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1898B1 - 도어패널용 일체형 그로멧 - Google Patents

도어패널용 일체형 그로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1898B1
KR101151898B1 KR1020100084282A KR20100084282A KR101151898B1 KR 101151898 B1 KR101151898 B1 KR 101151898B1 KR 1020100084282 A KR1020100084282 A KR 1020100084282A KR 20100084282 A KR20100084282 A KR 20100084282A KR 101151898 B1 KR101151898 B1 KR 101151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oor panel
clip member
support
gromm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4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0587A (ko
Inventor
이상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00084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1898B1/ko
Publication of KR20120020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0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1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189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패널용 일체형 그로멧에 관한 것으로서, 그로멧의 단부에 형성되고 연질인 하우징, 하우징 내측에 사출 성형되고 하우징의 단부 형상에 대응 되게 형성되는 링 형상의 클립부재, 클립부재에 형성되어 도어패널의 설치구멍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연결부는 지렛대 방식으로 설치구멍에서 걸림이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체형 그로멧을 클립 부재에 형성된 연결부를 이용하여 지렛대 방식으로 도어패널에 간단하게 설치 및 분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패널용 일체형 그로멧{ONE-BODY TYPE GROMMET FOR DOOR PANEL}
본 발명은 도어패널용 일체형 그로멧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체형 그로멧을 클립 부재에 형성된 연결부를 이용하여 도어패널에 간단하게 설치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패널용 일체형 그로멧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로멧(Grommet)이란 차량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져서 차량 도어에서 장착된 도어 개폐버튼과 시트 작동버튼 등의 작동신호를 메인 콘트롤러로 전달하는 와이어 하네스와 커넥터를 방수하기 위한 고무 또는 방수소재로 이루어진 부품을 말한다.
그로멧은 차체에 형성된 설치구멍에 끼워지는 부분과 와이어 하네스가 수용되는 부분이 있다.
이러한 기존의 그로멧은 그로멧을 커넥터가 빠진 상태의 와이어를 가이드공에 삽입하고, 그로멧에서 조립된 와이어 하네스에 커넥터를 조립한다.
그리고, 커넥터와 하우징 캡을 체결하여 고정하고, 하우징 캡을 그로멧의 하우징에 체결하며, 하우징 캡을 도어 설치구멍에 설치하므로 그로멧을 차량 도어에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기존의 그로멧은 조립의 편의상 그로멧을 직접적으로 차량 등에 형성된 설치구멍에 끼우지 않고 하우징 캡을 통해 설치구멍에 끼워 넣는다.
즉, 그로멧에 하우징 캡을 결합시키고 하우징 캡을 설치구멍에 끼워서 그로멧이 쉽게 차량 도어의 설치구멍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기존의 그로멧은 와이어 하네스 삽입 공정을 완료한 커넥터에 결합되기 때문에 작업 공수가 많아지고, 커넥터와 그로멧은 체결을 위한 별도의 하우징 캡을 구비해야 함으로써 구조가 복잡하고, 중량이 증가하며, 설치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그로멧은 커넥터나 차체에 쉽게 분리할 수 없는 구조로 이뤄져 분해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로멧의 단부에 형성된 하우징에 클립부재를 사출 성형하여 일체형으로 제작하므로 기존에 비해 제작 공정을 줄이고자 하는 도어패널용 일체형 그로멧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의 외측을 누르는 힘으로써 클립부재의 자체 신축 동작과 연결부의 지렛대 동작을 이용하여 걸림을 해제하여 클립부재를 도어패널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함으로써 그로멧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도어패널용 일체형 그로멧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누르는 힘이 가해지는 지지부재의 반대 면에 클립부재의 테두리에 고정되는 보강리브를 형성하여 지지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패널용 일체형 그로멧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빙과류 성형 분리장치는 그로멧의 단부에 형성되고 연질인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측에 사출 성형되고 상기 하우징의 단부 형상에 대응 되게 형성되는 링 형상의 클립부재; 상기 클립부재에 형성되어 도어패널의 설치구멍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지렛대 방식으로 설치구멍에서 걸림이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립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테두리 내측에 인서트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클립부재의 양측에 한 쌍씩 구비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상기 하우징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회동부재; 상기 지지부재 단부와 회동부재 단부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회동부재 누름시 받침점 역활을 하는 받침부재; 및 상기 회동부재와 함께 탄성적으로 외측으로 벌어지며 상기 설치구멍에 걸려지고, 상기 하우징 외측에서 발생하는 누름에 의해 걸림 해제되는 걸림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클립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부재 누름시 지지력을 제공하는 보강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하우징의 누르는 힘이 가해지는 지지부재의 반대 면에 형성되고 클립부재의 테두리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패널용 일체형 그로멧은 그로멧의 단부에 형성된 하우징에 클립부재를 사출 성형하여 일체형으로 제작하므로 기존에 비해 제작 공정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의 외측을 누르는 힘으로써 클립부재의 자체 신축 동작과 연결부의 지렛대 동작을 이용하여 걸림을 해제하여 클립부재를 도어패널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함으로써 그로멧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누르는 힘이 가해지는 지지부재의 반대 면에 클립부재의 테두리에 고정되는 보강리브를 형성하여 지지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패널용 일체형 그로멧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패널용 일체형 그로멧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 A"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패널용 일체형 그로멧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패널용 그로멧의 탈거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패널용 일체형 그로멧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패널용 일체형 그로멧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패널용 일체형 그로멧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A"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패널용 일체형 그로멧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패널용 그로멧의 탈거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패널용 일체형 그로멧은, 양측으로 개방되어 와이어 하네스(도시하지 않음)를 가이드공으로 삽입함으로써 이 와이어 하네스를 방수 및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하우징(10), 클립부재(20), 연결부(3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도어패널(6)에 설치되는 그로멧(2)의 개방된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형성된다.
하우징(10)은 일측으로 개방되며, 연성재질로 이루어진다.
이 하우징(10)은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단부에 테두리(12)가 형성된다.
하우징(10)은 테두리(12)의 내측으로 성형이 용이하도록 클립부재(20)가 안착되는 안착턱부(14)를 형성한다.
하우징(10)의 테두리(12)는 도어패널(6)에 밀착되어 그로멧(2)과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되는 와이어 하네스 및 커넥터를 기밀하여 방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우징(10)은 그로멧(2)과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립부재(20)는 하우징(10) 내측에 사출 성형된다.
클립부재(20)는 하우징(10)의 테두리(12) 내측에 별도의 조립 공정을 삭제하기 위해 안착턱부(14)에 안착되는 상태로 인서트 사출 성형된다.
클립부재(20)은 와이어 하네스의 외부 노출을 위해 링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클립부재(2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연결부(30)는 클립부재(20)에 형성되어 도어패널(6)의 설치구멍(8)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된다.
이 클립부재(20)는 하우징(10)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역할과, 연결부(3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연결부(30)는 그로멧(2)이 도어패널(6)에 걸려져 견고하게 고정되게 하는 역할과 도어패널(6)로부터 걸림이 해제되어 쉽게 분리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연결부(30)는 지지부재(32), 회동부재(34), 받침부재(36) 및 걸림후크(38)를 포함한다.
연결부(30)는 지렛대 방식으로 설치구멍에서 걸림이 해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와 더불어 하우징(10)의 수축작용에 의한 연결부(30)의 수평이동에 의해 부가적으로 걸림이 해제될 수 있다.
지지부재(32)는 클립부재(20)의 양측에 한 쌍씩 구비된다.
지지부재(32)는 클립부재(20)의 테두리에서 하우징(10)의 개방된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지지부재(32)는 클립부재(20)에 일체로 사출 성형됨이 바람직하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와 더불어, 지지부재(32)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회동부재(34)는 지지부재(32) 사이에 하우징(10)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회동부재(34)는 하우징(10)의 외측을 눌러주면 함께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받침부재(36)는 지지부재(32) 단부와 회동부재(34) 단부를 서로 연결하고 회동부재(34) 누름시 지렛대의 받침점 역활을 수행한다.
받침부재(36)는 지지부재(32) 및 회동부재(34)와 일체로 사출 성형됨이 바람직하고, 다양한 형상으로 성형 가능하다.
회동부재(34)는 받침부재(36)에 자유단을 이루면서 연결되고, 하우징(10) 내측에 접하도록 상측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외측 면에 걸림후크(38)를 형성한다.
회동부재(34)는 지지부재(32)와 평행한 상태에서 하우징(10)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과, 받침부재(36)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힘에 의해 하우징(10)이 오므려지면서 지지부재(32)에 대해 탄성적으로 젖혀지는 걸림후크(38)에 의해 설치구멍(8)에서 이탈 가능하게 된다.
회동부재(34)는 하우징(10) 내측에 한 쌍 구비되는 데, 걸림후크(38)는 회동부재(34)의 외측면에 하나 씩 구비된다. 따라서, 걸림후크(38)는 클립부재(20)의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한 쌍 구비된다.
걸림후크(38)는 회동부재(34)에 일체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걸림후크(38) 각각은 도어패널(6)의 설치구멍(8)에 걸리게 된다.
걸림후크(38)를 포함한 회동부재(34)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받침부재(36)를 기준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된다.
걸림후크(38)는 직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도어패널(6)의 설치구멍(8)에서 회동부재(34)의 누름시 걸림 해제가 용이하도록 약간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걸림후크(38)는 회동부재(34)에 형성되되, 받침부재(36)로부터 상측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게 하여 회동부재(34)의 누름에 의해 용이하게 젖혀지도록 구성된다.
걸림후크(38)는 설치구멍(8)에 삽입되어 도어패널(6)의 내측에 충분히 탄성적으로 걸릴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걸림후크(38)는 외부에서 마주하는 걸림후크(38) 방향으로 미는 힘이 발생시 일체로 형성되고 연성인 하우징(10)이 눌려져서 이동하는 것과, 하우징(10)을 통해 회동부재(34)를 눌러주는 힘이 지지부재(32)에 대해 받침부재(36)를 받침점으로 하여 지렛대 작용으로 걸림후크(38)가 젖혀지는 것에 의해 설치구멍(8)으로부터 걸림이 해제되고, 그로멧(20)은 도어패널(6)로부터 분리된다.
한편, 지지부재(32)는 미는 외력 발생시 충분히 버틸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감안하여 지지부재(32)는 클립부재(20)에 연결되어 회동부재(34) 누름시 지지력을 제공하는 보강리브(40)를 구비한다.
보강리브(40)는 하우징(10)의 누르는 힘이 가해지는 지지부재(32)의 반대 면에 형성되고 클립부재(20)의 테두리에 지지된다.
보강리브(40)는 지지부재(32)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각각 하나씩 모두 2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 개수는 증감할 수 있다.
따라서, 보강리브(40)는 클립부재(20)에 지지된 채 외부의 미는 힘에 대해 지지부재(32)를 보강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강리브(40)는 지지부재(32)의 딘부에서 클립부재(20)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하우징(10)에서 눌려주는 힘에 대해 지지부재(32)가 휘어지지 않도록 최상의 지지력을 발휘한다.
이때, 보강리브(40)는 지지부재(32)와 클립부재(20)에 일체로 사출 성형됨이 바람직하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은 외부에서 최소의 미는 힘으로 걸림후크(38)를 밀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우징(10)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얇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하우징(10)이 얇으므로 회동부재(34)와의 접촉으로 찢어질 가능성이 있다.
이를 감안하여 하우징(10)은 외측면에 누름돌부(16)를 돌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누름돌부(16)는 하우징(10)의 외측으로 소정 돌출되게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는 누름돌부(16)를 누르게 되고, 이 누름돌부(16)가 하우징(10)과 함께 눌리면서 회동부재(34)에 의해 걸림후크(38)를 밀어줌과 동시에 받침부재(36)를 중심으로 걸림후크(38)를 회동시키게 된다.
즉, 회동부재(34)와 접하는 하우징(10)은 누름돌부(16)에 의해 내구성이 향상된다. 더욱이, 사용자는 누름돌부(16)를 밀기 때문에 미는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물론, 누름돌부(16)는 하우징(10)에 일체로 성형됨이 바람직하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 : 그로멧 6 : 도어패널
8 : 설치구멍 10 : 하우징
20 : 클립부재 30 : 연결부
32 : 지지부재 34: 회동부재
36 : 받침부재 38 : 걸림후크
40 : 보강리브

Claims (5)

  1. 그로멧의 단부에 형성되고 연질인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측에 사출 성형되고 상기 하우징의 단부 형상에 대응 되게 형성되는 링 형상의 클립부재;
    상기 클립부재에 형성되어 도어패널의 설치구멍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지렛대 방식으로 설치구멍에서 걸림이 해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클립부재의 양측에 한 쌍씩 구비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상기 하우징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회동부재;
    상기 지지부재 단부와 회동부재 단부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회동부재 누름시 받침점 역활을 하는 받침부재; 및
    상기 회동부재와 함께 탄성적으로 외측으로 벌어지며 상기 설치구멍에 걸려지고, 상기 하우징 외측에서 발생하는 누름에 의해 걸림 해제되는 걸림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패널용 일체형 그로멧.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테두리 내측에 인서트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패널용 일체형 그로멧.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클립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부재 누름시 지지력을 제공하는 보강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패널용 일체형 그로멧.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하우징의 누르는 힘이 가해지는 지지부재의 반대 면에 형성되고 클립부재의 테두리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패널용 일체형 그로멧.
KR1020100084282A 2010-08-30 2010-08-30 도어패널용 일체형 그로멧 KR101151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282A KR101151898B1 (ko) 2010-08-30 2010-08-30 도어패널용 일체형 그로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282A KR101151898B1 (ko) 2010-08-30 2010-08-30 도어패널용 일체형 그로멧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587A KR20120020587A (ko) 2012-03-08
KR101151898B1 true KR101151898B1 (ko) 2012-06-01

Family

ID=46129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4282A KR101151898B1 (ko) 2010-08-30 2010-08-30 도어패널용 일체형 그로멧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189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270Y1 (ko) * 2007-08-10 2008-03-3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그로멧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270Y1 (ko) * 2007-08-10 2008-03-3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그로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587A (ko) 201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60392B2 (ja) プロテクタ
JP4044406B2 (ja) フロアカーペット及びワイヤハーネスの留め具
JP2009507711A (ja) ワイパーブレードとウインドスクリーンワイパーブレードホルダとの固定装置
JP2006298351A (ja) ワイパーコネクタキャップ
JP5653526B2 (ja) 車両前部構造及び車両の製造方法
CN101110505A (zh) 连接器
KR20110117937A (ko) 차량용 박스
JP2015126543A (ja) 電気接続箱
JP5370202B2 (ja) 蓋体及び蓋体構造
JP2011072085A (ja) ワイヤハーネス用のプロテクタ
US10090654B1 (en) Junction box assembly with eyelet terminal cover retention system and removable eyelet terminal cover
KR101151898B1 (ko) 도어패널용 일체형 그로멧
KR100907378B1 (ko) 차량용 배터리 단자 결합구조
JP4830803B2 (ja) カバー付きコネクタ
KR20110049216A (ko) 도어패널용 그로멧
KR20100122257A (ko) 박스의 결합장치
JP2013016399A (ja) コネクタ
JP7286261B2 (ja) 電気接続箱
JP6189706B2 (ja) バッテリカバー
KR101061060B1 (ko) 커넥터 이탈방지용 성형지그
JP5444583B2 (ja) びんの吊手バンド及びびん
KR100649426B1 (ko) 하니스 보호용 분배홀더
JP3552146B2 (ja) 電気部品の係止構造
JP2009142126A (ja) プロテクタの固定構造
JP2007284004A (ja) 樹脂部品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