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9314B1 - Concrete girder - Google Patents

Concrete gir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9314B1
KR101149314B1 KR1020110127599A KR20110127599A KR101149314B1 KR 101149314 B1 KR101149314 B1 KR 101149314B1 KR 1020110127599 A KR1020110127599 A KR 1020110127599A KR 20110127599 A KR20110127599 A KR 20110127599A KR 101149314 B1 KR101149314 B1 KR 101149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rder
shear
concrete
shear connector
gird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75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상효
김명철
Original Assignee
브릿지테크놀러지(주)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릿지테크놀러지(주),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브릿지테크놀러지(주)
Priority to KR1020110127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931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9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93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PURPOSE: A concrete girder having a junction structure for improving bonding and construction performance is provided to effectively resist tensile force which separates the girder from the other girder. CONSTITUTION: A concrete girder having a junction structure for improving bonding and construction performance comprises girders(10), a shear connectors, and housing pockets. The girders are placed on the top of piers(1) in a line. The shear connectors are inclinedly formed along the side surfaces(13) of the girders. The housing pockets are buried in the side surfaces of the girders and are coupled to the shear connectors.

Description

접합성능 및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접합 구조를 갖는 콘크리트 거더{CONCRETE GIRDER}Concrete girder with joining structure to improve joining performance and workability {CONCRETE GIRDER}

본 발명은 교축방향으로 다수개로 분리하여 제작된 콘크리트 거더 상호간의 접합부에서 접합성능 및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접합 구조를 가진 콘크리트 거더에 관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crete girder having a joining structure that can improve the joining performance and workability at the joint between the concrete girder manufactured by separating a plurality in the axial direction,

더욱 상세하게는 교축방향을 따라 교각 상면에 다수개의 거더가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나란히 얹히고, 각 거더의 측면에 구비된 전단연결재가 상호 인접 배열된 각 거더의 측면 사이공간에 충진되는 콘크리트와 합성되어, 적용하중에 대한 거더의 거동을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a plurality of girders are placed side by side in parall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axial direction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the shear connector provided on the side of each girder is fi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sides of each girder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o effectively restrain the behavior of the girder against the applied load.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전단연결재는 거더 단면의 수직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형태로 배열되어 있어, 거더 단면의 횡방향으로 연속 배열된 각 거더의 접합부에 하중이 집중되는 경우, 각 거더 사이를 분리시키려는 인장력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저항하고, 이에 의하여 거더 단면의 횡방향으로 합성되는 거더들의 거동을 일체화시킴으로써 전단성능을 극대화하고, 거더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균열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the shear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in a form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girder cross section, when the load is concentrated at the junction of each girder continuously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girder cross section, to separate between each girder By effectively resisting the tensile force, thereby integrating the behavior of the girders synthesiz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girder cross section, it is possible to maximize shear performance and to suppress cracks that may occur between the girders.

일반적으로 PPC거더, 철근콘크리트거더, 철골콘크리트거더 등과 같은 콘크리트 거더는 그 상면부가 슬래브 역할을 하여 별도의 슬래브를 도입할 필요 없이 아스콘이나, 아스팔트를 포장하여 교량의 노면, 즉 상판을 형성하게 된다.
In general, concrete girder such as PPC girder, reinforced concrete girder, steel concrete girder, etc.,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 acts as a slab without paving the introduction of a separate slab, paving the asphalt road surface, that is, the top surface of the bridge.

이 경우 교각 상면에는 다수개의 거더가 교축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되고, 또한 거더 단면의 횡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인접하여 배열되며,In this case, a plurality of girders are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axi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iers, and also continuously adjacen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cross section of the girders,

이 경우 각 거더의 접합부에는 콘크리트를 충진하여 각 거더간의 접합강도를 보강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joint of each girder is filled with concrete to reinforce the joint strength between each girder.

한편, 각 거더에는 교량을 주행하는 차량에 의한 활하중과, 교량의 상판 또는 거더의 자중에 의하여 고정하중이 인가되고,On the other hand, a fixed load is applied to each girder by the live load by the vehicle traveling the bridge and the weight of the top plate or the girder of the bridge,

특히 교량의 상판을 주행하는 차량에 의하여 인가되는 활하중은 각 거더의 거동을 유발시키는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In particular, the live load applied by the vehicle traveling on the top of the bridge acts as a major factor inducing the behavior of each girder.

그리고 교량의 상판에 인가되는 하중은 다양한 지점에 분포하게 되고, 인가되는 하중의 분포에 따라 각 거더에서 하중의 작용 지점이 달라지게 된다.
The load applied to the upper plate of the bridge is distributed at various points, and the point of action of the load in each girder varies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the applied load.

우선 교축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된 거더 중에서 어느 하나의 거더에만 하중이 인가되는 경우에는,First, if a load is applied to only one of the girders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throttle direction,

하중이 인가된 거더와 하중이 인가되지 않은 거더의 접합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전단응력이 발생하여 하중이 인가된 거더는 상대적으로 하부방향으로 처짐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Shear stress is generat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t the junction of the girder to which the load is applied and the girder to which the load is not applied, and thus the girder to which the load is applied has a problem of sagging in a relatively downward direction.

다음으로 거더 단면의 횡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인접하여 배열된 각 거더의 접합부에 하중이 집중되는 경우에는, 그 접합부의 하부는 인장응력이 발생하여 거더 단면의 횡방향으로 벌어지는 문제가 있다.
Next, when a load is concentrated in the joint part of each girder continuously adjacently arrange | position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girder cross section, there exists a problem that the tensile stress generate | occur | produces in the lower part of the girder cross section, and spreads laterally in the girder cross section.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중이 인가되는 지점에 따라 각 거더에 발생하는 독립적인 거동을 구속하여 일체로 거동하게 함으로써, 교량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by restraining the independent behavior generated in each girder depending on the point to which the load is applied, the development of a technology capable of ensuring structural stability of the bridge is urgently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교축방향을 따라 교각 상면에 다수개의 거더가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나란히 얹히고, 각 거더의 측면에 구비된 전단연결재가 상호 인접 배열된 각 거더의 측면 사이공간에 충진되는 콘크리트와 합성되어, 적용하중에 대한 거더의 거동을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도록 하며,A plurality of girders are placed side by side in parall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the shear connector provided on the side of each girder is composited with concrete fi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sides of each girder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To effectively constrain the behavior of the girder against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전단연결재는 거더 단면의 수평방향과 교축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형태로 배열되어 있어, 거더 단면의 횡방향으로 연속 배열된 각 거더의 접합부에 하중이 집중되는 경우, 각 거더 사이를 분리시키려는 인장력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저항하고, 이에 의하여 거더 단면의 횡방향으로 합성되는 거더들의 거동을 일체화시킴으로써 전단성능을 극대화하고, 거더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균열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In particular, the shear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in an inclined form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axial direction of the cross section of the girder, so that when the load is concentrated on the junction of each girder continuously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cross section of the girder, Its purpose is to effectively resist the tensile force to dissociate, thereby maximizing the shear performance by integrating the behavior of the girders synthesiz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cross section of the girders and to suppress cracks that may occur between the girders. .

아울러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거더를 공장 제작하게 되는데, 이때 전단연결재를 거더에 직접 매입시키는 경우, 전단연결재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제작되어야 하기 때문에 거푸집을 이에 상응하도록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거나, 종래에 규격화된 거푸집을 변형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이는 규격화된 거푸집의 사용이 불가능하거나, 또는 사용된 거푸집의 재활용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거푸집의 해체작업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girder is manufactured by pouring concrete into the formwork. In this case, when the shear connector is directly embedded in the girder, the shear connector must be manufactured so as to protrude outwards, or the formwork must be separately manufactured according to it or standardized in the prior art. There is an inconvenience to use the modified formwork, which is difficult to use the standard formwork, or it is difficult to recycle the used formwork,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disassembly work of the formwork is not easy.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거더의 제작 시, 수용포켓을 거더에 매입시켜 제작하고, 거더의 제작 후, 전단연결재를 수용포켓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거더의 제작 시, 종래와 같이 규격화된 거푸집의 사용과, 거푸집의 재활용이 가능하여 경제성을 높일 수 있고, 또한 거푸집의 해체작업이 쉽고 용이하여 작업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duction of the girder by embedding the receiving pocket in the girder, and after the manufacture of the girder, by connecting the shear connector to the receiving pocket, the use of the standardized formwork in the manufacture of the girder, Another purpose is to be able to recycle the formwork to increase the economics, and also to ensure the ease of operation by easy and easy dismantling of the formwork.

또한 본 발명은 거더의 측면 상부에 우수유입방지홀을 형성하게 되는데, 우수유입방지홀은 상대적으로 취약한 경계면에 크랙이 발생하여 크랙 부위로 우수가 유입되는 경우 우수를 일측방향으로 유도하여 배출시킴으로써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철근, 전단연결재, 전단핀 등과의 우수와의 접촉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구조물의 내구력을 보장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rainwater inlet prevention hole in the upper side of the girder, the rainwater inflow prevention hole is excellent by inducing rain to discharge in one direction when rainwater flows into the crack site due to cracks generated in the relatively weak interface. It is another object to ensure the durability of the structure by preventing the inflow of the source to block the contact with rainwater with rebar, shear connector, shear pins and the like.

본 발명에 따른 접합성능 및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접합 구조를 갖는 콘크리트 거더는 교축방향을 따라 교각 상면에 나란히 얹히는 거더; 및 상기 거더의 측면을 따라 구비되고, 거더 단면의 수직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형태로 배열되는 전단연결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Concrete girder having a bonding structure capable of improving the bonding performance and work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girder placed side by side on the pier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a shear connector provided along the side of the girder and arranged in an inclined form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ross section of the girder.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각 거더의 측면에 매입되고, 상기 전단연결재가 결합되는 수용포켓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Embedded in the side of each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receiving pocket to which the shear connector is coupled.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용포켓은 상기 전단연결재의 경사각에 대응되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receiving pocket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hear connector.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단연결재에는 제1 전단핀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hear connector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hear pin is further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용포켓의 외측면에는 제2 전단핀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cket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shear pin is further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거더의 측면 상부에는 우수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우수유입방지홀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upper side of the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ainwater inlet prevention hole for preventing the inflow of rainwater is further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접합성능 및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접합 구조를 갖는 콘크리트 거더는 교축방향을 따라 교각 상면에 다수개의 거더가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나란히 얹히고, 각 거더의 측면에 구비된 전단연결재가 상호 인접 배열된 각 거더의 측면 사이공간에 충진되는 콘크리트와 합성되어, 적용하중에 대한 거더의 거동을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게 된다.
Concrete girder having a joining structure that can improve the joining performance and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rality of girders are placed side by side in parall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pier axial direction, the shear connector provided on the side of each girder It is combined with concrete fi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sides of each girder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which can effectively restrain the behavior of the girder against the applied load.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전단연결재는 거더 단면의 수평방향과 교축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형태로 배열되어 있어, 거더 단면의 횡방향으로 연속 배열된 각 거더의 접합부에 하중이 집중되는 경우, 각 거더 사이를 분리시키려는 인장력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저항하고, 이에 의하여 거더 단면의 횡방향으로 합성되는 거더들의 거동을 일체화시킴으로써 전단성능을 극대화하고, 거더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균열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the shear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in an inclined form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axial direction of the cross section of the girder, so that when the load is concentrated on the junction of each girder continuously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cross section of the girder, By effectively resisting the tensile force to be separated, thereby maximizing the shear performance by integrating the behavior of the girders synthesiz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girder cross sec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cracks that may occur between the girders.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거더의 제작 시, 수용포켓을 거더에 매입시켜 제작하고, 거더의 제작 후, 전단연결재를 수용포켓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거더의 제작 시, 종래와 같이 규격화된 거푸집의 사용과, 거푸집의 재활용이 가능하여 경제성을 높일 수 있고, 또한 거푸집의 해체작업이 쉽고 용이하여 작업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manufacturing the girder, by purchasing the receiving pocket in the girder to manufacture, and after the manufacture of the girder, it is possible to combine the shear connecting material to the receiving pocket, the production of the girder, the use of standardized formwork as in the prior art, The formwork can be recycled to increase the economics, and the dismantling work of the formwork is easy and easy to ensure the convenience of work.

또한 본 발명은 거더의 측면 상부에 우수유입방지홀을 형성하게 되는데,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n excellent inlet prevention hole in the upper side of the girder,

우수유입방지홀은 상대적으로 취약한 경계면에 크랙이 발생하여 크랙 부위로 우수가 유입되는 경우 우수를 일측방향으로 유도하여 배출시킴으로써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철근, 전단연결재, 전단핀 등과의 우수와의 접촉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구조물의 내구력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Rainwater inflow prevention hole prevents rainwater from entering by draining rainwater in one direction when rainwater flows into the crack area due to cracks. By blocking the contact at the source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durability of the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거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거더의 전단연결재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거더의 수용포켓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거더의 전단연결재 및 수용포켓의 다른 변형례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거더의 다른 변형례를 나타내는 개념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crete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hear connector of a concrete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receiving pocket of the concrete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nother modification of the shear connector and the receiving pocket of the concrete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nother modification of the concrete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접합성능 및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접합 구조를 갖는 콘크리트 거더를 기준으로 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n the basis of the concrete girder having a bonding structure capable of improving the bonding performance and construction proper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본 명세서상에서 사용되는 방향기준을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특정하면, 각 거더의 길이방향을 '교축방향'이라 하고, 각 거더의 폭방향을 '거더 단면의 횡방향'이라 특정한다.
First, referring to the appended reference to the direction reference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girder is referred to as the "cross direction", the width direction of each girder is specified as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girder cross section".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콘크리트 거더는, PPC거더, 철근콘크리트거더, 철골콘크리트거더 등을 통칭하는 용어로서, 콘크리트가 거더의 외부면(특히, 거더의 측면)을 형성하는 거더를 의미한다.
In addition, the concrete girder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rm collectively referred to as PPC girder, reinforced concrete girder, steel concrete girder, etc., means that the concrete forms the outer surface of the girder (particularly, the side of the girder).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거더는As shown in Figures 1 to 4 concrete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교축방향(AD)을 따라 교각(1) 상면에 나란히 얹히는 거더(10); 및 상기 거더(10)의 측면(13)을 따라 구비되고, 거더 단면의 수직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형태로 배열되는 전단연결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Girders 10 mounted side by side on the top of the piers 1 along the axial direction AD; And a shear connector 20 provided along the side surface 13 of the girder 10 and arranged in an inclined form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ross section of the girder 10.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거더에서, 상기 거더(10)는1 and 2, in the concrete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irder 10 is

교각(1) 상면에 교축방향(AD)으로 따라 나란히 배열되어 교량의 상부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1 is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axial direction (AD) to form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상기 거더(10)는 하부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거더(10)의 상면에는 슬래브가 구비되어 아스콘이나 아스팔트를 포장하여 교량의 노면, 즉 상판을 형성하게 된다.
The girder 10 is a flange is formed at the bottom,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 10 is provided with a slab is paved with asphalt or asphalt to form a road surface, that is, the top plate of the bridge.

다만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거더는 상부와 하부에 플랜지가 형성된 경우뿐만 아니라, 플랜지가 구비되지 않은 박스 형태로 제작되는 것도 가능하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box that is not provided with a flange, as well as the case where the flange is formed on the top and bottom.

그리고 상기 하부플래지(11)의 상부에는 중공(15)이 형성되고,And a hollow 15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flange 11,

상기 교각(1)의 상면에는 상기 거더(10)의 하면부가 얹히어 교량의 상부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1 is plac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girder 10 to form an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상기 각 거더(10)는 횡방향으로 상호 인접하여 배열되는데,Each girder 10 is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이때 상기 각 거더(10)의 측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콘크리트를 충진하여 형성되는 콘크리트보강부(미도시)가 구비되어 각 거더의 접합부를 보강하게 되고,At this time,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sides of each girder 10 is provided with a concrete reinforcement (not shown) formed by filling the concrete to reinforce the joints of each girder,

상기 각 거더의 하부는 각 하부플랜지가 인접하여 배열된다.
The lower portion of each girder is arranged adjacent to each lower flange.

한편 상기 각 거더(10)에는 교량을 주행하는 차량에 의한 활하중과, 교량의 상판 또는 거더의 자중에 의하여 고정하중이 인가되고,On the other hand, the fixed load is applied to each of the girders 10 by the live load by the vehicle traveling the bridge and the weight of the top plate or the girder of the bridge,

특히 교량의 상판을 주행하는 차량에 의하여 인가되는 활하중은 각 거더(10)의 거동을 유발시키는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In particular, the live load applied by the vehicle traveling on the top plate of the bridge acts as a major factor inducing the behavior of each girder 10.

그리고 교량의 상판에 인가되는 하중은 다양한 지점에 분포하게 되고,And the load applied to the top plate of the bridge is distributed at various points,

따라서 교량의 상판에 인가되는 하중의 분포에 따라 각 거더(10)에 인가되는 하중의 작용 지점이 달라지게 된다.
Therefore, the point of action of the load applied to each girder 10 varies depending on the distribution of the load applied to the upper plate of the bridge.

우선 거더 단면의 횡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열된 거더(10) 중에서 어느 하나의 거더에만 하중이 인가되는 경우에는,First, when a load is applied only to any one of the girders 10 arranged adjacentl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cross section of the girders,

하중이 인가된 거더와 하중이 인가되지 않은 거더의 접합부(JP)에서 상하방향으로 전단응력이 발생하고, 이러한 전단응력에 의하여 하중이 인가된 거더는 상대적으로 하부방향으로의 처짐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Shear stress occur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t the junction (JP) of the girder with no load applied and the girder with no load applied. have.

다음으로 거더 단면의 횡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열된 각 거더(10)의 접합부(JP)에 하중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각 거더의 접합부(JP)에는 수직방향은 물론이고, 횡방향으로도 응력이 작용하게 되고,Next,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joints JP of the respective girders 10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cross section of the girder, stress is applied to the joints JP of the girders as well a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ll be

이렇게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응력은 접합부에서 각 거더를 횡방향으로 분리시키려는 인장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This transverse stress acts as a tensile force to separate each gird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the joint.

이하에서는 하중이 인가되는 지점에 따라 각 거더에 발생하는 독립적인 거동을 구속하여 일체로 거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입된 전단연결재(2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shear connector 20 introduced in order to restrain the independent behavior occurring in each girder in accordance with the point where the load is applied will be able to be integrated.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거더에서, 상기 전단연결재(20)는In the concrete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to 4, the shear connector 20 is

상기 거더(10)의 측면을 따라 구비되어, 각 거더(10)의 측면(13) 사이공간에 형성된 콘트리트보강부에 연결됨으로써 각 거더(10)의 독립된 거동을 구속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It is provided along the side of the girder 10, by being connected to the concrete reinforcement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side 13 of each girder 10 serves to restrain the independent behavior of each girder 10.

우선 상기 전단연결재(20)가 상기 각 거더(10)의 측면(13)을 따라 배열되어 거더 단면의 횡방향(WD)으로 돌출되고, 엇물리는 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경우에는First, when the shear connecting member 20 is arranged along the side surface 13 of each girder 10 so as to protrude in the lateral direction WD of the cross section of the girder,

거더 단면의 횡방향으로 합성된 각 거더(10) 중에서 어느 하나의 거더(10)에 하중이 인가되면, 하중이 인가된 거더와 하중이 인가되지 않은 거더에는 접합부(JP)에서 상하방향으로 전단응력이 발생한다.
When a load is applied to any one of the girders 10 synthesiz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girder cross section, the shear stress is applied to the girder to which the load is applied and the girder to which the load is not applied at the joint JP in the vertical direction. This happens.

이때 상기 전단연결재(20)는 상기 각 거더(20)의 접합부(JP)에서의 전단응력에 저항함으로써, 하중이 인가된 거더(10)의 하부방향으로의 처짐을 방지하여 각 거더의 독립된 거동을 구속함으로써 각 거더간의 일체화된 거동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the shear connecting member 20 resists the shear stress at the joint JP of each girder 20, thereby preventing sagging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girder 10 to which the load is applied, thereby preventing independent behavior of each girder. By restraining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integrated behavior between each girder.

그러나 거더 단면의 횡방향(WD)으로 합성된 각 거더(10)의 접합부에 하중이 집중되는 경우However, when the load is concentrated in the joint of each girder 10 synthesized in the cross direction (WD) of the cross section of the girder

상기 각 거더(10)는 횡방향으로 인장력을 받아 각 거더(10)가 횡방향으로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Each girder 10 is subjected to a tensile forc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ll occur a phenomenon that each girder 10 is separated in the lateral direction.

이때 상기 전단연결재(20)는 거더 단면의 횡방향(WD)을 배열되어 있어, 상기 각 거더의 하부에 인가되는 인장력에 대하여는 전단성능을 발휘하기 어렵고,At this time, the shear connector 20 is arranged in the lateral direction (WD) of the cross section of the girder, it is difficult to exert shear performance with respect to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lower portion of each girder,

따라서 상기 전단연결재는 각 거더가 횡방향으로 분리되는 현상을 거속하지 못하게 된다.
Therefore, the shear connector does not continue the phenomenon that each girder is separa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단연결재(20)가 각 거더(10)의 측면을 따라 다수 형성되고,Therefore, as shown in FIG. 2, the shear connector 20 is formed along the side of each girder 10 in the present invention.

거더 단면의 수직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형태로 배열되어 전단성능을 극대화하게 된다.
The girder cross section is arranged in an inclined shap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to maximize shear performance.

이는 상기 각 거더(10)의 접합부(JP)에 하중이 인가되는 경우This is when the load is applied to the joint JP of each girder 10

상기 전단연결재(20)가 상기 콘크리트보강부와 연결되어 각 거더(10)의 횡방향으로의 거동, 즉 각 거더(10)에 작용하는 인장력에 대하여 각 거더가 횡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단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The shear connector 20 is connected to the concrete reinforcement to prevent shear of each gird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ateral behavior of each girder 10, that is, the tensile force acting on each girder 10 You can maximize performance.

더 나아가 상기 각 거더(10)의 접합부(JP), 즉 경계면은 응력이 작용하는 경우 다른 부위에 비하여 취약하여 크랙이 발생하기 쉽고, 또한 크랙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크랙 부위로 우수가 침투하여 콘크리트보강부에 배근된 철근이나, 또는 전단연결재 등과 접촉되어 부식을 촉진시키게 된다.
Furthermore, the joint JP of each girder 10, that is, the boundary surface, is more fragile than other parts when stress is applied, so that cracks are easily generated, and when cracks occur, rainwater penetrates into the crack area to reinforce concrete. In contact with the reinforcing bar or shear connector to the part to promote corrosion.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거더(10)의 측면(13) 상부에 교축방향을 따라 우수유입방지홀(17)이 형성되고,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rain inlet prevention hole 17 is formed along the axial direction on the side 13 of the girder 10,

상기 우수유입방지홀(17)에는 튜브나, 관 형상의 배수관(미도시)이 수용된다.
The rain inflow prevention hole 17 accommodates a tube or a tubular drain pipe (not shown).

따라서 크랙 부위로 유입되는 우수는 상기 우수유입방지홀(17)과, 배수관에 의하여 일측방향으로 유도되어 흘러 나감으로써 우수의 유입이 방지되고,Therefore,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crack portion is prevented by the rainwater inflow prevention hole 17 and the drain flow pipe is guided in one direction by the flow out to prevent the inflow of rainwater,

이에 의하여 콘크리트보강부에 배근된 철근이나, 또는 전단연결재 등의 부식을 방지하여 내구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This prevents corrosion of reinforcing bars or shear connectors, such as reinforced concrete,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또한 상기 거더(10)의 측면(13) 상부에는 전단키(19)가 형성되는데,In addition, the shear key 19 is formed on the upper side 13 of the girder 10,

상기 전단키(19)는 돌출 형성되어 현장 타설되는 콘크리트보강부와 맞물려 결합됨으로써 차량의 소통이나, 다른 원인으로 인한 진동이나, 떨림에 대하여 거더와 콘크리트보강부를 상호 구속하여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e shear key 19 is coupled to the concrete reinforcement to be projected to be cast in the field is coupled to prevent the flow by restraining the girder and the concrete reinforcement against the vibration or vibration caused by the communication of the vehicle, or other cause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거더(10)는 공장 제작된 후, 건설현장으로 운반되어 교각(1) 상면에 얹히게 되고,Meanwhile, the gird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after being manufactured in a factory and transported to a construction site so that the girder 10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iers 1,

이때 상기 거더(10)는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제작된다.
At this time, the girder 10 is manufactured by pouring concrete into the formwork and curing.

이 경우 상기 전단연결재(20)를 거더(10)에 연결하기 위해, 거더(10)의 제작 시, 전단연결재(20)의 일정 부분을 거더(10)의 측면에 직접 매입하여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this case, in order to connect the shear connector 20 to the girder 10, during the manufacture of the girder 10,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certain portion of the shear connector 20 directly on the side of the girder 10 to manufacture. .

이러한 경우 상기 전단연결재는 거더의 측면 외측방향으로 일정 부분이 돌출되어야 하기 때문에In this case, because the shear connector has to protrude a portion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girder

거더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을 이에 상응하도록 별도로 제작하거나, 또는 종래의 거푸집을 변형 및/또는 변경하여 사용하여야 함으로 규격화된 거푸집을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use a standard formwork because the formwork for manufacturing the girder must be separately manufactured or correspondingly used by modifying and / or changing the formwork.

또한 상기 전단연결재(20)의 돌출부 때문에 거더의 제작 후, 거푸집을 해체하는 작업이 쉽지 않고, 거푸집을 해체한 후에는 거푸집을 재활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after the production of the girder due to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shear connector 20, the work of dismantling the formwork is not eas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ormwork can not be recycled after dismantling the formwork.

이에 본 발명에서는 거더(10)의 제작 시, 전단연결재(20)를 결합할 수 있는 수용포켓(30)을 상기 거더(10)의 측면(13)에 매입 설치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manufacturing the girder 10, to install the receiving pocket 30 that can be coupled to the shear connector 20 in the side 13 of the girder 10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do.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더(10)를 제작하기 위해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상기 수용포켓(30), 즉 전단연결재(20)와의 결합을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된 포켓용 파이프를 일정한 위치에 배열하고,That is, as shown in FIGS. 3 and 4 when the concrete is poured into the formwork to manufacture the girder 10 for the pocket formed with a receiving space for coupling with the receiving pocket 30, that is, the shear connector 20 Arrange the pipes in a certain position,

각 거더(10)의 측면(13)에 수용포켓(30)을 매입시키게 되면, 상기 수용포켓(30)은 거푸집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When the receiving pocket 30 is embedded in the side 13 of each girder 10, the receiving pocket 30 is located inside the formwork.

따라서 상기 전단연결재의 돌출부를 위하여 거푸집을 별도로 제작하거나, 또는 변형할 필요가 없고, 또한 사용한 거푸집을 재활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경제성을 높일 수 있으며,Therefore,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manufacture or modify the formwork for the projecting portion of the shear connector, it is possible to recycle the used formwork,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conomic efficiency,

거더의 제작 후, 거푸집을 해체하는 작업 역시 쉽고 용이하여 작업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After manufacture of the girder, the work of dismantling the formwork is also easy and easy to ensure the convenience of work.

따라서 상기 거더(10)를 제작된 후에나, 또는 공장 제작된 거더(10)를 건설 현장으로 운반하여 상기 수용포켓(30)에 전단연결재(2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after the girder 10 is manufactured, or the factory-made girder 10 is transported to the construction site, the shear connecting material 20 can be coupled to the receiving pocket 30 and used.

이 경우 상기 전단연결재(20)가 상기 수용포켓(30)에 억지 끼워지는 질 수 있도록 상기 수용포켓(30)의 내경을 상기 전단연결재(20)의 외경과 동일하게 제작하거나,In this case, the inner diameter of the accommodating pocket 30 is made to be the sam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shear connecting material 20 so that the shear connecting member 20 can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cket 30.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포켓(30)의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33)를 형성하고,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5, a coupling part 33 having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cket 30,

상기 전단연결재(20)의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대응결합부(31)를 형성하여 수용포켓(30)과 전단연결재(20)가 나사체결 방식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31 having a thread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hear connector 20 so that the receiving pocket 30 and the shear connector 20 can be coupled by a screwing method.

더 나아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단연결재(20)는 상기 거더(10) 측면에 경사진 형태로 배열되도록 상기 거더의 측면에 매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more, as shown in (a) of FIG. 3, the shear connector 20 is preferably embedded in the side of the girder so as to be arranged in an inclined form on the side of the girder 10.

이는 상기 전단연결재(20)가 작용응력에 대하여 저항하는 경우, 상기 수용포켓(30)은 상기 전단연결재(20)에 의하여 응력이 작용하게 되고,This is when the shear connector 20 is resistant to the working stress, the receiving pocket 30 is stressed by the shear connector 20,

특히 상기 각 거더(10)의 접합부(JP) 상부에 하중이 인가되는 경우에 상기 각 거더(10)의 하부에 작용하는 인장력에 의하여 수용포켓(30)에서 전단연결재(20)가 뽑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when the load is appli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junction (JP) of each girder 10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shear connector 20 is pulled from the receiving pocket 30 by the tension force acting on the lower portion of each girder (10). You can do it.

또한 상기 각 거더(10)의 측면에 매입된 수용포켓(30)이 상기 각 거더(10)의 하부에 작용하는 인장력에 의하여 각 거더(10)에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구조적인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structural stability by preventing the receiving pocket 30 embedded in the side of each girder 10 separated from each girder 10 by the tensile force acting on the lower portion of each girder 10. Will be.

아울러 도 3의 (b)의 도시는 상기 전단연결재(20)가 절곡되어 형성된 경우In addition, Figure 3 (b) is the case where the shear connector 20 is formed bent

수용포켓(30)이 도 3의 (a)의 도시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수용포켓(30)이 상기 거더(10)에 경사진 형태로 매입되어 절곡된 전단연결재(20)와 결합되는 변형례를 나타내고 있다.
The receiving pocket 30 is coupled to the shear connector 20 is bent in the form beveled in the girder 10 so that the receiving pocket 30 to perform the function as shown in (a) of FIG. A modification is shown.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단연결재(20)에는 다수의 제1 전단핀(21)이 연결되어 상기 전단연결재(20)의 전단성능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As shown in Figures 2 and 3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first shear pins 21 are connected to the shear connecto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double the shear performance of the shear connector 20. ,

또한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전단연결재가 상기 거더의 측면에 직접 매입되는 경우에는 매입 부분에도 제1 전단핀이 연결되어 상기 거더와 전단연결재간의 결합력을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n the shear connector is directly embedded in the side of the girder, the first shear pin is also connected to the embedding portion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girder and the shear connector.

아울러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용포켓(30)의 외측면에는 다수의 제2 전단핀(31)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한데,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second shear pins 31 are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cket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이는 상기 전단연결재(20)가 전단응력에 대하여 저항하는 경우, 상기 수용포켓(30)에도 응력이 인가되고,It is a stress is applied to the receiving pocket 30, if the shear connector 20 resists shear stress,

이때 상기 제2 전단핀(31)이 거더(10)와 수용포켓(30)간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게 된다.
At this time, the second shear pin 31 is to strengthen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girder 10 and the receiving pocket (30).

또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단연결재(20)에는 제1 전단핀(21)이, 상기 수용포켓(30)에는 제2 전단핀(31)이 구비되어 상기한 바와 같은 동일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as shown in (B) of FIG. 4, the first shear pin 21 is provided at the shear connecting member 20, and the second shear pin 31 is provided at the receiving pocket 30. It is also possible to enable the function.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전단연결재이나, 각 전단핀은 상기한 바와 같은 형태 이외에 퍼포본드(perfobond) 형태의 전단부재나, 또는 다른 형상의 전단부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Furthermore, the shear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r each shear pin may use a perfobond shear member or a shear member of another shap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form.

또한 도 6은 각 거더의 측면(13) 사이공간에 구비된 콘크리트보강부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철근을 일정한 형태로 절곡하여 각 전단연결재 상부에 얹은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In addition, Figure 6 is bent to a certain form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concrete reinforcement provided in the space between the side 13 of each girder and placed on top of each shear connector, and then poured concrete,

또한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각 거더의 측면(13) 사이공간 하부에 철근을 직선 형태로 배근하여 콘크리트보강부의 강성을 보강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also possible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concrete reinforcement by reinforcing the reinforcing bar in a straight form in the lower space between the side 13 of each girder.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접합성능 및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접합 구조를 갖는 콘크리트 거더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n describing the concrete girder having a bonding structure that can improve the bonding performance and construction properti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a particular shape and direc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AD : 교축방향 WD : 거더 단면의 횡방향
JP : 접합부
1 : 교각 3 : 철근
10 : 거더 11 : 하부플랜지
13 : 거더의 측면 15 : 중공
17 : 우수유입방지홀 19 : 전단키
20 : 전단연결재 21 : 제1 전단핀
23 : 대응결합부
30 : 수용포켓 31 : 제2 전단핀
33 : 결합부
AD: Axial direction WD: Transverse direction of girder cross section
JP: Connection
1: pier 3: rebar
10 girder 11: lower flange
13: side of girder 15: hollow
17: Rainwater inflow prevention hole 19: Shear key
20: shear connector 21: the first shear pin
23: counterpart
30: receiving pocket 31: the second shear pin
33: coupling part

Claims (6)

교축방향을 따라 교각 상면에 나란히 얹히는 거더; 및
상기 거더의 측면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거더 단면의 수직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형태로 배열되는 전단연결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거더의 측면에 매입되고, 상기 전단연결재가 결합되는 수용포켓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성능 및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접합 구조를 갖는 콘크리트 거더.
Girders placed side by side on the top of the pier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Is provided along the side of the girder, the shear connecting member arranged in an inclined form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ross section of the girder;
Is embedded in the side of the girder, the concrete girder having a bonding structure that can improve the bonding performance and work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receiving pocket coupled to the shear connec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포켓은 상기 전단연결재의 경사각에 대응되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성능 및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접합 구조를 갖는 콘크리트 거더.
The method of claim 1,
The accommodating pocket is a concrete girder having a bonding structure to improve the bonding performance and work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hear connecto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연결재에는 제1 전단핀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성능 및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접합 구조를 갖는 콘크리트 거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hear girder concrete girder having a bonding structure to improve the bonding performance and work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hear pin is further provided.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포켓의 외측면에는 제2 전단핀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성능 및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접합 구조를 갖는 콘크리트 거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Concrete girder having a bonding structure that can improve the bonding performance and work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cket is further provided with a second shear pi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거더의 측면 상부에는 우수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우수유입방지홀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성능 및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접합 구조를 갖는 콘크리트 거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Concrete girder having a bonding structure to improve the bonding performance and work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rainwater inlet prevention hole is further provided on the side upper portion of the girder to prevent the inflow of rainwat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거더의 측면에는 전단키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성능 및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접합 구조를 갖는 콘크리트 거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Side of the girder concrete girder having a bonding structure that can further improve the bonding performance and work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shear key is further provided.
KR1020110127599A 2011-12-01 2011-12-01 Concrete girder KR1011493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599A KR101149314B1 (en) 2011-12-01 2011-12-01 Concrete gir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599A KR101149314B1 (en) 2011-12-01 2011-12-01 Concrete gir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9314B1 true KR101149314B1 (en) 2012-05-23

Family

ID=46272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7599A KR101149314B1 (en) 2011-12-01 2011-12-01 Concrete gir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931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7360B1 (en) 2022-03-23 2023-03-08 이노스텍 주식회사 Shearing Connector For Joint of Precast Concrete Body and Connecting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1807B1 (en) * 2005-01-11 2006-10-12 채성태 Hollow Concrete Steel Pipe Girder and Girder Bridge using Hollow Pipe Girder
KR100920202B1 (en) * 2007-11-05 2009-10-06 (주)디엠엔지니어링 Connecting Method of Girder with Integrated Slab and Horizontal Moving Method of Gird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1807B1 (en) * 2005-01-11 2006-10-12 채성태 Hollow Concrete Steel Pipe Girder and Girder Bridge using Hollow Pipe Girder
KR100920202B1 (en) * 2007-11-05 2009-10-06 (주)디엠엔지니어링 Connecting Method of Girder with Integrated Slab and Horizontal Moving Method of Gird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7360B1 (en) 2022-03-23 2023-03-08 이노스텍 주식회사 Shearing Connector For Joint of Precast Concrete Body and Connect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6441B1 (en) Precast Prestressed reinforced concrete bottom plate, bridge having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bridge
KR101067001B1 (en) Slave constructing method of steel box girder bridge using steel reinforcement
JP6691880B2 (en) Precast wall balustrade mounting structure and mounting method
KR20090037419A (en) Method for constructing precast coping by using multi-step tensioning
KR20140026886A (en) Structure equipped with box girder
KR20100121866A (en) Pc slave for building having reinforcement structure as a set
KR101255027B1 (en) Precast rahmen type box culvert
KR101229263B1 (en) Slab-type box girder with a vertical connecting structure made by precast concrete and method constructing the bridge thereof
KR101697767B1 (en) Concrete Girder With Couple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Rhamen Bridge Using The Same
KR101329443B1 (en) Precast concrete fram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for buildings using precast concrete slab continued by post tensioning
KR101300296B1 (en) Rapid cnstruction method of semi-integral abutment bridge using prestressed concrete girder having end diaphragm
KR100710984B1 (en) Flat plate concrete structure having openings reinforced by opening formative assembly
KR101458435B1 (en) Half precast concrete column manufacturing method using saddle-type ties and dual hoops and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JP5386379B2 (en) Precast slab joints in bridges
KR101149314B1 (en) Concrete girder
KR101735077B1 (en) Bridge deck using precast concrete panel
KR20100069847A (en) Precast steel-concrete composite gird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007012B1 (en) Reinforcement structure for tunnel and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same
JP2008144459A (en) Slab form and method of constructing composite floor slab
KR20130090453A (en) Reinforcement member and girder using the same
KR101834423B1 (en) Precast concrete beam with variable cross section
CN105088931B (en) Hollow slab bridge with tension connecting piec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0395572Y1 (en) Precast concrete panel
KR101688440B1 (en) Reinforcement Member for Beam, Beam Equipped with the Reinforcement Member,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Beam
KR101447537B1 (en) Precast slab connection method using connection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