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4070B1 - 트리밍 및 분류를 위한 일체화 장치 - Google Patents

트리밍 및 분류를 위한 일체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4070B1
KR101154070B1 KR1020100084524A KR20100084524A KR101154070B1 KR 101154070 B1 KR101154070 B1 KR 101154070B1 KR 1020100084524 A KR1020100084524 A KR 1020100084524A KR 20100084524 A KR20100084524 A KR 20100084524A KR 101154070 B1 KR101154070 B1 KR 101154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unit
trimming
products
s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4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2023A (ko
Inventor
주진한
이영준
고명준
Original Assignee
(주) 한주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주반도체 filed Critical (주) 한주반도체
Priority to KR1020100084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4070B1/ko
Publication of KR20120022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2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4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4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G01R31/2607Circuits therefor
    • G01R31/2632Circuits therefor for testing diodes
    • G01R31/2635Testing light-emitting diodes, laser diodes or photodio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93Handling, conveying or loading, e.g. belts, boats, vacuum fi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71Sor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82Mar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또는 LED를 패키지 하는 과정에서 트리밍과 제품 분류가 가능한 트리밍 및 분류 일체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트리밍부에서 복수의 제품을 동시에 리드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고, 트리밍 이송부가 분리된 제품을 동시에 진공 흡입하여 제품 분류부를 향해 일렬로 배치하여 이송하며, 제품 분류부에서 제품을 특성별로 분류한다.
본 발명의 트리밍 및 분류 일체화 장치는 하나의 장치에서 트리밍과 제품 분류가 가능하므로, 공간을 적게 차지하며 작업 효율이 높아진다. 또한 동시에 복수의 제품을 트리밍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높아진다.

Description

트리밍 및 분류를 위한 일체화 장치 {Integrated apparatus for trimming and sorting}
본 발명은 반도체 또는 LED를 패키지 하는 과정에서 트리밍과 제품 분류가 가능한 트리밍 및 분류 일체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트리밍부에서 리드 프레임을 절단하여 제품을 분리하고 분리된 제품을 진공 흡입하여 제품 분류부로 이송하여 제품을 특성별로 분류하는 트리밍 및 분류 일체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LED(Light Emitting Diode)는 일반적으로 p-n 접합으로 이루어진 대표적인 다이오드 중 하나로써, 최근에는 차세대 대체 조명으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LED의 응용 분야를 살펴보면 휴대폰의 키패드 조명, 카메라 플래시 및 소형 LCD 백라이트 등 다양한 분야가 있다.
이러한 LED의 패키지 공정을 살펴보면, 낱개의 칩(chip)을 리드 프레임(lead frame)에 부착하는 다이 본딩(die bonding) 공정, 칩과 전극 단자를 연결하여 전기적 회로를 구성하는 와이어 본딩(wire bonding) 공정, 투명 수지를 도포하는 몰딩(molding) 공정, 리드 프레임에 연결된 제품을 분리하는 트리밍(trimming) 공정, 제품을 측정하여 특성별로 분류하는 분류(sorting) 공정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패키지 공정은 반도체의 경우에도 유사하다. 종래의 패키지 공정에서 각각의 공정들은 그 공정에 적합한 장비를 이용하여 실시된다. 예를 들어 몰딩 공정에서는 디스펜서(dispenser)가 사용되며, 트리밍 공정에서는 트리밍 머시닝 센터(trimming M/C)가 사용되며, 분류 공정에서는 테스터(tester)와 핸들러(handler)가 사용된다.
그러나 각각의 공정 별로 각각 다른 장비를 사용하면 장비가 차지하는 공간이 넓어져 공간 효율성이 떨어진다. 또한 공정 별로 제품이 장비와 장비 사이를 이동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제품을 직접 옮기는 인력이 필요하며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된다. 즉, 각 공정 별로 다른 장비를 사용하면 작업 효율이 저하되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트리밍 완료 후 제품을 테스터로 이동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트리밍된 제품을 한 곳에 모아 작업자가 테스터 앞으로 옮기 후 진동을 이용해 하나씩 테스터로 유입시키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진동에 의해 제품이 손상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간을 적게 차지하며 제품의 이송을 위한 작업자가 필요하지 않은 트리밍과 제품 분류가 가능한 트리밍 및 분류 일체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품 이송 과정에서 제품에 손상이 생기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트리밍 및 분류 일체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시에 복수의 제품을 트리밍하여 이를 하나씩 제품 분류부로 이송하는 것이 가능한 트리밍 및 분류 일체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리밍 및 분류 일체화 장치는 제품 공급부, 트리밍부, 트리밍 이송부, 제품 분류부를 포함한다. 제품 공급부는 제품이 부착된 리드 프레임을 공급한다. 트리밍부는 제품 공급부로부터 리드 프레임을 공급받아 리드 프레임을 절단하여 제품을 분리한다. 트리밍 이송부는 트리밍부에서 리드 프레임과 분리된 제품을 진공 흡입하여 이송한다. 제품 분류부는 트리밍 이송부로부터 제품을 이송받아 제품을 측정하여 특성별로 분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리밍 및 분류 일체화 장치는 제품 이송부와 분류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품 이송부는 트리밍 이송부와 제품 분류부 사이에 위치하여 트리밍 이송부로부터 제품을 이송받아 제품 분류부를 향해 이송한다. 분류 이송부는 제품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제품을 진공 흡입하여 제품 분류부로 이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리밍 및 분류 일체화 장치의 제품 이송부는 이송 벨트, 가이드부, 커버를 구비할 수 있다. 이송 벨트에는 제품이 안착되며, 가이드부는 이송 벨트의 상측면에 위치하여 제품이 안착될 위치를 가이드한다. 커버는 가이드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 중 제품이 움직여 다른 제품 위로 올라가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리밍 및 분류 일체화 장치에서 트리밍부는 동시에 복수의 제품을 리드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트리밍 이송부는 트리밍부로부터 복수의 제품을 동시에 흡착하여 제품 분류부를 향해 일렬로 배치하여 이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리밍 및 분류 일체화 장치의 트리밍 이송부는 상하 이동부, 회전 이동부, 수평 이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하 이동부는 트리밍 이송부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회전 이동부는 복수의 제품을 제품 분류부를 향해 일렬로 배치하기 위해 트리밍 이송부를 회전 이동시킬 수 있다. 수평 이동부는 트리밍 이송부를 수평 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리밍 및 분류 일체화 장치는 불량표시 감지센서와 불량 수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불량표시 감지센서는 제품에 표시된 식별자를 판독하여 불량 제품을 감지한다. 불량 수집부는 트리밍 이송부의 이동 경로의 하부에 위치하여 불량 제품을 이송받는다.
본 발명의 트리밍 및 분류 일체화 장치는 하나의 장치에서 트리밍과 제품 분류가 가능하므로, 리드 프레임에서 분리된 제품을 제품 분류기로 이송하기 위한 작업자가 필요하지 않으며, 제품 이송 경로가 짧아지므로 작업 시간이 단축되고, 장비가 차지하는 공간이 작아진다. 따라서 전체적인 작업 효율이 좋아지며 생산성이 증가된다.
또한 본 발명의 트리밍 및 분류 일체화 장치는 제품을 트리밍부로부터 제품 분류부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제품을 진공 흡입하므로 진동을 이용하지 않고 이송이 가능해 제품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고 따라서 제품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트리밍 및 분류 일체화 장치는 동시에 복수의 제품을 리드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여 이를 하나씩 제품 분류부로 이송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작업 속도가 빨라지고 작업 효율이 개선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품 공급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리밍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리밍 이송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트리밍 이송부가 제품을 이송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품 이송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류 이송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리밍 및 분류 일체화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리밍 및 분류 일체화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품 공급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품 공급부(1100)는 모터(1110)와 벨트(1120)를 구비한다. 모터(1110)의 구동에 의해 벨트(1120)가 회전한다.
리드 프레임(100)은 매거진에 복수개 적층될 수 있다. 매거진에 적층된 리드 프레임(100)은 하나씩 벨트(1120)로 유입되어, 벨트(1120)의 회전에 의해 이송된다. 본 실시예에서 벨트(1120)는 리드 프레임(100)의 양 측면을 지지하면서 리드 프레임(100)을 이송시키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리드 프레임(100)에는 제품이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품은 LED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도체 등이 될 수도 있다. 제품은 리드 프레임(100)의 한 행에 복수개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리드 프레임(100)의 한 행에 6개의 제품이 부착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리밍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리밍부(1200)는 제품 공급부로부터 제품이 부착된 리드 프레임(100)을 공급받는다. 트리밍부(1200)는 도입부측에 불량표시 감지센서(1210)를 구비한다. 불량표시 감지센서(1210)는 제품 중 불량인 제품에 표시된 식별자를 판독하여 불량 제품을 감지한다.
불량표시 감지센서(1210)와 인접한 위치에는 펀칭부(1220)가 위치한다. 펀칭부(1220)는 펀치(1221)를 구비하며, 펀치(1221)에 의해 리드 프레임(100)이 절단되어 제품이 리드 프레임(100)으로부터 분리된다. 본 실시예에서 펀치(1221)는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이동하면서 리드 프레임(100)을 절단한다. 펀치(1221)가 하방에서 리드 프레임(100)을 절단하는 것은 절단된 제품을 위쪽에서 흡입하여 이송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 트리밍부(1200)는 6개의 펀치(1221)를 구비하여 동시에 6개의 제품을 리드 프레임(10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펀치(1221)의 수는 리드 프레임(100)의 한 행에 부착된 제품의 수와 동일한 것이다. 즉, 트리밍부(1200)는 리드 프레임(100)의 한 행에 부착된 제품 모두를 동시에 리드 프레임(10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펀칭부(1220)의 상부에는 홀딩판(1222)이 위치한다. 홀딩판(1222)은 펀치(1221)에 의해 리드 프레임(100)이 절단될 때 리드 프레임(100)을 고정한다. 홀딩판(1222)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홀딩판(1222)에는 제품 흡입구(1230)가 형성된다. 제품 흡입구(1230)는 리드 프레임(100)으로부터 분리된 제품을 이송하기 위한 구멍으로, 펀치(1221)가 리드 프레임(100)을 절단하는 위치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펀칭부(1220)와 인접한 위치에는 불량 수집부(1240)가 장착될 수 있다. 불량 수집부(1240)는 불량 제품이 유입되는 유입구(1241)와 불량 제품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242)를 구비한다. 불량 수집부(1240)는 불량표시 감지센서(1210)가 불량으로 감지한 불량 제품을 이송받아 별도로 배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리밍 이송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트리밍 이송부가 제품을 이송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리밍 이송부(1300)는 제품 흡입부(1310), 상하 이동부(1320), 회전 이동부(1330), 수평 이동부(1340)를 구비한다.
제품 흡입부(1310)는 트리밍부에서 리드 프레임과 분리된 제품을 진공 흡입한다. 이를 위해 제품 흡입부(1310)는 공기를 빨아들이는 펌프와 연결되어 있다. LED나 반도체 같은 제품은 작은 충격에도 쉽게 손상될 수 있으므로, 제품을 진공 흡입을 하여 이송함으로써 이송 과정에서 제품이 받는 충격을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제품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트리밍부가 동시에 6개의 제품을 리드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므로, 트리밍 이송부(1300)도 동시에 6개의 제품을 진공 흡입하여 이송한다. 여기서 6개의 제품은 리드 프레임의 한 행에 부착된 제품의 개수이다. 이를 위해 트리밍 이송부(1300)는 나란히 배치된 6개의 흡입관을 구비한다.
제품 흡입부(1310)에서 진공 흡입된 제품은 상하 이동부(1320), 회전 이동부(1330), 수평 이동부(1340)에 의해 이송된다. 상하 이동부(1320)는 제품 흡입부(1310)를 상하로 움직이도록 한다. 트리밍부의 제품 흡입구에서 리드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제품을 진공 흡입한 제품 흡입부(1310)는 상하 이동부(1320)에 의해 제품 흡입구의 위쪽으로 이동한다.
회전 이동부(1330)는 제품 흡입부(1310)를 회전시킨다. 제품 흡입부(1310)에서 동시에 6개의 제품을 진공 흡입하여 이송하여도 제품을 측정하여 특성별로 분류하는 제품 분류부에는 제품이 하나씩 이송되어야 하므로, 제품 흡입부(1310)는 동시에 흡입한 6개의 제품을 제품 분류부를 향해 일렬로 배치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회전 이동부(1330)는 제품 흡입부(1310)를 90°회전시켜 리드 프레임의 한 행에서 진공 흡입한 제품을 제품 분류부를 향해 일렬로 배치한다.
수평 이동부(1340)는 제품 흡입부(1310)를 수평으로 움직이도록 한다. 수평 이동부(1340)에 의해 제품 흡입부(1310)는 이웃하는 다른 구성요소들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트리밍 이송부(1300)에서 제품을 이송하는 과정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밍부에서 리드 프레임(100)의 한 행으로부터 동시에 분리된 제품 6개는 제품 흡입부(1310)에 의해 동시에 흡착된다. 제품을 흡착한 제품 흡입부(1310)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이동부(1320)에 의해 위쪽으로 이동한다. 이 후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을 제품 분류부를 향해 일렬로 배치하기 위해 제품 흡입부(1310)는 회전 이동부(1330)에 의해 90°회전한다. 제품을 일렬로 배치한 후 제품 흡입부(1310)는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이동부(1340)에 의해 이동한다.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한 후에 제품 흡입부(1310)는 도 4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이동부(1320)에 의해 아래쪽으로 이동한 후 흡착된 제품을 안착시킨다. 이 때 제품 흡입부(1310)에 흡착된 제품이 쉽게 분리되지 않을 수 있는데, 제품 흡입부(1310)에서 바람을 불어 제품을 분리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리드 프레임(100)의 한 행에서 동시에 흡착한 제품은 제품 분류부를 향해 일렬로 하나씩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품 이송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품 이송부(1400)는 트리밍 이송부로부터 이송받은 제품을 일렬로 제품 분류부를 향해 이송한다. 이를 위해 제품 이송부(1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벨트(1410), 가이드부(1420), 제1 감지 센서(1430), 제2 감지 센서(1440), 커버(1450)를 구비한다.
이송 벨트(1410)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한다. 트리밍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제품은 이송 벨트(1410)의 상부면에 일렬로 놓여지며, 이송 벨트(1410)의 회전에 의해 제품 분류부로 이송된다.
이송 벨트(1410) 상부면의 양 측면에는 가이드부(1420)가 위치한다. 가이드부(1420)는 제품이 이동하는 구간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가이드부(1420)는 이송 벨트(1410)의 상부면에 제품이 안착될 위치를 가이드해주며, 이송 벨트(1410)의 회전에 의해 제품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제1 감지 센서(1430)는 제품 이송부(1400)의 끝단에 위치한다. 제1 감지 센서(1430)에서 제품이 감지되면, 제품을 제품 분류부로 이송하기 위한 분류 이송부가 작동하여 제품을 제품 분류부로 이송시킨다. 제1 감지 센서(1430)에서 제품이 감지되지 않으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이송 벨트(1410)가 회전하여 제품이 제품 이송부(1400)의 끝단으로 이송된다.
제2 감지 센서(1440)는 트리밍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제품이 놓여지는 곳에 위치한다. 제2 감지 센서(1440)에서 제품이 감지되면, 트리밍부와 트리밍 이송부가 동작을 멈춰 제품이 제품 이송부(1400)로 이송되지 않도록 한다. 이는 제품이 제품 분류부로 이송되는 속도보다 트리밍부에서 유입되는 속도가 빠른 경우 제품 이송부(1400)에 제품이 적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커버(1450)는 가이드부(14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 벨트(1410)가 회전과 멈춤을 반복할 때 관성에 의해 제품이 움직여 다른 제품 위로 올라가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커버(1450)는 제품이 이송 벨트(1410)에 안착되었을 때 제품과 미세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품 이송부(1400)는 지지대(1460) 위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대(1460)의 높이를 조절하여 제품 이송부(14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류 이송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분류 이송부(1500)는 진공 흡입부(1510), 축(1520), 연결부(1530)를 구비한다. 분류 이송부(1500)는 제품 이송부(1400)에 의해 이송된 제품을 제품 분류부로 이송한다.
진공 흡입부(1510)는 제품 이송부에서 제품을 진공 흡입한다. 이를 위해 진공 흡입부(1510)는 펌프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진공 흡입부(1510)는 연결부(1530)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위치할 수 있다. 진공 흡입부(1510)는 연결부(1530) 사이에는 스프링(1511)이 위치하여 진공 흡입부(1510)가 제품을 진공 흡입하는 경우 제품에 가해질 수 있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축(1520)은 상하 이동과 회전이 가능하다. 축(1520)은 연결부(1530)의 중앙에 결합되며, 축(1520)의 상하 이동에 의해 진공 흡입부(1510)가 상하로 움직이며, 축(1520)이 회전에 의해 진공 흡입부(1510)가 회전한다.
진공 흡입부(1510)가 제품 이송부에서 제품을 진공 흡입하면, 축(1520)은 상승하여 진공 흡입부(1510)를 위쪽으로 이동시킨다. 이 후 축(1520)이 180°회전하여 제품을 흡입한 진공 흡입부(1510)가 제품 분류부 상에 위치하도록 하고, 축(1520)이 하강하여 진공 흡입부(1510)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킨다. 아래쪽으로 이동한 진공 흡입부(1510)는 바람을 불어 제품을 분리시켜 제품 분류부에 안착시키고 다시 원래 위치로 돌아온다. 분류 이송부(1500)가 두 개의 진공 흡입부(1510)를 구비하는 경우, 제품 이송부에서의 제품 진공 흡입과 제품 분류부에서의 제품 안착이 동시에 이루어져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리밍 및 분류 일체화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리밍 및 분류 일체화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리밍 및 분류 일체화 장치(1000)는 제품 공급부(1100), 트리밍부(1200), 트리밍 이송부(1300), 제품 이송부(1400), 분류 이송부(1500), 제품 분류부(1600)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품 이송부(1400)와 분류 이송부(1500)를 포함하지 않고 트리밍 이송부(1300)에서 제품 분류부(1600)로 직접 제품을 이송할 수도 있다.
제품이 부착된 리드 프레임은 제품 공급부(1100)에 의해 트리밍부(1200)로 공급된다. 트리밍부(1200)는 불량표시 감지센서를 통해 제품에 표시된 식별자를 센싱하여 불량 제품을 감지한다. 이 후 트리밍부(1200)는 펀칭부를 이용해 리드 프레임의 한 행에 부착된 제품 전부를 한번에 분리한다.
분리된 제품은 동시에 트리밍 이송부(1300)의 제품 흡입부에 진공 흡입되어 상하 이동부에 의한 상승, 회전 이동부의 회전에 의한 회전, 수평 이동부에 수평 이동을 통해 제품 이송부(1400)에 일렬로 이송된다. 이 때 불량표시 감지센서에서 불량으로 감지한 제품은 트리밍 이송부(1300)의 이송 경로의 하부에 위치하는 불량 수집부로 이송된다. 이를 위해 트리밍 이송부(1300)의 제품 흡입부는 불량 수집부 상부에서 바람을 불어 불량 제품을 불량 수집부로 떨어뜨린다.
제품 이송부(1400)로 이송된 제품은 제품 분류부(1600)를 향해 일렬로 안착되고, 벨트의 회전에 의해 제품 분류부(1600)를 향해 이송된다. 제품 이송부(1400)의 끝단에 위치하는 제1 감지 센서가 제품이 이송된 것을 감지하면, 분류 이송부(1500)가 제품을 진공 흡입하여 상승하고 회전한 후 하강하여 제품 분류부(1600)로 하나씩 이송한다.
제품 분류부(1600)는 이송된 제품을 측정하여 전압, 전류, 휘도 등과 같은 특성별로 분류한다. 분류된 제품은 각각의 분류통에 나누어 담겨진다.
이와 같이 하나의 장치에서 트리밍과 분류가 가능하면 각각의 장치로 존재하는 것보다 크기가 작아지며, 각각의 장치 사이에서 제품을 이송하기 위한 작업자가 필요하지 않아 작업 효율이 높아진다. 특히 동시에 복수의 제품을 트리밍하여 이를 하나씩 제품 분류부로 이송하면 작업 속도가 빨라져 생산성이 증가된다. 또한 제품 이송시 제품에 진동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이송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량률이 감소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0 : 트리밍 및 분류 일체화 장비
1100 : 제품 공급부 1110 : 모터
1120 : 벨트 1200 : 트리밍부
1210 : 불량표시 감지센서 1220 : 펀칭부
1230 : 제품 흡입구 1240 : 불량 수집부
1300 : 트리밍 이송부 1310 : 제품 흡입부
1320 : 상하 이동부 1330 : 회전 이동부
1340 : 수평 이동부 1400 : 제품 이송부
1410 : 이송 벨트 1420 : 가이드부
1430 : 제1 감지 센서 1440 : 제2 감지 센서
1450 : 커버 1500 : 분류 이송부
1510 : 진공 흡입부 1520 : 축
1530 : 연결부 1600 : 제품 분류부

Claims (6)

  1. 제품이 부착된 리드 프레임을 공급하는 제품 공급부;
    상기 제품 공급부로부터 리드 프레임을 공급받아 리드 프레임을 절단하여 동시에 복수의 제품을 리드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는 트리밍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상하 이동부와, 복수의 제품을 일렬로 배치하기 위해 회전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 이동부와, 수평 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는 수평 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트리밍부에서 리드 프레임과 분리된 복수의 제품을 상기 제품의 상부에서 진공 흡입하고 상기 회전 이동부를 이용하여 일렬로 배치하여 이송하는 트리밍 이송부; 및
    상기 트리밍 이송부로부터 일렬로 배치되어 이송된 복수의 제품을 측정하여 특성별로 분류하는 제품 분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밍 및 분류를 위한 일체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밍 이송부와 상기 제품 분류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트리밍 이송부로부터 일렬로 배치되어 이송되는 복수의 제품을 상기 제품 분류부를 향해 이송시키는 제품 이송부; 및
    상기 제품 이송부의 끝단에서 상기 제품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복수의 제품을 진공 흡입하여 제품 분류부로 이송하는 분류 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밍 및 분류를 위한 일체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이송부는 제품이 안착되어 이송되는 이송 벨트와, 상기 이송 벨트의 상측면에 위치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밍 및 분류를 위한 일체화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밍부는 제품에 표시된 식별자를 판독하여 불량 제품을 감지하는 불량표시 감지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불량표시 감지센서에 의해 불량으로 감지된 제품은 상기 트리밍 이송부의 이송 경로의 하부에 위치하여 불량 제품을 이송받는 불량 수집부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밍 및 분류를 위한 일체화 장치.
KR1020100084524A 2010-08-31 2010-08-31 트리밍 및 분류를 위한 일체화 장치 KR101154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524A KR101154070B1 (ko) 2010-08-31 2010-08-31 트리밍 및 분류를 위한 일체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524A KR101154070B1 (ko) 2010-08-31 2010-08-31 트리밍 및 분류를 위한 일체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023A KR20120022023A (ko) 2012-03-09
KR101154070B1 true KR101154070B1 (ko) 2012-06-15

Family

ID=46130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4524A KR101154070B1 (ko) 2010-08-31 2010-08-31 트리밍 및 분류를 위한 일체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407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195A (ko) * 2000-11-22 2001-03-05 정도화 극소형 반도체패키지 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195A (ko) * 2000-11-22 2001-03-05 정도화 극소형 반도체패키지 절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023A (ko) 2012-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02016A1 (en) Integrated circuit processing system
CN210614402U (zh) 多工位芯片测试分选机
JP5589525B2 (ja) 物品分類装置
CN114985294A (zh) 一种芯片全自动检测设备
CN110176413B (zh) 一种用于芯片分拣的机械设备
KR101216365B1 (ko) 소자핸들러 및 소자이송방법
CN201298546Y (zh) 堆栈式料箱下料装置
CN214084982U (zh) 一种pcb自动冲板分拣包装一体装置
KR101216362B1 (ko) 엘이디소자검사장치
KR101154070B1 (ko) 트리밍 및 분류를 위한 일체화 장치
CN210762838U (zh) Pcb隔纸分拣机
CN116344424A (zh) 一种高效硅片检测分选装置
KR101189176B1 (ko) 엘이디소자핸들러
KR101210551B1 (ko) 턴테이블식 싱귤레이션장치
KR100345438B1 (ko) 반도체칩 패키지 분리용 싱글레이션 시스템
JP2004335862A (ja) 基板の切断方法及び装置
KR20020079653A (ko) 반도체 패키지 싱귤레이션 시스템
CN210221842U (zh) 集成电路引线框架缺陷检测装置
CN210579486U (zh) 一种pcb板自动打磨生产线
KR101189179B1 (ko) 소자정렬장치 및 그를 가지는 엘이디소자검사장치
CN113257731A (zh) 太阳能电池硅片输送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189175B1 (ko) 엘이디소자 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엘이디소자 검사장치
CN219324479U (zh) 用于集成电路产品的上料装置、分选机
CN213967804U (zh) 一种自动分拣机
CN210223969U (zh) 一种芯片自动分类轨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