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9942B1 - 고질기와 중금속을 제거 및 감소시키는 천일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질기와 중금속을 제거 및 감소시키는 천일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9942B1
KR100889942B1 KR1020070060853A KR20070060853A KR100889942B1 KR 100889942 B1 KR100889942 B1 KR 100889942B1 KR 1020070060853 A KR1020070060853 A KR 1020070060853A KR 20070060853 A KR20070060853 A KR 20070060853A KR 100889942 B1 KR100889942 B1 KR 100889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heavy metals
charcoal
reed
ree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0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1364A (ko
Inventor
김경희
Original Assignee
김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희 filed Critical 김경희
Priority to KR1020070060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9942B1/ko
Publication of KR20080111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1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04Chlorides
    • C01D3/06Preparation by working up brines; seawater or spent ly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0Process efficiency
    • Y02P20/133Renewable energy sources, e.g. sunligh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전의 고질기 발생을 지속적으로 제거 및 감소시킬 수 있고, 비용이 거의 소요되지 않도록 한 고질기와 중금속을 제거 및 감소시키는 천일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염전의 저수지, 제1증발지, 제2증발지, 해수탱크, 결정지 중에서 1곳 이상 선택된 바닥에 수분과 중금속 흡입이 가능한 수생식물이면서 염생식물인 갈대를 사용하되, 갈대의 상층부인 줄기는 절취시킨 뒤 절취부분에 핫멜트 코팅처리, 실리콘 코팅처리, 비닐을 덮어씌우고 묶는 방법 중에서 1개 이상 선택된 방법으로 생장점을 미리 막고 갈대의 하층부인 갈대뿌리는 미세보관망을 씌워 뿌리가 밖으로 뻗어나가 활착하지 못하도록 만든 뒤, 유해성분을 흡착시키고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반영구적으로 발생시키는 숯을 같이 넣어 이식시키는 방법으로 염수에 많이 들어있는 수분을 조기에 증발시키고, 고질기와 중금속을 제거 및 감소시키는 천일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염전의 고질기 발생을 지속적으로 제거 및 감소시킬 수 있고, 비용이 소요되지 않도록 하는데 있어 함초 등의 단년식물에 의한 흡착방식을 배제하고 다년식물이며, 민물과 염수 속에서도 생육이 가능하고 굳이 땅속에 심지 않고 수경재배도 가능하며 상층부를 절취시켜도 살아가는 강인한 생명력을 가진 갈대를 효율성을 증대시켜 숯과 같이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염전의 고질기와 중금속의 발생을 제거 및 감소시킬 수 있으며, 비용이 거의 소요되지 않는다.
또한, 중금속이 제거 및 감소된 천일염을 생성되게 함으로써 별도로 중금속 제거 장치가 필요 없고, 약품을 투입시킬 필요가 없으며, 더욱이 천일염을 생성하는데 반드시 소요되는 염전의 증발지 등에서 2차 오염물질을 남기지 않고 친환경적으로 지속적으로 제거 및 감소시킬 수 있으며, 숯 속의 각종 미네랄과 갈대뿌리의 해독기능을 간접 섭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용이 거의 소요되지 않는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고,
특히, 절취 과정에서 입은 상처로 인해 새순이 더 빨리 자라나는 갈대의 상층부는 반복 절취시켜 사용할 수 있고 반복 절취로 인하여 오히려 부영화의 원인인 질소나 인의 제거 능력이 갈수록 증가되는 잇점이 발생한다.
기존과 같이 햇빛과 바람에 의해 수분이 증발될 때 까지 무작정 기다리지 않고, 상처입은 갈대의 치유작용과 줄기부분의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날씨에 구애받지 않고 염수 속의 수분과 중금속을 더 많이 흡입시켜 조기에 증발시키고, 아울러 중금속을 더 많이 제거 및 감소시켜 주며, 숯의 유해성분 흡착력과 반영구적인 원적외선과 음이온 발생 기능을 첨가시켜서 고질기와 중금속이 제거 및 감소되어 안전하며 순하고 부드러운 천일염을 조기에 생산함에 목적이 있다.
특히, 염수 속의 수분을 조기에 증발시켜 주고 아울러 중금속을 제거 및 감소시키는 기능이 없는 일반적인 천일염을 생산하는 방법으로는, 상처입은 갈대의 치유작용과 줄기부분의 모세관현상에 의해 천일염 조기생산을 유도할 수 없고 중금속이 같이 혼합된 저질의 천일염을 결정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천일염 결정체가 적은 것은 생성되기 까지 긴 시간이 소요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고, 긴 생성기간 동안 결정지 등에 유입된 각종 유해성분을 훨씬 더 많이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며 그 결과 염도도 높아지고 알갱이가 무거워지며 고질기도 잘 생긴다. 그런 이유 때문에 일조량도 많고 온도가 높아서 소금알갱이가 최 단시간 내에 생성되어 가볍고 염도도 높지 않은 한 여름에 생산된 천일염을 1등품으로 치는 이유도 소금결정을 조기에 이루기 때문이며,
계절과 날씨와 거의 상관 없이 소금결정을 조기에 이룰 수 있다면은 최상의 천일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나, 한 여름에 천일염을 생산할 수 있는 시간은 해가 없는 장마기간이나 우천시나 흐린 날, 밤시간을 제외시키면은 그리 많은 시간도 아니며, 넓은 결정지에 담긴 많은 염수를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햇빛과 바람 만의 힘으로 조기에 증발시킨다는 것은 너무도 비효율적이고 생산성이 떨어지며 거의 불가능하다.
"갈대뿌리가 자신이 생존을 하는데 필요한 양분과 수분을 흡수하는 과정에서 물속에 들어있던 질소나 인등의 중금속도 같이 흡수되고 있고, 이와 같이 흡수된 질소나 인등의 중금속은 갈대가 살아가는데 필요한 양분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갈대뿌리가 부영화의 원인이면서 일반하수처리장에서는 처리가 곤란하고 고도의 하수처리장에서만 처리가 가능한 질소나 인을 흡착시켜서 제거하여 준다. 특히 갈대는 다른 식물에 비하여 물속에 들어있는 중금속 등을 더 많이 흡수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고"
"실제 서울대학교와 아주대학교의 공동 연구결과에 의하면은 중금속 흡착율이 절취시킨 갈대뿌리가 절취하지 않은 것에 비해 2회 절취시 1.4배와 1.7배, 3회 절취시 각각 1.7배 4회 절취시는 1.8배와 1.9배 높았으며, 절취에 따른 질소와 인의 제거속도는 2회 절취시 1.9배와 2.2배, 3회 절취시 각각 2.8배 그리고 4회 절취시는 각각 2.9배 높았다." 고 밝혀진 상처입은 갈대의 치유작용과,
"숯이 가지고 있는 미세구멍의 단면적은 숯 1g에 약 400∼1800 평방미터가 되며, 숯가루는 체내에서 암을 유발시키는 요인인 메칠크린시린과 벤조피렌, 트리할로메탄 등과 중금속, 잔류농약, 방부제, 항생제, 착색제, 성장촉진제, 연화제, 식품첨가물 등의 유독성분 만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고, 복용 후 1분 이내에 최대로 신속하게 체내의 불순물들을 흡수하며, 인체에 이로운 체내의 영양소들을 흡수하지 않는 것이 발견되었다. " 고 밝혀진 숯의 효능을 활용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다년생식물인 갈대를 뿌리채 채취하는 공정과, 부영화의 원인인 질소나 인의 중금속흡착 효율을 높이고 갈대 잎이 떨어져서 물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채취한 갈대 줄기의 상층부를 절취시키는 공정과, 절취 부분에 핫멜트 코팅처리, 실리콘 코팅처리, 비닐을 덮어씌우고 묶는 방법 중에서 1개 이상 선택된 방법을 사용하여 새로운 싹이 나오지 않도록 생장점을 미리 막는 공정과, 갈대의 하층부 갈대뿌리에 미세보관망을 씌워 갈대뿌리가 안에서만 성장하고 미세보관망 밖으로 뻗어나가 갯벌에 활착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공정과, 생장점을 미리 막고 미세보관망을 씌운 갈대와 숯을 염전의 저수지, 제1증발지, 제2증발지, 해수탱크, 결정지 중에서 1곳 이상 선택된 바닥에 20∼60 센티미터 깊이로 심는 공정과, 갈대를 심고 난 후 갈대의 키를 넘지 않도록 염수를 투입시킨 뒤 고질기와 중금속을 지속적으로 제거 및 감소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질기와 중금속을 제거 및 감소시키는 천일염 제조방법

Description

고질기와 중금속을 제거 및 감소시키는 천일염 제조방법 {The inveterate disease flag and the heavy metal removal and the sun-dried salt manufacturing method which it diminishes.}
도 1은 본 발명의 고질기와 중금속을 제거 및 감소시키는 천일염 제조방법에 의한 개략적인 제조 공정도이다.
본 발명은 염전의 고질기 발생을 지속적으로 제거 및 감소시킬 수 있고, 비용이 거의 소요되지 않도록 한 고질기와 중금속을 제거 및 감소시키는 천일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은, 다년생식물인 갈대를 뿌리채 채취하는 공정과, 부영화의 원인인 질소나 인의 중금속흡착 효율을 높이고 갈대 잎이 떨어져서 물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채취한 갈대 줄기의 상층부를 절취시키는 공정과, 절취 부분에 핫멜트 코팅처리, 실리콘 코팅처리, 비닐을 덮어씌우고 묶는 방법 중에서 1개 이상 선택된 방법을 사용하여 새로운 싹이 나오지 않도록 생장점을 미리 막는 공정과, 갈대의 하층부 갈대뿌리에 미세보관망을 씌워 갈대뿌리가 안에서만 성장하고 미세보관망 밖으로 뻗어나가 갯벌에 활착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공정과, 생장점을 미리 막고 미세보관망을 씌운 갈대와 숯을 염전의 저수지, 제1증발지, 제2증발지, 해수탱크, 결정지 중에서 1곳 이상 선택된 바닥에 20∼60 센티미터 깊이로 심는 공정과,
갈대를 심고 난 후 갈대의 키를 넘지 않도록 염수를 투입시킨 뒤 고질기와 중금속을 지속적으로 제거 및 감소시켜 주는 방법이다.
넓은 결정지에 담긴 많은 염수를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햇빛과 바람 만의 힘으로 조기에 증발시키고 아울러 중금속을 제거 및 감소시키되 거의 비용이 투자되지 않는 것은 본원의 발명이 아니면은 될 수 없다.
"바닷물의 소금 농도는 대략 3.5%. 이 바닷물을 끌어들여 소금을 생산하는 천일염전은 바닷물을 저장하는 저수지, 햇볕에 물을 증발시키는 증발지, 소금이 만들어지는 결정지로 구성된다. 결정지까지 오면 바닷물의 소금 농도는 포화 상태인 35%에 달해 결정이 만들어지기 시작한다." ( 서울대 조병철 교수, 동아일보 2002.6.19 )
본 발명은 고질기와 중금속을 제거 및 감소시키는 천일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염전의 저수지, 제1증발지, 제2증발지, 해수탱크, 결정지 중에서 1곳 이상 선택된 바닥에 수분과 중금속 흡입이 가능한 수생식물이면서 염생식물인 갈대를 사용하되 갈대의 상층부부인 줄기는 절취시킨 뒤 절취부분에 핫멜트 코팅처리, 실리콘 코팅처리, 비닐을 덮어씌우고 묶는 방법 중에서 1개 이상 선택된 방법으로 생장점을 미리 막고 갈대의 하층부인 갈대뿌리는 미세보관망을 씌워 뿌리가 밖으로 뻗어나가 활착하지 못하도록 만든 뒤 유해성분을 흡착시키고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반영구적으로 발생시키는 숯을 같이 넣어 이식시키는 방법으로 염수에 많이 들어있는 수분을 조기에 증발시키고, 고질기와 중금속을 제거 및 감소시키는 천일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염전의 고질기 발생을 지속적으로 제거 및 감소시킬 수 있고, 비용이 거의 소요되지 않도록 한 고질기와 중금속을 제거 및 감소시키는 천일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기존과 같이 햇빛과 바람에 의해 수분이 증발될 때 까지 무작정 기다리지 않고, 상처입은 갈대의 치유작용과 줄기부분의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날씨에 구애받지 않고 염수 속의 수분과 중금속을 더 많이 흡입시켜 조기에 증발시키고, 아울러 중금속을 더 많이 제거 및 감소시켜 주며, 숯의 유해성분 흡착력과 반영구적인 원적외선과 음이온 발생 기능을 첨가시켜서 고질기와 중금속이 제거 및 감소되어 안전하며 순하고 부드러운 천일염을 조기에 생산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다년생식물인 갈대를 뿌리채 채취하는 공정과,
부영화의 원인인 질소나 인의 중금속흡착 효율을 높이고 갈대 잎이 떨어져서 물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채취한 갈대 줄기의 상층부를 절취시키는 공정과,
절취 부분에 핫멜트 코팅처리, 실리콘 코팅처리, 비닐을 덮어씌우고 묶는 방법 중에서 1개 이상 선택된 방법을 사용하여 새로운 싹이 나오지 않도록 생장점을 미리 막는 공정과,
갈대의 하층부 갈대뿌리에 미세보관망을 씌워 갈대뿌리가 안에서만 성장하고 미세보관망 밖으로 뻗어나가 갯벌에 활착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공정과,
생장점을 미리 막고 미세보관망을 씌운 갈대와 숯을 염전의 저수지, 제1증발지, 제2증발지, 해수탱크, 결정지 중에서 1곳 이상 선택된 바닥에 20∼60 센티미터 깊이로 심는 공정과,
갈대를 심고 난 후 갈대의 키를 넘지 않도록 염수를 투입시킨 뒤 고질기와 중금속을 지속적으로 제거 및 감소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1증발지는 난치라고도 부르고, 제2증발지는 느태라고도 부르며, 해수탱크는 해주라고도 부르고, 결정지는 채렴장이라고도 부른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질기와 중금속을 제거 및 감소시키는 천일염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통상적인 일반 천일염 제조방법을 아래와같이 제공한다.
일반 천일염 제조방법
1) 저수지로 바닷물을 유입시킨다.
2) 저수지에 유입시킨 바닷물을 염도를 약 5∼6도로 올려서 제1증발지로 이동시킨다.
3) 제1증발지에서 염도를 약11∼12도로 올려서 제2증발지로 이동시킨다.
4) 우천시 등에는 해수탱크로 이동시킨 뒤 날이 개면 다시 제2증발지로 보낸다.
5) 제2증발지에서 염도를 약 23∼25도로 올려서 결정지로 보낸다.
6) 결정지에서 약 25∼35도 이상이 되면 소금결정을 생성한다.
7) 소금결정이 되면 채염을 한다
8) 소금창고나 야적장에 천일염을 저장한다.
9) 저장된 천일염을 자연탈수를 약 15일 정도 시킨다
10) 포장 후 출하한다.
먼저, 고질기와 중금속을 제거 및 감소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년생식물인 갈대를 뿌리채 채취하는 공정과,
부영화의 원인인 질소나 인의 중금속흡착 효율을 높이고 갈대 잎이 떨어져서 물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채취한 갈대 줄기의 상층부를 절취시키는 공정과,
절취 부분에 핫멜트 코팅처리, 실리콘 코팅처리, 비닐을 덮어씌우고 묶는 방법 중에서 1개 이상 선택된 방법을 사용하여 새로운 싹이 나오지 않도록 생장점을 미리 막는 공정과,
갈대의 하층부 갈대뿌리에 미세보관망을 씌워 갈대뿌리가 안에서만 성장하고 미세보관망 밖으로 뻗어나가 갯벌에 활착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공정과,
생장점을 미리 막고 미세보관망을 씌운 갈대와 숯을 염전의 저수지, 제1증발지, 제2증발지, 해수탱크, 결정지 중에서 1곳 이상 선택된 바닥에 20∼60 센티미터 깊이로 심는 공정과,
갈대를 심고 난 후 갈대의 키를 넘지 않도록 염수를 투입시킨 뒤 고질기와 중금속을 지속적으로 제거 및 감소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하면은 염전의 저수지, 제1증발지, 제2증발지, 해수탱크, 결정지에 유입된 꽃가루, 비산먼지 등의 유해성분이 소금결정 과정에서 천일염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 및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생장점을 미리 막은 갈대와 숯을 보관시킨 미세보관망을 이식시키는 방법은 염전의 저수지, 제1증발지, 제2증발지, 해수탱크, 결정지 중에서 1곳 이상 선택된 바닥에 20∼60 센티미터 깊이로 심어 두고 사용하는 상기 방법으로만 한정하지 않고, 선택적으로 바닥을 파지 않고 저수지, 제1증발지, 제2증발지, 해수탱크, 결정지 중에서 1곳 이상 선택된 바닥에 탈, 부착시켜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방법 중에서 선택사용이 가능하다.
염전의 고질기 발생을 지속적으로 제거 및 감소시킬 수 있고, 비용이 소요되지 않도록 하는데 있어 함초 등의 단년식물에 의한 흡착방식을 배제하고 다년식물이며, 민물과 염수 속에서도 생육이 가능하고 굳이 땅속에 심지 않고 수경재배도 가능하며 상층부를 절취시켜도 살아가는 강인한 생명력을 가진 갈대를 효율성을 증대시켜 숯과 같이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염전의 고질기와 중금속의 발생을 제거 및 감소시킬 수 있으며, 비용이 거의 소요되지 않는다.
또한, 중금속이 제거 및 감소된 천일염을 생성되게 함으로써 별도로 중금속 제거 장치가 필요 없고, 약품을 투입시킬 필요가 없으며, 더욱이 천일염을 생성하는데 반드시 소요되는 염전의 증발지 등에서 2차 오염물질을 남기지 않고 친환경적으로 지속적으로 제거 및 감소시킬 수 있으며, 숯 속의 각종 미네랄과 갈대뿌리의 해독기능을 간접 섭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용이 거의 소요되지 않는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고, 특히, 절취 과정에서 입은 상처로 인해 새순이 더 빨리 자라나는 갈대의 상층부는 반복 절취시켜 사용할 수 있고 반복 절취로 인하여 오히려 부영화의 원인인 질소나 인의 제거 능력이 갈수록 증가되는 잇점이 발생한다.
갈대의 상층부를 절취시킨 뒤 절취부분에 핫멜트 코팅방법으로 다시 자라날 생장점 마저 미리 막아서 염전에 이식시킴으로써, 절취 과정에서 상처입은 갈대는 상처를 빨리 치유하기 위하여 양분으로 사용할 중금속과 수분을 더 많이 흡착시켜 자신의 몸속에 흡수하므로, 염수 속의 수분은 줄어 들고 염수는 보다 더 깨끗하게 되며 수분과 중금속 등의 유해성분은 더 많이 제거되나, 이렇게 비축된 양분은 생장점이 막혀져 있어서 염수와 직접 접촉하고 있는 뿌리부분이 많은 성장을 해나가지만, 뿌리 부분에 부착시킨 미세보관망 속에 갈대뿌리는 빠져나가지 못하고 갇혀서 갯벌 속의 유해성분을 제거 및 감소시키고 염수 속의 수분과 유해성분을 흡수 및 흡착하게 되나 염분은 거의 흡수하지 않는 성질을 활용하고, 유해성분을 흡착시키고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반영구적으로 발생시키는 숯의 기능을 활용한다.
본원 발명은 천일염 제조시에는 물론이고, 바닷물을 염전에 담고 천일염을 제조하는 과정에 염수(함수, 염분) 외의 물질을 혼합시켜 바람과 햇볕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기능성천일염을 제조시에도 사용이 가능하며, 중금속 발생 우려가 있는 농지나 양식장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엄밀히 말하면은 천일염은 바닷물 속에 함유된 3.5%의 염분을 햇빛과 바람의 작용으로 증발시켜서 35%를 만들어 낸 것인데 현재 천일염 생산과정에서 햇빛과 바람의 작용과 동력을 이용하지 않고 수분을 조기에 증발시키거나 중금속을 제거 및 감소시키는 방법은 거의 없다.
절취 부분에 핫멜트 코팅처리, 실리콘 코팅처리, 비닐을 덮어씌우고 묶는 방법 중에서 1개 이상 선택된 방법을 사용하여 새로운 싹이 나오지 않도록 생장점을 미리 막는 공정이나, 갈대의 하층부 갈대뿌리에 미세보관망을 씌워 갈대뿌리가 안에서만 성장하고 미세보관망 밖으로 뻗어나가 갯벌에 활착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공정은 생략이 가능하다.
상기의 숯은 참숯, 대나무 숯, 야자나무 숯 등을 가리지 않고 사용할 수 있고, 덩어리나 숯 분말을 사용할 수 있으나, 가루가 빠져나오지 않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발생하는 숯 대신에 원적외선이나 음이온이 발생하는 소재로 대체시켜 사용할 수 있다.
기존과 같이 햇빛과 바람에 의해 수분이 증발될 때 까지 무작정 기다리지 않고, 상처입은 갈대의 치유작용과 줄기부분의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날씨에 구애받지 않고 염수 속의 수분과 중금속을 더 많이 흡입시켜 조기에 증발시키고, 아울러 중금속을 더 많이 제거 및 감소시켜 주며, 갈대뿌리는 미세보관망 속에 보관되어 땅속으로 뿌리를 뻗지못하고 갇혀서 염수 속의 수분과 유해성분을 흡수 및 흡착하게 되나 염분은 거의 흡수하지 않는 성질을 활용할 수 있으며, 숯의 유해성분 흡착력과 반영구적인 원적외선과 음이온 발생 기능을 첨가시켜서 고질기와 중금속이 제거 및 감소되어 안전하며 순하고 부드러운 천일염을 조기에 생산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천일염의 중금속 오염에 대한 보도자료는 2000년 10월 11일 자의 중앙일보를 참고로 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국내시판 가공 소금에서 납성분 검출- 2000년 10월 11일
국내에서 시판 되고 있는 가공 소금에서 납과 카드뮴 수은등 유해 물질이 검출 된것으로 드러 났다 소비자 보호원이 11일 국회 재경위 소속 이완구(李完究) 의원에게 제출한 국감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소보원 시험조사 결과
가공 소금 11종 가운데 8종에서 0.10 - 0.39 ppm의 납이 검출된것을 비롯 재제(2차 가공) 소금 9종중 4종과 천일염 10종중 7종에서 각각 0.02 - 0.28 ppm 과 0.07- 0.14 ppm의 납이 검출되었다
이의원은 '납이 검출된 소금 가운데 4종에서는 카드뮴 (0.01- 0.22ppm) 이 1종에서는 수은(0.04 ppm) 이 함께 검출되었다'며 '특히 소보원이 조사 대상에서 제외한 분쇄염에 대한 식생활 안전 시민 운동 본부의 샘플조사 (2종) 결과 검출되서는 안 될 청산가리 성분의 '포타슘페로시안나이드'가 7.2ppm과 5.3pp m이각각 검출 되었다'고 말했다 이의원은 '그런데도 소보원은 검출물이 기준 이하이므로 안심하고 먹을수 있다고 홍보하고 있어 소금 업자들에게 면죄부를 준 결과가 되었다'며 특히 기업 활동 규제 완화 특별 조치법에 따라 2002년 1월 부터는 부산물 염을 제외한 소금에 대한 품질 검사가 면제되 국민 건강이 위협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 중앙일보 2000년 10월 11일 -
"실제 서울대학교와 아주대학교의 공동 연구결과에 의하면은 중금속 흡착율이 절취시킨 갈대뿌리가 절취하지 않은 것에 비해 2회 절취시 1.4배와 1.7배, 3회 절취시 각각 1.7배 4회 절취시는 1.8배와 1.9배 높았으며, 절취에 따른 질소와 인의 제거속도는 2회 절취시 1.9배와 2.2배, 3회 절취시 각각 2.8배 그리고 4회 절취시는 각각 2.9배 높았다." 고 한다.
상기의 숯에 대한 자료는 관련 문헌과 시험자료 등을 참고로 하였으며, 그내용은 다음과 같다.
"숯가루는 아주 작은 미세한 입자로 된 작은 입방체로서 현미경으로 볼 때, 수많은 미세한 가는 구멍인 세공의 역할은 소화가 되지 않고 장내에서 부패하는 단백질 찌꺼기들, 지방알갱이를 흡착시키고, 야채나 과일에 잔류할 수 있는 농약 성분이나 중금속들을 흡착시킨다. 식품의 색깔을 좋게 하는 색소나 식품 첨가제를 없애고, 인공조미료 등을 흡착시켜 내장을 말끔하게 청소한다. 그 결과 혈관내의 혈액과 체액이 깨끗하게 되어서 병에 대한 저항력이 생겨 인체를 건강하게 해준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1개 단위의 분말 챠콜은 80개 단위의 암모니아 가스를 빨아들일 수 있어서 장내의 독성 가스가 혈액으로 흡수되기 전에 챠콜이 신속하게 흡수하 여 배출시킨다.(참고;Home Remedies P.143)
숯가루의 대표적인 특징은 먹고 난뒤 1분 이내에 신속하게 체내의 독성성분, 불순물을 흡수하며, 각종 이물질인 농약성분, 발암물질 등이 체내의 소화액의 작용에도 불구하고 챠콜이 흡수시킴이 미국의학협회에 보고된바가 있다.(Cooney,David O.Actvated Charcoal.New York:1980 p.33)
숯가루는 복용을 했을 때도 우리 신체에 전혀 해를 끼치지 않음이 밝혀졌고 오히려 발암물질인 벤자피린(benzopyrene)을 흡수함이 보고되고 있다.(AMA Archives of Industrial Health 18:511-520,December,1958)
숯가루가 우리 몸에 나쁘고, 해로운 독성 성분은 잘 흡수해 버리나 몸에 이로운 영양분은 전혀 흡수하지 않음이 의학 잡지에 보고되고 있다. 실험용 쥐를 두 그룹으로 나누어서 한 그룹은 챠콜과 음식, 또 한 그룹은 동일한 음식을 주면서 6개월이라는 기간동안 실험했는데 체중이나 신체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고 챠콜이 영양분을 흡수하지 않음이 밝혀졌다.(Bulletin de la Society de Chime Biologique 27;513-518,Oct.-Dec.1945)
숯의 효과, 효능에 대해서 David Coony박사의 Activated Charcoal이라는 저서에서 숯(활성탄)은 진통작용, 해열작용, 공해물질인 담배의 니코틴 제거, 자동차 배기가스(벤자피린) 제거, 농약성분(파라치온) 제거에 탁월한 효과가 있고, 위염, 위궤양, 간염 치료와 간염의 예방에 유효하다라고 기술 되어 있다..
"숯이 유해성분을 가리지 않고 흡착시키는 것은 특별한 약성분이라기 보다는 뛰어난 흡착성(Adsorption)으로 설명되고, 숯은 제조과정에서 형성된 아주 작고 수 많은 구멍(기공)으로 되어있고 넓은 표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이 작은 구멍은 크기가 다양하고, 이것은 액체상태로 된 여러 가지 물질을 흡착하고 결합시킬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게 되므로 숯이 흡착력을 가지게 되는 것이며, 숯의 표면적은 우리가 도저히 믿기 어려울만큼 넓다. 1g의 숯을 아주 곱게 부수면 모든 입자의 총표면적은 도무지 상상하기도 힘든 약 400∼1800평방 미터나 되고, 이 넓은 면적이 모든 종류의 물질과 결합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게 되며,
숯이 가지고 있는 이 작은 기공은 크기와 모양이 다양한데 숯이 활성화될 때 형성되는 내표면의 화학적 특성은 미세공을 액체상태로 채울 수 있는 어떤 분자가 있으면 끌어당기는 원리이며, 이것이 곧 숯이 가지는 흡착력으로 각각의 구멍과 동일한 분자량을 가진 물질을 흡착하게 되므로 다양한 크기의 구멍이 많을수록 여러 가지 흡착성을 가질 수 있다."
"이 미세구멍이 냄새를 흡수하거나, 유해성 균들을 가두어 없애거나, 부패균을 억제하여 냄새를 제거해주고, 장내 부패한 단백질이나 지방분의 찌꺼기,부패 가스등을 흡착시키고, 과일이나 야채에 잔류되어 있는 농약성분이나 중금속을 흡착시켜 준다. .한편 숯을 사용할 때에 부작용이 없는 이유는 숯이 가지고 있는 기공에 분자량이 같은 크기의 물질이 흡착되고 이것을 다시 순수한 물에 넣으면 결합했던 두 물질이 서로 분리되는데 있다. 즉 숯이 다른 물질과 결합하여 제 3의 물질로 변하는 것이 아니라 결합된 상태로 있다가 상황이 변하면 다시 분리되기도 하므로 부작용이 적다는 것이다."
"숯은 거의 모든 것을 빨아들인다. 숯의 흡수력은 미세한 입자들의 표면에서 부터 나오는 것인데, 숯 1그램에 들어 있는 미세한 입자들의 표면적을 계산해 보면 무려 400∼1800 평방미터나 된다! 그러므로 분말 상태의 숯가루의 표면적은 상상할 수도 없는 엄청난 면적이 되는 것이다. 매우 곱게 갈아진 활성화시킨 입자는 너무나 작아서, 숯가루 1파운드(약 450그램) 안에는 약 5천만개의 입자들이 들어 있다! 이러한 놀라운 표면적을 통하여 숯이 가지고 있는 강력한 흡수력을 어느 정도 설명할 수 있다."
"숯가루가 가지고 있는 흡수력을 잠시 살펴보면 : 1/4 티스푼의 숯가루는 염화 수은1800mg, 질산 스트리키닌 950mg, 몰핀 800mg, 니코틴 700mg, 페놀 400mg, 알콜 300mg, 포타슘 시안화물 35mg 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력을 가지고 있다."
"숯의 효과를 나타내는 또 하나의 성분은 미네랄인데 나무가 오랫동안 땅에서 흡수한 미네랄을 가지고 있어 태워도 없어지지 않고 숯에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 숯에 남아있는 미네랄은 주로 칼륨과 칼슘이며 숯의 주성분인 탄소는 전기에너지를 모으고 축적 유지하여 바로 자신의 전자를 남에게 내어주어 산화를 막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숯 근처에 있는 물체가 상하지 않고 숯을 김치에 넣으면 쉽게 시지 않게 된다,"
숯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이 물의 분자구조를 미세하게 만들어 물의 체내의 침투를 향상시키고, 용존산소량이 많아지고, 숯속의 미네랄이 녹아나와서 광천수 국물로 만들어 최고의 맛을 만들어주고, 순하고 부드럽게 변화시켜 준다. 숯은 산성화된 물질이나 식품을 중화시키는 효능을 갖고 있으므로 숯의 알칼리화 작용으로 변질을 억제시키고, 국물을 인체에 유익한 알칼리수로 만들어주어 혈액순환을 촉진 시키고, 체내와 피부의 독소를 중화시키고, 피로회복과 각종 피부질환을 개선시키고, 인체 내의 체액이나 혈액도 신선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다.
유익성분은 흡착시키지 않고 음이온 방출효과로 신선도를 오래 유지시켜 주고 유해성분 흡착효과가 뛰어나 사람을 일시에 질식 및 사망시키는 유해가스를 차단시키는 방독면이나 정수기의 필터에도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탈취효과가 뛰어나 냄새도 제거 및 감소시켜 줄 수 있는 기능과, 숯의 반영구적인 음이온과 원적외선의 방출기능과, 배독 및 흡착, 중화, 환원, 살균, 분해 작용으로 인하여 상기의 각종 유해성분을 제거 및 감소시킬 수 있다.
"숯은 다공질로 되어 있어 우수한 흡착력을 갖고 있다. 이 흡착력 때문에 약용으로, 치료적 효과로 활용해온 역사는 이미 오래다. 우리 조상들은 옛부터 설사, 소화불량, 이질, 장염 등이 생겼을 때 솥 부뚜막 밑에 붙어있는 그을음이나 각종 나무의 숯가루를 약으로 복용해 왔고, 이것이 전래적 민간요법으로 이어져 왔으며, 한방요법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
"숯은 의학적으로 진통효과, 해열효과, 해독효과, 공해물질의 제거, 농약성분의 제거 효과 등이 있다는 것이 많은 실험과 임상결과로 밝혀졌다. "
"우리나라에서는 대한약전에 <약용탄>, 미국의 약전에는 <활성탄>, 일본의 의약품 규격서인 일본 약방문에는 <약용탄>으로 의약품 인정을 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에는 숯을 위장질환의 치료제로 사용하고 있고, FDA도 숯가루를 건강식품으로 인정하고 있다."
"한 연구에서 한 알의 아스피린에 숯가루를 섞어 복용시킨 결과 약99.6%의 아스피린이 위장관에서 흡수되었다고 한다."
"자연소재로써 탈취효과가 숯만큼 뛰어난 재료는 보고되지 않고 있다."
"숯은 산성화된 물질이나 식품을 중화시켜 알칼리화하는 효능을 갖고 있다. "
유익성분은 흡착시키지 않고 오히려 칼슘, 칼륨, PH 등의 유익성분은 더욱 증가시켜 주고, 음이온 방출효과로 신선도를 오래 유지시켜 주고 특히 탈취효과가 뛰어나 냄새도 제거 및 감소시켜 준다. 숯은 화학반응에도 작용을 하지 않고 인체에 이로운 체내의 영양소들을 흡수하지 않고, 발암물질, 박테리아 등을 집중적으로 흡착시킨다.
이 모든 것이 가능한 것은 "숯은 수 없이 많은 미슘한 구멍을 가지고 있으며, 이구멍은 나무가 뿌리로부터 흡수한 양분이나 물 등을 운반하던 통로로써 이 통로들은 막힌 곳이 없이 뚫려 있다. 이 미세구멍의 단면적은 숯 1g에 400∼1800 평방미터가 되며, 이 미세구멍이 냄새를 흡수하거나, 유해성 균들을 가두어 없애거나, 부패균을 억제하여 냄새를 제거해주기 때문이며, "숯은 주위에 물이 있으면 전자의 교환이 촉진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기존과 같이 햇빛과 바람에 의해 수분이 증발될 때 까지 무작정 기다리지 않고, 상처입은 갈대의 치유작용과 줄기부분의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날씨에 구애받지 않고 염수 속의 수분과 중금속을 더 많이 흡입시켜 조기에 증발시키고, 아울러 중금속을 더 많이 제거 및 감소시켜 주며, 숯의 유해성분 흡착력과 반영구적인 원적외선과 음이온 발생 기능을 첨가시켜서 고질기와 중금속이 제거 및 감소되어 안전하며 순하고 부드러운 천일염을 조기에 생산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염전의 고질기 발생을 지속적으로 제거 및 감소시킬 수 있고, 비용이 소요되지 않도록 하는데 있어 함초 등의 단년식물에 의한 흡착방식을 배제하고 다년식물이며, 민물과 염수 속에서도 생육이 가능하고 굳이 땅속에 심지 않고 수경재배도 가능하며 상층부를 절취시켜도 살아가는 강인한 생명력을 가진 갈대를 효율성을 증대시켜 숯과 같이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염전의 고질기와 중금속의 발생을 제거 및 감소시킬 수 있으며, 비용이 거의 소요되지 않는다.
또한, 중금속이 제거 및 감소된 천일염을 생성되게 함으로써 별도로 중금속 제거 장치가 필요 없고, 약품을 투입시킬 필요가 없으며, 더욱이 천일염을 생성하는데 반드시 소요되는 염전의 증발지 등에서 2차 오염물질을 남기지 않고 친환경적으로 지속적으로 제거 및 감소시킬 수 있으며, 숯 속의 각종 미네랄과 갈대뿌리의 해독기능을 간접 섭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용이 거의 소요되지 않는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고, 특히, 절취 과정에서 입은 상처로 인해 새순이 더 빨리 자라나는 갈대의 상층부는 반복 절취시켜 사용할 수 있고 반복 절취로 인하여 오히려 부영화의 원인인 질소나 인의 제거 능력이 갈수록 증가되는 잇점이 발생한다.
[시험 예]
염전의 해수탱크(해주) 속의 염수 속에 들어 있는 각종 유독 성분 조사를 위해 (재)한국화학시험 연구원에 시험 의뢰하고 다음과 같은 시험결과를 얻게 되었으며 유독성분의 제거 및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1차 대상: PH, 수은, 페놀, 납, 카드뮴, 육가크롬, 부유물질, 나트륨, 염소, 탁도
[표1] 1차 시험 결과 2002. 08. 07일 한국 화학 시험 연구원 단위: mg/L , NTU(탁도)
Figure 112008505540810-pat00005
시험의 방법은 해주 속의 염수와,(A) 그 물을 30분간 오존으로 제독처리한 염수로(B) 구분하여 실험한 결과 본 발명의 1단계인 해주 속의 염수를 오존으로 30분만 유해물질을 제독처리하여도 환경부 집중관리대상이며 특정 수질 유해물질인 페놀이 완전히 제거되었으며 부유물질과 탁도와 염소의 감소로 인하여 보다 더 깨끗하게 되며 30분이라는 짧은 시간에 단순히 1차 제독공정에 사용되는 오존만의 기능으로는 PH가 증가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고 나아가서는 유독 성분 제거 및 감소는 시키지만 유익한 성분은 증가시키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보완책으로 상기의 시험 방법에 제독공정과 시간을 좀더 추가하여 염수 속에 들어있는 유독성분 제거 및 유익한 성분까지 증가와 유독 성분의 일시적인 증가가 계속 유지되지 않음을 확인하고자 2차 시험을 실시하였다
2차 대상: 칼슘, 칼륨, 마그네슘, PH, 납, 비소,페놀, PCB
[2차 시험 결과] 2002. 08. 29일 한국 화학 시험연구원 단위: mg/L
Figure 112007506182115-pat00002
2차 시험에서는 해주 속의 염수와(A) 오존처리 기간을 30분에서 60분으로 늘린 염수와(B) 오존처리 후 2시간 뒤 숯을 60분간 담가놓은 염수(C)로 구분하여 실험한 결과 오존으로 처리한 경우보다(B) 숯을 담가 놓는 것이 (C)유익성분이 더 많이 증가함을 수치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칼슘, 칼륨, 마그네슘은 1차 시험 결과보다 2차 시험 결과에서 전부 다 유익 성분이 증가함을 확인 할 수 있었고, 제독 시간만 연장이 된다면 1차 시험에서 잔류한 부유물질, 염소, 탁도의 감소 및 제거가 가능하며 중금속의 경우는 종류에 관계없이 흡착시켜서 유독성분은 제거 및 감소되고 유익성분은 증가시킨 염수가 됨을 상기의 시험결과로 확인 할 수 있었으며,
기존의 숯에 대한 탈취 효과와 중금속 흡착 효과에 대한 한국 건자재 시험연구원의 시험 결과 탈취효과의 경우 30분 후에는 51~57%, 60분 후에는 67~70%, 90 분 후에는 70~74%, 120분 후에는 70~77%가 제거되었으며, 중금속 흡착 효과의 경우 24시간 경과한 뒤에 납은 78~82%, 아연은 23~47%, 철은 34~42%, 구리는 92%의 효과가 있었다는 것으로 보아서도 숯의 중금속 흡착 효과는 종류에 불문하고 시간에 비례한다고 보아야 하며,
또 칼륨의 경우는 해주 속의 상태에서 오존을 사용하여 제독시에는 유익성분이 도리어 감소하는 역반응이 발생하지만 2차 제독과정에서 숯을 담금으로써 다시 유익성분이 점차로 계속하여 증가하고 유해성분은 감소됨을 알 수 있었고,
이 또한 제독시간만 연장된다면 훨씬 더 증가 및 감소 할 것이며, 바닷물 상태의 칼륨보다는 훨씬 더 능가하여 증가 할 것이며 숯의 수명은 반영구적임을 감안한다면 또 다른 유익성분인 칼슘, 마그네슘, PH 등도 담가놓은 시간과 교체 횟수에 비례하여 계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며, 반대로 유독 성분은 종류에 관계없이 감소할 것 이다고 생각되어 상기의 동일 시험방법에 시간만 좀더 추가하여 3차 시험을 실시하였다.
3차 대상:칼슘, 칼륨, 마그네슘, PH, 부유물질, 탁도, 염소
[3차 시험 결과] E:4일 2002.09.09 한국 화학 시험 연구원 단위: mg/L , NTU(탁도)
Figure 112007506182115-pat00003
3차시험에서는 종전과 같이 염수를 60분간 오존으로 제독처리한 후 2시간 뒤에 숯을 담그되, 담그는 시간을 60분에서 4일로 늘려 3차 시험을 실시하였다.
해주에 있는 염수에 숯을 4일간 담가서 아래의 2차와 3차의 시험자료와 같이 한국화학시험연구원에 염전의 염수(A)와 그 염수에 숯을 4일간 담가놓은 염수와(E) 대비하여 시험한 결과 유익성분인 칼슘은 28%가 증가하고, 칼륨은 31%가 증가하고, 마그네슘은 26%가 증가하고, 오존처리시에도 거의 증가하지 않던 PH가 21%가 증가했으며, 반대로 유해성분인 부유물질은 77%가 감소되었고, 탁도는 81%가 감소되었으며, 다이옥신류의 발생원인 염소는 77%가 감소된 것을 시험을 통해 직접 확인할 수 있었으며, 오존처리시 보다 유해성분 등은 더 많이 감소 및 제거시키고, 반면에 유익성분 등은 더욱 증가시켜 주는 기능이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3차의 시험결과와 이제까지의 3차례에 걸친 시험결과를 종합하여 보면은 위와 같으며, 결론으로 오존처리시 보다 숯을 담가 놓는 것이 더욱 효율적이며, 숯은 담가놓는 시간과 교체횟수에 비례하여 유익 성분은 계속 늘어나고 유해 성분은 계속 감소함을 수치로 확실히 알 수 있었고,
염전의 특성상 상기 시험자료인 4일 보다 더 오랜 날짜를 숯을 담가놓을 수 있는 것을 감안하면은 상기의 시험결과치 보다 훨씬 더 증가 및 제거될 것 이다.
상기의 시험자료와 같이 숯을 담금으로써 물속의 각종 유해성분 등은 종류를 가리지않고 감소 및 제거시키고, 반면에 유익성분은 감소되지 않고 숯속의 미네랄이 녹아나와 유익성분은 더욱 증가시켜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각종 중금속 등이 산화나 결합과정 중에 발생시키는 다이옥신류의 촉매인 염소화합물, 벤젠핵, 염화벤젠, 다이옥신, PCB, 디벤조푸란 등의 각종 유해화합물 등의 결합을 미리 차단시켜 주고, 유해화합물의 발생원인 염소를 미리 제거(중화)시켜 다이옥신류의 발생을 막아준다.
"다이옥신은 염소가 많이 있고, 벤젠핵이 2개이며, 산소가 둘인 화합물이다. 염소의 결합한 위치에 따라 75종류가 있으며, 염소화합물이 연소함으로써 벤젠핵이 생성되고 여기에 염소가 결합하여 염화벤젠이 된다. 염화벤젠에 2개의 산소가 결합하면 다이옥신이 되고 염화벤젠 끼리 2개가 결합되면 PCB가 되고 여기에 산소가 결합되면 디벤조푸란이 되며, 일반적으로 다이옥신과 디벤조푸란을 통틀어서 다이옥신류라고 부르며,"
"다이옥신 생성에는 3가지 요소가 필요한데 유기물을 함유한 물질, 염소를 함유한 물질, 그리고 이들이 서로 결합하여 반응할 수 있는 환경이다. 이중에서 유기물은 도처에 깔려있고, 반응 환경은 일상적이고," 염소는 시험결과의 1차자료나 3차자료와 같이 엄청난 양이 들어있어 다이옥신의 생성이 불가피하나, 예방책은 최초 발생원인 염소를 제거(중화) 및 감소시키는 것이다.
결론으로 다이옥신류는 염소나 유해화합물 중 하나만 없으면 유해한 염소화합물이 만들어지지 않으며, 산화나 결합이 되더라도 벤젠핵이 생성이 안되며, 염소가 없으면 결합하지 못하므로 염화벤젠이나 다이옥신이나 PCB나 디벤조푸란의 생성이 되지를 못하여 다이옥신류의 발생이 되지를 않는 것처럼, 다이옥신류의 생성은 염소가 존재함으로써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 나라에서 생산되는 숯의 50% 정도가 상수도 물을 여과하는 과정에 이용되고 있고, 현재 시판되는 가정용 정수기에도 활성탄이라 하여 반드시 숯을 사용하고 있으며, 소각장과 공장 등에서는 숯이나 백금 촉매를 이용해 다이옥신을 제거해오고 있으며, 방독면, 정수장, 담배의 필터, 냉장고 안의 탈취제, 섬유 제조, 공기 정화, 음료 제조에도 사용되고 있다. 이처럼 숯이 다용도로 활용되고 있는 것은 숯만이 가지고 있는 흡착력 때문이며, 숯을 굽는 과정에서 생겨난 숯가루 속의 미세한 구멍들이 인체에 유익한 영양분들은 하나도 흡수하지 않고 나쁜 물질들만을 뽑아 내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고질기: 천일염 결정이 유리처럼 투명해지는 현상
니가리 : 해수에서 천일염을 채취 후 얻어지는 염수(간수)의 일본식 표현이나, 천일염을 생산하는 염전에서는 천일염 결정이 깨진 유리처럼 삐쭉 삐쭉하게 되는 현상

Claims (1)

  1. 고질기와 중금속을 제거 및 감소시키는 천일염 제조방법에 있어서,
    다년생식물인 갈대를 뿌리채 채취하는 공정과,
    부영화의 원인인 질소나 인의 중금속흡착 효율을 높이고 갈대 잎이 떨어져서 물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채취한 갈대 줄기의 상층부를 절취시키는 공정과,
    절취 부분에 핫멜트 코팅처리, 실리콘 코팅처리, 비닐을 덮어씌우고 묶는 방법 중에서 1개 이상 선택된 방법을 사용하여 새로운 싹이 나오지 않도록 생장점을 미리 막는 공정과,
    갈대의 하층부 갈대뿌리에 미세보관망을 씌워 갈대뿌리가 안에서만 성장하고 미세보관망 밖으로 뻗어나가 갯벌에 활착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공정과,
    생장점을 미리 막고 미세보관망을 씌운 갈대와 숯을 염전의 저수지, 제1증발지, 제2증발지, 해수탱크, 결정지 중에서 1곳 이상 선택된 바닥에 20∼60 센티미터 깊이로 심는 공정과,
    갈대를 심고 난 후 갈대의 키를 넘지 않도록 염수를 투입시킨 뒤 고질기와 중금속을 지속적으로 제거 및 감소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질기와 중금속을 제거 및 감소시키는 천일염 제조방법.
KR1020070060853A 2007-06-18 2007-06-18 고질기와 중금속을 제거 및 감소시키는 천일염 제조방법 KR100889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853A KR100889942B1 (ko) 2007-06-18 2007-06-18 고질기와 중금속을 제거 및 감소시키는 천일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853A KR100889942B1 (ko) 2007-06-18 2007-06-18 고질기와 중금속을 제거 및 감소시키는 천일염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364A KR20080111364A (ko) 2008-12-23
KR100889942B1 true KR100889942B1 (ko) 2009-03-25

Family

ID=40369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0853A KR100889942B1 (ko) 2007-06-18 2007-06-18 고질기와 중금속을 제거 및 감소시키는 천일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99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485B1 (ko) 2010-12-02 2012-06-22 김현철 폐해수를 이용한 함초의 재배방법 및 이에 의해 재배된 함초
KR20180066382A (ko) 2016-12-08 2018-06-19 고재홍 해수 정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84651B (zh) * 2015-07-28 2017-05-31 山西诺凯化工技术有限公司 一种煤化工浓盐废水的净化处理和纯盐回收工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164A (ko) * 2001-11-29 2003-06-09 김성호 각종 독성분이 제거된 천일염 제조방법
KR20030086184A (ko) * 2002-05-01 2003-11-07 김성호 각종 유독 성분이 제거된 무독소 천일염 제조방법
KR20040064522A (ko) * 2003-01-13 2004-07-19 김경희 유해성분을 제거 및 감소시키고 유익 성분은 증가 시킬 수있는 무독소 간수 및 천일염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164A (ko) * 2001-11-29 2003-06-09 김성호 각종 독성분이 제거된 천일염 제조방법
KR20030086184A (ko) * 2002-05-01 2003-11-07 김성호 각종 유독 성분이 제거된 무독소 천일염 제조방법
KR20040064522A (ko) * 2003-01-13 2004-07-19 김경희 유해성분을 제거 및 감소시키고 유익 성분은 증가 시킬 수있는 무독소 간수 및 천일염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485B1 (ko) 2010-12-02 2012-06-22 김현철 폐해수를 이용한 함초의 재배방법 및 이에 의해 재배된 함초
KR20180066382A (ko) 2016-12-08 2018-06-19 고재홍 해수 정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364A (ko) 2008-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upta et al. Treatment of water using water hyacinth, water lettuce and vetiver grass–a review
JP6931752B2 (ja) テニスボールを利用した環境浄化具及び用途
KR20090080459A (ko) 약초를 이용한 어,패류 양식수 또는 보관수 제조방법
CA2914547A1 (en) Bio-available mineral fertilizer and derivative applications, including product processes
JP2017225964A5 (ko)
KR200433975Y1 (ko) 제독기능을 가지는 양식플레이트
KR100889942B1 (ko) 고질기와 중금속을 제거 및 감소시키는 천일염 제조방법
Patil et al. Ground water nitrate removal by using ‘Chitosan’as an adsorbent
KR20070098763A (ko) 제독기능의 염전 바닥재
Malik et al. Conventional methods and materials used for water treatment in rural areas
KR20030089380A (ko) 약초 굴비 제조방법
KR20100119460A (ko) 제독기능을 향상시키고 고체분말형상 uv 차단제가 포함된 염전 바닥재의 제조방법 및 이방법으로 제조된 염전용 바닥재
KR20080002312U (ko) 제독 및 방부기능을 가지는 과일 또는 채소보호대
KR200419088Y1 (ko) 농, 어업용 제독 메트.
JP7273763B2 (ja) 天然温泉濃縮液とその製造方法
KR200427958Y1 (ko) 제독기능의 염전 바닥재
KR20180092544A (ko) 메밀을 이용한 중금속 오염 토양의 정화방법
KR200439121Y1 (ko) 장판 바닥의 깍임을 최소화하고 유해성분 흡착기능을가지는 염전용고무래
KR20100090171A (ko) 식품 속에 혼합 사용이 가능한 기능성 숯이 내장된 포장지
Inchulkar Shrikant et al. Scope of Agadtantra (Ayurvedic toxicology) in Environmental Pollution wsr to Janpadodhvansa & Dushi visha: A Review
KR20070000752U (ko) 유해성분 흡착과 부패방지 기능을 가지는 합성수지 원사
KR20090101784A (ko) 유해성분 흡착 및 살균기능을 가지는 화분
Farago et al. The recovery of platinum metals by the water hyacinth
KR100423265B1 (ko) 항염증과 방부성분과 제독성분을 지닌 약초를 이용한활어의 보존 및 양식수 제조방법
Sabbar et al. Utility of cyanide ion remediation residues to prepare active rodenticide accessing to zero residue level: sprague dawley rats Rattus rattus as case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