼(24k, 24l, 26k, 26l)를 통해서 2개의 형상들 사이의 전환 과정 동안 의도적으로 상기 스프링 탄성 부분 영역(16k, 26l)의 영역에 힘이 가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24k, 24l, 26k, 26l)는 상기 고정 부품(14k, 14l)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탄성의 부분 영역(16k, 16l)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와이퍼 로드(12k)에 일체형으로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11. 제 10 항에 따른 와이퍼 장치용 와이퍼 로드.
  12.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와이퍼 장치용 고정 부품.
KR1020067001355A 2003-07-22 2004-05-26 와이퍼 장치, 와이퍼 장치용 와이퍼 로드, 및 와이퍼 장치용 고정 부품 KR1011660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33188.3 2003-07-22
DE10333188A DE10333188A1 (de) 2003-07-22 2003-07-22 Wischvorrichtung
PCT/DE2004/001079 WO2005009810A1 (de) 2003-07-22 2004-05-26 Wischvor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7381A KR20060037381A (ko) 2006-05-03
KR101166033B1 true KR101166033B1 (ko) 2012-07-19

Family

ID=34042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1355A KR101166033B1 (ko) 2003-07-22 2004-05-26 와이퍼 장치, 와이퍼 장치용 와이퍼 로드, 및 와이퍼 장치용 고정 부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49553B2 (ko)
EP (1) EP1648749B1 (ko)
JP (1) JP4185135B2 (ko)
KR (1) KR101166033B1 (ko)
CN (1) CN100537313C (ko)
DE (2) DE10333188A1 (ko)
WO (1) WO20050098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55799A1 (de) 2003-11-28 2005-06-23 Robert Bosch Gmbh Wischerarm,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Wischerarms
FR2875458B1 (fr) * 2004-09-20 2008-02-15 Valeo Systemes Dessuyage Agencement pour le montage d'un bras d'essuie-glace sur une tete d'entrainement
DE102005048344A1 (de) * 2005-10-10 2007-04-12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erarm
US20130227809A1 (en) 2012-02-24 2013-09-05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USD706200S1 (en) 2010-09-22 2014-06-03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cover
US9457768B2 (en) 2011-04-21 2016-10-04 Pylon Manufacturing Corp. Vortex damping wiper blade
US9174609B2 (en) 2011-04-21 2015-11-0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cover
US9174611B2 (en) 2011-07-28 2015-11-03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adapter, connector and assembly
US9108595B2 (en) 2011-07-29 2015-08-18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8806700B2 (en) 2011-07-29 2014-08-19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per blade connector
CA2843637C (en) 2011-07-29 2018-12-11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10723322B2 (en) 2012-02-24 2020-07-28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cover
US20130219649A1 (en) 2012-02-24 2013-08-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US10829092B2 (en) 2012-09-24 2020-11-10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modular mounting base
US10166951B2 (en) 2013-03-15 2019-01-01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9505380B2 (en) 2014-03-07 2016-11-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and assembly
USD787308S1 (en) 2014-10-03 2017-05-2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package
USD777079S1 (en) 2014-10-03 2017-01-24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frame
DE102014227030A1 (de) * 2014-12-30 2016-06-30 Robert Bosch Gmbh Wischarm für eine Scheibenwischvorrichtung in einem Fahrzeug
US10363905B2 (en) 2015-10-26 2019-07-30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AU2017268019A1 (en) 2016-05-19 2018-11-22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11040705B2 (en) 2016-05-19 2021-06-22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CN109311452A (zh) 2016-05-19 2019-02-05 电缆塔制造有限公司 挡风玻璃雨刮器连接器
US10717414B2 (en) 2016-05-19 2020-07-21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blade
WO2017201470A1 (en) 2016-05-19 2017-11-23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52616A1 (de) * 2000-10-24 2002-05-08 Bosch Gmbh Robert Wischar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30596A (en) * 1938-01-11 1941-02-04 Trico Products Corp Windshield cleaner
DE1806719A1 (de) * 1968-11-02 1970-05-21 Daimler Benz Ag Scheibenwischer,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DE3142716A1 (de) 1981-10-28 1983-05-05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Wischvorrichtung fue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GB8716422D0 (en) * 1987-07-13 1987-08-19 Stevens A Windscreen wiper arms
US6813802B2 (en) * 2002-06-28 2004-11-09 Valeo Electrical Systems, Inc. Prestressed wiper ar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52616A1 (de) * 2000-10-24 2002-05-08 Bosch Gmbh Robert Wischa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02004008282D1 (de) 2008-11-27
JP4185135B2 (ja) 2008-11-26
KR20060037381A (ko) 2006-05-03
EP1648749B1 (de) 2008-10-15
US20060162115A1 (en) 2006-07-27
US7849553B2 (en) 2010-12-14
CN1826251A (zh) 2006-08-30
CN100537313C (zh) 2009-09-09
DE10333188A1 (de) 2005-02-10
WO2005009810A1 (de) 2005-02-03
JP2006525911A (ja) 2006-11-16
EP1648749A1 (de) 2006-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6033B1 (ko) 와이퍼 장치, 와이퍼 장치용 와이퍼 로드, 및 와이퍼 장치용 고정 부품
US9096195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KR101105340B1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의 금속재 클램프와 바디 스프링의 조립방법
EP1403156B1 (en) A windscreen wiper device
KR101310590B1 (ko) 유리창용 와이퍼장치
CN103786690A (zh) 刮水片
KR20100002098A (ko) 유리창용 와이퍼장치
US7845044B2 (en) Vehicular wiper frame
BRPI0617185A2 (pt) braço do limpador de pára-brisa
JP2009537372A (ja) フロントガラス・ワイパー装置
US20070113367A1 (en) Windscreen wiper device
KR101790386B1 (ko)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EP2090479B1 (en) Windscreen wiper device
US20060090282A1 (en) Wiper blade
JP2014527939A (ja) 車両フロントガラスを清掃するためのワイパーブレード
JPWO2004054860A1 (ja) ワイパブレード
JP2008238868A (ja) ワイパーブレード
JP4860651B2 (ja) ブレードラバー
KR102472361B1 (ko) 내압 방식 결합고무블레이드의 와이퍼 블레이드
KR100682840B1 (ko) 자동차용 와이퍼
KR100682839B1 (ko) 자동차용 와이퍼
JP4862732B2 (ja) ワイパーブレード
JP2011201445A (ja) ワイパブレード
JP2011201446A (ja) ワイパブレード
WO2007122570A2 (en) A profile for windshield wipers of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