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7219B1 - 라디오 전송기에서의 전송 신호 처리 - Google Patents

라디오 전송기에서의 전송 신호 처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7219B1
KR101157219B1 KR1020107013485A KR20107013485A KR101157219B1 KR 101157219 B1 KR101157219 B1 KR 101157219B1 KR 1020107013485 A KR1020107013485 A KR 1020107013485A KR 20107013485 A KR20107013485 A KR 20107013485A KR 101157219 B1 KR101157219 B1 KR 101157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pass
pass filter
amplitude component
bandwidth
parame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3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2031A (ko
Inventor
마르쿠스 넨트비그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95165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15721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00082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2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04L27/36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H04L27/361Modulation using a single or unspecified number of carriers, e.g. with separate stages of phase and amplitud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 H03F1/0216Continuous control
    • H03F1/0222Continuous control by using a signal derived from the input signal
    • H03F1/0227Continuous control by using a signal derived from the input signal using supply conver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4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04L27/36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H04L27/366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undesirable properties of the transmission path between the modulator and the demodula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전송 신호가 진폭 성분과 위상 성분으로 분리되는 폴라 전송기 구조를 사용하는 라디오 전송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전송 신호는 전송을 위해 라디오 전송기에 할당된 전송 자원 블록들의 개수로 배분된 데이터 심볼들을 포함한다. 전송 신호의 진폭 성분은 라디오 전송기에 할당된 전송 자원 블록들의 개수에 따라 선택된 필터링 파라미터들에 의해 설정된 저역 통과 필터에서 저역 통과 필터링된다. 그런 다음에, 저역 통과 필터링된 진폭 성분은 전송 신호의 위상 성분을 전력 증폭하기 위해 구성된 전력 증폭기의 전력 공급원에서 사용된다.

Description

라디오 전송기에서의 전송 신호 처리{Processing transmission signals in radio transmitter}
본 발명은 라디오 전송기 분야에 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라디오 전송기에서의 전송 신호 처리에 관한 것이다.
라디오 전송기들에서, 전송 신호, 즉 전송되고 있는 신호는 전송 신호를 증폭시키는 라디오 주파수 전력 증폭기에서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라디오 수신기로 전송하기에 적합한 레벨로 증폭된다. 전력 증폭된 전송 신호의 레벨은 라디오 수신기가 전송 신호에 담긴 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게 할 정도로 충분히 높아야 한다.
폴라 전송기 구조(polar transmitter structure)에서, 전송 신호는 진폭 성분(amplitude component)과 위상 성분(phase component)으로 분리된다. 위상 성분은 라디오 주파수로 상향 변환(up-conversion)된 다음에 전력 증폭기의 입력 노드에 적용된다. 진폭 성분은 전송기의 전력 공급원 신호 경로에 적용되어 전력 증폭기에 전력 공급원 신호를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전력 공급원 신호 경로 내의 성분들은 전송 신호의 진폭 성분에 잡음을 야기시키며, 잡음은 전력 증폭 후에 전송 신호의 추가적인 진폭 변조 형태처럼 보인다. 가변 대역폭 전송들을 이용하는 최근의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는, 잡음 때문에 생기는 의사 방출(spurious emission)들이 상이한 통신 링크들에 할당된 인접한 주파수 자원 블록들 간에 간섭을 일으킴으로써, 전반적인 시스템 용량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좀더 효율적인 전력 증폭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전력 공급원 신호에서 잡음 전력을 줄일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된 라디오 전송기에서의 전송 신호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태양에 의하면, 청구항 14에 기재된 라디오 전송기에서의 전송 신호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실시태양에 의하면, 청구항 27에 기재된 라디오 전송기에서의 전송 신호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실시태양에 의하면, 청구항 28에 기재된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매체 상에 수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의해 한정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단지 예로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폴라 전송기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폴라 전송기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폴라 전송기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실시예로부터 도출되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폴라 전송기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폴라 전송기의 파라미터들을 설정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폴라 전송기 구조의 다른 한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폴라 전송기 구조의 또 다른 한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정가능한 파라미터들을 가진 저역 통과 필터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전형적인 것들이다. 본 명세서의 여러 곳에서 "한", "일", 또는 "어떤" 실시예(들)가 언급될 수 있으나, 이것은 그러한 각각의 언급이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들)에 대한 것이라거나 그 특징이 단지 단일 실시예에만 적용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상이한 실시예들의 단일 특징들이 또한 다른 실시예들을 제공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1에는 일반적인 폴라 전송기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폴라 전송기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기 측으로 전송될 데이터 심볼들을 제공하는 변조 소스(102)를 포함한다. 변조 소스는 그 심볼들을, 동상(in-phase, I) 성분과 직교 (quadranture, Q) 성분을 포함한 복소 디지털 신호(complex digital signal)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전송 신호로서 출력할 수 있다. 전송 신호의 I 및 Q 성분들은 폴라 컨버터(104)에 적용되는데, 폴라 컨버터(104)는 그 I 및 Q 성분들을 진폭 성분(AMP) 및 위상 성분(PHA)으로 변환한다. 진폭 성분은 전송 신호의 진폭 정보를 전달하며, 위상 성분은 전송 신호의 위상 정보를 전달한다. 진폭 성분은 진폭 경로에 적용되고 위상 성분은 폴라 전송기의 위상 경로에 적용된다.
디지털 위상 성분은 위상 변조기(108)에서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로부터 아날로그 라디오 주파수 신호로 위상 변조된다. 위상 변조기(108)에서, 위상 성분은 위상 동기 루프와 같은 로컬 오실레이터에 의해 제공되는 오실레이터 신호를 위상 변조시키고, 오실레이터 신호의 주파수는 상향 변환된 위상 성분의 (중심) 라디오 주파수를 규정한다. 위상 변조는 단위 진폭 및 시변(time-varying) 위상을 가진 복소 값 위상 성분의 실수부 및 허수부가 로컬 오실레이터에 의해 제공되는 라디오 주파수 오실레이터 신호의 동상 및 직교 성분과 믹스되는 직접 변환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위상 변조의 또 다른 예는 수치 제어형 오실레이터(NCO, numerically controlled oscillator)를 이용하여 일정 진폭 및 시변 위상을 갖는 중간 주파수(IF) 신호를 직접 디지털 합성하며,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를 이용하여 디지털 IF 위상 성분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그리고 로컬 오실레이터 신호와 믹스하여 그 아날로그 IF 위상 성분을 라디오 주파수로 상향 변환하는 것이다. 위상 변조의 또 다른 예는 위상 성분의 시간 도함수를 가지고 로컬 오실레이터를 제어하여 위상 동기 루프의 주파수를 가변하는 것을 포함한다. 물론, 이러한 것들은 단지 위상 변조의 예들일 뿐이고, 본 발명을 결코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나서, 상향 변환된 아날로그 위상 성분은 증폭을 위해 전력 증폭기(110)에 적용된다.
전송 신호의 디지털 진폭 성분은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 114)에서 아날로그 진폭 성분으로 변환된다. 그런 다음에, 아날로그 진폭 성분은 전력 증폭기(110)에 전력 공급원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스위치-모드 전력 공급원(SMPS, switched-mode power supply) 유닛(116)에 적용된다. 스위치-모드 전력 공급원 유닛(116)은 입력된 아날로그 진폭 성분의 제어하에서 전력 공급원 신호를 공급한다. 그에 따라, 스위치-모드 전력 공급원 유닛(116)에 의해 제공되는 전력 공급원 신호는 진폭 성분의 진폭 레벨들을 추종한다. 그 결과로, 위상 변조된 라디오 주파수 신호는 전력 공급원 신호로 진폭-변조되어 전력 증폭기(110)에서 증폭된다. 그리고 나서, 전력 증폭기(110)로부터 출력되는 전력 증폭된 전송 신호가 전송 회로(112)에 적용되어 안테나를 통해 전송된다. 전송 회로(112)는 라디오 전송기에서 전력 증폭기 다음에 일반적인 아날로그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구성요소들은 전송기의 설계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위에서는, SMPS 유닛(116)이 단지 전력 증폭기(110)를 위한 전형적인 전력 공급원 유닛으로서만 기술되었다. 다른 가능한 전력 공급원 유닛들에는 선형 전력 공급원 유닛, 선형 전력 공급원 및 SMPS 전력 공급원 유닛의 결합, 그리고 전력 증폭기(110)와 협력하여 진폭 성분을 위상 성분과 결합할 수 있는 다른 회로 구성이 있다. 선형 전력 공급원 및 SMPS 전력 공급원 유닛의 결합인 경우, 그 두 전력 공급원 유닛들은 직렬 또는 병렬로 배열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위에서 기술한 폴라 전송기는 DAC(114)에서의 변환으로부터 파생된 의사(spurious) 신호 성분들을 필터링하도록 구성된 저역 통과 필터와 같은 추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진폭 경로는 진폭 경로 및 위상 경로 간의 상이한 지연(delay)들을 보상하도록 구성된 지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지연들의 차는, 특히 상이한 신호 처리 동작들에 기인한다.
도 1에 도시된 폴라 전송기는 "칸 방식 (Kahn scheme)"에 기반하는 일반적인 포락선-제거-및-복구-전송기(envelope-elimination-and-restoration-transmitter) 구조를 구현한다. 도 6은 폴라 전송기의 또 다른 구현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여기서 폴라 컨버터(600)는 전송 신호의 I 및 Q 성분들을 한 위상 성분 PHA 및 두 개의 진폭 성분들 AMP1 및 AMP2로 변환하는데, 이 경우에 진폭 성분들 AMP1 및 AMP2는 아래의 수학식 1 및 2들을 따른다:
Figure 112011093000121-pct00001
삭제
Figure 112011093000121-pct00010
삭제
상기 수학식들 중 TH1은 전력 증폭기(110) 내에 입력되는 최소 전력 공급원 전압을 규정할 수 있는 소정 문턱치이다. 그에 따라, 제1 진폭 성분 AMP1은 전송 신호의 진폭 정보의 일부를 운반하지만, 전송 신호의 진폭 정보의 나머지는 가령 곱셈기에 의해 구현된 스케일링 유닛(602)에 입력되는 제2 진폭 성분을 통해 위상 경로에서 운반될 수 있다. 스케일링 유닛은 위상 변조기(108) 및 전력 증폭기 사이에 배치되어, 위상 성분이 스케일링(또는 진폭 변조)되게 할 수 있다. 제1 진폭 성분 AMP1은 SMPS 유닛(116)으로 하여금, 원하는 성능을 위해 전력 증폭기(110)에서 요구되는 최소 레벨보다 높은 전력 공급원 신호를 전력 증폭기(110)에 적용하게 하는 레벨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폴라 전송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실시예에서도 역시 전송 신호의 진폭 성분이 두 개의 진폭 성분들 AMP1 및 AMP2로 나누어지지만, 이 실시예는 또한 전치왜곡(predistortion) 유닛(700)에서 진폭 성분 AMP 및 위상 성분 PHA의 전치왜곡을 구현하기도 한다. 전치왜곡 유닛(700)은 진폭 및 위상 전치왜곡을 위해 룩업 테이블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전치왜곡은 가령 전력 증폭기(110)에 의해 야기된 전치왜곡을 보상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전송 신호의 진폭 및 위상 성분들 AMP 및 PHA가 전력 증폭기(110)의 알고 있는 왜곡 특성들에 따라 전치왜곡 유닛(700)에서 비선형적으로 전치왜곡된다. 진폭 전치왜곡 룩업 테이블 AM-AM은 입력된 진폭 성분의 각각의 값을 두 개의 진폭 값들에 매핑하는데, 여기서 하나의 값은 제1 전치왜곡 진폭 성분의 출력 값 AMP1_p에 해당하고, 다른 하나의 값은 제2 전치왜곡 진폭 성분의 출력 값 AMP2_p에 해당한다. 이와 유사하게, 위상 전치왜곡 룩업 테이블 AM-PM은 입력된 위상 성분의 각각의 값을 전치왜곡 위상 성분의 출력 값 PHA_p에 해당하는 위상 값에 매핑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폴라 전송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실시예는 위에서 기술한 어느 한 폴라 전송기 구조에도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이 분야의 기술자라면 아래에서 기술될 실시예들 역시 다른 전송기 구조에도 적용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기술되는 폴라 전송기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내에 기재되어 있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의 장기 진화(LTE, long-term evolution) 버전의 라디오 전송기에서 사용하기 위해 구성된 것이다. UMTS의 LTE 버전은 다운링크 통신을 위해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를 이용하고, 업링크 통신을 위해 단일-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SC-FDMA)를 이용한다. LTE를 위한 3GPP 사양서들에서 알 수 있듯이, SC-FDMA는 OFDMA 다중 액세스 방식의 변형 버전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폴라 전송기는 UMTS의 LTE 버전의 단말기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폴라 전송기는 단일 주파수 라디오 신호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UMTS의 LTE 버전에서의 업링크 통신과 관련하여, 한 셀 내에서 이용가능한 주파수 스펙트럼이 전송 자원 블록들로 분할되는데, 이때 각각의 전송 자원 블록은 소정의 대역폭, 가령 180 kHz의 대역폭을 가진다. 각각의 전송 자원 블록은 고정된 수의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서브캐리어는 15 kHz의 대역폭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한 전송 자원 블록에는 12개의 서브캐리어들이 포함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전송 자원 블록들은 데이터 전송을 위해 소정 단말기에 할당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단말기에 할당되는 전송 자원 블록들의 개수는 단말기에 할당되는 대역폭 및 데이터 레이트를 사실상 규정한다. 따라서, 단말기에 할당되는 대역폭은 n*180 kHz라고 표시될 수 있으며, 여기서 n은 단말기에 할당된 전송 자원 블록들의 개수이다. 단말기에 할당가능한 전송 자원들의 수는 최대 100개에 이를 수 있으며, n=100일 경우에 18 MHz의 대역폭이 부여된다.
도 2는 폴라 전송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이 구조에서는 진폭 경로의 대역폭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제한되어 진폭 경로 내의 잡음에 의해 야기되는 의사 신호 성분들이 억제되게 한다. 의사 신호 성분들을 억제할 때 얻어지는 이점들은, 업링크 통신의 품질 및 셀의 용량이 개선된다는 점이다. 의사 신호 성분들은 이웃하는 주파수들에서의 통신 품질을 저하시키는 인접 채널 누설(adjacent-channel leakage)을 일으키는 것이 전형적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서와 동일한 참조 부호들을 갖는 구성요소들은 상응하는 구성요소들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폴라 컨버터(104)로부터 출력된 전송 신호의 진폭 성분은, 도 2의 폴라 전송기가 구현되는 단말기에 할당된 전송 자원 블록들의 개수에 따라 규정된 필터링 파라미터들을 가진 저역 통과 필터(200)에서 저역 통과 필터링된다. 저역 통과 필터(200)는 진폭 경로에서 SMPS(116) 전에 위치하는 아날로그 저역 통과 필터일 수 있다. 더 상세하게 기술하면, 저역 통과 필터(200)는 DAC(114) 및 SMPS(11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저역 통과 필터(200)는 적어도 하나의 아날로그 회로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아날로그 회로 구성요소의 파라미터들이 조정가능함으로써, 저역 통과 필터(200)의 통과 대역의 대역폭을 사실상 조정할 수 있다. 저역 통과 필터는 제어기(204)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기(204)의 동작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제어기(204)에 의해 판독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변형적으로는, 제어기(204)가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물론, 단말기의 설계에 따라 다른 구현예들이 또한 실현가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역 통과 필터(200)를 제어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프로세스는 제어기(204)에서 컴퓨터 프로세스로서 실행될 수 있다. 프로세스가 S1에서 시작된다. S2에서, 제어기(204)는 업링크 전송에 사용하기 위해 현재 단말기에 할당된 전송 자원 블록들의 개수를 판단한다. 제어기(204)는 단말기에 할당되어 단말기의 메모리 유닛(202)에 저장된 전송 파라미터들로부터 할당된 전송 자원 블록들의 수를 판단할 수 있다. S3에서, 제어기는 S2에서 판단된 할당된 자원 블록들의 개수와 관련이 있는 필터링 파라미터들을 찾는다. 이러한 용도로, 메모리 유닛(202)은 할당된 자원 블록들의 각각의 개수가 파라미터 집합에 링크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할 수 있다. 각각의 파라미터 집합은 저역 통과 필터(200)를 구성(configuration)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필터링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표 1에는 그러한 데이터베이스의 일례가 예시되어 있다. 표 1을 참조하면, 할당된 자원 블록들의 개수가 1인 것을 나타내는 필드는 파라미터 집합 #1에 링크되고, 할당된 자원 블록들의 개수가 2인 것을 나타내는 필드는 파라미터 집합 #2에 링크되는 식으로 되어 있다. 자원 블록들의 개수 및 대응하는 파라미터 집합들 간의 유사한 링크가 단말기에 할당가능한 자원 블록들의 모든 개수에 대해 구성될 수 있다. 표 1의 데이터베이스는 전송기 회로의 설계, 제작 및/또는 테스트 단계에서 구축될 수 있다. 관련된 전송 자원 블록들의 각각의 개수에 대해 필터링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최적의 파라미터 집합들이 예를 들면 저역 통과 필터의 계측 응답들로부터 정해지고 표 1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204)는 S3에서 먼저, S2에서 판단된 전송 자원 블록들의 개수에 상응하는 전송 자원 블록들의 개수를 나타내는 필드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다. 그런 다음에, 제어기(204)는 그 필드, 즉 할당된 전송 자원 블록들의 개수에 링크된 파라미터 집합을 검색하고, 할당된 전송 자원 블록들의 개수에 링크되는 것으로 찾아낸 파라미터 집합을 선택한다.
자원 블록들의 수 필터링 파라미터들
1 파라미터 집합 #1
2 파라미터 집합 #2
... ...
100 파라미터 집합 #100
S4에서, 제어기(204)는 필터링 파라미터들을 가지고 저역 통과 필터(200)를 구성한다. 실제로, 필터링 파라미터들은, 저역 통과 필터(200)를 원하는 특성이 갖춰지도록 튜닝하기 위해 저역 통과 필터(200)에 적용될 하나 이상의 제어 신호들을 규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역 통과 필터(200)는 제어기(204)에 의해 제공된 하나 이상의 제어 신호들을 가지고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 구성요소들은 가령 저역 통과 필터(200)에서 적합한 스위치들을 닫음으로써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204)는 저역 통과 필터(200)의 입력 노드와 출력 노드 사이의 회로 내에 연결될 저역 통과 필터의 결정된 구성요소(들)을 선택할 수 있음으로써, 저역 통과 필터(200)가 원하는 필터링 특성, 이를테면 대역 통과 대역폭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저역 통과 필터의 구성요소들의 선택은 S3에서 선택된 파라미터 집합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도 8은 입력 노드 IN에 연결된 제1 저항 Ra, 및 제1 저항 Ra 및 연산 증폭기(800)의 양(+)의 입력부 사이에 배치된 제2 저항 Rb를 구비한 능동 필터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제1 커패시터 Ca가 회로의 피드백 루프에 위치하고 저항들 Ra 및 Rb 사이에 연결된다. 연산 증폭기(800)의 양(+)의 입력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 제2 커패시터 Cb는 그 제2 커패시터에 연결된 스위치 SW1을 닫음으로써 회로에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제3 커패시터 Cc는 제2 커패시터 Cb와 병렬 연결되어 있지만, 이 제3 커패시터는 회로와 항상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204)는 선택된 필터링 파라미터들에 따라 스위치 SW1을 선택적으로 닫아서, 제2 커패시터 Cb를 저역 통과 필터 회로의 입력 노드 IN과 출력 노드 OUT 사이의 회로에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필터에서 처리되는 신호의 전력이 (SMPS 유닛(116)의 출력 단계에서처럼) 높을 때, 스위치들을 한 단상에서 접지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역 통과 필터가 SMPS 유닛(116) 전에 배치되는 위에서 기술된 능동 필터에서처럼 작은 신호 노드가 없다면, 스위치가 또한 저역 통과 필터 회로의 두 구성요소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8은 튜닝가능한 필터링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간략화된 필터를 도시한 도면이며, 실제 구현예들은 저역 통과 필터(200)에 필요한 상이한 구성들의 수에 따라 더 복잡해질 수 있다. 변형적으로는, 저역 통과 필터(200)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가령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들의 파라미터들이 제어기에 의해 조정될 수 있고, 조정의 정도는 S3에서 선택된 파라미터 집합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DAC(114) 및 SMPS(116) 사이에 아날로그 저역 통과 필터(200)를 제공하는 이점은, 그 저역 통과 필터(200)가 단말기에 할당된 대역폭 외의 신호 성분들뿐 아니라, 진폭 성분이 전력 공급원 신호 생성을 위해 SMPS 유닛(116)에 적용되기 전에 DAC(114)의 이상적이지 못한 특성에 의해 야기된 의사 신호 성분들을 필터링한다는 점이다. 또한, 저역 통과 필터(200)의 고집적도가 이루어진다. 저역 통과 필터가 SMPS 유닛(116) 다음에 위치해 있다면, 그 저역 통과 필터(200)는 고 레벨 전류를 처리해야 하는데 이는 저역 통과 필터(200)의 집적도를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SMPS(116)는 저역 통과 필터링된 진폭 성분으로부터 전력 증폭기(110)를 위한 전력 공급원 신호를 생성한다. 저역 통과 필터(200)가 별도의 집적 회로 내에서 구현되거나, SMPS(116)와 함께 같은 집적 회로에 적용될 수 있다. 더욱이, 저역 통과 필터(200)는 SMPS(116)의 회로 내에 집적되어, 저역 통과 필터링이 진폭 성분의 제어하에서 전력 공급원 신호의 생성 전이나 그 도중에 수행될 수 있다. 저역 통과 필터가 SMPS 유닛(116) 내에 집적되는 한 실시예에서, SMPS 유닛(116)의 피드백 루프가 선택된 필터링 파라미터들을 가지고 저역 통과 필터링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역 통과 필터링은 SMPS 유닛(116)의 피드-포워드 (feed-forward) 경로 내에나 피드백 경로 내에 필터를 배치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더군다나, 저역 통과 필터(200)는 DAC(114)와 함께 같은 집적 회로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저역 통과 필터가 폴라 전송기의 진폭 경로에서 DAC(114) 전에 위치한 디지털 저역 통과 필터(300)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저역 통과 필터(300)는 유한 임펄스 응답(FIR, finite impulse response) 필터나 무한 임펄스 응답(IIR, infinite impulse response) 필터일 수 있다. 저역 통과 필터(300)는 제어기(304)가 현재 디지털 저역 통과 필터를 제어한다는 점에서 도 2의 제어기(204)의 기능과는 약간 다른 기능을 가진 제어기(304)에 의해 제어된다. 달리 말해, 제어기(304)는 저역 통과 필터(300)에 대한 계수들(coefficients)을 포함하는 필터링 파라미터들을 선택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위에서 기술한 프로세스는 이러한 실시예를 수용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기(304)는 업링크 통신을 위해 단말기에 할당된 전송 자원 블록들의 개수에 따라 저역 통과 필터(300)의 계수들을 선택한다. S1 및 S2 단계들은 위에서 기술한 단계들과 유사할 수 있다. S3에서, 제어기(304)는 할당된 전송 자원 블록들의 결정된 개수에 링크된 필터링 파라미터들을 메모리 유닛(302)에서 체크한다. 메모리 유닛(302)은 표 1의 테이터베이스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때 데이터베이스는 각각의 필터링 파라미터 집합이 디지털 저역 통과 필터(300)에 대한 저역 통과 필터 계수들을 포함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304)는 S3에서, 메모리 유닛(302)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할당된 전송 자원 블록들의 결정된 개수에 링크된 계수들을 찾아서 그 계수들을 디지털 저역 통과 필터(300)의 필터링 계수들로서 선택한다. S4에서, 제어기(304)는 선택된 계수들을 가지고 디지털 저역 통과 필터(300)를 구성한다, 즉 선택된 계수들을 저역 통과 필터(300)에 적용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위에서 기술한 실시예에서, 진폭 경로 및 위상 경로 사이의 가변 지연(variable delay)에 대한 보상이 저역 통과 필터(300) 내에 병합될 수 있고, 가변 지연은 표 1의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된 필터링 파라미터들에서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저역 통과 필터(300)는 제어기(304)의 제어하에서, 저역 통과 필터링 및 지연 보상 모두를 수행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이점은 폴라 전송기에서 필요로 하는 구성요소들의 감축인데, 이는 하나의 저역 통과 필터(300)가 두 가지 동작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다른 실시예가 도 2를 참조하여 위에서 기술한 실시예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저역 통과 필터(300)는 반드시 이상적인 구성요소일 필요는 없으며, 그것이 그룹 지연 왜곡, 통과 대역 전압 리플(ripple), 및/또는 진폭 성분에서의 공칭 지연(nominal delay)을 도입시킴으로써 진폭 성분을 왜곡시킬 수 있다. 이러한 왜곡들은 저역 통과 필터(200)를 구성하는 파라미터들에 의존할 수 있다. 이 왜곡들은 도 4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기술될 실시예에서 보상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2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DAC(114) 및 SMPS 유닛(116) 사이에 저역 통과 필터(200)가 제공된다. 저역 통과 필터(200)의 필터링 파라미터들은 도 2를 참조하여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제어기(404)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는 업링크 통신을 위해 단말기에 할당된 전송 자원 블록들의 개수에 따라 선택된 필터링 파라미터들을 가지고 저역 통과 필터(200)를 구성한다. 그 외에도, DAC(114) 전에 디지털 필터의 형태로 이퀄라이저(equalizer, 400)가 배치된다. 이퀄라이저는 이 실시예에 따른 폴라 전송기의 설계에 따라, 다상(poly-phase) FIR 필터 또는 다상 IIR 필터일 수 있다. 제어기(404)는 업링크 통신을 위해 단말기에 할당된 전송 자원 블록들의 개수에 따라 이퀄라이저(400)를 위한 필터 계수들을 포함하는 가중(weighting) 파라미터들을 선택할 수 있다.
도 5의 프로세스는 이하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에 대해 수정될 수 있다. S1 및 S2 단계들은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수행될 수 있고, S3 및 S4 단계들이 도 2의 실시예와 관련지어 기술한 바와 같이 저역 통과 필터의 필터링 파라미터들의 선택을 위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S3 및 S4 단계들과 표 1의 데이터베이스는 이퀄라이저(400)를 위한 가중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도록 수정된다. S3에서, 제어기(404)는 업링크 통신을 위해 단말기에 할당된 전송 자원 블록들의 개수와 관련이 있는 필터링 파라미터들 및 가중 파라미터들을 메모리 유닛(402)에서 체크한다. 그 파라미터들은 표 1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데, 그 데이터베이스에서 각각의 파라미터 집합은 저역 통과 필터(200)를 위한 필터링 파라미터들과 이퀄라이저(400)를 위한 가중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파라미터 집합 내의 필터링 파라미터들 및 가중 파라미터들은 데이터베이스 내의 주어진 파라미터 집합에 링크된 전송 자원 블록들의 개수에 대해 최적의 것이 되도록 결정된다. 따라서, 제어기(404)는 S3 단계에서, S2 단계에서 결정된 할당된 전송 자원 블록들의 개수에 링크된 파라미터 집합으로부터 필터링 파라미터들 및 가중 파라미터들을 선택한다.
S4에서, 제어기(404)는 S3에서 선택된 필터링 파라미터들과 가중 파라미터들을 가지고 각각 저역 통과 필터(200) 및 이퀄라이저(400)를 구성한다. 따라서, 제어기(404)는 선택된 파라미터 집합에 포함된 계수들을 이퀄라이저(400)에 적용하고, 그 결과로 이퀄라이저(400)는 제어기(404)에 의해 제공된 계수들을 가지고 진폭 성분을 가중한다.
전송기 회로의 설계, 제작, 및/또는 테스트 단계 도중에 상이한 개수의 전송 자원 블록들에 대한 가중 파라미터들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 개수의 전송 자원 블록들에 링크된 소정 필터링 파라미터들에 의해 구성된 저역 통과 필터의 응답이 계측될 수 있고, 그 저역 통과 필터에 의해 유발된 왜곡이 그 계측된 응답으로부터 판단될 수 있다. 그런 다음에, 왜곡을 보상하기 위한 계수들이 산출되어 데이터베이스 내의 파라미터 집합 내에 저장될 수 있는데, 상기 파라미터 집합은 해당 전송 자원 블록들의 개수에 링크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개수의 전송 자원 블록들에 대해 그룹 지연 왜곡, 통과 대역 리플, 및 저역 통과 필터 및 전체 크기 경로의 공칭 지연이 계측될 수 있고, 그렇게 계측된 그룹 지연 왜곡, 통과 대역 리플, 및 공칭 지연을 보상하는 가중 파라미터들이 산출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그 결과로, 진폭 경로 및 위상 경로 사이의 가변 지연에 대한 보상이 이퀄라이저(400) 내에 통합될 수 있고, 가변 지연은 표 1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가중 파라미터들에서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이퀄라이저(400)는 제어기(404)의 제어하에서, 저역 통과 필터(200)에 의해 야기된 왜곡에 대한 보상과 진폭 경로의 지연 보상 모두를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도 3의 저역 통과 필터 및/또는 도 4의 이퀄라이저(400)는 데시메이션 연산(decimation operation)을 병합하도록 수정되어, 진폭 성분이 DAC(114)에 적용되기 전에 디지털 진폭 성분의 샘플링 레이트가 줄어들게 할 수 있다. DAC의 샘플링 레이트 감축은 DAC의 처리 감소, 결과적으로는 DAC의 전력 소비 감소의 결과를 초래시킨다. 데시메이션을 수행하기 위해, 저역 통과 필터(300) 및/또는 이퀄라이저(400)는 (n<m일 경우에) m개의 입력 샘플들을 n개의 출력 샘플들로 변환하여, m/n 팩터(factor)로 데시메이션을 수행함으로써 데시메이션을 수행하는 디지털 다상 필터를 병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령 다상 필터를 통한 실질적 데시메이션 연산은 그 자체로서 이 분야에 잘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더 상세하게 기술되지 않을 것이다.
데시메이션을 이용하는 실시예에서, 데시메이션 팩터 n/m은 업링크 통신을 위해 모바일 단말기에 할당된 전송 자원 블록들의 개수에 따라 가변적이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전송 자원 블록들의 각각의 개수에 대한 데시메이션 연산의 파라미터들이 표 1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이 개념은 전송 자원 블록들의 각각의 개수에 대해 최소한의 샘플링 레이트를 가짐으로써 DAC(114)가 가능한 최저 샘플링 레이트로 동작될 수 있게 하고, 그에 따라 DAC(114)의 전력 소비가 최적화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도 3의 실시예에서, 데시메이션 파라미터들이 저역 통과 필터(300)를 위한 필터링 파라미터들 내에 포함되어 저역 통과 필터(300)가 저역 통과 필터링 및 데시메이션 연산들 모두가 수행되게 할 수 있다. 저역 통과 필터(300)는 저역 통과 필터링 및 데시메이션 모두를 동시에 수행하도록 구성된 다상 필터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고, 저역 통과 필터(300)가 저역 통과 필터링을 수행하는 저역 통과 필터 부분과 데시메이션을 수행하는 데시메이션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같은 것이 도 4의 실시예에 적용된다, 즉 이퀄라이저(400)는 저역 통과 필터에 의해 야기된 의사 성분들을 억제하기 위해 산출된 필터링 파라미터들에 의해 구성되는 디지털 필터로서, 그리고 데시메이션을 수행하는 데시메이션 필터로서 동작한다. 이 실시예에서 아날로그 저역 통과 필터(200)가 DAC(114)를 위한 안티-앨리어싱(anti-aliasing) 필터로서도 기능을 수행한다.
동작시, 제어기(304 또는 404)는 메모리 유닛(302 또는 402)으로부터 할당된 전송 자원 블록들의 개수에 대응하는 데시메이션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필터링 파라미터들을 판독하여 그 파라미터들을 가지고 저역 통과 필터(300)나 이퀄라이저(400)를 구성한다. 그 외에도, 제어기는 DAC(114)의 샘플링 레이트를 제어하여 저역 통과 필터(300)나 이퀄라이저(400)에서 데시메이션된 입력 진폭 성분의 샘플링 레이트와 매치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표 1의 데이터베이스 역시 전송 자원 블록들의 각각의 개수에 대한 DAC(114)용 샘플링 파라미터들을 저장할 수 있으며, 제어기(304,404)는 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할당된 전송 자원 블록들의 개수와 관련이 있는 샘플링 파라미터들을 판독하여 선택된 샘플링 파라미터들에 따라 DAC(114) (또는 DAC(114)의 클록 생성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기술된 프로세스들이나 방법들은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정의된 컴퓨터 프로세서의 형태로도 수행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소스 코드 형식, 오브젝트 코드 형식, 또는 어떤 중간자 형식으로 되어 있을 수 있으며, 그러한 프로그램을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개체나 기기일 수 있는 어떤 유형의 캐리어 내에 저장될 수 있다. 그러한 캐리어들에 기록 매체, 컴퓨터 메모리, 리드-온리 (read-only) 메모리, 전기적 캐리어 신호, 통신 신호, 및 소프트웨어 배포 패키지 등이 포함된다. 필요한 프로세싱 전력에 따라, 컴퓨터 프로그램이 하나의 디지털 처리 유닛 내에서 실행되거나, 여러 개의 프로세싱 유닛들 간에 분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셀룰러나 모바일 통신 전송기들에 적용될 수 있으나, 다른 적절한 라디오 전송기들에도 역시 적용될 수 있다. 이 분야의 기술자라면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본 발명의 개념이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 및 그 실시예들은 위에서 기술한 예들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청구범위들 내에서 변형될 수 있다.

Claims (29)

  1. 라디오 전송기에서의 전송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전송을 위해 라디오 전송기에 할당된 대역폭으로 배분된 데이터 심볼들을 포함하는 전송 신호의 진폭 성분(amplitude component)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대역폭에 따라 필터링 파라미터들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필터링 파라미터들에 의해 구성된 저역 통과 필터에서 상기 진폭 성분을 저역 통과 필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신호의 위상 성분을 전력 증폭하기 위해 구성된 전력 증폭기의 전력 공급시 상기 저역 통과 필터링된 진폭 성분을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전송기에서의 전송 신호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전력 공급원 유닛에서, 상기 저역 통과 필터링된 진폭 성분으로부터 상기 전력 증폭기를 위한 전력 공급원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전송기에서의 전송 신호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신호의 전송을 위해, 상기 라디오 전송기에 할당되고 상기 라디오 전송기의 메모리 유닛에 저장된 전송 파라미터들로부터, 상기 대역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대역폭과 관련이 있는 필터링 파라미터들을 상기 메모리 유닛으로부터 찾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전송기에서의 전송 신호 처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역 통과 필터는 적어도 하나의 아날로그 회로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날로그 회로 구성요소의 파라미터들은 조정가능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필터링 파라미터들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진폭 성분을 저역 통과 필터링하는 단계 사이에서, 상기 대역폭에 따라 선택된 필터링 파라미터들을 가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날로그 회로 구성요소의 파라미터들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전송기에서의 전송 신호 처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역 통과 필터는 상기 저역 통과 필터의 입력 노드 및 출력 노드 사이의 한 회로 내에 연결할 수 있는 회로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대역폭에 따라 상기 저역 통과 필터의 회로 구성요소들을 상기 입력 노드 및 출력 노드 사이의 상기 회로 내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전송기에서의 전송 신호 처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폭 성분을 저역 통과 필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저역 통과 필터링된 진폭 성분을 이용하는 단계 사이에서, 상기 선택된 필터링 파라미터들을 가지고 상기 저역 통과 필터링을 수행하도록 전력 공급원 유닛의 피드백 루프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 공급원 유닛은 상기 전력 증폭기를 위한 전력 공급원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전송기에서의 전송 신호 처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역 통과 필터는 디지털 저역 통과 필터이고,
    상기 필터링 파라미터들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대역폭에 따라 상기 디지털 저역 통과 필터의 계수들을 포함하는 필터링 파라미터들을 선택하는 단계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전송기에서의 전송 신호 처리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루프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위상 성분에 대한 상기 진폭 성분의 지연을 보상하기 위해 디지털 저역 통과 필터를 구성하는 단계이고,
    상기 진폭 성분 및 위상 성분은 상이한 경로들을 통해 상기 전력 증폭기에 적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전송기에서의 전송 신호 처리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진폭 성분을 저역 통과 필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저역 통과 필터링된 진폭 성분을 이용하는 단계 사이에서,
    상기 대역폭에 따라 데시메이션 팩터(decimation factor)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데시메이션 팩터에 의해 구성된 디지털 저역 통과 필터에서 상기 진폭 성분의 샘플링 레이트를 데시메이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전송기에서의 전송 신호 처리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저역 통과 필터링된 진폭 성분으로부터 상기 전력 증폭기를 위한 전력 공급원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전력 공급원 유닛 내에 상기 저역 통과 필터링이 병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전송기에서의 전송 신호 처리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폭 성분을 저역 통과 필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저역 통과 필터링된 진폭 성분을 이용하는 단계 사이에서,
    상기 대역폭에 따라 가중 파라미터들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가중 파라미터들에 의해 구성된 이퀄라이저에서 상기 진폭 성분을 가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전송기에서의 전송 신호 처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이한 대역폭들을 가진 상기 저역 통과 필터의 신호 왜곡 특성들을 계측하는 단계;
    상기 저역 통과 필터의 상기 계측된 신호 왜곡 특성들로부터 각각의 대역폭에 대한 가중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메모리 유닛 내에, 해당하는 대역폭에 대한 링크와 함께, 상기 결정된 가중 파라미터들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전송기에서의 전송 신호 처리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 파라미터들을 가지고 상기 이퀄라이저를 구성하여, 그룹 지연 왜곡, 통과 대역 전압 리플, 및 위상 성분에 대한 진폭 성분의 공칭(nominal) 지연인, 상기 저역 통과 필터에 의해 야기된 왜곡 유형들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보상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전송기에서의 전송 신호 처리 방법.
  14. 라디오 전송기에서의 전송 신호 처리 장치에 있어서,
    전송을 위해 라디오 전송기에 할당된 대역폭으로 배분된 데이터 심볼들을 포함하는 전송 신호의 진폭 성분(amplitude component)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입력 노드를 구비한 저역 통과 필터;
    상기 대역폭에 따라 필터링 파라미터들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필터링 파라미터들을 가지고 상기 저역 통과 필터를 구성하여 상기 진폭 성분을 저역 통과 필터링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저역 통과 필터링된 진폭 성분은 상기 전송 신호의 위상 성분을 전력 증폭하기 위해 구성된 전력 증폭기의 전력 공급시 사용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전송기에서의 전송 신호 처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저역 통과 필터는,
    상기 저역 통과 필터링된 진폭 성분으로부터 상기 전력 증폭기를 위한 전력 공급원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전력 공급원 유닛의 입력 노드에 동작가능하게(operationally) 연결될 수 있는 출력 노드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전송기에서의 전송 신호 처리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전송 신호의 전송을 위해, 상기 라디오 전송기에 할당되고 상기 라디오 전송기의 메모리 유닛에 저장된 전송 파라미터들로부터, 상기 대역폭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대역폭과 관련이 있는 필터링 파라미터들을 상기 메모리 유닛으로부터 찾도록 추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전송기에서의 전송 신호 처리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저역 통과 필터는 적어도 하나의 아날로그 회로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날로그 회로 구성요소의 파라미터들은 조정가능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대역폭에 따라 선택된 필터링 파라미터들을 가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날로그 회로 구성요소의 파라미터들을 조정하도록 추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전송기에서의 전송 신호 처리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저역 통과 필터는 상기 저역 통과 필터의 입력 노드 및 출력 노드 사이의 한 회로 내에 연결할 수 있는 회로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대역폭에 따라 상기 저역 통과 필터의 회로 구성요소들을 상기 입력 노드 및 출력 노드 사이의 상기 회로 내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추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전송기에서의 전송 신호 처리 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증폭기를 위한 전력 공급원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전력 공급원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선택된 필터링 파라미터들을 가지고 상기 저역 통과 필터링을 수행하도록 상기 전력 공급원 유닛의 피드백 루프를 구성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전송기에서의 전송 신호 처리 장치.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저역 통과 필터는 디지털 저역 통과 필터이고,
    상기 필터링 파라미터들을 선택하는 것은, 상기 대역폭에 따라 상기 디지털 저역 통과 필터의 계수들을 포함하는 필터링 파라미터들을 선택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전송기에서의 전송 신호 처리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위상 성분에 대한 상기 진폭 성분의 지연을 보상하기 위해 디지털 저역 통과 필터를 설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진폭 성분 및 위상 성분은 상이한 경로들을 통해 상기 전력 증폭기에 적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전송기에서의 전송 신호 처리 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진폭 성분을 저역 통과 필터링한 후에 그리고 상기 저역 통과 필터링된 진폭 성분을 이용하기 전에, 상기 대역폭에 따라 데시메이션 팩터(decimation factor)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데시메이션 팩터에 의해 상기 진폭 성분의 샘플링 레이트를 데시메이션하도록 디지털 저역 통과 필터를 설정하도록 추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전송기에서의 전송 신호 처리 장치.
  23. 제14항에 있어서,
    저역 통과 필터링된 진폭 성분으로부터 상기 전력 증폭기를 위한 전력 공급원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전력 공급원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저역 통과 필터는 상기 전력 공급원 유닛 내에 병합되는 아날로그 필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전송기에서의 전송 신호 처리 장치.
  24. 제14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퀄라이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대역폭에 따라 가중 파라미터들을 선택하고, 상기 가중 파라미터들을 가지고 상기 이퀄라이저를 설정하여 상기 진폭 성분을 가중시키도록 추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전송기에서의 전송 신호 처리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중 파라미터들은 상기 저역 통과 필터의 계측된 신호 왜곡 특성들로부터 각각의 대역폭에 대해 미리 결정되어, 해당하는 대역폭에 대한 링크와 함께 상기 메모리 유닛 내에 미리 저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전송기에서의 전송 신호 처리 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가중 파라미터들을 가지고 상기 이퀄라이저를 설정하여, 그룹 지연 왜곡, 통과 대역 전압 리플, 및 위상 성분에 대한 진폭 성분의 공칭(nominal) 지연인, 상기 저역 통과 필터에 의해 야기된 왜곡 유형들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보상하도록 추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전송기에서의 전송 신호 처리 장치.
  27. 라디오 전송기에서의 전송 신호 처리 장치에 있어서,
    전송을 위해 라디오 전송기에 할당된 대역폭으로 배분된 데이터 심볼들을 포함하는 전송 신호의 진폭 성분(amplitude component)을 획득하기 위한 수단;
    상기 대역폭에 따라 필터링 파라미터들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선택된 필터링 파라미터들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진폭 성분을 저역 통과 필터링하기 위한 저역 통과 필터링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저역 통과 필터링된 진폭 성분은 상기 전송 신호의 위상 성분을 전력 증폭하기 위해 구성된 전력 증폭기의 전력 공급시 사용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전송기에서의 전송 신호 처리 장치.
  28. 컴퓨터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내에 로드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컴퓨터 프로세스를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세스는,
    전송을 위해 라디오 전송기에 할당된 대역폭에 따라 필터링 파라미터들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필터링 파라미터들을 가지고 저역 통과 필터를 구성하여 전송 신호의 진폭 성분을 저역 통과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저역 통과 필터링된 진폭 성분은, 상기 전송 신호의 위성 성분을 전력 증폭하기 위해 구성되는 전력 증폭기의 전력 공급시 사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세스는,
    상기 전송 신호의 전송을 위해, 상기 라디오 전송기에 할당되고 상기 라디오 전송기의 메모리 유닛에 저장된 전송 파라미터들로부터, 상기 대역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대역폭과 관련이 있는 필터링 파라미터들을 상기 메모리 유닛으로부터 찾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107013485A 2007-12-21 2008-12-17 라디오 전송기에서의 전송 신호 처리 KR1011572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75958 2007-12-21
FI20075958A FI20075958A0 (fi) 2007-12-21 2007-12-21 Lähetettävien signaalien prosessointi radiolähettimessä
US12/071,376 US7991074B2 (en) 2007-12-21 2008-02-20 Processing transmission signals in radio transmitter
US12/071,376 2008-02-20
PCT/FI2008/050752 WO2009080877A1 (en) 2007-12-21 2008-12-17 Processing transmission signals in radio transmit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031A KR20100082031A (ko) 2010-07-15
KR101157219B1 true KR101157219B1 (ko) 2012-06-20

Family

ID=38951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3485A KR101157219B1 (ko) 2007-12-21 2008-12-17 라디오 전송기에서의 전송 신호 처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991074B2 (ko)
EP (5) EP4254848A3 (ko)
KR (1) KR101157219B1 (ko)
CN (1) CN101904103B (ko)
ES (3) ES2879253T3 (ko)
FI (1) FI20075958A0 (ko)
PL (3) PL3716560T3 (ko)
WO (1) WO20090808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20075958A0 (fi) 2007-12-21 2007-12-21 Nokia Corp Lähetettävien signaalien prosessointi radiolähettimessä
US8073044B2 (en) * 2008-01-02 2011-12-06 Broadcom Corporation Polar transmitter with digital and analog filtering of envelope
JP2010035158A (ja) * 2008-06-30 2010-02-12 Panasonic Corp 送信回路及び送信回路を用いた通信機器
US20100009641A1 (en) * 2008-07-11 2010-01-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Ltd. Digital rf phase control in polar modulation transmitters
US8489046B2 (en) * 2008-07-21 2013-07-16 Panasonic Corporation Signal decomposi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multi-mode transmitters
US8537041B2 (en) 2011-05-12 2013-09-17 Andrew Llc Interpolation-based digital pre-distortion architecture
US9071302B2 (en) 2011-09-06 2015-06-30 Apple Inc. Radio-frequency power amplifier circuitry with power supply voltage optimization capabilities
WO2013145748A1 (ja) * 2012-03-30 2013-10-03 日本電気株式会社 増幅器および増幅方法
US8982972B2 (en) * 2012-04-30 2015-03-17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n input signal
US8848831B2 (en) * 2012-09-20 2014-09-30 Lsi Corporation Direct digital synthesis of quadrature modulated signals
US9419770B2 (en) * 2014-03-31 2016-08-16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synchronous OFDMA/SC-FDMA
US10531432B2 (en) 2015-03-25 2020-01-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esource allocation for sparse code multiple access transmissions
US10701685B2 (en) 2014-03-31 2020-06-30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synchronous OFDMA/SC-FDMA
KR101605697B1 (ko) * 2014-10-21 2016-04-01 주식회사 엘아이씨티 진폭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위상변조기의 진폭에 변조시키는 폴러송신기
IL263850B (en) * 2018-12-19 2020-06-30 Elbit Systems Land & C4I Ltd System and method for compensating for ripple generated from a power supply
US10778355B1 (en) * 2019-06-05 2020-09-15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Nasa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cheme for phasing synthetic aperture radars and receivers
US11251785B1 (en) * 2021-03-29 2022-02-15 Infineon Technologies Ag Spurious components reduction
US11942899B2 (en) 2021-06-18 2024-03-26 Qorvo Us, Inc. Envelope tracking voltage correction in a transmission circuit
US11906992B2 (en) 2021-09-16 2024-02-20 Qorvo Us, Inc. Distributed power management circuit
US20230080621A1 (en) * 2021-09-16 2023-03-16 Qorvo Us, Inc. Phase and amplitude error correction in a transmission circuit
US11962338B2 (en) 2021-09-16 2024-04-16 Qorvo Us, Inc. Equalization filter calibration in a transceiver circui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1706A (ko) * 2002-03-08 2004-10-28 앤드류 코포레이션 통신 네트워크들에서의 스퓨리어스 방사들을 감소시키기위한 주파수 의존적 크기 전치 왜곡
KR20050001446A (ko) * 2003-06-27 2005-01-06 앤드류 코포레이션 비대칭 특성을 갖는 전력 증폭기의 선형화를 위한 디지털전치 왜곡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5439B1 (ko) * 1998-08-01 2001-07-12 윤종용 다중 주파수 대역폭 무선통신시스템의 송신장치
US6377784B2 (en) 1999-02-09 2002-04-23 Tropian, Inc. High-efficiency modulation RF amplifier
DE10121517A1 (de) 2001-05-03 2002-11-14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instellen eines aktiven Filters
EP1271779A1 (en) * 2001-06-20 2003-01-02 Motorola, Inc. Adaptive radio frequency (RF) filter
JP2004534469A (ja) * 2001-07-03 2004-11-11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高周波信号の増幅を制御する方法
US20030078011A1 (en) 2001-10-18 2003-04-24 Integrated Programmable Communications, Inc. Method for integrating a plurality of radio systems in a unified transceiver structure and the device of the same
AU2003228602A1 (en) 2002-04-22 2003-11-03 Cognio, Inc.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radio transceiver
GB0212740D0 (en) * 2002-05-31 2002-07-10 Hitachi Ltd Transmitt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transmitter
WO2003105390A2 (en) 2002-06-07 2003-12-1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 direct conversion multi-carrier processor
DE10259356A1 (de) 2002-12-18 2004-07-15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Sendestufe
JP4230238B2 (ja) 2003-02-06 2009-02-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送信装置及びその調整方法
US7092683B2 (en) 2003-04-01 2006-08-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ransmission circuit
EP1650864A4 (en) 2003-07-25 2006-06-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GAIN DEVICE
EP1671197B1 (en) 2003-09-16 2013-08-28 Nokia Corporation Hybrid switched mode/linear power amplifier power supply for use in polar transmitter
JP4767583B2 (ja) 2004-06-29 2011-09-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歪補償回路
SE0401797D0 (sv) * 2004-07-08 2004-07-08 Andrew Corp A radio transmitter and a method of operating a radio transmitter
US7965982B2 (en) 2004-10-07 2011-06-21 Nokia Corporation Reconfigurab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and radio
JP4553696B2 (ja) 2004-11-25 2010-09-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送信機
US7394862B2 (en) * 2004-12-21 2008-07-01 Broadcom Corporation Multi-mode wireless polar transmitter architecture
US7400865B2 (en) 2005-02-09 2008-07-15 Nokia Corporation Variable bandwidth envelope modulator for use with envelope elimination and restoration transmitter architecture and method
DE102005006162B3 (de) * 2005-02-10 2006-08-17 Infineon Technologies Ag Sende-/Empfangseinrichtung mit einem eine einstellbare Vorverzerrung aufweisenden Polar-Modulator
JP4628142B2 (ja) * 2005-03-03 2011-02-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ポーラ変調送信装置、無線通信機及び電源電圧制御方法
US7460843B2 (en) 2005-03-17 2008-12-02 Panasonic Corporation Amplifier apparatus, polar modulation transmiss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DE102005013880B3 (de) 2005-03-24 2006-04-20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zur Vorverzerrung eines Signals und Sendeeinrichtung mit digitaler Vorverzerrung, insbesondere für Mobilfunk
US7792214B2 (en) * 2005-04-27 2010-09-07 Panasonic Corporation Polar modulation transmitter circuit and communications device
FI20055284A0 (fi) 2005-06-03 2005-06-03 Nokia Corp Vastaanotin, lähetin ja vaihtuvan kaistanleveyden lähetysmenetelmä
CN101039297A (zh) 2006-03-17 2007-09-19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虚拟资源块到物理资源块的映射方法及系统
FI20075958A0 (fi) 2007-12-21 2007-12-21 Nokia Corp Lähetettävien signaalien prosessointi radiolähettimess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1706A (ko) * 2002-03-08 2004-10-28 앤드류 코포레이션 통신 네트워크들에서의 스퓨리어스 방사들을 감소시키기위한 주파수 의존적 크기 전치 왜곡
KR20050001446A (ko) * 2003-06-27 2005-01-06 앤드류 코포레이션 비대칭 특성을 갖는 전력 증폭기의 선형화를 위한 디지털전치 왜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704833T3 (es) 2019-03-20
US20090161793A1 (en) 2009-06-25
KR20100082031A (ko) 2010-07-15
EP4254848A3 (en) 2023-12-20
EP3435613B1 (en) 2020-02-19
PL3435613T3 (pl) 2020-09-21
EP3435613A1 (en) 2019-01-30
EP2232713B1 (en) 2018-10-10
EP3716560A1 (en) 2020-09-30
ES2879253T3 (es) 2021-11-22
PL3716560T3 (pl) 2021-11-15
EP3941011C0 (en) 2023-07-12
FI20075958A0 (fi) 2007-12-21
PL2232713T3 (pl) 2019-05-31
EP4254848A2 (en) 2023-10-04
US7991074B2 (en) 2011-08-02
CN101904103A (zh) 2010-12-01
EP3941011A1 (en) 2022-01-19
WO2009080877A1 (en) 2009-07-02
CN101904103B (zh) 2013-07-31
EP3716560B1 (en) 2021-06-23
ES2791494T3 (es) 2020-11-04
EP3941011B1 (en) 2023-07-12
EP2232713A1 (en) 2010-09-29
EP2232713A4 (en) 2014-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7219B1 (ko) 라디오 전송기에서의 전송 신호 처리
KR101196519B1 (ko) 스퓨리어스 방사 상쇄 기능을 갖는 송신기, 무선 통신 장치, 및 스퓨리어스 방사 상쇄 방법
US69343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urality signal generation
US8050637B2 (en) Polar modulation transmitter, adaptive distortion compensation processing system, polar modul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adaptive distortion compensation processing method
US6647073B2 (en) Linearisation and modulation device
US9236898B2 (en) Multi-band observation receiver
US7092683B2 (en) Transmission circuit
EP2541781A1 (en) Rf transmitter architecture and method therefor
JP4903718B2 (ja) マルチモード対応極座標変調送信装置、及び、マルチモード無線通信方法
EP1085668A2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adjacent channel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JP2005244935A (ja) 送信装置及び無線通信装置
EP2903170B1 (en) Duplexing apparatus, wireless devices and related methods
JP4970449B2 (ja) Vco粗調整ビットを用いた一体型位相回転器のバンドパスフィルタの中心周波数制御
JP5151785B2 (ja) 送信機及び送受信装置
EP1612933A1 (en) Distortion compensation device
JP2006094043A (ja) 送信装置及び通信装置
Groe A multimode cellular radio
EP2040375A1 (en) Power amplifier module and method of generating a drain voltage for a power amplifier
KR19990002517A (ko) 전치왜곡 방식을 채택한 무선 송신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