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2901B1 - 허브너트 코킹기 - Google Patents

허브너트 코킹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2901B1
KR101162901B1 KR1020120025961A KR20120025961A KR101162901B1 KR 101162901 B1 KR101162901 B1 KR 101162901B1 KR 1020120025961 A KR1020120025961 A KR 1020120025961A KR 20120025961 A KR20120025961 A KR 20120025961A KR 101162901 B1 KR101162901 B1 KR 101162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ulking
hub
nut
pressing force
rotating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5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필
Original Assignee
김상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필 filed Critical 김상필
Priority to KR1020120025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29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035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tor-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6Hubs adapted to be fixed on axle
    • B60B27/065Hubs adapted to be fixed on axle characterised by the fixation of the hub to the ax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허브너트 코킹기에 관한 것으로서, 단부 양측에 제1 및 제2홈 한쌍이 형성된 엑슬축과 허브를 결합시키는 허브너트의 이탈방지를 위해 상기 허브너트를 코킹하는 장치로서, 본체케이스의 선단에 구비되며, 상기 엑슬축의 제1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허브너트의 코킹위치를 설정하는 위치설정가이더와, 상기 위치설정가이더의 상부에 구비되며, 가압력이 제공되면 상기 설정된 코킹위치를 가압하여 허브너트를 상기 엑슬축의 제2홈으로 코킹시키는 코킹펀치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후단에 결합 고정되는 지지손잡이부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후단에 눌림 가능하게 구비되는 작동손잡이부와, 상기 코킹펀치와 작동손잡이부 사이에 구비되어 작동손잡이부의 눌림에 따른 가압력을 상기 코킹펀치로 제공하는 가압력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킹위치를 간편하게 설정하여 균일한 힘으로 코킹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함께 비용절감 및 장소의 제한없이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코킹의 안전성과 작업효율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허브너트 코킹기 {Hub nut caulking tool}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엑슬축에 체결된 허브너트가 풀리지 않도록 허브너트를 코킹시키는 허브너트 코킹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정확한 코킹위치를 간편하게 설정하여 균일한 가압력으로 코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코킹의 안전성과 작업효율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허브너트 코킹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에서 발생하는 동력은 변속기를 거쳐 엑슬축(axle shaft)에 전달되고, 상기 엑슬축에 전달되는 동력은 엑슬축의 외측 단부에 결합된 허브와 휠디스크를 거쳐 구동바퀴에 전달이 된다.
여기서, 상기 엑슬축과 허브는 허브너트를 통해 체결이 되는데, 이러한 허브너트는 반영구적으로 체결된 상태에서 풀리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허브너트를 엑슬축에 체결한 후 허브너트의 일부분을 가압 변형시켜 엑슬축 단부에 형성된 홈으로 코킹(caulking)하는 코킹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러한 코킹작업이 정과 망치 등을 사용한 수작업으로 수행되었기 때문에 생산성과 작업효율성이 저하되었고, 허브너트의 변형을 위한 코킹력이 엑슬축마다 균일하게 제공되지 않게 됨과 함께, 코킹이 규정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에 따라 주행중 허브너트가 풀리게 되면서 차륜이 엑슬축으로부터 분리되어 대형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는 위험성이 매우 큰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선행기술로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22480호에 허브너트 코킹용 지그가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코킹용 지그는 정과 망치를 사용하는 번거로움은 해결할 수 있으나 여전히 정확한 코킹위치를 설정하기가 어렵고 코킹작업시마다 가해지는 코킹력이 달라질 수 있어 코킹의 안전성이나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른 선행기술로서 특허공보 제10-0889668호에 로크너트의 자동 코킹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코킹장치는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균일한 코킹이 가능한 반면, 그 구조 및 작동방식이 매우 복잡하여 제조비용과 운용 및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 등이 크게 상승될 수 밖에 없음과 함께 그러한 비용상의 문제 등으로 인해 자동차공장의 제조라인에서만 국한적으로 사용이 가능할 뿐 차량정비소, 카센터 등과 같은 곳에서는 사용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코킹위치를 간편하게 설정하여 균일한 힘으로 코킹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함께 비용절감 및 장소의 제한없이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코킹의 안전성과 작업효율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허브너트 코킹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단부 양측에 제1 및 제2홈 한쌍이 형성된 엑슬축과 허브를 결합시키는 허브너트의 이탈방지를 위해 상기 허브너트를 코킹하는 장치로서, 본체케이스의 선단에 구비되며, 상기 허브에 돌출 형성된 허브링부로 외삽이 가능한 링 형상의 도킹부와, 상기 도킹부의 내측 본체케이스의 선단에 구비되며, 상기 엑슬축의 제1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허브너트의 코킹위치를 설정하는 위치설정가이더와, 상기 위치설정가이더의 상부에 구비되며, 가압력이 제공되면 상기 설정된 코킹위치를 가압하여 허브너트를 상기 엑슬축의 제2홈으로 코킹시키는 코킹펀치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후단에 결합되는 지지손잡이부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후단에 눌림 가능하게 구비되는 작동손잡이부, 및 상기 코킹펀치와 작동손잡이부 사이에 구비되어 작동손잡이부의 눌림에 따른 가압력을 상기 코킹펀치로 제공하는 가압력제공부를 포함하는 허브너트 코킹기가 개시된다.
삭제
여기서, 상기 가압력제공부는, 후단부에 상기 작동손잡이부가 결합되어 작동손잡이부가 눌리면 전단부가 상향 회전을 하는 후방회전아암과, 전단부에 상기 코킹펀치가 결합됨과 함께 후단부가 상기 후방회전아암의 전단부에 링크되어, 후방회전아암의 회전에 따라 상기 코킹펀치를 하향 회전시키는 전방회전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회전아암 또는 전방회전아암의 회전각도를 다양하게 제한함으로써 코킹펀치로 제공되는 가압력을 조절하는 가압력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압력조절부는, 상기 본체케이스의 상단에 고정되는 너트체와, 상기 너트체에 체결되어 본체케이스를 관통하되, 그 체결깊이에 따라 상기 후방회전아암 또는 전방회전아암을 다양한 회전각도에서 회전이 억제되도록 제한하는 조절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손잡이부와 작동손잡이부는 일정한 길이의 연장로드와, 상기 연장로드의 후단에 형성되는 파지용 손잡이로 각각 이루어지되, 상기 연장로드는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분할되어 서로 조립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허브너트 코킹기에 의하면,
위치설정가이더의 엑슬축 홈 삽입을 통하여 간편하게 코킹위치를 설정할 수 있음과 함께 균일한 가압력으로 코킹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코킹작업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개선시키고 코킹의 품질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자동화장비와 같은 별도의 설치시설물 등이 전혀 필요없고 간편하게 보관 및 휴대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일반 카센터, 차량정비소 등에 비치하여 필요에 따라 사용하거나 자동차 제조라인에 비치하여 자동화 코킹장치의 고장 및 유지보수 등과 같은 때에 적절하게 사용하는 등 장소의 제한없이 폭넓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허브너트 코킹장치의 작업대상이 되는 엑슬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너트 코킹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서 본체케이스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체케이스의 선단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3에서 작동손잡이부가 눌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허브너트 코킹기가 엑슬 어셈블리에 도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도 6에서 코칭펀치가 코킹위치에 설정되어 위치된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작동손잡이가 눌려 코킹작업이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는 도 8에서 코킹펀치가 허브너트를 코킹한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허브너트 코킹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요소간의 간격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축소 또는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너트 코킹기(100)의 구성요소들을 세부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서, 본 발명의 허브너트 코킹기(100)가 도킹되어 코킹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작업대상인 엑슬 어셈블리에 대해 간단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는 이러한 엑슬 어셈블리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 바, 이를 참조하면 엑슬축(1)에 허브(2)가 조립된 상태에서 허브(2)를 고정하기 위한 허브너트(3)가 엑슬축(1)의 단부에 체결이 되며, 허브(2)의 외측으로는 휠디스크(4)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엑슬축(1)의 단부에는 그 양쪽(즉, 하측 및 상측)에 제1홈(1a)과 제2홈(1b) 한쌍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엑슬축(1)의 제1홈(1a)과 제2홈(1b)의 외곽을 허브너트(3)에서 돌출된 너트링부(3a)가 감싸고 있고(상기 너트링부(3a)가 본 발명의 허브너트 코킹기(100)에 의해 코킹되는 부분임.), 상기 허브너트(3)의 외곽을 허브(2)에서 돌출된 허브링부(2a)가 감싸고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너트 코킹기(100)의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너트 코킹기(100)를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너트 코킹기(100)는 기기외관을 형성함과 함께 다른 구성요소들이 설치되는 프레임으로 기능하는 본체케이스(1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케이스(10)의 선단에는 위치설정가이더(20)가 구비되고, 상기 위치설정가이더(20)의 상부에는 코킹펀치(3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케이스(10)의 후단에는 지지손잡이부(40)가 결합 고정이 됨과 함께 상기 지지손잡이부(40)의 상부에는 작동손잡이부(50)가 눌림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작동손잡이부(50)의 눌림에 따른 가압력을 상기 코킹펀치(30)로 제공하는 가압력제공부(60)가 본체케이스(10)에 내장된다.
먼저, 상기 위치설정가이더(20)와 코킹펀치(30)를 살펴보면, 상기 위치설정가이더(20)는 허브너트(3)의 코킹작업을 위하여 본 발명의 허브너트 코킹기(100)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엑슬 어셈블리에 접근하여 도킹될 때, 상기 엑슬축(1)의 제1홈(1a)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허브너트(3)의 코킹위치(즉, 제2홈(1b) 외곽의 허브너트(3) 부분)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코킹펀치(30)는 후술할 상기 가압력제공부(60)로부터 가압력이 제공되면 상기 위치설정가이더(20)에 의해 설정된 허브너트(3)의 코킹위치를 가압하여 상기 엑슬축(1)의 제2홈(1b)으로 허브너트(3)를 코킹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위치설정가이더(20)와 상기 코킹펀치(30)는, 상기 엑슬축(1)의 양쪽(즉, 하측과 상측)에 형성된 제1홈(1a)과 제2홈(2a)의 상대적인 위치에 대응하여 위치설정가이더(20)가 엑슬축(1)의 제1홈(1a)에 삽입되면 상부의 코킹펀치(30)는 제2홈(1b) 외측의 코킹위치에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상호간의 위치관계가 설정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위치설정가이더(20)가 엑슬축(1)의 제1홈(1a)에 삽입이 되면 코킹펀치(30)는 제2홈(1b) 외측의 코킹위치에 정확하게 위치가 된 상태에서 그 위치가 유동되지 않고 고정이 됨으로써 코킹펀치(30)의 코킹위치가 설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위치설정가이더(20)는 본체케이스(10)에 결합 고정되는 가이더몸체(21)와, 상기 가이더몸체(21)에서 전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면서 상기 엑슬축(1)의 제1홈(1a)으로 삽입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갖는 삽입돌기부(22)로 이루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킹펀치(30)는 허브너트(3)를 실제로 프레싱하여 코킹시키는 부분으로서, 장시간 사용시 마모, 변형될 수 있으므로 교체가 용이하도록 후술할 가압력제공부(60)의 전방회전아암(62)에 볼트 체결을 통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손잡이부(40)와 작동손잡이부(50)는 사용자에 의한 코킹작업이 가능하도록 상기 코킹펀치(30)에 제공될 가압력을 생성하는 수동 구동수단으로 기능하는데, 상기 지지손잡이부(40)는 상기 본체케이스(10)의 후단에 결합 고정이 됨과 함께 상기 작동손잡이부(50)는 눌림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가 되어, 사용자는 상기 지지손잡이부(40)를 한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상기 작동손잡이부(50)를 눌러줌으로써 코킹작업을 위한 가압력을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지지손잡이부(40)와 작동손잡이부(50)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연장로드(41, 51)와, 상기 연장로드(41, 51)의 후단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용 손잡이(42, 52)로 각각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손잡이부(40)와 작동손잡이부(50) 각각의 연장로드(41, 51)는 모두 사용시에는 본체케이스(10)에 결합이 되고 보관시 또는 휴대시에는 본체케이스(10)와 분리될 수 있도록 나사체결방식을 통해 결합이 될 수 있으며, 특히 보관 및 휴대가 더욱 용이하도록 상기 연장로드(41, 51)는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분할이 되어 서로간 나사체결방식을 통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가압력제공부(60)는 상기 작동손잡이부(50)와 코킹펀치(3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손잡이부(50)의 눌림에 의해 생성된 가압력을 상기 코킹펀치(3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가압력제공부(60)는 본체케이스(10)에 내장되는 후방회전아암(61)과 전방회전아암(6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회전아암(61)은 후방회동축(63)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본체케이스(10) 내측에 설치가 되며, 그 후단부에는 상기 작동손잡이부(50)가 결합된다.
상기 전방회전아암(62)은 전방회동축(64)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본체케이스(10) 내측에 설치가 되며, 그 후단부는 상기 후방회전아암(61)의 전단부와 링크부(65)를 통해 링크 연결이 되고 그 전단부에는 상기 코킹펀치(30)가 결합이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작동손잡이부(50)가 사용자에 의해 눌리면 후방회전아암(61)이 후방회동축(63)을 중심으로 그 전단부가 상향 회전을 하게 되고, 그에 따라 링크부(65)를 통해 링크 연결된 전방회전아암(62)이 전방회동축(64)을 중심으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그 전단부에 결합된 코킹펀치(30)를 하향 회전시킴으로써 코킹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작동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가압력제공부(60)를 통해 코킹펀치(30)로 제공되는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가압력조절부(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압력조절부(70)는 상기 가압력제공부(60)의 후방회전아암(61) 또는 전방회전아암(62)의 회전각도를 다양한 각도범위에서 선택적으로 제한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는 바, 일 예로서 상기 본체케이스(10)의 상단에 고정되는 너트체(71)와, 상기 너트체(71)에 체결되어 본체케이스(10)를 관통하면서 후방회전아암(61) 또는 전방회전아암(62)의 상측에 위치가 되는 조절볼트(7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3과 도 5에는 가압력조절부(70)가 후방회전아암(61)의 상측에 구비되어 후방회전아암(61)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예일 뿐 전방회전아암(62)의 상측에 구비되어 전방회전아암(62)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며, 동일하게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조절볼트(72)의 너트체(71)에 대한 체결깊이에 따라 상기 후방회전아암(61) 또는 전방회전아암(62)을 다양한 회전각도에서 회전이 억제되도록 제한하게 되는 바, 즉 조절볼트(72)의 체결깊이를 증가시키면 상기 후방회전아암(61) 또는 전방회전아암(62)의 회전각도가 감소되면서 코킹펀치(30)의 가압력 또한 감소가 되고, 체결깊이를 감소시키면 상기 후방회전아암(61) 또는 전방회전아암(62)의 회전각도가 증가되면서 코킹펀치(30)의 가압력 또한 증가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허브너트 코킹기(100)가 작업대상인 엑슬 어셈블리에 접근되어 도킹될 때 보다 용이하게 도킹이 될 수 있도록 본체케이스(10)의 선단에는 상기 허브(2)에 돌출 형성된 허브링부(2a)로 외삽이 가능한 도킹부(8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도킹부(8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허브너트 코킹기(100)가 엑슬 어셈블리에 접근하여 도킹될 때, 먼저 상기 허브(2)에 돌출 형성된 허브링부(2a)로 외삽이 되면서 도킹을 용이하게 함과 함께 상기 위치설정가이더(20)의 제1홈(1a) 삽입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너트 코킹기(10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였는 바, 그 작동에 대하여 간단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엑슬축(1)에 허브(2)가 조립되고 허브너트(3)가 체결된 상태의 엑슬 어셈블리에 본 발명의 허브너트 코킹기(100)를 접근시켜 도킹을 시킨다.
그러면, 먼저 도킹부(80)가 허브(2)의 허브링부(2a)로 외삽이 시작되면서 허브너트 코킹기(100) 자체의 도킹위치가 유지되고, 이 상태에서 허브너트 코킹기(100)를 좌우로 조금씩 움직여 주면서 위치설정가이더(20)의 삽입돌기부(22)를 엑슬축(1)의 제1홈(1a)으로 삽입시킨다.
그리고, 위치설정가이더(20)가 제1홈(1a)으로 삽입이 되면,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허브너트 코킹기(100)의 도킹이 완료되면서 도킹부(80)는 허브(2)의 외측면에 완전히 밀착이 되고, 또한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코킹펀치(30)는 제2홈(1b) 외측의 코킹지점에 정확하게 위치가 됨과 함께 그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코킹위치 설정이 완료된다.
이렇게 위치설정가이더(20)가 엑슬축(1)의 제1홈(1a)으로 삽입되어 코킹위치의 설정이 완료되면, 한손으로 지지손잡이부(40)의 손잡이(42)를 잡아 지지한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작동손잡이부(50)의 손잡이(52)를 잡고 작동손잡이부(50)를 눌러준다.
그러면, 가압력제공부(60)의 후방회전아암(61)과 전방회전아암(62)의 연동 회전을 통하여 가압력이 코킹펀치(30)로 제공되고, 그에 따라 도 8과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제2홈(1b) 외측의 코킹지점에 위치되어 있던 코킹펀치(30)가 하향 회전하면서 허브너트(3)의 너트링부(3a)를 가압하여 제2홈(1b)으로 허브너트(3)를 코킹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코킹펀치(30)에 의한 허브너트(3)의 코킹이 이루어지고 나면, 눌렀던 작동손잡이부(50)를 원위치로 복귀시켜(그러면 동시에 코킹펀치(30)도 원위치로 복귀됨.)준 후, 도킹되었던 허브너트 코킹기(100)를 엑슬 어셈블리로부터 이격시켜 주면 모든 코킹작업이 완료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0: 허브너트 코킹기
1: 엑슬축 1a: 제1홈
1b: 제2홈 2: 허브
3: 허브너트 4: 휠디스크
10: 본체케이스 20: 위치설정가이더
30: 코킹펀치 40: 지지손잡이부
50: 작동손잡이부 60: 가압력제공부
61: 후방회전아암 62: 전방회전아암
70: 가압력조절부 80: 도킹부

Claims (6)

  1. 단부 양측에 제1 및 제2홈 한쌍이 형성된 엑슬축과 허브를 결합시키는 허브너트의 이탈방지를 위해 상기 허브너트를 코킹하는 장치로서,
    본체케이스의 선단에 구비되며, 상기 허브에 돌출 형성된 허브링부로 외삽이 가능한 링 형상의 도킹부;
    상기 도킹부의 내측 본체케이스의 선단에 구비되며, 상기 엑슬축의 제1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허브너트의 코킹위치를 설정하는 위치설정가이더;
    상기 위치설정가이더의 상부에 구비되며, 가압력이 제공되면 상기 설정된 코킹위치를 가압하여 허브너트를 상기 엑슬축의 제2홈으로 코킹시키는 코킹펀치;
    상기 본체케이스의 후단에 결합되는 지지손잡이부;
    상기 본체케이스의 후단에 눌림 가능하게 구비되는 작동손잡이부; 및
    상기 코킹펀치와 작동손잡이부 사이에 구비되어 작동손잡이부의 눌림에 따른 가압력을 상기 코킹펀치로 제공하는 가압력제공부;를 포함하는 허브너트 코킹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력제공부는,
    후단부에 상기 작동손잡이부가 결합되어 작동손잡이부가 눌리면 전단부가 상향 회전을 하는 후방회전아암; 및
    전단부에 상기 코킹펀치가 결합됨과 함께 후단부가 상기 후방회전아암의 전단부에 링크되어, 상기 후방회전아암의 회전에 따라 상기 코킹펀치를 하향 회전시키는 전방회전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너트 코킹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회전아암 또는 전방회전아암의 회전각도를 제한함으로써 코킹펀치로 제공되는 가압력을 조절하는 가압력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너트 코킹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력조절부는,
    상기 본체케이스의 상단에 고정되는 너트체와, 상기 너트체에 체결되어 본체케이스를 관통하되, 그 체결깊이에 따라 상기 후방회전아암 또는 전방회전아암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조절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너트 코킹기.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손잡이부와 작동손잡이부는 일정한 길이의 연장로드와, 상기 연장로드의 후단에 형성되는 파지용 손잡이로 각각 이루어지되,
    상기 연장로드는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분할되어 서로 조립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너트 코킹기.
  6. 삭제
KR1020120025961A 2012-03-14 2012-03-14 허브너트 코킹기 KR101162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961A KR101162901B1 (ko) 2012-03-14 2012-03-14 허브너트 코킹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961A KR101162901B1 (ko) 2012-03-14 2012-03-14 허브너트 코킹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2901B1 true KR101162901B1 (ko) 2012-07-05

Family

ID=46716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5961A KR101162901B1 (ko) 2012-03-14 2012-03-14 허브너트 코킹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29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63927A (zh) * 2015-12-22 2016-03-02 川铁电气(天津)股份有限公司 适用于管材类型材内壁压铆螺母的模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668B1 (ko) * 2007-09-18 2009-03-19 위아 주식회사 로크너트의 자동 코킹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668B1 (ko) * 2007-09-18 2009-03-19 위아 주식회사 로크너트의 자동 코킹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63927A (zh) * 2015-12-22 2016-03-02 川铁电气(天津)股份有限公司 适用于管材类型材内壁压铆螺母的模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39573A (zh) 一种手持式定扭矩电动扳手
CN103143924A (zh) 碳刷架扭簧自动装配机
CN208961432U (zh) 一种汽车组装生产线用具有压紧机构的螺栓拧紧装置
CN105563478B (zh) 一种用于机器人的远程传动系统
CN203712110U (zh) 自动焊机
CN104723007B (zh) 一种搅拌摩擦焊焊接轮毂的夹具
KR101162901B1 (ko) 허브너트 코킹기
CN105437129B (zh) 扭力输出工具
CN201998114U (zh) 一种手持式定扭矩电动扳手
CN203515394U (zh) 一种微型液压旋扣机
CN104552080A (zh) 利用电机驱动的旋转定位工装
CN204657820U (zh) 一种搅拌摩擦焊焊接轮毂的夹具
CN104972438B (zh) 动力工具
CN203156411U (zh) 一种齿轮箱三孔钻削工装锁紧装置
CN213165447U (zh) 一种机械自动化机械爪
CN204893825U (zh) 一种汽车转向管柱传动轴装配用防错位并齿工装
KR101642835B1 (ko) 수동식 차량시트 고정장치
CN201115936Y (zh) 一种零件的夹紧装置
CN204975969U (zh) 一种飞机释压活门组装工具
CN209935706U (zh) 用于前后端盖和机壳的铆合工装
CN209175239U (zh) 方向盘螺丝拧紧和开关导通一体机的螺丝拧紧组件
CN203993707U (zh) 用于安装手动变速器的操纵杆安装工具
CN209158192U (zh) 一种通用型曲轴紧固装置
CN104440253A (zh) 偏心夹紧机构
CA2914151C (en) Method for safely assembling a snow blower comprising a rotating dr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