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9391B1 - 스크롤 휠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롤 휠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9391B1
KR101159391B1 KR1020077027362A KR20077027362A KR101159391B1 KR 101159391 B1 KR101159391 B1 KR 101159391B1 KR 1020077027362 A KR1020077027362 A KR 1020077027362A KR 20077027362 A KR20077027362 A KR 20077027362A KR 101159391 B1 KR101159391 B1 KR 101159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rotatable member
axis
interlockable
ti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7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7235A (ko
Inventor
데이비드 디. 본
에릭 왈
제임스 유안-차오 쿠
매튜 페더슨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80027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7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9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9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표시 스크린에서 복수의 방향으로 이미지를 이동시키기 위한 스크롤 휠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가 제공된다. 스크롤 휠 어셈블리는, 회전축에 대해 무한히 회전될 수 있는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 및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와 동일 평면상에 있으면서, 상기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의 피보팅이 측 방향 배치된 접촉 스위치를 측 방향 접촉시키기 위하여 틸트 접촉 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수직 하향 방향으로 배향되는 틸트 접촉 부재를 포함하는 틸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는 스크롤 휠 어셈블리를 업라이트 위치로 바이어스시키기 위하여 밑면에 플렉서블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스크롤 휠 어셈블리,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 피보팅, 틸트, 플렉서블 블레이드, 마우스, 캐리지, 스탠션, 액슬

Description

스크롤 휠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INPUT DEVICE INCLUDING A SCROLL WHEEL ASSEMBLY}
스크롤 휠은 컴퓨터 마우스 상에 제공되어, 컴퓨터 운영자에 의해, 호스트 컴퓨터의 표시 스크린에 대해 이미지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사용되어 왔다. 스크롤 휠 어셈블리는 마우스와 같은 주변 컴퓨터 장치를 위한 하우징에 통상적으로 포함되는 회전가능 스크롤 휠 및 센서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스크롤 휠의 일부는 그 하우징의 개구로부터 위로 돌출되고, 스크린을 따라 이미지를 수직으로 스크롤링하기 위하여 회전된다.
여기서 사용됨에 있어서, 스크롤링(scrolling)은 이러한 용어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처럼, 표시 스크린에 대해 특정한 방향으로 이미지를 이동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예컨대, 여기서 사용되는 "아래로 스크롤링한다(scroll down)"란 용어는 문서 또는 이미지에서 하향 이동(move down)의 효과를 생성할 정도로 표시 스크린에 대하여 (텍스트 문서 또는 이미지와 같은) 파일의 시각적인(viewable) 콘텐츠를 움직이게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위로 스크롤링한다(scroll up)", "좌측으로 스크롤링한다(scroll left)" 및 "우측으로 스크롤링한다(scroll right)"란 용어는 문서 또는 이미지에서 위로, 좌측으로 및 우측으로 각각 이동 효과를 생성할 정도로 스크린에 대하여 파일의 시각적인 콘텐 츠를 이동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또한, 여기서 사용됨에 있어서, "스크롤링"이란 용어는 이미지의 자동 스크롤링인 패닝(panning)을 포함한다.
동작될 때, 종래의 스크롤 휠은 표시 스크린에 대하여 이미지를 위아래로(수직 방향으로) 스크롤링하기 위하여 하우징 내에 가로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는 제1 연장축에 대하여 통상적으로 회전된다. 스크롤 휠이 회전됨에 따라, 인코더는 인코더 휠의 회전을 감지하고, 대응하는 신호를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이미지를 이동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한다. 이는 사용자가 마우스 및/또는 커서의 위치를 이동시키지 않고도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스프레드시트(spreadsheet)와 같은 많은 종류의 문서는 그 폭이 대개 표시 스크린의 폭보다 넓고, 사용자는 전체 파일을 보려고 스크린을 가로질러 수평 방향으로 스크롤링하고 싶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표시 스크린을 가로질러 이미지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을 때, 사용자는 통상적으로 자신이 하고 있는 작업을 멈추고, 다수의 지루하고 방해될 가능성이 있는 단계들을 실행해야 한다. 이들 단계는 표시 장치의 바닥 근처에 대개 위치하는 수평 방향의 스크롤 바 형태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찾는 단계, 스크롤 바에 커서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휠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스크롤 바를 찾는 단계는 시력이 나쁜 사람들, 작은 표시 스크린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 및/또는 시각 협응력이 나쁜(poor hand-eye coordination) 사람들에게 매우 어려운 일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바닥에 있는 수평 방향의 스크롤 바를 찾기 위해 더듬거리며 시간을 소비하여, 자신의 프로젝트의 완료를 지연시킬 것이다. 이들 지연은 사용자가 마감 시간에 임박해서 작업할 때 커지는 좌절감과 불필요한 스트레스를 사용자에게 야기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수평 방향 스크롤 바 상에 커서를 정확히 위치시키지 못하면, 사용자가 휠을 회전시키더라도 이미지는 표시 스크린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스크롤되지 않을 것이다. 대신, 이미지는 표시 스크린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고, 표시 이미지를 잘못 변화시킬 것이다. 이러한 에러는 표시 스크린에 원하는 이미지를 재배치시키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추가적인 단계들을 취하도록 강요할 것이다. 이들 단계는 커서가 수평 방향의 스크롤 바에 위치되지 않았음을 사용자가 확인하는 단계, 및 이미지를 그 이전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스크롤 휠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불행히도, 만약 이미지가 보정 중이었다면, 이미지를 재배치시키는 단계는 에러를 일으킬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이미지를 그 이전 위치로 복귀시킬 수 없다. 그 결과, 사용자는 이미지의 잘못된 섹션을 보정하게 된다. 적절한 이미지 또는 이미지의 부분이 표시 스크린에 복귀되더라도, 사용자는 여전히 그 이미지를 수평 방향으로 최종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바닥에 있는 수평 방향의 스크롤 바를 다시 찾는 시도를 해야 한다.
기존의 마우스 디자인은 이미지를 위아래로 스크롤링하기 위한 제1 회전가능 휠, 및 이미지를 좌우로 스크롤링하기 위한 별도의 제2 회전가능 휠을 포함한다. 회전가능 휠들은 서로에 대해 수직한 평면에서 연장되고 회전되도록 배향된다. 이 2개의 스크롤 휠들은 독립적으로 동작가능하다. 그러나, 이 구성은 마우스 상에서 사용자의 손을 지지하거나 추가적인 입력 키에 사용될 수 있는 유용한 상면(upper surface)을 2개의 휠들이 차지한다는 결함을 갖고 있다. 또한, 2개의 휠들은 마우 스의 상면에 두 휠 모두를 수용하도록 작은 사이즈로 구성되었다. 스크롤 휠의 사이즈가 작을수록 스크롤링의 제어는 더욱 어려워진다. 또한, 수평 방향의 스크롤 휠의 위치는 효과적인 제어를 하는데 불편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양태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간략히 요약해서 나타낸다. 이 요약은 본 발명의 광범위한 개요가 아니다. 본 발명의 핵심적인 또는 중요한 소자를 식별하거나 또는 본 발명의 범위를 설명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의 요약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대한 도입부로서 간략화된 형태로 본 발명의 일부 개념을 나타낸다.
제1 예시적인 실시 양태는 표시 장치의 이미지를 복수의 방향으로 스크롤링하기 위한 입력 장치를 포함한다. 입력 장치는 하우징 및 스크롤 휠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스크롤 휠 어셈블리는 회전축에 대해 무한히 회전가능하고 수직한 경사축에 대해 피보팅(pivoting) 가능한 손가락 연동형 회전가능 부재를 포함한다. 스크롤 휠 어셈블리는 손가락 연동형 회전가능 부재가 피보팅되는 때를 판정하기 위하여 틸트 센스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양태에서, 틸트 센스 시스템은 손가락 연동형 회전가능 부재의 중심선에 있고 대략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틸트 접촉 부재 또는 틸트 센스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손가락 연동형 회전가능 부재가 하나의 방향으로 피보팅될 때, 틸트 센스 부재는 반대 방향으로 측 방향 이동된다. 틸트 센스 부재는 측 방향 배치된 접촉 스위치를 접촉시킬 수 있다. 틸트 센스 부재를 측 방향 배치된 접촉 스위치와 접촉시키는 것에 기초하여, 손가락 연동형 회전가능 부재의 피보팅이 감지된다.
다른 실시 양태에서, 플렉서블 블레이드(flexible blade)는 틸트 바이어스 부재로서 기능하도록 제공된다. 플렉서블 블레이드는, 중심선에 있으면서 손가락 연동형 회전가능 부재의 측 방향으로부터 같은 거리에 있는 평면에서 손가락 연동형 회전가능 부재의 밑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플렉서블 블레이드는 근위단(proximal end)에서 손가락 연동형 회전가능 부재의 밑면에 부착될 수 있고, 말단(distal end)에서 플렉서블 블레이드의 측 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지지 구조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 구조의 예에는 회로 기판의 슬롯, 또는 플렉서블 블레이드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을 갖는 가이드 구조가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블레이드는, 틸트 힘이 없어졌을 때 플렉서블 블레이드에 저장된 힘이 휠을 업라이트(upright)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손가락 연동형 회전가능 부재(예컨대, 스크롤 휠)가 틸트될 때 구부러지는 "중앙으로의 복귀(return-to-center)" 바이어스 소자로서 기능한다.
다른 실시 양태에서, 손가락 연동형 회전가능 부재는 틸트축을 따라 손가락 연동형 회전가능 부재로부터 연장되는 액슬(axle)과 연관될 수 있다. 액슬은 타워 또는 Z 캐리어와 같은 홀더 내에서 접촉되거나 포함될 수 있다. 액슬을 유지하기 위한 홀더의 개구의 대응하는 형상 및 액슬의 단면의 형상이 손가락 연동형 회전가능 부재의 과도한 피보팅을 막도록, 홀더는 액슬에 끼워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컴퓨터 입력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컴퓨터 입력 장치에서 사용되는 스크롤 휠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2의 틸트(tilt) 센서의 분해 등축도.
도 4는 도 2의 스크롤 휠 어셈블리의 틸트 센서의 배면도.
도 5A는 플렉서블 블레이드의 일례를 도시하는 스크롤 휠 어셈블리의 측면도.
도 5B는 도 5A의 스크롤 휠 어셈블리 및 플렉서블 블레이드의 배면도.
도 6A는 플렉서블 블레이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스크롤 휠 어셈블리의 측면도.
도 6B는 도 6A의 스크롤 휠 어셈블리 및 플렉서블 블레이드의 배면도.
도 7은 회전 감지를 위한 경사 축 및 광로 모양을 나타내는 스크롤 휠 어셈블리의 정면도.
도 8은 도 7의 스크롤 휠 어셈블리의 측면도.
도 9는 도 2의 스크롤 휠 어셈블리의 업라이트 프론트 스탠션(upright front stanchion) 및 프론트 액슬(front axle)의 정면도.
이하의 다양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부를 형성하고,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예시적인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도시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행해진다. 다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구조적 이고 기능적인 변형이 행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호스트 컴퓨터(8), 다른 유형의 컴퓨팅 장치 또는 인터넷 기기와 함께 사용되는 표시 스크린(2)에 대하여 복수의 방향으로 복수의 축(X, Y)을 따라 이미지를 스크롤링하기 위한 상이한 유형의 컴퓨터 입력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손가락 연동형(finger-engagable) 제어 부재(101)(예컨대, 스크롤 휠)를 포함하는 스크롤 휠 어셈블리(100)를 포함하는 컴퓨터 입력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 휠 어셈블리(100)의 일 실시예는 마우스(6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르게는, 스크롤 휠 어셈블리(100)는 키보드 내에 배치될 수 있고, 또는 트랙볼 장치나 그와 유사한 입력 장치(도시 안됨)와 같은 기타 주변 컴퓨터 입력 장치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스크롤 휠 어셈블리는 핸드헬드 컴퓨터, 대형 휴대용 컴퓨팅 장치, 웹 패드 또는 인터넷 기기의 베즐(bezel)에 배치될 수도 있고, 아니면 랩톱 컴퓨터의 샤시(chassis)에 배치될 수 있다. 이들 다른 잘 알려진 주변 장치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호스트 컴퓨터(8)에 대해 유선 또는 무선 접속될 수 있다. 다르게는, 스크롤 휠 어셈블리(100)는 컴퓨터 모니터 또는 랩톱 컴퓨터의 베이스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상술되는 바와 같이, 수직 방향의 스크롤링을 위한 그 통상적인 회전 이동 외에,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는 표시 스크린(2) 상의 이미지를 수평 방향으로 스크롤링하기 위하여 피보팅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롤 휠 어셈블리(100)는 도 1에 도시된 컴퓨터 또는 다른 유형의 컴퓨팅 장치 또는 인터넷 기기와 함께 사용되는 표시 스크린에 대하여 복수의 방향으로 복수의 축(X, Y)(4, 5)을 따라 이미지를 스크롤링하기 위해 상이한 유형의 컴퓨터 입력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 휠 어셈블리(100)의 일 실시예는 마우스(6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알려진 바와 같이, 마우스는 표시 장치 상에서의 커서의 이동이 마우스의 대응하는 이동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트래킹면(tracking surface)에 대한 마우스의 병진 운동을 판정하기 위한 시스템을 포함한다. 종래의 방식에서, 마우스(60)는 또한 하우징(55), 및 제1 키(45) 및/또는 제2 키(50)와 같은 누름형 액츄에이터(depressible actuator)를 포함한다. 하우징(55)은 그 안에 개구(40)를 포함한다. 스크롤 휠 어셈블리(30)는 하우징(55) 내에 탑재된다.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의 일부는 사용자에 의해 쉽게 접촉되고 조작될 수 있도록 입력 장치의 개구(40)를 통해 연장되어 노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 상술되는 바와 같이, 수직 스크롤링에 대하여 앞에서 뒤로 또는 뒤에서 앞으로 회전되는 스크롤 휠 어셈블리(100)의 적어도 일부 외에,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는 표시 스크린(2) 상의 이미지(1)를 수평 방향으로 스크롤링하기 위하여 또는 컴퓨터에 의한 다른 동작을 일으키도록 측 방향으로(즉, 경사 방향으로) 피보팅될 수 있다.
스크롤 휠이 마우스(101)의 일부로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또한 키보드, 트랙볼 장치 등과 같은 다른 장치에 스크롤 휠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다른 실시예를 포함한다. 스크롤 휠 어셈블리(100)의 다른 실시예는 키보드, 또는 트랙볼 장치와 같은 다른 컴퓨터 입력 장치 또는 유사한 입력 장치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핸드헬드 컴퓨터, 대형 휴대형 컴퓨팅 장치, 웹 패드 또는 인터넷 기기의 베즐에 위치될 수 있고, 또는 랩톱 컴퓨터의 샤시에 배치될 수도 있다. 임의의 이들 컴퓨터 입력 장치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호스트 컴퓨터에 대해 유선 또는 무선 접속될 수 있다. 다르게는, 스크롤 휠 어셈블리(100)는 컴퓨터 모니터 또는 랩톱 컴퓨터의 베이스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롤 휠 어셈블리의 회전가능 부재의 일례는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예컨대, 스크롤 휠)(101)이다. 또한,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가 가로로 배향된 축을 중심으로 캐리지(106)에 대해 무한히 회전할 수 있도록,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는 캐리지(106)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캐리지(106)는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의 아래쪽 절반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사용자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의 위쪽 부분은 그대로 남겨둔다.
스크롤 휠 어셈블리(100)는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하여 회전 센스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회전 센스 시스템은 회전 센서 인코더(120), 광원(102) 및 광 디텍터(110)를 포함하는 광학 회전 센서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102)과 광 디텍터(110)는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의 양 옆에 각각 배치된다. 캐리지(106)는 광원(102)으로부터의 광이 통과할 수 있는 캐리지 개구(119)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회전 센서 인코더(120)는, 광원(102)으로부터의 광이 광 디텍터(110)에 도달하는 것을 간헐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와 함께 회전하도록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 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 내의 회전 센서 인코더(120)의 개구와 캐리지 개구(119)를 통해 광원(102)으로부터 광 디텍터(110)로 통과되는 광을 감지하여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의 회전이 감지될 수 있다. 다르게는, 통과형(pass-through) 구성 대신에, 회전가능 부재는 인코더 휠에 광 흡수면 및 광 반사면을 교대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의 회전은, 인코더가 광을 투과시키고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의 인코더 휠로부터 반사된 광을 감지하는 것과 같은 반사 인코더 방법을 사용한다. 인코더와 인코더 휠은 광이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 및 인코더 휠의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투과되도록 정렬된다. 인코더 휠에는 인코더가 식별될 수 있는 반사 섹션 및 비반사 섹션이 각거리를 갖고 교대로 배치되어 있어, 인코더 휠과 인코더 사이의 각변위가 판정될 수 있다. 광 반사 능력의 이러한 대비는 인코더 휠 중 인코더를 향한 측에서 각거리를 갖고 배치되어 있는 영역들을 에칭함으로써 또한 에칭하지 않음으로써 생길 수 있다.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가 회전될 때, 인코더 휠의 비반사 섹션은 입사광을 흡수하고, 인코더 휠의 반사 섹션은 입사광을 그 수광(light-receiving) 디텍터로 다시 반사한다. 디텍터는 이러한 차단을 감지하고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회전량 및 회전 방향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Y축 방향으로 위아래로 스크롤링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호스트 컴퓨터에 중계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광학적으로 쌍을 이루는 소자들 둘 다가 인코더의 동일한 측에 존재한다.
다르게는, 회전 센서 인코더는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로부터 옆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광학적으로 쌍을 이루는 광원 및 광 디텍터는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인코더는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의 회전축의 액슬을 통해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에 부착될 수 있다.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의 회전에 의해, 광원으로부터 광 디텍터로 광이 통과되는 것을 간헐적으로 막는 회전 센서 인코더의 회전이 일어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의 이동 또는 회전은 광 디텍터에서 수신된 간헐적인 광 투과 패턴에 기초하여 감지되고 분석된다.
도 2는 스크롤 휠 어셈블리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틸트 센서의 분해 등축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스크롤 휠 어셈블리의 틸트 센서의 배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는 또한 회전축에 대해 피보팅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2)는,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의 앞에서 뒤로 연장되고 회전축과 수직한 경사축(tilt axis)을 갖는다. 일 예에서, 경사축은 회전축과 동일 평면상에 있거나, 또는 회전축보다 위에 있는 평면에 있을 수 있다. 이 예에서, 경사축은 회전축 아래에 있는 평면에 존재한다. 또한, 캐리지(106)는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캐리지(106)는 프론트 액슬(122), 리어 액슬(rear axle)(121), 원한다면, 플라스틱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이루어진 단일하게 성형된 구조일 수 있는 리어 액슬(121)로부터 연장되는 틸트 접촉 부재(118)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액슬(122)은 업라이트 프론트 스탠션(104)의 개구(130)를 통해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의 경사축을 따라 캐리지의 전방 외관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프론트 액슬(122)은,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의 피보팅 및 회전을 허용하면서 캐리어의 전방 섹션의 하향 변위를 방지하도록 프론트 액슬(122)을 지지하는 업라이트 프론트 스탠션(104)의 개구(130)에 끼워진다. 또한, 업라이트 프론트 스탠션(104)의 개구(130)는 누름(depression)에 응답하여 캐리어의 배면 섹션이 하방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충분한 움직임을 제공한다.
또한, 캐리지(106)는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의 경사축을 따라 타워(124)의 슬롯(131)을 통해 캐리지의 배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리어 액슬(121)을 포함할 수 있는데, 슬롯(131)의 양 측이 타워(124)에 대해 리어 액슬(121)이 측 방향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리어 액슬(121)의 측 방향 변위를 방지하면서, 리어 액슬(121)이 슬롯(131) 내에서 피보팅될 수 있다. 따라서, 리어 액슬(121)이 손가락-연동형 제어 부재(101)와 함께 피보팅되는 캐리지(106)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스크롤 휠 어셈블리(100)는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의 피보팅이 감지될 수 있는 틸트 센서(114)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서, 틸트 센서(114)는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와 동일 평면으로 배향되어 리어 액슬(121)로부터 연장되는 연장 구조인 틸트 접촉 부재(118)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리어 액슬(121)은 타워(124)를 통해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의 경사축을 따라 연장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트 접촉 부재(118)가 경사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하향 연장되도록, 틸트 접촉 부재(118)는 중심선에서 리어 액슬(121)의 밑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된다.
회로 기판(112)의 개구는 틸트 접촉 부재(118)의 어느 일 측에 틸트 접촉 스위치(116)를 포함한다. 회전될 때, 틸트 접촉 부재(118)는 2개의 접촉 스위치들(116) 사이에 배치된다. 일 구성에서는, 회로 기판에 개구가 제공되고, 그 개구를 통해 틸트 접촉 부재(118)가 배치된다.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의 피보팅은 경사축을 따라 캐리지(106)의 대응하는 회전 운동을 일으키고, 차례로 배면축이 대응하는 양만큼 회전하도록 하고, 또한 틸트 접촉 부재(118)가 그 인접한 엔드 및 인접한 리어 액슬을 피보팅하게 한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틸트 접촉 부재(118)의 저부는 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틸트 방향의 반대 측의 접촉 스위치(116)와 접촉한다. 따라서,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의 피보팅의 방향은 틸트 방향의 반대 측의 대응하는 틸트 접촉 스위치(116)와 틸트 접촉 부재(118)의 접촉에 기초하여 감지된다. 구체적으로, 스크롤 휠 어셈블리(100)를 우측으로 틸트하면 좌측에서 접촉 스위치와 틸트 접촉 부재(118)의 접촉을 야기하고. 스크롤 휠 어셈블리(100)를 좌측으로 틸트하면 우측에서 접촉 스위치와 틸트 접촉 부재(118)의 접촉을 야기한다.
또한, 도 4는 틸트 접촉 부재(118)가 통과하는 회로 기판(112)의 개구에 틸트 접촉 스위치(116)가 배치된 것을 도시한다. 이 예의 회로 기판(112)은 베이스(123) 위에 있다. 틸트 접촉 스위치(116)의 배향은 회로 기판(112)의 공간을 절약하게 해준다. 이 예의 틸트 접촉 스위치(116)는 회로 기판(112)의 틸트 접촉 부재(118) 근처에 배치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회로 기판(112)의 틸트 접촉 스위치 가 차지하는 공간이 적어져 다른 컴포넌트를 위한 추가적인 공간이 제공되고, 회로 기판(112)의 전기 컴포넌트의 배치 및 구성에 제약조건이 덜 생긴다.
단,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할 뿐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예컨대, 다른 예에서, 틸트 접촉 스위치(116)는 회로 기판(11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 예에서, 회로 기판(112)은 틸트 접촉 부재(118)보다 낮게(예컨대, 베이스(123)에 가까이) 배치될 수 있고, 틸트 접촉 부재(118)의 어느 일측에 틸트 접촉 스위치(116)를 포함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회로 기판(112)의 배치는 틸트 접촉 스위치(116)의 배치에 종속되지 않는다. 다른 예에서, 베이스(123)는 틸트 접촉 부재(118)의 어느 일측에 틸트 접촉 스위치(116)를 포함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틸트 접촉 스위치(116)를 포함하기 위한 구조는 회로 기판(112)의 개구를 통과할 수 있다.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의 피보팅은 과도한 피보팅이 금지되도록 제한될 수 있다. 이는 접촉 스위치(116)에 대항하여 틸트 접촉 부재(118)에 과도한 힘이 적용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예컨대, 업라이트 프론트 스탠션(104)의 개구를 통해 연장되는 프론트 액슬(122)의 단면은 과도한 피보팅을 막기 위하여 업라이트 프론트 스탠션(104)의 개구(130)에 대해 미리 정해진 형상일 수 있다. 도 9는 업라이트 프론트 스탠션(104)의 삼각형 개구(130) 내에 삼각형 단면을 갖는 프론트 액슬(122)의 일례를 도시한다.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0)가 틸트되면, 업라이트 프론트 스탠션(104)의 개구(130)를 통해 전달되는 힘이 프론트 액슬(122)에 가해진다. 프론트 액슬(122) 및 개구(130)의 단면의 상대적인 형상 때문에, 프론트 액슬(122) 및 개구(130)는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0)의 과도한 틸트를 막는다. 그러나, 프론트 액슬(122)의 단면 및 업라이트 프론트 스탠션(104)의 개구의 상대적인 형상은 이와 같이 제한되지 않으며,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의 과도한 피보팅을 제한하는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예컨대, 프론트 액슬(122)의 단면 및 Z 캐리어의 개구는 과도한 피보팅에 저항을 가하기 위하여 타원형(oval) 또는 직사각형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리어 액슬(121)의 단면, 및 리어 액슬(121)을 수용하기 위한 타워(124)의 슬롯(131) 또한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의 과도한 피보팅을 막기 위한 형상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복수의 축(4, 5)(도 1 참조)을 따라 복수의 방향으로 표시 스크린(2)의 이미지(1)(도 1 참조)를 스크롤링하고 싶어하면, 사용자는 컴퓨터에 의해 해석되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하우징(55)에 대해 휠 어셈블리(30)를 회전시키고/시키거나 측 방향으로 피보팅하여, 수직 및/또는 측 방향 스크롤링을 각각 야기할 것이다. 스크롤 휠 어셈블리(100)가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면, 회전 움직임이 회전 운동 센스 시스템에 의해 (즉, 광 디텍터(110)에서 감지되는 광원(102)으로부터의 광에 기초하여) 감지되고, 이미지(1)는 Y축(4)(도 1 참조)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 수직 방향 또는 - 수직 방향 중 어느 하나, 즉 위 또는 아래로 스크롤링된다. 스크롤 휠 어셈블리(100)가 사용자에 의해 측 방향으로 틸트되거나 피보팅되면, 피보팅 움직임은 틸팅 센서(114)에 의해 감지되고, 이미지(1)(도 1 참조)는 X축(5)(도 1 참조)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 수평 방향 또는 - 수평 방향, 즉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스크롤링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스크롤 휠 어셈블리(100)는 적어도 두 위치, 즉 제1 위치 및 제2 위치를 가질 수 있다. 리어 액슬(121)을 수용하기 위한 타워(124)의 슬롯(131)은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의 하향 움직임을 허용하기 위한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스크롤 휠 어셈블리(100)는 중립 위치에 있을 때 제1 위치에 있다. 그러나,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 및 캐리지(106)가 제2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스크롤 휠 어셈블리(100) 및 캐리지(106)는 스크롤 휠 어셈블리(100)의 밑에 있는 스위치(즉, Z 스위치(108))에 접촉할 수 있다. 스크롤 휠 어셈블리(100)를 Z 스위치(108)와 접촉시킴으로써, 스크롤 휠 어셈블리(100)는 Z 스위치의 활성화에 대응하여 표시 스크린에 추가적인 기능들이 실행되게 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스크롤 휠 어셈블리(100)는 스크롤 휠(101)의 회전축과 평행하며 업라이트 프론트 스탠션(104)의 개구(130)를 가로지르는 제2 피보팅축을 따라 피보팅될 수 있다.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 및/또는 캐리지(106)는 그 가능한 피보팅에 대하여 중립 위치로 바이어스(bias)된다(즉, 하우징의 개구에 대해 수직 위치로 바이어스된다). 사용자가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를 피보팅할 때,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 및 캐리지(106)는 그들의 중립 위치로부터 변경된다. 예컨대,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 및 캐리지(106)의 피보팅에 의해, 액슬(121, 122)에 의해 규정되고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의 회전축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경사 축을 따라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 및 캐리지(106)가 틸트된다. 캐리지(106) 및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의 바이어스에 의해, 틸트 힘 또는 피 보팅 힘이 제거된 후에 캐리지(106) 및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가 그 중립 위치로 복귀된다.
일례에서, 캐리지(106) 및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를 위한 틸트 바이어스 장치는 플렉서블 블레이드(401)를 포함한다. 도 5A 및 도 6A는 캐리지(106) 및/또는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의 측 방향 바이어스를 일으키는 플렉서블 블레이드(401)를 포함하는 틸트 바이어스 장치의 사용의 두가지 예를 도시하는 스크롤 휠 어셈블리(100)의 측면도이다. 도 5B 및 도 6B는 각각 도 5A 및 도 6A의 플렉서블 블레이드(401)를 갖는 스크롤 휠 어셈블리(100)의 배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크롤 휠 어셈블리(100)는 플렉서블 블레이드(40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예에서, 플렉서블 블레이드(401)는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 또는 캐리지(106)의 밑면에 위치한다. 그러나, 플렉서블 블레이드(401)의 위치는 제한되지 않기 때문에, 플렉서블 블레이드(401)는 스크롤 휠 어셈블리(100)에 대해 다양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플렉서블 블레이드(401)는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의 앞 또는 뒤에 배치될 수도 있다.
플렉서블 블레이드(401)는 캐리지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플렉서블 블레이드(401)는 프론트 액슬(122), 리어 액슬(121) 및 틸트 접촉 부재(118)와 함께 성형될 수 있는 캐리지(106)를 갖는 단일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블레이드(401)는 캔틸레버(cantilever) 빔 구조와 같은 캔틸레버 마운트를 통해 캐리지 또는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와 통합될 수 있다. 플렉서블 블레이드(401)는 임의의 고체 또는 반 강성(semi-rigid)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예에서, 플렉서블 블레이드(401)는 근위단(402a) 및 말단(402b)을 가지면서, 임의의 반 강성 재료 또는 강성 재료의 평탄하고 연장된 부재이다. 근위단(402a)은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의 중심선에 배치되고,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 또는 캐리지(106)의 길이 방향 축과 평행한 평면으로 배향된다. 플렉서블 블레이드(401)는 말단(402b)을 향해 하향 연장된다. 플렉서블 블레이드(401)의 근위단(402a)은 이 예의 캐리지(106)의 밑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말단에서 회로 기판(112)의 슬롯을 관통한다. 플렉서블 블레이드(401)의 근위단(402a)은 캐리지에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를 피보팅할 때 플렉서블 블레이드(401)의 말단(402b)의 측 방향 변위가 없거나 최소한으로 되도록, 회로 기판(112)의 슬롯의 폭을 플렉서블 블레이드(401)의 폭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다르게는,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가 피보팅될 때 플렉서블 블레이드(401)의 측 방향 이동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하여, 회로 기판(112)의 슬롯이 플렉서블 블레이드(401)의 폭보다 약간 넓을 수 있다.
사용함에 있어서,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가 어느 한 방향으로 피보팅될 때, 캐리지 및 휠은 피보팅되지만, 플렉서블 블레이드(401)의 말단(402b)은 회로 기판(112)의 슬롯 내에 남아있다.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 상의 피보팅 힘이 없어지면, 구부러진 플렉서블 블레이드(401)에 저장되어 있던 힘이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 및 캐리지(106)를 그 중립 위치로 복귀시킨다.
도 6A 및 도 6B는 스크롤 휠 어셈블리(100)의 플렉서블 블레이드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6A는 스크롤 휠 어셈블리(100)의 측면도, 도 6B는 스크롤 휠 어 셈블리(100)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명확한 표현을 위해 회로 기판(112)은 점선 구조로 도시되어 있다. 명확한 표현을 위해 몇몇 소자들은 도 6B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이 예는 플렉서블 블레이드(401)의 말단이 회로 기판의 슬롯 대신에 가이드(403)의 가이드 슬롯으로 연장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예와 유사하다. 가이드(403)는, 베이스(123) 상에 제공되고,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 및 캐리지(106)의 아래에서 그들의 중심선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플렉서블 블레이드(401)를 맞물리게 하는 슬롯을 포함한다. 가이드(403)의 슬롯은 플렉서블 블레이드(401)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고, 또는 플렉서블 블레이드의 측 방향 이동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하여 플렉서블 블레이드(401)의 폭보다 약간 넓게 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의 회전의 감지 및 특징화(characterization)는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의 피보팅의 감지 및 특징화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도 7 및 도 8은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의 회전 및 피보팅 모두의 감지 및 특징화가 서로에 대한 어떤 이동의 간섭이 없이도 실행될 수 있는 스크롤 휠 어셈블리(100)의 일례를 도시한다. 예컨대, 위의 예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가 회전되면, 회전 센서 인코더(120)를 통해 광원(102)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광 디텍터(110)에서 감지함으로써, 회전이 예컨대 광학 회전 센서를 통해 정확하게 감지된다. 또한, 위의 예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가 피보팅되면, 예컨대 중앙에 배치된 틸트 접촉 부재(118)가 측 방향 변위되어 틸트 접촉 스위치(116)와 접 촉되는 틸트 센서(114)에 의해 피보팅이 감지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가 동시에 피보팅되고 회전되는 것에 대한 상세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 및 캐리지(106)의 경사축(601)은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의 앞에서 뒤로 연장된다. 광원(102) 및 광 디텍터(110)를 포함하는 광학 쌍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의 회전을 감지하는데 사용된다. 광원(102)으로부터의 광이 광축(702)을 따라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를 통과하여 광 디텍터(110)에 도달하도록, 광원(102)과 광 디텍터(110)는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의 인코더의 양쪽에 각각 배치된다. 이 예에서, 광축(702)은 경사축(601)을 따라 정렬된다. 광축(702)은 경사축(601)에 인접할 수 있다. 예컨대, 광축은 경사축으로부터 약 3㎜의 거리 또는 경사축으로부터 3㎜ 이내에 있을 수 있다. 광축은 다르게는 경사축으로부터 1㎜ 거리에 있을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광축(702)은 경사축으로부터 1㎜ 미만의 거리에 있을 수 있다. 또한, 광축(702)은 경사축(601)과 교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축(601)("X"로 표시됨)은 광축(702)(도 7에서는 화살표로 도시되고, 도 8에서는 "+"로 도시됨)과 교차한다. 이 구성은 경사축(601) 주위의 손가락 연동형 제어 부재(101)에 따른 회전 감지 기능의 간섭을 최소화하거나 제거한다.
본 발명의 실시 양태는 많은 형태와 실시예를 취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여기에 나타낸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기보다는 설명하려는 의도이고, 본 발명의 범위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도 변형이 행해질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어 있지만, 광범위한 변형, 변화 및 치환이 상기한 명세서에서 의도되고, 일부 예에서는 본 발명의 일부 특징이 대응하는 다른 특징을 사용하지 않고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범위와 일치되는 방식으로 광범위하게 해석되어야 함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20)

  1. 수직축을 따라 이미지 표시 스크린에 대해 이미지를 스크롤링(scrolling)하기 위한 입력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하는 상면(upper surface) 및 트래킹 면(tracking surface)을 따른 이동을 위해 구성된 저면(lower surface)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제공되는 스크롤 휠 어셈블리 - 상기 스크롤 휠 어셈블리는 상기 개구 내에 배치되는 손가락 연동형 회전가능 부재(finger-engagable rotatable member)를 포함하고, 상기 손가락 연동형 회전가능 부재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연장되는 제1 축에 대해서는 무한히 회전가능하고, 상기 제1 축과 실질적으로 수직한 제2 축에 대해서는 피보팅되어(pivotally) 이동가능함 -;
    상기 제2 축과 상기 저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틸트 접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손가락 연동형 회전가능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기 제2 축에 대하여 피보팅되는 때를 판정하는 틸트 센스 시스템;
    상기 틸트 접촉 부재의 양쪽에 위치된 2개의 접촉 스위치들; 및
    상기 손가락 연동형 회전가능 부재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된 중앙으로의 복귀 장치(return-to-center device) - 상기 중앙으로의 복귀 장치는 근위단(proximal end) 및 말단(distal end)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블레이드(flexible blade)를 포함하고, 상기 근위단은 상기 손가락 연동형 회전가능 부재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됨 -
    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축을 따라 연장되는 액슬(axle)을 더 포함하고, 상기 틸트 접촉 부재는 제1 단 및 제2 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단은 상기 액슬에 부착되는 입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접촉 스위치들은 회로 기판의 개구의 에지에 배치되는 입력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연동형 회전가능 부재가 상기 제2 축에 대해 제2 방향으로 피보팅될 때, 상기 틸트 접촉 부재는 상기 제2 방향과 반대되는 제1 방향으로 측 방향 변위되는 입력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연동형 회전가능 부재가 상기 제2 축에 대해 피보팅될 때, 상기 틸트 접촉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스위치와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향되어 접촉되고, 상기 손가락 연동형 회전가능 부재의 피보팅은 상기 틸트 접촉 부재와 상기 접촉 스위치의 접촉에 기초하여 감지되는 입력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연동형 회전가능 부재는 외주 방사면(outer peripheral radial surface) 및 내부 방사면(inner radial surface)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방사면은 상기 손가락 연동형 회전가능 부재의 중앙 공동(hollow) 내부 영역의 방사상 에지를 규정하고, 상기 손가락 연동형 회전가능 부재는 상기 손가락 연동형 회전가능 부재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손가락 연동형 회전가능 부재의 상기 중앙 공동 내부 영역 내에 배치되는 회전 센서 인코더를 더 포함하는 입력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연동형 회전가능 부재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회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센서는 광원 및 광 디텍터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은 제3 축 상의 광로를 통해 광 디텍터로 광을 방출하고, 상기 제3 축은 상기 제2 축의 3㎜ 이내의 거리에 있고 상기 제2 축에 수직하며 상기 제1 축과 평행한, 입력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손가락 연동형 회전가능 부재의 제1 측 방향 면(lateral aspect)에 있고, 상기 광 디텍터는 상기 손가락 연동형 회전가능 부재의 제2 측 방향 면에 있으며, 상기 제1 측 방향 면과 상기 제2 측 방향 면은 각각 상기 손가락 연동형 회전가능 부재의 양측에 있는 입력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로는 상기 손가락 연동형 회전가능 부재의 상기 중앙 공동 내부 영역의 상기 회전 센서 인코더를 가로지르는 입력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축은 상기 제2 축과 교차하는 입력 장치.
  11. 수직축을 따라 이미지 표시 스크린에 대해 이미지를 스크롤링하기 위한 입력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하는 상면 및 트래킹 표면을 따른 이동을 위해 구성된 저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제공되는 스크롤 휠 어셈블리 - 상기 스크롤 휠 어셈블리는 상기 개구 내에 배치되는 손가락 연동형 회전가능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손가락 연동형 회전가능 부재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연장되는 제1 축에 대해서는 무한히 회전가능하고, 상기 제1 축과 실질적으로 수직한 제2 축에 대해서는 피보팅되어 이동가능함 -; 및
    상기 손가락 연동형 회전가능 부재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된 중앙으로의 복귀 장치 - 상기 중앙으로의 복귀 장치는 근위단 및 말단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근위단은 상기 손가락 연동형 회전가능 부재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됨 -
    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연동형 회전가능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캐리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블레이드는 상기 캐리지에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플렉서블 블레이드의 상기 근위단은 상기 캐리지에 일체로 성형되는 입력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블레이드의 상기 말단은 상기 플렉서블 블레이드의 상기 근위단보다 낮고, 적어도 2개의 측 방향 지지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입력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개구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측 방향 지지부는 상기 회로 기판의 개구의 에지인 입력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블레이드는 캔틸레버 마운트(cantilever mount)를 통해 상기 손가락 연동형 회전가능 부재에 부착되는 입력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블레이드는 상기 손가락 연동형 회전가능 부재와 동일 평면상에 있고, 상기 손가락 연동형 회전가능 부재의 측 방향 면들 사이의 중점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입력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블레이드의 상기 말단은 상기 손가락 연동형 회전가능 부재의 밑에 있는 구조(structure)로 연장되고, 상기 구조는 상기 플렉서블 블레이드의 측 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위치되는 입력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연동형 회전가능 부재가 피보팅될 때, 상기 플렉서블 블레이드의 상기 말단은 상기 구조 내에 남아있는 입력 장치.
  19. 삭제
  20. 삭제
KR1020077027362A 2005-06-28 2006-05-12 스크롤 휠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 KR1011593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167,286 US7283122B2 (en) 2005-06-28 2005-06-28 Input device including a scroll wheel assembly
US11/167,286 2005-06-28
PCT/US2006/018751 WO2007001667A2 (en) 2005-06-28 2006-05-12 Input device including a scroll wheel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7235A KR20080027235A (ko) 2008-03-26
KR101159391B1 true KR101159391B1 (ko) 2012-06-28

Family

ID=37566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7362A KR101159391B1 (ko) 2005-06-28 2006-05-12 스크롤 휠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7283122B2 (ko)
EP (1) EP1894185A2 (ko)
JP (1) JP2008544420A (ko)
KR (1) KR101159391B1 (ko)
CN (1) CN101203903B (ko)
BR (1) BRPI0611983A2 (ko)
EG (1) EG25922A (ko)
IL (1) IL187312A (ko)
MX (1) MX2007015181A (ko)
NZ (1) NZ564310A (ko)
RU (1) RU2417454C2 (ko)
TW (1) TWI358657B (ko)
WO (1) WO2007001667A2 (ko)
ZA (1) ZA2007102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8467B2 (ja) * 1992-09-08 2002-03-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話機
US7469381B2 (en) 2007-01-07 2008-12-23 Apple Inc. List scrolling and document translation, scaling, and rotation on a touch-screen display
TWI267772B (en) * 2005-06-24 2006-12-01 Transpacific Plasma Llc Pointing device
US7916122B2 (en) * 2005-10-31 2011-03-29 Kye Systems Corp. Roller mechanism for multiple directions control
TWI311270B (en) * 2006-01-10 2009-06-21 Primax Electronics Ltd Input device with tiltable scroll wheel module
US7760184B2 (en) * 2006-04-03 2010-07-20 Nokia Corporation Dual mode input device
US20080001921A1 (en) * 2006-06-28 2008-01-03 Airwave Technologies Inc. Inverted mouse apparatus
US8581845B2 (en) * 2007-09-14 2013-11-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and activated input device with horizontal control surface
US9007302B1 (en) 2011-11-11 2015-04-14 Benjamin D. Bandt-Horn Device and user interface for visualizing, navigating, and manipulating hierarchically structured information on host electronic devices
US10691230B2 (en) 2012-12-29 2020-06-23 Apple Inc. Crown input for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JP2014232582A (ja) * 2013-05-28 2014-12-1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
US11068128B2 (en) 2013-09-03 2021-07-20 Apple Inc. User interface object manipulations in a user interface
US10545657B2 (en) 2013-09-03 2020-01-28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EP3039513B1 (en) 2013-09-03 2020-08-19 Apple Inc. Crown input for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503388B2 (en) * 2013-09-03 2019-12-10 Apple Inc. Crown input for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KR102112006B1 (ko) * 2014-01-20 2020-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컬키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3584671B1 (en) 2014-06-27 2022-04-27 Apple Inc. Manipulation of calendar application in device with touch screen
WO2016036509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Electronic mail user interface
TW201610758A (zh) 2014-09-02 2016-03-16 蘋果公司 按鈕功能性
US20160062571A1 (en) 2014-09-02 2016-03-03 Apple Inc. Reduced size user interface
WO2016036510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Music user interface
US10365807B2 (en) 2015-03-02 2019-07-30 Apple Inc. Control of system zoom magnification using a rotatable input mechanism
US10293276B2 (en) 2015-03-06 2019-05-21 Horizon Technology, Inc. Water separation from solvent
CN107850954B (zh) * 2015-07-09 2019-10-29 雷蛇(亚太)私人有限公司 输入设备
CN108897443A (zh) * 2018-07-06 2018-11-27 李东方 一种一体化鼠标
US10712824B2 (en) 2018-09-11 2020-07-14 Apple Inc. Content-based tactile outputs
US11435830B2 (en) * 2018-09-11 2022-09-06 Apple Inc. Content-based tactile outputs
US10996761B2 (en) 2019-06-01 2021-05-04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non-visual output of time
US11455047B1 (en) * 2019-06-25 2022-09-27 Clifford Mathieu Computer mouse with integrated joystick and a plurality of interface circuits
TWI792092B (zh) * 2020-11-06 2023-02-11 群光電子股份有限公司 滑鼠結構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25673A1 (en) 2001-04-30 2003-02-06 Microsoft Corporation Input device including a wheel assembly for scrolling an image in multiple directions
US6557768B2 (en) 2000-05-04 2003-05-06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for self-programming smart cards
US6697050B1 (en) 1999-02-08 2004-02-24 Alps Electric Co., Ltd. Mouse with a wheel
US6717572B1 (en) 2002-03-14 2004-04-06 Shin Jiuh Corp. Modular rolling axis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5920A (ja) * 1997-07-25 1999-04-09 Mitsumi Electric Co Ltd 付加機能操作機構付きマウス
JP4014014B2 (ja) * 1997-08-12 2007-11-28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載用集中コントロール装置
US6157369A (en) * 1997-10-14 2000-12-05 Logitech, Inc. Optical-mechanical roller with ratchet
WO2001052292A1 (en) * 2000-01-14 2001-07-19 Techtronic A/S 3d roller key
CN2476843Y (zh) * 2001-04-02 2002-02-13 亚土科技股份有限公司 无按键式鼠标器
US7295185B2 (en) * 2004-06-01 2007-11-13 Kye Systems Corporation Input device with multi-directional roller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97050B1 (en) 1999-02-08 2004-02-24 Alps Electric Co., Ltd. Mouse with a wheel
US6557768B2 (en) 2000-05-04 2003-05-06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for self-programming smart cards
US20030025673A1 (en) 2001-04-30 2003-02-06 Microsoft Corporation Input device including a wheel assembly for scrolling an image in multiple directions
US6717572B1 (en) 2002-03-14 2004-04-06 Shin Jiuh Corp. Modular rolling axis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G25922A (en) 2012-10-21
CN101203903A (zh) 2008-06-18
MX2007015181A (es) 2008-02-15
IL187312A0 (en) 2008-04-13
JP2008544420A (ja) 2008-12-04
EP1894185A2 (en) 2008-03-05
ZA200710204B (en) 2009-08-26
NZ564310A (en) 2010-12-24
US7283122B2 (en) 2007-10-16
US20060290671A1 (en) 2006-12-28
BRPI0611983A2 (pt) 2010-10-13
IL187312A (en) 2012-03-29
WO2007001667A2 (en) 2007-01-04
KR20080027235A (ko) 2008-03-26
CN101203903B (zh) 2010-06-09
RU2417454C2 (ru) 2011-04-27
WO2007001667A3 (en) 2007-07-12
RU2007149519A (ru) 2009-07-10
TW200710701A (en) 2007-03-16
TWI358657B (en) 2012-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9391B1 (ko) 스크롤 휠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
US9600098B2 (en) Scroll wheel assembly for scrolling an image in multiple directions
US7187358B2 (en) Input device including a wheel assembly for scrolling an image in multiple directions
US6700564B2 (en) Input device including a wheel assembly for scrolling an image in multiple directions
US9383838B2 (en) Tilt roller for control device
JP2008544420A5 (ko)
US20070139377A1 (en) Cursor control device
US20050146500A1 (en) Pointing Device For Multiple-Dimensional Scrolling Control
US20070146311A1 (en) Roller with single piece carriage and open front hook
JPS6230103Y2 (ko)
KR200326936Y1 (ko) 컴퓨터용 마우스
JPH05303466A (ja)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