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4016A - 알레르기 물질 또는 독감 바이러스 제거 필터 - Google Patents

알레르기 물질 또는 독감 바이러스 제거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4016A
KR20130114016A KR1020130096769A KR20130096769A KR20130114016A KR 20130114016 A KR20130114016 A KR 20130114016A KR 1020130096769 A KR1020130096769 A KR 1020130096769A KR 20130096769 A KR20130096769 A KR 20130096769A KR 20130114016 A KR20130114016 A KR 20130114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omposition
influenza virus
ginkgo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6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훈
박찬정
윤성진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6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4016A/ko
Publication of KR20130114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40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6Coniferophyta [gymnosperms], e.g.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 필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은행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물질(알레르겐) 또는 독감 바이러스를 포함하고 있는 유해 공기를 청정하게 하기 위한 항균 필터, 이를 제조하는 방법, 상기 항균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정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는 항균 활성을 가지는 은행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기존의 공기청정용 항균 필터로는 제거되지 않는 알레르겐 또는 독감 바이러스를 유효하게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알레르기 물질 또는 독감 바이러스 제거 필터{A filter for removal of allergic material or influenza virus}
본 발명은 항균 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은행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물질(알레르겐) 또는 독감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항균 필터, 이를 제조하는 방법, 상기 항균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는 항균 활성을 가지는 은행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기존의 공기청정용 항균 필터로는 제거되지 않는 알레르겐 또는 독감 바이러스를 유효하게 제거함으로써 쾌적하고 안전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내 공기 오염은 가정, 빌딩 및 자동차 내에서도 상당히 심각하다. 새로운 환경 분야인 실내 환경 문제는 인간이 주체가 된 생활 속에서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인간 활동에 의해 발생되는 각종 오염 물질(미세 먼지, 병원균 등)들이 실내에 방출되어 실내 공기의 질을 오염시킴으로써 자연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근래에는 환경 오염 등의 다양한 원인에 의해 실내 환경이 열악해지고 인간의 면역력이 감소하는 등에 의해 다양한 독감, 감기 등의 호흡기 질환, 기관지 천식, 비염, 아토피 등의 알레르겐에 의한 질환이 크게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환절기 또는 겨울 등에는 날씨가 건조해지고 먼지가 많아져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집 먼지 진드기 등이 기승을 부리기 때문에 미국 환경 보호국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실내 공기 오염도는 실외보다 2 내지 5배 정도 더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실내에서 사람이 활동을 하면 그 수치가 100배 이상 높아진다고 한다.
기관지 천식, 비염, 아토피와 같은 알레르기성 질환은 인체 내의 비정상적 면역 반응에 의한 것으로 현재 의학 수준으로는 약물 투여 등에 의해 근본적인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 아닌 항히스타민제 및/또는 부신수질호르몬제 등을 환자에게 투여하여 그 증상만을 완화하는 것에 그치고 있어 알레르기의 원인이 되는 물질인 알레르겐을 제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대표적인 호흡기 질환 중 하나인 독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해 발명하는 호흡기 질환으로서,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호흡기에 염증을 유발하고, 감염자의 기침 및 타액으로 공기 중으로 직접 전달되거나 독감 환자의 접촉물 등에 의해 간접적으로 타인에게 전염될 수 있는 전염력이 강한 바이러스이다. 이에 따라, 독감 질환을 예방하기 위하여 방역 및 독감 백신 등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백신은 그 접종의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독감이 유행할 시기에 맞추어서 유행할 특정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예상하여 백신을 제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만성 질환자, 노인, 어린이 및 장기 입원자는 면역력이 약하여 특히 위험할 수 있고, 이들은 대부분 실내 환경에서 생활하고 있어 실내 환경 내에서 독감 바이러스 입자를 제거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한편, 은행나무(Ginko boloba)는 모든 심한 해충들과 질병들에 저항성이 강하며 도시의 매연 등의 산업공해에 대해선 높은 저항성을 가지고 있는 식물로 평가 받고 있다. 은행잎 추출물은 1960년대부터 혈관확장, 혈류개선 및 치매개선을 목적으로 의약품으로 제조되어 현재 세계적으로 생산, 판매되는 천연물 의약품 및 식품 소재이다. 또한, 은행잎과 은행나무 추출물에는 항균작용 및 항알레르기 효과를 내는 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현대 의약품으로 개발되어 각광받기 오래전부터 민간치료제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냉장고와 같은 가전제품, 공조기, 가스마스크, 정수기, 상하수처리장치, 공기정화기, 클린룸 등에는 세균과 진균 등의 미생물을 제거할 수 있는 항균 필터가 장착되어 있다. 예를 들어, 차량용 공기조화 시스템은 차량의 실내 또는 실외 공기를 송풍기를 사용하여 유입 또는 재순환시키는데, 이러한 공기 중에는 세균 및 진균 등의 미생물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들을 제거하여 청결한 공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항균 필터가 차량용 스테레오의 후방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실험용 동물을 사육하는 동물 사육실 및 병원 수술실 등과 같은 클린 룸에는 동물과 사람 등에서 배출되는 배설물과 세균 등에 의해 실내가 오염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항균 필터가 장착된 항균 공조기가 설치된다.
이러한 항균 필터는 각종 미생물과 같은 오염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는 항균 소재가 구비된다. 이러한 항균제는 무기계 항균제와 유기계 항균제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무기계 항균제는 Ag, Cu 등의 유도체들로 구성되는 금속류의 항균제와 세라믹 계통의 항균제로 다시 세분될 수 있다. 금속류의 항균제들은 지극히 우수한 항균력을 보여주는 것이 사실이지만 인체에 대한 유해성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어, 그 사용이 점차 감소되고 있는 실정이며, 세라믹 계통의 항균제는 안전성 측면에서는 바람직하나 대체로 항균력이 우수하지 않으며 항균력의 객관적인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가 많다. 세라믹 계통의 항균제는 필터에 처리되기 전 항균제 자체로서는 비교적 우수한 항균력을 보여주지만 필터 등의 가공 대상물에 처리되고 나면 항균력이 다소 저하되거나 또는 현저히 저하되는 경우도 종종 발견되고 있다.
유기계 항균제는 살균력이 우수한 제품이 많이 개발되었으나 물질 자체가 불안정한 경우가 많고, 대부분 휘발성이 커서 인체에 대한 안전성 측면에서 불리하다.
이와 같은 기존의 항균제를 부직포 또는 플라스틱 필터에 코팅한 항균 제거 필터의 경우, 일반적인 세균만을 제거하는 것에 그쳐 알레르겐 및/또는 독감 바이러스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는 은행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균 필터를 제조하였으며, 상기 항균 필터가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등의 일반 세균 뿐만 아니라 알레르겐 및 독감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은행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물질(알레르겐) 또는 독감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항균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항균 필터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항균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공기청정장치를 이용하여 공기를 청정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은행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겐 또는 독감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항균 필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항균 필터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항균"이란 세균(bacteria), 진균(fungi), 조류(algae), 바이러스 등의 미생물의 성장, 증식을 저해하는 것 뿐만 아니라 이의 생존을 저해하는 것을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알레르기성 질환의 원인인 알레르겐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항균 필터"란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고 살균 및 알렐르겐을 제거하여 외부로부터의 미생물 또는 알레르겐의 유입을 방지하고, 필터에 의한 2차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를 말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항균 필터는 자동차용 항균 필터, 가전제품용 항균 필터, 공조기용 항균 필터, 가스마스크용 항균 필터, 정수기용 항균 필터, 상하수처리용 항균 필터, 공기정화기용 항균 필터 또는 클린룸용 항균 필터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기청정기용 항균 필터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은행"은 은행잎, 뿌리, 과피 등에 따라 함량의 차이는 있으나, 플라본글리코사이드류, 징코닉 애시드, 징코게틴, 징코화이드 A, B, C, M, 렐펜락톤류 등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며 각 유효성분의 구조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1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은행 추출물의 원료가 되는 은행 나무의 부위는 은행과, 은행잎, 은행뿌리가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추출효율, 추출공정 등에 의해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은행잎이다.
상기 은행 추출물은 그 추출방법에 있어 단순한 추출방법에서부터 지용성 성분까지 추출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은행의 외과피, 은행 수피, 은행잎, 은행뿌리 등 다양한 은행나무의 부위를 추출이 용이하도록 분쇄하여 추출 용매에 의해 추출하고 이를 여과 및 농축하여 얻을 수 있다.
추출 용매로는 물,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또는 n-헥산, n-헵탄, DMSO 등이 있고 이들 중 2 이상의 용매를 혼합하여 추출 용매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추출하고자 하는 원료의 양, 추출 방법 등에 따라 당업자가 공지의 방법으로부터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추출 시간 및 온도도 추출 효율, 추출 용매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가 공지의 방법으로부터 적절히 선택 가능하다. 바람직한 추출 시간은 10분 내지 1시간이며, 바람직한 추출 온도는 40 내지 100℃ 이다.
또한, 상기 추출방법에 의해 추출된 은행 추출물을 감압 여과 등의 공지의 여과 방법에 의해 여과한 후 증류 등에 의해 농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추출, 여과 및 농축 방법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당업자는 이를 적절히 선택하여 은행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터에 사용되는 상기 은행 추출물의 바람직한 농도는 0.1 내지 5 중량%이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필터는 상기 추출물을 필터 기재에 코팅하여 제조되는 것으로서, 필터 기재의 재질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든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또는 부직포이다. 상기 플라스틱 재료에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아크릴, PVC 또는 폴리스티렌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이다. 또한 부직포 재료에는 레이온, 텐셀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적인 부직포 재료로서 당업계에 공지된 재료는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이다.
본 발명의 필터 기재는 플라스틱 수지를 융점 부근의 온도로 가열하여 용융 방사하여 제조되는 필라멘트 사를 제직하는 제직형태 또는 섬유를 제직하지 않고 섬유의 웨브(web; 격자 모양으로 얽힌 것)를 만들고 이를 결합시키는 부직포 형태의 섬유용 필터로 제조하거나, 발포제를 추가하여 다공성의 발포체 필터로 제조할 수 있다.
은행 추출물을 필터에 코팅하는 것은, 상기 필터 기재를 상기 은행 추출물 액에 침지(dipping)하거나, 필터에 항균 물질 액을 분사(spraying)하거나 또는 도포(applying)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 공지된 코팅방법을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은행 추출물 액의 코팅 시간은 공기 투과율, 항균 효과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당업자가 조절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필터의 제조를 위한 코팅 공정은 이미 제조된 필터 기재에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터를 제직하기 전의 섬유 형태의 단계에서도 적용 가능하다. 섬유 형태인 경우, 필터 제직용 섬유를 먼저 은행 추출물 액으로 침지 또는 분사하는 코팅 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코팅 공정 후에 필터 기재를 제직하게 된다.
상기 은행 추출물 액이 침지 또는 분사에 의해 코팅 처리된 필터를 건조하는 경우, 상온 또는 열풍 건조할 수 있으며, 건조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건조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은행 추출물 액이 필터에 잘 흡착되어 장기간 동안 필터가 항균 효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필터는 상기 은행 추출물 외에도 기존의 항균 물질, 탈취제(예: 후라보노이드, 휘톤치트, 목초액, 식물추출물, 사이클로덱스트린, 금속이온, 이산화티탄) 또는 집진 여과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은 함께 또는 성분별로 각각 별도 도포할 수 있으며, 도포 순서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폴리프로필렌 필터 기재에 은행잎 분쇄물을 증류수와 함께 혼합하여 80℃의 수욕상에서 중탕, 여과하여 제조한 은행 추출물 액을 분무 코팅하여 140℃에서 4분 동안 건조하여 공기청정용 필터를 제조하였으며, 상기 필터의 항균 시험 결과는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다.
대상균주 제거율
알레르기 물질 진드기 알레르기 물질 66%
꽃가루 알레르기 물질 63%
독감 바이러스 99.9%
대장균 99.9%
황색 포도상 구균 99.9%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항균 필터는 알레르기 물질(알레르겐)을 60% 이상 제거할 뿐만 아니라 독감 바이러스, 대장균 및 황색 포도상 구균을 90% 이상으로 제거함으로써, 실내 오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병의 원인 물질, 특히 알레르겐 및 독감 바이러스 등의 세균을 매우 효과적으로 제거함을 알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은행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항균 필터가 적용되는 공기청정장치에는 그 제한이 없고, 가정 또는 사무실 내 공기청정기 또는 자동차용 실내정화용 필터 등이 그 예가 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통상의 공기청정장치가 가지고 있는 통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공기청정장치는, 본 발명의 항균 필터를 공기의 흡입구와 분출구의 사이에 배치하여 이루어진다.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공기청정장치를 사용하는 공기청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은행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필터는 기존의 항균 필터와는 달리 진균, 박테리아, 조류 등의 세균뿐만 아니라, 실내 공기 오염에 의해 발병하는 주요한 질환인 알레르기성 질환 또는 독감 등의 호흡기 질환의 원인이 되는 알레르겐 또는 독감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안전하고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항균 필터를 사용하여 삼나무 알레르겐 불활화 시험을 은 염색법으로 나타난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항균 필터를 사용하여 삼나무 알레르겐 불활화 시험을 웨스턴 블러팅으로 나타난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항균 필터를 사용하여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제거 시험을 한 결과이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필터의 제조
알레르겐 불활화 시험 및 독감 바이러스 제거 시험을 하기 위해, 폴리프로필렌 필터 기재에 은행잎 분쇄물을 증류수와 함께 혼합하여 80℃의 수욕상에서 중탕, 여과하여 제조한 은행 추출물 액을 분무 코팅하여 140℃에서 4분 동안 건조하여 필터를 제조하였다.
2. 삼나무 알레르겐 불활화 시험
2.1 시험방법(은 염색법 및 웨스턴 블롯 법)
(1) 정제 삼나무 꽃가루 항원 Cryj1(0.01mg/ml)를 포함한 인산 완충액(phosphate buffered saline) 0,1ml 속에 본 발명에 따른 은행 추출액을 투입했다.
(2) 실온에서 일정시간(1, 2, 4, 24 시간) 방치한 후, 상기 (1)의 용액을 회수하여 원심 처리 후, 상청(上淸) 0.01ml를 얻었다.
(3) 상기 (2)에서 얻은 분취액(分取液)을 폴리아크릴아미드 겔(10%)를 사용한 전기영동으로 분리한 후, 은 염색법으로 겔 속의 정제 삼나무 꽃가루 항원 Cryj1을 염색했다.
(4) 또한, 상기 (1) 내지 (3)과 같은 방법으로 전기영동한 후, 겔 속의 단백질을 세미드라이블로터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막에 전사했다. 이어서, 1%의 소혈청 알부민을 포함한 PBS 완충액으로 90분간 블로킹한 후, 1차 항체(항 Cryj1 토끼 IgG)를 포함한 PBS 완충액 속에서 90분간 반응시키고, 마지막으로 알칼리포스파타아제의 기질용액을 더해 10분간 반응시킨 후, 정제 삼나무 꽃가루 항원 Cryj1을 특이적으로 검출했다.
[사용시약]
1.PBS(염화나트륨 8g, 염화 칼륨 0.2g, 인산수소이나트륨 12 수화물 2.9g, 인산이수소칼륨 0.2g/l),
2.은염색키트(和光純藥 공업사 제품),
3.정제 삼나무 꽃가루 항원 Cryj1(林原 생물 화학 연구소 제품),
4.알칼리포스파타아제 표식 항 토끼 IgG(Cell Signaliing Technology 사 제품),
5.10% 폴리아크릴아미드 겔(바이오라드 사 제품),
6.PVDF 막(필리모아 사 제품).
*2.2 시험결과
(1) 은 염색법
시험결과를 도 1에 나타냈다(시험조건은 표2 참조). 본 발명에 따른 필터를 첨가한 것에서는 정제 삼나무 꽃가루 항원 Cryj1이 검출한계 이하가 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은 염색법 시험 조건
No. 검체 방치시간 No. 검체 방치시간
1 미가공 여재 1시간
5 미가공 여재 4시간
2 본 발명의 필터 6 본 발명의 필터
3 미마공 여재 2시간
7 미가공 여재 24시간
4 본 발명의 필터 8 본 발명의 필터
M 분자량 마카 - 9 여재 없음 24시간
(2) 웨스턴 블롯 법
시험 결과를 도 2에 나타냈다(시험조건은 표3 참조). 본 발명의 필터를 첨가한 것에서는 정제 삼나무 꽃가루 항원 Cryj1이 검출한계 이하가 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웨스턴 블롯 법 시험 조건
No. 검체 방치시간 No. 검체 방치시간
1 미가공 여재 1시간
5 미가공 여재 4시간
2 본 발명의 필터 6 본 발명의 필터
3 미가공 여재 2시간
7 미가공 여재 24시간
4 본 발명의 필터 8 본 발명의 필터
9 여재 없음 24시간
3.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제거 시험
3.1 시험 재료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1983년 시마네현에서 발견한 야생 백조에서 분리된 A/Whistling swan/Shimane/499/83(H5N3)이다. 시험에는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10일령 발육 계란의 장뇨막강에 접종하여 37℃로 2일간 인큐베이션한 후, 무균적으로 회수한 장뇨액을 바이러스 액으로서 사용했다.
*3.2 시험 방법
(1) 흡인 펌프에서 분무구→시험필터→인핀저 방향으로 기류(풍량 0.15m/초)를 만든 시험장치 내에 멸균 인산 완충 생리적 식염수(PBS)로 대략 107.5 EID50*/0.1ml로 희석한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네불라이저를 이용하여 10분간 분무했다. 시험필터를 사용하지 않은 것은 대조 시험으로 하였다.
2) 필터를 통과한 바이러스는 인핀저로 20ml의 멸균 PBS로 회수하였다.
3) 바이러스 회수액은 항생물질을 포함한 멸균 PBS로 10 계단 희석하여, 10일령 발육 계란의 장뇨막강에 0.1ml 접종하였다.
4) 발육 계란은 37℃로 2일간 배양한 후, 적혈구 응집(HA) 시험에 의해 장뇨막강에서의 바이러스 증식유무를 확인하고, 반응액 속의 바이러스 감염가를 Reed and Muench(Am. J. Hyg., 1938)법으로 산축했다.
*: 50% 발육 계란 감염량
3.3 시험 결과
시험 결과를 표 4 및 도 3에 나타냈다. 시험필터를 사용하지 않은 대조시험에서의 회수 바이러스 감염가는 104.4 내지 105.5 EID50/0.1ml (평균 105.1EID50/0.1ml)이었다. 한편, 시험필터를 장착한 상태에서의 회수 바이러스의 감염가는 101.5EID50/0.1ml였다. 따라서, 시험필터를 1회 통과함으로써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가는 본 시험조건에 있어 대략 103.5EID50/0.1ml(99.97%, 1/3,000) 저하됨이 분명히 확인되었다.
Figure pat00002

Claims (8)

  1. 은행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삼나무 꽃가루 항원 Cryj1 또는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Whistling swan/Shimane/499/83 (H5N3) 제거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은행나무 추출물이 물, 에틸알코올, 아세톤, 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트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것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은행나무 추출물이 은행나무의 잎을 물과 에틸알코올의 혼합액을 이용해 10 내지 80℃에서 1 내지 24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된 것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은행나무 추출물이 300 내지 1500 질량%의 플라보놀 배당체를 함유하는 것인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이 코팅된 삼나무 꽃가루 항원 Cryj1 또는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Whistling swan/Shimane/499/83 (H5N3) 제거용 공기청정용 필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가 상기 조성물에 필터 기재를 침지 후 건조시키거나 상기 조성물을 필터 기재 상에 분무 후 건조시켜서 제조되는 것인 공기청정용 필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0.1 내지 10.0 g/㎡의 함유량으로 필터에 코팅된 것인 공기청정용 필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내 플라보놀 배당체가 0.0004 내지 0.15 g/㎡의 함유량으로 필터에 코팅된 것인 공기청정용 필터.
KR1020130096769A 2013-08-14 2013-08-14 알레르기 물질 또는 독감 바이러스 제거 필터 KR201301140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769A KR20130114016A (ko) 2013-08-14 2013-08-14 알레르기 물질 또는 독감 바이러스 제거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769A KR20130114016A (ko) 2013-08-14 2013-08-14 알레르기 물질 또는 독감 바이러스 제거 필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1774A Division KR20080088900A (ko) 2007-03-30 2007-03-30 알레르기 물질 또는 독감 바이러스 제거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016A true KR20130114016A (ko) 2013-10-16

Family

ID=49634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6769A KR20130114016A (ko) 2013-08-14 2013-08-14 알레르기 물질 또는 독감 바이러스 제거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40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11826A (zh) * 2017-12-01 2018-02-23 西南林业大学 一种银杏提取液的康乃馨切花保鲜试剂的制作工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11826A (zh) * 2017-12-01 2018-02-23 西南林业大学 一种银杏提取液的康乃馨切花保鲜试剂的制作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han et al. Fungal pollution of indoor environments and its management
Burrell Microbiological agents as health risks in indoor air.
JP4550060B2 (ja) エアフィルター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処理装置
US20060278086A1 (en) Air cleaner, functional fil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ilter, air cleaning filter, and air cleaner device
JP2006241431A (ja) アレルゲン不活化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フィルタ
KR101176305B1 (ko) 붉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상필터 및 상기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KR20150034014A (ko) 인삼추출물 및 녹차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항균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JP3219435U (ja) 複合機能エアコンフィルター
JP2006239393A (ja) アレルゲン不活化剤
KR20080088900A (ko) 알레르기 물질 또는 독감 바이러스 제거 필터
KR101216894B1 (ko) 은행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종인플루엔자 a (h1n1)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상필터 및 상기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KR20130114016A (ko) 알레르기 물질 또는 독감 바이러스 제거 필터
JP3712790B2 (ja) 防カビ抗菌抗ウイルスフィルター
KR100789556B1 (ko) 항미생물 성능을 갖는 조성물, 이를 적용한 공기정화용필터 및 그 제조방법
RU169520U1 (ru) Очиститель и обеззараживатель воздуха
KR20120111280A (ko) 공기정화기에 대한 부유세균의 제거성능 평가방법
Han et al. The sources and health impacts of indoor air pollution
Zhao et al. Control technology of pathogenic biological aerosol: Review and prospect
CN102198286A (zh) 居室除湿灭菌净化负氧离子发生器
JPH1045505A (ja) 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不活化剤
CN105879097B (zh) 空气杀菌装置
KR20110041936A (ko) 붉나무 유래 화합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상필터 및 상기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EP2314302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infection of new influenza A (H1N1) virus comprising ginkgo extract, air filter comprising the same, and air cleaning device comprising the filter
JP2006241432A (ja) アレルゲン不活化剤
Pert A Literature Analysis on Stachybotrys chartarum and Connections to Sick Building Syndro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