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2006B1 - 로컬키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로컬키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2006B1
KR102112006B1 KR1020140006538A KR20140006538A KR102112006B1 KR 102112006 B1 KR102112006 B1 KR 102112006B1 KR 1020140006538 A KR1020140006538 A KR 1020140006538A KR 20140006538 A KR20140006538 A KR 20140006538A KR 102112006 B1 KR102112006 B1 KR 102112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switch
disposed
wheel key
ke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6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6634A (ko
Inventor
안대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6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2006B1/ko
Priority to US14/592,122 priority patent/US9645658B2/en
Priority to EP15150935.3A priority patent/EP2897146B1/en
Priority to CN201510023387.7A priority patent/CN104796644B/zh
Publication of KR20150086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6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1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with index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025/048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separate central push, slide or tumbler button which is not integral with the operating part that surrounds it

Abstract

로컬키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컬키 모듈은 시계/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휠 키와, 상기 휠 키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부와, 상기 회전 감지부에 전류를 공급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휠 키는 상기 휠 키는 동일한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Description

로컬키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LOCAL KEY MODUL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로컬키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두께를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는 로컬키 모듈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TV나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경우, 무선의 리모트 컨트롤러부터 각종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으나, 사용자 편의성을 위하여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업/다운)에 대해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하우징 외측에 로컬키 버튼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근래에는, 각 기능에 대응하는 다수의 로컬키 버튼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경우 미관을 해치기 때문에 다수의 기능을 하나의 로컬키로 해결하는 로컬키 모듈이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로컬키 모듈은 버튼부의 일부만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외부로 노출되고 로컬키 모듈의 나머지 부분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다.
그러나, 다수의 기능을 하나의 로컬키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로컬키 모듈의 경우에도, 로컬키 모듈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내부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로컬키 모듈 자체의 두께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체 두께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로컬키 모듈 자체의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두께를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는 로컬키 모듈의 구조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로 하여금 로컬키 모듈을 사용하여 직관적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컬키 모듈은 시계/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휠 키와, 상기 휠 키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부와, 상기 회전 감지부에 전류를 공급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휠 키는 동일한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과 후면을 감싸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서 하부에 배치되는 로컬키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로컬키 모듈은, 시계/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휠 키, 상기 휠 키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부 및 상기 회전 감지부에 전류를 공급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휠 키 및 상기 회로기판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로컬키 모듈 자체의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로 하여금 로컬키 모듈을 사용하여 직관적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솔루션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 모듈들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컬키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컬키 모듈의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컬키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컬키 모듈의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로컬키 모듈을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기능을 맵핑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 모듈들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다만, 도 1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이며, 도 1에 도시된 구성 모듈들 이외에 다른 구성 모듈이 추가되거나 일부의 구성 모듈이 생략되는 형태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인터넷 기능을 갖춘 TV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인터넷 기능을 갖추지 않고 본래 기능에 충실한 아날로그 TV, 디지털 TV, 또는 모니터도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속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수신부(11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0), 제어부(130), 메모리(140), 디스플레이부(150), 오디오 출력부(160), 전원 공급부(17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80) 및 로컬키 모듈(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수신부(110)는 튜너(111), 복조부(11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튜너(111)는 복수 개 구비될 수도 있다.
튜너(111)는 예를 들어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부(112)는 튜너(111)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튜너(111)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12)는 예컨대,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12)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3)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인터넷 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3)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0)는 외부 디바이스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간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STB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0)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30)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0)는, 예를 들어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HDMI는 디지털 방식의 영상과 음성 신호를 하나의 케이블로 동시에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로, 재생 기기와 출력 기기가 모두 HDMI 단자를 갖추고 있을 경우, 재생 기기와 출력 기기의 사이에 HDMI 케이블 하나만 연결하면 간편하게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제어부(13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예를 들어 다양한 OS, 미들웨어 및 플랫폼을 저장하고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80)는, 리모트 컨트롤러(190)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3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30)로부터의 신호를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어, 리모트 컨트롤러(19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8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러(19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3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리모트 컨트롤러(190)로 송신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내의 각 구성 모듈을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튜너(111), 복조부(11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제어부(13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하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는, 물리적은 구성 요소 측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이라 불릴 수도 있다.
오디오 출력부(160)는, 제어부(13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채널 신호 또는 5.1채널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160)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70)는, 디스플레일 디바이스(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3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150),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60), 및 로컬키 모듈(2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로컬키 모듈(20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기 설정된 기능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로컬키 모듈(200)은 일부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하우징(미도시)의 외부로 노출되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몇몇 기능(예를 들어,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업/다운 등)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로컬키 모듈(200)을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디텍트한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컬키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컬키 모듈의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컬키 모듈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컬키 모듈(200)은 시계/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휠 키(220), 상기 휠 키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부(270) 및 상기 회전 감지부(270)에 전류를 공급하는 회로기판(210)을 포함한다.
휠 키(220)는 가운데 부분이 개방된 도넛 모양을 갖는 링 부(221), 휠 키(200)의 회전의 중심이 되는 회전축(222), 및 상기 링 부(221)와 상기 회전축(222)의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부(2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링 부(221)는 스프링부(223)로 인하여 텐션을 가지면서 링 형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링 부(221)는, 후술할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되는 부분이므로, 미끄럼을 방지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부드러운 감촉을 느낄 수 있도록 고무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회전 감지부(270)는 휠 키(220)의 회전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회전 감지부(270)는 휠 키(220)의 회전 여부, 휠 키(220)의 회전 방향, 및 휠 키(220)의 회전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회전 감지부(270)는, 휠 키(220)의 회전이 감지되면, 휠 키(220)의 회전 여부, 휠 키(220)의 회전 방향, 및 휠 키(220)의 회전 정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신호를 회로기판(210)에 전달하고, 회로기판(210)은 상기 신호를 제어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로컬키 모듈(200)을 통해 입력된 휠 키(220)의 회전에 대응하는 신호를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신호에 맵핑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회전 감지부(270)는 회로기판(210) 상에 배치되며, 경우에 따라 휠 키(200)의 회전축(222)과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회로기판(210)은 회전 감지부(270)의 구동에 필요한 전류를 공급한다.
일례로, 회로기판(210)은 인쇄회로기판(PCB) 또는 플렉시블 기판일 수 있으며, 일면에 회로 패턴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회로기판(210)과 휠 키(220)는 동일한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로기판(210)은, 휠 키(220)의 회전축(222)과 수직으로 배치되고, 휠 키(220)의 링 부(221)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로컬키 모듈(200)은 제1 스위치(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위치(230)는 회로기판(210) 상에 배치되며 일면이 회로기판(210)과 접촉될 수 있다. 제1 스위치(230)는 휠 키(22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스위치(230)는 회로기판(210)과 접촉하는 바디(231) 및 상기 바디(231)의 일면에 배치된 버튼부(2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제1 스위치(230)는 버튼부(232)가 바디(231)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택트(tact) 스위치일 수 있다. 택트 스위치란, 사용자에 의해 접점이 눌리면 온(on) 상태가 되고 사용자가 손을 떼면 오프(off) 상태가 되는 방식의 스위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회로기판(210)은, 제1 스위치(230)의 구동에 필요한 전류를 공급하며, 제1 스위치(23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부(130)로 출력한다.
제어부(130)는, 로컬키 모듈(200)의 제1 스위치(23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신호에 맵핑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제1 스위치(230)의 버튼부(232)는 휠 키(220)와 동일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스위치(230)의 버튼부(232)는 휠 키(220)의 링 부(221)와 동일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휠 키(220)는 회전축(222)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틸트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휠 키(220)는 회전축(222)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틸트될 수 있도록 텐션을 가질 수 있다. 제1 스위치(230)와 휠 키(220)는 서로 이격되어 있으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휠 키(220)의 틸팅에 의해 서로 접촉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실시예에 따라, 로컬키 모듈(200)은, 휠 키(220)의 주변에 배치되는 브라켓(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260)은 휠 키(220)의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로컬키 모듈(200)은, 회로기판(210)에 접촉되어 회로기판(210) 상에 배치되는 제2 스위치(240) 및 제3 스위치(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위치(240)는 브라켓(260)의 일부분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제3 스위치(250)는 브라켓(260)의 다른 일부분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휠 키(220)는 전방 및 후방으로 틸트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휠 키(220)는 일측이 회로기판(21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틸트됨과 동시에 다른 일측이 회로기판(21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틸트될 수 있다. 휠 키(220)의 틸팅에 따라, 휠 키(220)를 감싸는 브라켓(260)도 함께 틸트될 수 있다. 브라켓(260)과 제2 스위치(240) 및 브라켓(260)과 제3 스위치(250)는 서로 이격되어 있으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휠 키(220)의 틸팅에 의해 서로 접촉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제2 스위치(240)는 회로기판(210)과 접촉하는 바디(241) 및 상기 바디(241)의 일면에 배치된 버튼부(2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스위치(250)는, 회로기판(210)과 접촉하는 바디(251) 및 상기 바디(251)의 일면에 배치된 버튼부(2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제2 스위치(240) 및 제3 스위치(250)는 버튼부(242, 252)가 각각 바디(241, 251)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택트 스위치일 수 있다.
회로기판(210)은, 제2 스위치(240) 및 제3 스위치(250)의 구동에 필요한 전류를 공급하며, 제2 스위치(240) 및 제3 스위치(250)를 통해 각각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부(130)로 출력한다.
제어부(130)는, 로컬키 모듈(200)의 제2 스위치(240) 및 제3 스위치(250)를 통해 각각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신호에 맵핑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제2 스위치(240)와 제3 스위치(250)는 회로기판(210) 상에서 좌우 방향 또는 아래위 방향으로 동일선 상에 배치될 수도 있고, 회로기판(210) 상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동일선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브라켓(260)은 하부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261)와,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262)를 가질 수 있다. 제1 돌출부(261)는 제2 스위치(240)의 버튼부(242)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제2 돌출부(262)는 제3 스위치(250)의 버튼부(252)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제1 돌출부(261)는, 제2 스위치(240)의 버튼부(242)의 접점이 보다 용이하게 눌릴 수 있도록, 상기 버튼부(242)와 마주보는 부분에 서브 돌출부(261a)가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도3의 (b)를 참조하면, 제2 돌출부(262)는, 제3 스위치(250)의 버튼부(252)의 접점이 보다 용이하게 눌릴 수 있도록, 상기 버튼부(252)와 마주보는 부분에 서브 돌출부(262a)가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로컬키 모듈(200)의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컬키 모듈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컬키 모듈의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로컬키 모듈을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기능을 맵핑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로컬키 모듈(200)의 휠 키(220)와 제1 스위치(23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휠 키(220)(좀 더 구체적으로는 휠 키(220)의 링 부(221))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 감지부(270)는, 휠 키(220)의 회전 여부, 회전 방향 및 회전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한다.
제어부(130)는, 로컬키 모듈(200)의 휠 키(220)의 회전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신호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기능을 실행한다.
일례로, 도 6에 도시된 메모리(240)에 저장된 테이블을 참조하면, 휠 키(220)의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의 회전 입력은 볼륨의 업/다운 기능 또는 좌/우 메뉴 이동 기능에 대응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 현재 실행되고 있는 기능이 메뉴 선택을 요구하고 있는 경우라면, 상기 디텍트된 신호에 따라 좌/우 메뉴 이동 기능을 실행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 현재 실행되고 있는 기능이 오디오 데이터 출력에 해당하는 경우라면, 상기 디텍트된 신호에 따라 볼륨 업/다운 기능을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휠 키(220)의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의 회전은 볼륨의 업/다운 기능 또는 좌/우 메뉴 이동 기능을 직관적으로 연상시킬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편의성이 강조된다.
또한, 사용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휠 키(220)(좀 더 구체적으로는 휠 키(220)의 링 부(221))를 상부 방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이에 따라, 휠 키(220)가 구동축(222)와 수직인 상부 방향으로 틸트되면서 휠 키(220)의 링 부(221)와 제1 스위치(230)가 접촉될 수 있다. 사용자가 휠 키(220)에서 손가락을 떼면, 틸트되었던 휠 키(220)가 제 위치로 복귀된다. 다시 설명하면, 휠 키(220)의 틸팅에 의해 제1 스위치(230)의 버튼부(232)가 눌렸다가 복귀되면서, 제1 스위치(23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로컬키 모듈(200)의 제1 스위치(23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신호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기능을 실행한다.
일례로, 도 6에 도시된 메모리(140)에 저장된 테이블을 참조하면, 제1 스위치(230)를 통한 사용자 입력은 메뉴 선택 기능 또는 전원 온/오프 기능에 대응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스위치(230)를 통한 사용자 입력이 기 설정된 시간 이내로 수신되면 메뉴 선택 기능에 대응되고 제1 스위치(230)를 통한 사용자 입력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계속적으로 수신되면 전원 온/오프 기능에 대응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디텍트된 신호의 지속 시간에 따라 메뉴 선택 기능 또는 전원 온/오프 기능을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휠 키(220)를 위로 들어올리는 동작은 메뉴 선택 기능 또는 전원 온/오프 기능을 직관적으로 연상시킬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편의성이 강조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여 로컬키 모듈(200)의 휠 키(220), 제2 스위치(240) 및 제3 스위치(25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손가락을 사용하여 휠 키(220)(좀 더 구체적으로는 휠 키(220)의 링 부(221))를 회로기판(21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누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과 접하는 부분의 휠 키(220)가 후방으로 틸트되면서 휠 키(220)를 감싸는 브라켓(260)도 틸트되고, 브라켓(260)과 제2 스위치(240)가 접촉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손가락과 접하는 휠 키(220)의 일측은 회로기판(210)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틸트되고 다른 일측은 회로기판(21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틸트될 수 있다. 사용자가 휠 키(220)에서 손가락을 떼면, 틸트되었던 휠 키(220)와 브라켓(260)이 제 위치로 복귀된다. 다시 설명하면, 휠 키(220)의 틸팅에 의해 제2 스위치(240)의 버튼부(242)가 눌렸다가 복귀되면서, 제2 스위치(24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로컬키 모듈(200)의 제2 스위치(24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신호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기능을 실행한다.
일례로, 도 6에 도시된 메모리(140)에 저장된 테이블을 참조하면, 제2 스위치(240)를 통한 사용자 입력은 채널 다운 기능에 대응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디텍트된 신호의 지속 여부에 따라 채널 다운 기능(예를 들어, 현재 튜닝된 06번 채널에서 05번 채널로 채널을 변경함)을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휠 키(220)를 뒤로 미는 동작은 채널 다운 기능을 직관적으로 연상시킬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편의성이 강조된다.
또한, 도 5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손가락을 사용하여 휠 키(220)(좀 더 구체적으로는 휠 키(220)의 링 부(221))를 회로기판(2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끌어당길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과 접하는 부분의 휠 키(220)가 전방으로 틸트되면서 휠 키(220)를 감싸는 브라켓(260)도 틸트되고, 브라켓(260)과 제3 스위치(250)가 접촉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손가락과 접하는 휠 키(220)의 일측은 회로기판(21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틸트되고 다른 일측은 회로기판(210)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틸트될 수 있다. 사용자가 휠 키(220)에서 손가락을 떼면, 틸트되었던 휠 키(220)와 브라켓(260)이 제 위치로 복귀된다. 다시 설명하면, 휠 키(220)의 틸팅에 의해 제3 스위치(250)의 버튼부(252)가 눌렸다가 복귀되면서, 제3 스위치(25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로컬키 모듈(200)의 제3 스위치(25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신호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기능을 실행한다.
일례로, 도 6에 도시된 메모리(140)에 저장된 테이블을 참조하면, 제3 스위치(250)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채널 업 입력에 대응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디텍트된 신호의 지속 여부에 따라 채널 업 기능(예를 들어, 현재 튜닝된 06번 채널에서 07번 채널로 채널을 변경함)을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휠 키(220)를 앞으로 끌어당기는 동작은 채널 다운 기능을 직관적으로 연상시킬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편의성이 강조된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내에서 로컬키 모듈(200)의 위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50),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측면과 후면을 감싸는 하우징(300), 및 상기 하우징(300) 내에서 하부에 배치되는 로컬키 모듈(200)을 포함한다.
로컬키 모듈(200)은 휠 키(220)의 일부분이 하우징(300) 밖으로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하우징(300) 밖으로 노출된 휠 키(220)를 조작하여, 휠 키(200)의 회전 조작, 제1 스위치(230)의 누름 조작, 제2 스위치(240)의 누름 조작, 제3 스위치(250)의 누름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로컬키 모듈(200)의 휠 키(220)는 디스플레이 패널(150)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50), 휠 키(220) 및 회로기판(210)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종래에는, 로컬키 모듈의 회로기판이 디스플레이 패널과 수직으로 배치되어 회로 기판의 폭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체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50), 휠 키(220) 및 회로기판(210)이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됨으로써 로컬키 모듈(200)의 두께가 얇아지므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체 두께(W)가 슬림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가 있다.
10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00: 로컬키 모듈
220: 휠 키

Claims (14)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구비되는 로컬키 모듈에 있어서,
    시계/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휠 키;
    상기 휠 키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부; 및
    상기 회전 감지부에 전류를 공급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휠 키는 수평적으로 마주보고,
    상기 휠 키는,
    상기 회로기판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회전축;
    가운데 부분이 개방된 도넛 모양을 가지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링부; 및
    상기 회전축과 상기 링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링부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링부가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기울어질 수 있도록 상기 링부를 탄성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키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감지부는 상기 휠 키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로컬키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에 접촉되어 상기 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휠 키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로컬키 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회로기판과 접촉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일면에 배치된 버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스위치의 버튼부는 상기 휠 키와 동일선 상에 배치되는, 로컬키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휠 키의 주변에 배치되는 브라켓;
    상기 회로기판에 접촉되어 상기 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브라켓의 일부분과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2 스위치; 및
    상기 회로기판에 접촉되어 상기 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브라켓의 다른 일부분과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3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로컬키 모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와 상기 제3 스위치는, 상기 회로기판 상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된, 로컬키 모듈.
  7. 삭제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는, 회전축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틸트된 경우 상기 제1 스위치와 접하는, 로컬키 모듈.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는 일측은 상기 회로기판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틸트됨과 동시에 다른 일측은 상기 회로기판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틸트되도록 구성된, 로컬키 모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링부의 일측이 상기 회로기판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틸트됨과 동시에 다른 일측이 상기 회로기판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틸트된 경우, 상기 제2 스위치 또는 상기 제3 스위치와 접하는, 로컬키 모듈.
  1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과 후면을 감싸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서 하부에 배치되는 로컬키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로컬키 모듈은,
    시계/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휠 키;
    상기 휠 키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부; 및
    상기 회전 감지부에 전류를 공급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휠 키 및 상기 회로기판은 동일한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휠 키는
    상기 회로기판에 수직하게 배치된 회전축;
    가운데 부분이 개방된 도넛 모양을 가지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링부; 및
    상기 회전축과 상기 링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링부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링부가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기울여질 수 있도록 상기 링부를 탄성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키 모듈의 휠 키는 일부분이 상기 하우징 밖으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키 모듈의 휠 키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4. 삭제
KR1020140006538A 2014-01-20 2014-01-20 로컬키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112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538A KR102112006B1 (ko) 2014-01-20 2014-01-20 로컬키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4/592,122 US9645658B2 (en) 2014-01-20 2015-01-08 Local key modul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EP15150935.3A EP2897146B1 (en) 2014-01-20 2015-01-13 Local key modul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1510023387.7A CN104796644B (zh) 2014-01-20 2015-01-16 本地键模块和包括其的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538A KR102112006B1 (ko) 2014-01-20 2014-01-20 로컬키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634A KR20150086634A (ko) 2015-07-29
KR102112006B1 true KR102112006B1 (ko) 2020-06-04

Family

ID=52347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6538A KR102112006B1 (ko) 2014-01-20 2014-01-20 로컬키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45658B2 (ko)
EP (1) EP2897146B1 (ko)
KR (1) KR102112006B1 (ko)
CN (1) CN1047966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11660B1 (ja) * 2016-08-30 2017-10-11 Eizo株式会社 スイッチ及び表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8947A (ja) 2002-06-28 2004-02-05 Microsoft Corp 入力装置
US20090195519A1 (en) * 2008-02-04 2009-08-06 Chih-Rong Chou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20100090990A1 (en) * 2001-10-19 2010-04-15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multiple input mode thumbwheel
US7733328B2 (en) 2005-12-23 2010-06-08 Logitech Europe S.A. Multi-function roller apparatus and method for a contro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378756Y (zh) * 1999-02-01 2000-05-17 吴佩恒 滑鼠第三轴输入装置
JP3820548B2 (ja) * 2001-06-01 2006-09-1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入力装置と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DE10243223A1 (de) 2002-09-17 2004-03-25 Völckers, Oliver Bedienelement für elektronische Geräte zur Betätigung von Sensoren und ein Verfahren zur Auswahl von in einem elektronischen Speicher enthaltenen Funktionen und zur Anzeige der ausgewählten Funktion mittels eines Cursors
US7508372B2 (en) * 2004-10-29 2009-03-24 Logitech Europe S.A. Tilt roller for control device
US7283122B2 (en) * 2005-06-28 2007-10-16 Microsoft Corporation Input device including a scroll wheel assembly
CN2852252Y (zh) * 2005-10-20 2006-12-27 昆盈企业股份有限公司 多轴向滚轮组
KR100731972B1 (ko) * 2006-03-28 2007-06-25 삼성전기주식회사 회전식 입력장치
US20070247421A1 (en) 2006-04-25 2007-10-25 Timothy James Orsley Capacitive-based rotational positioning input device
CN200986692Y (zh) * 2006-10-18 2007-12-05 英群企业股份有限公司 鼠标第三轴结构改良
US20090058802A1 (en) 2007-08-27 2009-03-05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Input device
EP2227734A4 (en) * 2007-12-05 2013-07-17 Eui Jin Oh DATA ENTRY DEVICE
US8436814B2 (en) * 2008-09-25 2013-05-07 Denso Corporation In-vehicle manipulation apparatus and in-vehicle input apparatus
TW201106208A (en) * 2009-08-14 2011-02-16 Primax Electronics Ltd Wheel mouse
TW201335801A (zh) * 2012-02-17 2013-09-01 Primax Electronics Ltd 應用於輸入裝置之滾輪模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90990A1 (en) * 2001-10-19 2010-04-15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multiple input mode thumbwheel
JP2004038947A (ja) 2002-06-28 2004-02-05 Microsoft Corp 入力装置
US7733328B2 (en) 2005-12-23 2010-06-08 Logitech Europe S.A. Multi-function roller apparatus and method for a control device
US20090195519A1 (en) * 2008-02-04 2009-08-06 Chih-Rong Chou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8169403B2 (en) 2008-02-04 2012-05-01 Aiptek International Inc. Image process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05380A1 (en) 2015-07-23
CN104796644B (zh) 2019-05-17
CN104796644A (zh) 2015-07-22
KR20150086634A (ko) 2015-07-29
US9645658B2 (en) 2017-05-09
EP2897146B1 (en) 2016-12-28
EP2897146A1 (en) 201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7424B2 (en) Mobile client device, operation method, recording medium, and operation system
KR101947572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704958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9467119B2 (en) Multi-mode point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multi-mode pointing device
US20130179795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for electronic apparatus
EP3790281B1 (en) Image display device
KR20130050984A (ko) 지능형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JP2004040656A (ja) 映像表示システム、映像表示方法及び表示装置
KR20100067296A (ko) 메인 영상처리장치와 서브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0415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US20130176205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for electronic apparatus
WO2011037188A1 (ja) 表示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170024025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thereof for providing content
US20140292694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EP2824912B1 (en) Audio extension module
KR102112006B1 (ko) 로컬키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00129586A (ko) 영상표시장치 및 동작방법
KR20140113165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677656B1 (ko) 영상표시기기
CN111292686B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装置
KR20130042325A (ko) 원격제어장치
JP5184709B1 (ja) 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調整方法、テレビジョン受像機、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30042326A (ko) 원격제어장치
KR20140000928A (ko)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화면표시방법
KR20080008153A (ko) 리모콘 및 그를 이용한 영상기기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