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0040B1 - 쌀국수 제조용 고점성 쌀가루 제조장치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쌀국수 제조용 고점성 쌀가루 제조장치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0040B1
KR101150040B1 KR1020090105665A KR20090105665A KR101150040B1 KR 101150040 B1 KR101150040 B1 KR 101150040B1 KR 1020090105665 A KR1020090105665 A KR 1020090105665A KR 20090105665 A KR20090105665 A KR 20090105665A KR 101150040 B1 KR101150040 B1 KR 101150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washing
viscous material
housing
rice flou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5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8914A (ko
Inventor
이상귀
Original Assignee
이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철 filed Critical 이병철
Priority to KR1020090105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0040B1/ko
Publication of KR20110048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8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0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0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8Dry unshaped finely divided cereal produ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and A23L29/00, e.g. meal, flour, powder, dried cereal creams or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23L19/11Cassava, manioc, tapioca, or fermented products thereof, e.g. gari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12Starch; Modified starch; Starch derivatives, e.g. esters or eth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Noodles (AREA)

Abstract

물과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여 쌀을 세척하는 세척장치, 세척장치에 의해 세척된 쌀을 분쇄하는 분쇄장치, 분쇄된 액상 쌀가루에 점성을 높이기 위한 물질을 첨가하는 점성물질 혼합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쌀국수 제조용 고점성 쌀가루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고점성 쌀가루를 제조하는 방법.
쌀국수, 고점성, 쌀가루

Description

쌀국수 제조용 고점성 쌀가루 제조장치 및 제조 방법 {A high viscosity rice fluid production device for a rice noodle manufacturing system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쌀국수 제조용 고점성 쌀가루 제조장치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말의 형태가 아닌 쌀가루를 고점성 액상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수는 밀가루를 적당한 물과 혼합하여 반죽한 재료를 일정한 굵기로 뽑아낸 것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국수는 사계절, 다양한 요리를 행하면서 즐기는 식품으로서, 주로 서민들이 값싸고 맛나게 즐길 수 있는 대중 식품이다.
그러나, 종래의 국수는 단순히 밀가루만을 사용하므로서 타 음식물에 비해 영양이나 건강의 유익면에서 다소 부족한 부분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에서 상기 국수에 다양한 재료를 부가하므로서 다양한 맛과 함께 영양이나 건강에 유익을 증대하는 건강 국수가 다양하게 개시된바 있다.
일반적인 국수면은 쌀로 만든 국수의 단점 때문에 주로 밀가루(소맥분)를 이 용하여 만들어 왔으나, 영양 성분의 면에서 쌀이 우수하고 문화적인 특성상 한국사람에게는 쌀이 더 적합하다는 등의 여러 이유에서, 쌀을 이용하여 국수면을 제조하고자 하려는 여러 가지 제안이 있어 왔다.
그러나, 쌀국수면은 마른 상태의 면이 뚝뚝 끊어짐이 많고, 오래 삶으면 쉽게 퍼지며, 입에 들어갔을 때 다소 거칠고, 쫄깃함이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쌀국수면으로서 제안되어 있는 예를 살펴보면, 대한민국 특허출원 번호 10-1992-0006009 (특허권자: 성호정) "즉석 쌀국수의 제조방법"의 특허등록공보에는 쌀가루와 소맥분을 혼합한 곡물가루를 이용하여 만든 쌀국수면이 기재되어 있다. 여기서 기재된 쌀국수면은 끊는 물에 넣어 3분정도 지나면 취식이 가능하게 제조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번호 10-2002-0035628 (출원인: 김용규, 김윤규) "쌀국수의 제조방법"의 공개공보에는, 쌀가루를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콩가루, 버섯가루, 다시마가루, 옥수수가루, 홍화씨가루를 일정비율로 첨가하여 제조되는 쌀국수가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쌀국수의 경우 면이 뚝뚝 끊어지고 약간만 오래 삶아도 퍼지기 쉽기 때문에 목넘김이 나쁘고 삶는 시간을 맞추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는데, 상기한 종래의 쌀국수면의 경우에는 이러한 종래 쌀국수의 단점을 전혀 해결하고 있지 않다.
지금까지 공개된 쌀국수 제조 방법은 공통적으로 쌀 가루에 물을 넣고, 이를 반죽하여 국수 면발의 지름을 갖는 구멍이 다수 개 형성된 노즐에 고압으로 밀착시켜 세면(細麵)을 만드는 방법을 통해 생산된다.
따라서, 반죽과정에 따른 시간 및 에너지가 소요된다. 쌀 반죽은 시간이 지 나면서 고형화되므로 보관시간이 짧다. 또한, 생산시 노즐에 반죽의 일부가 부착되어 노즐이 막히는 등 불편한 요소를 갖는다. 따라서, 쌀국수 제조시 분말의 형태가 아닌 쌀가루의 제조 장치 및 제조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쌀국수 제조시 사용되는 쌀가루를 고점성 액상의 형태로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점성 쌀가루의 농축 농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점성 쌀가루의 점성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점성 쌀가루의 입자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쌀국수 제조용 고점성 쌀가루 제조장치는 압축 롤러 방식이 아닌 맷돌 원리를 이용하여 고점성의 쌀가루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쌀국수 제조용 고점성 쌀가루 제조장치의 기구적 구성의 특징은 물과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여 쌀을 세척하는 세척장치; 상기 세척장치에 의해 세척된 쌀을 분쇄하는 분쇄장치; 상기 분쇄된 액상 쌀가루에 점성을 높이기 위한 물질을 첨가하는 점성물질 혼합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쌀국수 제조용 고점성 쌀가루 제조장치의 세부적 특징은 상 기 세척장치, 분쇄장치, 점성물질 혼합장치의 동작을 전기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쌀국수 제조용 고점성 쌀가루 제조장치의 다른 세부적 특징은 상기 세척장치가 소정량 공급된 쌀을 수용하기 위한 세척장치 하우징; 상기 세척장치 하우징 소정 부위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유입되는 물 유입부; 상기 세척장치 하우징 소정부위에 형성되어 컴프레셔로부터 제공되는 고압의 공기를 세척장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 유입부; 상기 세척장치 하우징 하단에 형성된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쌀국수 제조용 고점성 쌀가루 제조장치의 또 다른 세부적 특징은 상기 분쇄장치가 상기 세척장치의 배출부에 연결된 유입부; 상기 유입부를 통해 제공되는 쌀이 관통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 고정 석판; 상기 고정 석판의 하부면과 밀착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고정 석판과의 사이로 공급되는 쌀을 분쇄하는 회전 석판; 상기 회전 석판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쌀국수 제조용 고점성 쌀가루 제조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점성물질 혼합장치가 혼합장치 하우징; 상기 분쇄장치에 의해 분쇄된 쌀을 흡입하여 상기 혼합장치 하우징으로 공급하기 위한 유입펌프; 상기 혼합장치 하우징으로 유입된 분쇄된 쌀에 점성물질을 제공하기 위한 점성물질 공급부; 점성물질이 혼합된 쌀가루를 상기 혼합장치 하우징으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배출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쌀국수 제조용 고점성 쌀가루 제조장치의 또 다른 세부적 특징은 상기 점성물질은 타피오카(Tapioca)인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쌀국수 제조용 고점성 쌀가루 제조방법은 물과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여 쌀을 세척하는 세척단계; 쌀에 수분이 흡수되도록 세척된 쌀을 소정시간 물에 담가두는 불림단계; 불려진 쌀을 맷돌 방식으로 분쇄하는 분쇄단계; 분쇄된 쌀가루에 점성을 높이기 위한 점성물질을 첨가하는 점성물질 혼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쌀국수 제조용 고점성 쌀가루 제조방법의 세부적 특징은 상기 분쇄단계가 상하로 밀착된 한 쌍의 원형 석판 중 하부 석판만을 회전하여 분쇄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쌀국수 제조용 고점성 쌀가루 제조방법은 상기 불림단계는 세척된 쌀을 30분 내지 1시간 동안 물에 담그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쌀국수 제조용 고점성 쌀가루 제조장치 및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짧은 시간에 다량의 쌀을 세척 및 분쇄할 수 있다.
둘째, 고점성 쌀가루의 점성을 조절할 수 있다.
셋째, 쌀가루를 액상으로 제조함으로써 쌀가루가 뭉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쌀국수 제조용 고점성 쌀가루 제조장치 및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쌀국수 제조용 고점성 쌀가루 제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쌀국수 제조용 고점성 쌀가루 제조장치(100)는 물과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여 쌀을 세척하는 세척장치(100)와, 상기 세척장치(110)에 의해 세척된 쌀을 분쇄하는 분쇄장치(120)와, 상기 분쇄된 액상 쌀가루에 점성을 높이기 위한 물질을 첨가하는 점성물질 혼합장치(130)와, 상기 세척장치(110), 분쇄장치(120) 및 점성물질 혼합장치(130)의 동작을 전기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는 도 1의 세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장치(110)는 소정량 공급된 쌀을 수용하기 위한 세척장치 하우징(111)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세척장치 하우징(111)으로 유입하기 위한 물 유입부(112)와, 컴프레셔(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제공되는 고압의 공기를 상기 세척장치 하우징(111)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 유입부(113) 및 상기 세척장치 하우징(111)의 하단에 형성되어 세척된 쌀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1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은 도 1의 분쇄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쇄장치(120)는 상기 세척장치(110)의 배출부(114)에 연결된 유입부(121)와, 상기 유입부(121)를 통해 제공되는 쌀이 관통될 수 있는 구멍(126)이 형성된 고정 석판(122)과, 상기 고정 석판(122)의 하부면과 밀착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고정 석판(122)과의 사이로 공급되는 쌀을 분쇄하는 회전 석판(123)과, 상기 회전 석판(123)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1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고정 석판(122)에 밀착되어 회전 석판(123)의 회전에 따라 분쇄된 액상 형태의 쌀가루는 배출부(124)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배출부(124)의 하부에는 이물질이나 분쇄되지 않은 쌀을 걸러주기 위한 필터링 장치(127)를 배치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점성물질 혼합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 점성물질 혼합장치(130)는 혼합장치 하우징(131)과, 상기 분쇄장치(120)에 의해 분쇄된 쌀을 흡입하여 상기 혼합장치 하우징(131)으로 공급하기 위한 유입펌프(P1)(132)와, 상기 혼합장치 하우징(131)으로 유입된 분쇄된 쌀에 점성물질인 타피오카(Tapioca)를 제공하기 위한 점성물질 공급부(133)와, 점성물질이 혼합되어 소정 점성을 갖는 쌀가루를 상기 혼합장치 하우징(131)으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배출펌프(P2)(1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쌀국수 제조용 고점성 쌀가루 제조방법의 진행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세척 장치 하우징(111)에 쌀을 공급한다. 공급하는 방법은 사람이 직접 쌀을 붓는 방법과, 파이프를 통해 공급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다 (S501).
세척장치의 물 유입부(112)를 통해 상기 세척장치 하우징(111)에 물을 공급 한다. 이때에도, 사람이 손으로 밸브를 직접 조작하는 방법과 전자 밸브를 이용하여 물의 공급의 제어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전자 밸브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필요하며, 상기 전자 밸브는 제어기(140)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S502).
공급된 물이 일정 수위를 이루면 공기 유입부(113)를 통해 컴프레셔(Compressor)를 통해 생성된 고압의 공기를 유입한다. 고압 공기는 사람이 손으로 밸브를 직접 조작하거나 제어기(14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 전자 밸브를 이용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고압의 공기는 세척 장치 하우징(111)의 내부로 유입된다. 따라서, 하우징에 공급된 쌀은 고압의 공기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세척된다 (S503).
세척 공정을 마치고 나면 바람직하게는 2시간 정도이나 쌀의 성질에 따라 약 1시간 내지 3시간 정도 동안 세척된 쌀을 물에 불린다. 쌀이 수분을 충분히 흡수하면 분쇄에 필요한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액상 쌀가루의 농축도는 불림시간 및 물의 양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S504).
수분이 충분히 흡수된 상태가 되면 세척장치(110)의 배출부(114)를 통해 불린 쌀을 배출한다. 이때, 상기 배출부(114)의 동작은 수동 또는 제어기에 의한 자동 조절이 가능하다. 분쇄장치의 유입부(121)를 통해 공급된 불려진 쌀은 분쇄장치(120)의 고정 석판(122)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하부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고정 석판(122)의 하부면과 회전 석판(123)의 상부면은 돌(石)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M)의 회전에 따라 회전 석판(123)이 회전하면서 상기 고정 석판의 하부면과 회전 석판의 상부면 사이로 유입된 쌀이 분쇄된다. 즉, 맷돌 방식으로 쌀을 분쇄한다 (S505).
분쇄된 쌀가루는 분쇄 장치(120)의 하단부에 형성된 필터(도시되지 않음)를 거쳐 이물질 또는 일정 크기 이상의 쌀가루가 제거된다 (S506).
상기 분쇄장치(12)의 필터를 거쳐 이물질이 제거된 고점성의 액상 쌀가루는 혼합장치(130)의 유입펌프(132)에 의해 혼합장치 하우징(131)으로 전달된다. 상기 유입펌프(132)는 제어기(140)에 의해 제어된다. 유입펌프(132)의 일단을 통해 유입된 고점성 액상 쌀가루는 타단을 통해 혼합장치 하우징(131)에 유입된다. 상기 혼합장치 하우징(131)에 형성된 점성물질 공급부(133)을 통해 점성물질인 타피오카(Tapioca)를 제공한다. 상기 점성물질이 혼합되어 소정 점성을 갖는 쌀가루는 배출펌프(P2)(134)에 의해 상기 혼합장치 하우징(131)의 외부로 배출된다 (S507).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쌀국수 제조용 고점성 쌀가루 제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세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의 분쇄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의 점성물질 혼합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쌀국수 제조용 고점성 쌀가루 제조방법의 진행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Claims (9)

  1. 물과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여 쌀을 세척하는 세척장치;
    상하로 밀착된 한 쌍의 원형 석판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원형 석판 중 하단 석판이 회전함에 의해 상기 세척장치에 의해 세척된 쌀을 분쇄하는 분쇄장치; 및
    상기 분쇄된 액상 쌀가루에 점성을 높이는 물질을 첨가하는 점성물질 혼합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쌀국수 제조용 고점성 쌀가루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장치, 분쇄장치, 점성물질 혼합장치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국수 제조용 고점성 쌀가루 제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장치는,
    소정량 공급된 쌀을 수용하는 세척장치 하우징;
    상기 세척장치 하우징 소정 부위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유입하는 물 유입부;
    상기 세척장치 하우징 소정부위에 형성되어 컴프레셔로부터 제공되는 고압의 공기를 상기 세척장치 하우징 내부로 공급하는 공기 유입부; 및
    상기 세척장치 하우징 하단에 형성된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국수 제조용 고점성 쌀가루 제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장치는,
    상기 세척장치의 배출부에 연결된 유입부;
    상기 유입부를 통해 제공되는 쌀이 유입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 고정 석판;
    상기 고정 석판의 하부면과 밀착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고정 석판과의 사이로 공급되는 쌀을 분쇄하는 회전 석판; 및
    상기 회전 석판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국수 제조용 고점성 쌀가루 제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성물질 혼합장치는,
    혼합장치 하우징;
    상기 분쇄장치에 의해 분쇄된 쌀을 흡입하여 상기 혼합장치 하우징으로 공급하는 유입펌프;
    상기 혼합장치 하우징 내부로 점성물질을 제공하는 점성물질 공급부; 및
    점성물질이 혼합된 쌀가루를 상기 혼합장치 하우징으로부터 배출하는 배출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국수 제조용 고점성 쌀가루 제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성물질은 타피오카(Tapioc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국수 제조용 고점성 쌀가루 제조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90105665A 2009-11-03 2009-11-03 쌀국수 제조용 고점성 쌀가루 제조장치 및 제조 방법 KR101150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665A KR101150040B1 (ko) 2009-11-03 2009-11-03 쌀국수 제조용 고점성 쌀가루 제조장치 및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665A KR101150040B1 (ko) 2009-11-03 2009-11-03 쌀국수 제조용 고점성 쌀가루 제조장치 및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914A KR20110048914A (ko) 2011-05-12
KR101150040B1 true KR101150040B1 (ko) 2012-05-30

Family

ID=44360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5665A KR101150040B1 (ko) 2009-11-03 2009-11-03 쌀국수 제조용 고점성 쌀가루 제조장치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00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8158B1 (ko) 2022-09-05 2022-12-14 이주현 쌀 제분 방법, 쌀 제분 시스템 및 그 방법 또는 시스템에 의해 제조된 쌀가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452B1 (ko) * 2011-06-15 2013-12-12 조병훈 미유를 이용한 쌀국수 제조방법
CN106465842B (zh) * 2015-08-20 2019-06-07 南通青禾食品机械有限公司 全自动米线生产流水线与操作方法
CN108654718A (zh) * 2018-06-12 2018-10-16 江西金昌食品有限公司 一种米粉原材料清洗用的进料装置
KR102308184B1 (ko) * 2019-08-13 2021-10-05 김수민 쌀가루 제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1089A (ko) * 2009-07-27 2011-02-08 대상 주식회사 탄력이 우수한 쌀국수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1089A (ko) * 2009-07-27 2011-02-08 대상 주식회사 탄력이 우수한 쌀국수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8158B1 (ko) 2022-09-05 2022-12-14 이주현 쌀 제분 방법, 쌀 제분 시스템 및 그 방법 또는 시스템에 의해 제조된 쌀가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914A (ko) 201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0040B1 (ko) 쌀국수 제조용 고점성 쌀가루 제조장치 및 제조 방법
CN205517418U (zh) 一种葛根药材破碎搅拌装置
KR102626547B1 (ko) 조제해수염화마그네슘과 해양심층수 원수를 응고제로 사용하는 두부 제조방법
CN102356781A (zh) 一种快速制浆方法
CN107321437B (zh) 一种豆奶的磨浆工艺
CN101061859B (zh) 黑五类营养奶味早餐
JP5142352B2 (ja) 液中磨砕装置及び液中磨砕システム
JP6132516B2 (ja) 米ペースト製造方法並びにその装置
KR101653145B1 (ko) 두유 및 기타 음료의 자동 그라인딩 머신
CN101861897B (zh) 豆浆机及其豆浆制作方法
CN205181105U (zh) 咖啡机
KR20130029297A (ko) 생콩 분말을 이용한 액상 및 분말두부의 제조방법과 그에 의한 두부
CN206996716U (zh) 一种充氮磨浆设备
CN109452544A (zh) 一种复合薏米超微粉的制备工艺
CN215353820U (zh) 一种中药饮片生产用研磨装置
KR101524500B1 (ko) 티백 충전물 제조 장치
CN101352221A (zh) 一种用于粉碎大豆的方法和实现该方法的设备
CN208338812U (zh) 一种秀珍菇粉制备装置
CN207786763U (zh) 含有温控部件的中药制造设备
CN107027893B (zh) 一种加工豆浆的工艺
JPS5955157A (ja) 飲料用豆乳製造装置
CN220071918U (zh) 调料原料研磨装置
KR101323968B1 (ko) 강황이 함유된 분말두부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분말두부
KR20220147782A (ko) 가정용 증기식 두부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두부 제조방법
KR101299010B1 (ko) 쌀 국수 제조 장치 및 쌀 국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