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5799B1 - 밑창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밑창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5799B1
KR101165799B1 KR1020120018978A KR20120018978A KR101165799B1 KR 101165799 B1 KR101165799 B1 KR 101165799B1 KR 1020120018978 A KR1020120018978 A KR 1020120018978A KR 20120018978 A KR20120018978 A KR 20120018978A KR 101165799 B1 KR101165799 B1 KR 101165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s
mold
window
sole
intermediate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8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권형
박수근
Original Assignee
박수근
김권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수근, 김권형 filed Critical 박수근
Priority to KR1020120018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57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2Producing parts thereof, e.g. soles, heels, uppers, by a moulding technique
    • B29D35/14Multilayered parts
    • B29D35/142S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선단패드와 후단패드를 열융착하여 하부창을 형성한 후, 상기 하부창에 상부창을 열융착되어 일체로 견고하게 밑창을 형성함으로써, 후단패드의 소재 절감으로 무게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밑창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밑창 및 이의 제조방법{A shoes so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밑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고무와 합성고무 및 TR고무, 클레이톤, PVC 사출 제품을 포함한 재질로,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선단패드와 후단패드를 열융착하여 하부창을 형성한 후, 상기 하부창에 상부창을 열융착되어 일체로 견고하게 밑창을 형성하도록 하는 밑창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footwaer)은, 발에 착용하여 발 부분을 보호하는 물건을 총칭하는 것으로, 발등을 노출하느냐 또는 발등을 감싸느냐에 따라 개방성 신과 폐쇄성 신으로 나뉘며, 상기 개방성 신은, 샌들, 슬리퍼, 짚신 등이 있고, 상기 폐쇄성 신은, 구두 및 고무신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그 기능성이 더욱 요구됨과 아울러 패션화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는 실정으로 계절 및 취향에 따라 다양하게 착용할 수 있다.
상기 구두는, 사용자의 발이 밀착되는 깔창과 밑창 및 발을 보호하는 갑피로 이루어졌으며, 상기 밑창은, 합성고무재질의 본체와 본체 저면에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논슬립매트가 부착되어 이루어지는데, 상기 본체는 발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일 수 있도록 탄성력이 큰 합성고무재질로 제작하고, 상기 논슬립매트는 질기고 단단한 천연고무로 제작한 후, 논슬립매트를 본체 저면에 접착제로 접착하여 밑창을 제작한다.
그러나 상기 논슬립매트를 본체 저면에 접착제로 접착할 때, 작업자가 접착제를 논슬립매트에 부착한 후, 본체 저면에 접착하는 제작공정이 번거로워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상기 접착제는 공업용 본드로 작업자가 냄새를 장시간 흡입할 경우, 작업자의 건강을 해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접착제를 통한 성형방식으로 치수가 부정확하여 불량률이 높을 뿐만 아니라 불규칙한 경계선에 돌출된 지느러미를 평면으로 처리하기 위해 숙련된 작업자에 의한 연마공정이 요구되므로 제조원가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고, 접착부위가 접착제에 의해 지저분해져 외관이 불량한 문제를 초래하므로 고품질 및 정교한 밑창을 생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본체 저면에 논슬립매트를 접착하므로 본체의 소재가 많이 사용되어 밑창이 무거우면서 착용감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의 상승으로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의 앞꿈치부분에 위치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선단패드와 발의 뒤꿈치부분에 위치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후단패드를 열융착으로 성형하는 하부창을 형성함으로써, 후단패드의 소재 절감으로 무게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밑창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단패드와 후단패드가 열융착되어 형성된 하부창에 상부창을 안착시켜 열융착으로 성형하여 밑창을 형성함으로써, 견고하면서도 정교한 밑창을 형성하도록 하는 밑창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밑창의 제조공정이 간소화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접착제에 의한 미관상의 불량률을 해소시켜 고품질의 밑창을 얻을 수 있는 밑창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밑창은, 밑창으로서,
발의 앞꿈치부분에 위치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선단패드와 발의 뒤꿈치부분에 위치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후단패드가 열융착되어 일체로 성형된 하부창과;
상기 하부창과 동일한 모양으로 하부창에 안착되는 상부창, 및
상기 하부창과 상부창을 열융착으로 일체로 성형하며,
상기 상부창에 요입된 안착공간에 안착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층격흡수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밑창은, 밑창으로서,
발의 앞꿈치부분에 위치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선단패드와 발의 뒤꿈치부분에 위치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후단패드가 열융착되어 성형된 하부창과;
상기 하부창과 동일한 모양으로 하부창에 안착되면서 상면에 안착공간이 요입되는 상부창, 및
상기 하부창과 상부창을 열융착으로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상부창에 요입된 안착공간에 안착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층격흡수패드와;
상기 충격흡수패드와 상,하부창 및 하부창 후단부 저면에 장착되는 뒤굽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밑창 제조방법은,
제1,2금형 중 어느 하나의 금형 성형공간에 상,하부창 중 어느 하나의 창을 성형하는 원재료를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원재료가 투입된 제1,2금형 중 어느 하나의 금형에 중간금형을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중간금형 상면에 제1,2금형 어느 하나의 금형 성형공간과 수직선상으로 상,하부창 중 어느 하나의 창을 성형하는 원재료 및 제1,2금형 중 어느 하나의 금형을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2금형의 성형공간에 위치하는 원재료가 용융되어 상,하부창을 형성하도록 제1,2금형을 130~160℃ 사이의 가열프레스로 2~5분 가열하는 단계와;
상기 가열프레스의 가열로 하,상부창이 형성되면, 중간금형에 안착된 제1,2금형 중 어느 하나의 금형을 중간금형에서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중간금형에서 분리된 제1,2금형 중 어느 하나의 금형을 중간금형이 분리되기 전, 중간금형 하부에 위치한 제1,2금형 중 어느 하나의 금형에 안착시켜 제1,2금형의 성형공간에 성형된 상,하부창이 면접촉되도록 한 후, 140~170℃ 사이의 가열프레스로 3~7분 가열하여 면접촉된 상,하부창이 융착되면서 일체로 성형되는 밑창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밑창이 성형되면, 제1,2금형 중 어느 하나의 금형에 안착된 제1,2금형 중 어느 하나의 금형을 탈거한 후, 제1,2금형 중 어느 하나의 금형에 성형된 밑창을 인출하는 단계와;
상기 밑창의 하부창에 요입된 안착공간에 충격을 흡수하도록 층격흡수패드를 안착시켜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의 앞꿈치부분에 위치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선단패드와 발의 뒤꿈치부분에 위치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후단패드를 열융착으로 성형하는 하부창을 형성함으로써, 후단패드의 소재 절감으로 무게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선단패드와 후단패드가 열융착되어 형성된 하부창에 상부창을 안착시켜 열융착으로 일체로 성형되는 밑창을 형성함으로써, 견고하면서도 정교한 고품질의 밑창을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밑창의 제조공정이 간소화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접착제에 의한 미관상의 불량률을 해소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밑창을 제조하기 위한 금형의 분리사시도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 밑창의 제조과정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분리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 밑창과 밑창에 안착되는 충격흡수부재의 분리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안착된 충격흡수부재를 고정부재로 고정한 상태의 밑창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밑창을 제조하기 위한 금형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 밑창은, 밑창(100)으로서, 발의 앞꿈치부분에 위치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선단패드(111)와 발의 뒤꿈치부분에 위치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후단패드(112)가 열융착되어 일체로 성형된 하부창(110)이 구성되며, 상기 하부창(110)과 동일한 모양으로 하부창(110)에 안착되는 상부창(120)이 구성되고, 상기 하부창(110)과 상부창(120)을 열융착으로 일체로 성형한다.
또한, 본 발명 밑창은, 밑창(100)으로서, 발의 앞꿈치부분에 위치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선단패드(111)와 발의 뒤꿈치부분에 위치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후단패드(112)가 열융착되어 일체로 성형된 하부창(110)이 구성되며, 상기 하부창(110)과 동일한 모양으로 하부창(110)에 안착되면서 상면에 안착공간(121)이 요입되는 상부창(120)이 구성되고, 상기 하부창(110)과 상부창(120)을 열융착으로 일체로 성형하며, 상기 상부창(120)에 요입된 안착공간(121)에 안착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층격흡수패드(130)가 구성되고, 상기 충격흡수패드(130)와 상,하부창(120)(110) 및 하부창(110) 후단부 저면에 장착되는 뒤굽(150)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밑창(100)의 제조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금형(210)은 하,상부창(110)(120) 중 어느 하나의 창을 성형하도록 성형공간(211)이 형성되나, 아래에서는 하부창(110)을 성형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고, 제2금형(220)은, 하,상부창(110)(120) 중 어느 하나의 창을 성형하도록 성형공간(221)이 형성되나, 아래에서는 상부창(120)을 성형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금형(210)에는 하부창(110)을 성형하는 성형공간(211)이 요입됨과 아울러 상기 성형공간(211)에는 섞임방지돌기(212)가 돌출되는데, 상기 섞임방지돌기(212)는 상기 성형공간(211)의 바닥면으로부터 3/4 높이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금형(220)에는 상부창(120)을 성형하는 성형공간(221)이 요입됨과 아울러 상부창(120) 상면에 안착공간(121)이 요입되도록 모양형성돌기(222)가 돌출되는데, 상기 모양형성돌기(222)는 상부창(120)의 두께를 감안하여 성형공간(221)의 바닥면으로부처 3/4 높이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2금형(210)(220)이 면접촉되는 제1금형(210)의 상면과 제2금형(220)의 저면은 표면은 샌딩가공하여 표면을 거칠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성형공간(221)(221) 외부로 용융되어 돌출된 원재료가 제1,2금형(210)(220)의 상,하면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1,2금형(210)(220) 사이에 장착되는 중간금형(230)은, 제1금형(210)의 상면과 제2금형(220)의 저면과 면접촉되도록 상,하면이 균일하게 평활되면서 크롬도금된 것으로, 이는 제1,2금형(210)(220)의 성형공간(211)(221)에 성형된 하,상부창(110)(120)이 달라붙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의 과정으로 각 금형이 형성되면, 상기 제1금형(210)의 성형공간(211)에 하부창(110)을 형성하는 선,후단패드(111)(112)의 원재료를 투입하는데, 상기 성형공간(211)의 선단부 즉, 발 앞꿈치가 위치하는 부분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천연고무재질의 원재료인 선단패드(111)를 안착시키고, 상기 성형공간(211)의 후단부 즉, 발 뒤꿈치가 위치하는 부분에는 충격을 흡수하는 합성고무재질의 원재료인 후단패드(112)를 안착시킨다.
상기 성형공간(211)에 천연고무재질과 합성고무재질의 원재료인 선,후단패드(111)(112)가 각각 안착되면, 제1금형(210) 상면에 중간금형(230)을 안착시켜 제1금형(210) 상면과 중간금형(230) 저면이 면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중간금형(230)에 안착되는 제2금형(220)의 성형공간(221)과 수직선상인 중간금형(230)의 상면에 상부창(120)을 형성하는 합성고무재질의 원재료를 안착시킨 후, 상기 중간금형(230) 상면에 제2금형(220)의 저면이 밀착되도록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중간금형(230) 상면에 상부창(120)을 형성하도록 안착된 원재료는 제2금형(220)의 성형공간(221)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의 과정으로 제1금형(210)에 중간금형(230)이 안착되고, 상기 중간금형(230)에 상부금형(220)이 안착된 금형부(200)를 가열프레스(P) 내부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가열,가압하는데, 상기 가열프레스(P)는 130~160℃를 유지하면서 2~5분간 가열,가압한다.
상기 가열프레스(P)의 가열,가압에 따라 제1금형(210)의 성형공간(211)에 위치한 선,후단패드(111)(112)의 원재료가 용융됨과 동시에 성형공간(211)의 모양으로 성형되는데, 상기 선,후단패드(111)(112)의 용융물은, 상기 성형공간(211)의 바닥면으로부터 3/4 높이로 돌출된 섞임방지돌기(212)에 밀착되어 서로 섞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1/4의 공간을 통해 선,후단패드(111)(112) 단부가 융착되면서 일체인 하부창(110)을 성형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열프레스(P)의 가열,가압에 따라 제2금형(220)의 성형공간(221)에 위치한 원재료가 용융되면서 성형공간(221)과 모양성형돌기(222)의 모양으로 상부창(120)이 성형되며, 발의 뒤꿈치부분에 위치하는 상부창(120)의 후단은 모양성형돌기(222)에서 돌출되어 중간금형(230)의 상면에 밀착된 돌출모양성형돌기(222')의 모양에 따라 관통된다.
상기와 같이 제1,2금형(210)(220)의 성형공간(211)(221) 모양대로 하,상부창(110)(120)이 성형되면, 금형부(200)를 가열프레스(P) 외부로 이탈시킨 상태에서 제2금형(220)을 중간금형(230) 상부로 이동시키는데, 상기 제2금형(220)의 성형공간(221)에 성형된 상부창(120)은 제2금형(220)의 저면이 샌딩가공되어 표면이 거칠기 때문에 제2금형(220)에 달라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2금형(220)이 중간금형(230) 상부로 이동되면, 중간금형(230)을 제1금형(210)의 상부로 이동시켜 분리하는데, 상기 제1금형(210)의 성형공간(211)에 성형된 하부창(110)은 제1금형(210)의 상면이 샌딩가공되어 표면이 거칠기 때문에 제1금형(210)에 달라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중간금형(230)은 크롬도금된 상태로 상,하부창(120)(110)이 중간금형(230)에 달라붙지 않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중간금형(230)의 분리되는 시간이 경과하여 상온과의 열교환이 이루어짐에 따라 하,상부창(110)(120)의 표면이 경화되면, 분리된 제2금형(220)을 제1금형(210)에 안착시켜 상부창(120)의 저면이 하부창(110)의 상면에 면접촉되도록 한 후, 중간금형(230)이 분리된 금형부(200)를 가열프레스(P) 내부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가열,가압하는데, 상기 가열프레스(P)는 140~170℃를 유지하면서 3~7분간 가열,가압한다.
여기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금형(220)을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제2금형(220)에 제1금형(210)에 안착되도록 하여 밑창(100)을 제조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가열프레스(P)의 가열,가압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창(120)의 저면과 하부창(110)의 상면이 융착되어 일체로 성형되는 밑창(100)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밑창(100)이 형성되면, 금형부(200)를 가열프레스(P) 외부로 이탈시킨 상태에서 제2금형(220)을 제1금형(210)의 상부로 이동시켜 탈거한 후, 제1,2금형(210)(220)의 성형공간(211)(221)에 위치한 밑창(100)을 인출하여 경화시킨다.
상기와 같이 경화된 밑창(100)의 하,상부창(110)(120)의 경계면에는 지느러미가 돌출되지 않거나, 돌출된 지느러미를 절단할 수 있으며, 상기 밑창(100)의 상부창(120)에는 모양성형돌기(222')의 모양에 따라 충격흡수공간(122)이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격흡수공간(122)에는 원재료가 투입되지 않음으로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면서 원재료를 절감하여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밑창(100)의 상부창(120)에 모양성형돌기(222)의 모양으로 요입된 안착공간(121)에 0~100[hs]를 기준으로 50~80[hs]의 경도를 갖는 충격흡수패드(130)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충격흡수패드(130)와 상,하부창(120)(110) 및 하부창(110) 후단부 저면에 장착되는 뒤굽(150)을 고정부재(140)로 고정시키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밑창 110: 하부창
111: 선단패드 112: 후단패드
120: 상부창 121: 안착공간
130: 충격흡수패드 140: 고정부재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제1,2금형 중 어느 하나의 금형 성형공간에 상,하부창 중 어느 하나의 창을 성형하는 원재료를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원재료가 투입된 제1,2금형 중 어느 하나의 금형에 중간금형을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중간금형 상면에 제1,2금형 어느 하나의 금형 성형공간과 수직선상으로 상,하부창 중 어느 하나의 창을 성형하는 원재료 및 제1,2금형 중 어느 하나의 금형을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2금형의 성형공간에 위치하는 원재료가 용융되어 상,하부창을 형성하도록 제1,2금형을 130~160℃ 사이의 가열프레스로 2~5분 가열하는 단계와;
    상기 가열프레스의 가열로 하,상부창이 형성되면, 중간금형에 안착된 제1,2금형 중 어느 하나의 금형을 중간금형에서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중간금형에서 분리된 제1,2금형 중 어느 하나의 금형을 중간금형이 분리되기 전, 중간금형 하부에 위치한 제1,2금형 중 어느 하나의 금형에 안착시켜 제1,2금형의 성형공간에 성형된 상,하부창이 면접촉되도록 한 후, 140~170℃ 사이의 가열프레스로 3~7분 가열하여 면접촉된 상,하부창이 융착되면서 일체로 성형되는 밑창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밑창이 성형되면, 제1,2금형 중 어느 하나의 금형에 안착된 제1,2금형 중 어느 하나의 금형을 탈거한 후, 제1,2금형 중 어느 하나의 금형에 성형된 밑창을 인출하는 단계와;
    상기 밑창의 하부창에 요입된 안착공간에 충격을 흡수하도록 층격흡수패드를 안착시켜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 제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하부창은,
    상기 제1,2금형 중 어느 하나의 금형 성형공간 선,후단에 발의 앞꿈치부분에 위치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는 선단패드와 발의 뒤꿈치부분에 위치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후단패드를 각각 안착시켜 열융착으로 성형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 제조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2금형 중 어느 하나의 금형 성형공간에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선단패드와 충격을 흡수하는 후단패드가 용융될 때, 섞이지 않도록 섞임방지돌기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 제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섞임방지돌기는, 상기 성형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성형공간의 3/4 높이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 제조방법.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2금형 중 어느 하나의 금형 성형공간에는 상부창의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모양성형돌기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 제조방법.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중간금형은, 하,상부창의 면이 균일하도록 평활하면서 크롬도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 제조방법.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패드와 상,하부창 및 하부창 후단부 저면에 장착되는 뒤굽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 제조방법.
KR1020120018978A 2012-02-24 2012-02-24 밑창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65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978A KR101165799B1 (ko) 2012-02-24 2012-02-24 밑창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978A KR101165799B1 (ko) 2012-02-24 2012-02-24 밑창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5799B1 true KR101165799B1 (ko) 2012-07-16

Family

ID=46716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8978A KR101165799B1 (ko) 2012-02-24 2012-02-24 밑창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57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61678A (zh) * 2021-12-08 2022-03-11 淮安华顶鞋业有限公司 一种三层鞋底模具装置及加工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5606U (ko) * 1985-12-06 1987-06-18
KR100910309B1 (ko) * 2008-09-24 2009-07-31 주식회사 월드프리모 보행시 충격이 완화되는 신사화의 신발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5606U (ko) * 1985-12-06 1987-06-18
KR100910309B1 (ko) * 2008-09-24 2009-07-31 주식회사 월드프리모 보행시 충격이 완화되는 신사화의 신발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61678A (zh) * 2021-12-08 2022-03-11 淮安华顶鞋业有限公司 一种三层鞋底模具装置及加工工艺
CN114161678B (zh) * 2021-12-08 2023-09-22 淮安华顶鞋业有限公司 一种三层鞋底模具装置及加工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07108B2 (en) Soles for sports shoes
KR101075172B1 (ko) 경도가 서로 다른 3조각의 판형 중창부재로 이루어진 신발중창
CN108477749A (zh) 一种具有一体成型内置气垫层的橡胶鞋底及其生产工艺
WO2023184859A1 (zh) 一种安全鞋及其专用制造模具
KR20110054958A (ko) 장화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70089676A (ko) 밑창과 중창이 일체화된 신발창 제조방법
KR101165799B1 (ko) 밑창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068791B (zh) 鞋以及鞋垫
CN108712868B (zh) 具有整体折边的鞋垫及制作其的方法和模具
RU148057U1 (ru) Ортопедическая стелька-супинатор
KR100569662B1 (ko) 미끄럼방지용 문양이 형성된 복색 운동화밑창 제조방법 및미끄럼방지용 문양 금형
KR100966361B1 (ko) 구두 밑창 제조방법
CN208006089U (zh) 一种具有一体成型内置气垫层的橡胶鞋底的专用生产模具
CN110652071A (zh) 一种高度吻合且透气的鞋垫及其制作方法
CN214710821U (zh) 一种具备高弹性的注塑鞋
KR200405595Y1 (ko) 자석 및 젤이 보이도록 부착된 이중경도의 발포체안창
KR200463162Y1 (ko) 완충젤리부가 구비된 깔창
TWI779857B (zh) 鞋底製作方法及其模具
JPS58105703A (ja) 靴底の製造法
CN113712334A (zh) 一种耐磨损除臭皮鞋及其加工工艺
EP3815561A1 (en) Semi-finished product for portions of a shoe and method for its provision
TWI694914B (zh) 防滑雨鞋模具改良結構及防滑雨鞋製造方法
KR200428449Y1 (ko) 전후의 밀도가 다른 인솔
TW201803479A (zh) 防滑雨鞋之製造方法、防滑雨鞋與用以製造防滑雨鞋之模具
CN204742821U (zh) 一种鞋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