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1743B1 - 공기저장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전기의 고정자권선 냉각수 배수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저장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전기의 고정자권선 냉각수 배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1743B1
KR101151743B1 KR1020110008584A KR20110008584A KR101151743B1 KR 101151743 B1 KR101151743 B1 KR 101151743B1 KR 1020110008584 A KR1020110008584 A KR 1020110008584A KR 20110008584 A KR20110008584 A KR 20110008584A KR 101151743 B1 KR101151743 B1 KR 101151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storage
generator
winding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8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수
배수환
김종철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8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17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1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1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19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for machines with closed casing and closed-circuit cooling using a liquid cooling medium, e.g. oi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5/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2205/09Machines characterised by drain passages or by venting, breathing or pressure compens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Cooling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저장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전기의 고정자권선 냉각수 배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적정용량의 공기저장배출장치를 이용하여 불어내기 방식으로 고정자권선의 냉각수를 단시간 내에 배수하고, 동시에 권선의 스트레스를 줄이는 공기저장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전기의 고정자권선 냉각수 배수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기저장배출장치의 용량선정, 공기 배출구의 크기선정, 초기가압을 위한 우회배관 설치, 발전기 권선 가압 방지를 위한 안정장치설치 및 권선의 급격한 냉각으로 인한 스트레스 방지를 위한 히터 설치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발전기에 주입할 공기를 저장하는 공기저장탱크; 다량의 가압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배출배관조작밸브; 발전기 권선에 초기 공기 가압 및 미세조절을 위한 우회배관조작밸브; 발전기 권선의 과압형성방지를 위한 압력방출밸브;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저장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전기의 고정자권선 냉각수 배수방법{AIR STORAGE BLOWING DEVICE AND WATER REMOVING METHOD BY AIR BLOWING USING AIR STORAGE BLOWING DEVICE IN WATER COOLED GENERATOR}
본 발명은 냉각수 배수를 위한 공기저장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전기의 고정자권선 냉각수 배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정용량의 공기저장배출장치를 이용한 불어내기(blowing) 방식을 고안함으로써, 완전배수를 단시간에 성취함과 동시에 권선의 스트레스를 줄이는 기법으로, 공기저장배출장치 용량선정, 공기 배출구의 크기선정, 초기 가압을 위한 우회배관 설치, 발전기 권선 과압 방지를 위한 안전장치설치 및 권선의 급격한 냉각으로 인한 스트레스 방지를 위한 히터설치 등을 포함한 공기저장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전기의 고정자권선 냉각수 배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고정자 권선 내부의 물을 배수하는 방법으로는 퍼핑 후 진공건조를 통한 것이 전부였다. 각 발전소에서도 배수장비를 자동화하였고, 두산중공업, 전력연구원에서 사용하는 기법도 모두 이러한 기법을 사용하여 완전배수를 성취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기법은 과도한 퍼핑회수와 퍼핑시 가하는 압력이 높아 권선 흡습을 가속화시킬 우려가 너무나 크고, 조건에 따라 완전건조를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고정자권선의 구조는 도 1 에 자세히 표시하였다. 도 1a 는 고정자권선의 단면으로서, 구멍(100)안으로 냉각수가 흘러 권선을 냉각시키게 된다. 도 1b 는 권선제작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권선 제작 시 소선사이의 전위 불평형을 없애기 위해 각 소선은 도 1b 에서 보여 지는 것과 같이 자리를 바꿔가면서 소선상 760
Figure 112012032264318-pat00001
회전되도록 제작되기 때문에 자연배수는 불가능하다. 도 1c 는 고정자 권선(144개)이 설치된 모습으로서, 도 1c 를 참고하면 상부 측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배수가 불가능함을 알 수 있다.
도 2 는 종래 물의 배수방법의 일실시예로서 3단계로 이루어진다. 헤더A(200), 헤더B(210), 권선1(220), 권선2(230), 권선3(240) 및 헤더A는 공기가 주입되는 A호스(250), 헤더B에는 냉각수가 배수되는 B밸브(260)를 포함한다. 종래 물의 배수방법으로서 1단계는 자연배수로 하부 밸브를 개방하고 중력에 의한 자연배수를 수행한다. 2단계는 압력배수 이른바, 퍼핑(puffing)배수로, 헤더A(200)측의 A호스(250)를 이용하여 건조공기를 가압한 후 목표 압력에 도달하면, 헤더B(210)의 B밸브(260)를 순간적으로 개방하여 물이 공기와 함께 나오도록 하는 방법이다. 상부측 권선의 배수가 어려워 천여회정도 수행한다. 다음 3단계는 진공배수 및 건조 단계로서, 밸브를 닫고 진공펌프를 설치하여 진공배수 및 건조를 수행한다. 2단계에서 물이 완전히 배수되지 않아 진공배수 및 건조를 약 3일 내지 5일 수행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현재 방법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 첫째, 공기를 공급하는 A호스(250)의 구경이 너무 작아서 공기공급량이 너무 적다는 문제가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퍼핑원리는 권선 내부에 일정압력을 가한 후 B밸브(260)를 순간적으로 개방하면 공기와 함께 물이 사이펀 효과로 배수되는데 이러한 배수는 초반에만 약간 유효할 뿐 실질적으로 B밸브(260)가 개방되는 순간 가압된 공기는 배수가 된 권선2,3(230,240)으로 모두 빠져나가므로 헤더에 압력이 걸리지 않아 물이 차 있는 권선1(220)쪽으로는 물이 밀고 나갈 만큼의 공기가 없게 된다. 즉 이는, A호스(250)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완벽배수에 문제가 생긴다. 둘째, 배출구의 자동 B밸브(260)의 구경이 너무 작다는 문제가 있다. 이는 A호스(250)에서 충분히 많은 공기를 주입시킨다고 하더라도 헤더B(210)의 B밸브(260)부분에서 병목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헤더B(210)에 압력이 걸리고, 결과적으로 헤더A(200)와 압력차이가 없어 유속이 느려지고 결국은 권선2,3(230,240)으로만 유로가 형성괴어 상부 권선은 물배수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셋째, 권선내의 급격한 온도저하가 문제다. 압력배수 시 순간적 해압으로 인한 공기팽창으로 주변에너지를 빼앗아 권선 내부 온도가 급속히 저하될 수 있는데, 진공 배수시 물이 증발되면서 주변의 에너지를 빼앗아 권선 내부 응결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으며, 나아가 급격한 온도 저하에 따른 용접부의 팽창 또는 수축 차이로 인해 균열이 발생 우려가 존재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권선의 전기적, 기계적 건전성 진단을 위해 선행되어지는 발전기의 완벽배수를 할 수 있는 공기저장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전기의 고정자권선 냉각수 배수기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현재 사용하고 있는 방법으로 발전기의 고정자권선 냉각수를 배수함에 있어서, 완전배수를 하기 위한 공기의 가압 또는 해압을 보통 천여회 이상 수행함에 따라 권선에 스트레스를 가함에 따른 균열 초래로 흡습을 가속화 시킬 우려가 있는바, 본 발명은 압력배수 시 권선의 팽창 또는 수축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순간적 공기 팽창시 발생하는 급격한 온도저하로 인한 권선의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공기저장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전기의 고정자권선 냉각수 배수기법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기존의 6일 내지 9일 가량 소요되는 배수 및 건조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여 공정상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공기저장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전기의 고정자권선 냉각수 배수기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기저장배출장치(X)에 관한 것으로서, 발전기와 연결되어 있으면서, 상기 발전기(Y)에 주입할 공기를 저장하고 발전기에 다량의 가압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저장탱크; 상기 발전기에 다량의 가압공기를 배출하고 조절할 수 있는 공기배출배관조작밸브; 상기 발전기 권선에 대한 초기 공기 가압 및 미세조절을 위한 우회배관조작밸브; 상기 공기배출배관조작밸브의 후단 권선 측에 위치하며, 상기 발전기 권선에 대한 과압 형성 방지를 위한 압력방출밸브; 상기 공기저장탱크의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맨홀 및 별도의 인양장치 없이 상기 맨홀을 인양하는 자체 인양장치를 포함하는 맨홀부; 및 상기 공기저장배출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레; 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공기저장배출장치(X)를 이용한 발전기의 고정자권선 냉각수 배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공기저장배출장치(X)에 연결되어 있는 헤더 A측에 압력계가 설치되고, 상기 우회배관조작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압력계의 압력이 0.5
Figure 112012032264318-pat00002
미만으로 유지되면서, 권선내부의 물이 배수되는 단계; 상기 우회배관조작밸브가 권선 내부에 0.5
Figure 112012032264318-pat00003
내지 1
Figure 112012032264318-pat00004
의 압력인가를 조작하고, 배출구 측의 B밸브가 개방되는 때, 상기 헤더 A의 압력이 0.5
Figure 112012032264318-pat00005
내지 1
Figure 112012032264318-pat00006
를 유지하도록, 상기 공기배출배관조작밸브가 서서히 개방되어 권선내부의 물을 불어내는 단계; 상기 (b)단계에서 냉각수 및 분무가 더 이상 배출되지 않으면, 플랜지로 막아놓았던 운전 중 냉각수 순환출구의 플랜지가 개방되고, 배출구 측의 B밸브도 개방된 후, 헤더 A에 설치한 압력계의 압력이 3
Figure 112012032264318-pat00007
가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기배출배관조작밸브가 개방되어 남은 물을 불어내는 단계로 2-3회 반복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발전기의 고정자권선 냉각수를 배수함에 있어서 공기저장배출장치를 사용하여 다량의 가압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물의 배수량을 획기적으로 증대시켜 완벽한 배수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발전기의 고정자권선 냉각수를 완전 배수함에 있어 천여회에 이르는 압력배수를 15회 미만으로 성취하여 압력 배수 시 발생하는 권선의 팽창 또는 수축에 의한 스트레스를 극소화 할 수 있으며, 특히 압축된 공기를 불어낼 때 순간적인 팽창에 의한 온도 저하 현상을 히터로 가열하여 사용함으로서 권선의 열적 스트레스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약 3일 이상 소요되는 냉각수 배수시간을 5시간 이내로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배수 이후 3일 이상 소요되는 진공건조시간을 10시간 이내로 단축시킴으로서 통상 6 내지 8일 가량의 배수 및 건조기간을 24시간 이내로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통상의 고정자 권선의 단면(도 1a), 권선제작형태(도 1b) 및 실제 고정자 권선 설치모습(도 1c).
도 2 는 종래 기술에 따른 물의 배수방법을 보여주는 권선에 관한 도식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저장배출장치(X)에 관한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저장배출장치(X)에 관한 현장설치 개념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저장배출장치(X)를 발전기에 사용하고 있는 모습에 관한 실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저장탱크(10)에 설치된 공기배출조절밸브에 관한 실제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저장배출장치(X) 및 이를 이용한 발전기의 고정자권선 냉각수 배수기법에 관하여 도 3 내지 도 6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저장배출장치(X)이 관한 구성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저장배출장치(X)에 관한 현장설치 개념도이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저장배출장치(X)는 공기저장탱크(10), 공기배출배관조작밸브(20), 우회배관조작밸브(30), 압력방출밸브(40), 히터(50), 맨홀부(60) 및 수레(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저장탱크(10)의 크기는 발전기에서 사용하는 제어용 압축공기를 사용할 목적으로 10
Figure 112012032264318-pat00008
이하의 압력의 공기를 저장할 수 있는 1
Figure 112012032264318-pat00009
이상 3
Figure 112012032264318-pat00010
이하의 공기저장탱크(10)를 이용한다. 이보다 작으면 불어내기(blowing)효과가 적으며, 이보다 커지면 공기를 채우는데 과도한 시간이 소요되어 효율성이 떨어지며, 현장 배치 시에도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공기배출배관조작밸브(20)는 발전기 고정자 냉각수 배관의 플렌지(21)와 동일크기를 채택하여 막대한 양의 공기를 지속적으로 불어낼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공기의 양이 적을 경우, 이미 배수가 완료된 권선의 관통부로 소모되어 버리고, 배수가 안 된 권선의 냉각수는 불어낼 수가 없지만, 상기 공기저장탱크(10)에서 배출된 막대한 양의 공기가 있다면 이미 배수가 완료된 권선의 관통부로 소모되고도 남아 상기 공기배출배관조작밸브(20)쪽의 헤더에 압력이 걸리고 이 압력은 배수가 안 된 권선의 냉각수까지 불어낼 수 있기 때문에 발명의 목적에 기여할 수 있다. 한편, 고정자 냉각수 배관의 크기보다 공기배출배관의 크기가 작을 경우 효과가 떨어진다.
특히, 공기저장탱크(10)와 발전기와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상기 공기배출배관조작밸브(20) 후단의 공기배출배관은 플렉시블배관(22)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회배관조작밸브(30)는 냉각수 배수 초기에 많은 공기가 필요로 하지 않을 때 및 발전기 권선에 공기를 서서히 가압할 때 사용하기 위해 설치된다. 압력배수와 병행하여 사용 시 효과적이므로 권선 내부에 공기를 가압할 때 사용한다.
압력방출밸브(40)는 공기저장탱크(10) 위에 위치하고(40a), 공기배출배관조작밸브(20)옆에 위치한다(40b). 공기저장탱크(10) 위에 위치한 압력방출밸브(40a)는 공기저장탱크(10)의 과압을 방지하고, 공기배출배관조작밸브(20) 옆에 위치한 압력방출밸브(40b)는 발전기 권선에 과압이 걸릴 때, 큰 배출구로 불어내는 도중 과도한 조작으로 권선에 과압이 걸릴 때와 오조작에 의해 권선에 과압이 걸릴 때 이를 방지하고 보호하기 위해 설치하였다.
히터(50)는 가열된 공기를 사용함으로써, 압축공기가 순간적으로 팽창할 때 발생하는 온도 저하 현상으로 권선이 급속도로 냉각되는 것을 방지하였으며, 온도를 제어감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맨홀부(60)에는 사람이 출입하여 내부의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크게 제작된 맨홀(61) 및 맨홀 커버 개방 시 별도의 인양장치가 필요 없도록 하기 위해 자체 인양장치(62)가 설치된다.
수레(70)는 공기저장탱크(10) 하부에 설치하여 현장에서 손쉽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저장배출장치(X)를 발전기에 사용하고 있는 모습에 관한 실제도이다. 공기저장배출장치(X)와 발전기(Y)를 연결함에 있어 발전기 고정자냉각수 배관의 크기와 동일한 플렌지(21), 플렉시블 배관(22)과 공기배출 배관조작밸브(20)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공기저장배출장치를 이용한 발전기 고정자 권선 냉각수 배수방법에 관하여 도 2 , 도 4 및 도 6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저장탱크(10)의 공기배출조절밸브에 관한 실제도이다.
상기 공기저장배출장치(X)에 연결되어 있는 발전기(Y)의 헤더 A측에 압력계를 설치하고, 발전기 배출구 측 B밸브(260)를 개방하고 초기에는 헤더 A의 공기압력이 0.5
Figure 112012032264318-pat00011
가 넘지 않도록 우회배관조작밸브(30)을 서서히 개방하여 권선내부의 냉각수를 배수한다.(S10).
이는 압력이 높으면 배출되는 쪽에 과도한 물이 쏟아져 내려와 감당하기 어렵기 때문에 초기에는 우회배관조작밸브(30)만을 이용하여도 충분하다.
공기저장탱크의 공기를 다 사용하면 도 2 의 상기 B밸브(260)를 닫고, 공기저장탱크에 다시 공기를 채우고 난 후, 다시 상기 우회배관조작밸브(30)를 조작하여 권선내부에 0.5
Figure 112012032264318-pat00012
내지1
Figure 112012032264318-pat00013
의 압력을 인가 한 후에 퍼핑하듯이 배출구 측의 B밸브(260)를 순간적으로 여는 순간 헤더 A의 압력이 0.5
Figure 112012032264318-pat00014
내지 1
Figure 112012032264318-pat00015
를 유지하도록 상기 공기배출배관조작밸브(20)를 서서히 개방하여 권선내부의 물을 불어낸다(S20). 이때에도 출구 측에 과도하게 물이 배출되면 감당이 안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출구측과 통신을 하면서 불어내는 양을 조절해야 한다.
공기저장탱크의 공기를 다 사용하면 상기 S20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배출구 측 B밸브(260)를 닫고 우회배관조작밸브(30)를 서서히 개방하여 권선 내부에 2 내지 3
Figure 112012032264318-pat00016
의 압력을 건 후에 퍼핑하듯이 배출구 측의 B밸브(260)를 순간적으로 열며, 이 순간 헤더 A의 압력을 주시하면서 상기 헤더 A의 압력이 2
Figure 112012032264318-pat00039
내지 3
Figure 112012032264318-pat00040
를 유지하도록, 상기 공기배출배관 조작밸브(30)를 개방하여 권선내부의 물을 불어내는 단계를 수차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회 반복 수행하다(S30). 상기 S30 단계를 수차례 반복하면 물이 배수가 될수록 공기소모량이 많아질 것이고, 최종 단계에서는 공기배출배관조작밸브(20)를 완전히 열어도 지속시간이 3초도 되지 않는다. 기존의 퍼핑시 밸브개방과 동시에 헤더 압력이 0으로 떨어지는 것에 비교하면, 엄청난 양이라고 볼 수 있다.
S30 단계에서 냉각수 및 분무가 더 이상 배출되지 않으면 냉각수 순환 출구쪽의 플랜지로 막아놓았던 운전 중 냉각수 순환출구의 플랜지를 개방하고, 배출구 측의 B밸브(260)도 개방한 후, 헤더A에 설치한 압력계의 압력이 3
Figure 112012032264318-pat00017
가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기배출배관조작밸브(20)를 개방하여 남은 물을 불어내는 단계로 2-3회 반복수행한다(S40).
S40 단계를 마치면 권선내부의 물의 배수가 완료되는데, 붓싱등 냉각수가 들어가는 곳은 배수가 안 되었으니 발전기 온도가 떨어지기 전에 진공펌프를 설치하여 진공건조를 수행한다(S50).
상기 공기저장배출장치를 이용한 발전기 고정자 권선 냉각수 배수방법은 1회만 작동시켜도 현저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특히 완전한 배수를 위해서는 10회 내지 15회 정도 작동시키면 완전한 배수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는 기존의 방법으로 6일 내지 8일 가량 총 천여회의 작동을 거쳐야 배수 및 건조가 가능한 것인데, 상기의 방법을 이용하면 15회 이내로 그 작동횟수를 단축시켜 약 3시간만에 완전한 배수 및 건조효과를 얻을 수 있는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나아가, 기존의 천여여회의 작동을 거치면서 권선의 팽창 또는 수축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순간적 공기 팽창시 발생하는 급격한 온도저하로 인한 권선의 스트레스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어 이 역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고정자권선의 구멍부분 200; 헤더A
210; 헤더B 220 내지 240; 권선
250; 압력입력호스(A호스) 260; 배수밸브(B밸브)
X; 공기저장배출장치 Y; 발전기
10; 공기저장탱크 20; 공기배출배관조작밸브
21; (냉각수순환입구) 공기주입플렌지
22; 플렉시블 배관 30; 우회배관조작밸브
40; 압력방출밸브 50; 히터
60; 맨홀부 61; 맨홀
62; 인양장치 70; 수레

Claims (7)

  1. 공기저장배출장치에 있어서,
    발전기(Y)와 연결되어 있으면서, 상기 발전기(Y)에 주입할 공기를 저장하는 공기저장탱크(10);
    상기 발전기(Y)에 다량의 가압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배출배관조작밸브(20);
    상기 발전기(Y) 권선에 대한 초기 공기 가압 및 미세조절을 위한 우회배관조작밸브(30); 및
    상기 공기배출배관조작밸브(20)의 후단 권선 측에 위치하며, 상기 발전기(Y) 권선에 대한 과압 형성 방지를 위한 압력방출밸브(40); 를 포함하되,
    상기 공기저장탱크(10)는,
    상기 발전기(Y)에서 사용하는 제어용 압축공기를 사용할 목적으로 10
    Figure 112012032264318-pat00041
    이하의 압력의 공기를 저장할 수 있는 1
    Figure 112012032264318-pat00042
    이상 3
    Figure 112012032264318-pat00043
    이하의 공기저장탱크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저장배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저장탱크(10)의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5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저장배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맨홀(61) 및 별도의 인양장치 없이 상기 맨홀을 인양하는 자체 인양장치(62)를 포함하는 맨홀부(6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저장배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저장배출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레(7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저장배출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배관조작밸브(20)는,
    상기 발전기의 고정자냉각수 배관의 플렌지(21)와 동일한 크기를 채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저장배출장치.
  7. 공기저장탱크(10), 공기배출배관조작밸브(20), 우회배관조작밸브(30) 및 압력방출밸브(40) 를 포함하는 공기저장배출장치(X)를 이용한 발전기의 고정자권선 냉각수 배수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공기저장배출장치(X)에 연결되어 있는 헤더 A측에 압력계가 설치되고, 상기 우회배관조작밸브(30)가 개방되어 상기 압력계의 압력이 0.5
    Figure 112012032264318-pat00021
    미만으로 유지되면서, 권선내부의 물이 배수되는 단계;
    (b) 상기 우회배관조작밸브가 권선 내부에 0.5
    Figure 112012032264318-pat00022
    내지 1
    Figure 112012032264318-pat00023
    의 압력인가를 조작하고, 배출구 측의 B밸브(260)가 개방되는 때, 상기 헤더 A의 압력이 0.5
    Figure 112012032264318-pat00024
    내지 1
    Figure 112012032264318-pat00025
    를 유지하도록, 상기 공기배출배관조작밸브(20)가 서서히 개방되어 권선내부의 물을 불어내는 단계;
    (c) 상기 우회배관조작밸브(30)가 권선 내부에 2
    Figure 112012032264318-pat00026
    내지 3
    Figure 112012032264318-pat00027
    의 압력인가를 조작하고, 배출구 측의 B밸브(260)가 개방되는 때, 상기 헤더 A의 압력이 2
    Figure 112012032264318-pat00028
    내지 3
    Figure 112012032264318-pat00029
    를 유지하도록, 상기 공기배출배관조작밸브(20)가 개방되어 권선내부의 물을 불어내는 단계로 5-8회 반복수행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에서 냉각수 및 분무가 더 이상 배출되지 않으면, 냉각수 순환출구 쪽 플랜지로 막아놓았던 운전 중 냉각수 순환출구의 플랜지가 개방되고, 배출구 측의 B밸브(260)도 개방된 후, 헤더 A에 설치한 압력계의 압력이 3
    Figure 112012032264318-pat00030
    가 넘지않는 범위내에서 공기배출배관조작밸브(20)가 개방되어 남은 물을 불어내는 단계로 2-3회 반복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기저장배출장치를 이용한 발전기의 고정자권선 냉각수 배수방법.
KR1020110008584A 2011-01-28 2011-01-28 공기저장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전기의 고정자권선 냉각수 배수방법 KR101151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584A KR101151743B1 (ko) 2011-01-28 2011-01-28 공기저장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전기의 고정자권선 냉각수 배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584A KR101151743B1 (ko) 2011-01-28 2011-01-28 공기저장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전기의 고정자권선 냉각수 배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1743B1 true KR101151743B1 (ko) 2012-06-15

Family

ID=46607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8584A KR101151743B1 (ko) 2011-01-28 2011-01-28 공기저장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전기의 고정자권선 냉각수 배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17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32624A (zh) * 2020-11-24 2021-02-05 芜湖发电有限责任公司 一种发电机定子冷却水回路干燥系统和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5928A (ko) * 2007-10-08 2009-04-13 조인철 발전기용 고정자의 권선 누설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누설시험방법
KR20100000533U (ko) * 2008-07-08 2010-01-18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발전기 고정자 냉각수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5928A (ko) * 2007-10-08 2009-04-13 조인철 발전기용 고정자의 권선 누설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누설시험방법
KR20100000533U (ko) * 2008-07-08 2010-01-18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발전기 고정자 냉각수 배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32624A (zh) * 2020-11-24 2021-02-05 芜湖发电有限责任公司 一种发电机定子冷却水回路干燥系统和方法
CN112332624B (zh) * 2020-11-24 2024-05-17 芜湖发电有限责任公司 一种发电机定子冷却水回路干燥系统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32081B2 (ja) 格納容器ドレンシステム
JP7108078B2 (ja) 宇宙環境試験装置および該宇宙環境試験装置の液体窒素回収方法
KR100845472B1 (ko) 질소가스 충진형 팽창 가압 장치
JP6067173B1 (ja) 地熱交換器および地熱発電装置
CN108206063B (zh) 百万千瓦级核电站一回路排气优化方法
ZA200602629B (en) Method and device for venting the primary circuit of a nuclear reactor
CN104332284A (zh) 一种换流变压器热油喷淋干燥装置及方法
KR101151743B1 (ko) 공기저장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전기의 고정자권선 냉각수 배수방법
CN114736036A (zh) 大体积超高性能混凝土热养护系统及热养护工艺
JP2017062180A (ja) 静的格納容器冷却設備の試験設備、その試験方法、原子力プラントの製造方法および改造方法
US6457259B1 (en) Portable apparatus for drying stator windings and related process
CN107084011A (zh) 一种核电汽轮机快速冷却方法
JP2018191473A (ja) 回転電機の固定子巻線排水システムおよび固定子巻線排水方法
US20130174440A1 (en) Method of supercritical point drying with stasis mode
EP3173720B1 (fr) Procédé et installation de séchage d'enceinte sous vide
KR101312255B1 (ko) 증기유량 측정장치 및 방법
CN111279533A (zh) 用于从燃料电池中去除产物水的方法
JP2004022692A (ja) 油中溶存ガス抽出装置
KR101161618B1 (ko) 압축공기의 다단 반복분사에 의한 냉수코일 내 잔류수의 배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잔류수 배출장치
CN111271603A (zh) 核电站阀门隔膜维护方法
WO2011050577A1 (zh) 一种对现场组装变压器实现煤油气相干燥的系统和方法
WO2007120111A1 (en) Method of repairing transformers and the like machine parts
JP2009241027A (ja) オートクレーブ
KR101545085B1 (ko) 원자로 격납구조물 장기 냉각 시스템
CN112242205B (zh) 一种核电机组稳压器快速降温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