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3630B1 - 타닌산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상필터 및 상기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타닌산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상필터 및 상기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3630B1
KR101153630B1 KR1020100027498A KR20100027498A KR101153630B1 KR 101153630 B1 KR101153630 B1 KR 101153630B1 KR 1020100027498 A KR1020100027498 A KR 1020100027498A KR 20100027498 A KR20100027498 A KR 20100027498A KR 101153630 B1 KR101153630 B1 KR 101153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omposition
influenza
quasi
influenza vir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7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1975A (ko
Inventor
김형준
박찬정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041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1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3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36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닌산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상필터 및 상기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타닌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뛰어난 항인플루엔자 활성을 가짐으로써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에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이 코팅된 필터는 공기 중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타닌산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상필터 및 상기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Composition for prevention of influenza virus comprising tannic acid, air filter comprising the composition and air cleaning device comprising the filter}
본 발명은 타닌산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상필터 및 상기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인플루엔자(Influenza)는 보통 독감(毒感, flu)이라고 불리는 감염성 질환이나 그 병원체인 오소믹소바이러스과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뜻한다. 일반적인 증상은 오한, 발열, 인후염, 근육통, 두통, 기침, 무력감과 불쾌감이며, 발열과 기침같이 가벼운 증상을 가장 쉽게 볼 수 있으나, 종종 치명적일 수 있는 합병증을 일으키기도 한다.
인플루엔자는 계절마다 수 천에서 수 만명이 사망하는 유행성 독감을 전 세계에 걸쳐 일으키며, 몇 년에 걸쳐 일어난 전세계적 유행 때에는 보통 백 만명 가량이 사망했다. 20세기에는 새로운 균주의 인플루엔자로 인한 독감의 세계적 유행이 세 번 있었으며, 수 천 만명에 이르는 사람들이 사망했다. 이런 변종은 다른 동물에게서 인간으로 감염이 일어날 때, 인간을 주 숙주로 삼는 종이 다른 동물을 주 숙주로 삼는 종에게서 유전자를 받았을 때 자주 생기게 된다. 1990년 아시아에서 출현한 H5N1의 등장은 세계적 독감 유행에 큰 관심을 불러 일으켰으나, 이 때의 종은 인간대 인간 감염에 특화(特化)되도록 변이되지는 않았다. 2009년 4월에는 멕시코에서 H1N1의 변종이 출현, 여러 국가로 번지게 되었다.
인플루엔자는 RNA 바이러스인 오소믹소바이러스과(Orthomyxoviridae)에 포함되는 5개의 속(屬, genus) 중 인플루엔자 A, 인플루엔자 B, 인플루엔자 C의 3개로 엄밀히 구별된다.
인플루엔자 A는 하나의 종인 인플루엔자 A형 바이러스만을 포함한다. 야생 수생 조류가 여러 종류의 인플루엔자 A의 자연 숙주 역할을 한다. A형은 종 간(間)의 전염을 통해 아주 큰 유행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인플루엔자 중 가장 독성이 강하다. A형은 항체의 반응 여부에 따라 다시 여러 개의 혈청형(아형)으로 나누어진다. 인간에게 독감을 일으킨다고 알려진 아형들을, 유행 당시 사망자의 수에 따라 내림차순으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H1N1은 1918년의 스페인 독감, 2009년의 전 세계적 독감 유행을 일으켰다. H2N2는 1957년에 아시아 독감을 일으켰고, H3N2은 1968년에 홍콩 독감을 일으킨 아형이다. 이외에도 인플루엔자 A형의 아형으로 H5N1, H7N7, H1N2, H9N2, H7N2, H7N3, H10N7가 있다.
그 중, H1N1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인플루엔자바이러스 A형 H1N1아형(영어: Influenza A virus subtype H1N1) 또는 H1N1는 인플루엔자 A의 아형으로, 사람에게 발병하는 인플루엔자에서 가장 흔한 유형이다. 사람 이외에도 돼지나 새에도 감염?발병할 수 있다.
H1N1은 스페인 독감이라고 부르는 유행성 독감을 일으켰고, 1918년에서 1919년에 5,000만명에서 1억명의 사망자를 기록했다. 2005년, H1N1의 게놈이 사이언스에 발표되었고, 이 게놈의 바이러스가 1918년 스페인 독감을 일으켰으며, 현재의 것과 비교했을 때, 약 4,400개의 아미노산 중 25개에서 30개 정도만 변이되었고 밝혔다. 저병원성의 H1N1은 현재 세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2006년에는 인간에의 감염이 거의 반을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2009년 3월부터 전세계적으로 H1N1 바이러스에 의한 사망자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 바이러스는 발생 초기 돼지 독감이라고 불리었으나 후에 돼지에 의해 감염되는 것이 아니라는 결론 하에 이름이 철폐되었고 한국 언론 및 정부에서는 신종 플루(new influenza) 또는 신종 인플루엔자 A (H1N1) 바이러스라는 이름을 사용하고 있으며, 같은 해 6월 11일, 세계보건기구는 H1N1 인플루엔자의 전염병 경보 수준을 대유행으로 격상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2009년 9월 16일 발표를 기준으로 약 1만명 이상이 감염되었고, 8명은 중증으로 입원 치료를 받고 있으며, 14명이 지병 합병증 또는 급성 합병증으로 사망하였다고 보고되고 있다.
한편, 인플루엔자 B는 인플루엔자 B형 바이러스인 하나의 종을 포함한다. B형은 거의 인간에게만 감수성이 있으며, A형보다 드물게 출현한다. B형이 감수성을 가졌다고 의심되는 다른 동물은 물개와 유럽족제비(ferret)이다. 이 종은 A형보다 2~3배 낮은 변이율을 보이며, 유전학적 다양성도 떨어져 단 하나의 아형만이 존재한다. 이렇게 낮은 항원성의 다양성 때문에 B형은 숙주의 범위도 작으며, 유행도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인플루엔자 C는 인플루엔자 C형 바이러스인 하나의 종을 포함한다. C형은 인간, 개, 돼지에게 감수성이 있으나, 보통 아이들에게 가벼운 증상만을 나타낸다. A형과 B형보다도 적은 빈도로 출현한다.
종래 인플루엔자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로는 오셀타미비르(상품명: 타미플루), 자나미비르(상품명: 릴렌자), 페라미비르(en:Peramivir), 아만타딘(en:Amantadine) 등이 있다. 타미플루로 불려지는 오셀타미비르가 현재 H1N1 인플루엔자 A형의 치료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타미플루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독점 생산하는 조류 인플루엔자(AI) 치료제이다. 바이러스를 증식시키는 효소 기능을 막아 치료효과를 내는 항바이러스제이며, 증상이 발생한 뒤 48시간 안에 복용해야 효과가 크다. 주요 치료 효과는 독감 증세의 악화 감소, 기관지염이나 폐렴 등 2차 합병증 발생 감소, 독감 잠복 기간의 감소 등이다. 인플루엔자 A와 B의 치료제로도 쓰인다. 자나미비르는 자나미비어(Zanamivir)로도 불리며 상품명은 릴렌자(Relenza)이다. 이는 뉴라미니다아제 저해제로 작용하여 인플루엔자 A 및 B형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오셀타미르는 심각한 구토증세가 나타나는 부작용이 있으며 자나미비르는 항바이러스 효과는 높지만 생체이용율이 낮고 신장에서의 배출이 빠르다는 단점이 있다.
현재까지 개발된 항인플루엔자 치료제들은 부작용을 나타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인플루엔자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항인플루엔자 조성물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편, 인플루엔자는 보통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공기 중으로 나오는, 바이러스가 함유된 연무질을 흡입함으로써 인플루엔자에 감염된다. 이 외에도 타개체의 배설물, 침, 콧물, 대변과 혈액으로도 전염될 수 있지만 대부분의 전염은 연무질 흡입으로 인한 비말감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인플루엔자는 햇빛, 소독제, 비누 등의 계면활성제로 불활성화 되어 감염을 방지할 수 있지만 공기 중에 함유된 바이러스의 제거에는 도움이 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공기 중의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있다면 인플루엔자의 감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기상필터(air filter)는 필터를 통과하는 기체 중 오염 입자를 걸러내어 필터를 통과한 기체가 정화되도록 하는 통기성 부재이다. 이러한 기상필터는 가전제품, 차량, 건물 등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되며, 예를 들어, 공기청정기, 에어컨, 건조기, 청소기, 가습기, 제습기, 차량 공기조화장치, 건물 내 중앙 공기조화시스템 등에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공기청정기(空氣淸淨器, air purifier)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신선한 공기로 바꾸는 장치로서 하나의 공기청정기에 다수의 필터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입자가 큰 먼지 등을 제거하는 전처리 필터와; 냄새, 휘발성 유기화합물, 포름알데히드 등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탈취 필터와;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고성능 필터인 헤파 필터와; 헤파필터 전면에 설치되어 먼지로부터 헤파필터를 보호하는 중간 필터 등이 하나의 공기청정기에서 각각 1개 내지 2개 이상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를 보다 많이 사용할수록 공기정화성능은 향상될 수 있으나, 전체적인 공기순환에 저항을 높일 수 있어서 전체적으로 3~5단계의 필터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에는 공기청정기를 사용하는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선택적으로 보다 정교하게 제거하거나 또는 유해한 물질을 인체에 이로운 물질로 대체할 수 있는 기능성 필터가 연구되고 있다. 연구되고 있는 예시로써, 유아를 위해 보다 미세한 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고성능 미세물질필터, 또는 새집증후군에 의한 유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새집증후군 전용 필터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항인플루엔자 조성물을 찾던 중 타닌산이 뛰어난 항인플루엔자 활성을 가짐으로써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에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을 필터에 코팅함으로써 공기 중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타닌산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상필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 양태로서, 타닌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의약외품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상필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기상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타닌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이란 조성물의 사용에 의해 인플루엔자바이러스 감염을 억제시키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C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H1N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더욱 바람직하게는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 H1N1 아종의 변종인 일명 신종플루로 불리는 신종인플루엔자 A(H1N1) 바이러스일 수 있다.
H1N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정식명칭이 인플루엔자바이러스 A형 H1N1아형(Influenza A virus subtype H1N1)으로, 사람에게 발병하는 인플루엔자에서 가장 흔한 유형이다. 사람 이외에도 돼지나 새에도 감염?발병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종류로는 A/PR/8(H1N1), A/WSN/33(H1N1), A/Bervig-Mission/1/18(rvH1N1), A/Singapore/6/86(H1N1)등이 있다.
신종인플루엔자 A(H1N1) 바이러스는 2009년 인플루엔자 범유행(2009 flu pandemic)을 일으킨 바이러스로서 A/California/O4/09, A/California/7/2009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독감, 감기, 인후염, 기관지염, 폐렴을 일으킬 수 있으며, 특히 조류독감, 돼지독감 또는 염소독감을 야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타닌산은 분자식이 C76H52O46이고 분자량이 701.23인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진 화합물이다.
Figure 112010019527975-pat00001
본 발명에서, 타닌산은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식물 소재로부터 추출 분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드화수소산, 아질산 또는 아인산과 같은 무기산류와 지방족 모노 및 디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 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와 같은 무독성 유기산으로부터 얻는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무독한 염류로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1,4-디오에이트, 헥산-1,6-디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β-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또는 만델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 중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수혼화성 유기 용매,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의 형태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 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 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은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용 조성물은 의약외품에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을 목적으로 의약외품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의약외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또는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필터 코팅제, 핸드워시, 가그린, 소독청결제, 샤워폼, 물티슈, 세제비누, 가습기 충진제, 마스크 또는 방향제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상필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기상필터"란 공기 중의 미생물, 먼지 등을 제거하여 외부로부터의 미생물, 먼지 등의 위험물질 또는 오염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필터에 의한 2차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를 말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상필터는 자동차용 기상필터, 가전제품용 기상필터, 공조기용 기상필터, 가스마스크용 기상필터, 공기정화기용 기상필터 또는 클린룸용 기상필터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공기청정기용 기상필터에 사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상필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며, 하기에서는 전술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상필터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상필터의 제조 방법은,
(a)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용 조성물을 필터 기재에 코팅하는 단계; 및
(c) 상기 코팅된 필터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 단계는,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용 조성물에 롤러를 침지한 후, 상기 침지된 롤러를 사용하여 상기 조성물을 상기 필터 기재에 도포하는 단계;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용 조성물에 상기 필터 기재를 포함한 롤러를 침지하는 단계; 및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용 조성물을 상기 필터 기재에 스프레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필터 기재로서는 금속, 플라스틱, 부직포, 필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용 기상필터로써는 높은 다공성의 부직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플라스틱 재료에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아크릴, PVC 또는 폴리스티렌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이다.
부직포(不織布)는 섬유 등을 적당히 배열하여 접착제 또는 자체 융착력 등에 의한 섬유 엉킴을 이용한 시트 모양의 천을 뜻하며, 그 기저(base)가 되는 물질에 따라 페이퍼(paper) 베이스 부직포, 섬유 베이스 부직포 등이 있다. 또한, 부직포 재료에는 레이온, 텐셀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적인 부직포 재료로서 당업계에 공지된 재료는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이다.
본 발명의 필터 기재는 플라스틱 수지를 융점 부근의 온도로 가열하여 용융 방사하여 제조되는 필라멘트 사를 제직하는 제직형태 또는 섬유를 제직하지 않고 섬유의 웨브(web; 격자 모양으로 얽힌 것)를 만들고 이를 결합시키는 부직포 형태의 섬유용 필터로 제조하거나, 발포제를 추가하여 다공성의 발포체 필터로 제조할 수 있다.
기상필터 제조를 위해, 먼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용 조성물을 제조한다.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용 조성물은 바람직하기로는 일정 용매로 용해시키거나 희석하여 용액의 형태로 기상필터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용매로는 물,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또는 n-헥산, n-헵탄, DMSO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용 조성물로써 필터 기재를 코팅한다. 코팅하는 방법으로써, 스폰지와 같은 흡수성 부재가 외측에 부설된 롤러를 상기 조성물에 침지시킨 후 상기 롤러를 필터 기재에 롤링하고 이를 건조하여 코팅하는 방법, 필터 기재를 직접 상기 조성물에 침지시키고 건조시켜서 코팅하는 방법, 상기 조성물을 필터 기재에 스프레이시키고 건조시켜서 코팅하는 방법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필터의 제조를 위한 코팅 공정은 이미 제조된 필터 기재에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터를 제직하기 전의 섬유 형태의 단계에서도 적용 가능하다. 섬유 형태인 경우, 필터 제직용 섬유를 먼저 본 발명의 조성물로 침지 또는 분사하는 코팅 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코팅 공정 후에 필터 기재를 제직하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이 침지 또는 분사에 의해 코팅 처리된 필터를 건조하는 경우, 상온 또는 열풍 건조할 수 있으며, 건조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건조에 의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이 필터에 잘 흡착되어 장기간 동안 필터가 항균 효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필터는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 외에도 기존의 항균 물질, 탈취제(예: 후라보노이드, 휘톤치트, 목초액, 식물추출물, 사이클로덱스트린, 금속이온, 이산화티탄) 또는 집진 여과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은 함께 또는 성분별로 각각 별도 도포할 수 있으며, 도포 순서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상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상필터가 사용되는 일 실시예로서 공기청정기를 언급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 청정기에는 다수의 필터가 사용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상필터는 기능성 필터로서 사용될 수도 있으며, 그 외의 공기청정기 내에 포함되는 어떠한 필터로써도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기 기상필터가 적용되는 공기청정기에는 그 제한이 없고, 가정 또는 사무실 내 공기청정기 또는 자동차용 실내정화용 필터 등이 그 예가 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통상의 공기청정기가 가지고 있는 통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는, 본 발명의 기상필터를 공기의 흡입구와 분출구의 사이에 배치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기청정기를 사용하는 공기청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닌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뛰어난 항인플루엔자 활성을 가짐으로써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에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이 코팅된 필터는 공기 중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타닌산이 코팅된 본 발명 기상필터 제조
타닌산(A&K Petrochem, Ontario, Canada)을 10 중량%의 농도로 물에 첨가하여 혼합하여 타닌산 용액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 폴리프로필렌 필터 기재에 상기 타닌산 용액을 분무 코팅하여 140℃에서 4분 동안 건조함으로써 타닌산 처리 필터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타닌산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사멸활성 측정
타닌산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사멸활성을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로는 2009년 대유행이 선언(세계보건기구, 2009년 6월 11일 선언)된 신종인플루엔자 A (H1N1) 바이러스로 WHO 표준균주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H1N1 (A/California/O4/09)과, 기존에 H1N1 타입으로 알려져 있는 다른 H1N1 타입의 바이러스로서 A/PR/8/34(H1N1) 및 A/WSN/33(H1N1)을 사용하였다.
시료로는 타닌산을 사용하였다. 보다 구체적인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았다.
먼저, MDCK(Mardine Darbine Canine Kidney) 세포주는 1.5 x 106세포/㎖의 농도로 접종한 후 6-웰 플레이트(well plate)에서 37℃, 5% CO2 농도의 배양기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또한, 타닌산을 100 mg/ml (1X)로 중외용수에 희석하였고, 이것을 10배씩 희석하여 시료를 준비하였다. 준비한 타닌산을 96 웰 플레이트에 각각 90 ul씩 넣고, 인플루엔자바이러스 10 ul를 처리하였다. 10분간 반응시킨 후, 10배씩 PBS로 희석하였다. 그 후, 배양 접시 바닥에 가득 자란 MDCK 세포주를 상기 희석 용액 1 ml로 1시간 동안 감염시켰다. 한편,“감염+비투여”대조군(control, 인플루엔자바이러스로 감염시킨 후, 타닌산을 투여하지 않은 세포군)을 동일한 조건에서 반응 후 MDCK 세포주에 접종하여 배양하였다.
이후, 배지를 제거하고, 2 x 아가로스(Agarose)와 10 ug/ml 트립신이 포함된 2 x MEM 배지를 중량비 1:1로 혼합한 후 2ml씩 MDCK 세포주가 포함된 플레이트에 부었다. 상기 MDCK 세포주를 2일간 37℃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한 후 4% 파라포름알데히드 1 ml을 넣어 고정시키고, 물로 세척하여 아가로즈를 제거하였다. 그 다음 크리스탈 바이올렛(crystal violet)으로 염색하여 플라크(plaque)의 수를 측정하였으며 그 수는 플라크 형성 단위 (plaque forming unit, pfu/ml)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0019527975-pat00002
각 시료 처리 후 신종인플루엔자 A (H1N1) (A/California/O4/09)의 역가
시료 바이러스 역가(pfu/ml) 바이러스 저해율(%)
대조군 1.9x106 -
타닌산 Not-detected 99.99
각 시료 처리 후 인플루엔자 A/WSN/33 (H1N1)의 역가
시료 바이러스 역가(pfu/ml) 바이러스 저해율(%)
대조군 3.4x108 -
타닌산 Not-detected 99.99
각 시료 처리 후 인플루엔자 A/PR/8 (H1N1)의 역가
시료 바이러스 역가(pfu/ml) 바이러스 저해율(%)
대조군 3.9x109 -
타닌산 Not-detected 99.99
상기 표 1-3의 결과를 통해 대조군 그룹과 비교하여 타닌산을 처리한 경우 바이러스가 완벽히 사멸되는바 본 발명의 타닌산이 뛰어난 인플루엔자바이러스 사멸활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본 발명 기상필터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사멸활성 측정
본 발명의 제조예 1에서 얻은 타닌산 처리 기상필터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사멸활성을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로는 2009년 대유행이 선언(세계보건기구, 2009년 6월 11일 선언)된 신종인플루엔자 A (H1N1) 바이러스로 WHO 표준균주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H1N1 (A/California/O4/09)과, 기존에 H1N1 타입으로 알려져 있는 다른 H1N1 타입의 바이러스로서 A/PR/8/34(H1N1) 및 A/WSN/33(H1N1)을 사용하였다.
시료로는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타닌산 처리 기상필터를 사용하였다. 대조구로는 어떠한 추출물도 처리하지 않은 기상필터를 사용하였다. 보다 구체적인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았다.
2x2cm로 필터 여재를 채취한후 필터에 바이러스액 일정량을 도포하고 10분동안 여재에 흡수하여 반응하게 한후, 흡수된 필터 위에 배지(1ml)를 넣고 10분 동안 흔들어 바이러스가 씻겨 나올 수 있게 한다. 이것을 10배씩 희석하여 시료를 준비하였다. 상기 준비한 시료를 96 웰 플레이트에 각각 90 ul씩 넣고, 인플루엔자바이러스 10 ul를 처리하였다. 10분간 반응시킨 후, 10배씩 PBS로 희석하였다. 그 후, 배양 접시 바닥에 가득 자란 MDCK 세포주를 상기 희석 용액 1 ml로 1시간 동안 감염시켰다. 한편, “감염+비투여” 대조군(control, 인플루엔자바이러스로 감염시킨 후, 어떠한 추출물도 투여하지 않은 세포군)을 동일한 조건에서 반응 후 MDCK 세포주에 접종하여 배양하였다.
이후, 배지를 제거하고, 2 x 아가로스(Agarose)와 10 ug/ml 트립신이 포함된 2 x MEM 배지를 중량비 1:1로 혼합한 후 2ml씩 MDCK 세포주가 포함된 플레이트에 부었다. 상기 MDCK 세포주를 2일간 37℃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한 후 4% 파라포름알데히드 1 ml을 넣어 고정시키고, 물로 세척하여 아가로즈를 제거하였다. 그 다음 크리스탈 바이올렛(crystal violet)으로 염색하여 플라크(plaque)의 수를 측정하였으며 그 수는 플라크 형성 단위 (plaque forming unit, pfu/ml)로 계산하였다.
각 시료 처리 후 신종인플루엔자 A (H1N1) (A/California/O4/09)의 역가
시료 바이러스 역가(pfu/ml) 바이러스 저해율(%)
대조군 1.9x106 -
타닌산 처리 기상필터 Not-detected 99.99
각 시료 처리 후 인플루엔자 A/WSN/33 (H1N1)의 역가
시료 바이러스 역가(pfu/ml) 바이러스 저해율(%)
대조군 3.4x108 -
타닌산 처리 기상필터 Not-detected 99.99
각 시료 처리 후 인플루엔자 A/PR/8 (H1N1)의 역가
시료 바이러스 역가(pfu/ml) 바이러스 저해율(%)
대조군 3.9x109 -
타닌산 처리 기상필터 Not-detected 99.99
상기 표 4 내지 표 6의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타닌산 처리 기상필터가 뛰어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사멸활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4)

  1. 타닌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사멸용 의약외품 조성물로서,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A/California/O4/09 또는 A/WSN/33(H1N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외품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독감, 감기, 인후염, 기관지염, 폐렴, 조류독감, 돼지독감 또는 염소독감을 야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외품은 필터 코팅제, 핸드워시, 구강청결제, 소독청결제, 샤워폼, 물티슈, 세제비누, 가습기 충진제, 마스크 또는 방향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1항의 의약외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상필터.
  11. (a) 제1항의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을 필터 기재에 코팅하는 단계; 및
    (c) 상기 코팅된 필터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 단계는,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에 롤러를 침지한 후, 상기 침지된 롤러를 사용하여 상기 조성물을 상기 필터 기재에 도포하는 단계;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에 상기 필터 기재를 포함한 롤러를 침지하는 단계; 및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을 상기 필터 기재에 스프레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필터의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기재는 플라스틱 또는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필터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페이퍼 베이스 부직포 또는 섬유 베이스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필터의 제조 방법.
  14. 제10항의 기상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KR1020100027498A 2009-10-16 2010-03-26 타닌산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상필터 및 상기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KR1011536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981 2009-10-16
KR20090098981 2009-10-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975A KR20110041975A (ko) 2011-04-22
KR101153630B1 true KR101153630B1 (ko) 2012-06-18

Family

ID=44047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7498A KR101153630B1 (ko) 2009-10-16 2010-03-26 타닌산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상필터 및 상기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271303B2 (ko)
KR (1) KR1011536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60268B (zh) * 2016-01-27 2018-03-23 中国人民解放军疾病预防控制所 一种用于抑制流感病毒感染的制剂
CN111759851B (zh) * 2020-08-17 2021-01-26 广东盛普生命科技有限公司 单宁酸在制备抗冠状病毒的药物方面的应用
WO2023286642A1 (ja) * 2021-07-16 2023-01-19 国立研究開発法人物質・材料研究機構 抗ウイルス性コーティング剤、抗ウイルス剤、積層体、及び、包装体又は容器
KR20240059354A (ko) 2022-10-27 2024-05-07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57023A1 (fr) * 1989-05-12 1990-11-13 Leon Cariel Composition a base de proanthocyanidols, leur application pharmacologique
US5411733A (en) * 1992-04-27 1995-05-02 Hozumi; Toyoharu Antiviral agent containing crude drug
JPH1045505A (ja) * 1996-08-05 1998-02-17 Daiwa Kagaku Kogyo Kk 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不活化剤
JP2000327512A (ja) * 1999-05-17 2000-11-28 Sekisui Plastics Co Ltd 抗菌消臭剤とそれを用いたフィルタ
JP2005152793A (ja) * 2003-11-26 2005-06-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機能性フィルターと装置および製造方法
WO2007144772A2 (en) * 2006-06-15 2007-12-21 Novartis Ag Adjuvant-sparing multi-dose influenza vaccination regimen
EA017957B1 (ru) * 2007-06-25 2013-04-30 Дзе Администрейторс Оф Дзе Тьюлейн Эдьюкейшнл Фанд Композиции и способы, ингибирующие грипп
JP5670201B2 (ja) * 2008-12-12 2015-02-18 国立大学法人広島大学 A型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属のエンベロープウイルスに対する抗ウイルス剤および抗ウイルス用組成物
JP2010163397A (ja) * 2009-01-16 2010-07-29 Japan Ecologia Co Ltd 抗菌性組成物
KR101176305B1 (ko) * 2009-10-14 2012-08-2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붉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상필터 및 상기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 J. BACTERIO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975A (ko) 2011-04-22
JP2011084549A (ja) 2011-04-28
JP5271303B2 (ja) 201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3227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of influenza viral infection comprising tannic acid, air filter comprising the same and air cleaning device comprising the filter
US9119814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of influenza viral infection comprising sumac extract, air filter comprising the same and air cleaning device comprising the filter
KR101176305B1 (ko) 붉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상필터 및 상기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RU2673524C1 (ru) Противомикробное покрытие и способ его формирования
JP5126745B2 (ja) 抗ウイルス剤及び抗ウイルス性シート
KR101153630B1 (ko) 타닌산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상필터 및 상기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KR20050123067A (ko) 살균필터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살균필터
KR20160107341A (ko) 부직포 및 활성탄을 이용한 항균필터의 제조 방법
CN112191024B (zh) 一种空气过滤网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1216894B1 (ko) 은행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종인플루엔자 a (h1n1)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상필터 및 상기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CN104286060A (zh) 一种长效空气消毒剂
KR20110041936A (ko) 붉나무 유래 화합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상필터 및 상기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KR20150120252A (ko)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상 필터 및 상기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US20110085992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infection of new influenza a (h1n1) virus comprising ginkgo extract, air filter comprising the same, and air cleaning device comprising the filter
KR20130046264A (ko) 황련, 황벽 및 쪽 추출물을 포함하는 유해가스 흡착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상필터와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RU2774762C2 (ru) Противомикробное покрытие и способ его формирования
KR20080088900A (ko) 알레르기 물질 또는 독감 바이러스 제거 필터
JP2008119312A (ja) ウイルス除去フィルター
EP4237752A1 (en) Process for ventilating spaces or regulating air quality in spaces
KR20130114016A (ko) 알레르기 물질 또는 독감 바이러스 제거 필터
CN114588711A (zh) 用于将病原体和/或过敏原去活的过滤介质
JP2011179157A (ja) 繊維構造物の抗ウィルス・制菌加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