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0453A - Reinforcement member and girder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Reinforcement member and girder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90453A KR20130090453A KR1020120011578A KR20120011578A KR20130090453A KR 20130090453 A KR20130090453 A KR 20130090453A KR 1020120011578 A KR1020120011578 A KR 1020120011578A KR 20120011578 A KR20120011578 A KR 20120011578A KR 20130090453 A KR20130090453 A KR 2013009045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irder
- main body
- reinforcing member
- flange
- upper reinforc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교량의 거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field, and more particularly, to a girder of a bridge.
건설기술에 사용되는 거더는 외력에 의한 휨모멘트에 저항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휨부재로서, 그 상부는 압축응력에 저항하고, 그 하부는 인장응력에 저항하기 위한 구조를 취한다.The girder used in construction technology is a flexural member used to resist bending moment due to external force. Its upper part is resistant to compressive stress and its lower part is structured to resist tensile stress.
콘크리트는 압축력이 강하고, 강재(철근)는 인장력이 강한 재질이므로, 인장응력에 저항해야 하는 거더의 하부에는 인장철근, 긴장재 등의 인장부재를 별도로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Since the concrete is a strong compressive force and the steel (reinforcing steel) is a material having a high tensile strength, it is general to arrange tension members such as tensile bars and tensile members separately at the lower portion of the girders which must resist tensile stress.
다만 외력이 커서 콘크리트만으로 압축응력을 분담하도록 하면 그 단면이 너무 커지게 되는 경우, 효율적인 단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거더의 상부에도 압축철근과 같은 압축부재(30)를 배치한다(도 2).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cross section becomes too large when the external force is large and the compressive stress is shared only by the concrete, a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안고 있었다.However, such conventional technique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압축부재(30)로서 배치되는 철근은 기본적으로 인장력은 강하지만 압축력이 우수하지 못한 재질이므로, 압축보강을 위하여 많은 양의 압축철근이 소요되고, 한정된 단면(공간)에 대한 배근작업이 어려우므로, 효율적이라 할 수 없다.First, since the rebar disposed as the
둘째, 압축부재(30)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강봉 및 강재는 가격이 높아 경제성이 좋지 못하다.Secondly, steel bars and steel bars, which are most frequently used as the
셋째, 압축부에 설치되는 압축 보강재(강형)는 콘크리트 타설 및 다짐을 어렵게 하므로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Third, the compression stiffener (rigid) installed in the compression section makes it difficult to pour and compact the concrete, which may cause deterioration in quality.
넷째, 압축보강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에는, 압축측 콘크리트와의 일체화를 위하여 많은 전단 연결재가 필요하므로, 시공이 복잡해지고 이로 인하여 경제성 또한 떨어진다.Fourth, when the compression stiffener is exposed to the outside, since a lot of shear connectors are necessary for integration with the compression side concrete, the construction is complicated and the economical efficiency is lowe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하고, 합성 효과가 우수하여 저비용 고효율의 제품 생산이 가능하며, 단순한 공정을 취하므로 시공성 또한 우수하고,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거더의 상부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거더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ocess for producing a low cost and high efficiency product having excellent structural stability and excellent synthesis effect, And an upper reinforcing member of the girder and a girder using the same.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거더(10)의 상부 플랜지(11)에 하부는 매설되고, 상부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관 구조의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충전된 충전재(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의 상부 보강부재(100)를 제시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portion is embedded in the
상기 본체(110)는 폐합형의 단면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본체(110)는 각진 형상의 단면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본체(110)를 관통하고, 단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된 연결부재(13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on member 130 penetrates the
상기 연결부재(130)는 상기 본체(110)의 상, 하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설치된 수직 연결부재(13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on member 130 preferably includes a vertical connection member 131 installed in the through hol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상기 연결부재(130)는 상기 본체(110)의 양측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설치된 수평 연결부재(13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on member 130 preferably includes a horizontal connection member 132 installed in the through-hol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상기 연결부재(130)는 상기 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스터드(13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on member 130 preferably includes a stud 133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본 발명은 상기 상부 보강부재(100)가 상부 플랜지(11)에 하부는 매설되고, 상부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10)를 함께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esents the
본 발명은 상기 상부 보강부재(100)가 상부 플랜지(11)에 하부는 매설되고, 상부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고, 하부 플랜지(13)에 긴장재(40)가 설치되어 프리스트레스 힘이 인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SC 거더(10a)를 함께 제시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reinforcing
본 발명은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하고, 합성 효과가 우수하여 저비용 고효율의 제품 생산이 가능하며, 단순한 공정을 취하므로 시공성 또한 우수하고,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거더의 상부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거더를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upper reinforcing member of a girder and a girder using the same, which is excellent in workabil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because it is possible to produce a low-cost and high-efficiency product with excellent structural stability and excellent synthesis efficiency. do.
도 1은 종래의 PSC 거더의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PSC 거더의 보강구조의 사시도.
도 3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은 상부 보강부재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상부 보강부재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상부 보강부재의 제3 실시예가 설치된 거더의 사시도.
도 6은 상부 보강부재의 제4 실시예가 설치된 거더의 단면도.
도 7은 상부 보강부재의 제4 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상부 보강부재의 제5 실시예의 사시도.
도 9는 거더 및 상부 보강부재의 제5 실시예의 단면도.
도 10은 슬래브 콘크리트가 타설된 거더 및 상부 보강부재의 일실시예의 단면도.1 is a 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PSC girder.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inforcing structure of a conventional PSC girder.
3 or less show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n upper reinforcing member;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n upper reinforcing member;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girder in which a third embodiment of the upper reinforcing member is installed;
6 is a sectional view of the girders in which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upper reinforcing member is installed;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urth embodiment of an upper reinforcing member;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fth embodiment of an upper reinforcing member;
9 is a sectional view of a fifth embodiment of a girder and an upper reinforcement member;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girder and the upper reinforcing member is poured slab concrete.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거더(10)의 상부에 압축응력을 분담하기 위한 보강부재가 설치되는 거더의 상부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거더에 관한 것이다.As shown in FIG. 3 and subsequent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pper reinforcing member of a girder provided with a reinforcing member for sharing compressive stress on an upper portion of the
여기서, 상부 보강부재(100)는 거더(10)의 상부 플랜지(11)에 하부는 매설되고, 상부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관 구조의 본체(110); 본체(110)의 내부에 충전된 충전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3).Here, the upper reinforcing
본체(110)의 하부가 거더(10)의 상부 플랜지에 매설되고, 상부는 돌출되는 구조는, 전체적으로 거더(10)의 압축 응력을 부담함과 동시에, 매설된 하부 구조로 인하여 안정적인 부착을 이루도록 한다(도 6).The lower part of the
이와 같은 상부 보강부재(100)의 구조를 통해 다음과 같은 다섯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rough the structure of the upper reinforcing
첫째, 상부 보강부재(100)가 설치된 거더(10)의 압축강도가 더 우수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First,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본 발명에서는, 본체(110)의 내부에 충전된 충전재(120)로서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use high-strength concrete as the
먼저 거더(10)에 상부 보강부재(100)를 설치한 후, 거더(10)와 본체(11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는데 이때, 상부 보강부재(100)가 거더(10)를 구속하고, 충전재(120)가 본체(110)를 구속하게 되므로, 그 구속효과(콤파인드 효과)로 인하여 강도가 대단히 상승하게 된다.First, the
이는, 휨 또는 전단 변형이 발생하기 어려운 우수한 압축부재(30)가 되어, 전체적으로 거더(10)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시키는 효율적인 구조를 얻을 수 있다.This results in an
즉, 상부 보강부재(100)의 본체(110)의 내부에 충전된 콘크리트는 그 주위의 콘크리트에 비해 훨씬 더 큰 강도를 발휘하게 되는바, 거더(10)에서 압축 보강부재의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서 가장 효율적인 구조가 되는 것이다.That is, the concrete filled in the interior of the
둘째, 상부 보강부재(100)가 거더(10) 및 거더(10)의 상부에 타설되는 슬래브 콘크리트의 초기 변형을 방지한다.Second, the upper reinforcing
종래에는 거더(10)의 상부에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할 경우, 타설 중 슬래브 콘크리트의 하중을 거더(10)가 그대로 부담하게 되면서 유해 변형을 유발하였다.Conventionally, when placing slab concrete on the upper part of the
이를 방지하기 위해, 거더(10)의 상부에 다수의 철근을 설치하여 보강하여야 했다(도 1,2).In order to prevent this, a plurality of reinforcing rods wer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하지만, 본 공정에서는 상부 보강부재(100)가 거더(10)와 슬래브 콘크리트를 구속함으로써, 프리스트레스 힘을 인가할 경우 또는 사용하중이 작용할 경우에 거더(10)와 슬래브 콘크리트의 초기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도 10).However, in this process, the upper reinforcing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시공 중에도, 슬래브 콘크리트의 하중을 거더(10)와 상부 보강부재(100)가 나누어 분담하게 되기 때문에, 거더(10)와 슬래브 콘크리트의 초기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Even during construction of slab concrete, since the
따라서, 위에 상술한 방지 대책이 불필요하여 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it is unnecessary to take the above-mentioned countermeasure against the above-mentioned problems, so that the economic cost can be reduced and the structural stability can be enhanced.
셋째, 거더(10)의 상부에 타설되는 슬래브 콘크리트의 하중을 감소하여 거더(10)의 강성을 증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ird,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tiffness of the
상부 보강부재(100)의 상부가 거더(10)의 상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조로 인하여, 거더(10)의 상부에 타설되는 슬래브 콘크리트를 구속하게 된다(도 10).Due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reinforcing
이때, 슬래브 콘크리트를 구속하는 상부 보강부재(100)의 중량만큼 슬래브 콘크리트의 중량을 감소하여 타설할 수 있기 때문에, 결국 거더(10)가 부담하는 슬래브 콘크리트의 하중이 감소하여 거더(10)의 강성을 증대하는 효과를 얻는다.At this time, since the weight of the slab concrete can be reduced by the weight of the upper reinforcing
뿐만 아니라, 슬래브 콘크리트의 중량을 감소하여 타설함에 따라, 공사 비용을 더 많이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eight of the slab concrete is reduced,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further reduced.
넷째, 거더(10)의 단면 2차 모멘트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도 6).Fourth,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ross section secondary moment of the
상부 보강부재(100)의 상부가 거더(1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됨에 따라, 실질적 단면 증대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거더(10)의 단면 2차 모멘트가 커져서 구조적으로 더 우수한 구조물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As the upper part of the upper reinforcing
다섯째, 상부 보강부재(100)는 하부가 거더(10)의 상부에 매설되고 상부가 거더(10)로부터 돌출됨에 따라, 철근과 거푸집 설치를 할 경우 스페이서 기능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적 측면에서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Fifth, as the upper reinforcing
본체(110)의 내부에 충전된 충전재(120)로는 다양한 재질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나,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할 경우 다음과 같은 세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the
첫째, 본체(110)와 그 내부에 구속된 충전재(120)인 콘크리트는 상호 구속효과로 인하여 하나의 구조체로서 거동하게 되므로, 콘크리트가 파괴된 후라 할지라도 일반적인 철근과 달리 압축 보강부재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First, since the concrete, which is the
둘째, 거더(10)의 콘크리트 타설 시 본체(110)의 내부의 충전 작업도 함께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제조공정을 이룰 수 있다. Second, since the filling operation of the interior of the
셋째, 가격이 비싼 철근 대신 저렴한 비용의 재료를 사용하므로 경제성이 우수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ird, because of the use of low-cost materials instead of expensive rebars,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excellent economic efficiency.
본 구조물의 본체(110)의 단면 구조는 폐합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폐합형 단면 구조는 본체(110)의 내부 충전재(120)를 구속하고, 거더(10) 및 거더(10)의 상부에 타설되는 슬래브 콘크리트를 모두 구속하는 구속효과를 발휘하여 단면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압축 저항 능력을 높인다는 장점이 있다.The closed cross-sectional structure constrains the
본체(110)의 단면 구조는 사각형, 원형, 마름모 등 폐합형 단면을 충족시키면 어느 것이나 상관없다.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하지만 각진 형성의 구조의 경우, 단면 효율성이 가장 높아 압축 강도를 극대화할 수 있고, 구조적으로도 안정적이며 시공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angular formation structure, the highest cross-sectional efficiency can maximize the compressive strength, it is also structurally stable and convenient construction.
상부 보강부재(100)의 본체(110)를 관통하고, 단부가 노출되도록 연결부재(130)를 설치할 수 있다(도 4,7).The connection member 130 may be installed to penetrate the
연결부재(130)는 거더(10)의 상부에 타설되는 슬래브 콘크리트의 배근과 일치하도록 결합하는 것이 수월하므로, 설치 작업이 용이하면서도 전체적으로 구조적 일체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도 10).The connecting member 130 is easy to combine so as to match the reinforcement of the slab concrete to be placed on top of the
또한, 연결부재(130)는 그 자체가 전단 철근 또는 휨 철근 역할을 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높인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member 130 itself serves as shear reinforcement or flexural reinforcement to increase structural stability.
구체적으로, 먼저 연결부재(130)로서 본체(110)의 상, 하부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여기에 수직 연결부재(131)를 설치할 수 있다(도 4,5).Specifically, first, through-holes may b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수직 연결부재(131)는 상부 보강부재(100)와 거더(10) 및 슬래브 콘크리트에서 전단 철근 역할을 한다.The vertical connecting member 131 serves as a shear reinforcing bar in the upper reinforcing
이것은 거더(10) 및 슬래브 콘크리트에서 발생하는 사인장 균열을 방지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높인다.This prevents sinusoidal cracking occurring in the
또한, 본체(110)의 양측부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여기에 수평 연결부재(132)를 설치할 수도 있다(도 8,9).In addition, through holes may be formed in both side portions of the
수평 연결부재(132)는 상부 보강부재(100)와 거더(10) 및 슬래브 콘크리트에서 휨 철근(인장 철근) 역할을 한다.The horizontal connecting member 132 serves as a flexural reinforcing bar (tensile reinforcing bar) in the upper reinforcing
이것은 거더(10) 및 슬래브 콘크리트에서 발생하는 휨 균열을 방지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높인다.This prevents flexural cracking occurring in the
연결부재(130)의 구조는 일자형 철근, ㄷ자형 철근 또는 반원형 철근 등 상기 기능을 충족시키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상관없다.The structure of the connecting member 130 may be any structure that satisfies the above functions, such as straight rebar, U-shaped rebar, or semi-circular rebar.
또한, 연결부재(130)로서 본체(110)의 외측으로 스터드(133)를 돌출시켜 설치할 수 있다(도 7,8).In addition, the stud 133 may be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스터드(133)를 돌출시켜 설치할 경우, 거더(10)의 상부에 타설되는 슬래브 콘크리트에 대한 상부 보강부재(100)의 결합력을 높여 구조적 측면에서 안정적이라는 장점이 있다.When protruding the stud 133,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stable in terms of structure by increasing the bonding force of the upper reinforcing
본 발명에 의한 거더의 상부 보강부재(100)는 거더(10)의 상부 플랜지(11)에 하부는 매설되고, 상부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고, 하부 플랜지(13)에 긴장재(40)가 설치되어 프리스트레스 힘이 인가된 PSC 거더(10a)에 설치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일반 거더(10)에 설치되더라도 위와 대동소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도 9).The upper reinforcing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technical idea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거더 100 : 상부 보강부재
11 : 상부 플랜지 110 : 본체
12 : 웹 120 : 충전재
13 : 하부 플랜지 130 : 연결부재
20 : 긴장재 131 : 수직 연결부재
30 : 압축부재 132 : 수평 연결부재
40 : 슬래브 콘크리트 133 : 스터드10: girder 100: upper reinforcing member
11: upper flange 110: main body
12: Web 120: Filling Material
13 lower flange 130 connection member
20: tension member 131: vertical connecting member
30: compression member 132: horizontal connecting member
40: slab concrete 133: stud
Claims (9)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충전된 충전재(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의 상부 보강부재(100).A lower portion is embedded in the upper flange 11 of the girder 10, and an upper portion of the tubular structure 110 protrudes upward and is install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Filler 120 is filled in the main body 110;
Upper reinforcement member 100 of the girder, comprising.
상기 본체(110)는
폐합형의 단면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의 상부 보강부재(100).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body 110
Upper reinforcement member 100 of the gir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losed cross-sectional structure.
상기 본체(110)는
각진 형상의 단면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의 상부 보강부재(100).The method of claim 2,
The main body 110
Upper reinforcement member 100 of the gir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angular shape.
상기 본체(110)를 관통하고, 단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된 연결부재(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의 상부 보강부재(100).The method of claim 1,
A connection member 130 penetrating through the main body 110 and installed to expose an end portion thereof;
Upper reinforcement member 100 of the gird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상기 연결부재(130)는
상기 본체(110)의 상, 하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설치된 수직 연결부재(1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의 상부 보강부재(100).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ng member 130
Upper reinforcing member (100) of the gird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ertical connection member (131) installed in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upper,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10).
상기 연결부재(130)는
상기 본체(110)의 양측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설치된 수평 연결부재(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의 상부 보강부재(100).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ng member 130
Upper reinforcing member (100) of the gird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orizontal connection member 132 installed in the through-hol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10).
상기 연결부재(130)는
상기 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스터드(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의 상부 보강부재(100).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ng member 130
Upper reinforcement member (100) of the gird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ud (133)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1578A KR101358878B1 (en) | 2012-02-06 | 2012-02-06 | Reinforcement member and girder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1578A KR101358878B1 (en) | 2012-02-06 | 2012-02-06 | Reinforcement member and girder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0453A true KR20130090453A (en) | 2013-08-14 |
KR101358878B1 KR101358878B1 (en) | 2014-02-06 |
Family
ID=49216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11578A Expired - Fee Related KR101358878B1 (en) | 2012-02-06 | 2012-02-06 | Reinforcement member and girder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58878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15094A (en) * | 2013-07-31 | 2015-02-10 | 곽노경 | Reinforcement Member for Beam, Beam Equipped with the Reinforcement Member,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Beam |
KR20160116801A (en) * | 2015-03-31 | 2016-10-10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Concrete structures |
WO2016182243A1 (en) * | 2015-05-08 | 2016-11-17 | 이동호 | Mol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crete structure by using same |
KR102009704B1 (en) | 2018-11-23 | 2019-08-12 | (주)우리컨스텍 | Steel permanent landfill form using upper flange box compound gider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KR20230123385A (en) * | 2022-02-16 | 2023-08-23 | 김민성 | Compressive precast element strengthen above a top flange in H-shapes Steel Beam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30231A (en) * | 2000-02-14 | 2000-06-05 | 심태영 | Bridge beam |
JP2002356812A (en) | 2001-05-31 | 2002-12-13 | Nkk Corp | Joint structure using studs |
KR20100069847A (en) * | 2008-12-17 | 2010-06-25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Precast steel-concrete composite gird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101012402B1 (en) | 2010-10-12 | 2011-02-09 | (주)다음기술단 | Prestressed concrete girder |
-
2012
- 2012-02-06 KR KR1020120011578A patent/KR10135887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15094A (en) * | 2013-07-31 | 2015-02-10 | 곽노경 | Reinforcement Member for Beam, Beam Equipped with the Reinforcement Member,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Beam |
KR20160116801A (en) * | 2015-03-31 | 2016-10-10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Concrete structures |
WO2016182243A1 (en) * | 2015-05-08 | 2016-11-17 | 이동호 | Mol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crete structure by using same |
KR102009704B1 (en) | 2018-11-23 | 2019-08-12 | (주)우리컨스텍 | Steel permanent landfill form using upper flange box compound gider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KR20230123385A (en) * | 2022-02-16 | 2023-08-23 | 김민성 | Compressive precast element strengthen above a top flange in H-shapes Steel Bea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58878B1 (en) | 2014-02-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5256891B (en) | High-strength bottom muscle Precast Concrete Frame | |
KR101570484B1 (en) | Half-PC Column using lightweight Encased Inner For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495039B1 (en) | A constructing method of structure using sandwich PC-wall | |
KR101027393B1 (en) | Two-way and one-way masonry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 |
KR101358878B1 (en) | Reinforcement member and girder using the same | |
KR101458435B1 (en) | Half precast concrete column manufacturing method using saddle-type ties and dual hoops and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232329B1 (en) | Integral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arched and concrete-filled tube | |
KR101243777B1 (en) | Rahmen bridge using composite structure of corrugated steel web and concrete member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CN205531016U (en) | Precast concrete post component and connected node | |
KR101072958B1 (en) | Basic structure using micropile and truss and construction method in the vicinity of surrounding structure | |
CN207812307U (en) | The construction system of Cable stayed Bridge Main Tower and steel anchor beam | |
KR101044730B1 (en) | Beams that contain reinforcing structures to reinforce the upper tensile and shear forces and provide space for passage of pipes, wires, or communication lines. | |
KR100767145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prestressed concrete temporary bridge that can be assembled and dismantled using lateral steel wire | |
JP2008144459A (en) | Slab form and method of constructing composite floor slab | |
KR101109244B1 (en) | Structural wall reinforced with plastic hinge part with fiber reinforced concrete | |
KR101698807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sc girder using the corrugated steel plate and the psc girder manufactured thereby | |
KR101080943B1 (en) | Ram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buttress | |
KR101688440B1 (en) | Reinforcement Member for Beam, Beam Equipped with the Reinforcement Member,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Beam | |
KR101426392B1 (en) | Reinforcement member and girder using the same | |
KR101215764B1 (en) | A burial slab structure of an outer wall of an underground construction | |
KR20120132084A (en) | Composite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JP2009144500A (en) | Shearing reinforcement structure for column-beam joint part of uppermost story | |
KR101621657B1 (en) | Rahmen system advanced efficiency by plastic hinge/additional prestressing strand and precast girder unit manufacturing thereof and method constructing Rahmen bridge thereof | |
CN113026994B (en) | Assembly type double-connecting-beam combined shear wall component, structure and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244798B1 (en) | Beam and manufactureing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308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4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8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6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8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310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310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8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8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6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1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1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