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8544B1 - 발효주나 발효음료를 얻는 즉석식 발효용기 - Google Patents

발효주나 발효음료를 얻는 즉석식 발효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8544B1
KR101158544B1 KR1020090126423A KR20090126423A KR101158544B1 KR 101158544 B1 KR101158544 B1 KR 101158544B1 KR 1020090126423 A KR1020090126423 A KR 1020090126423A KR 20090126423 A KR20090126423 A KR 20090126423A KR 101158544 B1 KR101158544 B1 KR 101158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loth
fermentation
fermented
inner tube
fermentation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6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9619A (ko
Inventor
윤설현
Original Assignee
윤설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설현 filed Critical 윤설현
Priority to KR1020090126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8544B1/ko
Publication of KR20110069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9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8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8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 C12G3/021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of botanical family Poaceae, e.g. wheat, millet, sorghum, barley, rye, or cor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1/00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 C12H1/02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combined with removal of precipitate or added materials, e.g. adsorption material
    • C12H1/06Precipitation by physical means, e.g. by irradiation, vibrations
    • C12H1/063Separation by 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02Form or structure of the vessel

Landscapes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oy Sauces And Products Related Thereto (AREA)
  • Distillation Of Fermentation Liquor, Processing Of Alcohols, Vinegar And Beer (AREA)

Abstract

본원은 발효주나 발효음료를 얻는 즉석식 발효용기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발효주나 발효음료는 사용자의 취향이나 기호에 관계없이 제조 메이커에서 통계나 확률로 제시되는 수치에 따라 획일적으로 제공되는 상품을 구매하는 형태로 제공되어 왔으나, 본원은 사용자가 원하는 선택과 취향대로 각자의 가정에서 손쉽게 사용자가 원하는 기호에 따라 원료와 맛과 향을 선택하여 발효주나 발효음료를 개별적으로 소규모로 얻어 음용할 수 있는 발효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발효용기는 그 내부에 여과포와 내관이 내장되는 구조를 통하여 빠른 시간 내 사용자의 원하는 목적으로 예를들면, 막걸리를 얻거나 식초나 맥주를 얻는 발효공정을 각자의 가정에서 자기의 입맛과 취향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발효용기의 여과포는 기존의 직물지나 합성수지나 직조철재망으로 미세공을 갖도록 제공되는 여과포가 발효용기 내부로 내삽되는 크기로 제공되고, 여과포 중심부로는 내관이 관통되는 구조를 이루되, 내관은 측벽으로 0.1~3.0㎜ 범위의 구멍이 다수개 형성되는 구조로 여과포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수직으로 직립하는 구조로 제공되어 발효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물이나 액체가 내관 및 여과포를 거쳐 원료곡물에 전달되는 구조를 이루어서 4~5일의 신속 숙성공정으로 발효주나 발효음료를 얻을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발효용기, 발효주, 발효음료, 여과포, 다공성내관

Description

발효주나 발효음료를 얻는 즉석식 발효용기{instant type vessel for fermented liquor or fermented beverage}
본원은 발효주나 발효음료를 얻는 즉석식 발효용기에 관한 것이다.
막걸리는 역사가 오래된 술로 빛깔이 뜨물처럼 희고 탁하며, 알코올 성분이 적은 6~7도의 발효주로서, 탁주(濁酒)?농주(農酒)?재주?회주라고도 하는 것으로 현재는 각 지방의 관인(官認) 양조장에서만 생산하지만 예전에는 농가에서 직접 만든 농주였다.
최근 인기몰이를 하고 있는 막걸리는 우리나라 전통의 고유음식으로 쌀과 옥수수 전분 등을 발효시켜 만드는 발효주이기 때문에 증류 과정을 거치는 소주나 코냑, 위스키 등의 증류주보다 제조과정이 단순하며 제조 과정이 단순한 만큼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적고, 또한 값이 싸서 누구나 쉽게 즐겨먹을 수 있는 발효주이다.
본원은 상기와 같은 막걸리를 사용자의 취향이나 기호에 관계없이 메이커에서 통계나 확률로 제시되는 수치에 따라 획일적으로 제공되는 상품이 아니고, 사용자가 원하는 취향대로 각자의 가정에서 손쉽게 자기가 원하는 원료조성과 맛과 향을 갖는 막걸리를 개별적으로 얻을 수 있는 발효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예를 들면, 막걸리를 얻거나 식초나 맥주를 얻거나 과일음료를 얻거나 등의 발효공정을 각자의 가정에서 자기의 입맛과 취향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발효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발효주나 발효음료를 제공하기 위해 개시된 다양한 제조방법의 기술들이 본원의 발효용기 구조를 이용하여 변형하여 개인의 기호에 따라 적용/달성될 수 있을 것인바, 종래의 기술로서 발효주나 발효음료를 얻는 대표적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특허출원 제2003년 15729호 기술은 막걸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쌀을 약 400매시 정도로 분쇄하여, 물을 이용하여 30분~2시간 스팀으로 찐 다음, 찐쌀을 18~28℃ 로 냉각시킨 후에, Aspergillus oryzae(백국균 또는 황국균), Aspergillus awamori(흑국균), Aspergillus niger계 균주의 변종인 Aspergillus kawachii, 아스페르길루스 우사미(Aspergollus suamii)등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미생물균을 쌀 부피대비 1:0.1의 부피비로 교반한 다음, 약 20℃에서 3일간 숙성시켜 코오지 쌀을 얻고, 약주의 제조공정으로 쌀 5말을 세정 후 탈수한 다음 물을 넣어 30분~2시간 스팀으로 증자시킨 다음, 증자한 쌀을 18~28℃ 정도로 냉각시킨 후에, 상기 코오지 쌀 1되, 밀기울에 의해 제조된 통상의 누룩 3되와, 계피1Kg, 솔잎 4~5Kg, 오갈피1Kg, 창이자 200g 를 넣은 다음, 청수를 약 5말 투입한 후에, 15~23℃로 일주일 발효시켜 제조한 후에 발효액에서 침전된 고형분과 상등액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분리한 다음에, 분리된 상등액을 4℃에서 보관 30일 숙성시켜 약주를 얻는 제조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 2006년 제35841호에서는 두유(soya milk)의 제조방법으로, 콩을 포함하는 원료혼합물에 pH가 7.5 이상의 알칼리수(alkali 水)를 사용하거나 알칼리 이온수의 증기가열에 의한 열수 순환으로 간접 가열하여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두유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 2004년 제49024호 기술은 미분과 보리초를 이용한 맥주 풍미의 발포주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는바, 정제효소를 이용하여 제조한 볶은 미분과 소맥분의 당화액에 보리초 당화액을 혼합하고, 상기 혼합액에 무기염류를 첨가한 후 살균하여 발효효모를 첨가하여 전 발효한 다음 저온에서 숙성시켜 후 발효하여 제조된 발효액에 호프와 이산화탄소를 첨가하여 맥주 발포주를 얻는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선행기술 이외에 다양한 발효주 및 발효음료에 대한 선행기술이 공지되어 있는바, 본원은 상기와 같은 발효주나 발효음료의 제공공정에 본원의 발효용기를 사용하여서 개인 각자가 자기 집에서 발효공정을 수행할 때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과즙이나 인삼이나 기호성 향신료 등을 첨가하여 발효공정을 수행할 수있는 기술사상을 갖는 것이다.
본원은 기존의 발효주나 발효음료는 사용자의 취향이나 기호에 관계없이 제조 메이커에서 통계나 확률로 제시되는 조성에 따라 획일적으로 제공되는 발효주 또는 발효음료를 선택할 수 밖에 없었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과제를 갖고 시작된 발명으로서, 본원은 사용자가 원하는 취향대로 각자의 가정에서 손쉽게 자기가 원하는 원료조성과 맛과 향을 선택하여 자신의 선호대로 발효주나 발효음료를 개별적으로 얻을 수 있는 발효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원은 용기 내부에 여과포와 내관이 내장되는 구조의 발효용기를 제공하되, 직물지나 합성수지나 미세철망으로 미세공을 갖도록 직조되어 제공되는 여과포는 중심부로 내관이 관통된 채 주류나 음료용 원료곡물 및 발효성분을 감싸 내장하는 구조를 이루고, 내관은 측벽으로 0.1~3.0㎜ 범위의 구멍이 다수개 형성되는 구조로 여과포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수직으로 직립하는 구조로 제공되어 발효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물이나 액체가 부분적으로 여과포를 거치기도 하나 대부분의 물이나 액체가 내관을 거쳐 여과포의 중심부에 내장된 원료곡물에 전달되는 구조를 이루어서 제공하기를 원하는 발효주나 발효음료에 따라 짧게는 2~4일, 길게는 7~10의 숙성공정을 거치면서 개인의 기호에 맞는 발효주나 발효음료를 얻고자 하는 기술사상이 포함된 발효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원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부로 뚜껑부을 갖고 하부는 밀봉되는 구조를 이루는 발효용기의 내부에 주류나 음료용 원료곡물 및 발효성분 및 물이나 액체를 담아 발효공정을 수행하도록 제공되는 발효용기에 있어서, 발효용기 내부에 여과포와 다공성 내관이 내장되는 구조를 갖고, 직물지나 합성수지나 기타의 소재로 미세공을 갖도록 제공되는 여과포는 중심부로 내관이 관통된 채 주류나 음료용 원료곡물 및 발효성분을 감싸 내장하는 구조를 이루고, 내관은 측벽으로 0.1~3.0㎜ 범위의 구멍(hole)이 다수개 형성되는 구조로 여과포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수직으로 직립하는 구조로 제공되어 발효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물이나 액체가 내관의 hole 구멍을 통하여 대부분 여과포의 중심부로 유입되기 여과포를 거쳐서도 물이나 액체가 원료곡물에 전달되는 구조를 이루며 발효되도록 제공되는 구조적 특징을 갖는 발효용기에 의하여 본원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완성된 발명이다.
본원에서 여과포 중심부에 다공성 내관을 설치하는 이유는 실제적으로 직물지나 합성수지나 미세철망으로 직조되어 제공되는 여과포는 미세공을 갖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처음 발효용기에 청수를 넣는다 해도 물이 여과포를 통과하는 속도가 극히 느릴 뿐 아니라 발효공정이 완료된 후 막걸리나 과실주 등으로 전환된 후에는 탁도가 있는 액체상태로 전환되어 여과포를 통과하기가 더욱 어렵게 되는 현상을 나타내므로 본원에서는 여과포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내관을 통하여 발효성분에 물이나 액체가 전달되도록 하는 것으로, 내관은 여과포를 관통하여 수직 직립구조로 제공하고 내관에 0.1~3.0㎜ 범위의 구멍이 다수개 형성되는 다공성 구조로 제공되 어, 여과포에 먼저 발효내용물이 채원진 후 여과포 상부가 봉합된 후 청수나 다른 액체성분이 주입되면 여과포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내관의 구멍을 통하여 발효내용물에 청수나 액체성분이 공급되고, 발효가 숙성된 후 발효결과물을 얻을 때에도 여과포를 압착하면 발효결과물이 여과포를 거쳐 나오는 부분도 있으나 대부분 내관의 구멍을 통하여 발효결과물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여 완성된 발명이다.
또한, 본원의 발효용기 내부에서 수직으로 직립하는 내관은 하측 단부로 하부받침부가 마련되어 여과포의 하부를 지지하는 구조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본원의 발효용기의 외통 일측으로는 압축누름구가 부착되는 구조로 제공되어 발효공정이 완료된 후 여과포를 압착누름구로 눌러서 발효내용물을 짜내는 기능을 갖도록 제공되거나 또는 발효용기의 뚜껑 안쪽으로 발효내용물과 뚜껑 사이에 탄성을 유지하며 밀어주는 기능을 하는 스프링구조가 내장되어 있다가 여과포에 내장된 발효내용물이 발효/숙성이 차츰 이루어지면서 압착되어 있던 스프링구조가 발효내용물이 담긴 여과포를 밀어주면서 자연스럽게 내용물을 짜내는 구성으로 제공되는 시스템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은 종래의 발효주나 발효음료는 제조 메이커에서 획일적 조성과 맛으로 제공되는 발효주나 발효음료 중에서 선택하여 음용할 수 밖에 없었던 종래의 구조에서, 본원은 사용자가 원하는 취향대로 각자의 가정에서 손쉽게 자기가 원하는 원료조성과 맛과 향을 선택하여 자신의 선호대로 발효주나 발효음료를 개별적으로 얻을 수 있는 구조로 상부로 뚜껑부을 갖고 하부로 밀봉구조를 갖는 발효용기에 주류나 음료용 원료곡물 및 발효성분 및 물이나 액체가 담아 신속 발효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발효방법에서, 발효용기 내부에 여과포와 내관을 내장하는 구성을 포함하되, 미세공을 갖도록 제공되는 여과포의 중심부로 내관이 관통된 채 주류나 음료용 원료곡물 및 발효성분을 감싸 내장하는 구조를 포함하고, 내관은 측벽으로 0.1~3.0㎜ 범위의 구멍이 다수개 형성되는 구조를 갖고 여과포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수직으로 직립하며 하측 단부에는 하부받침부가 마련되어 여과포의 하부를 지지하는 구조로 제공되어 발효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물이나 액체가 내관 및 여과포를 거쳐 원료곡물에 전달되는 구조를 이루어서 각각의 가정에서 사용자의 취향에 맞춰 신속하게 발효주나 발효음료를 얻을 수 있는 발효주나 발효음료의 제조공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원의 기술사상은 가정에세 개인의 기호대로 발효 숙성물을 얻고자 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발효 숙성물은 예를 들면 막걸리나 포도주나 과일주, 인삼주나 두유나 레몬쥬스 등의 과일음료나 기타 발효공정을 거쳐 주류나 음료용으로 제공될 수 있는 대부분의 발효주나 발효음료를 얻는데 본원의 발효용기가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원의 기술사상이 상세하게 구현되는 실시양태는 하기의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란 기재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원은 기존의 발효주나 발효음료는 사용자의 취향이나 기호에 관계없이 제조 메이커에서 통계나 확률로 제시되는 조성에 따라 획일적으로 제공되는 발효주 또는 발효음료를 개인의 기호에 관계없이 선택하여 음용할 수 밖에 없었던 문제점을 개선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취향대로 각자의 가정에서 손쉽게 자기가 원하는 원료조성과 맛과 향을 선택하여 자신의 선호대로 발효주나 발효음료를 얻을 수 있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본원의 기술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발명의 실시내용을 도면으로 제시하기에 앞서, 본 출원의 명세서나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본원의 보호범위는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할 것이며, 본 명세서나 도면에 제시된 사용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원의 기술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원의 기술사상에서 아래에 제시되는 도면의 실시양태는 본원의 기술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하나의 적용예를 제시한 것으로 본원에서 제시되는 구성에 기존의 발효장치에 사용되는 부수설비나 제어시스템이 추가되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원 발명의 기술사상을 바람직하게 구현하기 위한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3에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원의 기술사상이 구현될 수 있는 기본형태의 발효용기의 내부구조를 투시상태로 나타내고자 한 측단면도로서, 본원에서 제공되는 발효용기(100)는 외통(50)내부로 여과포(40)를 갖고 여과포의 중심부를 내관(30)이 관통하는 구조이며, 여과포(40) 내부에는 주류나 발효음료를 제공할 수 있는 원료인 곡물(20)과 누룩 등의 발효성분(21)이 담겨지도록 제공되고, 발효용기(100) 중심부에 수직으로 직립구조를 이루는 내관(30)은 측벽으로 0.1~3.0㎜ 범위의 구멍(31)이 다수개 형성되는 다공성 구조로 여과포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수직으로 세워지는 구조로 여과포의 하부를 안정되게 지지하는 기능과 수직직립구조를 이루기 위하여 하부받침부(32)를 갖도록 제공되고, 여과포(40)는 하부봉합부(41)의 중앙으로 내관(30)이 관통하도록 원형홀(42)을 갖는 구조로 제공되고 여과포(40)의 상부개구부(43)는 여과포(40) 폭대로 개구 된 채 발효대상물인 곡물(20)과 누룩 등의 발효성분(21)이 담겨진 후에는 상부봉합캡(44)이 상부개구부(43)를 내관(30)을 중심으로 감싸서 봉합시키는 구성을 이루고 발효용기(100) 내부로 청수(10)나 또는 포도주나 또 다른 기능성 액체(11) 혼합물을 붓고 상부뚜껑(60)을 닫은 후에 항온조건이 마련된 숙성실에 옮겨져 발효공정이 진행되는 발효용기(100)의 일 적용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의 기본형태 발효용기에 일정 항온효과를 부여해주는 보온재(70)가 발효용기 외통(50)을 감싸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고, 발효가 숙성되었을 때 발효내용물이 예를들면 막걸리를 대상으로 제공된 경우라면, 여과포(40) 내의 곡물(20)과 누룩 등의 발효성분(21)이 발효공정이 완료되어 막걸리가 숙성되었을 경우 외부에서 압력누름구(80)를 이용하여 여과포(40)에 압박을 가하여 막걸리 내용물을 짜내어 막걸리를 얻을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자 한 것으로 도 2a는 발효용기의 내부구조를 투시상태로 나타낸 측 단면도이고 도 2b는 발효 용기의 내부구조의 결합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다. 도 2c는 발효용기의 외통(50)의 저부구조를 투시상태로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제시되는 발효용기의 적용예에서 도 1과 마찬가지로 발효대상물이 예를들면 막걸리나 포도주나 인삼주나 두유나 과일쥬스 등의 대상에 따라 기존 공지의 제조원료를 도 2의 여과포(40)에 발효효모와 함께 담고, 청수나 다른 기능성 성분으로 묽은 포도주나 인삼엑기스 등을 청수에 희석시켜 넣고 발효공정을 갖게 되는 것으로 이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얼마든지 변형되어 대부분의 발효주나 발효음료를 얻는데 적용될 수 있다.
도 2에 제시되는 발효용기의 대부분의 구성은 도 1에서 설명이 되어 있으므로 이중으로 설명할 필요는 없을 것이나, 도 2c을 통하여 발효용기 외통(50) 저부(51) 구조를 살펴보면, 외통 저부의 중앙부에 안착되는 내통(30)의 하부받침부(32)가 바닥면과 일정거리 이격되는 구조를 이루기 위해 외통 저부 바닥면에 돌출부(52)가 다수개 마련되어 하부받침부(32)를 지지해주고, 또한 외통 저부 바닥면의 중앙부에는 내용물 배출구(53)와 배출구캡(54)이 마련되되, 배출구가 돌출되는 경우 직립구조에 방해가 되기 때문에 용기 안쪽으로 오목구조가 마련되고 오목부위에 내용물 배출구(53) 및 배출구캡(54)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배출구캡의 외측면이 외통 저부의 바닥면과 일치하도록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본원에서 적용되는 발효용기의 또 다른 적용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원의 발효용기 뚜껑(60)에 탄성스프링(90)이 부착되는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여과포(40)의 상부개구부(43)가 개구 된 상태에서 발효대상물인 곡물(20)과 누룩 등의 발효성분(21)이 담겨진 후 상부봉합캡(44)으로 봉해진 상태에서 뚜껑(60)에 부착된 탄성스프링(90)이 압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발효용기 내부에서 차츰 숙성이 이루어지면서 발효대상물인 곡물이 발효/숙성되면서 뚜껑(60)에 부착된 탄성스프링(90)이 압착되어 있던 여과포(40)를 짜주며 하부쪽으로 밀어주는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더욱 숙성이 완료된 후에는 도 3b에 나타난 여과포의 부피가 1/2~1/3 위치까지 압착되어 발효내용물 중의 액체성분을 짜내는 결과로 발효주나 발효음료를 얻는데 적용될 수 있다.
본원의 발효용기를 이용하여 약주(막걸리)를 제조하는 실시예
찹쌀에 약간의 물을 붓고 30분 정도 스팀으로 찐 다음, 찐쌀을 상온 20~25℃ 범위로 냉각시킨 후에 Aspergillus awamori(흑국균)의 미생물균을 쌀 부피대비 1/10 로 넣고 교반한 다음, 약 25~30℃에서 3일간 숙성시켜 발효 쌀을 얻는 제1단계; 쌀 5 ㎏을 세정 후 탈수한 다음 물을 넣고 30분 정도 스팀으로 증자시킨 다음, 증자한 쌀을 상온으로 냉각시켜 증자쌀을 얻는 제2단계;
출원인은 본원의 실시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외통규격이 1400㎖ 용기로 준비하고 폴리에스테르 재질로 제공되는 1000㎖ 여과포를 만들고 내부에 내경 10㎜규격의 내관을 갖는 본원의 발효용기로 본원의 기술사상을 적용시키고자 하였는바, 상기 여과포의 상부개구부에 제2단계에서 얻은 증자쌀 0.5 ㎏에 제1단계에서 얻은 발효쌀 쌀 0.05 ㎏, 밀기울에 의해 제조된 통상의 누룩 0.05 ㎏, 솔잎 0.1Kg, 엄나무 0.05㎏을 넣은 다음, 청수를 단독으로 넣거나 또는 청수에 액화효소를 풀어서 여과포의 상단까지 채워준 후, 28~30℃의 온도를 유지하는 숙성실에 넣고 4~6일간 발효시킨 후 여과포를 압착시켜 발명자가 원하는 맛과 향긋한 솔향을 갖는 막걸리를 얻을 수 있었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발효용기는 막걸리 뿐 아니라 포도주나 인삼주나 두유나 맥주나 발효공정을 거쳐 제공될 수 있는 주류나 음료를 얻도록 이용될 수 있으며, 쌀이나 보리쌀, 콩, 밀가루, 볶은 미분과 소맥분 등의 성분과 함께 당화효소를 넣어 사용하거나 발효효소로 전분 내부의 결합을 무작위적으로 가수분해시켜 효모로 이용될 수 있는 발효성 당인 소량의 포도당(glucose), 말토스 (maltose), 저분자량 덱스트린(dextrin) 등을 생성하여 전분 현탁액을 빠른 속도로 맑은 용액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효소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당화효소는 액화효소에 의해 무작위적으로 일부 분해된 전분을 가수분해함으로써 당으로 전환시키는 효소를 말하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β-아밀라아제(β-amylase)와 글루코아밀라아제(Glucoamyl as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 : 본원의 발효용기 내부구조를 투시상태로 나타낸 측 단면도.
도 2a : 본원의 발효용기의 내부구조를 투시상태로 나타낸 측 단면도.
도 2b : 본원 발효용기의 결합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3a : 본원의 발효용기 뚜껑(60)에 탄성스프링(90)이 부착되는 상태도.
도 3b : 본원의 발효용기 뚜껑(60)에 탄성스프링(90)이 원위치되는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
10 : 물 11 : 기능성 액체
20 : 발효대상 곡물 21 : 발효성분
30 : 내관 31 : 구멍(hole)
32 : 하부받침부 40 : 여과포
41 : 하부봉합부 42 : 원형홀
43 : 상부개구부 44 : 상부봉합캡
50 : 외통 51 : 외통저부
52 : 바닥면 돌출부 53 : 내용물 배출구
54 : 배출구 캡 60 : 뚜껑
70 : 보온재 80 : 압력누름구
90 : 탄성스프링 100 : 발효용기

Claims (4)

  1. 상부로 뚜껑부을 갖고 하부는 밀봉되는 구조를 이루는 용기의 내부에 주류나 음료용 원료곡물과 발효성분 및 물이나 액체가 담겨져 발효공정을 수행하도록 제공되는 발효용기에 있어서,
    발효용기 외통(50) 내부로 미세공을 갖는 여과포(40)가 내장되고 여과포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내관(30)이 내장되는 구조를 이루되, 내관은 측벽으로 0.1~3.0㎜범위의 구멍(31)이 다수 개 형성되며 하측 단부로는 하부받침부(32)를 갖고 하부받침부가 여과포의 하부를 지지하는 구조를 이루며 내관이 여과포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수직으로 직립하는 구조를 이루어서, 발효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물이나 액체가 내관(30)의 구멍(31)을 통하여 여과포(40)의 원료곡물에 전달되는 구성을 이루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용기의 여과포(40) 상단에는 상부봉합캡(44)이 마련되고 상부 뚜껑부에는 압력누름구(80)를 갖는 구성으로 제공되어 압력누름구(80)로 상부봉합캡(44) 및 여과포(40)를 압박하는 수단으로 내용물을 짜내는 구성을 이루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용기.
  4. 상부로 뚜껑부을 갖고 하부로 밀봉구조를 갖는 발효용기에 주류나 음료로 제공될 수 있는 원료곡물과 발효성분 및 물이나 액체를 담아 발효공정을 수행하는 발효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부로 뚜껑을 갖고 하부로 밀봉구조를 이루는 발효용기 내부에 미세공을 갖도록 제공되는 여과포의 중심부로 내관이 관통된 구조를 이루되, 내관은 측벽으로 0.1~3.0㎜ 범위의 구멍이 다수개 형성되고 하측 단부로는 하부받침부가 마련되어 여과포의 하부를 지지하며 여과포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수직으로 직립하는 구조의 발효용기를 이루고,
    상기 발효용기의 여과포 내부로 원료곡물과 발효성분을 내장하고 내관을 통하거나 여과포 외부에서 물이나 액체를 유입시켜 발효공정을 수행하여 발효물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물 제조방법.
KR1020090126423A 2009-12-17 2009-12-17 발효주나 발효음료를 얻는 즉석식 발효용기 KR101158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423A KR101158544B1 (ko) 2009-12-17 2009-12-17 발효주나 발효음료를 얻는 즉석식 발효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423A KR101158544B1 (ko) 2009-12-17 2009-12-17 발효주나 발효음료를 얻는 즉석식 발효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9619A KR20110069619A (ko) 2011-06-23
KR101158544B1 true KR101158544B1 (ko) 2012-06-21

Family

ID=44401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6423A KR101158544B1 (ko) 2009-12-17 2009-12-17 발효주나 발효음료를 얻는 즉석식 발효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85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68736A (zh) * 2018-08-28 2018-12-11 长江师范学院 一种方便控制出料且用于液体调料的调料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508B1 (ko) * 2012-07-19 2013-07-02 한국농수산대학 산학협력단 발효주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발효주 제조방법
CN108531323A (zh) * 2018-06-25 2018-09-14 德清县浙北麒麟蚁酒厂 一种发酵罐的集酒装置
CN108937656A (zh) * 2018-08-28 2018-12-07 长江师范学院 一种方便使用的调料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2973A (ja) 1998-07-15 2000-02-02 Takara Shuzo Co Ltd 清酒の濾過方法
KR200394512Y1 (ko) 2005-06-17 2005-09-02 김홍기 필터백과 스트레이너 캡을 장착한 침출주 숙성용기
KR100731206B1 (ko) 2006-09-22 2007-06-20 정재훈 민속주 담금용 용기
KR100793258B1 (ko) * 2007-05-21 2008-01-10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가정용 술 제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2973A (ja) 1998-07-15 2000-02-02 Takara Shuzo Co Ltd 清酒の濾過方法
KR200394512Y1 (ko) 2005-06-17 2005-09-02 김홍기 필터백과 스트레이너 캡을 장착한 침출주 숙성용기
KR100731206B1 (ko) 2006-09-22 2007-06-20 정재훈 민속주 담금용 용기
KR100793258B1 (ko) * 2007-05-21 2008-01-10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가정용 술 제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68736A (zh) * 2018-08-28 2018-12-11 长江师范学院 一种方便控制出料且用于液体调料的调料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9619A (ko) 201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4089B1 (ko) 막걸리의 제조방법
CN102994317B (zh) 一种浓香型白酒的生产方法
RU2542384C2 (ru) Концентрированное пивное охмеленное сусл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чешского пива, способ его приготовления и применения
JP5364145B2 (ja) 黒マッコリの製造方法
KR101066459B1 (ko) 오미자가 첨가된 건강 증진 기능성 오미자 생막걸리 및 그 제조방법
CN103211057A (zh) 一种快速醇化的黑茶及其加工方法
KR102231291B1 (ko) 논알코올 맥주맛 음료의 거품 지속 개선 방법 및 논알코올 맥주맛 음료의 제조 방법
CN103820256A (zh) 一种浑浊白啤酒的酿造方法
KR101158544B1 (ko) 발효주나 발효음료를 얻는 즉석식 발효용기
CN107541369B (zh) 原浆啤酒及其酿造方法
JP6993407B2 (ja) ブドウ味スイートワインの製造方法及びブドウ味スイートワイン
CN107267344A (zh) 一种低乙醛含量红枣酒的酿制方法
KR20090088476A (ko) 흑마늘 식초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식초음료
JP2022010409A (ja) 蒸留酒類、甲類焼酎、清酒、及び果汁含有アルコール飲料
CN110679811A (zh) 一种发酵型大米气泡饮料的制备方法
CN107057927B (zh) 一种茶酒及其制备方法
CN103843956A (zh) 一种咖啡原料的处理方法及处理系统
KR20140059971A (ko) 탁주제조용 양조재료 및 이를 이용한 탁주 제조방법
CN107216966A (zh) 一种蓝莓啤酒及其制备方法
CN106333020A (zh) 一种红茶饮料的制作方法
CN116769555A (zh) 一种气泡黄酒的生产工艺
TWI253468B (en) Method for producing beer-like and alcohol-free fermented beverage
CN108371325B (zh) 膨化即食甜米酒炒米及其制备方法
TW202031135A (zh) 容器包裝飲料及麴萃取液之保存方法
KR100418335B1 (ko) 감귤 발효액과 그것을 함유한 장류와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4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