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9004B1 - Wpan을 제어하는 기술 - Google Patents

Wpan을 제어하는 기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9004B1
KR101159004B1 KR1020107016919A KR20107016919A KR101159004B1 KR 101159004 B1 KR101159004 B1 KR 101159004B1 KR 1020107016919 A KR1020107016919 A KR 1020107016919A KR 20107016919 A KR20107016919 A KR 20107016919A KR 101159004 B1 KR101159004 B1 KR 101159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media
receiver
information
frequency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6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6545A (ko
Inventor
알렉스 케셀맨
Original Assignee
인텔 코오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코오퍼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코오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00106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6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9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9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WPAN을 제어하는 기술이 설명된다. 장치는 미디어 정보 및 제어 정보를 갖는 송신 데이터 흐름을 수신하여 미디어 정보를 미디어 흐름 경로로 그리고 제어 정보를 제어 흐름 경로로 스위칭하도록 동작하는 라디오 코디네이터 모듈, 라디오 코디네이터 모듈에 결합되고, WPAN을 위해 할당된 제1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미디어 정보를 미디어 흐름 경로로부터 수신기에 송신하도록 동작하는 제1 송수신기, 및 라디오 코디네이터 모듈에 결합되고, WLAN을 위해 할당된 제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제어 정보를 제어 흐름 경로로부터 수신기에 송신하도록 동작하는 제2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의 실시예가 설명되고 청구된다.

Description

WPAN을 제어하는 기술{TECHNIQUES TO CONTROL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은 비교적 적은 참가자 사이에서 비교적 짧은 거리를 통해 정보를 전달하는 데에 사용된다. RF(radio-frequency) 스펙트럼의 가용성(availability)에 따라, WPAN 디바이스는 대략 멀티-기가비트 송신의 고속 통신에 관여할 수 있다. 그러한 고속 통신은 경로 손실을 감소시키고 전력을 보존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지향성 안테나 패턴을 이용하여 구현된다. 그러나, 지향성 안테나 패턴은 그러한 송신을 수신할 수 있는 디바이스 수를 제한할 수 있다. 좀더 많은 디바이스에 도달하기 위한 선택은 무지향성 안테나 패턴이지만, 전력 요구 사항 및 오버헤드가 사실상 증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현재의 WPAN 디바이스를 위한 디바이스 통신 기능은 제한된다. 그러한 제한은 일부 WPAN 디바이스를 약화시킬 수 있거나 심지어 일부 WPAN 디바이스의 다양한 통신 애플리케이션 수행을 금지할 수 있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2는 제1 통신 프레임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3은 제1 송신기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4는 논리 흐름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5는 제2 통신 프레임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6은 제3 통신 프레임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7은 제2 송신기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8은 수신기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 요소는 소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임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구성 요소는, 설계 파라미터 또는 성능 제약의 소정 집합을 위해 소망되는 바에 따라,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에 관한 임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일례로써 소정 토폴로지의 제한된 구성 요소 수로써 설명될 수 있지만, 실시예는 소정 구현을 위해 소망되는 바에 따라 다른 구성의 다른 구성 요소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one embodiment" 또는 "an embodiment")에 대한 모든 참조는 그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특정 사양, 구조, 또는 특징이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명세서의 다양한 위치에 등장하는 "일 실시예에서"라는 문구 모두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를 참조할 필요는 없다.
다양한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공동 배치된 다수의 라디오(multiple co-located radios)를 이용하여 이중 대역 라디오 동작을 수행하도록 각각 구성되는 다수의 무선 디바이스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라디오 모듈은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하나 이상의 수신 디바이스에 미디어 정보를 송신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고, 제2 라디오 모듈은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동일한 수신 디바이스에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라디오 모듈은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주파수 대역을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WPAN 라디오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라디오 모듈은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주파수 대역을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WLAN 라디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라디오 코디네이터 모듈은 라디오 모듈 사이의 동작을 조정하고 동기화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WPAN 라디오 모듈의 고속 능력은 대역폭 소모적인 미디어 정보를 하나 이상의 수신 디바이스에 통신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는 한편, WLAN 라디오 모듈의 무지향성 커버리지 능력은 하나 이상의 수신 디바이스를 위한 대역외(out-of-band) 제어 정보를 통신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통신 시스템(100)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다. 통신 시스템(100)은 다수의 무선 디바이스(110-1-p)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0)은 선택적으로, 패킷 교환망(packet-switched network), 회선 교환망(circuit-switched network), 또는 양자의 조합과 같은,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0)의 다양한 무선 디바이스(110-1-p 및 130)는 무선 공유 미디어(160)를 이용하여 정보를 통신할 수 있다. 무선 공유 미디어(160)는 RF 스펙트럼의 다양한 부분을 표현할 수 있다. 정보는 미디어 정보 및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정보는 여기에서 아주 일반적인 의미로 사용되어, 애플리케이션 정보, 음성 정보, 비디오 정보, 오디오 정보, 텍스트 정보, 숫자 정보, 영숫자 심볼, 그래픽, 이미지, 심볼 등과 같이, 사용자를 위한 것으로 정해진 컨텐츠를 표현하는 임의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 정보 또한 여기에서 아주 일반적인 의미로 사용되어, 자동화 시스템을 위한 것으로 정해진 명령, 명령어 또는 제어 워드를 표현하는 임의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정보는 무선 공유 미디어(160)에 액세스하기 위한 규칙을 설정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거나, 미디어 정보를 시스템을 통해 라우팅하거나, 미디어 정보를 소정 방식으로 처리할 것을 디바이스에 지시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실시예는 제한되지는 않는다.
통신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30)는 고정 무선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디바이스(130)의 일례로는 무선 AP(access point), 라우터, 스위치, 허브, 게이트웨이 등을 들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고정 디바이스는 WLAN 시스템을 위한 AP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서, 고정 디바이스(110)는 네트워크(도시 생략)에 대한 액세스도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인터넷과 같은 패킷 네트워크, 회사 또는 기업 네트워크,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과 같은 음성 네트워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는 일례로 AP로서 구현되는 고정 디바이스(130)로 설명될 수 있지만, 다른 무선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다른 실시예도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실시예는 제한되지는 않는다.
통신 시스템(100)은 다양한 무선 디바이스(110-1-p)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10-1-p)는 이동 또는 고정 무선 디바이스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10-1-p)는, 하나 이상의 라디오, 송신기, 수신기, 송수신기, 칩셋, 증폭기, 필터, 제어 로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 network interface card), 안테나, 안테나 어레이 등과 같이, 무선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의 일례로는, 제한없이, 내장 안테나, 지향성 안테나, 무지향성 안테나, 모노폴 안테나, 다이폴 안테나, 엔드 페드(end fed) 안테나, 원편파(circularly polarized) 안테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다이버시티 안테나, 듀얼 안테나, 안테나 어레이 등을 들 수 있다. 소정 디바이스는 다양한 적응 안테나 기술 및 공간 다이버시티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 다수의 안테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10-1-p)의 일례로는, 제한없이, 스테이션, 가입국, 이동국, 무선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무선국(STA: wireless station), 랩탑 컴퓨터, 울트라-랩탑 컴퓨터, 휴대용 컴퓨터, 퍼스널 컴퓨터(PC : personal computer), 노트북 PC, 핸드헬드 컴퓨터, 퍼스널 디지털 어시스턴트(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셀룰러폰/PDA 조합, 스마트폰, 페이저, 메시징 디바이스, 미디어 플레이어, 디지털 뮤직 플레이어, 셋톱 박스(STB), 어플라이언스, 워크스테이션, 사용자 단말기, 모바일 유닛, 가전 제품, 텔레비전(TV), 디지털 TV, HDTV(high-definition television), TV 수신기, HDTV 수신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실시예는 제한되지는 않는다.
무선 디바이스(110-1-p)는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정보를 통신할 수 있는 공동 배치된 다수의 라디오를 갖는 이중 대역 라디오 아키텍처를 각각 포함하거나 구현할 수 있다. 각각의 무선 디바이스는, 각각의 라디오가 상이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상태로, 단일 무선 디바이스내에 공동 배치되는 다수의 라디오를 이용하는 라디오 아키텍처를 가질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하나의 라디오는 미디어 정보를 통신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고, 나머지 라디오는 제어 정보 및/또는 미디어 정보를 통신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제어 구성 요소는 공동 배치된 다수의 라디오 사이의 동작을 신호 경로(122-1-e)를 통해 조정하고 동기화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소정 구현을 위한 특정 라디오 선택 및 대응되는 동작 주파수 대역은 미디어 동작 또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소정 라디오의 이점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단일 무선 디바이스내에 공동 배치된 다수의 라디오의 이점을 조합하는 것이 무선 디바이스를 위한 전반적인 통신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아키텍처는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에 개선된 경제성(affordability), 범위성(scalability), 모듈성(modularity), 확장성(extendibility), 또는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을 제공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10-1-p)는 무선 디바이스(110-1)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10-1)는 다양한 무선 디바이스(110-1-p) 중 어떤 것을 대표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10-1)는 공동 배치된 다수의 라디오를 사용하는 이중 대역 라디오 아키텍처의 예시된 일례를 제공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10-1)는, 다른 구성 요소 중에서, 공동 배치된 다수의 라디오 모듈(112-1-a)과 버스(126)에 의해 결합되는 호스트 프로세서(124)를 포함할 수 있다. 라디오 모듈(112-1-a)은, 다른 구성 요소 중에서, 각각의 컨트롤러(116-1-c)에 결합되는 각각의 송수신기(114-1-b)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16-1-c)는 각각의 라디오 코디네이터 모듈(118-1-d)을 포함할 수 있다.
제한된 수의 구성 요소가 무선 디바이스(110-1)에 의해 제한이 아닌 일례로써 표시되지만, 전자 디바이스에 공통적인 다른 컴퓨팅 및 통신 구성 요소가 무선 디바이스(110-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110-1)는, 프로세서, 메모리, 칩셋, 컨트롤러, 주변 장치(peripherals), 입력 디바이스, 출력 디바이스 등과 같이, 소정 구현을 위해 적합한 다양한 컴퓨팅 리소스 또는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례에서, 무선 디바이스(110-1)는, 기저대역 프로세서, 필터, 증폭기, 변조기, 복조기, 멀티플렉서, 믹서, 스위치 등과 같이, 소정 구현을 위해 적합한 다양한 통신 리소스 또는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실시예는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1에 표시되는 예시된 실시예에서, 무선 디바이스(110-1)는 호스트 프로세서(124)를 포함할 수 있다. 호스트 프로세서(124)는, CISC(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 마이크로프로세서,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ing) 마이크로프로세서, VLIW(very long instruction word) 마이크로프로세서, 명령어 집합의 조합을 구현하는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세서 디바이스와 같은, 임의의 범용 프로세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 프로세서(124)는 캘리포니아주 산타 클라라의 Intel® Corporation에 의해 제조되는 프로세서와 같은 범용 프로세서로서 구현될 수 있다. 호스트 프로세서(124)는, 컨트롤러, 마이크로컨트롤러, 임베디드 프로세서,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네트워크 프로세서, 미디어 프로세서, I/O(input/output) 프로세서 등과 같은, 전용 프로세서로서도 구현될 수 있다. 호스트 프로세서(124)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유닛(도시 생략)에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실시예는 제한되지는 않는다.
호스트 프로세서(124)는 시스템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같은 다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무선 디바이스(110-1)에 컴퓨팅 및 통신 처리 동작을 제공하는 것을 담당할 수 있다. 다양한 시스템 프로그램(예를 들어,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예를 들어, 미디어 재생 프로그램, 통신 프로그램, 생산성 향상 프로그램(productivity programs) 등)은 라디오 모듈(112-1-a)에 의한 통신에 적합한 다양한 유형의 미디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라디오 모듈(112-1-a)에 의한 통신에 적합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에 표시되는 예시된 실시예에서, 무선 디바이스(110-1)는 버스(126)를 통해 호스트 프로세서(124)에 결합되는 공동 배치된 다수의 라디오 모듈(112-1-a)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10-1)의 라디오 모듈(112-1, 112-2)은 다양한 단거리 무선 시스템 아키텍처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단거리 무선 시스템 아키텍처의 일례로는, 제한없이, WLAN을 위한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표준 및 변형과 WPAN을 위한 IEEE 802.15 표준 및 변형과 같은, 다양한 IEEE 표준에 따른 시스템을 들 수 있다. 다른 단거리 무선 시스템 아키텍처로는, 제한없이, UWB(Ultra-Wide Band) 통신을 위한 다양한 WiMedia Alliance 표준에 따른 시스템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가 설명된 이들 일례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라디오 모듈(112-2)은 IEEE 802.11 WLAN 라디오 모듈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EEE 802.11x(예를 들어, 802.11 a/b/g/n)는 5GHz 및 2.4GHz 공공 스펙트럼 대역에서의 WLAN 컴퓨터 통신을 위한 표준의 집합이다. 이들 WLAN 표준은 2Mbps(Megabits Per Second)와 600Mbps 사이에서 변동하는 데이터 속도 및 최대 100 미터에 달하는 통신 범위가 특징이다. 더 나아가, 이들 WLAN 표준은 통상적으로 무지향성 안테나 패턴을 이용하여 소정 통신 범위내에서 좀더 광범위하고 다양한 무선 디바이스에 정보를 통신한다.
도 1에 표시되는 예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WLAN 라디오 모듈(112-2)의 송수신기(114-2)는 무지향성 안테나 어레이(120-2)에 결합될 수 있다. 무지향성 안테나 어레이(120-2)는, 무지향성 신호(150)에 의해 표현되는 바와 같이, 무지향성 안테나 패턴을 이용하여 제어 정보를 수신기에 송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무지향성 안테나 어레이(120-2)는 하나의 안테나 또는 다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후자의 설계는, 다양한 다이버시티 방식(diversity schemes) 또는 기술을 구현하는 경우와 같이, 시스템 처리량 또는 수신 신뢰도를 증가시키는데 바람직할 수 있다. 다수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다이버시티 방식의 일례로는, IEEE 802.11n 라디오 모듈을 WLAN 라디오 모듈(112-2)로서 구현하는 경우에서와 같이,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시스템을 들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라디오 모듈(112-1)은 IEEE 802.15 WPAN 라디오 모듈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EEE 802.15는 57-64GHz 공공 스펙트럼 대역에서의 WPAN 컴퓨터 통신을 위한 표준의 집합이다. 이들 WPAN 표준은 50Mbps와 5Gbps(Gigabits Per Second) 사이에서 변동하는 데이터 속도 및 1 미터와 10 미터 사이의 통신 범위를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이들 WPAN 표준은 통상적으로 지향성 안테나 패턴을 이용하여 소정 통신 범위내의 좀더 좁은 범위의 다양한 무선 디바이스에 정보를 통신한다.
도 1에 표시되는 예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WPAN 라디오 모듈(112-1)의 송수신기(114-1)는 지향성 안테나 어레이(120-1)에 결합될 수 있다. 지향성 안테나 어레이(120-1)는, 지향성 신호(140)에 의해 표현되는 바와 같이, 지향성 안테나 패턴을 이용하여 미디어 정보를 수신기에 송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지향성 안테나 어레이(120-1)는 하나의 안테나 또는 다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후자의 설계는, 다양한 다이버시티 방식 또는 기술을 구현하는 경우에 바람직할 수 있다. WPAN 라디오 모듈(112-1)을 위해 무지향성 안테나 패턴을 사용하는 무지향성 안테나 어레이가 구현될 수도 있지만, 이 설계 옵션은 라디오 아키텍처 및 대응되는 구현의 복잡도와 동작 비용을 증가시킬 것이라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WPAN 표준의 IEEE 802.15 집합은 다양한 파트(Part)를 포함하는데, 그 중 하나는 2003년 9월 29일의 "Part 15.3: Wireless Medium Access Control(MAC) and Physical Layer(PHY) Specifications for High Rat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WPANs)"라고 명명된 IEEE 802.15.3 Task Group 3 Standard 802.15.3-2003("IEEE 802.15.3 규격")을 포함한다. IEEE 802.15.3 Task Group 3은 Task Group 3c(TG3c) Draft Standard IEEE 802.15.3c("IEEE 802.15.3c 규격")를 더 포함한다. IEEE 802.15.3c 규격은 기존의 802.15.3 WPAN Standard 802.15.3-2003을 위한 밀리미터(mm)파 기반의 대체 PHY에 대한 것이다. mm파 WPAN은, FCC 47 CFR 15.255에 의해 정의되는, 57-64GHz 무허가 대역(unlicensed band)을 포함하는 새롭고 깨끗한 대역에서 동작할 것이다. 밀리미터 파 WPAN은 WPAN의 802.15군에서의 다른 모든 마이크로파 시스템과의 높은 공존성(근접한 물리적 간격)을 허용할 것이다. 또한, 밀리미터 파 WPAN은 2Gbps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고속 인터넷 액세스, 스트리밍 컨텐츠 다운로드, 실시간 스트리밍, 무선 디스플레이, 무선 도킹, 및 케이블 대체용 무선 데이터 버스와 같은 매우 높은 데이터 속도를 허용할 것이다. 3Gbps를 초과하는 선택적인 데이터 속도도 제공될 것이다.
일부 경우에서, 무선 디바이스(110-1)의 라디오 모듈(112-2)은 WPAN을 위한 PNC(piconet coordinator)를 포함하거나 그 PNC로서 동작할 수 있다. WPAN은 비교적 적은 참가자 사이에서 비교적 짧은 거리를 통해 정보를 전달하는 데에 사용된다. WLAN과 달리, WPAN은 통상적으로 인프라스트럭처를 거의 또는 전혀 필요로 하지 않는다. 기본적인 WPAN 구조의 일례가 피코넷이다. 피코넷은, 다수의 독립 데이터 디바이스(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110-1-p))가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하는 무선 애드혹(ad hoc) 데이터 통신 시스템이다. 피코넷은, 일반적으로 전방향에서 기껏해야 10 미터를 커버하는 그리고 정지하고 있거나 이동 중인 사람 또는 물체를 둘러싸는 사람 또는 객체 주위의 작은 영역으로 통상적으로 통신이 한정된다는 점에서 데이터 네트워크의 다른 유형과는 구별된다. 무선 디바이스(110-1-p) 사이에서 피코넷을 확립하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110-1) 중 하나는 피코넷을 위한 PNC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PNC는, 비컨, 보안 관리, 및 QoS(quality of service) 요건에 따라 피코넷을 위한 기본 타이밍을 제공하는 것, 전력 관리 동작 및 채널 액세스 동작을 수행하는 것 등과 같은, 피코넷을 위한 제어 및 관리 동작을 수행한다.
IEEE 802.15.3c 규격은, 홈 네트워크를 위한 정보(예를 들어, VOD(video on demand), HDTV, 홈씨어터, 무선 디스플레이 등)의 압축 또는 비압축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송신과 같은, 높은 대역폭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높은 데이터 속도를 제공한다. 그러한 고속 통신은 통상적으로 지향성 안테나 패턴을 이용하여 경로 손실을 감소시키고 전력을 보존하도록 구현된다. 그러나, 지향성 안테나 패턴은 그러한 송신을 수신할 수 있는 디바이스의 수를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라디오 모듈(112-1)은 미디어 정보를 통신하기에 적합할 수 있지만, WPAN 아키텍처의 지향성 특징으로 인해 제어 정보의 통신을 시도하는 경우에는 제약을 받을 수 있다.
이 제약 및 다른 제약을 보상하기 위해, 공동 배치된 다수의 라디오 모듈(112-1, 112-2)의 이중 대역 라디오 아키텍처는 상이한 라디오 모듈(112-1, 112-2)을 이용하여 상이한 정보 유형을 통신하도록 최적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EEE 802.15.3c WPAN 라디오 모듈로서 구현되는 라디오 모듈(112-1)은 버스(126)를 통해 호스트 프로세서(124)에 의해 실행되는 시스템 프로그램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부터 수신되는 미디어 정보와 같은, 미디어 정보를 통신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IEEE 802.11x WLAN 라디오 모듈로서 구현되는 라디오 모듈(112-2)은, WPAN 라디오 모듈(112-1)의 컨트롤러(116-1)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정보와 같은, 제어 정보를 통신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인 동작시에, 다수의 무선 디바이스(110-1-p)는 WPAN 통신 범위내에 위치하며 서로 사이에서 피코넷을 형성하고 싶어한다고 가정한다. 더 나아가, 무선 디바이스(110-1)는 피코넷을 확립하고 관리하기 위한 피코넷용 PNC로서 동작한다고 가정한다. 무선 디바이스(110-1)는, 다른 구성 요소 중에서, 송수신기(114-1), 컨트롤러(116-1), 및 라디오 코디네이터 모듈(118-1)을 포함하는 공동 배치된 다수의 송신 라디오 모듈(112-1, 112-2)을 포함할 수 있다. WPAN 라디오 모듈(112-1)의 컨트롤러(116-1)의 라디오 코디네이터 모듈(118-1)은 미디어 정보 및 제어 정보를 갖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흐름을 수신하고 송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송신 동작을 위해 구현되는 경우, 라디오 코디네이터 모듈(118-1)은, 미디어 정보를 미디어 흐름 경로로 그리고 제어 정보를 제어 흐름 경로로 스위칭하거나 디멀티플렉싱할 수 있다. 수신 동작을 위해 구현되는 경우, 라디오 코디네이터 모듈(118-1)은 미디어 정보 및 제어 정보를 하나 이상의 수신 데이터 흐름으로 결합하거나 멀티플렉싱할 수 있다.
WPAN 라디오 모듈(112-1)의 송수신기(114-1)는 라디오 코디네이터 모듈(118-1) 및 미디어 흐름 경로에 결합될 수 있다. 송수신기(114-1)는 미디어 흐름 경로로부터 미디어 정보를 수신하고 미디어 정보를 미디어 흐름 경로로부터 수신기에 송신하도록 동작할 수 잇다. 수신기는,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110-2)와 같은, 무선 디바이스(110-2-p)의 라디오 모듈(112-1, 112-2)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송수신기(114-1)는 WPAN을 위해 할당된 제1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미디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WPAN을 위해 할당된 제1 주파수 대역의 일례로는, 스펙트럼 공간의 최대 5GHz까지 포함할 수 있는 60GHz(예를 들어, 57-64GHz) 주파수 대역을 들 수 있다.
WLAN 라디오 모듈(112-2)의 송수신기(114-2)는 또한 컨트롤러(116-2) 및 신호 경로(122-1-e)를 통해 라디오 코디네이터 모듈(118-1) 및 제어 흐름 경로에 결합될 수 있다. 송수신기(114-2)는 제어 흐름 경로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WLAN을 위해 할당된 제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제어 정보를 제어 흐름 경로로부터 수신기(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110-2))에 송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WLAN을 위해 할당된 제2 주파수 대역의 일례로는 2.4GHz 또는 5GHz 주파수 대역을 들 수 있다.
이중 대역 라디오 아키텍처는 컨트롤러(116-1, 116-2)를 통해 대응되는 이중-MAC 아키텍처를 이용한다. 컨트롤러(116-1, 116-2)는 각각의 라디오 코디네이터 모듈(118-1, 118-2)을 통해 동작을 조정할 수 있다. 컨트롤러(118-1, 118-2)는 신호 경로(122-1, 122-2)를 통해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18-1, 118-2)는 각각의 라디오 모듈(112-1, 112-2)의 동작 상태 또는 상태들에 관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다른 일례에서, 컨트롤러(118-1, 118-2)는 각각의 WPAN 또는 WLAN을 위해 지정된 제어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WPAN 라디오 모듈(112-1)에 의해 통신되는, WPAN을 위한 동작을 관리하고 조정하기 위한 제어 정보는 대신에 신호 경로(122-1)를 통해 그리고 반대로는 신호 경로(122-2)를 이용하여 WLAN 라디오 모듈(112-2)에 의해 통신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서, 컨트롤러(118-1, 118-2)는 각각의 WPAN 또는 WLAN을 위해 지정된 미디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WPAN 라디오 모듈(112-1)에 의해 통신되는, WPAN을 위한 미디어 정보는 대신에 신호 경로(122-1)를 통해 그리고 반대로는 신호 경로(122-2)를 이용하여 WLAN 라디오 모듈(112-2)에 의해 통신될 수 있다. 양자의 라디오 모듈(112-1, 112-2)이, OFDM(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기술, 캐리어 유닛, 서브-캐리어 유닛 등과 같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통신 방식과 파라미터를 이용하는 경우라면, 이것이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컨트롤러(116-1, 116-2)에 의해 구현되는 이중-MAC 아키텍처의 복잡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라디오 모듈(112-1, 112-2)은 별도의 미디어 채널 및 제어 채널을 이용하여 미디어 정보 및 제어 정보를 통신할 수 있다. 제어 정보를 통신하는 데에 사용되는 제어 채널을 별도의 저대역 WLAN 라디오 모듈(112-2)을 이용하여 생성하는 것은 사실상 OOB(out-of-band) 제어 채널을 생성한다. OOB 제어 채널의 사용은, 다음에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몇가지 이점을 제공하지만, 미디어 채널과 제어 채널 사이의 일정 수준의 조정 및 동기화 동작을 필요로 한다. WPAN 라디오 모듈(112-1)에 의한 송신의 지향성 특징 때문에, WLAN 라디오 모듈(112-2)에 의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존의 캐리어 감지 솔루션은 WPAN 동작에는 적합하지 않다. 오히려, WPAN 라디오 모듈(112-1)은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을 이용하여 채널 시간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채널 시간 예약은 각각의 수퍼프레임에 대해 수행된다. 수퍼프레임은 TDMA 시스템을 위한 기본적인 시간 분할이다. 채널 시간 예약은 제어 채널을 통해 송신되는 비컨 프레임(들)으로 통신된다. 기존의 WPAN 시스템에서, 비컨(들)은 수퍼프레임의 시작 직전에 송신된다. 따라서, WLAN 라디오 모듈(112-2)에 의해 생성되는 OOB 제어 채널은 WPAN 라디오 모듈(112-1)에 의해 생성되는 미디어 채널과의 실시간 또는 거의 실시간 동기화를 지원하는 다양한 기술을 구현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이중-MAC 계층에 대해 몇가지 설계 어려움을 부여할 수 있고, 이는 도 2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2는 통신 프레임(200)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다. 통신 프레임(200)은 IEEE 802.15.3 규격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수퍼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수퍼프레임은 비컨, 채널 시간 할당 기간, 및 선택적인 경합 액세스 기간을 포함하는 802.15.3 피코넷의 기본적인 시간 분할이다. 기존의 WPAN 시스템에서, 통신 프레임(200)을 위한 미디어 정보 및 제어 정보는 하나의 공통적인 미디어 및 제어 채널(250) 또는 미디어 채널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대역 내(in-band) 제어 채널을 통해 통신된다.
도 2에 표시되는 예시된 실시예에서, 통신 프레임(200)은 다수의 수퍼프레임(210-1-f)의 논리 스트림을 포함한다. 수퍼프레임(210-1-f)은 선행 수퍼프레임(#m-1)을 표현하는 수퍼프레임(210-1), 현재 수퍼프레임(#m)을 표현하는 수퍼프레임(210-2), 및 후속 수퍼프레임(#m+1)을 표현하는 수퍼프레임(210-3)을 포함할 수 있다. 현재 수퍼프레임(210-2)이 나머지 수퍼프레임(210-1, 210-3)을 대표할 수 있고, 비컨 메시지(220(#m)), 선택적인 경합 액세스 기간(CAP)(222), 및 채널 시간 할당 기간(224)으로 이루어진다. 비컨 메시지(220)는 타이밍 할당을 설정하고 피코넷을 위한 관리 정보를 통신하는 데에 사용된다. 비컨 메시지(220)는 비컨 프레임 뿐만 아니라 PNC에 의해 비컨 확장(beacon extension)으로서 송신되는 임의의 통지(Announce) 명령을 포함한다. CAP(222)는 명령 및/또는, 수퍼프레임(210-2)에 존재할 경우, 비동기 데이터를 통신하는 데에 사용된다. 채널 시간 할당 기간(224)은, 하나 이상의 관리 CTA(MCTA)(226-1-g) 및 하나 이상의 CTA(228-1-h)를 포함하는, 다양한 CTA(channel time allocation)로 이루어진다. MCTA(226-1-g)는 제어 채널 접속 및 제어 정보에 사용된다. CTA(228-1-h)는 등시(isochronous) 스트림과 비동기 미디어 채널 접속 및 미디어 정보에 사용된다.
도 3은 송신기(300)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다. 송신기(300)는 하나 이상의 수퍼프레임(210-1-f)에 따라 미디어 정보 및 제어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라디오 모듈(112-1, 112-2)의 송신 부분을 대표할 수 있다. 도 3에 표시된 바와 같이, 라디오 모듈(112-1)의 라디오 코디네이터 모듈(118-1)은, 송신 데이터 흐름(330-1, 330-2)과 같은, 다양한 송신 데이터 흐름(330-1-i)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신 데이터 흐름(330-1, 330-2)은 2개의 상이한 데이터 흐름을 포함할 수 있는데, 송신 데이터 흐름(330-1)은 미디어 정보 블록(302-1-j)을 갖는 미디어 데이터 흐름을 포함하고, 송신 데이터 흐름(330-2)은 제어 정보 블록(304-1-k)을 갖는 제어 데이터 흐름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송신 데이터 흐름(330-1, 330-2)은 단일 데이터 흐름을 포함할 수 있는데, 미디어 정보 블록(302-1-j)과 제어 정보 블록(304-1-k)이 단일 데이터 흐름으로 인터리빙되거나 멀티플렉싱된다. 데이터 흐름(330-1, 330-2)의 미디어 정보 및 제어 정보는 정보의 논리 블록 관점으로 설명되지만, 데이터 흐름(330-1, 330-2)의 미디어 정보 및 제어 정보가 정보의 논리 스트림을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실시예는 제한되지는 않는다.
송신 모드에서, 라디오 코디네이터 모듈(118-1)은 미디어 정보를 미디어 흐름 경로(306-1)로 그리고 제어 정보를 제어 흐름 경로(306-2)로 스위칭하거나 디멀티플렉싱할 수 있다. 미디어 흐름 경로(306-1)는 라디오 모듈(112-1)내의 모듈내 경로(intra-module path)인 한편, 제어 흐름 경로(306-2)는 신호 경로(122-1, 122-2)를 통해 라디오 모듈(112-1, 112-2)을 통과하는 모듈간 경로(inter-module path)라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라디오 모듈(112-1)의 송수신기(114-1)는 미디어 흐름 경로(306-1)로부터 미디어 정보 블록(302-1-j)을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기(114-1)는 미디어 흐름 경로(306-1)로부터의 미디어 정보 블록(302-1-j)을 피코넷에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수신 무선 디바이스(110-2-p)에 송신할 수 있다. 송수신기(114-1)는 주파수 대역(312)의 미디어 채널(310)을 통해 미디어 정보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송수신기(114-1)는 미디어 정보를 수퍼프레임(210-1-f)의 일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CTA(228-1-h)로서 송신한다.
라디오 모듈(112-2)의 송수신기(114-2)는 라디오 코디네이터 모듈(118-1, 118-2) 사이의 신호 경로(122-1)를 통해 제어 흐름 경로(306-2)로부터 제어 정보 블록(304-1-k)을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기(114-2)는 제어 흐름 경로(306-2)로부터의 제어 정보 블록(304-1-k)을 미디어 정보 블록(302-1-j)을 수신하는 동일한 피코넷에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수신 무선 디바이스(110-2-p)에 송신할 수 있다. 송수신기(114-2)는 제어 정보를 주파수 대역(322)의 제어 채널(320)을 통해 송신한다. 예를 들어, 송수신기(114-1)는 제어 정보를 수퍼프레임(210-1-f)의 일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MCTA(226-1-g)로서 송신한다.
다양한 실시예를 위한 동작은 다음의 도면 및 첨부 일례를 참조하여 추가 설명될 수 있다. 도면 중 일부는 논리 흐름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논리 흐름은 설명된 기능이 구현될 수 있는 방법의 일례를 제공할 뿐이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주어진 논리 흐름이, 다르게 지시되지 않는 한, 반드시 제시된 순서로 실행될 필요는 없다. 또한, 논리 흐름은 하드웨어 구성 요소,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 또는 그것에 관한 임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실시예는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4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논리 흐름(400)을 예시한다. 논리 흐름(400)은 다양한 시스템 및/또는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설계 파라미터 또는 성능 제약의 주어진 집합을 위해 소망되는 바에 따라,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그것에 관한 임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논리 흐름(400)은 로직 디바이스(예를 들어, 프로세서) 및/또는 로직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로직(예를 들어, 명령어, 데이터, 및/또는 코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시를 위해, 논리 흐름(400)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논리 흐름(400)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 및/또는 송신기(300)의 무선 디바이스(110-1-p)를 위한 다양한 동작을 예시할 수 있다. 도 4에 표시된 바와 같이, 논리 흐름(400)은 블록 402에서 미디어 정보 및 제어 정보를 갖는 송신 데이터 흐름을 수신할 수 있다. 논리 흐름(400)은 블록 404에서 미디어 정보를 미디어 흐름 경로로 그리고 제어 정보를 제어 흐름 경로로 스위칭할 수 있다. 논리 흐름(400)은 블록 406에서 WPAN을 위해 할당된 제1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미디어 정보를 미디어 흐름 경로로부터 수신기에 그리고 WLAN을 위해 할당된 제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제어 정보를 제어 흐름 경로로부터 수신기에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실시예는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논리 흐름(400)은 블록 402에서 미디어 정보 및 제어 정보를 갖는 송신 데이터 흐름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디오 모듈(112-1) 컨트롤러(116-1)의 라디오 코디네이터 모듈(118-1)은 결합된 또는 별도의 미디어 데이터 흐름(330-1) 및 제어 데이터 흐름(330-2)을 갖는 송신 데이터 흐름(330)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논리 흐름(400)은 블록 404에서 미디어 정보를 미디어 흐름 경로로 그리고 제어 정보를 제어 흐름 경로로 스위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디오 코디네이터 모듈(118-1)은 미디어 정보를 미디어 데이터 흐름(330-1)으로부터 미디어 흐름 경로(306-1)로 그리고 제어 정보를 제어 데이터 흐름(330-2)으로부터 제어 흐름 경로(306-2)로 스위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논리 흐름(400)은 블록 406에서 WPAN을 위해 할당된 제1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미디어 정보를 미디어 흐름 경로로부터 수신기에 그리고 WLAN을 위해 할당된 제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제어 정보를 제어 흐름 경로로부터 수신기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PAN 라디오 모듈(112-1)의 송수신기(114-1)는 WPAN을 위한 미디어 채널(310)을 위해 할당된 주파수 대역(312)을 이용하여 미디어 정보를 미디어 흐름 경로(306-1)로부터 무선 디바이스(110-2-p)에 의해 구현되는 수신기에 송신할 수 있다. WLAN 라디오 모듈(112-2)의 송수신기(114-2)는 WLAN을 위한 제어 채널(320)을 위해 할당된 주파수 대역(322)을 이용하여 제어 정보를 제어 흐름 경로(306-2)로부터 송수신기(114-1)로부터 미디어 정보를 수신하는 동일한 수신기에 송신할 수 있다.
공동 배치된 다수의 라디오 모듈(112-1, 112-2)을 갖는 이중 대역 라디오 아키텍처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그리고 라디오 모듈 중 하나(112-2)를 사용하여 OOB 제어 채널(320)을 생성하는 것에 의해, 다양한 동작 이점이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정보와 미디어 정보를 동기화하기 위한 엄격한 타이밍 요건이 다소 완화될 수 있는데, 이는 미디어 채널(110)을 통한 미디어 정보의 통신을 반드시 중단시킬 필요없이 미디어 송신 동작과 동시에 별도의 제어 채널(320)을 무선 디바이스(110-1-p)의 소정 동작을 조정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 실시예에서, 라디오 모듈(112-2)의 송수신기(114-2)는 WLAN의 제어 채널(320)을 위해 할당된 주파수 대역(322)을 이용하여 현재 통신 프레임 동안 후속 통신 프레임을 위한 제어 정보를 제어 흐름 경로(306-2)로부터 수신기에 송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속의 수퍼프레임(210-3)을 위한 정보를 통신하는 데에 필요한 제어 정보가 현재의 수퍼프레임(210-2) 동안 통신될 수 있게 함으로써, 송신하는 무선 디바이스(110-1)의 라디오 모듈(112-1)이 후속의 수퍼프레임(210-3) 동안 미디어 정보를 송신하도록 그리고 마찬가지로 수신하는 무선 디바이스(110-2-p)의 대응되는 라디오 모듈(112-1)이 후속의 수퍼프레임(210-3) 동안 미디어 정보를 수신하도록 준비시킨다. 그러한 동작의 다양한 사용 시나리오 및 일례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제공될 수 있다.
향상된 비컨 송신 기술
OOB 제어 채널(320)을 이용하는 무선 디바이스(110-1-p)에 의해 사용되는 이중 대역 라디오 아키텍처에서, 컨트롤러(116-1, 116-2)에 의해 수행되는 이중-MAC 계층 동작은 좀더 복잡해질 수 있다. 비컨 메시지(220)를 송신하는 것과 관련하여 특히 그럴 수 있다. 기존 WPAN 시스템에서는, 통신 프레임(200)에 의해 예시되는 바와 같이, 비컨 메시지(220)가 각각의 수퍼프레임(210-1-f)의 시작 직전에 송신된다. 그러나, 모든 수퍼프레임(210-1-f)의 시작시에 비컨을 동기화하는 것은 대응되는 라디오 모듈(112-1, 112-2)을 위해 이중-MAC 계층 동작을 구현하는 컨트롤러(116-1, 116-2)의 복잡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들 및 다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각각의 컨트롤러(116-1, 116-2)에 의해 구현되는 라디오 코디네이터 모듈(118-1, 118-2)은 각각의 무선 디바이스(110-1-p)에 반드시 명시적으로 비컨 슬롯을 할당할 필요없이 분산된 MAC 아키텍처하에서 다수의 비컨 메시지(220)의 송신을 제공하는 향상된 비컨 송신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각각의 컨트롤러(116-1, 116-2)의 대응되는 MAC 복잡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향상된 비컨 송신 기술은 도 5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5는 통신 프레임(500)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다. 통신 프레임(200)과 유사하게, 통신 프레임(500)은 수퍼프레임(210-1-f)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통신 프레임(200)과 달리, 비컨 메시지(220)가 각각의 수퍼프레임(210-1-f)을 위한 시작 시점에서 송신되지 않는다. 오히려, 송수신기(114-2)는 WLAN의 제어 채널(320)을 위해 할당된 주파수 대역(322)을 이용하여 현재 통신 프레임(210-2) 동안 후속 통신 프레임(210-3)을 위해 지정된 비컨 메시지(220) 및 델타 구간(502)을 제어 정보로서 제어 흐름 경로(306-2)로부터 수신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델타 구간(502)은 비컨 메시지(220)의 송신과 후속 통신 프레임(210-3)의 시작 시점 사이의 추정 시구간을 표현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수신 디바이스(110-2-p)는 비컨 메시지(220) 및 델타 구간(502)을 수신할 수 있고, 이 제어 정보를 후속의 수퍼프레임(210-3)에 속하는 정보의 수신 및/또는 송신을 시작해야 할 때와 동기화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다.
비컨 메시지(220) 및 델타 구간(502)을 현재의 수퍼프레임(210-2)에서 송신하는 WLAN 라디오 모듈(112-2)에 의해, WPAN 라디오 모듈(112-1)은 비컨 메시지(220)를 후속의 수퍼프레임(210-3) 시작시에 송신해야 할 필요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경우에서, 수신 디바이스(110-2-p)는 저대역 WLAN 라디오 모듈(112-2)을 비컨 메시지(220) 및 델타 구간(502)을 수신하는 데에 사용할 수 없거나 원하지 않을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일부 레거시 수신 디바이스(110-2-p)는 제2 라디오 모듈(112-2)을 갖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에는, 그러한 디바이스를 수용하기 위해 기존 WPAN 동작마다 각각의 수퍼프레임(210-1-f)의 시작시에 비컨 메시지(220)를 송신하도록 WPAN 라디오 모듈(112-1)을 구성할 수 있다.
향상된 대역폭 예약 기술
기존 WPAN 시스템에서는, 통신 프레임(200)에 의해 예시되는 바와 같이, 비컨 메시지(220)가 각각의 수퍼프레임(210-1-f)의 시작 직전에 송신된다. 그러나, 일부 경우에서는, 채널 품질 및/또는 트래픽 조건의 변화에 응답하여 주어진 수퍼프레임(210-1-f) 동안에 채널 시간 예약을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대역 내 제어 채널을 이용하여서는 이것이 어려울 수 있는데, 기존의 WPAN 시스템은 대역폭 예약 요청에 응답하여 생성되는 비컨 프레임으로 전달되는 새로운 채널 할당에 따른 채널 스케줄을 수신하기 전에 후속 수퍼프레임(210-3)의 시작까지 대기해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WPAN 시스템에 불필요한 지연량을 도입할 수 있다.
이들 및 다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중 대역 라디오 아키텍처는, 채널 시간 예약이 OOB 제어 채널(320)을 이용하여 동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는 향상된 대역폭 예약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송신기 디바이스가 현재의 수퍼프레임(210-2)에서의 제어 채널을 통해 PNC에 대역폭 예약 요청을 송신하고, 요청이 승인되면, PNC는 동일한 수퍼프레임(210-2)에서 새로운 채널 시간 스케줄(예를 들어, 디바이스 S가 디바이스 R에 송신하는 채널 시간 블록 확장 또는 채널 시간 블록 예약)을 브로드캐스트한다. 이 시나리오에서는, 수신 무선 디바이스(110-2-p)가 현재의 수퍼프레임(210-2)에서 바로 새로운 채널 스케줄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새로운 예약에 의한 새로운 채널 스케줄은 나머지 무선 디바이스(110-1-p)의 기존 예약과의 충돌을 방지할 것이다. 채널 시간 할당에서의 변화가 영구적이라면, 그것은 후속의 수퍼프레임(210-3)의 시작시에 송신되는 비컨 메시지(220)에 반영될 것이다. 향상된 대역폭 예약 기술은 도 6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6은 통신 프레임(600)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다. 통신 프레임(200)과 유사하게, 통신 프레임(600)은 수퍼프레임(210-1-f)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통신 프레임(200)과 달리, 새로운 채널 스케줄이 반드시 후속의 수퍼프레임(210-3)의 시작 시점에서 송신될 필요는 없다. 오히려, 송수신기(114-1)에 결합되는 컨트롤러(116-1)는 대역폭 예약 요청(602)을 수신하고 대역폭 예약 요청(602)에 응답하여 채널 스케줄(604)을 생성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송수신기(114-1)는 대역폭 예약 요청(602)에 응답하여 WLAN의 제어 채널(320)을 위해 할당된 주파수 대역(322)을 이용하여 동일한 수퍼프레임(210-2) 동안 현재의 수퍼프레임(210-2)을 위해 지정된 채널 스케줄(604)을 제어 정보로서 제어 흐름 경로(306-2)로부터 수신기에 송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수신 디바이스(110-2-p)는 채널 스케줄(604)을 수신할 수 있고, 이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어떤 채널이 현재의 수퍼프레임(210-2)에 속하는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할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향상된 동시 통신 기술
무선 디바이스(110-1-p)에 의해 사용되는 이중 대역 라디오 아키텍처에 의해 제공되는 OOB 제어 채널(320)의 가용성은 단순히 제어 정보를 전달하는 것 이외의 이점을 제공한다. 일부 경우에서, 제어 채널(320)은 미디어 정보를 송신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는, 미디어 데이터 흐름이 미디어 채널(310) 및 제어 채널(320)을 통해 사실상 동시에 송신될 수 있는 향상된 동시 통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110-1)의 라디오 모듈(112-1)의 송신 부분은 미디어 데이터 흐름을 각각의 미디어 채널(310) 및 제어 채널(320)을 통해 별도로 송신되는 2개 스트림으로 디멀티플렉싱한다. 무선 디바이스(110-2)의 라디오 모듈(112-1)의 수신 부분은 2개의 미디어 스트림을 다시 원래의 미디어 데이터 흐름으로 멀티플렉싱한다. 각각의 데이터 패킷에는 라디오 모듈(112-1)의 송신 부분에 의해 시퀀스 번호가 할당되고, 이로 인해, 라디오 모듈(112-1)의 수신 부분은 패킷을 올바른 순서로 재조립할 수 있다. 스트림 각각에 할당되는 데이터량은 현재의 채널 조건과 관련하여 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향상된 동시 통신 기술은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7은 송신기(700)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다. 송신기(700)는 송신기(300)와 유사할 수 있고, 주어진 송신 무선 디바이스(110-1-p)(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110-1))를 위해 구현되는 라디오 모듈(112-1, 112-2)의 송신 부분을 나타낸다. 도 7에 표시된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110-1)의 라디오 코디네이터 모듈(118-1)은 미디어 정보의 제1 부분을 미디어 데이터 흐름(770)으로부터 미디어 흐름 경로(706-1)로 그리고 미디어 정보의 제2 부분을 미디어 데이터 흐름(770)으로부터 신호 경로(122-1) 및 라디오 코디네이터 모듈(118-2)을 통해 제어 흐름 경로(706-2)로 스위칭 또는 디멀티플렉싱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각각의 흐름 경로(706-1, 706-2)로 스위칭되는 미디어 정보의 제1 및 제2 부분은 어떠한 소정 방식으로도 할당 또는 분할될 수 있다. 도 7에 표시되는 예시된 실시예에서, 미디어 정보의 제1 및 제2 부분은 다른 미디어 정보 블록(702-1-l)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에서, 홀수의 미디어 정보 블록(702-1, 702-3)은 미디어 흐름 경로(706-1)로 그리고 짝수의 미디어 정보 블록(702-2, 702-4)은 제어 흐름 경로(706-2)로 스위칭된다. 그러나, 어떠한 소정 할당 방식도 라디오 모듈(112-1, 112-2)의 주어진 리소스 이용 수준 및 전반적인 처리량을 최적화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송신 모드에서, 송수신기(114-1)는 미디어 흐름 경로(706-1)로부터 미디어 정보의 제1 부분을 수신할 수 있고, WPAN의 미디어 채널(310)을 위해 할당된 주파수 대역(312)을 이용하여 미디어 정보의 제1 부분을 미디어 흐름 경로(706-1)로부터 수신기에 송신할 수 있다. 제2 송수신기(114-2)는 제어 흐름 경로(706-2)로부터 미디어 정보의 제2 부분을 수신할 수 있고, WLAN의 제어 채널(320)을 위해 할당된 주파수 대역(322)을 이용하여 미디어 정보의 제2 부분을 제어 흐름 경로(706-2)로부터 수신기에 송신할 수 있다.
도 8은 수신기(800)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다. 수신기(800)는 주어진 수신 무선 디바이스(110-1-p)(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110-2))를 위해 구현되는 라디오 모듈(112-1, 112-2)의 수신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수신 모드에서, 무선 디바이스(110-2)의 송수신기(114-1)는 WPAN의 미디어 채널(310)을 위해 할당된 주파수 대역(312)을 통해 무선 디바이스(110-1)의 송수신기(114-1)로부터 미디어 정보의 제1 부분을 수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10-2)의 송수신기(114-2)는 WLAN의 제어 채널(320)을 위해 할당된 주파수 대역(322)을 통해 무선 디바이스(110-1)의 송수신기(114-2)로부터 미디어 정보의 제2 부분을 수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10-2)의 라디오 코디네이터 모듈(118-1)은 무선 디바이스(110-2)의 송수신기(114-1, 114-2)에 결합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10-2)의 라디오 코디네이터 모듈(118-1)은 무선 디바이스(110-2)의 각각의 송수신기(114-1, 114-2)로부터 미디어 정보의 제1 및 제2 부분을 수신하고 미디어 정보의 제1 및 제2 부분을, 송신 데이터 흐름(770)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수신 데이터 흐름(870)으로 결합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향상된 동시 통신 기술은 기존의 WPAN 시스템 또는 WLAN 시스템에 비해 몇가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향상된 동시 통신 기술은 미디어 정보의 통신을 위해 OOB 제어 채널(320)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다른 일례에서, 향상된 동시 통신 기술은 통신 리소스 이용 및 전반적인 통신 처리량을 개선한다. 또 다른 일례에서, 향상된 동시 통신 기술은 현재의 WPAN 환경 및 트래픽 부하와 관련하여 미디어 채널(310) 및 제어 채널(320) 각각을 통해 송신되는 미디어 정보량을 동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라디오 코디네이터 모듈(118-1, 118-2)이 각각의 컨트롤러(116-1, 116-2)에 의해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라디오 코디네이터 모듈(118-1, 118-2)은 무선 디바이스(110-1-p)의 다른 부분에 의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어, 라디오 코디네이터 모듈(118-1, 118-2)이 호스트 프로세서(124)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라디오 조정 동작이 다수의 라디오 코디네이터 모듈(118-1, 118-2)에 의해 구현되지만, 라디오 조정 동작이 컨트롤러(116-1, 116-2) 사이에서 공유되는 단일 라디오 코디네이터 모듈(118)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일부 경우에서는, 다양한 실시예가 제조 제품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제조 제품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로직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또는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또는 저장 매체의 일례로는, 제한없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일례를 들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제조 제품은 범용 프로세서 또는 애플리케이션 특정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에 적합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는 자기 디스크, 광학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또는 펌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서 실시예는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 또는 양자의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구성 요소의 일례로는 로직 디바이스를 위해 앞서 제공된 바와 같은 모든 일례를 들 수 있고, 추가로 마이크로프로세서, 회로, 회로 구성 요소(예를 들어, 트랜지스터, 저항기, 커패시터, 인덕터 등), 집적 회로, 논리 게이트, 레지스터, 반도체 디바이스, 칩, 마이크로칩, 칩셋 등을 들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의 일례로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컴퓨터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 머신 프로그램, OS 소프트웨어, 미들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루틴, 서브루틴, 펑션, 메소드, 프로시저,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명령어 집합, 컴퓨팅 코드, 컴퓨터 코드, 코드 세그먼트, 컴퓨터 코드 세그먼트, 워드, 값, 심볼, 또는 그것에 관한 임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실시예가 하드웨어 구성 요소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이용하여 구현되는지를 판정하는 것은, 소정 구현을 위해 소망되는 바와 같은, 소망되는 연산 속도, 전력 수준, 열 공차(heat tolerances), 처리 사이클 버짓(processing cycle budget), 입력 데이터 속도, 출력 데이터 속도, 메모리 리소스, 데이터 버스 속도, 및 다른 설계 또는 성능 제한과 같은, 임의 갯수의 팩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는 그것의 파생물과 함께 "결합되는" 그리고 "접속되는"이라는 표현을 이용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들 용어가 반드시 서로를 위한 동의어인 것으로 의도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는, 2 이상의 구성 요소가 서로 직접적인 물리적 또는 전기적 접촉 상태에 있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해 "접속되는" 및/또는 "결합되는"이라는 용어를 이용하여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결합되는"이라는 용어는, 2 이상의 구성 요소가 서로 직접적으로 접촉하고 있지는 않지만 서로 상호 작용한다는 것도 의미할 수 있다.
명세서의 요약서는, 독자가 기술 명세서의 특징을 재빨리 확인할 수 있게 할 요약을 요구하는, 37 C.F.R. Section 1.72(b)에 따라 제공된다. 그것이 청구항의 범위 또는 의미를 해석하거나 제한하는 데에 사용되지 않을 것이라는 이해하에서 요약이 제출된다. 또한,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는, 명세서를 능률화할 목적으로 다양한 사양이 단일 실시예로 다같이 그룹화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명세서의 이 방법이, 청구된 실시예가 각각의 청구항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된 것보다 많은 사양을 요구한다는 의도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오히려, 다음 청구항이 반영하는 바와 같이, 발명 주제는 개시된 단일 청구항의 모든 사양보다 적은 것에 존재한다. 그에 따라 다음 청구항은 여기에서, 각각의 청구항이 별도 실시예로서 독립하는 상태로, 상세한 설명에 통합된다. 첨부된 청구항에서, "포함하는" 및 "여기에서(in which)"라는 용어는, 각각, "포함하는" 및 "그 점에서(wherein)"라는 각각의 용어의 평이한 영어 동의어로서 사용된다. 더 나아가,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그것의 개체에 대해 수치적 제한을 부과하려는 것이 아니라 단지 레이블로서 사용된다.
주제는 구조적 사양 및/또는 방법론적 행위에 특유한 언어로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주제가 반드시 앞서 설명된 특정 사양 또는 행위로 제한될 필요는 없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오히려, 앞서 설명된 특정 사양 및 행위는 청구항을 구현하는 예시적 형태로서 개시된다. 청구될 수 있는 것의 일례는 다음을 포함한다.

Claims (30)

  1. 제1 미디어 정보 및 제어 정보를 갖는 제1 송신 데이터 흐름을 수신하고, 상기 제1 미디어 정보를 미디어 흐름 경로로 그리고 상기 제어 정보를 제어 흐름 경로로 스위칭하고, 제2 미디어 정보를 갖는 제2 송신 데이터 흐름을 수신하고, 상기 제2 미디어 정보의 제1 부분을 상기 미디어 흐름 경로로 그리고 상기 제2 미디어 정보의 제2 부분을 상기 제어 흐름 경로로 스위칭하도록 동작하는 라디오 코디네이터 모듈;
    상기 라디오 코디네이터 모듈에 결합되는 제1 송수신기로서,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을 위해 할당된 제1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미디어 정보 및 상기 제2 미디어 정보의 제1 부분을 상기 미디어 흐름 경로로부터 수신기에 송신하도록 동작하는 제1 송수신기; 및
    상기 라디오 코디네이터 모듈에 결합되는 제2 송수신기로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을 위해 할당된 제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 정보 및 상기 제2 미디어 정보의 제2 부분을 상기 제어 흐름 경로로부터 상기 수신기에 송신하고, 상기 WLAN을 위해 할당된 제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현재 통신 프레임 동안 후속 통신 프레임을 위해 지정된 비컨 메시지 및 델타 구간을 상기 제어 정보로서 제어 흐름 경로로부터 상기 수신기에 송신하도록 동작하는 제2 송수신기 - 상기 델타 구간은 상기 비컨 메시지의 송신과 상기 후속 통신 프레임에 대한 시작 시점 사이의 추정 시구간을 나타냄 -
    를 포함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수신기에 결합되는 지향성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지향성 안테나 어레이는 지향성 안테나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미디어 정보를 상기 수신기에 송신하도록 동작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수신기에 결합되는 무지향성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무지향성 안테나 어레이는 무지향성 안테나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상기 수신기에 송신하도록 동작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수신기는 상기 WLAN을 위해 할당된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현재 통신 프레임 동안 현재 또는 후속 통신 프레임을 위한 제어 정보를 상기 제어 흐름 경로로부터 상기 수신기에 송신하도록 동작하는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수신기에 결합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대역폭 예약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대역폭 예약 요청에 응답하여 채널 스케줄을 생성하도록 동작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수신기는 대역폭 예약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WLAN을 위해 할당된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현재 후속 통신 프레임을 위해 지정된 업데이트된 채널 스케줄을 상기 제어 정보로서 상기 제어 흐름 경로로부터 상기 수신기에 송신하도록 동작하는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수신기는 상기 WPAN을 위해 할당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미디어 정보의 제1 부분을 상기 미디어 흐름 경로로부터 상기 수신기에 송신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제2 송수신기는 상기 WLAN을 위해 할당된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미디어 정보의 제2 부분을 상기 제어 흐름 경로로부터 상기 수신기에 송신하도록 동작하는 장치.
  10. 적어도 제2 무선 디바이스와 피코넷(piconet)을 확립하도록 동작하는 피코넷 코디네이터를 갖는 제1 무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공동 배치된 다수의 송신 라디오 모듈을 갖는 제1 무선 디바이스는,
    제1 미디어 정보 및 제어 정보를 갖는 제1 송신 데이터 흐름을 수신하여, 상기 제1 미디어 정보를 미디어 흐름 경로로 그리고 상기 제어 정보를 제어 흐름 경로로 스위칭하도록 동작하는 제1 라디오 코디네이터 모듈;
    상기 라디오 코디네이터 모듈에 결합되는 제1 송수신기로서, WPAN을 위해 할당된 제1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미디어 정보를 상기 미디어 흐름 경로로부터 수신기에 송신하도록 동작하는 제1 송수신기; 및
    상기 라디오 코디네이터 모듈에 결합되는 제2 송수신기로서, WLAN을 위해 할당된 제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제어 정보를 상기 제어 흐름 경로로부터 상기 수신기에 송신하고, 상기 WLAN을 위해 할당된 제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현재 통신 프레임 동안 후속 통신 프레임을 위해 지정된 비컨 메시지 및 델타 구간을 상기 제어 정보로서 상기 제어 흐름 경로로부터 상기 수신기에 송신하도록 동작하는 제2 송수신기 - 상기 델타 구간은 상기 비컨 메시지의 송신과 상기 후속 통신 프레임에 대한 시작 시점 사이의 추정 시구간을 나타냄 -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송수신기는 제2 미디어 정보를 갖는 제2 송신 데이터 흐름을 수신하고 상기 WPAN을 위해 할당된 제1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미디어 정보의 제1 부분을 상기 미디어 흐름 경로로부터 상기 수신기에 송신하고, 상기 제2 송수신기는 상기 WLAN을 위해 할당된 제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미디어 정보의 제2 부분을 상기 제어 흐름 경로로부터 상기 수신기에 송신하도록 동작하는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수신기에 결합되는 지향성 안테나 어레이로서, 지향성 안테나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미디어 정보를 상기 수신기에 송신하도록 동작하는 지향성 안테나 어레이, 및 상기 제2 송수신기에 결합되는 무지향성 안테나 어레이로서, 무지향성 안테나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상기 수신기에 송신하도록 동작하는 무지향성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수신기는 대역폭 예약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WLAN을 위해 할당된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현재 통신 프레임을 위해 지정된 채널 스케줄을 상기 제어 정보로서 상기 제어 흐름 경로로부터 상기 수신기에 송신하도록 동작하는 시스템.
  14. 삭제
  15. 제10항에 있어서,
    공동 배치된 다수의 수신 라디오 모듈을 갖는 제2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WPAN을 위해 할당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제1 송수신기로부터 상기 제2 미디어 정보의 제1 부분을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제3 송수신기;
    상기 WLAN을 위해 할당된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제2 송수신기로부터 상기 제2 미디어 정보의 제2 부분을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제4 송수신기; 및
    상기 제3 송수신기 및 상기 제4 송수신기에 결합되는 제2 라디오 코디네이터 모듈로서, 각각의 제3 및 제4 송수신기로부터 상기 제2 미디어 정보의 제1 및 제2 부분을 수신하여, 상기 제2 미디어 정보의 제1 및 제2 부분을 제2 수신 데이터 흐름으로 결합하도록 동작하는 제2 라디오 코디네이터 모듈을 포함하는 시스템.
  16. 제1 미디어 정보 및 제어 정보를 갖는 제1 송신 데이터 흐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미디어 정보를 미디어 흐름 경로로 그리고 상기 제어 정보를 제어 흐름 경로로 스위칭하는 단계;
    WPAN을 위해 할당된 제1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미디어 정보를 상기 미디어 흐름 경로로부터 수신기에 그리고 WLAN을 위해 할당된 제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상기 제어 흐름 경로로부터 상기 수신기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WLAN을 위해 할당된 제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현재 통신 프레임 동안 후속 통신 프레임을 위해 지정된 비컨 메시지 및 델타 구간을 상기 제어 정보로서 상기 제어 흐름 경로로부터 상기 수신기에 송신하는 단계 - 상기 델타 구간은 상기 비컨 메시지의 송신과 상기 후속 통신 프레임에 대한 시작 시점 사이의 추정 시구간을 나타냄 -;
    제2 미디어 정보를 갖는 제2 송신 데이터 흐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미디어 정보의 제1 부분을 상기 미디어 흐름 경로로 그리고 상기 제2 미디어 정보의 제2 부분을 상기 제어 흐름 경로로 스위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지향성 안테나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미디어 정보를 상기 수신기에 그리고 무지향성 안테나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상기 수신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WLAN을 위해 할당된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현재 통신 프레임 동안 현재 또는 후속 통신 프레임을 위한 제어 정보를 상기 제어 흐름 경로로부터 상기 수신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삭제
  20. 제16항에 있어서,
    대역폭 예약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WLAN을 위해 할당된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현재 통신 프레임을 위해 지정된 채널 스케줄을 상기 제어 정보로서 상기 제어 흐름 경로로부터 상기 수신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1. 삭제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WPAN을 위해 할당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미디어 정보의 제1 부분을 상기 미디어 흐름 경로로부터 상기 수신기에 그리고 상기 WLAN을 위해 할당된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미디어 정보의 제2 부분을 상기 미디어 흐름 경로로부터 상기 수신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WPAN을 위해 할당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미디어 정보의 제1 부분을 그리고 상기 WLAN을 위해 할당된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미디어 정보의 제2 부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미디어 정보의 제1 및 제2 부분을 결합하여 상기 제2 송신 데이터 흐름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제2 수신 데이터 흐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4.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제1 미디어 정보 및 제어 정보를 갖는 제1 송신 데이터 흐름을 수신하고;
    상기 제1 미디어 정보를 미디어 흐름 경로로 그리고 상기 제어 정보를 제어 흐름 경로로 디멀티플렉싱하고;
    WPAN을 위해 할당된 제1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미디어 정보를 상기 미디어 흐름 경로로부터 수신기에 그리고 WLAN을 위해 할당된 제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상기 제어 흐름 경로로부터 상기 수신기에 송신하고,
    상기 WLAN을 위해 할당된 제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현재 통신 프레임 동안 후속 통신 프레임을 위해 지정된 비컨 메시지 및 델타 구간을 상기 제어 정보로서 상기 제어 흐름 경로로부터 상기 수신기에 송신하고 - 상기 델타 구간은 상기 비컨 메시지의 송신과 상기 후속 통신 프레임에 대한 시작 시점 사이의 추정 시구간을 나타냄 -,
    제2 미디어 정보를 갖는 제2 송신 데이터 흐름을 수신하고,
    상기 제2 미디어 정보의 제1 부분을 상기 미디어 흐름 경로로 그리고 상기 제2 미디어 정보의 제2 부분을 상기 제어 흐름 경로로 스위칭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5. 제24항에 있어서,
    지향성 안테나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미디어 정보를 상기 수신기에 그리고 무지향성 안테나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상기 수신기에 송신할 수 있게 하는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WLAN을 위해 할당된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현재 통신 프레임 동안 후속 통신 프레임을 위한 제어 정보를 상기 제어 흐름 경로로부터 상기 수신기에 송신할 수 있게 하는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7. 삭제
  28. 제24항에 있어서,
    대역폭 예약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WLAN을 위해 할당된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현재 통신 프레임을 위해 지정된 채널 스케줄을 상기 제어 정보로서 상기 제어 흐름 경로로부터 상기 수신기에 송신할 수 있게 하는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9. 삭제
  30.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WPAN을 위해 할당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미디어 정보의 제1 부분을 상기 미디어 흐름 경로로부터 상기 수신기에 그리고 상기 WLAN을 위해 할당된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미디어 정보의 제2 부분을 상기 미디어 흐름 경로로부터 상기 수신기에 송신할 수 있게 하는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107016919A 2007-12-28 2008-12-01 Wpan을 제어하는 기술 KR1011590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966,054 2007-12-28
US11/966,054 US8594050B2 (en) 2007-12-28 2007-12-28 Techniques to control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PCT/US2008/085106 WO2009085527A1 (en) 2007-12-28 2008-12-01 Techniques to control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545A KR20100106545A (ko) 2010-10-01
KR101159004B1 true KR101159004B1 (ko) 2012-07-13

Family

ID=40798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6919A KR101159004B1 (ko) 2007-12-28 2008-12-01 Wpan을 제어하는 기술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94050B2 (ko)
EP (1) EP2235999A4 (ko)
JP (1) JP5248626B2 (ko)
KR (1) KR101159004B1 (ko)
CN (1) CN101911820A (ko)
WO (1) WO20090855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69959B2 (en) 2007-05-31 2013-02-05 Cochlear Limited Implantable medical device with integrated antenna system
US8369388B2 (en) * 2007-06-15 2013-02-05 Broadcom Corporation Single-chip wireless tranceiver
US20080310336A1 (en) 2007-06-15 2008-12-18 Broadcom Corporation Dynamic receiver filter adjustment across preamble and information payload
US8520629B2 (en) * 2007-11-13 2013-08-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iconet coordinator handover i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US8594050B2 (en) 2007-12-28 2013-11-26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to control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US9060046B2 (en) * 2008-02-18 2015-06-16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media data between devices
WO2010043983A2 (en) 2008-07-02 2010-04-22 Belair Networks Inc. High performance mobility network with autoconfiguration
US9106617B2 (en) * 2009-03-10 2015-08-1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authenticating computer processing devices and transferring both encrypted and unencrypted data therebetween
US20100238360A1 (en) * 2009-03-19 2010-09-23 Chien-Chung Lee Radio tuning device through a cable
US8773969B1 (en) 2009-03-24 2014-07-08 Marvell International Ltd. Multi-radio device for WLAN
US10411846B1 (en) 2009-03-24 2019-09-10 Marvell International Ltd. Multi-radio device for WLAN
US8190200B2 (en) 2009-04-03 2012-05-29 Researc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cheduling radios on a mobile device
US9130605B2 (en) * 2009-07-09 2015-09-08 Mediatek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existence between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s modules sharing single antenna
US20110038356A1 (en) * 2009-08-13 2011-02-17 Yuval Bachrach VBR interference mitigation in an mmwave network
JP5699151B2 (ja) * 2009-09-24 2015-04-08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無線通信を容易にする方法、無線信号リピータ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移動局装置
US8767536B2 (en) 2009-11-06 2014-07-01 Intel Corporation Multi-radio communication between wireless devices
DK2540107T3 (da) * 2010-02-24 2020-03-0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Fremgangsmåde og anordning for netværkstilknytning ved brug af et radiofyr
JP2011223135A (ja) * 2010-04-06 2011-11-04 Sony Corp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並びに通信システム
US8781447B2 (en) * 2010-09-24 2014-07-15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to wirelessly transmit data
US8830837B2 (en) * 2010-12-17 2014-09-09 Cisco Technology, Inc. Dynamic synchronized scheduling in a computer network
US20120178380A1 (en) * 2011-01-07 2012-07-12 Microsoft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Techniques
US9204489B2 (en) 2011-02-02 2015-12-01 Intel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of communication over multiple frequency bands
US9301272B2 (en) * 2011-09-07 2016-03-29 Lg Electronics Inc.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for providing services or activities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9042825B2 (en) * 2011-09-15 2015-05-26 Marvell World Trade Ltd. Wireless coexistence through antenna switching
PT2574092E (pt) * 2011-09-21 2014-01-29 Kapsch Trafficcom Ag Epirb e método para seleção de formas de comunicação de acordo com as normas dsrc para 5,8-ghz e 5,9-ghz
US9031255B2 (en) 2012-06-15 2015-05-12 Sonos, Inc. Systems, methods, apparatu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to provide low-latency audio
CN103856993B (zh) 2012-12-06 2016-08-3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无线通信方法和装置
KR102141389B1 (ko) * 2013-01-29 2020-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무선 접속 기술 기반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링크 제어 상태 보고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455717B1 (ko) * 2013-03-14 2014-11-03 국방과학연구소 Wpan 및 wlan의 복합형 네트워크 환경에서 wpan 장치들의 효율적인 네트워크 형성 방법
KR101389117B1 (ko) * 2013-05-31 2014-04-29 한국과학기술원 비가시거리 조건에서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 방법
US10182092B2 (en) * 2013-09-30 2019-01-15 Huawei Device (Shenzhen) Co., Ltd. Media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US9497799B2 (en) * 2013-10-04 2016-11-15 Mediatek Inc. Method for controlling RF signal processing components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utilizing the same
CN105814512B (zh) * 2013-12-20 2020-04-14 皇家飞利浦有限公司 无线对接系统
CN104980918B (zh) * 2014-04-04 2019-09-17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信标数据传输、基于信标提供服务的方法及装置
US9729175B2 (en) * 2014-05-08 2017-08-08 Intel IP Corporation Techniques to manage radio frequency chains
EP3175674B1 (en) * 2014-07-28 2019-07-03 Celeno Communications (Israel) Ltd. Concurrent dual-band wlan device using mcm
JPWO2017006528A1 (ja) 2015-07-07 2018-04-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送信端末および受信端末
CN110621085B (zh) 2018-06-19 2021-10-1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数据传输方法及相关产品
CN108834152A (zh) * 2018-06-26 2018-11-16 河南孚点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路由器的WiFi控制方法
CN110825997B (zh) * 2018-08-09 2023-06-16 阿里巴巴(中国)有限公司 信息流页面的显示方法、装置、终端设备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62759A1 (en) * 2005-05-23 2006-11-23 Microsoft Corporation Separating control and data in wireless networks
US20070099668A1 (en) * 2005-10-26 2007-05-03 Sadri Ali S Communication within a wireless network using multiple frequency band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8853B2 (ja) 1993-12-16 2003-05-19 アサヒゴム株式会社 水性エマルジョン系塗料
GB0004919D0 (en) * 2000-03-02 2000-04-19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d-hoc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6907044B1 (en) * 2000-08-04 2005-06-14 Intellon Corporation Method and protocol to support contention-free intervals and QoS in a CSMA network
AU8879601A (en) * 2000-09-07 2002-03-22 A2Q Inc Method and system for high speed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JP3515079B2 (ja) * 2001-03-06 2004-04-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通信端末収容装置
CN1462527A (zh) 2001-05-08 2003-12-17 索尼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控制站、通信设备、通信控制方法、无线通信方法和通信控制程序
ES2254301T3 (es) * 2001-10-08 2006-06-16 Siemens Aktiengesellschaft Asignacion de canal de datos de control y datos utiles en sistemas de comunicacion inalambricos.
US6795421B1 (en) * 2002-02-12 2004-09-21 Nokia Corporation Short-range RF access point design enabling services to master and slave mobile devices
JP3629259B2 (ja) 2002-09-30 2005-03-16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端末とその制御ユニット及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TWI241781B (en) * 2004-06-08 2005-10-11 Lite On Technology Corp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and method thereof and wireless data processing device peripheral input device using the module/method
US20060067263A1 (en) * 2004-09-30 2006-03-30 Qinghua Li Techniques to manage multiple receivers
JP4715300B2 (ja) * 2005-05-20 2011-07-06 日本電気株式会社 遠隔制御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遠隔制御装置ならびに制御対象機器
JP4416704B2 (ja) 2005-07-01 2010-02-17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伝送システム
KR101152932B1 (ko) 2005-09-12 2012-06-08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무선 채널 예약을 통한 무선 로컬 통신망(wlan)과 무선개인영역 통신망(wpan)의 무선 채널 공존 시스템 및그 방법
US20070076649A1 (en) * 2005-09-30 2007-04-05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heterogeneous radio cooperation
US20070076672A1 (en) * 2005-09-30 2007-04-05 Roberto Gautier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d-hoc membership in wireless networks to improve battery life
JP2007166094A (ja) * 2005-12-12 2007-06-28 Nec Corp 無線通信装置および方法
CN101421981B (zh) 2006-03-15 2013-11-2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用于自组织网络的分布式无线媒体访问控制协议
JP2007251655A (ja) 2006-03-16 2007-09-27 Canon Inc 帯域予約型通信サービス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ー方法
CN101513100A (zh) * 2006-08-31 2009-08-19 Lg电子株式会社 无线网络中的通信方法
US8687804B2 (en) * 2006-11-01 2014-04-01 Microsoft Corporation Separating control and data operations to support secured data transfers
EP2123077B1 (en) * 2007-01-16 2015-11-18 Koninklijke Philips N.V. Communicating between devices with directional antennas
US8509159B2 (en) * 2007-01-19 2013-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out-of-band channels
US8594050B2 (en) 2007-12-28 2013-11-26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to control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62759A1 (en) * 2005-05-23 2006-11-23 Microsoft Corporation Separating control and data in wireless networks
US20070099668A1 (en) * 2005-10-26 2007-05-03 Sadri Ali S Communication within a wireless network using multiple frequency ba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35999A4 (en) 2014-04-09
US20090168650A1 (en) 2009-07-02
JP2011509022A (ja) 2011-03-17
CN101911820A (zh) 2010-12-08
JP5248626B2 (ja) 2013-07-31
WO2009085527A1 (en) 2009-07-09
EP2235999A1 (en) 2010-10-06
US8594050B2 (en) 2013-11-26
KR20100106545A (ko) 201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9004B1 (ko) Wpan을 제어하는 기술
US10686638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o communicate using different beamwidths
JP5410611B2 (ja) Mmwave無線システムでの設定可能なコンテンション期間
US20220287105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 receiving data from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CN102428740B (zh) 用于异类无线网络的多无线电协调的设备和方法
CN108810997B (zh) 用于毫米波系统中的动态带宽管理的方法和系统
CN108809370B (zh) 用于使用无线网络中的多个频带进行通信的系统
US9692459B2 (en) Using multiple frequency bands with beamforming assistance in a wireless network
CN105898853B (zh) 无线通信系统及控制多个无线通信站的无线通讯的方法
US201200575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ulti-band wifi
CN111133825A (zh) 用于无线传输的增强型时间敏感网络协调
Reshef et al. Future directions for Wi-Fi 8 and beyond
US820399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methods, and data structure
JP2014180055A (ja) 無線パーソナ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での動的帯域予約を可能にする技術
KR20220143707A (ko) 데이터 버퍼 상태를 판정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0110619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wireless medium resource
WO2022228400A1 (zh) Emlsr模式下信标帧传输方法及相关装置
US20230028874A1 (en) Ultra-low latency (ull) communications using a dedicated resource unit (ru)
US20220400503A1 (en) Communication of asynchronous ultra-low latency transmissions within a synchronized transmission opportunity (s-txop)
Bazan et al. Enhanced MAC for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
CN115942335A (zh) 一种通信方法及通信装置
KR20120023481A (ko) 멀티밴드 WiFi 제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