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9117B1 - 비가시거리 조건에서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비가시거리 조건에서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9117B1
KR101389117B1 KR1020130062464A KR20130062464A KR101389117B1 KR 101389117 B1 KR101389117 B1 KR 101389117B1 KR 1020130062464 A KR1020130062464 A KR 1020130062464A KR 20130062464 A KR20130062464 A KR 20130062464A KR 101389117 B1 KR101389117 B1 KR 101389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baseband signal
display device
diversity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2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인열
박철순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30062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9117B1/ko
Priority to US14/081,183 priority patent/US923729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가시거리 조건에서 송신기로부터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에 장착되고, 서로 다른 경로를 갖는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여 복수의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복수의 베이스밴드 신호의 출력 전력을 감지하는 복수의 다이버시티 보드, 상기 복수의 다이버시티 보드가 감지한 신호로부터 최대 출력 특성의 베이스밴드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다이버시티 보드가 변환한 베이스 밴드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영상 변환부에 출력하는 선택부 및 상기 선택부의 출력을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가시거리 조건에서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비가시거리 조건에서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 방법{Display apparatus of receiving millimeter wave or terahertz wave under non line of sight conditions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비가시거리(non line of sight: NLOS) 조건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비가시거리 무선 전송을 지원하지만 전력 소모가 많은 빔포밍 방식의 단점을 극복하여 적은 전력 소모와 끊어짐이 없는 데이터 통신과 회로 면적 감소와 제품을 소형화시킬 수 있는 비가시거리 조건에서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은 보다 많은 전송 용량이 요구되면서 과거의 아날로그 시스템에서 현재의 디지털 시스템으로 빠르게 발전하였다. 이동통신 시스템은 점차 고품질 및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공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스마트폰 기술이 발달하면서 프로젝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스마트폰과 디스플레이를 직접 접속시켜 시연이나 프리젠테이션을 편리하게 하는 기술이 등장하였는데, 이러한 근거리 대용량, 고속전송은 밀리미터파나 테라헤르츠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이동통신 환경은 유선 환경과 달리 페이딩, 음영효과, 전파 감쇠, 시변 잡음 및 간섭 등에 의해 낮은 신뢰도를 나타낸다. 이동통신 시스템의 성능과 용량은 셀 혹은 섹터에서 발생되는 간섭신호, 다중경로 페이딩 및 도플러와 같은 무선 채널 특성에 의해 제한된다. 이러한 성능 저하 요소에 대응하여 전체 시스템 성능 및 용량을 늘릴 수 있는 기술이 다중안테나기술이다.
다중안테나기술은 크게 빔포밍 기술, 다이버시티 기술 및 다중입출력(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이하 "MIMO"라 함)으로 분류할 수 있다. 빔포밍 기술은 각 안테나별로 위상정보를 조정하여 기지국과 사용자의 위치 각도에 따라 신호세기를 조절하여 주변의 간섭을 제거하여 성능을 높이는 것이고, 다이버시티 기술은 안테나간의 신호를 서로 독립적으로 만들어 주기 위해 안테나간에 어느 정도 거리를 두어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이다. 전송 데이터가 각 안테나별로 동일한가 그렇지 않은가에 따라 두 가지로 구분하면, 빔포밍 기술과 다이버시티 기술은 안테나별로 전송 데이터가 동일한 것에 속하고 MIMO는 그렇지 않은 것에 속한다.
이동 통신시스템의 성능은 크게 두 가지로 표현될 수 있다. 하나는 최대전송속도이고 다른 하나는 용량이다. 빔포밍과 다이버시티 기술은 용량을 증대시키는 기술이라고 볼 수 있다. 이때 요구되는 SNR(signal to noise ratio)이 개선됨으로써 성능이 향상되어 용량이 증대되는 것인데, SNR 개선으로 고계(higher order) 변조방식(예, 16QAM, 64QAM)을 수용가능하므로 전송속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빔포밍(beam-forming)은 스마트 안테나(smart antenna)의 한 방식으로 안테나의 빔이 해당 단말기에게만 국한되어 전송하는 기술이다. 빔포밍은 다수의 안테나를 이용하고, 각 안테나의 위상 및 진폭을 제어함으로써 요구되는 방향으로만 안테나 패턴을 지향시켜 신호 품질을 개선하는 기술이다.
다수의 안테나를 송신기와 수신기에 둘 다 구현한 경우가 MIMO 방식이다. MIMO는 기지국과 휴대 단말기의 안테나를 2개 이상으로 늘려 데이터를 여러 경로로 전송하고 수신단에서 각각의 경로로 수신된 신호를 검출해 간섭을 줄이고 전송 속도를 낮출 수 있는 기술이다. 기존 무선랜은 안테나가 2개임에도 유선망과 무선망을 연결시켜주는 AP(access point)의 방향에 따라 하나의 안테나만 이용했지만, MIMO는 두 개의 안테나가 동시에 동작하도록 해 고속의 데이터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N개의 송신안테나에 동일시간에 동일 주파수를 사용하여 독립적인 신호를 전송한다. 이렇게 송신된 신호들은 무선 채널상에서 공간적으로 다른 페이딩(수신되는 전파가 지나온 매질의 변화에 따라 그 수신전파의 강도가 급격하게 변동되는 현상)을 겪게 되어 각 안테나로 수신되는 신호 간에는 비상관성을 갖게 된다. 송신안테나마다 다른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기존보다 송신안테나 수(N개)만큼 더 많은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에 따른 빔포밍 기술을 적용한 송수신기는 송신기와 수신기를 어레이 구조로 구성하여 여러 RF 경로를 만들어 각 경로에 대해 위상을 제어하고 장애물을 회피하여 전파가 수신기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빔포밍 기술은 송수신기 신호 경로(밀리미터파 경로, 국부발진기 신호 경로, 베이스밴드(Baseband) 신호 경로 등)에 여러 경로를 두어 각 신호 경로의 위상을 제어하여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또는 수신되는 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빔포밍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신호의 경로가 다수의 경로를 갖는 어레이 구조여야 하며, 이에 따른 송수신기의 크기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빔포밍 방식에 의한 수신기는 밀리미터파를 여러 경로로 두고, 각 경로의 위상을 바꿀 수 있도록 각 경로마다 지연시간이 다른 지연(delay) 소자를 포함한다. 이러한 어레이화된 수신기를 통해 여러 방향으로 안테나 빔 패턴을 바꾸어 수신할 수 있어서 송수신 중간에 장벽을 회피하여 밀리미터파 통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빔포밍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신호 경로가 다수개 이기 때문에 전력소모가 크고, 송수신기의 크기도 커진다. N 개의 경로를 갖는다면 일반적인 송신기 또는 수신기(단일 경로의 송신기 수신기) 보다는 N 배의 전력소모가 발생하며, 제품의 크기도 어레이 수에 비례하여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밀리미터파는 직진성을 갖고 있어 가시거리 통신에 사용하고 있으나 비가시거리 조건의 통신에 사용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빔포밍 기술을 활용하고 있으나, 도 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신호 경로의 어레이 구조로 인해서 전력소모가 크게 발생하고, 크기가 커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기술이 발달하면서 스마트폰을 통해 고화질 동영상을 무선 전송받고 있으며, 대용량의 고화질 동영상을 무압축으로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해 밀리미터파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빔포밍 기술은 전력소모가 크며, 크기가 비대하여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현하기가 쉽지 않다.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도 고속으로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밀리미터파를 사용할 때 장애가 발생하는 비가시거리 통신환경에서도 통신이 가능한 기술이 요구된다.
종래의 기술로 특허문헌 1에 다중 안테나와 빔 포밍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에 관한 기술로서, 방사각에 관계없이 일정한 빔폭을 지원하여 각도퍼짐에 의한 전력손실을 막는 반면, 송신 단말기에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해야하므로 소형화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1. 한국공개특허 제2010-0092125호(2012년 03월 28일 공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 대형 디스플레이간 밀리미터파 통신 시 빔포밍의 단점을 극복하여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고화질 동영상을 비가시거리 조건의 통신까지 지원하는 끊어짐이 없는 데이터 통신과 적은 회로 면적과 적은 전력 소모와 제품의 소형화를 구현한 비가시거리 조건에서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비가시거리 조건에서 송신기로부터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에 장착되고, 서로 다른 경로를 갖는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여 복수의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복수의 베이스밴드 신호의 출력 전력을 감지하는 복수의 다이버시티 보드, 상기 복수의 다이버시티 보드가 감지한 신호로부터 최대 출력 특성의 베이스밴드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다이버시티 보드가 변환한 베이스 밴드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영상 변환부에 출력하는 선택부 및 상기 선택부의 출력을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복수의 다이버시티 보드는, 각 다이버시티 보드마다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하는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와 상기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의 출력 전력을 감지하는 전력 디텍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다이버시티 보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에 장착된 안테나를 통해 수신한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하는 상기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 상기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의 출력을 전력 디텍터와 상기 선택부로 출력하는 결합기 및 상기 결합기의 출력 전력으로부터 비가시거리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상기 전력 디텍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비가시거리 조건에서 송신기로부터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송신기로부터 비가시거리 조건에서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에 장착되고, 서로 다른 경로를 갖는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여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하는 복수의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 및 상기 복수의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의 출력을 비교하여 최대 베이스밴드 출력을 제공하는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의 출력을 선택하고, 상기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의 출력을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메인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복수의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는 안테나로부터 수신한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의 파장의 10λ ~ 20λ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메인보드는, 상기 복수의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의 출력들을 감지하여 최대 출력을 제공하는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복수의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의 출력 중 상기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의 출력을 선택하여 신호 처리부로 전송하는 선택부 및 상기 선택부의 출력으로부터 연결된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의 출력 전력을 감지한 결과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선택부의 출력을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선택부의 출력을 전력 디텍터와 직병렬변환기로 출력하는 결합기, 상기 결합기의 제1 출력의 전력을 감지하는 상기 전력 디텍터 및 상기 결합기의 제2 출력을 병렬 신호로 변환하는 상기 직병렬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직병렬변환기로부터의 출력을 디스플레이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는 LCD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는 상기 송신기로부터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가 수신한 신호를 증폭시키는 저잡음증폭부 및 상기 저잡음증폭부의 출력과 발진 신호를 믹싱하여 베이스 신호를 출력하는 믹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의한 비가시거리 조건에서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에 장착된 복수의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가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여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하고, 복수의 전력 디텍터는 상기 복수의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의 출력전력 레벨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전송받은 신호로부터 최대 신호 레벨을 출력하는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를 설정하여 선택부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선택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 중 최대 출력의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의 출력을 선택하여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최대 출력의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의 수신 동작 중에 비가시거리 상태가 발생하면 상기 복수의 전력 디텍터에서 감지된 신호가 상기 제어부에 전송되고, 상기 제어부는 최대 신호 레벨을 출력하는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를 재설정하여 상기 선택부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의한 비가시거리 조건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는 수신기가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송수신 시스템은 단일 송신기와 상기 송신기가 변조한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송신하는 무지향성 안테나로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장착된 복수의 다이버시티 보드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다이버시티 보드마다 전력 디텍터를 구비하여 수신한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시의 출력 전력으로부터 비가시거리 조건의 신호 또는 최대 출력 신호를 감지하여, 최대 출력 전력을 획득한 다이버시티 보드의 출력을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본 발명으로 인한 대용량 무선통신 방식은 빔포밍의 단점을 극복하고, 전력소모가 적고 소형화가 가능하며 다이버시티의 연산량이 감소되므로 회로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밀리미터파 주파수가 아닌 베이스밴드(baseband) 신호 대역에서 다이버시티를 구현함으로써 대형 디스플레이 내에서 신호 전달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모든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와 전력 디텍터를 항상 켜 놓음(turn on)으로써 빠른 신호 절체가 가능하여 끊김없는 고용량 영상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비가시거리 조건이 빈번히 발생하더라도 끊김없이 데이터를 수신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비가시거리 환경에서도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고용량의 데이터를 데이터 손실 없이 전송한다.
본 발명을 사용하면 종래의 빔포밍 기술에 비해 이동통신 단말기를 어레이 구조가 아닌 단일 송신기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회로의 복잡도를 낮추고 면적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고 소형화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현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빔포밍 방식의 송수신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비가시거리 조건에서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가시거리 조건에서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세 구성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의 상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가시거리 조건에서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세 구성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비가시거리 조건에서 수신한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비가시거리 조건에서 수신한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예시된 도면은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핵심적인 내용만 확대 도시하고 부수적인 것은 생략하였으므로 도면에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비가시거리(non line of sight) 조건에서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1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2) 내지 제4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5), 선택부(6), 제어부(9) 및 신호 처리부(17)로 구성된 메인보드(12)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 처리부(27)는 결합기(7), 전력 디텍터(8), 직병렬변환기(10) 및 LCD 인터페이스(11)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2) 내지 제4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5)는 서로 다른 경로에 의해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여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복수의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2,3,4,5)는 파장 길이의 소정 정수배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의 가장자리, 베젤(bezel)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2,3,4,5)는 수신한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의 10λ ~ 20λ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2,3,4,5)는 각각의 안테나로부터 수신한 신호들이 서로 다른 위상 변화를 겪기 때문에 서로에 대해 낮은 상관성을 가지게 되어 결국 두 신호가 다중경로 페이딩(fading)에 상호 독립적이게 되어, 한 신호가 깊은 페이딩에 빠지더라도 다른 신호는 페이딩에 빠질 확률이 적게 된다. 이로 인해 전송 시 신호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동통신에서 사용되었던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는 안테나로부터의 신호를 스위칭하는 다이버시티 기술이 아닌 통신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 베이스밴드(Baseband) 신호를 선택부(6)에서 스위칭하는 방법으로 다이버시티 기술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한 발명이다. 특히, 영상 콘텐츠와 같은 대용량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송신받기 때문에 상기 복수의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2,3,4,5)는 항상 턴 온(turn on)시킴으로써 비가시거리 발생 시 즉각적으로 최대 출력을 제공하는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복수의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턴 온(turn on) 상태이면 항상 턴 온 상태여도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소모되는 전력으로는 극히 작으므로 현재 연결된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에서 비가시거리 조건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가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으므로 즉시 다른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로 연결하여 정상적인 데이터를 수신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그리고 다이버시티 기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1)의 4개의 모서리에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2,3,4,5)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리미터파 다이버시티 기술을 대형 디스플레이에 적용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어레이 구조가 아닌 단일 송신기로도 비가시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어서 저 전력 소모, 작은 크기 및 적은 연산 수행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므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쉽게 비가시거리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더구나 밀리미터파로 갈수록 파장이 짧아지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에 다이버시티를 구현 시 페이딩이 감소될 수 있게 된다.
각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는 도 4를 참조하면, 안테나(13), 저잡음증폭기(14), 발진기(15) 및 믹서(16)를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13)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고, 상기 저잡음증폭기(14)는 상기 안테나(13)가 수신한 신호를 증폭시킨다. 상기 믹서(16)는 상기 저잡음증폭기(14)의 출력과 발진 신호를 믹싱하여 베이스밴드 신호를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밀리미터파 대역과 같이 파장 거리가 짧아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간의 이격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통신에 적용하면 비가시거리 조건이 발생할 때도 밀리미터파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는 약 4 x 10 mm 이내의 크기로 안테나와 수신기가 하나의 칩으로 일체화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메인보드(12)는 상기 복수의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2,3,4,5)의 출력을 비교하여 최대 베이스밴드 출력을 제공하는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의 출력을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메인보드(12)는 제어부(9), 선택부(6) 및 신호 처리부(27)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9)는 상기 복수의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2,3,4,5)의 출력들을 감지하여 최대 출력을 제공하는 제1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2)를 선택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ctrl1)를 출력하고, 직병렬변환기(10)에 제2 제어신호(ctrl2)를 출력하여 병렬 처리 개수를 제어하며, LCD 인터페이스(11)에 제3 제어신호(ctrl3)를 출력하여 영상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조건을 설정한다.
상기 선택부(6)는 상기 제1 제어 신호(ctrl1)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2,3,4,5) 중 상기 제1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2)의 출력을 선택하여 신호 처리부(17)로 전송한다. 상기 선택부(6)는 스위칭 소자 또는 스위치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처리부(27)는 상기 선택부(6)의 출력으로부터 연결된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의 출력 전력을 감지한 결과를 상기 제어부(9)로 전송하고, 상기 선택부(6)의 출력을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로 전송한다. 상기 신호 처리부(27)는 결합기(7), 전력 디텍터(8), 직병렬변환기(10) 및 LCD 인터페이스(11)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기(7)는 상기 선택부(6)의 제1 출력을 전력 디텍터(8)로 출력하며, 상기 선택부(6)의 제2 출력을 직병렬변환기(10)로 출력한다. 상기 결합기(7)는 선택부(6)의 출력에 대해 2개의 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결합기(7)는 고주파 출력신호 간의 영향을 피하기 위해 출력 신호의 방향성을 유도하는 부품으로써 방향성 결합기(directional coupler), 컴바이너(combiner) 또는 써큘레이터(circulator)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전력 디텍터(8)는 상기 결합기(7)의 제1 출력의 전력을 감지한다. 즉, 상기 복수의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들(2,3,4,5)의 출력들이 상기 선택부(6)에 의해 상기 결합기(7)로 인가되므로, 상기 복수의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들(2,3,4,5)의 출력 전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9)로 전송한다.
상기 직병렬변환기(10)는 상기 결합기(7)의 제2 출력을 병렬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상기 직병렬변환기(10) 대신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analog digital converter)를 사용하여 R, G, B 영상 신호, YCbCr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시킨다.
상기 LCD 인터페이스(11)는 상기 직병렬변환기(10)로부터의 출력인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를 디스플레이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에 출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는 LCD 인터페이스(11)의 출력인 각각 R, G, B 영상 신호를 구동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가시거리 조건에서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로서, 제1 다이버시티 보드(23) 내지 제4 다이버시티 보드(26), 제어부(9), 선택부(6) 및 영상 변환부(28)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다이버시티 보드(23, 24, 25, 26)는 각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2,3,4,5)와 각각의 결합기(29,27,29,21)와 전력 디텍터(30,18,20,22)를 구비하여, 전력 디텍터(30,18,20,22)의 감지 신호에 따라 제어부(9)가 최대 출력 특성의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를 선택하도록 하고, 각 결합기(29,27,29,21)의 출력인 베이스 밴드 신호를 선택부(6)에서 선택하여 직병렬 변환기(10)로 전송한다. 상기 제1 다이버시티 보드(23) 내지 제4 다이버시티 보드(26)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의 베젤에 장착되어, 수신한 신호끼리 페이딩 발생이 없는 서로 다른 경로를 갖는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여 복수의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복수의 베이스밴드 신호로부터 비가시거리 상태를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복수의 다이버시티 보드(23, 24, 25, 26)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턴 온(turn on) 상태이면 항상 턴 온 상태여도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소모되는 전력으로는 극히 작으므로 현재 연결된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에서 비가시거리 조건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가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으므로 즉시 다른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로 연결하여 비가시거리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적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상기 제어부(9)는 상기 복수의 다이버시티 보드(23, 24, 25, 26)가 검출한 신호로부터 최대 출력 특성의 베이스밴드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 신호(ctrl1)를 출력한다.
상기 선택부(6)는 상기 제어 신호(ctrl1)에 따라 상기 복수의 다이버시티 보드(23, 24, 25, 26)가 변환한 베이스밴드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영상 변환부(28)에 출력한다.
상기 영상 변환부(28)는 상기 선택부(6)의 출력을 영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차이점을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선택부(6)에 의한 스위칭 동작 이후의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의 출력 전력을 전력 디텍터(8)에서 감지하였다면, 도 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선택부(6)와 연결되기 전의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의 출력 또는 결합기의 출력 전력을 감지하므로, 현재 선택된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로의 데이터 전송에 비가시거리 조건이 발생시,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6을 참조하면, 4개의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를 선택부(6)(예를 들면, 스위치)에 의해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비가시거리가 발생하지 않은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를 다시 선택하고 해당 경로로 데이터 전송을 하기까지 데이터 전송이 끊기는 문제점이 발생하나, 도 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비가시거리가 발생하더라도 선택부(6)에 의해 순차적으로 연결하지 않아도 각 다이버시티 보드에 구비된 전력 디텍터로(30,18,20,22)부터의 수신한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의 비가시거리를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제어부(9)는 선택부(6)에 최대 출력을 제공하는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를 선택부(6)와의 연결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판단할 수 있게 되어 비가시거리가 발생하더라도 끊김없는 데이터 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비가시거리 조건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밀리미터파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에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어레이 구조가 아닌 단일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 송신기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의 베젤(bezel)에 전력 디텍터(detector)를 포함한 수신기 복수개를 사용한 다이버시티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본 기술이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전방사하는 안테나 1개, 예를 들면 무지향성 안테나(omni directional)와 송신기 1개만을 사용하여 전력소모는 적고, 크기를 소형화시킨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현할 수 있다.
복수의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2,3,4,5)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의 베젤에 배치되되 서로 10 λ ~20 λ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안테나를 통해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여 저잡음증폭기(14)에서 증폭한 후 베이스밴드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9)는 복수의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에서 가장 큰 레벨의 신호가 어느 경로에서 오는 신호인지를 찾기 위해 각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2,3,4,5)에 연결된 스위치를 번갈아가며 결합기(7)와 연결시켜 어느 경로가 최대의 신호레벨을 수신하는지를 비교하여 최대 신호를 수신하는 경로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결합기(7)로부터의 제1 출력의 파워 레벨을 전력 디텍터(8)가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9)는 수신한 전력 레벨이 가장 큰 경로를 선택하여 제1 제어 신호(ctrl1)를 상기 선택부(6)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1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2)와 결합기(7)를 연결 시 수신한 파워 레벨이 가장 크면, 제1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2)를 결합기(7)와 연결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ctrl1)를 출력하고, 제2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와 결합기(7)의 연결을 해제시킨다. 결합기(7)는 또한 직렬로 수신한 데이터를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에 LCD 인터페이스(11)를 통해 전송한다.
가장 큰 레벨의 경로를 찾아 스위치의 연결을 고정시키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밀리미터파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제1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2)에 비가시거리가 발생하면 다른 경로를 선택하여 스위치의 연결 상태를 전환하고, 연결된 제1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2)로터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로 변환한 후 디스플레이 장치(1)로 디스플레이한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비가시거리 조건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에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동통신 단말기 내 단일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 송신기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의 베젤에 장착된 복수의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2,3,4,5)가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고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하고 각 다이버시티 보드(23,24,25,26)의 출력전력 레벨을 감지하여 제어부(9)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9)는 최대 신호 레벨을 출력하는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부(6)에 제어 신호(ctrl1)를 전송하여 해당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의 출력을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비가시거리가 발생하면 미리 각 전력 디텍터에서 감지된 신호를 전송받은 제어부(9)가 최대 출력을 제공하는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를 재설정하고, 상기 선택부(6)에 제어 신호(ctrl1)를 전송하고, 비가시거리가 발생하지 않으면 해당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를 선택고정하고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한다.
도 7을 도 6의 순서도와 비교하면, 도 7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방법이 비가시거리 발생 시 데이터 전송 특성을 크게 개선시키고 끊김없는 데이터 수신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빔포밍의 단점을 극복하고, 전력소모가 적고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다이버시티의 연산량이 감소되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하는 송신기뿐 만 아니라 디스플레이에 장착되는 수신기의 회로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의 카메라 및 동영상 내용을 쉽게 비가시거리 발생 시에도 끊김없이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볼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송신기가 어레이 구조가 아닌 단일 송신기로 적용이 가능하여서 적은 전력소모, 작은 크기, 적은 다이버시티 연산으로 비가시거리 조건에서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송신기의 부피를 소형화시킬 수 있으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하기에 유리하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디스플레이 장치 2 : 제1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
3 : 제2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 4 : 제3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
5 : 제4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 6 : 선택부
7 : 결합기 8 : 전력 디텍터
9 : 제어부 10 : 직병렬 변환기
11 : LCD 인터페이스 12 : 메인보드
13 : 안테나 14 : 저잡음증폭기
15 : 발진기 16 : 믹서
17 : 제2 결합기 18 : 제2 전력 디텍터
19 : 제3 결합기 20 : 제3 전력 디텍터
21 : 제4 결합기 22 : 제4 전력 디텍터
23 : 제1 다이버시티 보드 24 : 제2 다이버시티 보드
25 : 제3 다이버시티 보드 26 : 제4 다이버시티 보드
27 : 신호 처리부 28 : 영상 변환부
29 : 제1 결합기 30 : 제1 전력 디텍터

Claims (14)

  1. 비가시거리(non line of sight) 조건에서 송신기로부터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bezel)에 장착되며 서로 다른 경로를 갖는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여 복수의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복수의 베이스밴드 신호의 출력 전력을 감지하는 복수의 다이버시티 보드;
    상기 복수의 다이버시티 보드가 감지한 출력전력으로부터 최대 출력 특성의 다이버시티 보드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다이버시티 보드 중 최대 출력 특성의 다이버시티 보드를 영상 변환부와 연결하는 선택부 및
    상기 선택부의 출력을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영상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가시거리 조건에서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다이버시티 보드는,
    각 다이버시티 보드마다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하는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와 상기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의 출력 전력 또는 비가시거리 조건의 신호인지를 감지하는 전력 디텍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가시거리 조건에서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버시티 보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에 안테나를 장착하고, 상기 안테나가 수신한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하는 상기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
    상기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의 출력을 전력 디텍터와 상기 선택부로 출력하는 결합기 및
    상기 결합기의 출력의 전력과 비가시거리를 감지하는 상기 전력 디텍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가시거리 조건에서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턴 온(turn on) 상태이면 상기 복수의 다이버시티 보드가 턴 온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가시거리 조건에서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비가시거리 조건에서 송신기로부터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에 소정 간격씩 이격되어 안테나를 장착하며 서로 다른 경로를 갖는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여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하는 복수의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 및
    상기 복수의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의 출력을 비교하여 최대 베이스밴드 출력을 제공하는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의 출력을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메인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가시거리 조건에서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는 적어도 상기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의 파장의 10λ ~ 20λ 범위에서 간격이 이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가시거리 조건에서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드는,
    상기 복수의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의 출력들을 비교하여 최대 출력을 제공하는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복수의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의 출력 중 하나의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의 출력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부 및
    상기 선택부의 출력으로부터 연결된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의 출력 전력을 감지한 결과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선택부의 출력을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가시거리 조건에서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선택부의 출력을 전력 디텍터와 직병렬변환기로 출력하는 결합기;
    상기 결합기의 제1 출력의 전력을 감지하는 상기 전력 디텍터 및
    상기 결합기의 제2 출력을 병렬 신호로 변환하는 상기 직병렬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가시거리 조건에서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직병렬변환기로부터의 출력을 디스플레이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는 LCD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가시거리 조건에서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는,
    상기 송신기로부터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가 수신한 신호를 증폭시키는 저잡음증폭부 및
    상기 저잡음증폭부의 출력과 발진 신호를 믹싱하여 베이스밴드 신호를 출력하는 믹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가시거리 조건에서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턴 온(turn on) 상태 이면 턴 온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가시거리 조건에서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비가시거리 조건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에 장착된 복수의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가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여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하고, 복수의 전력 디텍터는 상기 복수의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의 출력전력 레벨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전송받은 신호로부터 최대 신호 레벨을 출력하는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를 설정하여 선택부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선택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 중 최대 출력의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의 출력을 선택하여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최대 출력의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의 수신 동작 중에 비가시거리 상태가 발생하면 상기 복수의 전력 디텍터에서 감지된 신호가 상기 제어부에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최대 신호 레벨을 출력하는 베이스밴드 신호변환기를 재설정하여 상기 선택부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가시거리 조건에서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
  13. 비가시거리 조건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는 수신기가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단일 송신기와 상기 송신기가 변조한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송신하는 무지향성 안테나로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장착된 복수의 다이버시티 보드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다이버시티 보드마다 전력 디텍터를 구비하여 수신한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시의 출력 전력으로부터 비가시거리 조건의 신호 또는 최대 출력 신호를 감지하여, 최대 출력 전력을 획득한 다이버시티 보드의 출력을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로 다른 경로를 갖는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여 복수의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복수의 베이스밴드 신호의 출력 전력을 감지하는 상기 복수의 다이버시티 보드;
    상기 복수의 다이버시티 보드가 감지한 출력전력으로부터 최대 출력 특성의 다이버시티 보드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다이버시티 보드 중 최대 출력 특성의 다이버시티 보드를 선택하여 영상 변환부와 연결하는 선택부 및
    상기 선택부의 출력을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영상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시스템.
KR1020130062464A 2013-05-31 2013-05-31 비가시거리 조건에서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1389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2464A KR101389117B1 (ko) 2013-05-31 2013-05-31 비가시거리 조건에서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 방법
US14/081,183 US9237290B2 (en) 2013-05-31 2013-11-15 Display apparatus of receiving millimeter wave or terahertz wave under non-line-of-sight conditions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2464A KR101389117B1 (ko) 2013-05-31 2013-05-31 비가시거리 조건에서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9117B1 true KR101389117B1 (ko) 2014-04-29

Family

ID=50658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2464A KR101389117B1 (ko) 2013-05-31 2013-05-31 비가시거리 조건에서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37290B2 (ko)
KR (1) KR1013891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9734A (ko) * 2015-01-20 2016-07-28 한국과학기술원 고감도 테라헤르츠 검출기
WO2022107959A1 (ko) * 2020-11-18 2022-05-27 지앨에스 주식회사 무선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22139037A1 (ko) * 2020-12-24 2022-06-30 지앨에스 주식회사 무선 통신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80532B (zh) * 2019-01-04 2021-03-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的封装检测方法及检测装置、检测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40765A (ja) 2006-06-13 2009-11-19 インテル コーポレイション 適応ビーム操作のための、ミリ波におけるピアツーピアネットワークに用いられる指向性アンテナを用いた無線装置および方法
KR20100106545A (ko) * 2007-12-28 2010-10-01 인텔 코오퍼레이션 Wpan을 제어하는 기술
KR20110016474A (ko) * 2008-06-02 2011-02-17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다수의 수신 안테나들을 위한 다중화 장치들
KR20130052670A (ko) * 2011-11-11 2013-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안테나들을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 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10503B2 (en) * 2002-10-28 2007-12-1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versity reception device and diversity reception method
KR20120030200A (ko) 2010-09-17 2012-03-28 주식회사 팬택 다중 안테나와 빔 포밍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
US9569003B2 (en) * 2010-09-30 2017-02-14 Broadcom Corporation Portable computing device including a three-dimensional touch scree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40765A (ja) 2006-06-13 2009-11-19 インテル コーポレイション 適応ビーム操作のための、ミリ波におけるピアツーピアネットワークに用いられる指向性アンテナを用いた無線装置および方法
KR20100106545A (ko) * 2007-12-28 2010-10-01 인텔 코오퍼레이션 Wpan을 제어하는 기술
KR20110016474A (ko) * 2008-06-02 2011-02-17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다수의 수신 안테나들을 위한 다중화 장치들
KR20130052670A (ko) * 2011-11-11 2013-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안테나들을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 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9734A (ko) * 2015-01-20 2016-07-28 한국과학기술원 고감도 테라헤르츠 검출기
KR101722734B1 (ko) 2015-01-20 2017-04-03 한국과학기술원 고감도 테라헤르츠 검출기
WO2022107959A1 (ko) * 2020-11-18 2022-05-27 지앨에스 주식회사 무선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22139037A1 (ko) * 2020-12-24 2022-06-30 지앨에스 주식회사 무선 통신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37290B2 (en) 2016-01-12
US20140354891A1 (en) 2014-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1736B2 (en) Method and device for extending beam are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057098B2 (en) Methods of antenna system control in massive MIMO systems
US8892133B2 (en) Apparatus and methods
KR20200096618A (ko) 멀티 웨이 스위치, 무선 주파수 시스템 및 무선 통신 장치
US201403282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nd feeding back channel inform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using beam forming
WO2022028292A1 (zh) 波束训练方法、装置、终端设备及网络设备
US999905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omputer program,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10032159A1 (en) Antenna Apparatus with Adaptive Polarization Switching Function
KR20090122980A (ko) Mimo 통신 장치
US9125150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automatic gain control method
KR101389117B1 (ko) 비가시거리 조건에서 밀리미터파 또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 방법
US20190103909A1 (en) Ope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636686B1 (ko) 비콘신호와 다중빔 안테나를 이용한 광대역 무선 고속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안테나 빔방향 선택방법
US20230006728A1 (en) Operating devi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9586774B (zh) 一种5g阵列天线的控制系统
JP535452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H10163938A (ja) アンテナ切り替え制御方式
JP2006287669A (ja) 無線通信装置
CN114124143B (zh) 射频系统和客户前置设备
CN111294121B (zh) 基于AiP结构的波束调整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3088376A1 (zh) 上行传输方法、装置、终端及bsc接收设备
JPH10163937A (ja) アンテナ切り替え制御方式
CN111294093B (zh) 基于AiP结构的波束检测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493761B1 (ko) 이중 편파 안테나와 인덱스 변조를 결합한 데이터 전송 방법
WO2022242489A1 (zh) 波束成形方法及相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