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7586B1 - 분쇄물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분쇄물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7586B1
KR101157586B1 KR20100081056A KR20100081056A KR101157586B1 KR 101157586 B1 KR101157586 B1 KR 101157586B1 KR 20100081056 A KR20100081056 A KR 20100081056A KR 20100081056 A KR20100081056 A KR 20100081056A KR 101157586 B1 KR101157586 B1 KR 101157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work object
pulley
shaft
dischar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81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8012A (ko
Inventor
김순하
이형우
Original Assignee
(주)신우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우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신우이엔지
Priority to KR20100081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7586B1/ko
Publication of KR20120018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8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04B2001/205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with special construction of screw thread, e.g. segments, h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04B2001/2083Configuration of liquid outl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쇄물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작업 대상물을 연속하여 공급할 수 있고 수리작업 및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분쇄물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베이스프레임과, 베이스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작업 대상물로부터 분리되는 수분이 배출되는 배수홀부가 형성되고 연결홀부와 배출홀부가 형성되는 드럼과, 연결홀부를 통해 드럼 내부로 작업 대상물을 공급하고 드럼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공급부와, 드럼 내부에 설치되고 공급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드럼 내부로 공급되는 작업 대상물을 유동시키며 배출홀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교반부와, 드럼과 공급부와 교반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분쇄물 탈수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분쇄물 탈수장치 {DEHYDRATOR FOR CRUSHED MATERIAL}
본 발명은 분쇄물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작업 대상물을 연속하여 공급할 수 있고 수리작업 및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분쇄물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합성수지재질의 제품은 PET, PE, PP, PS 등의 재질로 성형된 것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일회용 제품에 합성수지재질의 제품이 주로 사용되므로 폐 합성수지재질의 제품을 수집하여 자원으로 재활용하도록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폐 합성수지재질의 제품을 재활용하기 위해 폐 합성수지재질의 제품을 일정한 크기로 분쇄하고 세척한 후에 탈수 및 건조를 행하게 된다.
일반적인 분쇄물 탈수장치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분쇄편이 수납되는 드럼과,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드럼에는 다수 개의 배출홀부가 형성되므로 드럼에 분쇄편을 수납한 후에 구동부에 전원을 인가하면 드럼이 회전되면서 발생되면 원심력에 의해 분쇄편으로부터 수분이 분리되어 배출홀부를 통해 배출된다.
분쇄물 탈수장치의 탈수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드럼이 일정 속도 이상으로 회전되어야 하는데, 드럼이 고속으로 회전되면 탈수작동 중에 분쇄편이 드럼 외부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드럼을 개폐하는 도어 또는 커버가 설치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인 분쇄물 탈수장치는 탈수작동이 진행되는 동안에 분쇄편을 공급할 수 없기 때문에 일회의 탈수작동이 종료되면 분쇄편을 배출하고 다시 새로운 분쇄편을 공급해야 하므로 탈수작동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분쇄물 탈수장치는 드럼의 회전축을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탈수작동 중에 분쇄편이 드럼의 하부에 몰리게 되므로 수분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분쇄물 탈수장치는 분쇄편이 드럼에 수납된 상태에서 오작동이 발생되면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드럼을 회전축으로부터 분리하기 어려워 수리작업 또는 교체작업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작업 대상물을 연속하여 공급할 수 있고 수리작업 및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분쇄물 탈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작업 대상물로부터 분리되는 수분이 배출되는 배수홀부가 형성되고 연결홀부와 배출홀부가 형성되는 드럼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을 이루며 상기 연결홀부를 통해 상기 드럼 내부로 작업 대상물을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드럼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부와 동일 직선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공급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되는 작업 대상물을 유동시키며 상기 배출홀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교반부와, 상기 드럼과 상기 공급부와 상기 교반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물 탈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드럼은, 작업 대상물이 수납되는 제1원통부와, 일측에 상기 연결홀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배출홀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원통부와 결합되는 제2원통부와, 상기 배출홀부에 설치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원통부와 상기 제2원통부로부터 배출되는 수분을 일 방향으로 배수하는 드레인부가 설치되고, 상기 드레인부에는 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홀부에는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작업 대상물을 일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가이드부를 관통하여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부는, 일측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가 상기 연결홀부를 통해 상기 드럼 내부로 삽입되고 타측 단부에 고정축이 형성되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는 상기 이송관의 둘레면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반부는, 상기 드럼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축에 일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타측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회전축을 관통하여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는 연결축과, 상기 구동축의 둘레면에 설치되는 나사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나사산의 일측 단부는, 상기 구동축 일측 단부의 외측 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되고, 상기 나사산의 내측으로 상기 이송관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1풀리와, 상기 연결축에 설치되는 제2풀리와, 상기 제1풀리와 상기 제2풀리에 연결되는 제1모터와, 상기 스크루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제2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풀리와 상기 제2풀리는 지름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쇄물 탈수장치는 드럼의 회전축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므로 탈수작동이 진행되는 동안 작업 대상물이 드럼 내부에 고르게 분포될 수 있으므로 수분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쇄물 탈수장치는 드럼의 회전축을 따라 작업 대상물이 연속적으로 공급되면서 탈수작동이 중단되지 않고 이루어지므로 탈수작동에 소요되는 시간이 감소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쇄물 탈수장치는 드럼이 복수 개의 블록으로 조립되므로 오작동이 발생되면 드럼을 이루는 복수 개의 블록을 분리하여 수리작업 및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물 탈수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물 탈수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물 탈수장치의 공급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물 탈수장치의 드럼과 공급부와 교반부의 연결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물 탈수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쇄물 탈수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물 탈수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물 탈수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물 탈수장치의 공급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물 탈수장치의 드럼과 공급부와 교반부의 연결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물 탈수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물 탈수장치는 베이스프레임(10)과, 베이스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작업 대상물로부터 분리되는 수분이 배출되는 배수홀부(31)가 형성되고 연결홀부(35)와 배출홀부(36)가 형성되는 드럼(30)과, 베이스프레임(10)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드럼(30)의 회전중심을 이루며 연결홀부(35)를 통해 드럼(30) 내부로 작업 대상물을 공급하는 공급부(50)와, 드럼(30) 내부에 설치되고 공급부(50)와 동일 직선상에 배치되도록 공급부(5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드럼(30) 내부로 공급되는 작업 대상물을 유동시키며 배출홀부(36) 측으로 이동시키는 교반부(70)와, 드럼(30)과 공급부(50)와 교반부(7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80)를 포함한다.
구동부(80)에 전원이 인가되면 드럼(30)과 공급부(50)와 교반부(70)가 회전되고, 공급부(50)에 작업 대상물이 투입되면 공급부(50)를 따라 이동되는 작업 대상물이 연결홀부(35)를 통해 드럼(30) 내부에 수납된다.
이때, 드럼(30)은 구동부(80)에 의해 회전되므로 드럼(30)에 생성되는 원심력에 의해 작업 대상물에 포함되는 수분이 분리되고 배수홀부(31)를 통해 드럼(30) 외부로 배수된다.
또한, 구동부(80)의 작동에 의해 교반부(70)가 회전되므로 드럼(30)에 수납된 작업 대상물을 유동시키면서 배출홀부(36) 측으로 이동시켜 작업 대상물에 포함된 수분이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드럼(30)은 작업 대상물이 수납되는 제1원통부(30a)와, 일측에 연결홀부(35)가 형성되고 타측에 배출홀부(36)가 형성되도록 제1원통부(30a)와 결합되는 제2원통부(30b)와, 배출홀부(36)에 설치되는 연결부재(33)와, 연결부재(33)에 설치되고 구동부(80)에 연결되는 회전축(32)을 포함한다.
제1원통부(30a)와 제2원통부(30b)는 다수 개의 배수홀부(31)가 형성되는 곡면패널 모양으로 형성되고, 제1원통부(30a)와 제2원통부(30b)의 양측 단부가 결합되면 하나의 원통 모양의 드럼(30)을 이루게 된다.
제1원통부(30a)와 제2원통부(30b)의 일측 단부에는 반원 모양의 홈부가 형성되므로 제1원통부(30a)와 제2원통부(30b)가 결합되면 반원 모양의 홈부가 결합되어 연결홀부(35)를 이루게 된다.
또한, 제1원통부(30a)와 제2원통부(30b)의 타측 단부는 별도의 구조물 없이 개방되므로 제1원통부(30a)와 제2원통부(30b)가 결합되어 드럼(30)을 이루면 드럼(30)의 타측 단부는 개방되어 배출홀부(36)를 이루게 된다.
제1원통부(30a)와 제2원통부(30b)의 둘레면에는 다수 개의 보강리브(37)가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고, 제1원통부(30a)의 보강리브(37)와 제2원통부(30b)의 보강리브(37)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므로 제1원통부(30a)와 제2원통부(30b)가 결합되면 링 모양의 보강리브(37)가 형성된다.
연결부재(33)는 배출홀부(36)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링 모양으로 형성되고, 연결부재(33)의 중앙부에 회전축(32)이 결합될 수 있도록 십자 모양의 결합리브(34)가 형성된다.
회전축(32)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중공축으로 이루어지므로 후술될 교반부(70)의 연결축(76)이 회전축(3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드럼(30)의 하부에는 제1원통부(30a)와 제2원통부(30b)로부터 배출되는 수분을 일 방향으로 배수하는 드레인부(92)가 설치되고, 드레인부(92)에는 커버(94)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드럼(30)으로부터 배출되는 수분은 커버(94) 및 드레인부(92)에 의해 모아지고 커버(94) 및 드레인부(92)의 내벽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흘러서 개구된 드레인부(92)의 하부를 통해 일 방향으로 배수된다.
커버(94)는 드레인부(92)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오작동에 의해 드럼(30) 및 교반부(70)를 분리할 때에는 커버(94)를 열고, 제2원통부(30b)를 제1원통부(30a)로부터 분리하면 손쉬운 수리작업 또는 교체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배출홀부(36)에는 드럼(30)으로부터 배출되는 작업 대상물을 일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96)가 설치되고, 회전축(32)은 가이드부(96)를 관통하여 구동부(80)에 연결된다.
가이드부(96)는 배출홀부(36)와 회전축(32)의 일부분을 감싸는 모양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홀부가 형성되므로 드럼(30)을 통과하면서 수분이 제거된 작업 대상물이 배출홀부(36)를 통해 토출된 후에 가이드부(96)를 따라 일측 방향으로 배출된다.
공급부(50)는 일측에 흡입구(53)가 형성되고 타측에 토출구(54)가 형성되며 토출구(54)가 연결홀부(35)를 통해 드럼(30) 내부로 삽입되고 타측 단부에 고정축(55)이 형성되는 이송관(51)과, 이송관(5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루(52)를 포함한다.
이송관(51)은 일측에 흡입구(53)가 형성되고 타측에 토출구(54)가 형성되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이송관(51)의 타측이 연결홀부(35)를 통해 드럼(30) 내부로 삽입된다.
따라서 흡입구(53)를 통해 이송관(51) 내부에 공급되는 작업 대상물은 스크루(52)의 회전에 의해 토출구(54) 측으로 이동된 후에 토출구(54)를 통해 드럼(30) 내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스크루(52)는 이송관(51)을 통과하는 작업 대상물을 용이하게 이송하기 위한 장치이며, 흡입구(53)로부터 토출구(54) 측으로 고압의 공기를 압송하는 송풍장치(미도시)를 설치하여 작업 대상물의 이송을 원활히 행할 수 있다.
물론, 스크루(52)와 송풍장치가 모두 설치될 수 있으며, 스크루(52)와 송풍장치 중 어느 하나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송풍장치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흡입구(53)와 토출구(54)는 이송관(51)의 둘레면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므로 흡입구(53)가 상측으로 배치되도록 이송관(51)을 드럼(30)에 연결하면 드럼(30) 내부로 삽입된 토출구(54)는 하측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수직방향으로 떨어지는 작업 대상물은 흡입구(53)에 설치되는 호퍼(51a)를 지나 이송관(51) 내부에 수납되고, 구동부(80)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루(52)에 의해 토출구(54) 측으로 이동된다.
이후에, 작업 대상물은 토출구(54)를 통해 하측 방향으로 떨어지면서 드럼(30) 내부에 수납된다.
이송관(51)의 둘레면에는 베어링이 설치되므로 드럼(30)의 연결홀부(35)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송관(51)의 내벽에 설치되는 스크루(52)도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교반부(70)는 드럼(30) 내부에 배치되고 고정축(55)에 일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축(72)과, 구동축(72)의 타측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회전축(32)을 관통하여 구동부(80)에 연결되는 연결축(76)과, 구동축(72)의 둘레면에 설치되는 나사산(74)을 포함한다.
구동축(72)은 베어링에 의해 고정축(5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이송관(51)의 외벽에 연결되는 구동축(72)과 이송관(51)의 내벽에 연결되는 스크루(52)는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되고 서로 간섭되지 않는다.
나사산(74)의 일측 단부는, 구동축(72) 일측 단부의 외측 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되고 나사산(74)의 내측으로 이송관(51)이 삽입되므로 토출구(54)를 통해 드럼(30) 내부로 공급되는 작업 대상물은 나사산(74)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유동되면서 배출홀부(36)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나사산(74)이 구동축(72)의 단부 외측으로 더 길게 연장되어 토출구(54)에 인접하게 배치되므로 토출구(54)를 통해 드럼(30) 내부로 공급되는 작업 대상물은 토출구를 통해 배출됨과 동시에 나사산(74)에 의해 안내되어 배출홀부(36)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구동부(80)는 회전축(32)에 설치되는 제1풀리(84)와, 연결축(76)에 설치되는 제2풀리(86)와 제1풀리(84)와 제2풀리(86)에 연결되는 제1모터(82)와, 스크루(52)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제2모터(88)를 포함한다.
제1모터(82)의 회전축과 제1풀리(84) 사이에는 체인 또는 벨트와 같은 연결부재가 설치되고, 제1모터(82)의 회전축과 제2풀리(86) 사이에도 별도의 연결부재가 설치된다.
따라서 제1모터(82)가 구동되면 제1모터(82)의 구동력은 제1풀리(84)를 통해 회전축(32)에 전달되고, 제2풀리(86)를 통해 구동축(72)에 전달되므로 제1모터(82)에 의해 드럼(30)과 교반부(70)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제1풀리(84)와 제2풀리(86)는 지름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데, 제1풀리(84)의 지름을 작게 형성되므로 제1모터(82)가 구동될 때에 드럼(30)이 교반부(70)와 비교하여 빠르게 회전된다.
따라서 드럼(30)은 비교적 빠른 속도로 회전되면서 보다 큰 원심력이 발생되게 하므로 수분의 배출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교반부(70)는 드럼(30)과 비교하여 느리게 회전되므로 작업 대상물이 드럼(30) 내부를 천천히 통과하면서 충분한 탈수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물 탈수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구동부(80)에 전원을 인가하면 제1모터(82) 및 제2모터(88)가 구동되므로 제1풀리(84)를 따라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드럼(30)이 회전되고, 제2풀리(86)를 따라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교반부(70)가 회전되고, 제2모터(88)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스크루(52)가 회전된다.
이때, 흡입구(53)를 통해 작업 대상물을 투입하면 스크루(52)에 의해 작업 대상물은 이송관(51)을 따라 드럼(30) 내부로 이동된 후에 토출구(54)를 통해 드럼(30) 내부로 공급된다.
드럼(30) 내부에 수납된 작업 대상물은 나사산(74)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유동되면서 배출홀부(36)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드럼(30) 내부에 수납된 작업 대상물은 회전되는 드럼(30)의 원심력에 의해 드럼(30)의 내벽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배출홀부(36) 측으로 이동하고, 작업 대상물에 포함되는 수분은 배수홀부(31)를 통해 드럼(30) 외부로 배출된다.
드럼(30) 외부로 배출된 수분은 드레인부(92)에 의해 일 방향으로 배수되고, 드럼(30)을 통과하여 배출홀부(36)로 배출되는 작업 대상물은 가이드부(96)에 의해 일 방향으로 배출된다.
드럼(30)은 제1풀리(84)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고, 교반부(70)는 제2풀리(86)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므로 드럼(30)이 교반부(70)와 비교하여 빠르게 회전된다.
따라서 드럼(30)을 통과하는 작업 대상물은 빠르게 회전되는 드럼(30)의 원심력에 의해 효과적으로 수분이 제거된다.
또한, 드럼(30)을 통과하는 작업 대상물은 비교적 느리게 회전되는 교반부(70)에 의해 배출홀부(36) 측으로 이동되므로 드럼(30)을 통과하는 시간을 충분히 길게 하여 작업 대상물에 탈수작동이 이루어지는 시간을 연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탈수작동을 진행하는 동안 흡입구(53)에 작업 대상물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면 탈수작업을 중단하지 않고 지속적인 탈수작동을 행할 수 있으므로 탈수작동을 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탈수작동이 장기간 연속되어 수리작업 또는 교체작업이 진행될 때에는 드레인부(92)로부터 커버(94)를 분리하고 제2원통부(30b)를 제1원통부(30a)로부터 분리시켜 각각의 장치에 수리작업 또는 교체작업을 행하게 된다.
이로써, 작업 대상물을 연속하여 공급할 수 있고 수리작업 및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분쇄물 탈수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합성수지의 재활용을 위한 분쇄물 탈수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합성수지의 재활용하기 위한 분쇄물 탈수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분쇄물 탈수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베이스프레임 30 : 드럼
30a : 제1원통부 30b : 제2원통부
31 : 배수홀부 32 : 회전축
33 : 연결부재 34 : 결합리브
35 : 연결홀부 36 : 배출홀부
37 : 보강리브 50 : 공급부
51 : 이송관 52 : 스크루
53 : 흡입구 54 : 토출구
55 : 고정축 70 : 교반부
72 : 구동축 74 : 나사산
76 : 연결축 80 : 구동부
82 : 제1모터 84 : 제1풀리
86 : 제2풀리 88 : 제2모터
92 : 드레인부 94 : 커버
96 : 가이드부

Claims (10)

  1.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작업 대상물로부터 분리되는 수분이 배출되는 배수홀부가 형성되고 연결홀부와 배출홀부가 형성되는 드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을 이루며 상기 연결홀부를 통해 상기 드럼 내부로 작업 대상물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드럼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부와 동일 직선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공급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되는 작업 대상물을 유동시키며 상기 배출홀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교반부; 및
    상기 드럼과 상기 공급부와 상기 교반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드럼은,
    작업 대상물이 수납되는 제1원통부;
    일측에 상기 연결홀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배출홀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원통부와 결합되는 제2원통부;
    상기 배출홀부에 설치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부는,
    일측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가 상기 연결홀부를 통해 상기 드럼 내부로 삽입되고 타측 단부에 고정축이 형성되는 이송관; 및
    상기 이송관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루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부는,
    상기 드럼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축에 일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타측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회전축을 관통하여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는 연결축; 및
    상기 구동축의 둘레면에 설치되는 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1풀리;
    상기 연결축에 설치되는 제2풀리;
    상기 제1풀리와 상기 제2풀리에 연결되는 제1모터; 및
    상기 스크루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제2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물 탈수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통부와 상기 제2원통부로부터 배출되는 수분을 일 방향으로 배수하는 드레인부가 설치되고, 상기 드레인부에는 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물 탈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홀부에는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작업 대상물을 일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가이드부를 관통하여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물 탈수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는 상기 이송관의 둘레면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물 탈수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의 일측 단부는, 상기 구동축 일측 단부의 외측 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되고, 상기 나사산의 내측으로 상기 이송관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물 탈수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풀리와 상기 제2풀리는 지름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물 탈수장치.
KR20100081056A 2010-08-20 2010-08-20 분쇄물 탈수장치 KR101157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81056A KR101157586B1 (ko) 2010-08-20 2010-08-20 분쇄물 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81056A KR101157586B1 (ko) 2010-08-20 2010-08-20 분쇄물 탈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012A KR20120018012A (ko) 2012-02-29
KR101157586B1 true KR101157586B1 (ko) 2012-06-18

Family

ID=45839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81056A KR101157586B1 (ko) 2010-08-20 2010-08-20 분쇄물 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758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0381A (ko) * 1998-12-14 1999-04-26 최문규 원심분리형 탈수기
KR100193352B1 (ko) 1995-07-25 1999-06-15 박재덕 협잡물 처리용 원심분리 탈수기
KR100531511B1 (ko) * 2003-02-28 2005-11-28 주식회사 무한기술 자동변속 제동장치가 부착된 데칸터형 원심분리기
KR20090005193U (ko) * 2007-11-26 2009-05-29 문명자 수지세척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3352B1 (ko) 1995-07-25 1999-06-15 박재덕 협잡물 처리용 원심분리 탈수기
KR19990030381A (ko) * 1998-12-14 1999-04-26 최문규 원심분리형 탈수기
KR100531511B1 (ko) * 2003-02-28 2005-11-28 주식회사 무한기술 자동변속 제동장치가 부착된 데칸터형 원심분리기
KR20090005193U (ko) * 2007-11-26 2009-05-29 문명자 수지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012A (ko) 2012-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8631B1 (ko) 폐플라스틱 파쇄 및 세척 시스템
CN213382435U (zh) 一种废旧塑料清洗甩干装置
KR101565240B1 (ko) 협잡물 처리용 스크류 프레스
CN104139470B (zh) 一种薄膜类废旧塑料回收再利用洗涤净化系统
KR101157586B1 (ko) 분쇄물 탈수장치
KR101086695B1 (ko) 재생원료의 재생장치
KR101972832B1 (ko) 폐플라스틱 조각 탈수장치
CN107443621A (zh) 一种沉水料清洗分离装置及方法
CN209049565U (zh) 一种迷迭香提取用三足式下卸料离心机
BRPI1008809B1 (pt) dispositivo para a trituração de produto plástico
KR101687633B1 (ko) 진공챔버를 이용한 폐합성수지 탈수 장치
CN210028774U (zh) 一种干湿分离的餐厨垃圾车
KR100356716B1 (ko) 스크류 이송 연속 원심분리기
KR101352947B1 (ko) 재활용폐기물 탈수장치
KR100796712B1 (ko) 합성수지재 수분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200254457Y1 (ko) 원심력을 이용한 탈수장치
CN203002471U (zh) 一种新型离心装置
KR200418321Y1 (ko) 페트병 분쇄물 탈수장치
KR20110072482A (ko) 폐합성수지 처리시스템
KR101113973B1 (ko) 폐합성수지 처리장치
CN216658571U (zh) 一种塑料制品破碎回收装置
CN212888443U (zh) 一种用于塑料制品的废料环保回收设备
JP2005000876A (ja) 材料混練タンク
CN201308864Y (zh) 连续式离心脱水装置
KR100363941B1 (ko) 폐기물 처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