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928A -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화면표시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화면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928A
KR20140000928A KR1020120068737A KR20120068737A KR20140000928A KR 20140000928 A KR20140000928 A KR 20140000928A KR 1020120068737 A KR1020120068737 A KR 1020120068737A KR 20120068737 A KR20120068737 A KR 20120068737A KR 20140000928 A KR20140000928 A KR 20140000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pointer
area
movemen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8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8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0928A/ko
Publication of KR20140000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9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environmental sensors, e.g. for detecting temperature, luminosity, pressure, earthquak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화면표시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영상표시장치의 화면에서 포인터가 가장자리 영역으로 이동되면,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센서값의 변화량에 근거하여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이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한 다음에 영상표시장치의 가장가리 영역에 제어메뉴 객체들을 표시한다. 그에 따라, 원격제어장치가 비의도적으로 움직여져서 영상표시장치의 가장자리영역으로 포인터가 이동된 경우에는 제어메뉴 객체들을 화면에 표시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실행중인 컨텐츠의 화면이 불필요하게 가리워지는 불편이 해소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화면표시방법{IMAGE DISPLAY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화면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면에 표시되는 포인터가 정해진 영역으로 이동되면 숨겨진 제어메뉴를 화면에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화면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최근 영상표시장치에는 매우 다양한 기능들이 탑재되고 있다. 예를 들어, DTV(digital television)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방송의 방송 수신 기능 이외에도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EPG)의 수신, 양방향 통신 기능, 인터넷 접속 기능 등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DTV는 홈네트워크 환경 또는 유비쿼터스(ubiquitous) 환경에서 서버의 기능까지 담당할 수 있게 되었다.
영상표시장치가 이러한 많은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사용자가 제어해야 할 사항들도 많아지고 복잡해 지게 되었다. 하지만, 기존의 버튼 방식의 리모콘(remote controller)으로는 복잡하고 다양한 GUI(Graphic User Interface), 미디어와 기능들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적외선 통신 방식의 리모콘을 3차원 포인팅 기능을 구비한 공간 리모콘으로 대체할 수 있다.
공간 리모콘에서는 움직임에 따른 포인팅 기능이 다수의 키버튼을 대체하므로, 화면 제어를 위한 선택메뉴가 필요한 경우에만 나타나도록 하여 포인팅 기능을 수행하는 조작방법이 필요했다. 이와 같이 공간 리모콘을 이용한 조작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가장자리 영역을 이용한 UI(User Interface) 표시 기능이 있는데,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이 아닌 경우, 예를 들어 공간 리모콘을 던지거나 바닥에 내려놓거나하는 경우에도 화면에 표시되는 포인터가 가장자리 영역으로 이동하기만 하면 바로 UI(User Interface) 표시 기능이 구현되어서, 실행중인 컨텐츠의 화면을 가리게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원격제어장치에 구비된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센서값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숨겨져 있던 제어메뉴 객체의 표시조건인 일정 영역으로서의 포인터 이동이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한 후에 제어메뉴 객체를 표시하도록 한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화면표시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숨겨져 있던 제어메뉴 객체의 표시조건인 일정 영역으로서의 포인터 이동이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에 의한 것임을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해 추가적인 판단 조건을 부과한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화면표시방법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포인터가 제어되는 영상표시장치로서, 상기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센서값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포인터가 상기 화면의 제1영역으로 이동되면, 상기 수신된 센서값의 변화량에 근거하여 상기 움직임이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움직임이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화면의 제1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제어메뉴 객체들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센서값들의 변화량이 기준변화량을 초과하면 상기 움직임이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에 의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수신된 센서값들의 변화량이 기준변화량 이내이거나 상기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충격감지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움직임이 오동작에 의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원격제어장치는 온도센서, 조도센서, 및 터치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일측에 구비하고, 상기 센서값은, 상기 온도센서, 조도센서, 및 터치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인터가 상기 화면의 제1영역에 위치하고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제1영역내의 제2영역으로 이동되면, 상기 움직임이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에 의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실행중인 컨텐츠 타입에 대응하는 제어메뉴 객체들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인터가 상기 제1영역과 구분되는 제3영역에서 포인팅되고, 일정 시간 내에 상기 포인터가 제1영역으로 이동되면, 상기 움직임이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에 의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어메뉴 객체들이 표시된 후 일정 시간 내에 선택입력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메뉴 객체들을 상기 화면에서 사라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센서값의 변화량, 상기 기준변화량,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오동작으로 판단된 횟수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동작으로 판단된 횟수가 기준횟수를 초과하면, 상기 제1영역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포인터가 상기 제1영역으로 이동되면, 사용자의 다음 제어동작을 요구하는 지시자를 상기 제1영역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인터가 상기 화면의 제1영역으로 이동되고 상기 포인터의 이동에 대응하는 X, Y 좌표값의 변화량이 기준변화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움직임이 오동작에 의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움직임이 오동작으로 판단되면,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포인터의 형상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화면표시방법은,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포인터가 제어되는 영상표시장치의 화면표시방법으로서, 상기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센서값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포인터가 상기 화면의 제1영역으로 이동되면, 상기 수신된 센서값의 변화량에 근거하여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이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움직임이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이면, 상기 화면의 제1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제어메뉴 객체들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원격제어장치는 온도센서, 조도센서, 및 터치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일측에 구비하고, 상기 센서값은, 상기 온도센서, 조도센서, 및 터치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센서값들의 변화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변화량을 기준변화량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변화량이 기준변화량을 초과하면 상기 움직임이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에 의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포인터가 상기 화면의 제1영역에 위치하고 일정 시간 내에 상기 포인터가 상기 제1영역내의 제2영역으로 이동되면, 상기 움직임이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에 의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화면표시방법에 의하면,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영상표시장치의 화면에서 포인터가 가장자리 영역으로 이동되면,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센서값의 변화량에 근거하여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이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한 다음에 영상표시장치의 가장가리 영역에 제어메뉴 객체들을 표시한다.
이에 의하면, 원격제어장치가 비의도적으로 움직여져서 영상표시장치의 가장자리영역으로 포인터가 이동된 경우에는 제어메뉴 객체들을 화면에 표시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실행중인 컨텐츠의 화면이 불필요하게 가리워지는 불편이 해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원격제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면의 제1영역에 포인터가 이동되어 제어메뉴 객체들이 자동 표시되는 영상표시장치를 보여준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면의 제1영역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포인터의 이동이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들을 보여준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화면표시방법의 예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해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로서, 예를 들어 ATSC 방식(8-VSB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T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ISDB-T 방식(BST-OFDM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원격제어장치는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부 화면상에서의 포인터의 이동을 변환시킬 수 있는 제어장치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원격제어장치의 지시 방향에 따라 포인터의 움직임이 결정되는 방식과 예를 들어 관성 센서를 이용하여 원격제어장치의 지시 방향과 무관하게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에 따라서 포인터의 움직임이 결정되는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튜너(110), 복조부(120), 신호 입출력부(130), 수신부(140), 제어부(150), 메모리(160), 디스플레이부(170), 오디오 출력부(180)를 포함한다.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튜너(110)는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5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튜너(11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해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비록 도면에는 하나의 튜너(110)가 도시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영상표시장치(100)는 다수의 튜너,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튜너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튜너는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채널에 대응하는 제 1 RF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제 2 튜너는 기저장된 방송 채널에 대응하는 제 2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 2 튜너는 제 1 튜너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RF 방송 신호를 디지털 IF 신호(DIF) 또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CVBS/SIF)로 변환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튜너(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DVB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하여,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 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복조부(120)는, ATSC 방식과, DVB 방식에 따라 각각 별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ATSC 복조부와, DVB 복조부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5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부(17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0)로 음성을 출력한다.
A/V 입출력부는 이더넷(Ethernet) 단자,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MHL (Mobile High-definition Link)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IEEE 1394 단자, SPDIF 단자, 리퀴드(Liquid) HD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자들을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는 제어부(15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CVBS 단자 및 S-비디오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미도시)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150)로 전달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무선 인터넷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을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을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신호 입출력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플레이어, 블루레이(Blu-ray) 플레이어, 게임기기,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휴대기기, 스마트 폰 등과 같은 외부 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장치,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외부 저장 장치에 저장된 다양한 미디어 파일의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에 의해 처리된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신호 입출력부(130)는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셋톱 박스, 예를 들어, IPTV(Internet Protocol TV)용 셋톱 박스와 연결되어 신호 입력 및 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입출력부(130)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IPTV용 셋톱 박스에 의해 처리된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150)로 전달할 수 있고, 제어부(150)에 의해 처리된 신호들을 IPTV용 셋톱 박스로 전달할 수도 있다. 여기서, IPTV는 전송 네트워크에 따라 구분되는 ADSL-TV, VDSL-TV, FTTH-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조부(120) 및 신호 출력부(13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는 스트림 신호(TS)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림 신호(TS)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림 신호(TS)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rt Stream)일 수 있다. 여기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4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제어,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을 위한 제어 신호와 구비된 센서들로부터 수신되는 센서값 또는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제어부(150)에 의해 처리된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40)와 원격제어장치(2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무선으로 연결된 경우 BT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수신부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센서값을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값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일측에 구비된 센서들로부터 검출된 온도값, 조도값, 터치 센서값, 및/또는 충격 감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부는 원격제어장치(200)에 의해 산출된 센서값들의 변화량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부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하는 포인터의 X, Y좌표값을 수신할 수 있다.
송신부는 제어부(15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튜너(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5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7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원격제어장치(20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5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0)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5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에 대한 데이터 처리, 예를 들어,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신호는 각각의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EPG 정보는, 예를 들어, ATSC 방식에서는 TSC-PSIP(ATSC-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를 포함하고, DVB 방식에서는 DVB-SI(DVB-Service Informa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TSC-PSIP 정보 또는 DVB-SI 정보는 MPEG-2 TS의 헤더(4 byte)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OSD 처리를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영상 신호 및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에 근거하여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OSD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OSD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사용자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영상표시장치(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사용자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수신한 소정 채널의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상기 제어부(150)는 선택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또,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7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5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신호 입출력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애플리케이션 보기 항목에 진입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 내 또는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와 더불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팅 기능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포인터가 일정 영역이나 또는 일정 포인트지점(point)에 위치하게 되면 숨겨진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신호 입출력부(13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그대로 또는 부호화되어 제어부(150)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스트림 형태로 부호화되어 제어부(150)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5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썸네일 리스트 내의 썸네일 영상들은 차례로 또는 동시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수의 방송 채널의 내용을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150)는 유/무선 통신하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포인터가 화면의 제1영역으로 이동되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센서값의 변화량에 근거하여 상기 움직임이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제1영역은 화면의 가장자리 영역으로서, 화면 가장자리의 상하좌우에서 각각 화면의 중앙으로 다가오는 일정 범위의 영역을 가리킨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어부(15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팅 기능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포인터가 '일정 영역' 또는 '일정 포인트지점(point)'으로 이동되면, 이러한 움직임이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하여 숨겨진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값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외관 또는 내부의 일측에 구비된 온도센서, 조도센서, 및 터치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값을 의미한다. 또한, 센서값의 변화량은 이전 센서값과 현재 센서값의 차이로부터 구해지는 센서값의 변화 정도를 의미한다.
제어부(15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센서값들의 변화량이 기준변화량을 초과한 경우에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이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에 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변화량은 미리정해진 특정값 또는 특정범위의 값들이 아니라 센서값들의 변화량의 이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복수의 값들을 의미한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센서값들은 예를 들어 온도값, 조도값, 터치센서값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이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에 의한 것인 경우에는 필연적으로 사용자의 신체 일부와 접촉되므로, 각 센서값들의 변화량이 이전보다 급격하게 변하게 된다. 즉, 예를 들어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도값은 사용자의 신체 온도 수준에 근접하게 변경되며, 조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조도값은 사용자의 손으로 가리어진 만큼 낮은 조도값으로 변경되며, 터치 센서에 의해 검출된 터치 센서값은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함으로써 이전보다 급격하게 변경된 터치 센서값을 갖게 된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5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무선 통신부(도 2, 210)를 통해 수신되는 센서값, 센서값의 변화량, 및/또는 기준변화량과의 비교결과 신호로부터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이 사용자 접촉에 의한 의도된 동작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50)의 판단 결과, 특히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이 아닌 오동작으로 판단된 결과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오동작으로 판단된 횟수가 증가하게 되면 메모리(160)에 저장된 센서값들의 기준변화량이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5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센서값들의 변화량이 기준변화량 이내이거나 또는 상기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충격 감지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이 오동작에 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70)의 화면에 표시되는 포인터가 화면의 제1영역, 예를 들어 화면의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하고 일정 시간 내에 제1영역내의 제2영역으로 이동되면, 상기 움직임이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에 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영역의 크기는 제1영역보다 작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50)는 포인터가 화면의 제1영역, 예를 들어 화면의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하고 일정 시간 내에 제1영역내의 제2영역으로 이동된 경우 대응하는 영역에 제어메뉴 객체들은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디스플레이부(170)에 전달한다.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70)의 제1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숨겨진 제어메뉴 객체들이 표시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70)의 화면에 표시되는 포인터가 화면의 제3영역에서 포인팅되고, 일정 시간 내에 제1영역으로 이동되면, 상기 움직임이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에 의한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제3영역은 상기 제1영역, 즉 화면의 가장자리 영역과 구분되는 화면의 나머지 영역을 가리킨다. 포인팅은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키가 푸쉬되는 것으로 수행되므로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으로 잠정 판단할 수 있으며 그 후 수 초(second) 이내에 제1영역, 즉 화면의 가장자리 영역으로 포인터가 이동되면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으로 판단하여 디스플레이부(170)의 제1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숨겨진 제어메뉴 객체들이 표시되게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제어부(150)의 판단 결과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이 오동작으로 판단된 횟수가 기준횟수를 초과하면, 상기 제1영역의 크기를 감소시키도록 할 수 있다. 오동작의 판단횟수와 기준횟수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숨겨진 제어메뉴 객체들이 표시되는 조건은 화면의 포인터가 제1영역으로 이동되는 것이므로, 제1영역의 크기가 감소되면 오동작에 의하여 포인터가 제1영역으로 이동할 확률도 그만큼 감소하게 된다. 감소된 제1영역의 크기와 X,Y 좌표값은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70)의 화면에 표시되는 포인터가 화면의 제1영역으로 이동되었으나, 포인터의 이동에 대응하는 X, Y 좌표값의 변화량이 기준변화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움직임이 오동작에 의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5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자이로 센서(231) 및/또는 가속도 센서(232)로부터 수신되는 센서값을 이용하여 좌표값의 급변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또는 일정 시간 동안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포인터의 X, Y좌표계의 값들을 분석하여 급격한 좌표 변화가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오동작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부(170)는 단순히 제어메뉴 객체들을 표시하지 않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오동작 판단을 알리기 위해 화면의 포인터의 형상을 변경하거나 알람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5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60)는 신호 입출력부(130) 또는 인터페이스부(14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60)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해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60)는, 신호 입출력부(130) 또는 인터페이스부(140)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6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출력되는 센서값들의 변화량과, 원격제어장치(200)의 오동작 판단의 기준이 되는 기준변화량, 및 제어부(150)의 오동작 판단 횟수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동작 판단 회수가 일정 기준횟수를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150)는 화면에 표시되는 포인터가 지속적인 오동작에 의하여 제1영역에의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영역의 크기를 감소시키도록 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메모리(16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메모리(160)가 제어부(15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메모리(160)는 제어부(150)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구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170)는 제어부(150)에 의해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등을 RGB 신호로 변환하여서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170)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어 입력 장치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0)는 제어부(150)에 의해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이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으로 판단된 경우, 화면의 제1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제어메뉴 객체들을 표시한다. 여기서 제어메뉴 객체들은, 아이콘(icon), 위젯(widget), 애플리케이션 실행 메뉴, 썸네일 이미지(thumbnail image)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화면에 실행중인 컨텐츠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 예를 들어 되감기, 일시정지, 빨리감기, 정지 등의 제어버튼에 관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0)는 화면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타입에 따라 대응하는 제어메뉴 객체들을 표시한다. 즉, 화면에 실행되는 컨텐츠의 타입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제어메뉴 객체들의 표시 여부와, 표시방법, 종류, 형태, 개수, 표시시간 등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 컨텐츠의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70)에서 포인터가 화면의 제1영역으로 이동되고 제어부(150)의 판단 결과 그와 같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이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으로 판단된 경우라도 제어메뉴 객체들을 화면에 표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70)의 화면에 제어메뉴 객체들이 표시된 후 일정 시간 내에 어떠한 선택입력 신호도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어메뉴 객체들을 화면에서 사라지게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가 사용자의 비의도적인 움직임으로 인해 포인터가 제1영역으로 이동되는 모든 경우를 검출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즉, 사용자의 의도적인 동작으로 포인터가 화면의 제1영역으로 진입하더라도 이후 화면에 표시된 제어메뉴 객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일정 시간내에 어떠한 선택입력 신호도 받지 못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비의도적인 움직임으로 인해 포인터가 제1영역으로 이동된 경우인데 미처 검출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제어부(150)는 화면에 표시된 제어메뉴 객체들이 신속하게 사라지게 하는 제어명령을 디스플레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70)는 포인터가 상기 제1영역으로 이동되면, 사용자의 다음 제어동작을 요구하는 지시자를 상기 제1영역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시자는 사용자의 다음 동작을 요청하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의 객체일 수 있고, 사용자의 다음 동작은 예를 들어 지시자를 포인팅하거나 또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특정키를 입력하거나 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움직여서 포인터를 특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는, 제어부(150)에 의해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이 오동작인 것으로 판단되면, 화면에 표시되는 포인터의 형상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포인터가 제1영역으로 진입하였음은 감지되었으나, 제어부(150)의 판단 결과 오동작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거나 또는 수신된 센서값들의 변화량으로부터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에 의한 것인으로 판단하기에는 확실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를 사용자에게 인식시켜 원격제어장치(200)를 이용한 사용자의 재동작을 요구하기 위해 화면에 표시된 포인터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의 변경은 예를 들어 포인터의 색 또는 모양의 변경을 포함하며, 일정 시간 동안 포인터가 깜빡거리는 방식을 취할 수도 있다.
오디오 출력부(180)는, 제어부(15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또한, 음성 출력부(185)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50)에 입력된다.
한편,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싱부(미도시)가 영상표시장치(100)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센싱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150)로 전달되어 처리된다.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150)에서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도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통신하며, 이를 위해 상기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영상표시장치(100)는, 고정형으로서 ATSC 방식(8-VSB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T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ISDB-T 방식(BST-OFDM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장치(100)는 무선 통신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70) 및 오디오 출력부(18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와이어리스(wireless) 타입일 수도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위한 블록도이다. 따라서,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원격제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와 RF 통신규격 또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제어장치(200)는 상기 영상표시장치와 BT 방식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2a는,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70)에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102)가 표시되는 것을 보여준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상하, 좌우, 또는 앞뒤로 움직이거나 회전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되는 포인터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영상표시장치(100)에 표시되는 포인터(102)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3D 공간상에서 움직임에 따라 포인터(102)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고 불리울 수 있다.
도 2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영상표시장치(100)에 표시된 포인터(102)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또한, 도 2c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영상표시장치(100)에 표시된 포인터(102)가 이에 대응하여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도시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인터(102)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102)는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인터(102)는 디스플레이부(170)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자이로 센서(도 2, 231), 및/또는 가속도 센서(도 2, 232)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50)로 전송된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102)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산출된 좌표값에 대응하는 값으로 포인터(102)를 이동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7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하,좌,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상,하, 좌,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102)만 이동하게 된다.
포인터(102)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 또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를 급격하게 움직이면 이에 대응하여 포인터도 급격하게 이동되며,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방향을 변경하면 그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화면에 표시되는 포인터의 이동방향도 바뀐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무선통신부(210), 키 입력부(230), 센서부(230), 출력부(240), 전원공급부(250), 저장부(260), 제어부(270)를 포함한다.
무선통신부(210)는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1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12)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BT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BT 모듈(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21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1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212)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BT 모듈(미도시)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센서부(230)에서 검출된 센서값 또는 센서값 변화량을 전송할 수 있다.
키 입력부(22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키 입력부(220)를 조작하여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키 입력부(22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키 입력부(22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키 입력부(22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230)는 자이로 센서(231), 가속도 센서(232), 지자기 센서(미도시), 온도 센서(233), 조도 센서(234), 터치 센서(235), 및 충격 센서(236)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이용하여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및/또는 기울기와, 원격제어장치(200)에의 사용자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231)는 회전 각속도를 측정하는 관성 센서로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자이로 센서(23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 Y 및 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32)는 지구 중력에 대해서 중력 가속도를 측정하여, 원격제어장치(200)가 지표면에 대해서 기울어진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예로, 가속도 센서(232)는 원격제어장치(200)의 틸트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지자기 센서(미도시)는 지구 표면에 수평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자기장(magnetic field)정보를 이용하여 방위각(Azimuth)을 검출할 수 있다.
온도 센서(233)는 온도 센서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원격제어장치(200)에 사용자 신체 접촉시 그에 따른 온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외관, 특히 사용자의 손 접촉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측면에 온도 센서(233)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 접촉이 있을 경우 신체 온도만큼의 온도 변화가 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조도 센서(234)는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일 예로 원격제어장치(200)에 사용자 신체 접촉시 그에 따른 조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조도 센서(234) 주변을 감싸게 되면 조도값이 급격하게 낮아지게 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신체 접촉이 있음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센서(235)는 터치 센서에 가해지는 압력 또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로, 일 예로 원격제어장치(200)에 사용자의 신체 접촉시 그에 따른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터치 센서(235)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충격 센서(236)는 외부 충격에 의한 압전 효과에 의해서 전압을 발생시킨다. 이때, 발생되는 전압의 크기, 유지시간 및 형태는 가해진 충격의 강도 및 지속시간에 따라 달라진다. 충격 센서(236)는 일 예로 원격제어장치(200)를 테이블 위에 내려놓거나 또는 던지는 경우 그에 따라 발생된 전압의 크기로부터 충격의 크기를 감지한다. 제어부(270)는 충격 센서(236)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크기로부터 충격 감지 신호를 생성하거나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충격 센서(236)는 상기 기술한 자이로 센서(231), 가속도 센서(232), 및/또는 지자기 센서(미도시)가 충격 센서를 대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23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된 움직임과 관련된 정보를 출력한다. 즉, X, Y 및 Z 축의 좌표계에 대하여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270)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는 자이로 센서(231)를 통해 원격제어장치(200)의 각가속도에 관한 정보를 감지하고, 가속도 센서(232) 및/또는 지자기 센서(미도시)를 통해 틸트를 보정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화면에 표시되는 포인터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또한, 센서부(23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기울기를 감지하고, 감지된 기울기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한다. 즉, X, Y 및 Z 축의 좌표계에 대하여 원격제어장치(200)가 기울어져 있는 각도를 판단하고, 판단된 각도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270)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는 가속도 센서(232) 또는 지자기 센서(미도시)를 통해 원격제어장치(200)의 기울기에 관한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된 기울기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화면에 표시되는 포인터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한편, 센서부(230)는 거리측정센서(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7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240)는 키 입력부(22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 출력부(240)를 통하여 사용자는 키 입력부(220)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한다. 일 예로, 출력부(240)는 키 입력부(220)가 조작되거나 또는 무선 통신부(210)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부터 신호가 수신되거나 그리고/또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신호가 송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4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42),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43),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44)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25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250)는 원격제어장치(200)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고,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특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는 전원의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가 영상표시장치(100)와 RF 모듈(21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와 영상표시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그러한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27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페어링된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저장부(260)에 저장하여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저장부(260)는 상기 센서부(230), 특히 온도 센서(233), 조도 센서(234), 터치 센서(235), 및 충격 센서(236)로부터 출력되는 센서값들 및/또는 일정 시간 동안 출력된 센서값들의 변화량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화량이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에 의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으로 판단하기 위한 기준범위 값이 되는 기준변화량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기준변화량은 미리정해진 특정값 또는 특정범위의 값들이 아니라 센서값들의 변화량의 이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복수의 값들이다.
제어부(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70)는 키 입력부(22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3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 예를 들어 온도값, 조도값 등을 디지털 신호의 형태로 변경하여 무선 통신부(210)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어부(270)는 센서부(230)로부터 출력되는 센서값들을 수신하여 이전 센서값들과의 차이로부터 발생하는 변화량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센서값 또는 센서값의 변화량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무선 통신부(210)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에 전송해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감지된 센서값 또는 센서값의 변화량을 저장부(260)에 저장된 기준변화량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무선 통신부(210)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에 전송해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교 결과 감지된 센서값의 변화량, 예를 들어 온도값 변화량, 조도값 변화량, 및/또는 터치값 변화량이 저장부(260)에 저장된 기준변화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TRUE(1)'에 해당하는 신호를 상기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영상표시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TRUE(1)'에 해당하는 신호를 수신한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5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조작에 의한 포인터의 이동을 사용자 접촉에 따른 의도된 움직임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비교 결과 감지된 센서값의 변화량, 예를 들어 온도값 변화량, 조도값 변화량, 및/또는 터치값 변화량이 저장부(260)에 저장된 기준변화량 이내이거나 또는 충격 감지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예컨대 'FULSE(0)'에 해당하는 신호를 상기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영상표시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FULSE(0)'에 해당하는 신호를 수신한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5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조작에 의한 포인터의 이동을 사용자의 의도와는 무관한 움직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50)는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되는 센서값, 센서값의 변화량, 또는 기준변화량과의 비교결과 신호로부터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이 사용자 접촉에 의한 의도된 동작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50)의 판단 결과, 특히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이 아닌 오동작으로 판단된 결과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저장부(260)에 저장될 수 있다. 오동작으로 판단된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저장부(260)에 저장된 센서값들의 기준변화량이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에 움직임에 따라 화면의 제1영역에 포인터가 이동되어 제어메뉴 객체들이 자동 표시되는 영상표시장치를 보여준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아래로 이동하면 영상표시장치(100)의 화면에 표시되는 포인터(102)도 대응하여 화면의 아래로 이동된다. 그에 따라 포인터(102)는 화면의 제3영역(104)에서 제1영역(103a)내로 이동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영역은 화면의 가장자리 영역으로서, 화면 가장자리의 상하좌우에서 각각 화면의 중앙으로 다가오는 일정 범위의 영역(103a, 103b, 103c, 103d)를 가리킨다. 또한, 제3영역은 상기 제1영역과 구분되는 화면의 나머지 영역을 가리킨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영역은 화면 가장자리에서 일정 범위의 하부영역만을 의미할 수도 있고, 일정 범위의 좌/우영역만을 의미하거나 또는 일정 범위의 상부영역만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영역은 초기에는 정해진 값의 X, Y 좌표계의 범위를 갖지만, 제어부(150)의 판단 결과 오동작으로 판단된 횟수가 증가하게 되면 감소된 크기의 영역범위를 가질 수도 있다.
화면의 포인터(102)가 제1영역(103a, 103b, 103c, 또는 103d)내로 이동한 것이 감지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이하에 상세하게 기술되는 바와 같이 그러한 이동이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제어메뉴 객체들을 디스플레이부(170)의 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메뉴 객체들은 아이콘(icon), 위젯(widget), 애플리케이션 실행 메뉴, 썸네일 이미지(thumbnail image)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화면에 실행중인 컨텐츠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 예를 들어 되감기, 일시정지, 빨리감기, 정지 등의 제어버튼에 관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b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따라 포인터(102)가 화면의 하부 가장자리 영역(103a)으로 이동되고, 그러한 이동이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영상표시장치(100)의 화면의 하단에 제어메뉴 객체들(105)이 표시되는 것을 도시한다.
한편, 제어메뉴 객체들이 표시되는 영역은 화면의 가장자리 영역에서도 포인터(102)가 위치한 가장자리 영역에 대응된다. 즉, 포인터가 좌/우측의 제1영역(103b, 103d)으로 이동되고 그러한 이동이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어메뉴 객체들(105)도 포인터 위치에 대응되는 제1영역(103b, 103c)의 적어도 일부에 표시된다. 또, 포인터가 상단의 제1영역(103c)으로 이동되고 그러한 이동이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어메뉴 객체들(105)도 포인터 위치에 대응되는 제1영역(103c)의 적어도 일부에 표시된다.
한편, 일정 시간 동안 표시된 제어메뉴 객체들(105)에 대한 선택입력 신호, 즉 디텍팅 신호가 없으면 제어부(150)는 상기 제어메뉴 객체들(105)을 화면에서 즉시 사라지게 할 수 있다. 또한, 화면에 실행되는 컨텐츠의 타입이 제어메뉴 객체들이 전혀 표시될 필요가 없는 특정 컨텐츠인 경우에는 포인터(102)가 제1영역내로 진입하고 그러한 이동이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더라도 제어메뉴 객체들이 표시되지 않게 할 수 있다.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면의 제1영역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50)는 오동작으로 판단된 횟수가 기준횟수를 초과하면, 상기 제1영역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격제어장치(100)의 움직임에 따라 포인터가 제1영역으로 이동되었으나, 수신된 센서값들의 변화량이 기준변화량 이내이거나, 일정 시간 내에 디텍트(detect) 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또는 이하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다음 동작 요구 조건을 만족하는 못한 경우여서 원격제어장치(100)의 움직임이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이 아닌 '오동작'으로 판단된 경우 그러한 오동작 판단 횟수가 정해진 기준횟수를 초과하면 제1영역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a에서의 제1영역, 즉 화면의 가장자리 영역이 초기 설정된 것이라면, 도 5b는 제어부(150)의 판단 결과 원격제어장치(100)의 움직임이'오동작'으로 판단된 횟수가 정해진 기준횟수를 초과하여 제1영역의 크기가 전체적으로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영역의 크기가 감소되면 원격제어장치(100)의 오동작으로 인해 포인터가 제1영역내로 진입할 확률이 보다 감소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오동작으로 인해 화면에 제어메뉴 객체들이 보여지게 되는 경우 또한 감소하게 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포인터의 이동이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들을 보여준다.
도 6a는 원격제어장치(200)가 하향 이동함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의 화면에 표시되는 포인터도 대응하여 하향 이동되는 것을 도시한다. 영상표시장치(100)에서 화면의 포인터(102)는 원격제어장치(100)의 움직임에 따라 제3영역(104)에서 제1영역(103)으로 이동되었다.
도 6b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이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포인터가 제1영역(103)에 위치한 경우 이를 제2영역(103e)으로 이동할 것을 유도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70)의 화면을 도시한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50)는 상기 포인터가 상기 화면의 제1영역(103)에 위치하고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제1영역내의 제2영역(103e)으로 이동되면, 그러한 움직임이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에 의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메뉴 객체들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즉, 포인터가 제1영역에 위치하는 조건을 '1차' 판단조건으로 하고 다시 포인터가 제2영역에 위치하는 조건을 '2차' 판단조건으로 하여 1차조건과 2차조건을 모두 만족한 경우에 대응하는 제1영역에 제어메뉴 객체들을 표시하게 한다. 이때, 상기 제2영역(103e)의 크기는 제1영역(103)보다 작고 좁은 범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150)가 수신된 센서값들 또는 센서값들의 변화량으로부터 포인터의 이동이 사용자의 의도된 움직임인지 여부를 확정할 수 없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기술한 '2차'판단조건이 실행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c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이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포인터가 제1영역(103)에 위치한 경우 화면에 사용자의 다음 동작을 유도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70)의 화면을 도시한다.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50)는 포인터가 상기 제1영역으로 이동되면, 사용자의 다음 제어동작을 요구하는 지시자를 상기 제1영역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지시자는 적어도 화면에 표시될 제어메뉴 객체들의 크기보다 작고 현재 실행중인 컨텐츠의 시청을 방해하지 않는 정도의 크기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시자는 사용자가 수행해야할 다음 동작의 내용을 내포하는 이미지 또는 텍스트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동작은 원격제어장치(200)를 사용한 화면 클릭, 키버튼 조작, 포인터 이동 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50)가 수신된 센서값들 또는 센서값들의 변화량으로부터 포인터의 이동이 사용자의 의도된 움직임인지 여부를 확정할 수 없는 경우, 제어부(150)가 원격제어장치(200)의 재이동을 요청하는 작은 크기의 팝업창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해주는 방식으로 오동작에 의한 제어메뉴 객체들의 표시를 방지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화면표시방법의 예시 흐름도이다. 도 1, 도 3,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화면표시방법의 실시예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고(S10), 원격제어장치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센서들로부터 출력되는 센서값들을 수신한다(S20). 상기 센서에는 자이로 센서(231) 및 가속도 센서(232)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의 화면에 표시되는 포인터(102)의 이동 좌표값과 관련된 센서들이 있고, 온도 센서(233), 조도 센서(234), 터치 센서(235), 및 충격 센서(236)와 같이 포인터(102)의 특정 영역 진입이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과 관련된 센서들이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포인터(102)가 화면의 제1영역으로 이동하였는지를 감지한다(S30). 상기 제1영역은 화면의 중앙으로부터 먼 가장자리 영역으로서, 화면 가장자리의 상하좌우에서 각각 화면의 중앙으로 다가오는 일정 범위의 영역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가장자리 영역은 가장자리 영역에 대응하는 X,Y 좌표값의 범위를 설정함으로써 정해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영역은 화면 가장자리에서 일정 범위의 하부영역만을 의미할 수도 있고, 일정 범위의 좌/우영역만을 의미하거나 또는 일정 범위의 상부영역만을 의미할 수 있다.
이동된 포인터(102)의 X, Y 좌표값이 화면의 제1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감지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센서값들의 변화량을 산출하여 분석한다(S40).
구체적으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온도 센서(233)로부터 온도값을 수신하여 이전 수신된 온도값과의 차이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산출된 온도 변화량이 기준변화량을 초과하였는지를 분석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변화량은 수신된 센서값들을 이용하여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이 사용자 접촉에 의한 의도된 동작에 의한 것인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미리정해진 특정값 또는 특정범위의 값이 아니라 센서값들의 이전 변화량과 현재 변화량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는 변화값이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조도 센서(234)로부터 조도값을 수신하여 이전 수신된 조도값과의 차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 산출된 조도 변화량이 기준변화량을 초과하였는지를 분석한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의 터치 센서(235)로부터 터치 센서값을 수신하여 이전 수신된 터치 센서값과의 차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 산출된 터치 센서값의 변화량이 기준변화량을 초과하였는지를 분석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이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에 의한 것인 경우에는 필연적으로 사용자의 신체 일부와 접촉되므로, 각 센서값들의 변화량이 이전보다 급격하게 변하게 된다. 즉,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도값은 사용자의 신체 온도 수준에 근접하게 변경되며, 조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조도값은 사용자의 손으로 가리어진 만큼 낮은 조도값으로 변경되며, 터치 센서에 의해 검출된 터치 센서값은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함으로써 이전보다 급격하게 변경된 터치 센서값을 갖게 된다.
한편, 충격 센서(236)의 경우에는 원격제어장치(200)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 압전 효과에 의해 발생된 전압이 급격하게 변하는 것으로 충격을 감지하는데, 원격제어장치(20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는 대부분 원격제어장치(200)를 바닥에 내려놓거나 사용자에 의해 비의도적으로 던져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상기 기술한 센서들, 즉 온도 센서(233), 조도 센서(234), 및 터치 센서(235)와 달리 센서값이 급격하게 변하는 경우를 사용자의 비의도적인 동작에 의한 것으로 보아야할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센서값들의 변화량의 산출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270)에서 직접 수행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상기 영상표시장치(10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센서값들의 변화량 또는 충격 센서의 작동 신호를 직접 수신하고 그로부터 원격제어장치(200)의 조작이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에 의한 것인지만을 판단한다.
이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는 포인터가 화면의 제1영역으로 이동되면, 수신된 센서값의 변화량을 분석한 결과를 종합하여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이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에 의한 것인지를 최종 판단한다(S50).
구체적으로 온도 센서값의 변화량이 사용자의 신체 온도 수준으로 변화하여 기준변화량을 초과하고, 조도 센서값의 변화량이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가리어져 급격히 낮은 조도값으로 변화하여 기준변화량을 초과하고, 터치 센서값의 변화량이 사용자의 신체 접촉에 따라 기준변화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이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에 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포인터가 화면의 제1영역으로 이동된 것이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충격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값이 기준변화량을 초과하거나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충격 센서의 작동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기술한 센서들과는 달리 사용자의 비의도된 동작으로 판단해야한다.
상기 움직임이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으로 최종 판단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화면의 제1영역, 즉 가장자리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제어메뉴 객체들을 표시한다(S60). 여기서, 제어메뉴 객체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아이콘(icon), 위젯(widget), 애플리케이션 실행 메뉴, 썸네일 이미지(thumbnail image)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화면에 실행중인 컨텐츠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 예를 들어 되감기, 일시정지, 빨리감기, 정지 등의 제어버튼에 관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메뉴 객체들의 표시방법, 종류, 형태, 개수 등은 화면에 실행중인 컨텐츠의 타입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특정 컨텐츠의 경우에는 포인터가 화면의 제1영역으로 이동되고 센서값들의 분석 결과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으로 판단된 경우라도 제어메뉴 객체들을 화면에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화면표시방법에 의하면,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영상표시장치의 화면에서 포인터가 가장자리 영역으로 이동되면,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센서값의 변화량에 근거하여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이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한 다음에 영상표시장치의 가장가리 영역에 제어메뉴 객체들을 표시한다. 이에 의하면, 원격제어장치가 비의도적으로 움직여져서 영상표시장치의 가장자리영역으로 포인터가 이동된 경우에는 제어메뉴 객체들을 화면에 표시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실행중인 컨텐츠의 화면이 불필요하게 가리워지는 불편이 해소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원격제어장치 및 그 동작 제어방법은 원격제어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영상표시장치 105 - 제어 메뉴 객체
140 - 인터페이스부(수신부, 송신부) 150 - 제어부
160 - 메모리 170 - 디스플레이부
200 - 원격제어장치

Claims (16)

  1.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포인터가 제어되는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센서값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포인터가 상기 화면의 제1영역으로 이동되면, 상기 수신된 센서값의 변화량에 근거하여 상기 움직임이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움직임이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화면의 제1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제어메뉴 객체들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센서값들의 변화량이 기준변화량을 초과한 경우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에 의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수신된 센서값들의 변화량이 기준변화량 이내이거나 상기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충격 감지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움직임이 오동작에 의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장치는 온도센서, 조도센서, 및 터치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일측에 구비하며,
    상기 센서값은, 상기 온도센서, 조도센서, 및 터치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인터가 상기 화면의 제1영역에 위치하고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제1영역내의 제2영역으로 이동되면, 상기 움직임이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에 의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실행중인 컨텐츠 타입에 대응하는 제어메뉴 객체들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인터가 상기 제1영역과 구분되는 제3영역에서 포인팅되고, 일정 시간 내에 상기 포인터가 제1영역으로 이동되면, 상기 움직임이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에 의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어메뉴 객체들이 표시된 후 일정 시간 내에 선택입력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메뉴 객체들을 상기 화면에서 사라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값의 변화량, 상기 기준변화량,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오동작으로 판단된 횟수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동작으로 판단된 횟수가 기준횟수를 초과하면, 상기 제1영역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포인터가 상기 제1영역으로 이동되면, 사용자의 다음 제어동작을 요구하는 지시자를 상기 제1영역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인터가 상기 화면의 제1영역으로 이동되고 상기 포인터의 이동에 대응하는 X, Y 좌표값의 변화량이 기준변화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움직임이 오동작에 의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움직임이 오동작으로 판단되면,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포인터의 형상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3.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포인터가 제어되는 영상표시장치의 화면표시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센서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포인터가 상기 화면의 제1영역으로 이동되면, 상기 수신된 센서값의 변화량에 근거하여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이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움직임이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이면, 상기 화면의 제1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제어메뉴 객체들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화면표시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장치는 온도센서, 조도센서, 및 터치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일측에 구비하고,
    상기 센서값은, 상기 온도센서, 조도센서, 및 터치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화면표시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센서값들의 변화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변화량을 기준변화량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변화량이 기준변화량을 초과하면 상기 움직임이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에 의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화면표시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포인터가 상기 화면의 제1영역에 위치하고 일정 시간 내에 상기 포인터가 상기 제1영역내의 제2영역으로 이동되면, 상기 움직임이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에 의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화면표시방법.
KR1020120068737A 2012-06-26 2012-06-26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화면표시방법 KR201400009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737A KR20140000928A (ko) 2012-06-26 2012-06-26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화면표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737A KR20140000928A (ko) 2012-06-26 2012-06-26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화면표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928A true KR20140000928A (ko) 2014-01-06

Family

ID=50138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8737A KR20140000928A (ko) 2012-06-26 2012-06-26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화면표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092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6753A (ko) * 2014-09-25 2016-04-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10388248B2 (en) 2015-07-24 2019-08-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6753A (ko) * 2014-09-25 2016-04-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10388248B2 (en) 2015-07-24 2019-08-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3881B2 (en) Remote controller and image display apparatus controllable by remote controller
US9152244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927102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110304539A1 (en) Remote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25070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9432739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951935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in 2D and 3D modes
US20100302151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US20100306688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US9467119B2 (en) Multi-mode point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multi-mode pointing device
US20100309119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100302274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30057465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080094235A (ko)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장치
KR102077672B1 (ko)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
US8952905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40000928A (ko)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화면표시방법
KR20150019123A (ko)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
KR20140008859A (ko)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화면표시방법
KR102105459B1 (ko)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
US20170055038A1 (en) Handheld Devices And Applications for TV
KR101772526B1 (ko) 영상표시기기의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
KR20110012357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596673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980546B1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