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4220B1 - 발효 청국장 분말 또는 발효 청국장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발효 청국장 분말 또는 발효 청국장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4220B1
KR101154220B1 KR1020080116566A KR20080116566A KR101154220B1 KR 101154220 B1 KR101154220 B1 KR 101154220B1 KR 1020080116566 A KR1020080116566 A KR 1020080116566A KR 20080116566 A KR20080116566 A KR 20080116566A KR 101154220 B1 KR101154220 B1 KR 101154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ed
cheonggukjang
powder
extract
fermented cheonggukja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6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7937A (ko
Inventor
원무호
황인구
유기연
박옥규
권대영
양혜정
김현진
김민정
강희주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16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4220B1/ko
Publication of KR20100057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7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4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4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50Fermented pulses or legumes; Fermentation of pulses or legumes based on the addition of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3Liquid-solid separation, e.g. centrifugation, sedimentation or crystalliz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효 청국장 분말 또는 발효 청국장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발효 청국장 분말 또는 발효 청국장 추출 분획물은 부신유래의 PC12세포주를 이용한 저산소환경에 의한 세포사 억제 실험 및 저빌을 이용한 허혈성 뇌질환 실험을 통해 PC12세포주 또는 해마조직 CA1 영역의 신경세포 손상을 효과적으로 예방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서,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발효 청국장, 허혈성 뇌질환, 신경세포

Description

발효 청국장 분말 또는 발효 청국장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the powder of a fermented Chungkukjang or the extracted fraction of a fermented Chungkukjang for treating and preventing ischemia damage disease}
본 발명은 발효 청국장 분말 또는 발효 청국장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Kirino, Brain Res., 239, pp. 57-69, 1982
[문헌 2] Nedergaard, Acta. Neurol. Scand., 77, pp. 81-101, 1988
[문헌 3] Hara et al., Brain Res. Bull., 29, pp. 659-665, 1992
[문헌 4] Won et al., Neurosci. Lett., 301, pp. 139-142, 2001
[문헌 5] Olney et al., Science, 244, pp. 1360-1362, 1989
[문헌 6] Hagbrg et al., Ment. Retard. Dev. Disabil. Res. Rev., 8, pp. 30-38, 2002
[문헌 7] Sattler et al., J. Mol. Med., 78, pp. 3-13, 2000
[문헌 8] Lee et al., J. Micorbiol. Biotechnol, 13, pp. 892-896, 2003
[문헌 9] Sarkar et al., Food Chem., 59, pp. 69-75, 1997
[문헌 10] Kiers et al., Int. J. Food Micro, 60, pp. 163-169, 2000
[문헌 11] Hwangi et al., Acta. Pharmacol Sin. 27, pp. 959-65, 2006
[문헌 12] Hou et al., J. Neurosci. Res., 74, pp. 123-133, 2003
[문헌 13] Yamakawa et al., Neurol. Res., 23, pp. 522-530, 2001
[문헌 14] Hwang et al., Life Sci., 75, pp. 1989-2001, 2004
[문헌 15] Das et al., J. Biol. Chem., 280, pp. 12944-12955, 2005
허혈성 뇌질환은 퇴행성 신경세포사멸이 뇌의 혈류가 감소되어 산소와 포도당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해마 CA1 영역에 지연성 신경세포사(delayed neuronal death)가 유발되어 발생되는 질환으로(Kirino, Brain Res., 239, pp. 57-69, 1982), 이러한 허혈성 뇌질환은 뇌졸중이나 심장마비와 같은 병리학적 상황에서 뇌에 혈액이 공급되지 않음으로써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Nedergaard, Acta. Neurol. Scand., 77, pp. 81-101, 1988).
일시적인 뇌허혈 및 재관류(reperfusion)에 의해 발생되는 해마 CA1영역에서의 지연성 신경세포사의 원인은 세포 내로 칼슘의 과다유입(Hara et al., Brain Res. Bull., 29, pp. 659-665, 1992), 프리 라디칼(free radical)과 관련하여 신경세포 손상 및 글루타메이트-수용체 매개 신경세포 손상이라고 알려져 있다(Won et al., Neurosci. Lett., 301, pp. 139-142, 2001).
즉, 뇌허혈이 발생되면 신경세포의 탈분극이 일어나게 되고, 시냅스의 글루타메이트(glutamate)가 유리되어 세포 외 글루타메이트의 농도가 증가하게 되며, ATP(Adenosine Triphosphate)의 감소로 인해 발생하는 능동수송의 역전은 세포 외 글루타메이트의 축적을 가속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세포 외 글루타메이트의 축적은 NMDA(N-methyl-D-aspartic Acid), AMPA(α-amino-3-hydroxy-5-methyl-4 -isoxazole-propionic acid) 및 메타보트로픽 글루타메이트 수용체(metabotropic glutamate receptor)의 연속적인 활성을 유도하여, 칼슘의 세포 내 과다 유입을 초 래하며(Olney et al., Science, 244, pp. 1360-1362, 1989), 칼슘의 세포 내 유입은 특히 칼슘 의존성 프로테아제, 리파제 및 모듈레이터의 활동을 촉발시키고, 결국 프리 라디칼을 포함하는 세포 독성분자가 생성되어 DNA 및 세포막 등의 세포 구조물을 파괴하여 신경세포사가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agbrg et al., Ment. Retard. Dev. Disabil. Res. Rev., 8, pp. 30-38, 2002; Sattler et al., J. Mol. Med., 78, pp. 3-13, 2000).
일반적으로 뇌졸중 치료에는 급성기 치료와 재발 방지를 위한 예방 치료가 있으며, 특히, 급성기 치료는 뇌졸중이 발생한 3시간 이내에 병원에 가서 치료를 받아야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이보다 늦어지면 치료 효과를 보기 힘든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결과적으로, 일단 뇌혈관질환에 이환되면 비가역적인 신경세포 손상으로 인하여, 운동능력 저하, 성적능력 저하, 기억력 감퇴 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예방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러한 뇌신경세포를 보호할 수 있는 물질을 지속적으로 섭취하여 뇌혈관질환을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청국장은 콩을 원료로 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발효식품으로서, 간장, 된장, 고추장 등과 함께 오늘날까지 상용되어 온 전통 장류 중의 하나이며, 곡류를 주식으로 하는 우리민족에게 결핍되기 쉬운 필수아미노산 및 지방산을 공급시켜 주는 식품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여 왔다. 청국장은 삶은 콩을 볏짚에 붙어있는 고초균 (枯草菌)이라 부르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를 이용하여 띄 워 만든 것으로서, 발효과정 중에 고초균이 생산하는 효소에 의해서 그 특유의 맛과 냄새를 내는 동시에, 원료콩의 당질과 단백질에서 유래된 레반형 프룩탄(levan form fructan)과 폴리글루타메이트(polyglutamate)의 혼합물질인 점질물을 다량 생성하며, 이렇게 발효 제조된 청국장은 소화 작용뿐만 아니라 영양면에서도 된장이나 고추장보다 단백질과 지방 함량이 높은 양질의 콩 발효식품이다.
청국장 발효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Lee et al., J. Micorbiol. Biotechnol, 13, pp. 892-896, 2003), 상기의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는 장내 부패균의 활동을 약화시키고 병원균에 대한 항균 작용뿐만 아니라, 암모니아, 인돌, 아민 등 발암촉진 물질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특히,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는 비타민B2를 많이 분비함으로서 간의 해독 기능을 좋게 하여 술, 담배의 뛰어난 해독 효과를 보이며, 유기산의 생성을 통하여 장을 자극하는 등의 반응으로 소화활동 증진 및 면역력을 높여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Sarkar et al., Food Chem, 59, pp. 69-75, 1997; Kiers et al., Int. J. Food Micro., 60, pp. 163-169, 2000), 지금까지 상기 문헌의 어디에서도 발효 청국장을 이용하여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 개발한 어떠한 내용도 교시되거나 기재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발효 청국장 분말 또는 발효 청국장 추출 분획물이 부신유래의 PC12 세포주를 이용한 저산소환경에 의한 세포사 억제 실험 및 저빌을 이용 한 허혈성 뇌질환 실험을 통해 PC12세포주 또는 해마조직 CA1 영역의 신경세포 손상을 효과적으로 예방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효 청국장 분말 또는 발효 청국장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효 청국장 분말 또는 발효 청국장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추출 분획물은 정제수를 포함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된 추출물에 추가적으로 원심분리 등의 정제 공정을 거쳐 수득되는 3000Da 이상 또는 3000Da 이하의 분획한 추출 분획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상기 허혈성 뇌질환은 알츠하이머성 치매, 뇌혈관성 치매, 헌팅턴병, 뇌경색, 중풍, 뇌출혈 또는 거미막하출혈 등이며, 바람직하게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뇌혈관성 치매 또는 헌팅턴병 등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발효 청국장 분말은 하기와 같이 수득될 수 있다.
대두를 선별 및 세척한 후, 1 내지 50 ℃,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에서, 1 내지 50 시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시간동안 침지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에서 침지한 대두를 건져낸 후, 증자기 또는 멸균기 등을 이용하여, 0.5 내지 10 kgf/cm2,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kgf/cm2 증기압으로 5분 내지 2시간, 바람직하게는 10분 내지 1시간동안 삶는 제 2단계; 상기 제 2단계에서 수득한 대두를 20 내지 80 ℃, 바람직하게는 50℃로 냉각하여, 발효 용기에 넣고, 대두 중량의 0.05 내지 2%(w/w),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w/w)의 청국장균을 넣고, 10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의 온도에서 발효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3단계에서 발효시킨 생청국장을 -3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에서 동결 건조시킨 후에 마쇄하여 분말화시키는 제 4단계의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으로 본 발명의 발효 청국장 분말을 수득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상기 제 1단계에서 사용되는 대두는 백태, 흑태 또는 쥐눈이콩 등이며, 바람직하게는 백태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상기 제 1단계에서 사용되는 청국장균은 배양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바람직하게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UM0026 균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발효 청국장로부터 추출 분획물은 하기와 같이 방법으로 수득될 수 있다.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수득된 발효 청국장 분말을 발효 청국장 분말 중량의 약 2 내지 30배,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5배에 달하는 부피의 물 및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과 같은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 게는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상온에서 10 내지 36시간, 바람직하게는 20시간 내지 26시간 동안 진탕하여 추출하여 발효 청국장 추출물을 얻는 제 1단계; 상기 1단계에서 추출한 청국장 추출물을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을 모아 단백질 농도가 1 내지 20mM,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mM이 되도록 농축시키는 제 2단계; 상기 2단계에서 얻은 농축물을 다시 원심 분리하여 3000Da 이상 또는 3000Da 이하의 분획으로 나누고, 이를 각각 동결 건조하여 발효 청국장 분획물을 얻는 제 3단계의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을 통하여 본 발명의 발효 청국장 추출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 및 상기의 제조공정으로 얻어진 발효 청국장 분말 또는 발효 청국장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 및 상기의 제조공정으로 얻어진 발효 청국장 분말 또는 발효 청국장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분말 또는 추출 분획물은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분말 또는 추출 분획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말 또는 추출 분획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 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 또는 추출 분획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발명의 분말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분말 또는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 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말 또는 추출 분획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분말 또는 추출 분획물은 1일 0.0001 내지 100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분말 또는 추출 분획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발효 청국장 분말 또는 발효 청국장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분말 또는 추출 분획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 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분말 또는 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5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분말 또는 추출 분획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분말 또는 추출 분획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 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분말 또는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발효 청국장 분말 또는 발효 청국장 추출 분획물은 부신유래의 PC12 세포주를 이용한 저산소환경에 의한 세포사 억제 실험 및 저빌을 이용한 허혈성 뇌질환 실험을 통해 PC12세포주 또는 해마조직 CA1 영역의 신경세포 손상을 효과적으로 예방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서,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발효 청국장 분말(F-CK)의 제조
발효 청국장의 원료 대두는 순창군에서 생산된 국산 백태 150kg을 이용하였고 15℃(11월 기온 추정)에서 15시간 침지하여 건져낸 후 증자기(N.K 증자관, 대율산업)을 이용하여 증기압 1.7 kgf/cm2 (메주용 1.2-1.3 kgf/cm2) 에서 30분간 증자한 후 50℃로 냉각하여 발효용기에 10 kg씩 담아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UM0026균을 순창군 장류연구사업소에서 분양을 받아서 대두 중량의 0.5%(w/w)(turbidity 0.15~0.16 Abs.)를 접종하여 40℃(습도 90%) 발효실에서 36~48시간 동안 발효하였으며 별도의 수분함량은 조절하지 않았다. 발효된 생청국장은 동결건조기(Ilshin PVTFD 100R, 일신)를 사용하여 마쇄 및 분말화 시켜서 발효 분말청국장 112Kg (수득률 74.3%, 이하, F-CK' 라 한다)을 수득하여, 하기 실험예에서 이용하였다.
실시예 2. 발효 청국장 추출 분획물(F-CKEX1, 2)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F-CK 100g을 900ml의 물을 첨가하여 24시간동안 진탕하여 추출한 후에 원심분리기(MICRO 17R, Hanil Science Industrial Co. Ltd.)를 사용하여 원심분리하고 얻어진 상등액만 취해 회전식진공증발농축기(Rotavapro R-210, BUCHI)로 단백질 농도가 5~10mM이 되도록 농축하고, 이 농축액을 다시 원심분리기(centriprep MWCO 3000, Amicon)로 원심 분리(4℃, 12,000rpm)하여 청국장 추출물 3000Da 이상, 3000Da이하로 나누어 동결건조(Ilshin PVTFD 100R, 일신)하여 각각 분말 청국장 추출 분획물 1g(이하, 각각‘F-CKEX1', F-CKEX2'라 한다)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1. 발효 청국장의 뇌허혈시 신경세포 보호효능 측정
상기 실시예의 발효청국장의 신경세포 보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부신 유래의 PC12 세포를 저산소환경으로 유도한 다음 락테이트 디하이드로게나제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과 F-CK의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체중이 65 내지 75g인 수컷 몽골리안 저빌(Mongolian gerbil, Harlan, USA)을 마취시켜 총경동맥(common carotid artery)을 노출 후 관찰하여 뇌허혈을 유발시킨 후에, 몽골리안 저빌의 해마조직을 염색하여 관찰하는 방법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Kirino, Brain Res., 239, pp. 57-69, 1982; Hwangi et al., Acta. Pharmacol. Sin., 27, pp. 959-965, 2006).
1-1. 락테이트 디하이드로게나제( in vitro ) 농도 측정을 통한 발효 청국장의 뇌허혈시 신경세포 보호 효능 측정
PC12 세포(ATCC n. CRL 1721)를 이용하여 CoCl2를 투여하여 저산소환경을 통한 신경세포손상을 유도한 후, 신경세포의 손상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배양세포에서 세포 밖의 배양액으로 분비되는 락테이드 디하이드게나제 농도를 측정하였다. PC12 세포를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Mediatech, 미국) 배양배지에 7% 송아지 혈청(fetal calf serum), 7% 말 혈청(horse serum)을 첨가하여, 6% CO2 농도를 함유한 37℃ 에서 배양하였으며, 락테이드 디하이드게나제의 측정은 손상 및 파괴된 세포로부터 거의 분비가 완료되는 20 시간에 세포배양액을 채취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1에서 얻은 F-CK를 상기 PC12 세포주 배양액에 대해 0.001%, 0.005%, 0.01%, 0.05%, 0.1%의 농도로 각각 처리한 다음, 30분 후에 150 μM의 CoCl2를 처리하였다. CoCl2를 처리한 상기 PC12 세포를 37℃에서 20 내지 24시간 배양한 후 PC12 세포의 배양액을 수득하여, 세포에서 분비된 락테이트 디하이드게나제의 농도를 종셍 바이오테그(Zhong Sheng Biotech) 표준시약으로 한 베크만(Beckman) DU-640 흡광광도계를 이용하여 효소 역학적 방법(Hou et al. J. Neurosci. Res., 74, pp. 123-133, 2003; Yamakawa et al. Neurol. Res., 23, pp. 522-530, 2001)으로 측정하였으며,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도 1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의 F-CK를 처리한 군의 경우, 용매만을 처리한 다음 저산소환경을 유발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락테이트 디하이드로게나제의 상대적 농도가 낮게 나타났다. 실시예 1의 F-CK를 처리한 군의 경우, 상기 F-CK의 처리 농도가 0.001%부터 0.1%까지는 락테이트 디하이드로게나제의 상대적 농도가 F-CK의 처리양에 의존하여 감소하였으나, 0.5%의 농도를 처리한 세포의 경우에는 락테이트 디하이드로게나제의 상대적 농도가 다시 증가하였다. 실시예 1의 F-CK를 0.1%의 농도로 처리한 세포의 경우 용매만을 투여한 세포 즉, 대조군에 비하여 락테이트 디하이드로게나제의 분비를 62% 감소시키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도 1 참조).
따라서, 실시예의 F-CK는 신경세포 보호효과 및 개선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0.1%의 농도에서 신경세포 보호효과 및 개선효과가 가장 크다 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2. 동물실험을 통한 발효 청국장의 뇌허혈시 신경세포 보호 효능 측정
저빌을 이용한 동물실험을 통하여 발효청국장의 신경세포사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Hwang et al., Life Sci., 75, pp. 1989-2001, 2004; Kirino, Brain Res., 239, pp. 57-69, 1982).
1-2-1. 실험동물의 사육
체중 65 내지 75g의 수컷 몽골리안 저빌(Mongolian gerbil, Meriones unguiculatus, Halan, 미국) 40 마리를 오전 7시부터 오후 7시까지 빛을 가하는 일정한 명암주기 및 실내온도 23 ± 2℃와 상대습도 55 ± 10%의 조건에서 사육하였다. 실험동물의 사료는 일반적인 펠렛건조 사료(대한실험동물, 대한민국)를 사용하였고, 사료와 물은 상시로 섭취할 수 있게 하였다.
1-2-2. 발효청국장의 뇌허혈시 신경세포 보호 효능 검정
상기 1-2-1에서 준비한 실험동물에 실시예1 내지 2의 F-CK와 F-CKEX(1,2) 700 mg을 증류수 50 ml에 용해한 것을 허혈유발 10일전부터 매일 식도용 바늘을 이용하여 0.5 ㎖ (용량은 체중 ㎏ 당 50 mg 또는 100 mg이 되도록)경구투여 하였다. 10일간 상기의 F-CK 및 F-CKEX(1,2) 용액을 각각 투입한 후에, 질소와 산소가 7:3으로 혼합된 혼합가스에 3% 이소플루란(isoflurane, Baxtor, USA) 가스를 혼합한 가스를 이용하여 실험동물을 전신마취 하였다. 상기의 질소와 산소 혼합가스에 2.5% 이소플루란으로 가스를 혼합한 가스를 이용하여 실험동물의 마취상태를 유지하면서 실험동물에 대한 수술을 수행하였다. 목 부위의 털을 깎고 소독한 다음 절개를 하여 양쪽 총경동맥을 노출시키고, 동맥류 클립(aneurysm clip, Staelting, USA)을 이용하여 5분 동안 관찰하여 뇌허혈을 일으킨 후, 클립을 제거하여 재관류 시켰다. 이 때 각 실험군은 검안경(ophthalmoscope)을 이용하여 망막중심동맥(central artery of retina)의 혈액 순환 유무를 관찰하여 완전한 온목동맥의 폐쇄가 있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뇌허혈을 유발시키는 동안 직장 내 체온계를 삽입하여 체온을 측정하였으며, 실험동물의 온도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되는 온열 패드를 사용하여 체온을 정상 체온인 37 ± 0.3℃로 일정하게 유지시켰다.
실험동물은 뇌허혈 유발 4일 후에 티오펜탈 소듐(thiopental sodium, 유한양행, 한국)을 체중 1㎏당 각각 30㎎의 용량으로 복강 내 주사하여 마취시킨 다음, 1,000㎖ 당 헤파린 1,000 IU를 함유한 4 ℃의 생리식염수를 좌심실로 주입하여 관류세척을 수행하였다. 관류세척이 완료된 실험동물을 4℃의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in 0.1 M phosphate buffer; PB, pH 7.4)를 이용하여 관류고정을 수행하였다.
뼈절단기를 이용하여 관류고정이 완료된 실험동물의 머리뼈 공간을 열어 뇌를 적출하였다. 적출된 실험동물의 뇌를 4℃의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in 0.1 M phosphate buffer; PB, pH 7.4)를 이용하여 6시간 동안 후고정하였다. 후고정이 끝난 실험동물의 뇌를 30% 슈크로스 용액(in 0.1 M phosphate buffer)에 넣어 바닥에 가라앉을 때까지 침강 시킨 후, 슬라이드 마이크로톰(sliding microtome, Reichert-Jung, Germany)으로 조직을 30㎛ 두께로 잘라 조직절편을 만들었다. 상기의 조직절편을 보존액(storing solution)이 들어있는 6웰 플레이트에 넣어 염색을 수행할 때까지 4℃에서 보관하였다.
상기의 조직절편 중에서 해마형성체(hippocampus formation)가 잘 나와 있는 조직절편을 선택하고, 조직절편에 묻어있는 보존액을 없애기 위해 0.01M PBS로 10분씩 3회 세척하였다. 상기의 세척된 조직절편을 젤라틴 입힌 슬라이드에 도말하여 37℃에서 충분히 건조시켰다. 충분히 건조시킨 조질절편을 증류수에 잠시 담가 둔 후, 다시 2% 크레실 바이오렛 아세테이트(cresyl violet acetate, Sigma, USA) 용액에 1분간 담가 조직절편을 염색하였다. 상기의 염색한 조직절편을 흐르는 물에 충분히 세척하여 슬라이드에 묻어 있는 과량의 염료를 제거하였다. 상기 과량의 염료를 제거한 조직절편을 증류수에 잠시 담근 후에 50%, 70%, 80%, 90%, 95% 및 100% 에탄올 용액에 차례로 5분간 처리하여 탈수 및 과량의 크레실 바이올렛을 세척하였다. 조직에서 니슬소체(Nissle body)가 보이는 것을 확인한 후, 자일렌(Junsei, 일본)에 담가 투명화한 다음 캐나다 발삼(Canada Balsam, Kanto, 일본)으로 봉입하였다.
대조군은 F-CK 및 F-CKEX(1,2) 용액을 투여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하였으며, 정상군은 허혈-재관류 단계를 시행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어떠한 물질도 투여하지 않았다.
디지털 카메라(Axiocam, Cal Zeiss, 독일)가 부착되어 있는 악시오엠 현미경(AxioM microscope, Carl Zeiss, 독일)으로 전체 해마 영역을 25배로, CA1 영역 을 200배로 각각 확대하여 각 조직절편들을 사진 촬영하였다. 대조군, 정상군 , F-CK 및 F-CKEX(1,2)를 투여한 실험군을 촬영한 결과를 도 2, 도 3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유의성의 검증을 위하여, 도 2, 도 3 및 도 4 의 각 군 중에서 가장 일반적인 부분을 골라 촬영하였다.
도 2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정상군(C,D)은 해마의전영역에서 신경세포가 진하게 염색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F-CK를 투여하지 아니한 대조군(A,B)의 경우, 허혈에 의해 신경세포사가 일어남으로써 염색된 신경세포가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도 2 참조).
도 3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50 ㎎/㎏(A,B) 또는 100㎎/㎏(C,D)의 F-CK를 투여한 실험군에서는 해마의 전영역에서 세포가 진하게 염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발효청국장이 신경세포사를 현저히 억제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 참조).
또한,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50mg/kg(3000Da 이상(A,B), 3000Da 이하(C,D)) 의 F-CKEX(1,2)를 투여한 실험군에서는 F-CK를 투여한 군에 비교하였을 때 보다 해마 CA1 영역에서 신경세포가 일부 감소하였지만, 용매단독으로 투여한 군에 비하여 더 많은 신경세포가 염색되어 발효 청국장 추출물 또한 신경세포사를 억제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4 참조).
한편, 이미지 분석기(Optimas 6.5,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보라색으로 염색된 상기 조직절편의 신경세포를 계수하였다. 각 군에 대한 유의성의 검증을 위 하여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test)을 수행하였으며, 데이터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표시하였다.
조직절편의 신경세포를 계수한 결과를 상대적인 수에 의해 도 5에 나타냈다 .
실험결과, 도 5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대조군은 정상군에 비하여 해마의 CA1 영역세포의 수가 약 11.2% 정도 관찰되었으나, 50 mg/kg의 F-CK를 투여한 경우에 64.1%의 세포가 살아남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100 mg/kg의 F-CK를 투여한 경우 정상군에 비해 76.2%의 세포가 살아남아 F-CK가 신경세포보호에 매우 탁월한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F-CK로부터 추출한 추출 분획물인 (F-CKEX1,2) 3000Da 이상 및 3000Da 이하를 투여한 경우 각각 약 24.2%와 48.3%의 신경세포 보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발효 청국장 추출 분획물 중 3000Da 이하의 물질이 더욱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도 5 참조).
1-3. 발효청국장의 독성평가
1-3-1. PC12 세포주를 이용한 독성평가
상기 실시예의 발효청국장의 세포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LDH 분비량 분석(release assay)을 수행하였다(Das et al., J Biol Chem., 280, pp 12944-12955, 2005).
PC12 세포를 DMEM 배양배지에 7% 송아지혈청(fetal calf serum), 7% 말형청(horse serum)을 첨가하여, 6% CO2 농도를 함유한 37℃ 에서 배양하였다.
다음날 상기 배양한 PC12 세포를 PBS로 세척한 후, 발효청국장을 농도에 따라 처리한 무혈청배지(serum free media, 1 ml, Mediatech, USA)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다음날 상등액을 수득하여 항이뇨호르몬(Antidiuretic Hormone, ADH, Sigma, USA)와 소듐파이루베이트(sodium pyruvate, Sigma, USA)가 함유된 포타슘포스페이트완충제(potassium phosphate buffer, Sigma, USA)로 세척을 하고, 490/630 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락테이트 디하이드로게나제의 양을 정량하였고,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그 실험결과,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F-CK는 0.5%에서 락테이트 디하이드로게나제의 분비가 급격하게 증가되어 세포독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그 이하의 농도에서는 락테이트 디하이드로게나제의 분비가 세포독성을 우려할 정도로 증가하지 않아,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6 참조).
1-3-2. 실험용 쥐에 경구투여를 통한 급성독성 테스트
상기 실시예의 발효 청국장의 급성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F-CK를 증류수에 녹여, 실험용 ICR 마우스 (30 g내외, 8주령, 대한실험동물)에 경구투입의 방식으로 투여하였다. 상기의 실험용 쥐에 각각 용매투여군, 10 mg/kg, 50 mg/kg, 100 mg/kg, 500 mg/kg, 1 g/kg, 2 g/kg의 농도로 1회 경구투여를 하고 24시간이 경과 후에 상기의 실험용 쥐를 부검하여 각종 장기의 변화를 관찰하며, 도중에 폐사한 동물에 대해서는 즉시 부검을 실시하여 동물의 장기를 육안 및 조직학적으로 관찰하였다.
그 실험결과, 실험 물질을 투여한 모든 동물에서 특기할 만한 임상증상이나 폐사된 동물은 없었으며,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및 부검 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본 발명의 발효 청국장은 ICR 마우스에서 각각 1g/㎏ 까지도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경구투여 최소치사량(LD50)은 1g/㎏ 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본 발명의 발효 청국장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F-CK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F-CKEX2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F-CK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F-CKEX2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F-CK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기능 식품의 제조
F-CKEX2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F-CK 100 ㎎
비타민 C 15 g
비타민 E(분말) 100 g
젖산철 19.75 g
산화아연 3.5 g
니코틴산아미드 3.5 g
비타민 A 0.2 g
비타민 B1 0.25 g
비타민 B2 0.3g
물 정량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도 1은 발효 청국장 분말의 신경세포 사멸 방지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PC12세포의 락테이트 디하이드로게나제(LDH) 분비량을 측정한 도이고,
도 2는 수술을 실시하지 않은 정상군과 발효 청국장 분말을 녹인 용매인 증류수를 투여한 다음, 일시적인 전뇌허혈을 유발한 후 4일이 경과된 실험동물의 해마조직을 크레실 바이올렛(cresyl violet)으로 염색하여 관찰한 결과로, A 및 C는 각각 대조군과 정상군의 전체 해마 영역을 나타내며, B 및 D는 각각 대조군과 정상군의 해마의 CA1 영역을 나타낸 도이며,
도 3은 발효 청국장 분말의 신경세포 보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시적인 전뇌허혈 후 4일이 경과된 실험동물의 해마조직을 크레실 바이올렛으로 염색하여 관찰한 결과로, 각각 F-CK를 50 ㎎/㎏ 또는 100㎎/㎏ 투여한 실험동물의 조직절편으로 A 및 C는 전체 해마 영역을 나타내며, B 및 D는 해마의 CA1영역을 나타낸 도이고,
도 4는 발효 청국장 추출 분획물의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시적인 전뇌허혈 후 4일이 경과된 실험동물의 해마조직을 크레실 바이올렛으로 염색하여 관찰한 결과로, A 및 B는 F-CKEX1 (3000Da 이상)를 50mg/kg으로 투여한 군의 해마 전체와 CA1영역을 각각 나타내었으며 C 및 D는 F-CKEX2(3000Da 이하)를 50mg/kg으로 투여한 군의 해마 전체와 CA1 영역을 나타낸 도이며,
도 5는 발효 청국장 분말 및 발효 청국장 추출 분획물의 신경세포보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신경세포의 생존율을 전뇌허혈 유발 4일 후에 생존해 있는 신 경세포의 세포수를 계수한 그래프를 나타낸 도이고,
도 6는 발효 청국장 분말의 세포독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PC12세포의 락테이트 디하이드로게나제의 분비량을 측정한 도이다.

Claims (9)

  1. 백태를 선별 및 세척한 후, 1 내지 50℃, 1 내지 50시간동안 침지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에서 침지한 백태를 건져낸 후, 증자기 또는 멸균기를 이용하여, 1 내지 5kgf/cm2 증기압으로 10분 내지 1시간동안 삶는 제 2단계; 상기 제 2단계에서 수득한 백태를 20 내지 80℃로 냉각하여, 발효 용기에 넣고, 백태 중량의 0.1 내지 1%(w/w)의 바실러스 서브틸리스균을 넣고, 20 내지 50℃의 온도에서 발효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3단계에서 발효시킨 생청국장을 -50 내지 -80℃에서 동결 건조시킨 후 마쇄하여 분말화 시키는 제 4단계; 제 4단계의 제조방법으로 수득된 발효 청국장 분말을 발효 청국장 분말 중량의 5 내지 15배에 달하는 부피의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상온에서 20 내지 26시간동안 진탕하여 추출하여 발효 청국장 추출물을 얻는 제 5단계; 상기 1단계에서 추출한 청국장 추출물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모아 단백질 농도가 5 내지 15mM이 되도록 농축하는 제 6단계; 상기 6단계에서 얻은 농축물을 다시 원심 분리하여 3000달톤(Da)이상 또는 3000달톤(Da)이하의 분획으로 나누고, 이를 각각 동결 건조하여 발효 청국장 분획물을 얻는 제 7단계의 공정을 통하여 수득되는 3000달톤(Da)이하의 발효 청국장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백태를 선별 및 세척한 후, 1 내지 50℃, 1 내지 50시간동안 침지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에서 침지한 백태를 건져낸 후, 증자기 또는 멸균기를 이용하여, 1 내지 5kgf/cm2 증기압으로 10분 내지 1시간동안 삶는 제 2단계; 상기 제 2단계에서 수득한 백태를 20 내지 80℃로 냉각하여, 발효 용기에 넣고, 백태 중량의 0.1 내지 1%(w/w)의 바실러스 서브틸리스균을 넣고, 20 내지 50℃의 온도에서 발효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3단계에서 발효시킨 생청국장을 -50 내지 -80℃에서 동결 건조시킨 후 마쇄하여 분말화 시키는 제 4단계; 제 4단계의 제조방법으로 수득된 발효 청국장 분말을 발효 청국장 분말 중량의 5 내지 15배에 달하는 부피의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상온에서 20 내지 26시간동안 진탕하여 추출하여 발효 청국장 추출물을 얻는 제 5단계; 상기 1단계에서 추출한 청국장 추출물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모아 단백질 농도가 5 내지 15mM이 되도록 농축하는 제 6단계; 상기 6단계에서 얻은 농축물을 다시 원심 분리하여 3000달톤(Da)이상 또는 3000달톤(Da)이하의 분획으로 나누고, 이를 각각 동결 건조하여 발효 청국장 분획물을 얻는 제 7단계의 공정을 통하여 수득되는 3000달톤(Da)이하의 발효 청국장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80116566A 2008-11-24 2008-11-24 발효 청국장 분말 또는 발효 청국장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54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566A KR101154220B1 (ko) 2008-11-24 2008-11-24 발효 청국장 분말 또는 발효 청국장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566A KR101154220B1 (ko) 2008-11-24 2008-11-24 발효 청국장 분말 또는 발효 청국장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7937A KR20100057937A (ko) 2010-06-03
KR101154220B1 true KR101154220B1 (ko) 2012-06-21

Family

ID=42359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6566A KR101154220B1 (ko) 2008-11-24 2008-11-24 발효 청국장 분말 또는 발효 청국장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42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7586A (ko) * 2016-02-18 2017-08-2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대두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알러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178B1 (ko) * 2013-02-04 2015-01-26 한국식품연구원 청국장 또는 그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매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25981B1 (ko) * 2015-07-24 2017-04-1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청국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사선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23928B1 (ko) * 2021-09-17 2023-04-21 주식회사 지에프퍼멘텍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낫또 배양균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5396A (ja) 1997-03-24 1998-10-06 Yoko Takenaka 血栓溶解剤、機能性食品及び製造方法
KR20050032927A (ko) * 2003-10-02 2005-04-08 김정인 청국장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한 지질대사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5396A (ja) 1997-03-24 1998-10-06 Yoko Takenaka 血栓溶解剤、機能性食品及び製造方法
KR20050032927A (ko) * 2003-10-02 2005-04-08 김정인 청국장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한 지질대사 개선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Hebei Medical Journal *
인터넷자료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7586A (ko) * 2016-02-18 2017-08-2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대두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알러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96310B1 (ko) * 2016-02-18 2018-09-0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대두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알러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7937A (ko) 201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6490B1 (ko) 흑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대사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13222B1 (ko) 항비만 효능의 약용식물 추출물
US11771726B2 (en) Composition, containing Quisqualis indica extract, for preventing or treating prostatic hyperplasia
KR101341693B1 (ko)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101154220B1 (ko) 발효 청국장 분말 또는 발효 청국장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147101B1 (ko) 금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KR20160141027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20140129492A (ko) 꾸지뽕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71044B1 (ko) 황기, 복령 및 적소두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70097868A (ko) 양파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20080032494A (ko) 대황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피시온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 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조성물
KR101413771B1 (ko) 잣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20040064240A (ko) 뇌세포 사멸억제 활성을 갖는 석창포 및 천마를 함유하는생약조성물
KR101120499B1 (ko) 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38983B1 (ko) 생약추출물이 함유된 간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
KR20050043092A (ko) 산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성 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451161B1 (ko) 무궁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건강 개선 및 보호용 조성물
KR100756357B1 (ko) 양파 추출물을 포함하는 허혈성 뇌혈관질환 예방 또는개선용 조성물
KR102500034B1 (ko) 백리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93698B1 (ko) 수양버들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KR102236685B1 (ko) 단삼 또는 작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대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017305A (ko) 발효 또는 미발효된 금은화 및 진피 혼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47558B1 (ko) 산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염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20060025914A (ko) 복합 생약 추출물(배당수)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0622864B1 (ko) 신경세포 보호 효능을 갖는 오리나무더부살이 추출물을포함하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