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9485B1 - 폐해수를 이용한 함초의 재배방법 및 이에 의해 재배된 함초 - Google Patents

폐해수를 이용한 함초의 재배방법 및 이에 의해 재배된 함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9485B1
KR101159485B1 KR1020100122037A KR20100122037A KR101159485B1 KR 101159485 B1 KR101159485 B1 KR 101159485B1 KR 1020100122037 A KR1020100122037 A KR 1020100122037A KR 20100122037 A KR20100122037 A KR 20100122037A KR 101159485 B1 KR101159485 B1 KR 101159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eed
crop
cultivation
cultivating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2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0503A (ko
Inventor
김현철
Original Assignee
김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철 filed Critical 김현철
Priority to KR1020100122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9485B1/ko
Publication of KR20120060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0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9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9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2Treatment of plants with carbon dioxid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ydroponics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함초에 폐해수를 공급하여 수경으로 재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초의 재배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구성에 의하면 염분을 제거하는 공정이 필요하지 않고 폐해수에 함유된 각종 미네랄 및 유용성분을 함유한 함초를 친환경적으로 대량으로 재배할 수 있으며, 특히 각종 미네랄류와 같은 기능성 물질의 함량을 극대화할 수 있어 부가가치가 높고 안전하게 식용할 수 있는 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폐해수를 이용한 함초의 재배방법 및 이에 의해 재배된 함초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폐해수를 이용한 함초의 재배방법 및 이에 의해 재배된 함초{CULTURING METHOD OF SALICORNIA HERBACEA USING WASTED SEA WATER AND THE SALICORNIA HERBACEA PRODUCED THEREBY}
본 발명은 폐해수를 이용한 함초의 재배방법 및 이에 의해 재배된 함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염분을 제거하는 공정이 필요하지 않고 폐해수에 함유된 각종 미네랄 및 유용성분을 함유한 함초를 친환경적으로 대량으로 재배할 수 있으며, 특히 각종 미네랄류와 같은 기능성 물질의 함량을 극대화할 수 있어 부가가치가 높고 안전하게 식용할 수 있는 폐해수를 이용한 함초의 재배방법 및 이에 의해 재배된 함초에 관한 것이다.
함초(SALICORNIA HERBACEA)는 우리나라의 울릉도와 중부지방, 남부서해안의 강하구나 갯벌 및 염전부근에서 자생하는 내염성 식물로서 명아주과의 1년생 초본으로 잎이 없는 식물이며 통통한 마디가 있기 때문에 퉁퉁마디라 부르며 민물과 바닷물이 교차하는 들녘에 자란다. 높이는 10~30cm로 둥근 나무형이며 마주 달린 가시가 많이 있고 원줄기는 짙은 녹색에 두드러진 마디가 많이 있고 짠맛이 나며, 7-9월에 녹황색 꽃이 피고 10월에 납작하고 까만 열매가 맺히며 가을이 되면 함초 전체가 붉은 홍자색으로 변한다. 함초는 미네랄과 각종 아미노산 등의 영양물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고, 그 맛은 비록 짜지만 단맛을 갖고 있어 기호성의 측면에서도 우수하여 향후 가공식품의 원료로서 많은 수요가 예상되고 있다.
하지만, 함초가 갖는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함초에 대한 인공재배방법이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더욱이 노지에서 재배되고 있는 함초의 경우 불순물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위험성이 높아 식용에 있어 안전성이 문제시 되고 있는 실정에서, 안전하게 식용할 수 있으면서 보다 부가가치가 높은 작물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기능성 물질의 함량이 증진되면서 시식부위의 생장율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인공재배방법이 요구되어진다.
일반적으로 해수는 다양한 미네랄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소금을 생산하고 남은 폐해수의 경우 현재 전량 폐기하고 있는 상황에서 폐해수내에는 여전히 많은 종류와 함량의 영양성분 및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 전량 폐기해 오던 폐해수를 이용하므로 경제적이면서도 친환경적이며, 다량의 미네랄을 포함하는 기능성 물질을 작물의 생육시 체내로 유입시킬 수 있다면 고부가가치의 작물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이를 이용한 작물의 재배방식은 염류장애로 인하여 대부분의 식물이 생장하기 어려워(함초의 경우 내염성 식물이라고는 하지만 지속적인 노출은 생장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다), 염분을 제거하는 공정을 거치거나 희석하는 공정을 거쳐 재활용되는 것이 대부분이며, 현재 이러한 방식으로 작물을 재배하는 방법은 연구실 수준에서 실험적으로 진행되고 있을 뿐 실제로 작물을 재배하여 양산하고 있는 곳은 한군데도 보고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염분을 제거하는 공정이 필요하지 않고 폐해수에 함유된 각종 미네랄 및 유용성분을 함유한 함초를 친환경적으로 대량으로 재배할 수 있으며, 특히 각종 미네랄류와 같은 기능성 물질의 함량을 극대화할 수 있어 부가가치가 높고 안전하게 식용할 수 있는 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폐해수를 이용한 함초의 재배방법 및 이에 의해 재배된 함초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은 수단에 의해 달성되어진다.
(1) 함초에 폐해수를 공급하여 수경으로 재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초의 재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재배실 온도는 20~25℃로 유지하고, 습도는 60~70%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초의 재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재배실의 CO2의 농도는 300~500ppm, O2는 18~25%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초의 재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배양액의 pH는 7.0~8.0, 배양액의 온도는 18~22℃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초의 재재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폐해수는 파종에서 정식에 이르는 기간 동안 2~6배 희석액으로 공급하고, 수확전까지 원액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초의 재재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파종 후 암발아 과정과 광발아 과정을 거쳐 발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초의 재재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파종 및 발아단계에서 인공조명으로 형광등을 사용할 경우 작물로부터 3~5cm, 엘이디등을 사용할 경우 작물로부터 15~20cm로 높이를 조정하고, 육묘 및 녹화단계에서 인공조명으로 형광등을 사용할 경우 작물로부터 5~10cm, 엘이디등을 사용할 경우 작물로부터 20~30cm로 높이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초의 재재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정식단계에서 인공조명으로 형광등을 사용할 경우 작물로부터 15~20cm, 엘이디등을 사용할 경우 작물로부터 25~35cm로 높이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초의 재재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정식단계 이후 수확단계 까지 인공조명으로 형광등을 사용할 경우 작물로부터 25~30cm, 엘이디등을 사용할 경우 작물로부터 35~50cm로 높이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초의 재재방법.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에 의해 재배된 함초.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염분을 제거하는 공정이 필요하지 않고 폐해수에 함유된 각종 미네랄 및 유용성분을 함유한 함초를 친환경적으로 대량으로 재배할 수 있으며, 특히 각종 미네랄류와 같은 기능성 물질의 함량을 극대화할 수 있어 부가가치가 높고, 불순물이 함유되지 않아 안전하게 식용할 수 있는 함초를 재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함초의 재배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함초의 재배공정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함초의 재배방법은 폐해수를 공급하여 수경으로 재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할 폐해수는 일반적으로 바다에서 얻어지는 통상적인 의미의 해수 뿐만 아니라 영양염류가 풍부한 해양심층수로부터 소금을 생산하고 남은 폐수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해수 1kg에는 통상적으로 염화나트륨 27.1g, 염화마그네슘 3.8g, 황산마그네슘 1.7g, 황산칼슘 1.3g, 황산칼륨 0.9g, 기타 염류 0.2g을 포함하고, 이 밖에 질소, 산소, 이산화탄소 등의 기체가 용해되어 있다. 이들 해수로부터 소금을 얻고 남은 폐해수는 여전히 다양한 무기양분 공급효과(생육촉진, 고품질화, 토양미생물 활성화, 유기물 발효촉진 등), 염소효과(광합성 촉진, 병 발생 억제 등), 염스트레스 억제효과(항산화기능, 삼투압조절기능 등), 병해충 및 잡초제거 효과가 커 친환경 농업에 활용가치가 매우 높다.
또한 폐해수에는 인체에 유익한 미네랄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항종양 효과와 중금속 해독작용 등 다양한 효과가 있는 게르마늄(Ge), 골격과 치아구성에 필수 성분인 마그네슘(Mg), 삼투압조절을 하는 칼륨(K), 혈액응고 작용을 하는 칼슘(Ca) 이밖에 콜라겐 합성, 헤모글로빈 합성을 촉진하는 구리(Cu)가 들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재배초기에 원수와 폐해수를 혼합한 희석액을 사용하여 염에 대한 저항성을 부여하면서, 일정시기에 이르러 폐해수 100%로 이루어진 원액을 배양액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수는 수돗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배양액의 제조이전에 2~3일간 방치하여 염소를 제거하여 주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함초의 수경재배에 사용되는 배양액은 제조시 바람직하게는 pH는 7.0~8.0, 온도는 18~22℃로 유지한다. 또한 배양액에 유기농 비료가 첨가될 경우에는 전기전도도 Ec가 15±3.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초는 pH와 온도에 매우 민감한 작물로 상기 조건을 벗어날 경우 수경재배를 통한 작물의 생육은 어렵게 된다.
함초의 재배는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에서와 같이 밀폐된 환경에서 다단선반 위에서 재배하며, 이때 재배실의 온도는 20~25℃로 유지하고, 습도는 60~70%로 유지한다. 또한 재배실의 CO2의 농도는 300~500ppm, O2의 농도는 18~25%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건은 함초의 생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것으로, 만일 재배실의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및 산소의 농도가 상기 범위를 미달하거나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초의 생산량을 극대화할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다단선반 위에서 재배하므로 재배과정에서 선반마다 온도의 차이가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각 선반마다 작물의 재배환경이 상이하여 생산량에 차이를 가져오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에 따른 함초의 재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밀폐형 수경재배장치(100)를 이용할 수 있다.
함초의 재배장치는 폐해수탱크(10), 원수탱크(11), 유기농비료탱크(13), 산탱크(14)로 이루어지는 원료공급부, 상기 각 원료를 각각 혼합탱크에 투입하기 위한 공급펌프(10a,11a,12a,13a) 및 배양액의 개폐 및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10b,11b,12b,13b), 상기 공급펌프(10a,11a,12a,13a)를 통해 공급되어지는 각각의 원료를 혼합하여 배양액으로 제조하는 혼합탱크(20), 상기 혼합탱크로부터 배양액을 밀폐형 재배공간에 공급하는 펌프(20a), 상기 펌프(20a)로부터 공급되는 배양액의 유량개폐 및 제어를 위한 밸브(20b) 및 밀폐형 재배공간 내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제어하기 위한 CO2 펌프(40)를 포함하며, 상기 밀폐형 재배공간에는 함초를 수경재배하기 위한 재배용 선반(31)이 다단으로 장착된 다단선반(30) 및 상기 재배용 선반(31) 위에 설치되어 광을 공급하는 인공조명(32)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혼합탱크(20)에서 제조된 배양액을 각 다단선반(30)의 각 선반(31)에 공급하는 과정은 타이머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인공조명(32)은 함초의 배양단계에 따라 수동 내지 자동으로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는 파종 후 발아유도에 있어서 중요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생육과정에서 재배기간의 단축 내지 기능성 물질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데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함초의 재배과정별로 단계를 구분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파종 및 발아단계]
함초의 파종 및 발아단계에서 배양액으로는 폐해수를 4 내지 6배, 바람직하게는 5배 희석액으로 하여 공급한다. 이 단계에서는 인공조명(32)이 형광등일 경우 작물로부터 높이를 3~5cm로 조정하고, 엘이디(LED)인 경우 작물로부터 15~20cm로 높이를 조정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인공조명의 높이가 3cm(엘이디의 경우 15cm) 미만일 경우에는 인공조명의 발열로 인하여 발아의 속도가 1~2일 정도 늦추어 지거나 종자의 수량이 약 5~10% 감소하게 되는 문제가 있고, 5cm(엘이디의 경우 20cm)를 넘게 되면 발아의 속도가 1~3일 정도 늦추어 지는 현상이 나타나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파종/발아 단계에서 암발아 조건 2~4일, 광발아 조건 4~10일을 둘 경우 노지재배시의 발아율인 40%에 비하여 두배 이상 높은 80% 이상의 발아율을 얻을 수 있다.
[육묘 및 녹화단계]
육묘 및 녹화단계는 파종 후 5~10일에 진행되어지며 이 과정에서 함초의 수경재배를 위한 배양액으로는 폐해수를 4 내지 6배, 바람직하게는 5배 희석액으로 하여 공급한다. 이 단계에서는 인공조명(32)이 형광등일 경우 작물로부터 높이를 5~10cm로 조정하고, 엘이디(LED)인 경우 작물로부터 20~30cm로 높이를 조정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인공조명의 높이가 5cm(엘이디의 경우 20cm) 미만일 경우에는 인공조명의 발열로 인해 발아의 속도가 늦추어 지거나 종자의 수량이 감소하게 되는 문제가 있고, 10cm(엘이디의 경우 30cm)를 넘게 되면 1차 정식으로 가기에 적합한 생육상태, 즉 육묘/녹화 단계보다 고농도의 염분에 견디는 내성이 줄어들어 1차 정식 후 10~15cm의 거리에서 1차 정식한 작물의 재배수보다 10~20% 감소하게 되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와 같은 단계를 거쳐 함초는 더 높은 염분에서 견딜 수 있게 되어 재배과정에서 폐해수가 함유한 각종 기능성 물질을 보다 많이 함유할 수 있는 선행조건을 제공받게 된다.
[정식단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식단계는 1차 정식과 이에 이은 2차 정식과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1차 정식은 파종 후 16~20일에 그리고 2차 정식은 파종 후 30~50일에 진행되어지며, 이 과정에서 함초의 수경재배를 위한 배양액으로는 폐해수를 2~3배, 바람직하게는 2배 희석액으로 하여 공급한다. 정식단계에서는 인공조명(32)이 형광등일 경우 작물로부터 높이를 15~20cm로 조정하고, 엘이디(LED)인 경우 작물로부터 25~35cm로 높이를 조정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정식과정에 의해 함초의 재배기간을 보다 단축할 수 있고, 기능성 물질의 함량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부위별 및 기능성 물질의 집중촉진 단계]
이 단계는 함초의 수확 전 단계로서 생육중인 함초에 염스트레스를 가하여 시식할 수 있는 부위의 생육을 촉진하거나 기능성 물질을 보다 많이 함유하도록 한다. 즉 이 단계를 통해 시식 부위에 따라 줄기와 잎의 생장율 및 기능성 물질의 함유량을 조절하여 작물의 가치를 제고시킬 수 있다. 이 단계는 파종 후 60~65일에 진행되어지며 이 과정에서 함초의 수경재배를 위한 배양액으로는 폐해수를 원액(100%)으로 공급한다. 이 단계에서는 인공조명(32)이 형광등일 경우 작물로부터 높이를 25~30cm로 조정하고, 엘이디(LED)인 경우 작물로부터 35~50cm로 높이를 조정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정에 의하여 함초를 재배할 경우 염분을 제거하는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지 않고 폐해수에 함유된 각종 미네랄 및 유용성분을 함유한 함초를 친환경적으로 대량으로 재배할 수 있으며, 특히 각종 미네랄류와 같은 기능성 물질의 함량을 극대화할 수 있어 부가가치가 높고 안전하게 식용할 수 있는 작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실시예]
하기 표 1과 같은 폐해수의 농도별 희석액과 표 2의 재배조건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재배장치를 이용하여 함초를 재배하였다. 하기 표 1에서 희석배수는 폐해수와 원수간의 희석배수를 나타낸다.
희석배수
100배 40배 20배 10배 7배 5배 2배 폐해수
원액
1% 2.5% 5% 10% 15% 20% 50% 100%
피해(0) 피해(0) 피해(0) 피해(0) 피해(0) 피해(0) 피해(0) 피해(0)

*: 작물피해정도 0(피해없음) ~ 9(생리장애로 고사)
배양액pH 배양액온도 재배실온도 재배실습도 CO2(ppm) O2(%)
7.0~8.0 18~22℃ 20~25℃ 60~70% 300~500 18~25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절차에 의해 먼저, 함초 종자를 파종하고 인공조명의 높이를 3cm로 하여 5배 희석한 폐해수를 배양액으로 공급하면서, 암발아 2일, 광발아 4일을 거쳐 종자를 발아시켰다. 파종 후 10일에 인공조명의 높이를 5cm로 조정하고, 발아과정에서 사용한 동일한 배양액을 공급하면서 육묘/녹화과정을 수행하였다. 상기 과정을 통해 함초 종자의 발아율이 높아졌으며, 염류에 대한 저항성 및 기능성 물질을 보다 많이 함유할 수 있는 선행조건을 만족시켜줄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파종 후 45일에 1차 정식을 수행하고, 파종후 60일에 2차 정식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1차 및 2차 정식과정에서는 배양액으로 2배 희석한 폐해수를 공급하고, 인공조명의 높이는 15cm로 조정하여 배양하였다. 이를 통해 함초의 재배기간을 단축할 수 있었고, 기능성 물질의 함유량을 더욱 높일 수 있었다.
파종 후 65일에 함초에 배양액으로 폐해수 원액(100%)을 공급하고 인공조명의 높이를 25cm로 조정하여 시식부위의 생육을 집중적으로 촉진하면서, 기능성물질이 보다 많이 함유될 수 있도록 하였다.
대조군으로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노지에서 동일기간 동안 재배한 함초의 생중량은 하기 표 3과 같았다. 데이터는 각 개체수를 100으로 하여 평균을 산출하는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대조군의 함량을 1로 하였을 때의 상대적인 중량비로 나타내었다.
구분 1일 60일
실시예 0.92 1.73
상기한 바와 같이 초기에 대조군과 본 발명에 따른 작물의 생중량은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60일간 재배 후의 생중량을 비교한 결과 1.73배 더 생장이 잘 되어진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따른 함초에 축적된 미네랄의 함량을 대조군과 비교분석한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았다. 데이터는 각 개체수를 100으로 하여 평균을 산출하는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대조군에서의 미네랄의 함량을 1로 하였을 때의 상대적인 농도비(w/w)로 나타내었다.
미네랄 Ge Mg K Ca Cu
실시예 10.3 12.5 14.2 8.6 9.4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함초의 경우 폐해수에 함유된 풍부한 미네랄을 체내에 축적함으로써 인체에 유익한 중요 미네랄의 함량이 매우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폐해수탱크
11: 원수탱크
12: 유기농비료탱크
13: 산(acid)탱크
10a,11a,12,13a,20a: 펌프
10b,11b,12b,13b,20b: 밸브
20: 혼합탱크
30: 다단선반
31: 재배용 선반
32: 인공조명
40: CO2 펌프

Claims (10)

  1. 함초에 폐해수를 공급하여 재배실의 CO2의 농도를 300~500ppm, O2를 18~25%로 유지하여 파종부터 수확시까지 수경으로 재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초의 재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재배실 온도는 20~25℃로 유지하고, 습도는 60~70%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초의 재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배양액의 pH는 7.0~8.0, 배양액의 온도는 18~22℃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초의 재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폐해수는 파종에서 정식에 이르는 기간 동안 원수인 수돗물을 이용하여 2~6배로 희석시킨 희석액으로 공급하고, 파종 후 60~65일 부터 수확전까지 폐해수로 이루어진 원액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초의 재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파종 후 암발아 과정과 광발아 과정을 거쳐 발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초의 재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파종 및 발아단계에서 인공조명으로 형광등을 사용할 경우 작물로부터 3~5cm, 엘이디등을 사용할 경우 작물로부터 15~20cm로 높이를 조정하고, 육묘 및 녹화단계에서 인공조명으로 형광등을 사용할 경우 작물로부터 5~10cm, 엘이디등을 사용할 경우 작물로부터 20~30cm로 높이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초의 재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정식단계에서 인공조명으로 형광등을 사용할 경우 작물로부터 15~20cm, 엘이디등을 사용할 경우 작물로부터 25~35cm로 높이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초의 재배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정식단계 이후 수확단계 까지 인공조명으로 형광등을 사용할 경우 작물로부터 25~30cm, 엘이디등을 사용할 경우 작물로부터 35~50cm로 높이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초의 재배방법.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에 의해 재배된 함초.
  10. 삭제
KR1020100122037A 2010-12-02 2010-12-02 폐해수를 이용한 함초의 재배방법 및 이에 의해 재배된 함초 KR101159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037A KR101159485B1 (ko) 2010-12-02 2010-12-02 폐해수를 이용한 함초의 재배방법 및 이에 의해 재배된 함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037A KR101159485B1 (ko) 2010-12-02 2010-12-02 폐해수를 이용한 함초의 재배방법 및 이에 의해 재배된 함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503A KR20120060503A (ko) 2012-06-12
KR101159485B1 true KR101159485B1 (ko) 2012-06-22

Family

ID=46611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2037A KR101159485B1 (ko) 2010-12-02 2010-12-02 폐해수를 이용한 함초의 재배방법 및 이에 의해 재배된 함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94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60329A (zh) * 2016-01-15 2016-06-15 霍山县安绿园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富锌菊花脑的种植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304B1 (ko) * 2005-01-14 2006-12-21 한국해양연구원 동해심층수를 이용한 새싹채소 배양액 및 새싹채소
KR100889942B1 (ko) 2007-06-18 2009-03-25 김경희 고질기와 중금속을 제거 및 감소시키는 천일염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304B1 (ko) * 2005-01-14 2006-12-21 한국해양연구원 동해심층수를 이용한 새싹채소 배양액 및 새싹채소
KR100889942B1 (ko) 2007-06-18 2009-03-25 김경희 고질기와 중금속을 제거 및 감소시키는 천일염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60329A (zh) * 2016-01-15 2016-06-15 霍山县安绿园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富锌菊花脑的种植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503A (ko) 2012-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99040B (zh) 一种蓝莓的无土栽培方法
CN103947531B (zh) 一种曼地亚红豆杉水培盆景制作方法
CN104303815A (zh) 一种花椰菜的种植方法
CN108243818A (zh) 一种富硒茶叶高效优质种养技术
CN107311719B (zh) 一种羊肚菌的大棚种植方法
JP6437781B2 (ja) 低カリウムメロンの土壌栽培方法
KR101036401B1 (ko) 해수를 이용한 아이스플랜트의 재배방법 및 이에 의해 재배된 아이스플랜트
CN110668863A (zh) 一种生菜健康水培方法及营养液
CN104472069A (zh) 一种大顶苦瓜的种植方法
CN107347433A (zh) 一种百香果的扦插育苗方法
KR100348496B1 (ko) 무공해, 기능성 콩나물 재배방법
JP5828362B1 (ja) 低カリウム含有青果物及びその栽培方法
CN106106005A (zh) 一种龙眼幼苗的栽培方法
KR101159485B1 (ko) 폐해수를 이용한 함초의 재배방법 및 이에 의해 재배된 함초
KR101368180B1 (ko) 뿌리 약용식물의 재배 방법
KR101036423B1 (ko) 해수를 이용한 함초의 재배방법 및 이에 의해 재배된 함초
KR101137036B1 (ko) 아이스플랜트의 수경재배방법
CN111279896A (zh) 一种人生果苗扦插繁殖方法
KR101219201B1 (ko) 아이스플랜트의 수경재배방법
KR101155721B1 (ko) 폐해수를 이용한 아이스플랜트의 재배방법 및 이에 의해 재배된 아이스플랜트
RU2448457C1 (ru) Способ стимуляции развития, роста и продуктивности растений на гидропонных установках тепличного комплекса
CN1539259A (zh) 一种甜枸杞苗矮化盆栽的方法
CN108967366A (zh) 一种制备蚯蚓粪中性肥的方法
CN115486361B (zh) 一种高品质番茄水培方法
TWI492705B (zh) 可用於栽種植物之載體之製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