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9847A - Precast steel-concrete composite gird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Precast steel-concrete composite gird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69847A KR20100069847A KR1020080128388A KR20080128388A KR20100069847A KR 20100069847 A KR20100069847 A KR 20100069847A KR 1020080128388 A KR1020080128388 A KR 1020080128388A KR 20080128388 A KR20080128388 A KR 20080128388A KR 20100069847 A KR20100069847 A KR 2010006984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nsion
- precast
- concrete member
- concrete
- members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6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01208 Crucible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13 prestress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264 neutra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78 precast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42 transportation engine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E01D2101/285—Composite prestressed concrete-metal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강합성 거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리캐스트 강합성 거더 및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gir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cast composite girder and a manufacturing method.
일반적인 교량의 구조는 일정 간격을 두고 지면상으로 입설되는 다수의 교각과, 교각의 상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거더와, 거더의 상부에 배치되는 슬래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general structure of the bridge includes a plurality of bridges placed on the ground at regular intervals, a girder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and a slab disposed on top of the girder.
여러 종류의 교량 가운데 20m 이하의 단경간 교량에는 슬래브만으로 차량 하중을 교대나 교각에 전달하는 슬래브 교량(slab bridge)이 있다. 슬래브 교량은 상부구조가 슬래브로만 이루어진 교량을 말한다. 슬래브 교량은 주로 철근콘크리트(RC ; reinforced concrete) 슬래브(RC 슬래브) 교량이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SC ; prestressed concrete) 슬래브(PSC슬래브) 교량이 사용된다. Among various bridges, short span bridges of 20m or less include slab bridges that transfer vehicle loads to bridges or piers with slabs alone. Slab bridges are bridges whose superstructures consist solely of slabs. The slab bridge is mainly used reinforced concrete (RC) slab (RC slab) bridge or prestressed concrete (PSC) slab (PSC slab) bridge.
그런데, 이와 같은 슬래브 교량은 현장에서 동바리로 지지되는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작된다. 이러한 현장 타설방식은 동바리나 거푸집 작업이 번거롭고 공기가 지연되는 단점이 있다.By the way, such a slab bridge is manufactured by pouring concrete into the formwork supported by the club in the field. This site casting method has disadvantages in that it is cumbersome to work with copper or formwork and delay in air.
원심성형으로 형성되는 콘크리트부재 및 콘크리트부재에 결합되는 형강부재와 긴장부재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단면강성 및 프리스트레스를 증가시킬 수 있는 프리캐스트 강합성 거더 및 제작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cast rigid girder and a manufacturing method capable of increasing the cross-sectional stiffness and prestress by improv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concrete member and the tension member coupled to the concrete member formed by centrifugal molding.
또한, 서로 인접되는 프리캐스트 강합성 거더들을 용이하게 일체화할 수 있으며, 연결부분에서도 프리스트레스를 유지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강합성 거더 및 제작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integrate the precast composite girders adjacent to each other, and to provide a precast composite girders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at can maintain the prestress in the connection portion.
또한, 프리캐스트 강합성 거더의 상면 구조를 개선하여 프리캐스트 강합성 거더와 그 상측에 결합되는 구배 콘크리트와의 합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강합성 거더 및 제작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cast composite girder and a manufacturing method which can facilitate the synthesis of the precast composite girder and the gradient concrete bonded to the upper side by improving the top structure of the precast composite girder.
프리캐스트 강합성 거더는 길이방향인 제1 방향으로 중공부를 갖고 신장되며, 폭방향인 제2 방향으로 복수의 구멍을 갖는 콘크리트부재, 콘크리트부재에서 설정방향으로 배치되어 콘크리트부재에 긴장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긴장부재, 콘크리트부재 상면에서 노출면을 갖고 콘크리트부재와 일체로 결합되는 복수의 형강부재, 및 각각의 형강부재 노출면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신장되며, 현장에서 콘크리트부재 상측에 일체로 결합되는 바닥부재에 매설되는 복수의 전단 연결부재를 포함한다.Precast rigid girder is a concrete member having a hollow in the first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in the width direction, a concrete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holes, a plurality of arrangements provided in the set direction in the concrete member to provide a tension force to the concrete member A tension member of the member, a plurality of section members having an exposed surfac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and integrally coupled with the concrete member, and a floor coupled to each of the section members exposed surface and extending upward, integrall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concrete member in the field It includes a plurality of shear connection member embedded in the member.
긴장부재는 콘크리트부재 내측에 매립된 상태에서 적어도 일측이 각각 콘크 리트부재 외부로 노출되며, 서로 인접되는 다른 프리캐스트 강합성 거더의 긴장부재와 연결된 부분이 콘크리트로 타설되는 과정을 통해 복수의 프리캐스트 강합성 거더들이 일체화로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side of the tension member is embedded inside the concrete member, and at least one side thereof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ncrete member, and a plurality of precast parts are cast through a process in which the parts connected to the tension members of the other precast rigid girder adjacent to each other are cast into concrete. Rigid girders can be integrally formed.
긴장부재는 콘크리트부재에서 제1 방향으로 배치되어 종방향 긴장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제1 긴장부재, 및 콘크리트부재에서 제2 방향으로 배치되어 횡방향 긴장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제2 긴장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nsion memb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tension members disposed in the first direction in the concrete member and supporting the longitudinal tens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tension members disposed in the second direction in the concrete member and supporting the transverse tension. Can be.
제1 긴장부재는 중공부의 원주면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측에서 원주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긴장부재는 형강부재와 제1 긴장부재에 각각 어긋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tension member may be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from the lower side with respect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center line of the hollow portion, and the second tension member may be disposed at positions displaced from the shape steel member and the first tension member, respectively.
콘크리트부재는 원심성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crete member may be formed by centrifugal molding.
한편, 프리캐스트 강합성 거더 제작방법은 길이방향인 제1 방향으로 중공부를 갖고 신장되는 콘크리트부재를 원심성형으로 형성하는 단계, 콘크리트부재의 폭방향인 제2 방향으로 복수의 구멍을 형성하는 단계, 콘크리트부재에서 설정방향으로 복수의 긴장부재를 배치하는 단계, 콘크리트부재 상면에서 노출면을 갖는 복수의 형강부재를 콘크리트부재와 일체로 결합하는 단계, 각각의 형강부재 노출면에서 상측으로 신장되어 콘크리트부재 상측에 일체로 결합되는 바닥부재에 매설되는 복수의 전단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cast rigid girder manufacturing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forming a concrete member having a hollow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centrifugal molding, forming a plurality of holes in the second direc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crete member, Arranging a plurality of tension members in a set direction in the concrete member, combining a plurality of member steel members having an exposed surfac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with the concrete member integrally, extending upward from each member steel member exposed surface And a plurality of shear connection members embedded in the bottom member integrally coupled to the upper side.
복수의 긴장부재를 배치하는 단계는 콘크리트부재 내측에 매립된 상태에서 적어도 일측이 각각 콘크리트부재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Arranging the plurality of tension members may be so that at least one sid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ncrete member, respectively, in a state buried inside the concrete member.
콘크리트부재에서 제1 방향으로 복수개의 제1 긴장부재를 배치하여 종방향 긴장을 지지하는 단계, 및 콘크리트부재에서 제2 방향으로 복수개의 제2 긴장부재를 배치하여 횡방향 긴장을 지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rranging a plurality of first tension members in a first direction in the concrete member to support longitudinal tension, and arranging a plurality of second tension members in a second direction in the concrete member to support transverse tension; can do.
제1 긴장부재는 중공부의 원주면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측에서 원주면을 따라 배치할 수 있다.The first tension member may be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from the lower side with respect to the circumferential center line of the hollow portion.
제2 긴장부재는 형강부재와 제1 긴장부재에 각각 어긋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The second tension member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that is displaced from the beam member and the first tension member, respectively.
복수의 프리캐스트 강합성 거더를 구비하는 단계, 서로 인접되는 각각의 프리캐스트 강합성 거더로부터 노출되는 긴장부재들을 서로 연결하는 단계, 긴장부재들이 서로 연결된 부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복수의 프리캐스트 강합성 거더들을 일체화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oviding a plurality of precast rigid girders, connecting the tension members exposed from each of the adjacent precast rigid girders to each other, and placing concrete on the parts where the tension memb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plurality of precast rigid girders It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integrally forming the girders.
프리캐스트 강합성 거더는 원심성형된 콘크리트부재의 상면에 형강부재가 합성되어 있어서 압축응력에 저항할 수 있는 단면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precast rigid girder can increase the stiffness of the cross section that can resist the compressive stress because the form steel member is synthesiz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rifugal concrete member.
또한, 프리캐스트 강합성 거더의 상측에 형강부재를 배치하여 중립축이 압축부로 이동되므로 긴장부재 편심량이 커져서 긴장부재 수량이 상대적으로 적어도 인장부에 큰 압축응력을 도입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neutral shaft is moved to the compression part by arranging the shaped steel member on the upper side of the precast rigid girder, the amount of eccentricity of the tension member is increased so that a large compressive stress can be introduced at least in the tension portion.
또한, 프리캐스트 강합성 거더들을 서로 연결하여 교량 등에 사용하는 경우서로 인접되는 프리캐스트 강합성 거더들을 용이하게 일체화할 수 있으며, 연결부분에서도 각각 노출되는 긴장부재들을 용접으로 결합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프리스트레스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recast composite gird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used for bridges, adjacent precast composite girders can be easily integrated, and the prestress is joined by welding the tension members exposed to each other by welding and casting concrete. Can be maintained.
또한, 프리캐스트 강합성 거더의 상면 구조를 개선하여 콘크리트부재의 상측에 배치된 형강부재의 상면에 전단 연결부재를 결합함으로써 프리캐스트 강합성 거더와 그 상측에 결합되는 구배 콘크리트와의 합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recast rigid girder by coupling the shear connection membe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teel member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crete member to facilitate the synthesis of the precast rigid girder and the gradient concrete coupled to the upper side can do.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강합성 거더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강합성 거더들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바닥부재와 결합된 형상을 부분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프리캐스트 강합성 거더간 연결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of a precast rigid gi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ly cut shape coupled to the bottom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precast composite gird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each other, Figure 3 is a schematic view of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precast composite girder It is sectional drawing.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강합성 거더(100)는 콘크리트부재(10), 긴장부재(20), 형강부재(30), 전단 연결부재(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precast
콘크리트부재(10)는 길이방향인 제1 방향(z축)으로 중공부(12)를 갖고 신장되며, 폭방향인 제2 방향(x축)으로 복수의 구멍(14)을 갖는다. 참고로, 복수의 구멍(14)은 높이방향인 제3 방향(y축)으로도 배치된다. 즉, 복수의 구멍(14)은 제2 방향을 따라 양측과 제3 방향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콘크리트부재(10)를 제1 방향에서 보면 복수의 구멍(14)은 4개로 이루어지며, 각각 모서리부에 근접하도록 배 치된다. The
콘크리트부재(10)는 원심성형으로 형성된다. 콘크리트부재(10)는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형상이 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모서리는 설정된 곡률반경을 갖고 라운딩(rounding)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긴장부재(20)는 콘크리트부재(10)에서 설정방향으로 배치되어 콘크리트부재(10)에 긴장력을 제공한다. 긴장부재(20)는 복수개로 구비된다. 긴장부재(20)는 콘크리트부재(10)에서 제1 방향으로 배치되어 종방향 긴장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제1 긴장부재(22), 및 콘크리트부재(10)에서 제2 방향으로 배치되어 횡방향 긴장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제2 긴장부재(24)를 포함할 수 있다.The
긴장부재(20)는 콘크리트부재(10) 내측에 매립된 상태에서 적어도 일측이 각각 콘크리트부재(10) 외부로 노출되며, 서로 인접되는 다른 프리캐스트 강합성 거더의 긴장부재(20)와 연결된 부분이 콘크리트로 타설되는 과정을 통해 복수의 프리캐스트 강합성 거더(100)들이 일체화로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side of the
도 3을 참조하면, 제1 긴장부재(22)의 길이는 콘크리트부재(10)를 기준으로 제1 방향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며, 서로 인접되는 제1 긴장부재(22)들은 서로 겹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서로 인접된 제1 긴장부재(22)들은 각각 용접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서로 인접된 제1 긴장부재(22)들은 각각의 용접 결합을 통해 일체의 제1 긴장부재(22)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length of the
제1 긴장부재(22)는 중공부(12)의 원주면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측에서 원주 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제1 긴장부재(22)는 중공부(12)의 원주면을 따라 배치되지 않고 일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긴장부재(22)는 중공부(12)의 하측에서 제1 방향을 따라 일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제1 긴장부재(22)가 해당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형태는 다양한 설계변경을 통해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는데, 프리캐스트 강합성 거더(100)의 하측을 보강할 수 있는 구조이면 모두 가능하다.The
제2 긴장부재(24)는 강봉으로 대체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부재(10)에서 제2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구멍(14)에 삽입된다. 제2 긴장부재(24)를 통해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강합성 거더(100)가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경우 제2 긴장부재(24)의 양단에는 별도의 결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긴장부재(24)의 양단부 결합구조는 제2 긴장부재(24)의 양단에 나사부를 가공하고 나사부에 너트로 체결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긴장부재(24) 및 결합구조는 다양한 설계변경을 통해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는데, 프리캐스트 강합성 거더(100)의 횡방향에서 서로 인접되는 프리캐스트 강합성 거더(100)의 연결관계 및 횡방향 긴장을 보강할 수 있는 구조이면 모두 가능하다.The
한편, 제2 긴장부재(24)는 형강부재(30)와 제1 긴장부재(22)에 각각 어긋나는 위치에 배치된다. 즉, 제2 긴장부재(24)는 제2 방향을 기준으로 형강부재(30)와 중공부(12)의 상측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긴장부재(24)는 제1 긴장부재(22)의 하측과 콘크리트부재(10) 바닥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제2 긴장부재(24)는 중공부(12)의 하측과 제1 긴장부재(22)의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형강부재(30)는 콘크리트부재(10) 상면에서 노출면을 갖고 콘크리트부재(10)와 일체로 결합된다. 형강부재(30)는 상면을 형성하는 제1 부재(32)와 제1 부재(32)로부터 하향으로 신장되는 제2 부재(34)를 갖는다. 제2 부재(34)는 제1 부재(32)의 폭방향 중심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형강부재(30)는 한글 모음 (ㅜ)자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형강부재(3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며, 제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된다. As shown in FIG. 1, the shaped
전단 연결부재(40)는 각각의 형강부재(30) 노출면에 복수개로 결합되어 상측으로 신장된다. 전단 연결부재(40)는 현장에서 콘크리트부재(10) 상측에 일체로 결합되는 바닥부재(50)에 매설된다. 따라서, 복수의 전단 연결부재(40)를 통해 콘크리트부재(10)와 바닥부재(50)의 연결상태를 더욱 더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강합성 거더(100)를 제작하는 방법을 설명한다.1 to 3 will be describ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recast
먼저, 공장에서 프리텐션된 프리캐스트 강합성 거더(100)를 복수개로 제작한다. 이어서, 복수의 프리캐스트 강합성 거더(100)를 현장에 운반하여 현장 상황에 맞게 가설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프리캐스트 강합성 거더(100)는 단경간 교량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리캐스트 강합성 거더(100)를 단경간 교량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현장에서는 프리캐스트 강합성 거더(100)를 교축방향으로 간격이 없도록 붙여서 가설하고 구배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부재(50)를 형 성한다. First, a plurality of precast rigid
공장에서 생산하는 프리캐스트 강합성 거더(100)에서 콘크리트 압축 및 인장강도에 제약이 있기 때문에 단면형상을 고려하여 형강부재(30)와 긴장부재(20)를 적절하게 배치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강합성 거더(100)는 콘크리트부재(10)의 상측에 형강부재(30)를 배치하고 콘크리트부재(10)를 원심성형한 후 프리텐션을 도입하여 제작한다.In the precast rigid
원심성형은 주로 파일 부재를 제작할 때 폐합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축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고온에서 양생하는 방식을 취한다. 이렇게 되면 콘크리트는 일반 양생보다 1.5배 이상의 고강도를 발현할 수 있고 철근으로 삽입된 강봉을 프리텐션할 수 있기 때문에 인장부재로 사용하기에 효율적이다. 그런데, 프리스트레스를 크게 가하게 되면 압축응력 또한 증가하여 압축응력이 크게 작용하는 거더로 사용하기에는 부적절하게 된다. Centrifugal molding takes the form of curing at high temperatures while placing concrete in the closed formwork and rotating it in the axial direction when manufacturing pile members. In this case, concrete can express 1.5 times higher strength than general curing and can pretension the steel rod inserted into the rebar, so it is efficient to use as a tension member. However, if the prestress is largely applied, the compressive stress is also increased, which is not suitable for use as a girder in which the compressive stress is large.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강합성 거더(100)는 원심성형되어 중앙부에 원형의 중공부(12)가 형성된 콘크리트부재(10)와 프리텐션을 위한 긴장부재(20, 또는 강봉)가 콘크리트부재(10) 하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콘크리트부재(10)의 상측에는 압축력에 저항하기 위한 형강부재(30)가 배치된다. 또한, 형강부재(30)의 상면에는 바닥부재(50)로 사용되는 구배 콘크리트와의 합성을 위한 전단 연결부재(40)가 구비된다.For this reason, the precast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강합성 거더(100)는 콘크리트부재(10)의 상측에 형강부재(30)를 배치하여 압축응력에 저항할 수 있으 며, 인장응력에 저항하는 프리스트레스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형강부재(30)가 콘크리트부재(10)와 합성되어 있어서 단면강성이 커지고, 중립축이 압축부로 이동되므로 긴장부재(20) 편심량이 커져서 긴장부재(20) 수가 작아도 인장부에 큰 압축응력을 도입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부재(10)의 상측에 배치된 형강부재(30)의 상면에는 전단 연결부재(40)를 부착하여 바닥부재(50)로 사용되는 구배 콘크리트와의 합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cast rigid
이렇게 제작된 프리캐스트 강합성 거더(100)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방향으로 간격이 없도록 밀착시켜 가설한 뒤 별도의 거푸집 없이 구배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부재(50)를 형성함으로써 슬래브 교량을 완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precast
도 3을 참조하면, 교량과 같이 비교적 길이가 긴 프리캐스트 강합성 거더(100)를 사용할 때 지간을 확장할 경우 제1 방향 이음부 상세를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when using a precast rigid
프리캐스트 강합성 거더(100)는 공장에서 제작할 때 운반을 고려하여 설정된 길이로 제작된다. 그리고 현장에서 복수의 프리캐스트 강합성 거더(100)를 결합하여 사용한다. 예를 들어, 서로 이웃하는 프리캐스트 강합성 거더(100)들을 제1 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해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를 성형할 때 콘크리트부재(10)에 삽입되는 제1 긴장부재(22)를 제1 방향으로 연장한다. 그리고 노출된 제1 긴장부재(22)들을 겹이음 내지는 커플러로 연결한 뒤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체화 시킨다. The precas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강합성 거더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of a precast rigid gi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강합성 거더들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바닥부재와 결합된 형상을 부분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ly cut shape coupled to the bottom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precast composite gird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each other.
도 3은 프리캐스트 강합성 거더간 연결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precast composite girder.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콘크리트부재 20 ; 긴장부재10;
22 ; 제1 긴장부재 24 ; 제2 긴장부재22;
30 ; 형강부재 40 ; 전단 연결부재30;
50 ; 바닥부재 100 ; 프리캐스트 강합성 거더50;
Claims (1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28388A KR20100069847A (en) | 2008-12-17 | 2008-12-17 | Precast steel-concrete composite gird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28388A KR20100069847A (en) | 2008-12-17 | 2008-12-17 | Precast steel-concrete composite gird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69847A true KR20100069847A (en) | 2010-06-25 |
Family
ID=42367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28388A KR20100069847A (en) | 2008-12-17 | 2008-12-17 | Precast steel-concrete composite gird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69847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3679B1 (en) * | 2012-01-11 | 2013-04-11 | (주)케이에이치하우징솔루션스 | Precast segment beam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1358878B1 (en) * | 2012-02-06 | 2014-02-06 | 삼표건설 주식회사 | Reinforcement member and girder using the same |
KR102081277B1 (en) * | 2019-05-03 | 2020-02-25 |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2008
- 2008-12-17 KR KR1020080128388A patent/KR20100069847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3679B1 (en) * | 2012-01-11 | 2013-04-11 | (주)케이에이치하우징솔루션스 | Precast segment beam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1358878B1 (en) * | 2012-02-06 | 2014-02-06 | 삼표건설 주식회사 | Reinforcement member and girder using the same |
KR102081277B1 (en) * | 2019-05-03 | 2020-02-25 |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09304B1 (en) | Precast Composition I-Beam with Concrete Panel and Corrugated Steel Web Girder | |
KR101107826B1 (en) | Slab-type box girder made by precast concrete and method constructing the bridge therewith | |
KR101208231B1 (en) | Method for constructing continuous supporting structure of corrugated steel web PSC beam | |
KR101693256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prefabricated psc bridge | |
KR100483083B1 (en) | Composite Deck having Frame and Concrete | |
KR101678999B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composite girder and of constructing birdge upper structure using same | |
KR20090068526A (en) | Construction method of bridge structure and steel composite girder using the same | |
KR101062719B1 (en) | Psc girder increasing section rigidity and bridge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20100069847A (en) | Precast steel-concrete composite gird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JP4391539B2 (en) | Hollow floor slab unit for assembling bridge, hollow floor slab for assembling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of hollow floor slab bridge | |
KR101256774B1 (en) | Constrcution method of end cross beam for integrating continuity of supporting portion and preventing falling down of psc girder | |
KR101132964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continuous plate girder bridge stiffened its negative moment area by concrete and structure thereof | |
KR20130090709A (en) | Construction method for corrugated steel plate web-psc composite beam | |
JP2008088634A (en) | Composite steel-concrete floor slab | |
JP5819679B2 (en) | Slab construction method, shear reinforcement, and concrete beam structure | |
KR101043710B1 (en) | Through bridge construction method by side beam and slab by box structure without lateral prestressing | |
KR101447537B1 (en) | Precast slab connection method using connection module | |
KR20090055935A (en) | Segment type composite box girder construction method | |
KR101688440B1 (en) | Reinforcement Member for Beam, Beam Equipped with the Reinforcement Member,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Beam | |
KR101834867B1 (en) | High Stiffness Mega Girder | |
KR20100137749A (en) | Precast concrete girder unified with slab | |
JP6066981B2 (en) | Connection structure in bridges using reinforced concrete slabs and connection method in existing bridges using reinforced concrete slabs | |
JP5738111B2 (en) | Bridge girder | |
JPH10110498A (en) | Half-precast floor slab and construction method of hollow flat slab making use thereof | |
JP2009281141A (en) | Hollow floor slab unit for prefabricated bridge, hollow floor slab for prefabricated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of hollow floor slab brid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