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2786B1 - 나사산 프로파일의 단면이 다중첨두 고딕 아치 형상인 개선된 하중 인가식 볼 나사 - Google Patents

나사산 프로파일의 단면이 다중첨두 고딕 아치 형상인 개선된 하중 인가식 볼 나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2786B1
KR101152786B1 KR1020077010605A KR20077010605A KR101152786B1 KR 101152786 B1 KR101152786 B1 KR 101152786B1 KR 1020077010605 A KR1020077010605 A KR 1020077010605A KR 20077010605 A KR20077010605 A KR 20077010605A KR 101152786 B1 KR101152786 B1 KR 101152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nut
screw
arch
pro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0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4346A (ko
Inventor
페드로 마리아 안도네구이 아구이르레고메즈코르타
Original Assignee
슈톤,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496858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15278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슈톤,에스.에이. filed Critical 슈톤,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070114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4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2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2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2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2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 F16H25/2204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with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2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 F16H25/2204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with balls
    • F16H2025/2242Thread profile of the screw or nut showing a pointed "gothic" arch in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개선된 예하중 인가식 볼 나사(1)는 그 나사부가 다중첨두 고딕 아치(5.1) 형상의 프로파일로 되어 있어 볼이 다수의 접촉점(5.3)에 접촉하여 회전되며, 볼이 다수의 평행한 회전 트랙(6)을 따라 안내되고, 볼(4.1)의 중심의 위치가 유지된다.

Description

나사산 프로파일의 단면이 다중첨두 고딕 아치 형상인 개선된 하중 인가식 볼 나사 {IMPROVED LOADED BALL SCREW HAVING THREAD PROFILE SHOWING IN A CROSS SECTION A MULTIPLE POINTED GOTHIC ARCH SHAPE}
본 발명은 예하중 인가식 볼 나사(preloaded ball screw)에 관한 것으로, 이 나사는 나사산의 프로파일이 다중첨두 고딕 아치 형상(a multiple pointed gothic arch shape)으로 되어 있어 볼이 다수의 접촉점에 접촉하여 회전되며, 그 결과 볼의 중심의 위치를 유지한 가운데 다수의 평행한 회전 트랙을 통해 볼이 안내되고, 회전 운동의 자유도가 제거되며, 볼 사이의 마찰이 감소되고, 압력하의 변형이 줄어들어 강성이 증가한다.
볼 나사는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또는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전동 기구로서, 위치 결정 정밀도 및 하중 전달이 우수하며, DIN-69051 표준 제1-5부와, ISO-3408 표준 제1-3부와, UNE-15-439-94 표준 제1-3부에 서술 및 정의되어 있다.
볼 나사는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5개의 작동 요소로 구성된다.
- 나사는 원통형 축으로서, 그 외측면에 나선형 나사산이 가공되어 있으며, 이 나사산은 홈이 형성된 반원형 프로파일 단면으로 되어 있고, 원형 아치 또는 단일첨두 고딕 아치 형상(a pointed gothic arch shape)이다.
- 너트는 원통형의 중공 슬리브로서, 그 내측면에 나선형 나사산이 가공되어 있으며, 이 나사산은 홈이 형성된 반원형 프로파일 단면으로 되어 있고, 원형 아치 또는 단일첨두 고딕 아치 형상이다. 나사와 너트가 동축상에서 결합되면 원형 아치 또는 단일첨두 고딕 아치 형상의 원형 프로파일 단면을 갖는 나선형 관이 형성된다.
- 볼은 나사의 나사산과 너트의 프로파일의 압력에 의해 응력을 전달하는 구름체로서, 이들 볼이 조립되면 동축상 결합시 나사의 나사산과 너트가 형성하는 나선형 관 내에 볼 회로가 형성된다.
- 편향기는 볼의 재순환을 위한 부분으로서, 폐쇄 볼 회로를 형성하도록 너트 상에 조립된다.
- 윤활제는 오일이나 그리스로서, 볼이 나사 및 너트와 접촉하는 영역의 마찰을 감소시킨다.
볼 나사에서는 나사 및 너트를 볼과 동축상에서 조립할 때 제조를 위한 설계 규정에 의해 결정되는 축방향/반경 방향 공차가 존재한다. 여기서 공차라 함은 나사 및 너트와 볼 사이의 상대적인 각운동이나 회전 운동이 없는 상태에서 이들 사이에 생길 수 있는 상대적인 축방향 또는 반경 방향 이동량을 의미한다. 정밀 볼 나사 조립체의 정확한 작동을 위해 상기 공차를 제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에 의존하여 왔다. 너트 조립체를 2개의 너트로 형성하며, 이들 사이에는 "예하중력"이라고 부르는 축방향 분리력이 작용하는데, 이 예하중력은 각 너트와 접촉하는 볼의 반대 방향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나사산으로 전달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 2개의 너트의 나사산은 예하중력에 의해 분리되거나 접근하게 되는데, 예하중력 은 양 너트에 가장 가까운 2개의 볼 회로 사이에 존재하는 다중 피치 비율을 변화시키고, 각 볼에 대해 정적으로 접촉각을 이루며, 이때 하나의 너트에 존재하는 볼들의 접촉각은 다른 너트의 볼들과 부호가 반대이다.
이중 너트로 형성된 너트 조립체에서 예하중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몇 가지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는데, 이들 시스템은 2개의 너트 사이에 정밀 와셔 또는 스페이서를 도입하여 이들을 서로로부터 분리하거나 접근시키고, 키를 이용하여 이들이 회전하기 못하도록 고정시킨다. 또한, 2개 부분에서 공통 나사산을 이격시키고 볼의 직경으로 예하중력의 값을 조정하여 중심 영역에서의 피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예하중이 인가되는 소형 너트 시스템도 공지되어 있다.
볼은 압착에 의해 변형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며, 이 능력 때문에, 예하중이 인가된 볼의 소위 접촉점은 접촉 타원 형상의 압착면이 되며, 소위 회전 트랙은 접촉 타원의 폭으로 규정되는 밴드이다.
실제로, 삼각형 및 사다리꼴 나선형 나사산과 같이 평면 형상인 동시에 홈이 형성된 프로파일 단면을 갖는 나선형 나사산은 볼과 함께 사용되지 않는데, 이는 2개의 접평면 사이에서 볼의 이동 정도의 자유로움 및 불안정성 때문이다. 이는 볼의 포락이 증가하도록 원형 볼트(vault)를 사용하는 이유가 되며, 원형 아치 또는 단일첨두 고딕 아치 형상을 갖고 홈이 형성된 반원형 프로파일 단면으로 되어 있는 나선형 나사산으로 볼 나사를 구성하는 이유가 된다. 이 중에서 단일첨두 고딕 아치 형상이 가장 널리 사용되며 가장 유리하다. 프로파일 설계는 볼의 직경과 프로파일 아치의 반경 사이의 소정 관계 또는 포락정합계수(enveloping conformability coefficient)와, 볼이 회전하는 트랙을 따라 볼의 접촉점에서의 안정성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 예하중력의 값을 증가시키는 반경 방향/축 방향 공차를 고려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반원형 나사산 프로파일들은 DIN-69051 표준과 ISO-34081-1 표준 및 UNE-15-439-94 표준에 지정되어 있으며, 이들 중 하나는 원형 아치 형상이고 나머지는 단일첨두 고딕 아치 형상이다.
이들 프로파일은 모든 볼 나사 제조업자의 실시 형태와 관련하여 공지되어 있으며, 이들은 모두 다음 실시 형태를 포함한다. 고딕 아치는 나사 홈과 너트 홈에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된다. 프로파일의 정의는 볼 직경, 볼 직경에 대한 아치 반경의 정합 계수, 반경 방향/축방향 공차, 그리고 볼의 접촉각과 관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볼에 예하중이 인가되면 "볼 접촉점이 2개"인 포락 프로파일을 얻게 되며, 접촉점 중 하나는 너트의 아치의 한쪽에 있고, 다른 하나는 나사의 아치의 반대쪽에 있으며, 볼 직경은 2개의 접촉점을 연결하는 접촉각을 형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실시 형태들은 하기 특허에 개시되어 있다.
* 1954년 4월 20일자로 LEON HURE & Co.에 허여된 프랑스 특허 제1,098,892호.
* 1958년 7월 15일자로 HARRY ORNER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2,842,978호.
* 1958년 1월 17일자 영국 특허 제822,5832호, 1961년 4월 19일자 제974,077호, 1966년 5월 17일자 제1,140,381호. 모두 ROTAX LIMITED에 허여.
* 1963년 4월 3일자로 THE CINCINNATI MILLING MACHINE CO.에 허여된 프랑스 특허 제930,339호.
* 1983년 11월 21자로 MANNESMANN MASCHINENFABRIK GMBH. & Co. KG에 허여된 유럽 특허 제0 113 014호.
이들 특허는 모두 볼이 2개 지점과 접촉한다는 사상에 기초한 것으로, 2개 지점 중 하나는 너트의 단일첨두 고딕 아치의 한쪽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는 나사의 반대쪽에 위치한다. 그러나, 이들 공지된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일련의 결점을 안고 있다.
?볼은 압착에 의해 변형되는 능력이 있으며, 너트와 관련하여 나사로 상대 회전 운동을 전달할 때, 나사산의 홈과 너트 사이에 위치한 볼들은 접선력 및 평행력의 두 힘을 동시에 받게 되는데, 이들 힘은 볼과의 2개 접촉점을 변형시킴으로써 2개의 타원 내에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며, 접촉점 타원을 구름 트랙의 제조 공차에 적응시킴에 따른 볼 부분에서의 속력 차이로 인해 볼 내부에서 자체 축선과 관련하여 회전하는 전방향 자이로스코프식 궤도 운동이 생겨난다. 이러한 운동에서는 나사와 너트 프로파일 사이에 압박되는 볼의 중심 및 볼의 접촉점에 불안정성이 있으며, 이로 인해 볼이 나사 홈 상에서 주행하는 경로에서의 밴드의 위치가 변하여 볼에 장력으로 인한 진동이 생긴다. 따라서, 휘파람 소리와 같은 소음 및 강성의 동적 불안정성이라는 결점이 있다.
?각각의 볼이 전진하여 볼 릴의 일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그 위치에 따라 릴은 전후에서 볼들과 접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중심의 이동이 불안정하면 인접 볼들과의 접촉점도 불안정하며, 그 결과 볼 릴의 속력을 변화시키는 기어 힘이 생기고, 마찰 토크의 값에 차이, 요동 및 증가가 생겨난다.
?예하중 압력이 전적으로 2개의 반대쪽 타원에 걸쳐 작용하므로, 변형으로 인한 강성값이 예하중에 비례하는 정도보다 덜 증가한다. 그 결과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높은 예하중이 필요하게 되고, 온도가 상승하며, 볼 나사의 사용 기간이 줄어들고, 전방 이동의 각 방향에 대한 동적 마찰 토크 값에 변화가 생긴다.
?이러한 결점들은 접촉점이 2개인 단일첨두 고딕 아치 프로파일에서의 피치, 테이퍼, 허용 정도 및 비대칭과 관련한 오류의 제작 공차에 의해 극명해진다.
?이러한 결점들은 정밀도 있는 회전, 가속 및 하중 속력, 강성 및 동적 마찰 토크의 가장 진보된 응용에 필요한 사양들을 감소시킨다.
접촉점이 2개인 예하중이 인가된 볼이 구를 때의 전방 이동은 평행력 및 반대 방향 마찰력의 두 힘으로 볼을 압박하는 접평면 및 평행면의 두 평면의 상대적인 천이에 의해 정의되며, 이때 볼의 회전 자유도는 높은데, 볼의 회전은 그 볼에 부착된 볼들과의 접촉에 의해 이루어진다.
접촉점이 2개인 볼은 안내되지 않으며, 이 때문에 매우 많은 형태의 이동이 생겨나고, 이러한 이동은 압력 접촉 영역에서의 속력 차이에 좌우된다.
종래 기술에서는 이중이 아닌 단일 너트 형태가 일반적으로 이용되는데, 볼은 축방향 또는 반경 방향 여유 없이 조립되며, 압력이 4개 지점에 작용하고, 그 중 2개 지점은 너트의 단일첨두 고딕 아치 형상으로 된 프로파일의 각각의 아치에, 그리고 나머지 2개는 나사의 단일첨두 고딕 아치 형상으로 된 프로파일의 아치의 각 측부에 위치한다. 접촉각들은 반대 방향 접촉점이 연결될 때 X자를 형성하여, 너트에 대한 나사의 축방향 힘 및 상대 회전이 이루어질 때 볼이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X 형상으로 인해서 한 방향으로는 작용력이, 반대 방향으로는 반응력이 존재하고, 그 결과 고속 회전 시에 불명확한 운동이 일어나고 그에 따른 온도 및 마모가 사용을 부적절하게 만든다.
현재 2개 이상의 접촉점으로 볼을 안내하려는 시도가 2종의 특허에 기재되어 있다.
* 1955년 5월 16일자로 REGINAL BISHOP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813,741호.
* 1978년 6월 16일자로 LOUIS POHL에게 허여된 프랑스 특허 제2395423호.
이들 특허는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나사산을 갖는 평면 벽과 접촉하도록 볼을 끼운다는 사상에 기초하고 있다. 실제로, 삼각형 및 사다리꼴 나선형 나사산과 같이 평면 형상인 동시에 홈이 형성된 프로파일 단면을 갖는 나선형 나사산은 볼과 함께 사용되지 않는데, 이는 2개의 접평면 사이에서 볼의 이동 정도의 자유로움 및 불안정성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은 DIN-69051, ISO-3408 및 UNE 15-43994 볼 나사 표준에서 고려하고 있지 않다.
전술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가장 적절한 해결책은 볼의 무게 중심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접촉 영역의 속력을 일치시키면서 볼의 전방 이동을 안내하는 것으로, 이렇게 하면 단일첨두 고딕 접촉면에 예하중이 분배되어 볼이 덜 변형된다.
볼을 "다중 접촉점"으로 안내할 수 있는데, 이는 아치의 한 측부에서도 볼이 다수의 점에서 접촉하고, 다른 아치의 반대 측부에서도 볼의 접촉이 기타 다수의 점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볼이 주어진 접촉점을 갖기 위해서는 아치의 해당 측부에 접하는 곡선이 있어야 하며, 이러한 아치는 중첩된 단일첨두 고딕 아치에 의해, 즉 각 아치에 대해 곡률 중심이 2개인 다중첨두 고딕 아치에 의해 형성된다. 반대 측부에는 접촉점에 대응하는 다중첨두 고딕 아치가 있다.
기하학적으로, 공간에서 중심으로부터 등거리에 있는 다수의 점들은 구를 이루며, 평면상의 다수의 점들은 원을 이룬다. 다수의 접촉점에 의해 볼이 안내되면서 구르게 되며, 그 결과 다수의 평행한 전방 이동 구름 원주부 및 해당 구름 트랙이 생겨나 자이로스코프식 이동 및 기타 무작위 이동이 제거된다. 볼의 중심의 위치는 구름 도중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접촉점의 대칭은 설계에 의해 정의되며, 볼의 원이, 2개의 점을 연결하는 세그먼트가 동일한 각도를 갖는 모든 점들의 기하학적 장소이기 때문에, 반대쪽 점의 압력 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접촉점들의 형상이 타원이기 때문에 2개씩의 타원 영역의 하중이 한 측부에, 그리고 다른 측부에서 더 큰 투영의 또 다른 타원에 분배되어, 결과적으로 동일한 예하중에 대해 볼이 덜 변형된다. 접촉점의 설계의 대칭은 예하중력에 의해 자발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데, 이는 적절한 접촉점 상의 하중으로 인한 타원의 변형을 수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예하중 인가식 볼 나사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 나사는 나사산의 프로파일이 다중첨두 고딕 아치 형상으로 되어 있어 볼이 다수의 접촉에 접촉하여 회전하게 되며, 그 결과 볼이 다수의 평행한 구름 트랙을 따라 안내되고, 볼의 중심의 위치가 유지되며, 회전 운동의 자유도가 제거되고, 볼 사이의 마찰이 감소하며, 압력하의 변형이 줄어들어 강성이 증가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볼 나사는 그 특징으로서 재순환하는 예하중 인가식 이중 너트를 포함하며, 이 너트는 원통형 중공 슬리브로서, 그 내측면에는 나선형 나사선이 가공되어 있으며, 이 나사산은 홈이 가공된 단면 프로파일로 된 동시에 다중첨두 고딕 아치 형상이며, 아치마다 곡률 중심이 2개이고, 상기 아치는 원통형 축인 나사 상에 조립된다. 상기 너트의 외측면에는 다중첨두 고딕 아치 형상인 동시에 홈이 가공된 단면 프로파일로 된 나선형 나사산이 가공되어 있으며, 각 아치마다 곡률 중심이 2개이다. 구형 회전체인 볼은 자신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상기 너트의 나사산의 프로파일의 다수의 점과, 그리고 상기 나사의 프로파일의 기타 다수의 점과 접선 방향으로 접촉함으로써 소정 각도로 힘을 전달한다. 볼들이 조립되면 다중 접촉점의 프로파일로, 즉 다중첨두 고딕 아치 형상으로 나선형 관 내부에 볼 회로를 형성하여, 동축상 결합시 나사 및 너트의 나사부를 형성한다.
도 1은 볼 나사의 나사산의 프로파일의 설계를 도시한 그래프로서, 이 볼 나사는 다중첨두 고딕 아치 형상으로 되어 있어 볼이 다수의 접촉점에 접촉하여 회전하게 되며, 이 다수의 접촉점은 각 아치마다 곡률 중심이 2개인 다중첨두 고딕 아치 형상으로 된 너트의 나사산의 프로파일 단면과, 각 아치마다 곡률 중심이 2개인 다중첨두 고딕 아치 형상으로 된 나사의 나사산의 다른 프로파일 단면이 동축상으로 결합되어 형성된다.
도 2는 다중첨두 고딕 아치 형상의 구조설계를 도시한 그래프로서, 이 형상은 각 아치마다 곡률 중심이 2개이며, 이는 상이한 중심 쌍을 갖는 단일첨두 고딕 아치를 중첩시킨 결과이고, 이 아치의 반경들은 볼의 직경과 소정의 관계 또는 포락 정합 계수(enveloping conformability coefficient)를 갖는다.
도 3은 너트의 다중첨두 고딕 아치 일측에 위치하는 접촉점들과 트랙밴드, 그리고 반대편의 나사의 다중첨두 고딕 아치상에 위치하는 접촉점들과 트랙밴드로 형성된 다수의 타원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이들 타원은 접촉각을 형성하여 볼상에 다수의 평행한 전방이동 회전원주부를 생성함으로써 볼의 중심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도 4는 다수의 접촉점 및 다중첨두 고딕 아치의 점들 상에서의 예하중력의 분할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5는 예하중 인가식 볼 나사의 평면도로서, 이 나사의 나사산은 다중첨두 고딕 아치 형상의 프로파일로 되어 있어 볼이 다수의 접촉점에 접촉하여 회전하게 되고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접촉각을 형성한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실시 형태와 관련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각 아치마다 두개의 곡률중심을 갖는 다중첨두 고딕 아치를 구비한 신규의 나사 프로파일 설계에 대한 단면도로서, 볼(4)의 다중접촉점(5.3)의 접촉각은 너트(2)의 다중첨두 고딕 아치(5.1) 및 나사(3)의 다중첨두 고딕 아치(5.2)를 비롯한 볼 직경과 관련한 아치반경의 정합계수 및 서로 동축적으로 결합된 너트(2)와 나사(3) 사이의 반경방향-축방향 공차에 의해서 정해지게 된다.
도 2는 다중첨두 고딕 아치 형상의 구조설계를 도시한 그래프로서, 이 고딕 아치 형상을 구성하는 각 아치는 두 개의 곡률 중심을 구비하는바, 상이한 곡률 중심(5.1.2)쌍을 갖는 단일첨두 고딕 아치의 중첩에 의해서 도시된 바와같은 형상의 다중첨두 고딕 아치가 얻어지게 되며, 이때 아치의 반경(5.1.3)들은 볼의 직경과 소정의 관계 또는 포락정합계수를 갖는다.
도 3은 너트(2)의 다중첨두 고딕 아치(5.1) 일측에 위치하는 다중 접촉점(5.3)과 트랙밴드(6), 그리고 반대편의 나사(3)의 다중첨두 고딕 아치(5.2)상에 위치하는 접촉점들과 밴드로 형성된 다수의 타원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이들 타원은 접촉각을 형성하여 볼(4)상에 다수의 평행한 전방이동 회전원주부를 생성함으로써 볼 중심(4.1)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볼의 가이드가 이루어지게 됨과 아울러 자유도가 제거된다.
도 4는 다수의 접촉점(5.3)과 너트(2)의 다중첨두 고딕 아치(5.1)상에 가해지는 예하중력의 분할을 보인 것으로서, 반대편을 향하는 하중의 투영에 의해서 대향하는 나사(3)의 다중첨두 고딕아치(5.2)상에 보다 원할한 접촉타원을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볼 나사(1)에 대한 평면도로서, 원통형 중공슬리브로 이루어진 재순환부를 구비한 예하중 인가식 이중 너트(2)를 포함한다. 상기 너트(2)의 내주면에는 각각 두개의 곡률중심을 갖는 아치들로 이루어진 다중첨두 고딕아치(5.1) 형상의 홈 단면 프로파일이 나선형으로 나사가공되어 있다. 상기 너트는 원통형 샤프트로 이루어진 나사(3)상에 조립된다. 상기 나사(3)의 외주면에는 각각 두개의 곡률중심을 갖는 아치들로 이루어진 다중첨두 고딕 아치(5.2) 형상의 홈 단면 프로파일이 나선형으로 나사가공되어 있다. 한편, 볼(4)은, 그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어느 한 각도로 힘을 전달하는 구형 회전체로서, 너트 나사부 프로파일의 다중 접촉점(5.3.1) 및 반대편 상의 나사 프로파일의 다중 접촉점(5.3.2)과 접선 접촉(tangential contact)을 이룸으로써 접촉각을 형성한다. 상기 볼은 상기 너트(2)와 나사(3)가 동축적으로 결합되는 때에 형성되는 나사부 내에 조립되어서 다수의 접촉점(5.3)을 갖는 다중첨두 고딕아치 형상의 프로파일로 이루어진 나선형 관의 내부에 볼 회로를 형성한다.
요컨대, 본 발명에 따른 볼 나사의 경우 다중첨두 고딕 아치의 프로파일에서는 볼이 다수의 접촉점에 접촉하여 회전하도록 나사산의 형상이 결정되어 있어, 볼이 상이한 평행 회전 트랙을 통해 안내되며, 볼의 중심의 위치가 유지되고, 회전 운동의 자유도가 제거되는 외에도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압력 하에서의 변형이 줄어들어 강성이 증가하고, 예하중이 적어도 강성이 향상되며, 온도가 감소하고, 볼 나사의 사용 기간이 연장되며, 전방 이동의 각 방향에 대한 동적 마찰 토크 값의 차이가 제거된다.
?볼 사이의 마찰로 인한 맞물림 힘이 제거되어 볼 릴의 속력이 변화되며, 마찰 토크의 값의 차이, 요동 및 증가가 생겨난다.
?볼 내에서의 응력으로 인한 진동과, 휘파람 소리 같은 소음의 문제와, 강성의 동적 불안정이 제거된다.
?제조 공차에 더욱 여유가 생긴다.
?회전, 가속 및 부하 속력의 가장 진보된 응용에 필요한 사양들을 정밀성, 강성 및 동적 마찰 토크와 함께 얻게 된다.
이러한 이점들은 너트 및 나사의 프로파일의 구성 설계를 약간만 변형함으로써 얻을 수 있으며, 이는 제조 비용이 증가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다중 접촉점의 다중첨두 고딕 아치 형상으로 이루어진 요홈 프로파일 단면으로 된 새로운 나선형 나사산 프로파일은 너트 및 나사 상의 접촉점의 여러 조합으로 제조된다. 예를 들면, 너트에 점 4개, 나사에 점 4개를 둘 수 있으며, 4개와 3개, 4개와 2개, 4개와 1개, 3개와 3개, 3개와 2개, 3개와 1개, 2개와 2개, 2개와 1개도 가능하고, 1개와 1개가 아니라면 그 밖의 접촉점 조합도 가능하다.

Claims (2)

  1. 나사(3)와 회전 볼(4) 및 재순환부가 구비된 예하중 인가식 이중 너트(2)로 이루어진 예하중 인가식 볼 나사에 있어서, 상기 너트(2)의 내주면상에는 각 아치마다 두개의 곡률중심을 갖는 다중첨두 고딕아치(5.1) 형상을 구비한 홈 단면 프로파일의 나선형 나사부가 가공되고, 상기 나사(3)의 외주면상에는 각 아치마다 두개의 곡률중심을 갖는 다중첨두 고딕아치(5.2) 형상을 구비한 홈 단면 프로파일의 나선형 나사부가 가공되어 상기 너트(2)와 조립되고, 상기 볼(4)은 너트(2)와 나사(3)의 조립에 의해 형성된 나선형 관 내부에서 다중 접촉점(5.3)에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다수의 평행한 회전 트랙(6)을 통해서 안내되어짐과 아울러 볼 중심(4.1)의 위치가 유지되며, 상기 볼(4)은 압력이 가해진 상태로 너트(2) 나사부 프로파일의 다중 접촉점(5.3.1) 및 반대편상의 나사(3) 프로파일의 다중 접촉점(5.3.2)과 접선접촉을 이룸으로써 접촉각을 형성하여 한 각도로 힘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하중 인가식 볼 나사.
  2. 삭제
KR1020077010605A 2004-10-22 2005-05-27 나사산 프로파일의 단면이 다중첨두 고딕 아치 형상인 개선된 하중 인가식 볼 나사 KR1011527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S200402522 2004-10-22
ES200402522A ES2255427B2 (es) 2004-10-22 2004-10-22 Husillo a bolas precargado perfeccionado con rosca perfilada con forma de arco gotico-ojival multiple.
PCT/EP2005/052426 WO2006045643A1 (en) 2004-10-22 2005-05-27 Improved loaded ball screw having thread profile showing in a cross section a multiple pointed gothic arch sha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4346A KR20070114346A (ko) 2007-12-03
KR101152786B1 true KR101152786B1 (ko) 2012-07-03

Family

ID=34968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0605A KR101152786B1 (ko) 2004-10-22 2005-05-27 나사산 프로파일의 단면이 다중첨두 고딕 아치 형상인 개선된 하중 인가식 볼 나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802895B1 (ko)
JP (1) JP2008517234A (ko)
KR (1) KR101152786B1 (ko)
CN (1) CN100570177C (ko)
AT (1) ATE426760T1 (ko)
DE (1) DE602005013554D1 (ko)
ES (2) ES2255427B2 (ko)
WO (1) WO200604564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7836A (ko) * 2017-04-20 2019-11-13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볼 스크루 드라이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24251A (zh) * 2009-08-31 2011-07-13 日本精工株式会社 滚珠丝杠装置
JP5963311B2 (ja) 2013-02-20 2016-08-03 日立Geニュークリア・エナジー株式会社 駆動ねじの隙間拡大方法及びそれら駆動ねじを用いた制御棒駆動機構
DE102014213436A1 (de) * 2014-07-10 2016-01-1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Lagerbauteil
CN107477158B (zh) * 2017-08-31 2019-07-12 北京精密机电控制设备研究所 一种重载滚珠丝杠副滚道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7466A (ja) 2003-02-26 2004-09-16 Nsk Ltd ボールね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530561A (ko) * 1954-04-20
JPS4819828B1 (ko) * 1969-12-13 1973-06-16
US3673886A (en) * 1970-12-14 1972-07-04 Toyoda Machine Works Ltd Ball nut screw assembly
US4896552A (en) * 1988-01-19 1990-01-30 Ballscrews & Actuators Co., Inc. Ballscrew follower and method of making and operating the same
JPH079260B2 (ja) * 1988-03-05 1995-02-01 博 寺町 複合運動案内装置
JP2808683B2 (ja) * 1989-07-06 1998-10-08 日本精工株式会社 ボールねじの予圧装置
DE10003619B4 (de) * 2000-01-28 2005-09-08 Rexroth Star Gmbh Mutterneinheit
JP2002005178A (ja) * 2000-06-23 2002-01-09 Hiroshi Teramachi ボールの軌道溝構造
JP2003194177A (ja) * 2001-12-26 2003-07-09 Nsk Ltd ボールねじ
JP2005207451A (ja) * 2004-01-20 2005-08-04 Nsk Ltd 直動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7466A (ja) 2003-02-26 2004-09-16 Nsk Ltd ボールね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7836A (ko) * 2017-04-20 2019-11-13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볼 스크루 드라이브
KR102225064B1 (ko) 2017-04-20 2021-03-10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볼 스크루 드라이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517234A (ja) 2008-05-22
ES2255427B2 (es) 2007-08-16
CN101133264A (zh) 2008-02-27
WO2006045643A1 (en) 2006-05-04
ATE426760T1 (de) 2009-04-15
EP1802895B1 (en) 2009-03-25
ES2324482T3 (es) 2009-08-07
EP1802895A1 (en) 2007-07-04
DE602005013554D1 (de) 2009-05-07
ES2255427A1 (es) 2006-06-16
KR20070114346A (ko) 2007-12-03
CN100570177C (zh) 200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75924A (en) Universal joint
KR101152786B1 (ko) 나사산 프로파일의 단면이 다중첨두 고딕 아치 형상인 개선된 하중 인가식 볼 나사
US20100242651A1 (en) Rolling-element screw device
JPH05340460A (ja) ボールねじ
CN110637178B (zh) 防间隙装置和方法
US6513978B2 (en) Rolling element spacers for rolling guide units
US9568078B2 (en) Screw device
US3192791A (en) Antifriction screw and nut assembly
GB2112085A (en) A single-row or double-row rolling bearing
US6776063B2 (en) Ball screw
US4420987A (en) Recirculating ball disc actuator
JPWO2005038301A1 (ja) ローラねじ
US4623268A (en) Ball bearing
JP6400860B2 (ja) 完全な転がり接触を有するねじおよびナットタイプのリニア駆動機構
CN111486174A (zh) 直线保持器及滚珠花键装置
JP6083146B2 (ja) ボールねじ用デフレクタ及びデフレクタ式ボールねじ
JP4168625B2 (ja) ボールねじ
JP2008039187A (ja) 回転運動を直線運動に変換するための伝動装置
TW202113253A (zh) 滾動體螺桿裝置
JP2021076211A (ja) ボールねじ
JP3244239B2 (ja) ストロークベアリング
JP2011089573A (ja) ボールねじ
JP2004316660A (ja) ボールねじ装置
JPS61291308A (ja) クロスロ−ラガイド
JP2008175287A (ja) 軸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