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8398B1 - 대나무 식생 블록 구조물 - Google Patents

대나무 식생 블록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8398B1
KR101158398B1 KR1020090060105A KR20090060105A KR101158398B1 KR 101158398 B1 KR101158398 B1 KR 101158398B1 KR 1020090060105 A KR1020090060105 A KR 1020090060105A KR 20090060105 A KR20090060105 A KR 20090060105A KR 101158398 B1 KR101158398 B1 KR 101158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lock
bamboo
vegetation
block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0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2577A (ko
Inventor
이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경스케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경스케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경스케치
Priority to KR1020090060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8398B1/ko
Publication of KR20110002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8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8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connected recepta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생 조성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나무를 이용한 대나무 식생 블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식생 공간(12)을 갖도록 대나무로 형성되는 블록(10); 상기 블록(10)을 지지하는 프레임(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식생 블록 구조물을 제시함으로써, 식생과 어울리는 대나무 소재의 친환경적인 이미지를 창출할 수 있으며, 프레임(20)에 의해 대나무 소재의 블록(10)이 구조적으로 보완될 수 있다.
식생, 블록, 대나무, 프레임

Description

대나무 식생 블록 구조물{Block structure for vegetation using bamboo}
본 발명은 식생 조성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나무를 이용한 대나무 식생 블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식생'이란 나무가 심어진 상태를 말하고, '녹생'이란 잔디 등 풀이 심어진 상태를 말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하에서는 상기 '녹생'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식생'을 사용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식생의 조성을 위한 식생 블록 구조물은, 식생이 활착 가능토록 식생공간을 갖는 복수개의 블록들이 구조화된 것으로서, 콘크리트를 비롯하여 합성수지, 재생 소재 등에 의해 제조되고 있는 것이 현실정이다.
그런데, 식생 블록 구조물은 식생 조성의 편의 및 용이성은 물론 구조적 안정성 등을 위해서 충분한 구조적 성질을 가져야 함은 물론, 식생 조성의 목적에 맞게 시공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대나무를 이용하는 대나무 식생 블록 구조물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간(22A)을 갖도록 대나무로 형성되는 블록(10); 상기 블록(10)을 지지하는 프레임(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식생 블록 구조물을 제시한다.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각각의 블록(10)을 지지하는 셀(22)을 포함하고, 상기 셀(22) 복수개가 매트리스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셀(22)은 원통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각각의 셀(22)이 이웃한 셀(22)과 맞붙은 상태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각각의 블록(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22A)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0)의 공간(22A)은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0)의 공간(22A)은 개방된 양 단면 중 어느 한쪽에 상기 블록(10)의 일부를 받치는 받침부(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0)의 공간(22A)에는 상기 블록(1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된 심부(2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심부(26)는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점차 작아지는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블록(10)이 상기 프레임(20)보다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0)은 또 다른 프레임(20)과 탈착 가능토록 연결되는 연결부(2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0)의 연결부(28)는 또 다른 프레임(20)의 연결부(28)에 끼워질 수 있는 끼움돌기(28A)와 또 다른 프레임(20)의 연결부(28)가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홈(28B)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록(10)은 파이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대나무 소재의 블록이 식생과 어울리는 자연친환경적이며, 프레임에 의해 대나무 소재의 블록이 구조적으로 보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1 이하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식생 블록 구조물(1)은, 대나무 소재의 이미지를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식생 공간(12)을 갖도록 대나무로 형성되는 블록(10)(block)과, 블록(10)을 지지하는 프레임(20)(frame)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이미지를 이루는 외형인 블록(10)이 대나무로 형성됨과 아울러, 프레임(20)에 의해 강도 등 블록(10)의 구조적 안정성이 보완될 수 있다.
따라서, 식생 블록(10)에 어울리도록 대나무 소재 자체의 친환경적이고 친숙하고 편안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아울러, 프레임(20)에 의해 대나무 소재의 블록(10)이 견고하게 지지되고 보강됨으로써, 블록(10)으로서의 충분한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대나무를 또 다른 부재로 연결하기 위해 측면에 구멍을 가공하거나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체결하면, 대나무 소재 특성 상 쉽게 파손될 수 있다. 대나무 소재 특성 상 접착제나 용접을 이용한 연결방법도 상당히 어렵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블록 구조물(1)은, 프레임(20)에 의해 복수개의 블록(10)을 하나로 연결하거나 블록(10)을 또 다른 부재나 구조물(1)과 용이하고 간단하며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블록(10)의 훼손이 방지될 수 있다는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블록(10)은 대나무 소재에 의해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다만 블록(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뚫린 파이프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 대나무 자체가 속이 비었기 때문에, 대나무를 길이방향을 따라서 절단하는 최소한의 가공에 의해 간단하게 식생공간(12)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는 이점을 취할 수 있다.
프레임(20)은 블록(10)을 보완할 수 있다면 합성수지, 금속, 콘크리트, 목재 등 어떠한 재질이든 무방하다.
프레임(20)은 블록(10)을 보완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를 취하든 무방하다.
이러한 프레임(20)은, 블록(10) 지지를 위해 기본적으로 셀(22)(cell)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 셀(22)은 1개 또는 2개 이상의 블록(10)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각 셀(22)은 1개의 블록(10)만을 지지하도록 형성됨으로써, 각 셀(22)이 각 블록(10)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셀(22)에 의해 각각의 블록(10)이 전체적으로 둘러싸여 보다 견고하게 보완될 수 있고, 블록(10)과 셀(22)이 별도의 체결부재나 연결작업 없이도 직접적으로 일체화될 수 있다.
즉, 대나무가 보편적으로 원통 구조인 바,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셀(22)은 블록(10)에 대응하여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20)은 하나의 셀(22)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식생 블록 구조물(1)의 시공 및 식생의 활착 등이 용이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셀(22)로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특히 하나의 프레임(20)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셀(22)은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프레임(20)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셀(22)은, 매트리스(matrix) 구조로 규칙적으로 배열됨으로써, 프레임(20)이 구조적으로 간소해질 수 있고, 복수개의 프레임(20)을 용이하고 간소하게 다양한 구조로 배열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을 취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프레임(20)을 이루는 복수개의 셀(22)은 별도의 연결부(28)(일 예를 들어, 리브(rib), 브리지(bridge)) 등에 의해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일체화될 수 있다.
다만,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은 각각의 셀(22)이 이웃한 셀(22)과 맞붙은 상태로 직접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즉, 공간(22A)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셀(22)과 셀(22)이 서로 지지해줌으로써 프레임(20)이 보다 안정적인 구조를 취할 수 있다는 이점을 취할 수 있다.
한편, 셀(22)은 블록(10)의 식생 공간(12)에 삽입된 상태로 블록(10)을 지지할 수도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셀(22)과 셀(22) 간 연결 및 프레임(20)과 프레임(20) 간 연결 등이 보다 용이하도록 그리고 프레임(20)의 구조가 안정적이고 간소하도록 블록(10)의 외측에서 블록(10)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즉 셀(22)은 블록(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2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셀(22)에 형성된 공간(22A)은 블록(10)이 상하로 삽입되고 식생의 성장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면이 개방될 수 있다.
물론, 이 외 실시 예로써, 식생 블록 구조물(1)을 계단형 지반이나 사면 등에 시공하는 경우 등 식생의 성장 방향 등에 따라서, 셀(22)은 측면이 개방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20)의 공간(22A)은 한쪽으로만 개방될 수도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이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식생 블록 구조물(1)이 시공된 지반 등에 활착될 수 있도록 양쪽이 개방된 중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20)의 중공형 공간(22A)은 개방된 양 단면 중 어느 한쪽에 블록(10)의 일부를 받치는 받침부(24)가 구비됨으로써, 블록(10)이 프레임(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을 취할 수 있다.
상술한 받침부(24)는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10)을 보다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도록 십자형 형상을 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블록(10)의 구조 등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20)의 공간(22A)에는 블록(1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된 심부(26)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심부(26)에 의해 블록(10)은 외측은 물론 내측에서도 프레임(20)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심부(26)는 상술한 받침부(24)와 연결됨으로써 간소하고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심부(26)는 블록(10)의 식생 공간(12)에 삽입되는 방향, 즉 블록(10)의 식생 공간(12)을 따라서 블록(10)의 내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점차 작아지는 형상을 취함으로써, 블록(10)의 식생 공간(12)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식생과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레임(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외형을 이루는 블록(10)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바, 블록(10)이 프레임(20)보다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즉 프레임(20)은 중공형 공간(22A)의 개방방향에 따른 길이(20L)가, 블록(10)의 길이(10L)보다 짧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프레임(20)은 복수개의 셀(22)로 구성되되, 제작 및 운반, 시공 등이 용이하도록 소량의 셀(22)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식생 시공 면적이 프레임(20)에 비해 상당히 넓은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식생 블록 구조물(1)이 복수개 시공되며, 이때 복수개의 식생 블록 구조물(1)이 일체로 연결될 수 있도록, 프레임(20)은 또 다른 프레임(20)과 탈착 가능토록 연결되는 연결부(28)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프레임(20)의 연결부(28)는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프레임(20)의 연결부(28)에 끼워질 수 있는 끼움돌기(28A)와 또 다른 프레임(20)의 연결부(28)가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홈(28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됨으로써, 간소하게 구현되어 프레임(20)과 프레임(20)이 서로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식생 블록 구조물(1)은, 식생을 위한 것이라면 어디든 시공될 수 있다. 일 예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식생 블록 구조물(1)은 인도(2)나 차도 등의 옆에 잔듸(4)를 심기 위해 시공될 수 있으며, 이때 프레임(20)은 흙(6) 등에 의해 파묻힘으로써 은닉되고 외부에는 대나무 소재의 블록(10)만 노출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 이하는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식생 블록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은 사용 모식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사시도.
도 4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평면도.
도 6은 도 5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5의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대나무 식생 블록 구조물 2; 인도
4; 잔듸 6; 흙
10; 블록 12; 식생 공간
20; 프레임 22; 셀
24; 받침부 26; 심부
28; 연결부

Claims (13)

  1. 식생 공간(12)을 갖도록 대나무로 형성되는 블록(10) 및, 상기 블록(10)을 지지하는 프레임(20)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각각의 블록(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된 공간(2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식생 블록 구조물(1).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공간(22A)이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블록(10)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셀(22)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셀(22)이 상호 매트리스 구조로 배열되어 일체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식생 블록 구조물(1).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셀(22)은 원통 형상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식생 블록 구조물(1).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각각의 셀(22)이 이웃한 셀(22)과 맞붙은 상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식생 블록 구조물(1).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의 공간(22A)은 개방된 양 단면 중 어느 한쪽에 상기 블록(10)의 일부를 받치는 받침부(2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식생 블록 구조물(1).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의 공간(22A)에는 상기 블록(1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된 심부(2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식생 블록 구조물(1).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심부(26)는 상기 블록(10)의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이 점차 작아지는 형상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식생 블록 구조물(1).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블록(10)이 상기 프레임(20)보다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식생 블록 구조물(1).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은 또 다른 프레임(20)과 탈착 가능토록 연결되는 연결부(28)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식생 블록 구조물(1).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의 연결부(28)는 또 다른 프레임(20)의 연결부(28)에 끼워질 수 있는 끼움돌기(28A)와 또 다른 프레임(20)의 연결부(28)가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홈(28B)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식생 블록 구조물(1).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10)은 파이프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식생 블록 구조물(1).
KR1020090060105A 2009-07-02 2009-07-02 대나무 식생 블록 구조물 KR101158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105A KR101158398B1 (ko) 2009-07-02 2009-07-02 대나무 식생 블록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105A KR101158398B1 (ko) 2009-07-02 2009-07-02 대나무 식생 블록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577A KR20110002577A (ko) 2011-01-10
KR101158398B1 true KR101158398B1 (ko) 2012-06-26

Family

ID=43610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0105A KR101158398B1 (ko) 2009-07-02 2009-07-02 대나무 식생 블록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83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301B1 (ko) * 2013-04-16 2014-09-11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식생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097475B1 (ko) * 2018-08-28 2020-04-06 국립생태원 생태적 복원용 화분 및 생태적 복원용 시공 구조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757A (ja) * 1995-07-10 1997-01-28 Yoshio Hanayama 種苗育成筒およびこれを用いた植樹方法
KR200302956Y1 (ko) * 2002-10-29 2003-02-05 서종일 조립식 화분 받침대
JP2003116357A (ja) * 2001-10-10 2003-04-22 Mitsuwa Kenzai Kk 植生用面状材の固定杭
US20060032122A1 (en) * 2004-07-16 2006-02-16 Min-Hsien Chang Mangrove seedling & plantation methodolog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757A (ja) * 1995-07-10 1997-01-28 Yoshio Hanayama 種苗育成筒およびこれを用いた植樹方法
JP2003116357A (ja) * 2001-10-10 2003-04-22 Mitsuwa Kenzai Kk 植生用面状材の固定杭
KR200302956Y1 (ko) * 2002-10-29 2003-02-05 서종일 조립식 화분 받침대
US20060032122A1 (en) * 2004-07-16 2006-02-16 Min-Hsien Chang Mangrove seedling & plantation methodolog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577A (ko) 2011-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8398B1 (ko) 대나무 식생 블록 구조물
CN104350967A (zh) 一种可拼接的塑木花箱
CN203939193U (zh) 一种排蓄水板
KR20200007335A (ko) 붕괴 방지를 위한 조립식 블록구조체
KR20080096317A (ko) 담수 기능을 갖는 보도블록
KR101598148B1 (ko) 수직 옹벽 축조용 블록 유닛
KR101363557B1 (ko) 식생 옹벽 축조물
KR101308822B1 (ko) 식생용 블록 및 호안용 블록의 결속구조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70081111A (ko) 잔디블록
KR100374495B1 (ko) 호안용 블럭
KR102340292B1 (ko) 기능성 식생축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200491914Y1 (ko) 조립형 옹벽 구조물
CN210342180U (zh) 一种排水沟及其排水沟组件
KR200426017Y1 (ko) 생태보호 및 식생 용·배수로용 블록
KR101569789B1 (ko) 조립식 토목 블록
KR200457526Y1 (ko) 조립식 식물 생육 플랜트
KR102061010B1 (ko) 밭작물 덮개용 비닐 고정구
KR20050018919A (ko) F·p 환경블록
KR101589287B1 (ko) 식생용 호안블록의 결속구조
KR100693478B1 (ko) 보강토 블록
KR102421287B1 (ko) 논두렁 축조용 식생블록
KR102512406B1 (ko) 흙 갈이가 편리한 화분
KR200444810Y1 (ko) 식재부를 구비한 콘크리트 수로관
TWM461652U (zh) 水土保持植栽磚
KR100788297B1 (ko) 조립식 옹벽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