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2085B1 - 전자 회로 키트 - Google Patents
전자 회로 키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62085B1 KR101162085B1 KR1020100130196A KR20100130196A KR101162085B1 KR 101162085 B1 KR101162085 B1 KR 101162085B1 KR 1020100130196 A KR1020100130196 A KR 1020100130196A KR 20100130196 A KR20100130196 A KR 20100130196A KR 101162085 B1 KR101162085 B1 KR 1011620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ail
- fastening hole
- electronic circuit
- connection
- wi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1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 G09B23/183—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for circuit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전자 회로 키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회로 키트는 복수개의 전자소자를 상호 통전시켜 전자 회로를 구성하도록, 상기 전자소자의 와이어의 끝단부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체결구멍을 갖는 작업판과, 상기 체결구멍에 삽입되며, 상기 전자소자의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못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회로 키트는 복수개의 전자소자를 상호 통전시켜 전자 회로를 구성하도록, 상기 전자소자의 와이어의 끝단부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체결구멍을 갖는 작업판과, 상기 체결구멍에 삽입되며, 상기 전자소자의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못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소자 및 와이어를 연결하여 전자회로 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회로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회로 교육을 위해서는 테스트기, 오실로스코프 등과 같은 측정기기와 납땜기, 땜납, 전선(도선), 니퍼, 기판, 땜납 흡입기, 브레드보드 등과 같은 전자재료와, 저항, 콘덴서, 반도체 IC, 다이오드 등의 전자소자가 사용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브레드보드(1)는 각종 전자소자를 이용하여 전자 회로를 구성하는데 이용된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자신이 소망하는 회로도를 작성하고, 그 회로도에 따라 각 전자소자를 브레드보드(1)의 핀구멍(2) 또는 핀블록(3a, 3b)의 핀구멍에 꽂은 후에 회로도에 도시된 대로 점프선 등을 이용하여 회로를 완성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브레드보드는 사용이 익숙하거나 회로에 대하여 전문지식 및 전문기능을 가지고 있는 숙련자라고 하더라도, 회로도의 모양대로 브레드보드(1)에 회로를 구성할 때, 전자소자의 리드선이 단순히 핀구멍에 꽂은 상태로 존재하여, 리드선이 핀구멍으로 빠지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효율성이 떨어지고, 조작이 매우 불편한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브레드보드는 단순히 핀구멍만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전자소자의 리드선 또는 전자소자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점프선 또는 도선을 깔끔하게 처리할 수 없고, 브레드보드의 표면으로부터 리드선 또는 도선이 제각각 굽어져 돌출되어, 복잡한 회로도를 구현할 때 리드선 또는 도선의 선처리가 불분명하여 직관적으로 회로 연결 상태를 사용자가 확인하기 매우 어렵고, 돌출된 리드선 또는 도선을 사용자의 부주위한 움직임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없는 단점을 갖는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전자소자를 조작하던 도중 손끝에 돌출된 리드선 또는 도선이 걸려 핀구멍으로부터 리드선 또는 도선이 이탈되면서 휘어지거나 회로 접속 상태가 망가지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고, 이런 경우 사용자가 리드선 또는 도선에 찔리는 안전사고도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브레드보드는 학습용이라는 명목 하에 출시되는 것은 아니며, 현장에서 사용되기 위하여 시판되는 것을 학교나 학원 및 개인이 학습을 위하여 별도로 구매한 후 학습용으로 사용하는 것이므로, 일반 학생들이 직관적으로 회로를 구성하고 전자소자를 탈부착시키거나 결합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는데 한계가 있고, 현장에서 사용되기 위한 용도로 제작되어 있고, 브레드보드용 액세서리(예: 점퍼 핀 세트 등)와 같은 부가물이 더 요구됨에 따라 키트 구성 비용 또는 제작 비용이 상대적으로 고가이므로 저렴한 전자 회로 키트로서 사용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체결구멍과 연장홈을 갖는 작업판과, 체결구멍에 결합될 연결못에 의해, 리드선 또는 도선을 포함한 와이어와의 체결 상태를 상대적으로 견고하게 하고 와이어를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고, 직관적으로 전자소자의 전기적 결합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전자 회로 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체결구멍용 연결못을 통해 전기소자의 와이어간 통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결과적으로 전자 회로 자체를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음에 따라 경제적으로 제작될 수 있는 전자 회로 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개의 전자소자를 상호 통전시켜 전자 회로를 구성하도록, 상기 전자소자의 와이어의 끝단부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체결구멍을 갖는 작업판과, 상기 체결구멍에 삽입되며, 상기 전자소자의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못을 포함하는 전자 회로 키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수개의 전자소자를 상호 통전시켜 전자 회로를 구성하도록, 상기 전자소자의 와이어의 끝단부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체결구멍을 갖는 작업판과, 상기 체결구멍에 삽입되며, 상기 전자소자의 와이어를 고정하는 연결못과, 상기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체결구멍 또는 상기 연결못에 제공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회로 키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는 상기 연결못의 표면에 형성된 금속 코팅층과 상기 체결구멍의 내주면에 형성된 금속 코티층 및 상기 체결구멍에 안착되는 와셔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작업판에는 상기 체결구멍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체결구멍 중 다른 하나를 연결하며, 상기 전자소자의 와이어가 하나 이상 안착될 수 있는 폭과 깊이를 갖는 연장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못은 상기 체결구멍에 삽입된 상기 전자소자의 와이어를 상기 체결구멍의 내주면 쪽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못은 상기 연결못의 상부에 가압면 형상이 형성된 헤드부위와,
상기 헤드부위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평단면적을 갖는 끼움부위와, 상기 헤드부위와 상기 끼움부위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못의 길이방향의 중간 위치에서 상기 연결못의 직경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하나 이상의 여유구멍을 갖고, 상기 끼움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팽출된 마찰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못은 상기 연결못의 상부에 가압면 형상이 형성된 헤드부위와,
상기 헤드부위의 하부에 제공되며 하협상광 단면 형상 또는 웨지(wedge)형 단면 형상을 갖는 체결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못을 가압하여 상기 체결구멍에서 분리시키도록, 판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중간 부위가 곡선의 홈을 갖도록 함몰된 누름부를 갖는 연결못 분리도구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회로 키트에 의하면, 전자소자의 리드선 또는 도선에 해당하는 와이어를 체결구멍에 꽂은 상태에서 연결못으로 고정함과 함께 전기적 통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판에 별도의 전기통전용 부재를 가설할 필요 없이 작업판을 간소하게 구성할 수 있어 전자 회로를 경제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연결못에 의해 리드선 또는 도선이 체결구멍으로 잘 빠지지 않게 되어, 상대적으로 전체적인 회로 구성 작업을 안정되게 수행할 수 있고, 리드선 또는 도선이 빠져나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재작업 시간을 줄이면서 사용자의 집중력을 유도함에 따라 부가적으로 학습 효율성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체결구멍과 연장홈을 갖는 작업판과, 체결구멍에 결합될 연결못을 제공하여, 리드선 또는 도선과 결합 상태를 깔끔하게 정리하여, 직관적으로 전자소자간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핀블록을 확대 도시한 브레드보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연결못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작업판의 체결구멍을 보인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체결구멍에서 와이어와 연결못과 와셔의 결합 상태 및 연결못 분리도구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작업판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작업판의 체결구멍을 보인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선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체결구멍에서 와이어와 연결못의 결합 전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7의 체결구멍에서 와이어와 연결못의 결합 후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연결못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체결구멍을 보인 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체결구멍에서 와이어와 연결못과 부싱 형상의 금속 코팅층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연결못과 와이어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연결못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작업판의 체결구멍을 보인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체결구멍에서 와이어와 연결못과 와셔의 결합 상태 및 연결못 분리도구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작업판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작업판의 체결구멍을 보인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선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체결구멍에서 와이어와 연결못의 결합 전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7의 체결구멍에서 와이어와 연결못의 결합 후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연결못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체결구멍을 보인 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체결구멍에서 와이어와 연결못과 부싱 형상의 금속 코팅층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연결못과 와이어의 결합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하기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작업판과 연결못과 체결구멍과 연장홈을 이용하여 전자소자의 다리 또는 전자소자의 리드선 혹은 점프선과 같은 도선(이하, 설명의 용이성을 위하여 '와이어'로 통칭함)을 상호 통전시켜, 전자회로를 교육 용도로 구성 및 해체할 수 있는 키트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연결부재는 와셔, 금속코팅층을 의미할 수 있다.
도면 전반에 걸쳐 동일한 구성으로 이해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하기의 실시예들은 해당 구성요소를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 또는 형태 또는 재질을 포함하여 제작될 수 있고, 규격, 종류 등에 한정되지 않고, 기본적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키트라면 하기의 실시예들을 통해 적용 또는 변형될 수 있음도 분명히 밝혀둔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회로 키트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플라스틱 재질의 연결못(200)과, 전자소자의 와이어(400, 41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재의 일종인 금속 재질의 와셔(300)를 이용하여, 작업판(100)의 체결구멍(110)에 와이어(400, 410)를 끼워 전기적으로 통전 및 연결되게 하면서, 그 연결 상태를 연결못(200)으로 취부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와이어(400, 410)는 전자소자의 다리 또는 도선 등을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작업판(100)은 직사각형, 원형, 육각형 등의 다양한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작업판(100)은 복수개의 체결구멍(110)과, 체결구멍(110) 사이에 상호 연결되게 연장된 하나 이상의 연장홈(120)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체결구멍(110)은 와셔(3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작업판(100)의 표면에 비해 함몰된 와셔안착홈부(111)와, 와셔안착홈부(111)의 안쪽에서 작업판(100)의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구멍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와셔안착홈부(111)는 체결구멍(110)의 구멍부(112)의 상측 입구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연장홈(120)은 일측 체결구멍(110)을 기준으로 직교방향 또는 사선방향을 따라 타측 체결구멍까지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연장홈(120)은 전자소자의 와이어(400, 410) 하나 이상이 안착될 수 있는 폭과 깊이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즉, 각각의 연장홈(120)은 전자소자의 와이어(400, 410)가 지나갈 수 있고, 연장홈(120)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와이어(400, 410)를 고정시키는 역할도 담당할 수 있다.
연결못(200)은 체결구멍(110)의 개수 또는 그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체결구멍(110)에 끼움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헤드부위(210), 끼움부위(220), 마찰부위(230)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못(200)은 일종의 고정못과 같은 역할을 하되, 특히 원형으로 팽출된 마찰부위(230)가 잠금 역할을 하여, 체결구멍(110)에서 전자소자의 와이어(400, 410)의 삽입된 부위와의 결속력을 유지할 수 있다.
와셔(300)는 체결구멍(110)의 와셔안착홈부(111)에 안착되어, 와셔(300)에 접촉된 와이어(400, 410)간 전기적 통전을 담당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또한, 와셔(300)는 그의 외표면에 금속 코팅층을 형성하고 있을 수 있다.
와셔(300)는 억지끼움결합 또는 접착결합에 의해 체결구멍(110)의 와셔안착홈부(111)에 고정되어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또는, 와셔(300)는 와셔안착홈부(111)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갖도록 제작되어, 자유롭게 와셔안착홈부(111)에 취부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연결못의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연결못(200)은 연결못(200)의 상부에 형성되고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는 형상 또는 가압면 형상을 갖는 헤드부위(210)와, 상기 헤드부위(210)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위(2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평단면적을 갖는 끼움부위(220)와, 상기 헤드부위(210)와 상기 끼움부위(220)의 사이에 형성된 마찰부위(230)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헤드부위(210)는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연결못(200)을 잡아 취부시키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헤드부위(210)가 가압면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연결못(200)을 누르거나, 손가락 끝으로 헤드부위(210)의 테두리 아래쪽을 잡아 당겨 연결못(200)을 분리시키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연결못(200)은 연결못(200)의 길이방향의 중간 위치에서 연결못(200)의 직경방향으로 하나 이상 관통된 여유구멍(231, 232)을 가지고 있고, 끼움부위(220)에 비해 상대적으로 팽출된 마찰부위(230)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여유구멍(231, 232)은 교차되어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마찰부위(230)는 체결구멍(110)에 삽입될 때, 여유구멍(231)을 이용하여 탄성반발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작업판의 체결구멍을 보인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 또는 도 5를 참조하면, 작업판(100)은 체결구멍(110) 및 그 주변을 하나의 단위 세그먼트로 하여, 복수개로 반복된 단위 세그먼트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단위구역별 체결구멍(110)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와셔안착홈부(111)와 구멍부(112)가 형성되고, 와셔와 연결못을 이용하여 전자소자의 와이어들이 상호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와셔안착홈부(111)는 연장홈(120)보다 상대적으로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소자의 와이어(400, 410)가 연장홈(120)을 따라 배치된 후 와셔안착홈부(111)에 놓일 와셔(300)에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관계와 사용방법은 도 6을 통해 설명될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체결구멍에서 와이어와 연결못과 와셔의 결합 상태 및 연결못 분리도구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작업판(100)의 체결구멍(110)에서 도체로 되어 있는 와셔(300)의 구멍 안쪽으로 전자소자의 와이어(400, 410)의 끝단부를 구부려 삽입 및 안착시킨다.
이후, 삽입된 와이어(400, 410)의 끝단부 사이를 기준으로 사용자는 연결못(200)의 끼움부위(220) 및 마찰부위(230)를 체결구멍(110)의 구멍부(112)에 삽입한다.
연결못(200)은 여유구멍(232)에서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끼움부위(220)의 직경이 줄어들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플라스틱 재질의 특성에 따른 탄성반발력이 마찰부위(230)에 발생되고, 상기 탄성반발력과 접촉에 의한 마찰력을 이용하여, 전자소자의 와이어(400, 410)의 꺾인 부위가 와셔(300)에 밀착 및 접촉되게 하고, 와이어(400, 410)의 끝단부가 와셔(300)의 구멍에서 분리되지 않게 해준다.
이렇게, 전자소자의 와이어(400, 410)는 와셔(300)를 통해 통전될 수 있고, 연결못(2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체결구멍(110)에 끼워지지 않은 와이어(400, 410)의 다른 부위를 손가락으로 눌러 연장홈(120)에 삽입되게 하면서, 상기 체결구멍(110) 주변의 다른 체결구멍까지 연장홈(120)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렇게 와이어(400, 410)를 깔끔하게 연장홈(120)에 의해 정리할 수 있고, 사용자가 작업판(100)을 위에서 보았을 때, 와이어(400, 410)에 의해 연결되는 전기적 흐름이 한 눈에 파악되므로, 직관적으로 와이어(400, 410)의 연결방향 또는 와이어(400, 410)의 전자소자의 회로 연결 상태가 연장홈(120)을 따라 직관적으로 인식될 수 있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연결못(200)을 헤드부위(210)를 잡아당겨 체결구멍(110)에서 분리할 경우, 전자소자의 와이어(400, 410)가 물리적으로 전기적으로 상호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해 연결못 분리도구(5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못 분리도구(500)는 사용자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도록 판상 형태로 형성된 몸체부(510)와, 몸체부(510)의 중간 부위가 곡선의 홈을 갖도록 함몰된 누름부(520)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있을 수 있다.
누름부(520)는 홈 형상을 통해 연결못(200)의 하부 끝단이 좌우로 미끄러지지 않게 수납한 상태에서, 연결못(200)의 상부 쪽으로 사용자의 가압력을 전달하는 용도로 사용됨에 따라, 연결못(200)을 체결구멍(110)에서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한 다른 실시예는 도 7 내지 도 11을 통해 알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작업판의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작업판(100a)은 앞서 실시예와 달리 와셔와 와셔안착홈부가 없는 복수개의 체결구멍(110a)과, 이들 체결구멍(110a) 사이에서 직교방향 또는 사선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된 복수개의 연장홈(120)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업판(100a)의 체결구멍(110a)과 연장홈(120)의 형상은 도 8과 도 9를 통해 이해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작업판의 체결구멍을 보인 확대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선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체결구멍(110a)은 작업판(100a)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고, 체결구멍(110a)의 상부 구멍 입구에서 연장홈(120)과 관통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때, 별도의 도선 연결용 부재(예: 와셔)는 사용하지 않은 대신, 도 10 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못(200)의 마찰부위(230)의 여유구멍(231, 232)을 이용하여, 전자소자의 와이어(400, 410)의 끝단부를 상호 겹치게 하여, 그 겹친 부위가 직접 접촉 및 통전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10은 도 7의 체결구멍에서 와이어와 연결못의 결합 전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7의 체결구멍에서 와이어와 연결못의 결합 후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호 통전시키려는 일측 전자소자의 와이어(400)의 끝단부와, 타측 전자소자의 와이어(410)의 끝단부를 연결못(200)의 마찰부위(230)의 여유구멍(231)에 삽입하여 상호 겹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는 와이어(400, 410)간 접촉은 불안전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작업자가 연결못(200)의 헤드부위(210) 상면을 손가락으로 눌러 끼움부위(220)와 마찰부위(230)를 체결구멍(110a) 삽입시킬 경우, 상기 여유구멍(231) 내에서 겹쳐진 와이어(400, 410)의 해당 부위가 여유구멍(231)의 상부 내측면에 의해 눌려 상호 결속되게 변형되면서, 적어도 연결못(200)을 체결구멍(110a)에서 분리하기 전까지 고착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런 고착 상태는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즉, 고착 상태에서 겹쳐진 와이어(400, 410)는 연결못(200)의 마찰부위(230)에 의해 체결구멍(110a)에 결속 및 고착되어서 상호 견고하게 직접 접촉함으로써, 와이어(400, 410)의 일측 전자소자와 타측 전자소자가 상호 통전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른 방향으로 놓인 전자소자의 와이어(도시 안됨)가 연결못(200)에 형성된 다른 여유구멍(232)을 통해 삽입될 경우, 상기 와이어(400, 410)와 함께 교차된 접촉 상태가 될 수 있어서 상호 통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는 연결부재에 해당하는 금속 코팅층을 연결못에 적용한 방식으로, 전자소자의 와이어를 상호 통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연결못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작업판(100a)과, 그의 체결구멍(110a) 또는 연장홈(120)을 가질 수 있고, 하기의 실시예들에서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 그의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못(200a)은 연결못(200a)의 헤드부위(210)를 제외한 끼움부위(220)와 마찰부위(230)의 표면에 연결부재인 금속 코팅층(240)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응용할 경우, 금속 코팅층(240)은 연결못(200a)의 전체 표면에도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런 경우, 전자소자의 와이어(400, 410)의 끝단부가 사용자에 의해 구부려져 체결구멍(110a)에 삽입된 후, 금속 코팅층(240)을 갖는 연결못(200a)이 와이어(400, 410) 사이를 기준으로 체결구멍(110a)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못(200a)의 마찰부위(230)에 의해 와이어(400, 410)가 체결구멍(110a)에 결속될 수 있고, 연결못(200a)의의 금속 코팅층(240)에 의해 상호 통전될 수 있다.
또한, 전자소자의 와이어(400, 410)는 연장홈(120)에 안착될 수 있고, 다른 방향에서 온 와이어도 연결못(200a)의 금속 코팅층(240)에 접촉하도록 체결구멍(110a)에 끼워져서 상호 통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역시 다른 실시예는 연결부재에 해당하고 부싱 형상을 갖는 금속 코팅층을 체결구멍 내주면에 적용한 방식으로, 전자소자의 와이어를 상호 통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체결구멍을 보인 확대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형상과 작용의 연장홈(120)을 갖는 작업판(100b)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작업판(100b)의 체결구멍(110b)의 내주면에는 연결부재인 금속 코팅층(113)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금속 코팅층(113)은 외형적으로 볼 때 부싱(bushing)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앞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못(200)과 체결구멍(110b)을 체결할 경우, 부싱 형상의 금속 코팅층(113)은 그에 접촉하는 전자소자의 와이어를 상호 전기적으로 통전시키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아울러, 부싱 형상의 금속 코팅층(113)은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앞서 설명한 [실시예 1]의 체결구멍(110)의 구멍부(112)의 내주면 또는 내주면과 연결된 주변 부위에도 형성될 수 있도록 응용될 수 있다.
도 14는 도 13의 체결구멍에서 와이어와 연결못과 부싱 형상의 금속 코팅층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전자소자의 와이어(400, 410)의 끝단부가 사용자에 의해 구부러져 부싱 형상의 금속 코팅층(113) 안쪽으로 체결구멍(110b)에 삽입될 경우, 와이어(400, 410)는 부싱 형상의 금속 코팅층(113)을 통해 통전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후, 연결못(200)이 작업자에 의해 체결구멍(110b)에 끼워질 경우, 연결못(200)의 마찰부위(230)가 와이어(400, 410)의 삽입된 부위를 금속 코팅층(113) 쪽으로 가압 및 밀착시킴으로써, 상호 통전 상태 및 결속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연결못 자체가 금속 또는 도체 재질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연결못과 와이어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연결못(200b)은 금속 또는 도체 재질로 통전 가능하게 제작되어 있을 수 있다.
특히, 연결못(200b)은 연결못(200b)의 상부에 형성되고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는 형상 또는 가압면 형상을 갖는 헤드부위(210)와, 헤드부위(210)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체결부위(250)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위(250)는 하협상광 단면 형상 또는 끼움쇠와 같은 웨지(wedge)형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즉, 연결못(200b)에서는 그의 헤드부위(210)와 체결부위(25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플라스틱 재질에 비해 잦은 사용에도 표면 부위가 변형이 적은 바와 같이 내구성이 뛰어날 수 있다.
이런 경우, 연결못(200b)도 전자소자의 와이어(400, 410)의 구부려진 끝단부 사이를 기준으로 작업판(100a)의 체결구멍(110a)에 삽입되어, 와이어(400, 410)를 상호 통전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100a, 100b : 작업판 110, 110a, 110b : 체결구멍
120 : 연장홈 200, 200a, 200b : 연결못
210 : 헤드부위 220 : 끼움부위
230 : 마찰부위 300 : 와셔
400, 410 : 와이어 500 : 연결못 분리도구
120 : 연장홈 200, 200a, 200b : 연결못
210 : 헤드부위 220 : 끼움부위
230 : 마찰부위 300 : 와셔
400, 410 : 와이어 500 : 연결못 분리도구
Claims (8)
- 복수개의 전자소자를 상호 통전시켜 전자 회로를 구성하도록, 상기 전자소자의 와이어의 끝단부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체결구멍을 갖는 작업판과,
상기 체결구멍에 삽입되며, 상기 전자소자의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못을 포함하되,
상기 작업판에는,
상기 체결구멍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체결구멍 중 다른 하나를 연결하며, 상기 전자소자의 와이어가 하나 이상 안착될 수 있는 폭과 깊이를 갖는 연장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회로 키트.
- 복수개의 전자소자를 상호 통전시켜 전자 회로를 구성하도록, 상기 전자소자의 와이어의 끝단부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체결구멍을 갖는 작업판과,
상기 체결구멍에 삽입되며, 상기 전자소자의 와이어를 고정하는 연결못과,
상기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체결구멍 또는 상기 연결못에 제공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작업판에는,
상기 체결구멍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체결구멍 중 다른 하나를 연결하며, 상기 전자소자의 와이어가 하나 이상 안착될 수 있는 폭과 깊이를 갖는 연장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회로 키트.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연결못의 표면에 형성된 금속 코팅층과 상기 체결구멍의 내주면에 형성된 금속 코티층 및 상기 체결구멍에 안착되는 와셔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자 회로 키트.
- 삭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못은,
상기 체결구멍에 삽입된 상기 전자소자의 와이어를 상기 체결구멍의 내주면 쪽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회로 키트.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못은,
상기 연결못의 상부에 가압면 형상이 형성된 헤드부위와,
상기 헤드부위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평단면적을 갖는 끼움부위와,
상기 헤드부위와 상기 끼움부위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못의 길이방향의 중간 위치에서 상기 연결못의 직경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하나 이상의 여유구멍을 갖고, 상기 끼움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팽출된 마찰부위를 포함하는
전자 회로 키트.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못은,
상기 연결못의 상부에 가압면 형상이 형성된 헤드부위와,
상기 헤드부위의 하부에 제공되며 하협상광 단면 형상 또는 웨지(wedge)형 단면 형상을 갖는 체결부위를 포함하는
전자 회로 키트.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못을 가압하여 상기 체결구멍에서 분리시키도록, 판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중간 부위가 곡선의 홈을 갖도록 함몰된 누름부를 갖는 연결못 분리도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회로 키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30196A KR101162085B1 (ko) | 2010-12-17 | 2010-12-17 | 전자 회로 키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30196A KR101162085B1 (ko) | 2010-12-17 | 2010-12-17 | 전자 회로 키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68533A KR20120068533A (ko) | 2012-06-27 |
KR101162085B1 true KR101162085B1 (ko) | 2012-07-04 |
Family
ID=46687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30196A KR101162085B1 (ko) | 2010-12-17 | 2010-12-17 | 전자 회로 키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62085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22775U (ko) * | 1980-07-16 | 1982-02-05 |
-
2010
- 2010-12-17 KR KR1020100130196A patent/KR10116208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22775U (ko) * | 1980-07-16 | 1982-02-0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68533A (ko) | 2012-06-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029776B1 (en) | Conductive wire connection structure of rail-type electrical terminal | |
US20090298023A1 (en) | Electrical Components and Bread-Board for Electrical Circuit Study Kit | |
US20150064990A1 (en) | Alligator clip | |
EP2869410A1 (en) | A plug-in device having a foldable plug | |
JP2001044506A (ja) | 発光ダイオードの固定構造 | |
KR101162085B1 (ko) | 전자 회로 키트 | |
TW200816568A (en) | Circuit board-type connector | |
EP3540863B1 (en) | Semi-automatic connector for flexible circuit | |
JP6792221B2 (ja) | 取付具 | |
JP2013114970A (ja) | 電気配線用クリップ | |
CN207456486U (zh) | 连接端子及传感器 | |
JP5822598B2 (ja) | 小型電機部品に使用する端子接続構造 | |
JP2006319118A (ja) | 基板の接続構造 | |
JP3172922U (ja) | 電線接続用圧着工具 | |
KR100853345B1 (ko) | 단자대 모듈의 단자핀 결합구조 | |
JP2020198670A (ja) | フラットハーネス取付構造、フラットハーネス取付部品及び取付部品付フラットハーネス | |
CN110234925A (zh) | 照明模块、照明系统以及用于组装照明系统的方法 | |
WO1999010748A1 (fr) | Tete de verification | |
WO2014123431A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a soft and flexible circuit to a connector | |
JPH071742Y2 (ja) | 計測器用コネクタ | |
KR200261721Y1 (ko) | 전자회로 조립블록의 전선 연결블록 | |
JP2017183211A (ja) | アース端子の接続構造 | |
EP0807993A3 (de) | Kontaktbauteil für einen elektrischen Steckverbinder | |
KR20030027634A (ko) | 전자회로 조립블록의 전선 연결블록 | |
JPH0433672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