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9226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9226B1
KR101149226B1 KR1020097004212A KR20097004212A KR101149226B1 KR 101149226 B1 KR101149226 B1 KR 101149226B1 KR 1020097004212 A KR1020097004212 A KR 1020097004212A KR 20097004212 A KR20097004212 A KR 20097004212A KR 101149226 B1 KR101149226 B1 KR 101149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s
signaling
data transmission
fdm
ofdm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4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2942A (ko
Inventor
용빈 웨이
나가 부샨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42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2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9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9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204Multiple access
    • H04B7/212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5Transmission of mode-switching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8Formatting
    • H04L1/003Adaptive formatting arrangements particular to signalling, e.g. variable amount of b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78Avoidance of errors by organising the transmitted data in a format specifically designed to deal with errors, e.g. location
    • H04L1/0079Formats for control data
    • H04L1/0081Formats specially adapted to avoid errors in the feedback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18Space-time coding
    • H04L1/0637Properties of the code
    • H04L1/0643Properties of the code block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그널링을 송신하기 위한 기술들이 개시된다. 송신기는 블럭 코드, 컨볼루션 코드, 변환 등에 기반하여 데이터 전송에 대한 시그널링을 프로세싱할 수 있다. 시그널링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의도된 수신기의 식별자 및/또는 데이터 레이트, 리소스 할당 등과 같은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그널링은 시간 슬롯의 톤들의 제1 세트로 맵핑될 수 있다. 데이터 전송에 대한 데이터는 시간 슬롯의 톤들의 제2 세트로 맵핑될 수 있다. 전체 시그널링은 톤들의 제1 세트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톤들의 제1 세트는 톤들의 다수의 세트들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시그널링의 제1 부분에 기반하여 이용가능한 톤들 중에서 의사 랜덤하게 선택될 수 있다. 시그널링의 제2 부분은 톤들의 제1 세트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SIGNALING FOR DATA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명세서는 일반적으로 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그널링(signaling)을 송신하기 위한 기술들에 관한 것이다.
본 특허 출원은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2006년 7월 28일자로 출원된 "METHOD AND APPARATUS FOR PREAMBLE CONFIGU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라는 제목의 가출원 제60/834,118호의 우선권의 권리를 주장하며, 그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통합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음성, 비디오, 패킷 데이터, 메시징, 브로드캐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폭넓게 전개된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이용가능한 시스템 리소스들을 공유함으로써 다중 사용자들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액세스 시스템들일 수 있다. 그러한 다중-액세스 시스템들의 실시예들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OFDMA(Orthogonal FDMA) 시스템들, SC-FDMA(Single-Carrier FDMA) 시스템들을 포함 한다.
기지국은 임의의 주어진 순간에 순방향 링크를 통해 하나 이상의 단말들로 데이터를 전송 및/또는 역방향 링크를 통해 하나 이상의 단말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은 데이터 전송을 위해 어느 단말들이 스케줄링되는 지를 나타내고, 데이터 전송을 수신하기에 적합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시그널링을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시그널링이 오버헤드(overhead)를 나타내기 때문에, 가능한 한 효율적으로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로, 단말들이 신뢰성 있게 시그널링을 수신할 수 있도록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에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그널링을 효율적으로 신뢰성 있게 송신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
본 명세서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해 시그널링을 송신하기 위한 기술들이 개시된다. 일측면에서, 송신기(예를 들어, 기지국)는 블럭 코드, 컨볼루션(convolutional) 코드, 변환 등에 기반하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그널링을 프로세싱할 수 있다. 시그널링은 데이터 전송의 의도된 수신기(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의 식별자, 및/또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 레이트, 리소스 할당 등과 같은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그널링은 시간 슬롯의 톤들의 제1 세트로 맵핑될 수 있다.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는 시간 슬롯의 톤들이 제2 세트로 맵핑될 수 있다. 톤들의 제1 및 제2 세트는 사용가능한 톤들의 서브세트 또는 전부일 수 있는 전송을 위해 할당된 톤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전체 시그널링은 톤들의 제1 세트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톤들의 제1 세트는 시그널링의 제1 부분에 기반하여 할당된 톤들 중에서 의사 랜덤하게(pseudo-randomly) 선택되거나 다수의 톤들의 세트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시그널링의 제2 부분은 그 후 톤들의 제1 세트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시그널링을 위한 전송 전력 및/또는 제1 세트의 톤들의 개수는 채널 조건들에 기반하여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수신기(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는 시간 슬롯의 톤들의 제1 세트에 대하여 수신된 심볼들을 획득할 수 있으며, 검출된 시그널링을 획득하기 위하여 수신된 심볼들을 프로세싱할 수 있다. 수신기는 검출된 시그널링에 기반하여 데이터 전송에 대하여 시간 슬롯의 톤들의 제2 세트를 프로세싱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검출된 시그널링이 데이터 전송이 수신되었음을 나타낸다면, 그 후, 수신기는 전송된 데이터를 복구시키기 위하여 (예를 들어, 검출된 시그널링으로부터의 데이터 레이트에 기반하여) 톤들의 제2 세트에 대하여 수신된 심볼들을 추가로 처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측면들 및 피쳐들이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보여준다.
도 2는 예시적인 슬롯 구조를 보여준다.
도 3은 시그널링을 송신하기 위한 톤 구조를 보여준다.
도 4a 내지 도 4d는 시그널링을 송신하기 위한 4개의 부가적인 톤 구조들을 보여준다.
도 5는 액세스 포인트 및 액세스 단말의 블럭도를 보여준다.
도 6은 OFDM 변조기 및 전송 프로세서의 블럭도를 보여준다.
도 7은 다수의 부분들에서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시그널링 프로세서를 보여준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전송 프로세서의 블럭도를 보여준다.
도 9는 선택된 톤들의 세트를 통해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시그널링 프로세서를 보여준다.
도 10은 톤들에 걸쳐 시그널링 심볼들을 확산시키는 시그널링 프로세서를 보여준다.
도 11은 의사 랜덤하게 선택된 톤들을 통해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시그널링 프로세서를 보여준다.
도 12는 수신 프로세서 및 OFDM 복조기의 블럭도를 보여준다.
도 13은 데이터 및 시그널링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보여준다.
도 14는 시그널링을 송신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보여준다.
도 15는 데이터 및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보여준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전송 기술들은 CDMA, TDMA, FDMA, OFDMA, 및 SC-FDMA 시스템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다. "시스템" 및 "네트워크"라는 용어들은 종종 상호 교환가능하게 사용된다. CDMA 시스템은 cdma2000,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cdma2000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커버한다. UTRA는 광대역 CDMA(W-CDMA) 및 LCR(Low Chip Rate)를 포함한다. TDMA 시스템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와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OFDMA 시스템은 E-UTRA(Evolved-UTRA), UMB(Ultra Mobile Broadband), IEEE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Flash-OFDM?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무선 기술들 및 표준들이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다. UTRA, E-UTRA, 및 GSM이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로 명명된 조직으로부터의 문서들에 개시된다. cdma2000은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3GPP2)로 명명된 조직으로부터의 문서들에 개시된다.
명료성을 위하여, 전송 기술들의 특정 측면들이 IS-856을 구현하는 HRPD(High Rate Packet Data) 시스템에 대하여 하기에 개시된다. HRPD는 또한 EV-DO(Evolution-Data Optimized), DO(Data Optimized), HDR(High Data Rate) 등으로서 참조된다. 명료성을 위하여, HRPD라는 용어가 하기의 설명 대부분에서 사용된다.
도 1은 다중 액세스 포인트들(110) 및 다중 액세스 단말들(120)을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보여준다. 액세스 포인트는 일반적으로 액세스 단말들과 통신하는 고정된 스테이션이며, 기지국, 노드 B 등으로 참조될 수 있다.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110)는 특정 지리학적 영역(102)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하며,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되는 액세스 단말들에 대한 통신을 지원한다. 액세스 포인트들(110)은 이러한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한 제어 및 조정(coordination)을 제공하는 시스템 제어기(130)에 연결될 수 있다. 시스템 제어기(130)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 PCF(Packet Control Functin), PDSN(Packet Data Serving Node) 등과 같은 하나 이사의 네트워크 개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들(120)은 시스템들 통해 분산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은 또한 단말, 모바일 스테이션, 사용자 장비, 가입자 유닛, 스테이션 등으로서 참조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은 휴대 전화, 개인용 단말기(PDA), 무선 디바이스, 핸드헬드 디바이스, 무선 모뎀, 랩탑 컴퓨터 등일 수 있다. HRPD에서, 액세스 단말은 임의의 주어진 순간에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순방향 링크를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신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들로 역방향 링크를 통해 데이터 전송을 송신할 수 있다. 순방향 링크(또는 다운링크)는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액세스 단말들로의 통신 링크로 참조되고, 역방향 링크(또는 업링크)는 액세스 단말들로부터 액세스 포인트들로의 통신 링크로 참조된다.
도 2는 순방향 링크를 통한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슬롯 구조(200)를 보여준다. 전송 타임라인은 슬롯들로 분할될 수 있다. 각각의 슬롯은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설계에 있어서, 각각의 슬롯은 1.667ms의 기간을 갖고, 2048 칩들로 확장하며, 각각의 칩은 1.2288 megachips/second(Mcps)의 칩 레이트에 대한 813.8ns의 기간을 갖는다. 각각의 슬롯은 두 개의 동일한 하프-슬롯(half-slot)들로 분할될 수 있다. 각각의 하프-슬롯은 (ⅰ) 하프-슬롯의 중앙에 파일럿(pilot) 세그먼트로 구성되는 오버헤드 세그먼트, 및 (ⅱ) 오버헤드 세그먼트의 양쪽 측면들상에 두 개의 트래픽 세그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래픽 세그먼트들은 또한 트래픽 채널, 데이터 세그먼트들, 데이터 필드들 등으로서 참조될 수 있다. 파일럿 세그먼트는 96개의 칩들의 기간을 가질 수 있으며, 최초 획득, 주파수, 및 위상 복구, 타이밍 복구, 채널 추정, 무선 결합 등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는 파일럿을 전달할 수 있다. 각각의 MAC 세그먼트는 64개의 칩들의 기간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역방향 전력 제어(RPC) 정보, 채널 구조, 주파수, 전송 전력, 코딩 및 변조 등과 같은 시그널링을 전달할 수 있다. 각각의 트래픽 세그먼트는 400개의 칩들의 기간을 가질 수 있으며, 트래픽 데이터(예를 들어, 특정 액세스 단말들에 대한 유니캐스트 데이터, 브로드캐스트 데이터 등) 및/또는 시그널링을 전달할 수 있다.
트래픽 세그먼트들에 대하여 SC-FDM(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및/또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OFDM 및 SC-FDM은 주파수 빈(frequency bin)들 등으로서 참조될 수 있는 다중 직교 서브캐리어(multiple orthogonal subcarrier)들로 시스템 밴드폭을 분할한다. 각각의 서브캐리어는 데이터로 변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변조 심볼들은 SC-FDM으로 시간 도메인에서, 그리고 OFDM으로 주파수 도메인에서 송신된다. OFDM 및 SC-FDM은 주파수 선택 페이딩(frequency selective fading)에 의하여 야기되는 심볼간 간섭(ISI: intersymbol interference)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과 같은 특정 바람직한 특성들을 갖는다. OFDM은 또한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및 SDMA(Spatial Division Multiple Access)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으며, 이는 각각의 서브캐리어상에서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명료성을 위하여, 트래픽 세그먼트들에서 데이터 및 시그널링을 송신하기 위한 OFDM의 사용이 하기에서 개시된다.
또한, 초기 HRPD 개정들과의 하위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유지시키는 동안 OFDM을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HRPD에서, 트래픽 세그먼트들이 단지 서빙되고(serve) 있는 단말들에 의하여 복조될 수 있는 반면, 파일럿 및 MAC 세그먼트들은 항상 모든 액티브 단말들에 의하여 복조될 수 있다. 따라서, 하위 호환성은 파일럿 및 MAC 세그먼트들을 유지시키고, 트래픽 세그먼트들을 변조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도 2는 HRPD 슬롯 구조를 사용하는 OFDM을 지원하는 설계를 보여준다. 이러한 설계에서, R개의 OFDM 심볼들은 슬롯에서 송신될 수 있거나, 또는 R/4개의 OFDM 심볼들이 트래픽 세그먼트당 송신될 수 있고, 여기서 R은 임의의 적절한 정수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OFDM 심볼들은 다양한 OFDM 심볼 수비학(numerology)들에 기반하여 발생될 수 있다. 각각의 OFDM 심볼 수비학은 OFDM 심볼 기간, 서브캐리어들의 개수, 순환형 프리픽스(cyclic prefix) 길이 등과 같은 적절한 파라미터들에 대한 특정한 값들과 연관된다. 표 1은 3개이 OFDM 심볼 수비학들을 리스트화하고, 하나의 설계에 따라 각각의 수비학에 대하여 파라미터 값들을 준다.
표 1
수비학
파라미터 1 2 3 단위
서브캐리어들의 개수 N 190 90 360
순환형 프리픽스 길이 C 20 10 40 칩들
OFDM 심볼 기간 200 100 400 칩들
OFDM 심볼들의 개수 R 8 16 4 슬롯당
톤들의 개수 T 1440 1440 1440 슬롯당
표 1에 도시된 설계에서, 각각의 슬롯은 전체 T=1440 톤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톤은 하나의 심볼 주기에서 하나의 서브캐리어에 대응할 수 있으며, 하나의 변조 심볼을 송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톤은 또한 리소스 엘리먼트, 전송 유닛 등로서 참조될 수 있다. 몇몇 T 톤들은 파일럿에 대하여 예약될 수 있으며, 나머지 톤들은 데이터 및/또는 시그널링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각각의 슬롯에서 하나 이상의 액세스 단말들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각각의 슬롯에서 시그널링을 송신할 수 있다. 시그널링은 또한 프리앰블, 스케줄링 정보, 제어 정보, 오버헤드 정보 등으로 참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시그널링은 순방향 및/또는 역방향 링크들을 통한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기 위하여 임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시그널링은 임의의 개수의 액세스 단말들에 대한 것일 수 있으며, 임의의 타입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설계에서, 시그널링은 액세스 단말(들)이 주어진 슬롯에서 순방향 링크를 통한 데이터 전송을 위해 스케줄링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시그널링은 또한 순방향 링크를 통해 송신된 데이터 전송을 수신하기 위하여 스케줄링된 단말(들)에 적절한 파라미터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그널링은 스케줄링된 액세스 단말에 대하여 사용되는 데이터 레이트와 연관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스 단말은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순방향 링크 채널 품질을 추정할 수 있으며, 추정된 채널 품질 및/또는 다른 요소들에 기반하여 액세스 단말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 레이트를 결정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은 액세스 포인트로 데이터 레이트 제어(DRC) 채널을 통해 이러한 데이터 레이트를 송신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액세스 단말에 의하여 송신된 데이터 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다른 데이터 레이트를 선택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액세스 포인트에 의하여 선택되는 데이터 레이트와 액세스 단말에 의하여 제공되는 데이터 레이트 사이의 차(존재한다면)를 나타낼 수 있는 레이트 조정(rate adjustment)을 송신할 수 있다. 레이트 조정은 액세스 포인트가 액세스 단말로부터 DRC 피드백을 겹쳐쓰도록(overwrite) 허용할 수 있다. 레이트 조정은 또한 액세스 포인트에 의하여 사용되는 실제 데이터 레이트를 액세스 단말에 제공할 수 있어, 액세스 단말은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상이한 가능한 데이터 레이트들에 대해 디코딩하지 않을 수 있다.
하나의 설계에서, 스케줄링된 액세스 단말에 대한 시그널링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스케줄링된 액세스 단말의 8-비트 MAC_ID, 및
·스케줄링된 액세스 단말에 대한 2-비트 레이트 조정.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는 액세스 단말들은 고유 MAC_ID들을 할당받을 수 있다. 각각의 액세스 단말은 그 후 그것의 MAC_ID에 의하여 식별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들은 또한 다른 타입의 식별자들에 기반하여 식별될 수 있다.
다른 설계에서, 스케줄링된 액세스 단말에 대한 시그널링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스케줄링된 액세스 단말의 8-비트 MAC_ID
·스케줄링된 액세스 단말에 대한 2-비트 레이트 조정
·2-비트 할당 크기 지시자, 및
·1-비트 스틱키(sticky) 할당 지시자.
스케줄링된 액세스 단말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가변 리소스량을 할당받을 수 있다. 할당 크기 지시자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액세스 단말에 할당된 양의 리소스들을 전송할 수 있다. 하나의 설계에서, 리소스들은 타일 단위로 부여될 수 있으며, 각각의 타일은 미리 결정된 개수의 톤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슬롯은 6개 타일들로 분할될 수 있으며, 각각의 타일은 240 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은 1, 2, 4 또는 6개 타일들을 할당받을 수 있으며, 이는 2-비트 할당 크기 지시자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에 할당된 특정 타일(들)은 시그널링의 위치에 기반하여 결정되고/결정되거나 다른 수단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스틱키 할당 지시자는 현재 리소스 할당이 진행중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1로, 또는 현재 슬롯 이후에 현재 리소스 할당이 종결됨을 나타내기 위하여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스틱키 할당 지시자의 사용은 동일한 계속되는 리소스 할당을 위하여 각각의 슬롯에서 동일한 시그널링을 송신할 필요성을 방지할 수 있다.
스케줄링된 액세스 단말에 대한 시그널링은 다양한 방식으로 송신될 수 있다. 하나의 설계에서, 시그널링은 트래픽 세그먼트들 동안에 OFDM 심볼들에서 송신될 수 있다. 시그널링은 주파수 다이버시티(diversity)를 달성하기 위하여 시스 템 밴드폭에 걸쳐 및/또는 시간 다이버시티를 달성하기 위하여 다중 심볼 주기들에 걸쳐 분배된 톤들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200-칩 수비학(2)에 기반하여 시그널링을 송신하기 위한 톤 구조(300)의 설계를 보여준다. 이러한 설계에서, 액세스 단말을 위한 시그널링은 하나의 하프-슬롯에 걸쳐, 그리고 전체 시스템 밴드폭에 걸쳐 분포될 수 있는 K개의 톤들의 세트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세트는 임의의 개수의 톤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K는 임의의 값일 수 있다. 톤들의 개수(K)는 시그널링 오버헤드와 시그널링 신뢰도 사이의 트레이드오프(tradeoff)에 기반하여 선택될 수 있다. 하나의 설계에서, 세트는 K=32개의 톤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표 1의 200-칩 수비학에 대하여 심볼 주기당 8개 톤들(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는 100-칩 수히가(2)에 대하여 심볼 주기당 4개 톤들, 또는 400-칩 수비학(3)에 대하여 심볼 주기당 16 톤들로 배열될 수 있다. 톤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이한 OFDM 심볼 주기들에서 상이한 서브캐리어들을 점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슬롯에서 시그널링을 초기에(ealier) 송신하는 것은 액세스 단말이 시그널링을 더 일찍 수신하고, 초기에 데이터 전송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준비를 준비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시그널링은 제1 OFDM 심볼, 제1 트래픽 세그먼트, 제1 하프-슬롯 등에서 송신될 수 있다.
도 4a는 4×4 타일들을 사용하는 시그널링 톤 구조의 설계를 보여준다. 각각의 4×4 타일은 2개의 트래픽 세그먼트들의 동일한 4개 서브캐리어들을 점유하는 4×2 타일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설계에서, 액세스 단말에 대한 시그널링은 두 개의 하프-슬롯들에 위치되는 2개의 4×4 타일들의 32 톤들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도 4b는 8×2 타일들을 사용하는 시그널링 톤 구조의 설계를 보여준다. 이러한 설계에서, 액세스 단말에 대한 시그널링은 두 개의 하프-슬롯들에 위치되는 두 개의 8×2 타일들의 32 톤들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각각의 타일은 8개 서브캐리어들을 커버할 수 있으며, 하나의 하프-슬롯의 제1 두개 심볼 주기들에 걸쳐질(span) 수 있다.
도 4c는 16×1 타일들을 사용하는 시그널링 톤 구조의 설계를 보여준다. 이러한 설계에서, 액세스 단말에 대한 시그널링은 두 개의 하프-슬롯들에 위치되는 두 개의 16×1 타일들의 32 톤들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각각의 타일은 16개 서브캐리어들을 커버할 수 있으며, 하나의 하프-슬롯의 제1 심볼 주기에 걸쳐질 수 있다.
도 4d는 1×1 타일들을 사용하는 시그널링 톤 구조의 설계를 보여준다. 이러한 설계에서, 액세스 단말에 대한 시그널링은 두 개의 하프-슬롯들에 위치되는 32개의 1×1 타일들의 32 톤들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각각의 타일은 하나의 서브캐리어를 커버할 수 있으며, 하나의 심볼 주기에 걸쳐질 수 있다.
도 3 내지 4d는 K=32 톤들을 통해 시그널링을 송신하기 위한 몇몇 예시적인 톤 구조들을 보여준다. 주파수 및 시간에 걸쳐 K 톤들의 상이한 분포로, 및/또는 상이한 개수의 톤들(예를 들어, K=16, 64, 128 등)을 통해 시그널링을 송신하기 위한 다른 톤 구조들이 또한 정의될 수 있다. 주파수 및 시간에서 K 톤들을 더 가깝 게 함께 위치시키는 것은 디코딩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시그널링을 위해 송신된 가능한 코드워드들 중에서 직교성을 개선할 수 있다. 주파수 및 시간에 걸쳐 K개 톤들을 분배하는 것은 다이버시티를 개선할 수 있다. 시그널링은 사용을 위해 선택된 임의의 톤 구조에 기반하여 송신될 수 있다.
하나의 설계에서, 스케줄링된 액세스 단말에 대한 시그널링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액세스 단말에 할당된 모든 톤들 중에서 톤들의 지정된 세트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이러한 톤들의 지정된 세트는 주어진 슬롯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으나, 슬롯으로부터 슬롯으로 변화할 수 있다.
다른 설계에서, 스케줄링된 액세스 단말에 대한 시그널링은 톤들의 다중(S) 세트들 중 하나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S개 세트들은 시그널링을 송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모든 톤들,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을 위해 액세스 단말에 할당된 모든 톤들에 기반하여 한정될 수 있다. S개 세트들은 각각의 톤이 고작해야 하나의 세트에 들어가도록 해체될 수 있다. 세트들의 개수(S)는 각각의 세트의 톤들의 개수(K) 및 이용가능한 톤들의 개수에 좌우될 수 있다. 하나의 설계에서, S=16인 톤들의 세트들이 표 1에 보여지는 수비학에 기반하여 좌측 하프-슬롯에 대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세트는 K=32 톤들을 포함한다. S개 세트들 중 하나는 시그널링의 제1 부분에 기반한 사용을 위해 선택될 수 있으며, 선택된 톤들의 세트는 시그널링의 나머지 부분을 송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시그널링은 선택된 톤들의 세트상의 데이터를 못 쓰게(puncture)할(또는 교체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액세스 단말들 및 액세스 포인트들 중 하나인 액세스 단 말(120x) 및 액세스 포인트(110x)의 설계의 블럭도를 보여준다. 간략화를 위하여, 순방향 링크상의 전송을 위한 프로세싱 유닛들만이 도 5에 보여진다. 간략화를 위하여, 단지 액세스 단말(120x) 및 액세스 포인트(110x)만이 하나의 안테나와 함께 각각 보여진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개체는 임의의 개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110x)에서, 전송 프로세서(510)는 스케줄렝된 액세스 단말(들)에 대한 시그널링 및 하나 이상의 스케줄링된 액세스 단말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전송 프로세서(510)는 트래픽 데이터, 파일럿, 및 시그널링을 프로세싱(예를 들어, 인코딩, 인터리빙(interleave), 및 심볼 맵핑)할 수 있으며, 각각 데이터 심볼들, 파일럿 심볼들, 및 시그널링 심볼들을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심볼은 트래픽 데이터에 대한 심볼이고, 파일럿 심볼은 파일럿에 대한 심볼이고, 시그널링 심볼은 시그널링에 대한 심볼이며, 심볼은 통상적으로 복합 값이다. OFDM 변조기(Mod)(520)는 데이터, 파일럿, 및 시그널링 심볼들을 전송 프로세서(51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심볼들상에 OFDM 변조를 수행하고, OFDM에 대한 출력 샘플들을 제공한다. 전송 프로세서(512)는 트래픽 데이터, 파일럿, 및/또는 CDM으로 송신될 오버헤드 정보를 수신하여 프로세싱할 수 있다. CDM 변조기(522)는 전송 프로세서(512)의 출력상에 CDM 변조를 수행할 수 있으며, CDM에 대한 출력 샘플들을 제공한다. 멀티플렉서(Mux)(524)는 변조기들(520 및 522)로부터의 출력 샘플들을 멀티플렉싱할 수 있고, OFDM 심볼들이 송신되는 시간 주기들(또는 OFDM 시간 주기들) 동안에 OFDM으로부터 출력 샘플들을 제공할 수 있으며, CDM 데이터가 송신되는 시간 주기들(또는 CDM 시간 주기들) 동안에 CDM 변조기(522)로부터 출력 샘플들을 제공할 수 있다. 송신기(TMTR)(526)는 멀티플렉서(524)로부터의 출력 샘플들을 프로세싱(예를 들어, 아날로그로 변환, 증폭, 필터링, 및 주파수 업컨버팅(upconvert))할 수 있고, 순방향 링크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는 안테나(528)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120x)에서, 안테나(552)는 액세스 포인트(110x)로부터 순방향 링크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기(RCVR)(554)로 수신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수신기(554)는 수신된 신호를 프로세싱(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주파수 다운컨버팅(downconvert), 및 디지털화)할 수 있으며, 수신된 샘플들을 제공할 수 있다. 디멀티플렉서(Demux)(556)는 OFDM 복조기(Demod)(560)로 OFDM 시간 주기들에 수신된 샘플들을 제공할 수 있으며, CDM 복조기(562)로 CDM 시간 주기들에 수신된 샘플들ㅇ르 제공할 수 있다. OFDM 복조기(560)는 수신된 샘플들상에 OFDM 복조를 수행할 수 있고, 수신된 데이터 심볼들 및 수신된 시그널링 심볼들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액세스 단말(120x)로 액세스 포인트(110x)에 의하여 송신된 데이터 심볼들 및 시그널링 심볼들의 추정치들이다. 수신 프로세서(570)는 액세스 단말(120x)에 대한 검출된 시그널링을 획득하기 위하여 수신된 시그널링 심볼들을 프로세싱할 수 있다. 수신 프로세서(570)는 또한 액세스 단말(120x)에 대한 디코딩된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하여 수신된 데이터 심볼들을 프로세싱할 수 있다. CDM 복조기(562)는 수신된 샘플들상에 CDM 복조를 수행할 수 있다. 수신 프로세서(572)는 액세스 단말(120x)로 액세스 포인트(110x)에 의하여 송신된 정보를 복구하기 위하 여 CDM 복조기(562)의 출력을 프로세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액세스 단말(120x)에 의한 프로세싱은 액세스 포인트(110x)에 의한 프로세싱과 상보적이다.
제어기들/프로세서들(530 및 580)은 각각 액세스 포인트(110x) 및 액세스 단말(120x)에서 동작을 지시할 수 있다. 메모리들(532 및 582)은 각각 액세스 포인트(110x) 및 액세스 단말(120x)에 대한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액세스 포인트(110x)에서 OFDM변조기(520) 및 전송 프로세서(510)의 설계의 블럭도를 보여준다. 전송 프로세서(510) 내에서, 시그널링 프로세서(610)는 하나 이상의 스케줄링된 액세스 단말들에 대한 시그널링을 프로세싱할 수 있으며, 시그널링 심볼들을 제공할 수 있다. 트래픽 프로세서(620)는 스케줄링된 액세스 단말(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프로세싱할 수 있으며, 데이터 심볼들을 제공할 수 있다. 파일럿 프로세서(630)는 파일럿을 프로세싱하여, 파일럿 심볼들을 제공할 수 있다. 톤 맵퍼(640)는 시그널링, 데이터, 및 파일럿 심볼들을 수신할 수 있고, 이러한 심볼들을 적절한 톤들로 맵핑할 수 있다. 각각의 심볼 주기 내에서, 톤 맵퍼(640)는 OFDM 변조기(520)로 N개 서브캐리어들에 대한 N개 심볼들을 제공할 수 있다.
OFDM 변조기(520) 내에서, 역 이산 퓨리에 변형(IDFT) 유닛(650)은 N개 서브캐리어들에 대한 N개 심볼들상에 N-포인트 IDFT를 수행할 수 있으며, N개 시간-도메인 샘플들을 포함하는 유용한 부분을 제공할 수 있다. 순황형 프리픽스(cyclic prefix) 발생기(652)는 유용한 부분의 마지막 C 샘플들을 카피하고, 유용한 부분의 전면으로 이러한 C 샘플들을 부가함으로써, 순환형 프리픽스를 부가할 수 있다. 윈도윙/펄스(windowing/pulse) 성형(shapig) 필터(654)는 발생기(652)로부터 샘플들을 필터링하고, N+C 샘플들로 구성되는 OFDM 심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여기서 N 및 C는 사용을 위해 선택된 수비학에 좌우된다.
명확성을 위하여, 하나의 스케줄링된 액세스 단말(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120x)에 대한 시그널링의 프로세싱이 하기에 개시된다. 시그널링은 P개 비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P는 임의의 정수일 수 있다. 하나의 설계에서, 시그널링은 P=10 비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8-비트 MAC_ID 및 2-비트 레이트 조정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설계에서, 시그널링은 P=13 비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8-비트 MAC_ID, 2-비트 레이트 조정, 2-비트 할당 크기 지시자, 및 1-비트 스틱키 할당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전송 프로세서(510)의 하나의 설계인, 전송 프로세서(510a)의 블럭도를 보여준다. 이러한 설계에서, 액세스 단말(120x)에 대한 시그널링은 두개 부분들로 분할될 수 있으며, 톤들의 두 개 서브세트들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하나의 서브세트는 K1 톤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서브세트는 K2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K = K1 + K2이다. 도 6의 시그널링 프로세서(610)의 하나의 설계인 시그널링 프로세서(610a) 내에서, 블럭 인코더(710a)는 (K1, m) 블럭 코드로 시그널링의 M개 최상위 비트들(MSB들)을 인코딩할 수 있으며, K1 코드 비트들을 제공할 수 있다. 심볼 맵퍼(712a)는 예를 들어, BPSK에 기반하여 K1 코드 비트들을 K1 변조 심볼들로 맵핑할 수 있다. 이득 유닛(714a)은 시그널링에 대한 바람직한 전송 전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K1 변조 심볼들을 스케일링할 수 있으며, K1 시그널링 심볼들을 제공할 수 있다. 블럭 인코더(710b)는 (K2, L) 블럭 코드로 시그널링의 L개 최하위 비트들(LSB들)을 인코딩할 수 있으며, K2 변조 심볼들을 제공할 수 있다. 심볼 맵퍼(712b)는 K2 코드 비트들을 K2 변조 심볼들로 맵핑할 수 있다. 이득 유닛(714b)은 시그널링을 위한 원하는 전송 전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K2 변조 심볼들을 스케일링할 수 있으며, K2 시그널링 심볼들을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설계에서, M = L = 5, K1 = K2 = 16이고, 각각의 블럭 인코더(710)는 (16,5) 블럭 코드를 구현할 수 있다. 다른 값들이 또한 M, L, K1 및 K2 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설계에서, 직교 코드가 시그널링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2B-비트 코드워드로 B-비트 시그널링 값을 맵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왈시(Walsh) 코드는 0000, 0101, 0011 및 0110의 코드워드들로 4개의 가능한 2-비트 시그널링 값들을 맵핑할 수 있다. 다른 설계에서, 이원 직교 코드는 시그널링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2B-1-비트 코드워드로 B-비트 시그널링 값을 맵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원 직교 코드는 00, 11, 01 및 10의 코드워드들로 4개의 가능한 2-비트 시그널링 값들을 맵핑할 수 있다. B-비트 이원 직교 코드는 상보적 코드워드들 뿐 아니라 (B-1)-비트 직교 코드의 모든 코드워드들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코드들이 또한 하기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시그널링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다수의 부분들로의 시그널링의 분할은 직교 코드 또는 이원 직교 코드로 인코딩될 때, 시그널링을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톤들의 개수의 감소를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교 코드는 1024-비트 코드워드로 10-비트 시그널링 값을 맵핑할 수 있다. 이러한 10-비트 시그널링은 두 개의 5-비트 부분들로 분할될 수 있고, 각각의 5-비트 부분이 32-비트 코드워드로 맵핑될 수 있으며, 전체 64 비트들이 10-비트 시그널링 값에 대하여 발생될 수 있다. 다수의 부분들로의 시그널링의 분할은 송신하기 위한 시그널링 비트들의 개수, 시그널링을 위해 사용하기 위한 톤들의 개수, 원하는 코딩 이득, 검출 성능 등과 같은 다양한 고려 사항들에 기반할 수 있다.
트래픽 프로세서(620) 내에서, 인코더(720)는 액세스 단말에 대하여 선택된 데이터 레이트에 기반하여 스케줄링된 액세스 단말(120x)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인코딩할 수 있으며, 코드 비트들을 제공할 수 있다. 심볼 맵퍼(722)는 선택된 데이터 레이트에 의하여 결정된 변조 설계에 기반하여 변조 심볼들로 코드 비트들을 맵핑할 수 있다. 이득 유닛(724)은 트래픽 데이터에 대한 원하는 전송 전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변조 심볼들을 스케일링할 수 있으며, 데이터 심볼들을 제공할 수 있다. 파일럿 프로세서(630) 내에서, 파일럿 생성기(730)는 파일럿에 대한 심볼들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득 유닛(734)은 파일럿에 대한 원하는 전송 전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생성기(730)로부터 심볼들을 스케일링할 수 있고, 파일럿 심볼들을 제 공할 수 있다. 톤 맵퍼(640a)는 프로세서(610a)로부터 시그널링을 위해 사용되는 32개 톤들로 32개 시그널링 심볼들을 맵핑할 수 있고, 프로세서(620)로부터 트래픽 데이터를 위해 사용되는 톤들로 데이터 심볼들을 맵핑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630)로부터 파일럿을 위해 사용되는 톤들로 파일럿 심볼들을 맵핑할 수 있다.
시그널링은 또한 둘 이상의 부분들로 분할되고, 개별적으로 인코딩되며, 톤들의 두 개의 서브세트들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하나의 설계에서, 액세스 단말(120x)에 대한 13-비트 시그널링은 3개 부분들로 분할될 수 있다 - (8, 4) 블럭 코드로 인코딩될 수 있고 8개 톤들로 맵핑될 수 있는 제1 4-비트 부분, (8, 4) 블럭 코드로 또한 인코딩될 수 있고 다른 8개 톤들로 맵핑될 수 있는 제2 4-비트 부분 및 (16, 5) 블럭 코드로 인코딩될 수 있고 다른 16개 톤들로 맵핑될 수 있는 제3 5-비트 부분. 다른 설계에서, 13-비트 시그널링은 4개 부분들로 분할될 수 있다 - (4, 3) 블럭 코드로 인코딩될 수 있고 4개 톤들로 맵핑될 수 있는 제1 3-비트 부분, (4, 3) 블럭 코드로 인코딩될 수 있고 다른 4개 톤들로 맵핑될 수 있는 제2 3-비트 부분, (4, 3) 블럭 코드로 인코딩될 수 있고 다른 4개 톤들로 맵핑될 수 있는 제3 3-비트 부분 및 (8, 4) 블럭 코드로 인코딩될 수 있고 다른 8개 톤들로 맵핑될 수 있는 제4 3-비트 부분. 시그널링은 또한 단일 블럭으로 인코딩될 수 있으며, 톤들의 한 세트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도 8은 도 6의 전송 프로세서(510)의 다른 설계인, 전송 프로세서(510b)의 블럭도를 보여준다. 이러한 설계에서, 액세스 단말(120x)에 대한 시그널링은 톤들의 가능한 S개 세트들 중 하나를 통해 송신될 수 있으며, 각각의 세트는 K개 톤들 을 포함하고, 여기서 S 및 K는 임의의 정수 값들일 수 있다. 도 6의 시그널링 프로세서(610)의 다른 설계인, 시그널링 프로세서(610b) 내에서, 블럭 인코더(810)는 (K, L) 블럭 코드로 시그널링의 L개 최하위 비트들을 인코딩하여, K개 코드 비트들을 제공할 수 있다. 심볼 맵퍼(812)는 K개 코드 비트들을 K개 변조 심볼들로 맵핑할 수 있다. 이득 유닛(814)은 K개 변조 심볼들을 스케일링하여, K개 시그널링 심볼들을 제공할 수 있다. 선택기(816)는 시그널링의 M개 최상위 비트들을 수신할 수 있으며, M개 최상위 비트들에 기반하여 톤들의 가능한 S개 세트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여기서 S ≥2M이다. 톤 맵퍼(640b)는 K개 시그널링 심볼들을 프로세서(610b)로부터 선택된 세트의 K개 톤들로 맵핑할 수 있으며, 데이터 및 파일럿 심볼들을 트래픽 데이터 및 파일럿에 대하여 사용되는 톤들로 각각 맵핑할 수 있다.
표 2는 도 8의 시그널링 프로세서(610b)의 몇몇 예시적인 설계를 제공한다. 이러한 설계들은 시그널링이 P = 10 비트들을 포함하고, 전체 512개 톤들이 시그널링을 송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BPSK가 시그널링에 사용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다른 값들이 또한 다른 시그널링 크기, 다른 변조 설계들 등에 대한 S, K, M 및/또는 L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QPSK가 BPSK 대신에 사용될 수 있으며, 톤들의 개수는 절반만큼 감소될 수 있다.
표 2
세트 크기 톤 세트들의 개수(S) 톤들/세트의 개수(K) 최상위 비트들의 개수(M) 최하위 비트들의 개수(L) 블럭 코드(K, L)
256-톤 세트 2 256 1 9 (256, 9)
128-톤 세트 4 128 2 8 (128, 8)
64-톤 세트 8 64 3 7 (64, 7)
32-톤 세트 16 32 4 6 (32, 6)
16-톤 세트 32 16 5 5 (16, 5)
8-톤 세트 64 8 6 4 (8, 4)
4-톤 세트 128 4 7 3 (4, 3)
톤들의 다수의 세트들 중 하나를 통해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것은 특정 장점들을 제공할 수 있다. 몇몇 시그널링 비트들은 사용을 위해 선택된 톤들의 특정 세트를 통해 송신될 수 있으며, 나머지 시그널링 비트들은 톤들의 선택된 세트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각각의 세트의 톤들의 개수 및 세트들의 개수는 송신하기 위한 시그널링 비트들의 개수, 시그널링을 송신하는데 이용가능한 톤들의 개수, 원하는 코딩 이득, 검출 성능 등과 같은 다양한 고려 사항들에 기반하여 선택될 수 있다.
도 9는 도 6의 전송 프로세서(510)의 또 다른 설계인, 전송 프로세서(510c)의 블럭도를 보여준다. 이러한 설계에서, 액세스 단말(120x)에 대한 시그널링은 톤들의 가능한 S개 세트들 중 하나를 통해 송신될 수 있으며, 각각의 세트는 K개 톤들을 포함한다. 도 6의 시그널링 프로세서(610)의 또 다른 설계인, 시그널링 프로세서(610c) 내에서, 블럭 인코더(910)는 블럭 코드로 시그널링의 L개 최하위 비트들을 인코딩하여, 코드 비트들을 제공할 수 있다. 심볼 맵퍼(912)는 코드 비트들을 K개 변조 심볼들로 맵핑할 수 있다. 이산 퓨리에 변환(DFT) 유닛(914)은 K-포인트 DFT로 K개 변조 심볼들을 변형하여, K개 주파수-도메인 심볼들을 제공할 수 있다. 유닛(914)은 또한 톤들 중 다수 또는 전부에 걸쳐 각각의 변조 심볼을 확산 시킬 수 있는 몇몇 다른 유니터리 변환과(0이 아닌 입력들과) 교체될 수 있다. 이득 유닛(916)은 주파수-도메인 심볼을 스케일링하여 K개 시그널링 심볼들을 제공할 수 있다. 선택기(916)는 시그널링의 M개 최상위 비트들을 수신할 수 있으며, M개 최상위 비트들에 기반하여 톤들의 S개 세트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톤 맵퍼(640c)는 K개 시그널링 심볼들을 프로세서(610c)로부터 선택된 세트에 대한 K개 톤들로 맵핑할 수 있으며, 데이터 및 파일럿 심볼들을 트래픽 데이터 및 파일럿에 대하여 사용되는 톤들로 각각 맵핑할 수 있다.
유닛(914)에 의한 DFT 프로세싱은 시그널링의 L개 최하위 비트들에 대한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제공할 수 있다. 균등화(equalization)는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수신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8 및 9에 보여지는 설계들에서, MAC_ID는 시그널링의 최상위 비트 부분에서 송신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각각의 액세스 단말은 그것의 MAC_ID에 기반하여 톤들의 가능한 S개 세트 중 하나로 맵핑될 수 있다. 각각의 액세스 단말은 그 후, 오직 톤들의 할당된 세트를 통해 시그널링을 검출할 수 있다.
도 10은 도 6의 전송 프로세서(510)의 또 다른 설계인, 전송 프로세서(510d)의 블럭도를 보여준다. 이러한 설계에서, 액세스 단말(120x)에 대한 시그널링은 K개 톤들의 세트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도 6의 시그널링 프로세서(610)의 또 다른 설계인, 시그널링 프로세서(610d) 내에서, 순환형 덧붙임 검사(CRC: cyclic redundancy check) 생성기(1010)는 시그널링에 대한 CRC를 발생시킬 수 있다. CRC는 액세스 단말(120x)에 의한 에러 검출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컨볼루션 인코 더(1012)는 CRC 및 시그널링을 인코딩하여, 코드 비트들을 제공할 수 있다. 펑쳐(puncture) 유닛(1014)은 원하는 개수의 코드 비트들을 획득하기 위하여 코드 비트들 중 일부를 못쓰게 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심볼 맵퍼(1016)는 유닛(1014)으로부터의 K개 시그널링 심볼들을 K개 변조 심볼들로 맵핑할 수 있다. 이득 유닛(1018)은 변조 심볼들을 스케일링할 수 있으며, K개 시그널링 심볼들을 제공할 수 있다. 톤 맵퍼(640d)는 프로세서(610d)로부터의 K개 시그널링 심볼들을 선택된 세트에 대한 K개 톤들로 맵핑할 수 있으며, 데이터 및 파일럿 심볼들을 트래픽 데이터 및 파일럿에 대하여 사용되는 톤들로 각각 맵핑할 수 있다.
하나의 설계에서, CRC 생성기(1010)는 10-비트 시그널링에 대한 10-비트 CRC를 발생시킬 수 있다. 컨볼루션 인코더(1012)는 8개 테일(tail) 비트들을 부가하고, 그 후, 84개 코드 비트들을 획득하기 위하여 레이트 1/3 컨볼루션 코드로 28개 전체 비트들을 인코딩할 수 있다. 펑쳐 유닛(1014)은 84개 코드 비트들 중 20을 못쓰게 하여, 64 코드 비트들을 제공할 수 있다. 심볼 맵퍼(1016)는 64 코드 비트들을 32개 QPSK 변조 심볼들로 맵핑할 수 있으며, 이는 K = 32 톤들로 맵핑될 수 있다. 다른 값들이 또한 시그널링 프로세서(610d)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1은 도 6의 전송 프로세서(510)의 또 다른 설계인, 전송 프로세서(510e)의 블럭도를 보여준다. 이러한 설계에서, 액세스 단말(120x)에 대한 시그널링은 액세스 단말(120x)로 할당된 모든 톤들 중에서 의사 랜덤하게 선택될 수 있는 K개 톤들의 세트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도 6의 시그널링 프로세서(610)의 또 다른 설계인, 시그널링 프로세서(610e) 내에서, 블럭 인코더(1110)는 블럭 코드로 시그널링의 L개 최하위 비트들을 인코딩하여, 코드 비트들을 제공할 수 있다. 심볼 맵퍼(1112)는 K개 변조 심볼들로 코드 비트들을 맵핑할 수 있다. 이득 유닛(1114)은 K개 변조 심볼들을 스케일링하고, K개 시그널링 심볼들을 제공할 수 있다. 톤 선택기(116)는 시그널링의 M개 최상위 비트들 및 가능하다면 셀_ID, 슬롯 인덱스 등과 같은 다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선택기(1116)는 입력들에 기반하여 액세스 단말(120x)에 할당된 모든 톤들 중에서 K개 톤들을 의사 랜덤하게 선택할 수 있다. 톤 맵퍼(640e)는 K개 시그널링 심볼들을 프로세서(610e)로부터 K개의 의사 랜덤하게 선택된 톤들로 맵핑할 수 있으며, 데이터 및 파일럿 심볼들을 트래픽 데이터 및 파일럿에 대하여 사용되는 톤들로 각각 맵핑할 수 있다.
도 11에 보여지는 설계에서, 시그널링은 "플래시(flash)" 기술들을 사용하여 송신될 수 있으며, 이는 트래픽 전송 전력보다 높은 전송 전력으로 적은 개수의 톤들을 통해 정보를 송신한다(예를 들어, 6 dB 이상). 동일한 셀의 상이한 액세스 단말들에 대한 시그널링 사이의 데이터 신호 충돌(collisioin)은 액세스 단말에 할당된 톤들을 통해 각각의 액세스 단말에 대한 시그널링을 송신함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 상이한 셀들의 상이한 액세스 단말들에 대한 시그널링 사이의 데이터 신호 충돌은 의사 랜덤하게 톤들을 선택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하나의 설계에서, M개의 최상위 비트들은 8-비트 MAC ID를 포함할 수 있으며, L개의 최하위 비트들은 시그널링의 나머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시된 10-비트 시그널링 설계에 대하여, L개의 최하위 비트들은 2-비트 레이트 조정을 포함할 수 있고, K = 2 톤들은 의사 랜덤하게 선택되고, 시그널링을 송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개시된 13-비트 시그널링 설계에 대하여, L개의 최하위 비트들은 2-비트 레이트 조정, 2-비트 할당 크기 지시자, 및 1-비트 스틱키 할당 지시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K = 5 톤들이 의사 랜덤하게 선택되고, 시그널링을 송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톤들은 또한 톤들의 지정된 그룹, 슬롯의 모든 톤들,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도 7 내지 11은 도 6의 시그널링 프로세서(610)의 몇몇 예시적인 설계들을 보여준다. 시그널링 프로세서(610)는 또한 다른 설계들로도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개시된 몇몇 설계들에서, 전체 시그널링 또는 시그널링의 일부는 코드 비트들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블럭 인코더들로 인코딩될 수 있다. 하나의 설계에서, 시그널링은 하나 이상의 정적 블럭 인코더들로 인코딩될 수 있다. 정적 블럭 인코더는 미리 결정된 코드북(codebook)을 가지며, 각각의 가능한 시그널링 값을 하나의 특정 코드워드 또는 출력 값으로 맵핑한다. 정적 블럭 인코더는 직교 코드, 이원 직교 코드, 해밍(Hamming) 코드, 리드 뮐러(Reed-Muller) 코드, 리드-솔로몬(Reed-Solomon) 코드, 반복 코드 등과 가은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블럭 코드를 구현할 수 있다.
다른 설계에서, 시그널링은 하나 이상의 동적 블럭 인코더로 인코딩될 수 있다. 동적 블럭 인코더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시간-가변 코드북을 갖는다. 예를 들어, 코드북은 슬롯으로부터 슬롯으로 변화할 수 있으며, 주어진 시그널링 값은 상이한 슬롯들의 상이한 코드워드들로 맵핑될 수 있다. 동적 블럭 인코더는 의사 난수 코드북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는 의사 난수 숫자(PN: pseudo-random number) 시퀀스에 기반하여 유도될 수 있다. 각각의 액세스 단말은 각각의 슬롯의 시작시 업데이트될 수 있는 고유한 48-비트 PN 시퀀스를 할당받을 수 있다. 32 길이의 16개 코드워드들은 48-비트 PN 시퀀스에 기반하여 한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m번째 코드워드는 PN 시퀀스의 비트들(m 내지 m+31)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m = 0, 1, ..., 15이다. 의사 난수 코드북의 임의의 두개의 코드워드들 사이의 상관관계는 PN 시퀀스의 의사 난수 성질로 인하여 작을 수 있다. 상이한 코드북들은 상이한 액세스 단말들에 대하여 사용되고, 그들의 상이한 PN 시퀀스에 기반하여 발생될 수 있다. 추가로, 각각의 액세스 단말에 대한 코드북은 그러한 액세스 단말의 PN 시퀀스에 기반하여 시간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북들은 액세스 포인트 및 각각의 액세스 단말에 의하여 용이하게 발생될 수 있다. 의사 난수 코드북들의 사용은 특정 채널 조건들하에서 부정 알람(false alarm)을 감소시킬 수 있다. 부정 알람은 아무것도 송신되지 않았거나, 또는 시그널링이 상이한 액세스 단말에 대하여 의도된 것일 때의 코드워드의 선언(declaration)이다.
액세스 단말(120x)에 대한 시그널링은 액세스 단말(120x)에 의한 시그널링의 신뢰성 있는 수신을 보장하기 위하여 채널 조건들에 기반한 적응성(adpative) 방식으로 송신될 수 있다. 하나의 설계에서, 시그널링은 채널 조건들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는, 가변 개수의 톤들로 송신될 수 있다. 채널 조건들은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120x)로부터의 DRC 피드백에 기반하여 확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더 많은 톤들이 열악한 채널 조건들(예를 들어, 낮은 SNR)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고, 더 적은 톤들이 우수한 채널 조건들(예를 들어, 높은 SNR)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 다. 하나의 설계에서, 시그널링은 예를 들어, DRC 피드백과 같은 채널 조건들에 따라 8, 16, 32, 64, 128, 256 또는 512 톤들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시그널링은 고정된 시그널링-대-파일럿 전력비로 송신될 수 있다.
다른 설계에서, 액세스 단말(120x)에 대한 시그널링은 고정된 개수의 톤들로 송신될 수 있으나, 시그널링에 대한 전송 전력은 채널 조건들에 기반하여 변화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더 많은 전송 전력(또는 더 높은 시그널링 이득)이 열악한 채널 조건들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고, 더 적은 전송 전력(또는 더 낮은 시그널링 이득)이 우수한 채널 조건들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다. 시그널링 전송 전력은 DRC 피드백의 함수일 수 있다.
액세스 단말(120x)에 대한 시그널링은 액세스 포인트에서의 하나 또는 다중 안테나들로부터 송신될 수 있다. 하나의 설계에서, 시그널링은 다수의 전송 안테나들이 이용가능할 때조차 하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될 수 있다. 다른 설계에서, 시그널링은 전송 조정 벡터(transmit steering vector)로 프리코딩(precode)(또는 부분적으로 프로세싱)될 수 있으며, 다중 안테나로부터 송신될 수 있다. 이러한 설계에서, 시그널링은 전송 조정 벡터로 형성된 하나의 가상 안테나로부터 송신될 수 있다. 또 다른 설계에서, 시그널링은 공간-시간 블럭 코딩되고, 다중 안테나들로부터, 예를 들어, 공간-시간 전송 다이버시티(STTD)을 사용하는 두 개의 안테나들로부터 송신될 수 있다. 시그널링은 트래픽 및 파일럿과 유사한 방식으로 프로세싱될 수 있다.
도 12는 도 5의 액세스 단말(120x)에서의 프로세서(570) 및 OFDM 복조 기(560)의 설계의 블럭도를 보여준다. OFDM 복조기(560) 내에서, 순황형 프리픽스 제거 유닛(1210)은 각각의 OFDM 심볼 주기에서 N + C개의 수신된 샘플들을 획득하고, 순환형 프리픽스를 제거하고, 유용한 부분으로부터 N개의 수신된 샘플들을 제공할 수 있다. DFT 유닛(1212)은 N개의 수신된 샘플들상에 N-포인트 DFT를 수행하고, N개의 서브캐리어들에 대한 N개의 수신된 심볼들을 제공할 수 있다. 디멀티플렉서(1214)는 트래픽 데이터 및 시그널링에 대한 수신된 심볼들을 데이터 복조기(1216)에 제공하고, 파일럿에 대한 수신된 심볼들을 채널 추정기(1218)로 제공할 수 있다. 채널 추정기(12128)는 파일럿에 대하여 수신된 심볼들에 기반하여 채널 추정을 추론해낼 수 있다. 데이터 복조기(1216)는 채널 추정기(12128)로부터의 채널 추정으로 트래픽 데이터 및 시그널링에 대한 수신된 심볼들상에 데이터 검출(예를 들어, 매칭된 필터링, 균등화 등)을 수행하고, 수신된 데이터 심볼들 및 수신된 시그널링 심볼들을 제공할 수 있다.
수신 프로세서(570) 내에서, 톤 디맵퍼(demapper)(1220)는 수신된 시그널링 심볼들을 시그널링 검출기(1230)로 제공하고, 수신된 데이터 심볼들을 수신(RX) 트래픽 프로세서(1240)로 제공할 수 있다. 톤 디맵퍼(1220)는 도 8, 9 및 11에 보여지는 설계들에 대한 액세스 단말(120x)의 MAC_IDDML 전부 또는 일부에 기반하여, 그리고 도 7 및 10에 보여지는 설계들에 대한 톤들의 미리 결정된 세트에 기반하여 액세스 포인트(110x)와 동일한 방식으로 시그널링을 위해 사용되는 톤들을 결정할 수 있다. 시그널링 검출기(1230)는 수신된 시그널링 심볼들에 기반하여 액세스 단말(120x)로 송신된 시그널링을 검출하고, 검출된 시그널링을 제공할 수 있다. 시 그널링 검출기(1230) 내에서, 메트릭 계산 유닛(1232)은 시그널링을 위해 송신될 수 있는 각각의 코드워드에 대한 메트릭을 계산할 수 있다. 코드워드 검출기(1234)는 메트릭에 기반하여 액세스 단말(120x)로 임의의 코드워드가 송신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만약 코드워드가 송신되었다면, 검출된 시그널링으로서 이러한 코드워드와 연관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RX 트래픽 프로세서(1240) 내에서, 유닛(1242)은 시그널링 검출기(1230)로부터의 검출된 시그널링(예를 들어, 레이트 조정)에 기반하여 코드 비트들에 대한 로그- 가능도 비(LLR: log-likelihood ratio)들을 계산할 수 있다. 디코더(1244)는 검출된 시그널링에 기반하여 LLR들을 디코딩하고, 액세스 단말(120x)에 대하여 디코딩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120x)에서 수신된 시그널링 심볼들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9012296384-pct00001
식(1)
여기서, sk는 톤(k)을 통해 송신된 시그널링 심볼이고,
ck는 톤(k)에 대한 복합 채널 이득이고,
Ek는 톤(k)을 통해 송신된 시그널링 심볼에 대한 전송 전력이고,
nk는 톤(k)에 대한 잡음이며,
rk는 톤(k)에 대한 수신된 시그널링 심볼이다.
하나의 설계에서, 유닛(1232)은 시그널링에 대한 각각의 가능한 코드워드(m)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메트릭(Qm)을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09012296384-pct00002
식(2)
여기서,
Figure 112009012296384-pct00003
는 톤(k)에 대한 채널 이득의 추정치이고,
sk,m는 m번째 코드워드를 위한 톤(k)에 대한 시그널링 심볼이고,
Nt는 추정될 수 있는 잡음 톤(k)에 대한 잡음 편차이며,
"*"는 복소 공액(compex conjugate)을 나타내고, "Re"는 실수부(real part)를 나타낸다.
식(2)의 메트릭은 다른 액세스 단말들에 대한 시그널링으로부터 부정 알람의 견지에서 우수한 검출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설계에서, 유닛(1232)은 시그널링에 대한 각각의 가능한 코드워드(m)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메트릭(Qm)을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09012296384-pct00004
식(3)
식(3)의 메트릭은 다른 액세스 단말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 및 시그널링으로부터 부정 알람의 견지에서, 그리고 수신된 코드워드들이 직교가 아닐 때 우수한 검출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시그널링 검출기(1230)는 액세스 단말(120x)에 대한 가능한 상이한 리소스 할당들 각각에 대하여 시그널링을 검출할 수 있다. 각각의 가능한 리소스 할당에 대하여, 유닛(1232)은 시그널링을 위해 액세스 단말(120x)로 송신될 수 있는 각각의 가능한 코드워드에 대한 메트릭(Qm)을 계산할 수 있다. 검출기(1234)는 각각의 코드워드에 대해 계산된 메트릭을 임계치와 비교하고, 메트릭이 임계치를 초과한다면 검출된 코드워드를 선언할 수 있다. 단일 임계치가 예를 들어, 상이한 전력 지연 프로파일들, 높은 및 낮은 기하학적 구조들/SNR들, 높은 및 낮은 이동성/도플러(mobility/Doppler) 등과 같은 모든 채널 시나리오들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이한 임계치들은 상이한 채널 시나리오들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다. 임계치(들)는 원하는 부정 알람 가능성 및 검출 가능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택될 수 있다.
도 12는 예를 들어, 도 7, 8 및 11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블럭 인코딩으로 송신된 시그널링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는 시그널링 검출기(1230)의 설계를 보여준다. 블럭 디코딩은 또한 다른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시그널링이 예를 들어, 도 9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DFT 프리코딩으로 송신된다면, 그 후, 시그널링 검출기는 블럭 디코딩 이전에 IDFT를 수행할 수 있다. 시그널링이 예를 들어, 도 10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컨볼루션 인코딩으로 송신된다면, 그 후, 시그널링 검출기는 비터비(Viterbi)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은 데이터 및 시그널링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세스(1300)의 도안을 보여 준다. 프로세스(1300)는 다운링크상의 전송을 위한 액세스 포인트에 의하여, 또는 업링크상의 전송을 위한 액세스 단말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그널링이 프로세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블럭 코드, 컨볼루션 코드 등에 기반하여 인코딩될 수 있다(블럭(1312)). 블럭 코드는 직교 코드, 이원 직교 코드, 정적 블럭 코드, 동적 블럭 코드, 의사 난수 블럭 코드 등일 수 있다. 의사 난수 블럭 코드는 데이터 전송이 송신되는 수신기(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에 대한 PN 시퀀스 또는 수신기에 대해 특정한 PN 시퀀스에 기반할 수 있다. 시그널링은 또한 다수의 부분들로 분할될 수있으며, 시그널링의 각각의 부분은 반복 코드로 인코딩될 수 있다. 시그널링은 또한 다중 톤들에 걸쳐 각각의 시그널링 심볼을 확산시키기 위하여 DFT 또는 몇몇 다른 변환으로 프로세싱될 수 있다. 시그널링은 수신기(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의 식별자,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 레이트를 나타내는 정보, 데이터 전송을 위한 리소스 할당을 나타내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는 프로세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인코딩, 인터리빙, 및 심볼 맵핑될 수 있다(블럭(1314)).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그널링은 시간 슬롯의 톤들의 제1 세트로 맵핑될 수 있다(블럭(1318)).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는 시간 슬롯의 톤들의 제2 세트로 맵핑될 수 있다(블럭(1316)). 톤들의 제1 및 제2 세트들은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된 톤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제1 세트의 톤들은 (ⅰ) 시스템 밴드폭에 걸쳐 분포되고/분포되거나 (ⅱ) 시간 슬롯에 걸쳐 분포되거나, 시간 슬롯의 초기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전체 시그널링은 예를 들어, 도 7 및 10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톤들의 제1 세트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시그널링은 제1 및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톤들의 제1 세트는 시그널링의 제1 부분에 기반하여 선택될 수 있으며, 시그널링의 제2 부분은 도 8, 9 및 10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톤들의 제1 세트에 기반하여 송신될 수 있다.
제1 세트의 톤들의 개수 및/또는 시그널링에 대한 전송 전력은 데이터 전송에 대한 채널 조건들에 기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시간 슬롯은 하나 이상의 오버헤드 세그먼트들과 멀티플렉싱되는 하나 이상의 트래픽 세그먼트들 시간 디비전을 포함할 수 있다. 톤들의 제1 및 제2 세트들은 트래픽 세그먼트(들)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4는 시그널링을 송신하기 위한 프로세스(1400)의 도안을 보여준다. 프로세스(1400)는 액세스 단말 또는 액세스 포인트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시그널링은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는 다수의 부분들로 분할될 수 있다(블럭(1412)). 시그널링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임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부분은 임의의 크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그널링의 제1 부분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수신기(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의 식별자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톤들의 세트는 시그널링의 제1 부분에 기반하여 다수의 톤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블럭(1414)). 다수의 톤들은 시그널링을 송신하기 위하여 이용가능한 톤들 또는 데이터 전송에 대하여 할당된 톤들일 수 있다. 톤들의 세트는 시그널링의 제1 부분에 기반하여 톤들의 다중 세트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톤들의 세트는 또한 시그널링의 제1 부분, 데이터 전송을 송신하는 전송자(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 또는 셀)의 식별자, 데이터 전송이 송신되는 시간 슬롯의 인덱스 등에 기반하여 다수의 톤들 중에서 의사 랜덤하게 선택될 수 있다.
시그널링의 제2 부분은 정적 블럭 코드, 시간-가변 블럭 코드, 의사 난수 블럭 코드, 컨볼루션 코드 등에 기반하여 인코딩될 수 있다. 시그널링의 제2 부분은 또한 DFT 또는 몇몇 다른 변환에 기반하여 프로세싱될 수 있다. 시그널링의 제2 부분은 톤들의 선택된 세트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블럭(1416)). 시그널링의 제2 부분은 신뢰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데이터에 대한 전송 전력보다 높은 전송 전력으로 송신될 수 있다.
도 15는 시그널링 및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프로세스(1500)의 도안을 보여준다. 프로세스(1500)는 다운링크상의 전송을 위한 액세스 단말에 의하여, 또는 업링크상의 전송을 위한 액세스 포인트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시간 슬롯의 톤들의 제1 세트에 대한 수신된 심볼들이 예를 들어, 수신된 샘플들상에 OFDM 복조를 수행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블럭(1512)). 톤들의 제1 세트에 대한 수신된 심볼들은 검출된 시그널링을 획득하기 위하여 프로세싱될 수 있다(블럭(1514)). 톤들의 제1 세트는 수신기(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의 식별자에 기반하여 톤들의 다중 세트들 중에서 결정될 수 있다. 톤들의 제1 세트는 또한 수신기(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의 식별자, 송신기(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 또는 셀)의 식별자, 시간 슬롯 인덱스 등에 기반하여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가능한 다수의 톤들 중에서 결정될 수 있다. 블럭(1514)에 대하여, 메트릭은 수신된 심볼들에 기반하여 다수의 코드워드들 각각에 대하여 계산될 수 있다. 임의의 코드워드가 송신되었는지 여부는 각각의 코드워드에 대하여 계산된 메트릭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검출된 시그널링은 송신된 것으로 결정된 코드워드에 기반하여 획득될 수 있다.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간 슬롯의 톤들의 제2 세트를 프로세싱할지 여부는 검출된 시그널링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블럭(1516)). 검출된 시그널링은 코드워드들 중 어느 것도 송신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된다면, 수신기에 대하여 데이터 전송이 송신되지 않았음을 나타낼 수 있다. 검출된 시그널링이 데이터 전송이 송신되지 않음을 나타낸다면, 그 후, 톤들의 제2 세트에 대한 수신된 심볼들은 전송된 데이터를 복구시키기 위하여 프로세싱될 수 있다. 톤들의 제2 세트,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 레이트, 및/또는 다른 정보가 검출된 시그널링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은 정보 및 신호들을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테크닉들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 전반을 통해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들, 지시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을 전압, 전류, 전자기파, 자계 또는 자기 입자들, 광학계 또는 광학 입자들, 또는 그들의 임의의 결합물로 나타낼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은 본 명세서의 설명과 함께 개시된 다양한 도식적 논리 블럭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그들의 결합물로서 구현될 수 있음을 또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교환성을 명료히 개시하기 위하여, 다양한 도식적 인 컴포넌트들, 블럭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그들의 기능성의 견지에서 일반적으로 상기에 개시되었다. 그러한 기능성이 하드웨어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지는 전체 시스템에 부가되는 설계 제약들 및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좌우된다. 당업자들은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변화하는 방식으로 개시된 기능성을 구현할 수 있으나, 그러한 구현 결정들은 본 명세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관련하여 설명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럭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현장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 로직 장치,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연산 장치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다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다른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에 직접,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에, 또는 이 둘의 조합에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착탈식 디스크, CD- ROM, 또는 공지된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읽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연결된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에 상주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에 개별 성분으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의 상기 설명은 당업자들이 본 발명을 제작 또는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들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형이 당업자들에게 쉽게 명백할 것이며, 본원에 정의된 일반 원리들은 발명의 진의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원에 나타낸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원에 개시된 원리 및 신규한 특징들에 부합하는 가장 넓은 범위에 따르는 것이다.

Claims (53)

  1.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장치로서,
    시간 슬롯의 톤들의 제1 세트로 상기 데이터 전송에 대한 시그널링(signaling)을 맵핑하고, 상기 시간 슬롯의 톤들의 제2 세트로 상기 데이터 전송에 대한 데이터를 맵핑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톤들의 제1 세트로의 맵핑 이전에 이산 퓨리에 변환(DFT) 또는 유니터리 변환(unitary transformation)으로 상기 시그널링을 프로세싱하는,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 전송을 위해 다수의 톤들을 할당하고, 상기 다수의 톤들에 기반하여 상기 톤들의 제1 및 제2 세트를 결정하는,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직교 코드, 이원 직교(bi-orthoggonal) 코드, 블럭 코드, 시간-가변 블럭 코드, 의사 난수(pseudo-random) 블럭 코드, 및 컨볼루션 코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시그널링을 인코딩하는,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 전송이 송신되는 액세스 단말에 대한 의사 난수 숫자(PN) 시퀀스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의사 난수 블럭 코드에 기반하여 상기 시그널링을 인코딩하는,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시그널링을 다수의 부분들로 분할하고, 각각의 코드를 갖는 상기 시그널링의 각각의 부분을 인코딩하며, 상기 톤들의 제1 세트를 통해 상기 시그널링의 다수의 인코딩된 부분들을 송신하는,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시그널링의 제1 부분에 기반하여 톤들의 다수의 세트들 중에서 상기 톤들의 제1 세트를 선택하고, 상기 톤들의 제1 세트를 통해 상기 시그널링의 제2 부분을 송신하는,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 전송을 위한 채널 조건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세트의 톤들의 개수를 선택하는,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 전송을 위한 채널 조건들에 기반하여 상기 시그널링을 위한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통한 전송 이전에 전송 조정 벡터(transmit steering vector) 또는 공간-시간 블럭 코드로 상기 시그널링을 프로세싱하는,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은 액세스 단말을 위한 것이고, 상기 시그널링은 상기 액세스 단말의 식별자, 상기 데이터 전송에 대한 데이터 레이트를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데이터 전송에 대한 리소스 할당을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트의 톤들은 시스템 밴드폭에 걸쳐 분포되는,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트의 톤들은 상기 시간 슬롯의 초기 부분(early portion)에 위치되는,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슬롯은 적어도 하나의 오버헤드 세그먼트(overhead segment)와 멀티플렉싱되는 적어도 하나의 트래픽 세그먼트 시간 디비전(traffic segment time division)을 포함하고, 상기 톤들의 제1 및 제2 세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래픽 세그먼트에 위치되는,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장치.
  15.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으로서,
    시간 슬롯의 톤들의 제1 세트로 상기 데이터 전송에 대한 시그널링을 맵핑하는 단계;
    상기 시간 슬롯의 톤들의 제2 세트로 상기 데이터 전송에 대한 데이터를 맵핑하는 단계; 및
    상기 톤들의 제1 세트로의 맵핑 이전에 이산 퓨리에 변환(DFT) 또는 유니터리 변환(unitary transformation)으로 상기 시그널링을 프로세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직교 코드, 이원 직교 코드, 블럭 코드, 시간-가변 블럭 코드, 의사 난수 블럭 코드, 컨볼루션 코드, 이산 퓨리에 변환(DFT), 유니터리 변환, 전송 조정 벡터, 및 공간-시간 블럭 코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시그널링을 프로세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톤들의 제1 세트로 상기 시그널링을 맵핑하는 단계는,
    상기 시그널링의 제1 부분에 기반하여 톤들의 다수의 세트들 중에서 상기 톤들의 제1 세트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톤들의 제1 세트를 통해 상기 시그널링의 제2 부분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18.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장치로서,
    시간 슬롯의 톤들의 제1 세트로 상기 데이터 전송에 대한 시그널링을 맵핑하기 위한 수단;
    상기 시간 슬롯의 톤들의 제2 세트로 상기 데이터 전송에 대한 데이터를 맵핑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톤들의 제1 세트로의 맵핑 이전에 이산 퓨리에 변환(DFT) 또는 유니터리 변환(unitary transformation)으로 상기 시그널링을 프로세싱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직교 코드, 이원 직교 코드, 블럭 코드, 시간-가변 블럭 코드, 의사 난수 블럭 코드, 컨볼루션 코드, 이산 퓨리에 변환(DFT), 유니터리 변환, 전송 조정 벡터, 및 공간-시간 블럭 코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시그널링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톤들의 제1 세트로 상기 시그널링을 맵핑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시그널링의 제1 부분에 기반하여 톤들의 다수의 세트들 중에서 상기 톤들의 제1 세트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톤들의 제1 세트를 통해 상기 시그널링의 제2 부분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장치.
  21.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컴퓨터로 하여금 시간 슬롯의 톤들의 제1 세트로 상기 데이터 전송에 대한 시그널링을 맵핑하게 하기 위한 코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시간 슬롯의 톤들의 제2 세트로 상기 데이터 전송에 대한 데이터를 맵핑하게 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톤들의 제1 세트로의 맵핑 이전에 이산 퓨리에 변환(DFT) 또는 유니터리 변환(unitary transformation)으로 상기 시그널링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직교 코드, 이원 직교 코드, 블럭 코드, 시간-가변 블럭 코드, 의사 난수 블럭 코드, 컨볼루션 코드, 이산 퓨리에 변환(DFT), 유니터리 변환, 전송 조정 벡터, 및 공간-시간 블럭 코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시그널링을 프로세싱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시그널링의 제1 부분에 기반하여 톤들의 다수의 세트들 중에서 상기 톤들의 제1 세트를 선택하게 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톤들의 제1 세트를 통해 상기 시그널링의 제2 부분을 송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24.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에 대한 시그널링을 전송하기 위한 장치로서,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는 다수의 부분들로 시그널링을 분할하고, 상기 시그널링의 상기 제1 부분에 기반하여 다수의 톤들 중에서 톤들의 세트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톤들의 세트를 통해 상기 시그널링의 상기 제2 부분을 송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시그널링의 제1 부분에 기반하여 상기 다수의 톤들 중에서 상기 톤들의 세트를 의사 랜덤하게 선택하는,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에 대한 시그널링을 전송하기 위한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것이며, 상기 다수의 톤들은 상기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되는,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에 대한 시그널링을 전송하기 위한 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톤들의 다수의 세트들은 상기 다수의 톤들에 기반하여 정의(define)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시그널링의 제1 부분에 기반하여 상기 톤들의 다수의 세트들 중에서 상기 톤들의 세트를 선택하는,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에 대한 시그널링을 전송하기 위한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세트들 각각은 시스템 밴드폭에 걸쳐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 동안 분포되는 다수의 톤들을 포함하는,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에 대한 시그널링을 전송하기 위한 장치.
  28. 삭제
  2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의 제1 부분은 상기 데이터 전송을 수신하는 액세스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에 대한 시그널링을 전송하기 위한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 전송이 송신되는 시간 슬롯의 인덱스 및 상기 데이터 전송을 송신하는 셀의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에 추가로 기반하여 의사 랜덤하게 상기 톤들의 세트를 선택하는,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에 대한 시그널링을 전송하기 위한 장치.
  31.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데이터의 전송 전력보다 높은 전송 전력을 갖는 상기 시그널링의 제2 부분을 송신하는,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에 대한 시그널링을 전송하기 위한 장치.
  32.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직교 코드, 이원 직교 코드, 블럭 코드, 시간-가변 블럭 코드, 의사 난수 블럭 코드, 컨볼루션 코드, 이산 퓨리에 변환(DFT), 유니터리 변환, 전송 조정 벡터, 및 공간-시간 블럭 코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시그널링의 제2 부분을 프로세싱하는,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에 대한 시그널링을 전송하기 위한 장치.
  33.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에 대한 시그널링을 전송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는 다수의 부분들로 시그널링을 분할하는 단계;
    상기 시그널링의 상기 제1 부분에 기반하여 다수의 톤들 중에서 톤들의 세트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톤들의 세트를 통해 상기 시그널링의 상기 제2 부분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톤들의 세트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시그널링의 상기 제1 부분에 기반하여, 상기 톤들의 다수의 세트들 중에서 상기 톤들의 세트를 선택하거나 또는 상기 다수의 톤들 중에서 상기 톤들의 세트를 의사 랜덤하게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에 대한 시그널링을 전송하기 위한 방법.
  34. 삭제
  35. 제33항에 있어서,
    직교 코드, 이원 직교 코드, 블럭 코드, 시간-가변 블럭 코드, 의사 난수 블럭 코드, 컨볼루션 코드, 이산 퓨리에 변환(DFT), 유니터리 변환, 전송 조정 벡터, 및 공간-시간 블럭 코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시그널링의 상기 제2 부분을 프로세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에 대한 시그널링을 전송하기 위한 방법.
  36.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에 대한 시그널링을 전송하기 위한 장치로서,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는 다수의 부분들로 시그널링을 분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시그널링의 상기 제1 부분에 기반하여 다수의 톤들 중에서 톤들의 세트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선택된 톤들의 세트를 통해 상기 시그널링의 상기 제2 부분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톤들의 세트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시그널링의 상기 제1 부분에 기반하여, 상기 톤들의 다수의 세트들 중에서 상기 톤들의 세트를 선택하거나 또는 상기 다수의 톤들 중에서 상기 톤들의 세트를 의사 랜덤하게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에 대한 시그널링을 전송하기 위한 장치.
  37. 삭제
  38. 제36항에 있어서,
    직교 코드, 이원 직교 코드, 블럭 코드, 시간-가변 블럭 코드, 의사 난수 블럭 코드, 컨볼루션 코드, 이산 퓨리에 변환(DFT), 유니터리 변환, 전송 조정 벡터, 및 공간-시간 블럭 코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시그널링의 상기 제2 부분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에 대한 시그널링을 전송하기 위한 장치.
  39.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시간 슬롯의 톤들의 제1 세트에 대하여 수신된 심볼들을 획득하고, 검출된 시그널링을 획득하도록 상기 톤들의 제1 세트에 대하여 상기 수신된 심볼들을 프로세싱하고, 상기 검출된 시그널링에 기반하여 데이터 전송에 대한 상기 시간 슬롯의 톤들의 제2 세트를 프로세싱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심볼들에 기반하여 다수의 코드워드(codeword)들 각각에 대한 메트릭(metric)을 계산하고, 각각의 코드워드에 대해 계산된 메트릭에 기반하여 상기 다수의 코드워드들 중 임의의 하나가 송신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코드워드가 송신된 것으로 결정된 것에 기반하여 상기 검출된 시그널링을 획득하며, 상기 다수의 코드워드들 중 어느 것도 송신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된다면, 데이터 비전송을 나타내는 상기 검출된 시그널링이 송신되는,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액세스 단말의 식별자에 기반하여 톤들의 다수의 세트들 중에서 상기 톤들의 제1 세트를 결정하는,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41.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액세스 단말의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가능한 다수의 톤들 중에서 상기 톤들의 제1 세트를 결정하는,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42. 삭제
  43.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시간 슬롯의 톤들의 제1 세트에 대하여 수신된 심볼들을 획득하고, 검출된 시그널링을 획득하도록 상기 톤들의 제1 세트에 대하여 상기 수신된 심볼들을 프로세싱하고, 상기 검출된 시그널링에 기반하여 데이터 전송에 대한 상기 시간 슬롯의 톤들의 제2 세트를 프로세싱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검출된 시그널링에 기반하여 데이터 전송이 송신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이 송신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톤들의 제2 세트에 대한 수신된 심볼들을 프로세싱하는,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이 송신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검출된 시그널링에 기반하여 상기 톤들의 제2 세트를 결정하는,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4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이 송신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검출된 시그널링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에 대한 데이터 레이트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데이터 레이트에 기반하여 상기 톤들의 제2 세트에 대하여 상기 수신된 심볼들을 프로세싱하는,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46.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시간 슬롯의 톤들의 제1 세트에 대하여 수신된 심볼들을 획득하는 단계;
    검출된 시그널링을 획득하기 위하여 상기 톤들의 제1 세트에 대하여 수신된 심볼들을 프로세싱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시그널링에 기반하여 데이터 전송에 대한 상기 시간 슬롯의 톤들의 제2 세트를 프로세싱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검출된 시그널링을 획득하기 위하여 상기 톤들의 제1 세트에 대하여 상기 수신된 심볼들을 프로세싱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심볼들에 기반하여 다수의 코드워드들 각각에 대한 메트릭을 계산하는 단계;
    각각의 코드워드에 대하여 계산된 메트릭에 기반하여 상기 다수의 코드워드들 중 임의의 하나가 송신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코드워드가 송신된 것으로 결정된 것에 기반하여 상기 검출된 시그널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코드워드들 중 어느 것도 송신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된다면, 데이터 비전송을 나타내는 상기 검출된 시그널링이 송신됨― 를 포함하는,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
  47. 제46항에 있어서,
    액세스 단말의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에 대하여 할당가능한 다수의 톤들 중에서 또는 톤들의 다수의 세트들 중에서 상기 톤들의 제1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전송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
  48. 삭제
  49.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시간 슬롯의 톤들의 제1 세트에 대하여 수신된 심볼들을 획득하는 단계;
    검출된 시그널링을 획득하기 위하여 상기 톤들의 제1 세트에 대하여 수신된 심볼들을 프로세싱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시그널링에 기반하여 데이터 전송에 대한 상기 시간 슬롯의 톤들의 제2 세트를 프로세싱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전송이 송신된 것으로 결정된다면, 상기 검출된 시그널링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에 대한 데이터 레이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데이터 레이트에 기반하여 상기 톤들의 제2 세트에 대하여 수신된 심볼들을 프로세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
  50.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시간 슬롯의 톤들의 제1 세트에 대하여 수신된 심볼들을 획득하기 위한 수단;
    검출된 시그널링을 획득하기 위하여 상기 톤들의 제1 세트에 대하여 수신된 심볼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검출된 시그널링에 기반하여 데이터 전송에 대한 상기 시간 슬롯의 톤들의 제2 세트를 프로세싱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검출된 시그널링을 획득하기 위하여 상기 톤들의 제1 세트에 대하여 상기 수신된 심볼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수신된 심볼들에 기반하여 다수의 코드워드들 각각에 대한 메트릭을 계산하기 위한 수단;
    각각의 코드워드에 대하여 계산된 메트릭에 기반하여 상기 다수의 코드워드들 중 임의의 하나가 송신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코드워드가 송신된 것으로 결정된 것에 기반하여 상기 검출된 시그널링을 획득하기 위한 수단 ―상기 다수의 코드워드들 중 어느 것도 송신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된다면, 데이터 비전송을 나타내는 상기 검출된 시그널링이 송신됨―을 포함하는,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51. 제50항에 있어서,
    액세스 단말의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에 대하여 할당가능한 다수의 톤들 중에서 또는 톤들의 다수의 세트들 중에서 상기 톤들의 제1 세트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52. 삭제
  53.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시간 슬롯의 톤들의 제1 세트에 대하여 수신된 심볼들을 획득하기 위한 수단;
    검출된 시그널링을 획득하기 위하여 상기 톤들의 제1 세트에 대하여 수신된 심볼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수단;
    상기 검출된 시그널링에 기반하여 데이터 전송에 대한 상기 시간 슬롯의 톤들의 제2 세트를 프로세싱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데이터 전송이 송신된 것으로 결정된다면, 상기 검출된 시그널링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에 대한 데이터 레이트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결정된 데이터 레이트에 기반하여 상기 톤들의 제2 세트에 대하여 상기 수신된 심볼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FDM 또는 OFDM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KR1020097004212A 2006-07-28 2007-07-2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1492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3411806P 2006-07-28 2006-07-28
US60/834,118 2006-07-28
US11/829,024 US8477593B2 (en) 2006-07-28 2007-07-26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signaling for data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829,024 2007-07-26
PCT/US2007/074628 WO2008014473A2 (en) 2006-07-28 2007-07-27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signaling for data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2942A KR20090042942A (ko) 2009-05-04
KR101149226B1 true KR101149226B1 (ko) 2012-07-10

Family

ID=38896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4212A KR101149226B1 (ko) 2006-07-28 2007-07-2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8477593B2 (ko)
EP (3) EP3544213A1 (ko)
JP (2) JP5185268B2 (ko)
KR (1) KR101149226B1 (ko)
BR (2) BR122020005502A2 (ko)
CA (2) CA2730345C (ko)
RU (1) RU2407176C2 (ko)
WO (1) WO200801447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77593B2 (en) * 2006-07-28 2013-07-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signaling for data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09038408A2 (en) * 2007-09-21 2009-03-26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JP4846745B2 (ja) * 2008-02-18 2011-12-28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8576955B2 (en) * 2008-03-28 2013-11-05 Qualcomm Incorporated Architecture to handle concurrent multiple channels
US8467464B2 (en) * 2008-03-28 2013-06-18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method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for adaptive power control
GB0807338D0 (en) * 2008-04-22 2008-05-28 Nokia Siemens Networks Oy An apparatus
US8718021B2 (en) 2008-07-07 2014-05-06 Apple Inc. Uplink control signal design for wireless system
US8665803B2 (en) 2008-07-31 2014-03-04 Qualcomm Incorporated Tone selec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US8644408B2 (en) * 2008-10-10 2014-02-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feedbac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223707B2 (en) * 2008-12-31 2012-07-17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allocation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communication system
CN101834702B (zh) * 2009-03-12 2013-12-18 夏普株式会社 信道重构方法、基站和用户设备
ES2752196T3 (es) 2009-03-16 2020-04-03 Dsm Ip Assets Bv Producción de proteínas en microorganismos del filo Labyrinthulomycota
JP5676596B2 (ja) * 2009-07-03 2015-02-25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無線システムのための上りリンク制御信号の設計
US8842515B2 (en) * 2009-09-07 2014-09-2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a reference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014296B2 (en) 2009-10-09 2015-04-2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encoded signals with frequency hopping environment
CN102088791A (zh) * 2009-12-03 2011-06-08 普天信息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e-puch资源的动态配置方法
US8391383B2 (en) * 2009-12-28 2013-03-05 Mediatek Singapore Pte. Ltd. Dynamic tone grouping and encoding for multi-carrier quadrature amplitude in OFDM
KR101512706B1 (ko) * 2010-06-01 2015-04-16 노키아 솔루션스 앤드 네트웍스 오와이 캐리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2421186A3 (en) 2010-08-20 2014-11-2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EP2421188A3 (en) 2010-08-20 2014-11-2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KR101846167B1 (ko) * 2010-08-20 2018-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2503723B1 (en) 2011-03-25 2016-04-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a broadcasting/communication system
CN102869097B (zh) * 2011-07-07 2015-07-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上行控制信令的发送、接收方法和相关设备
ITTO20110906A1 (it) * 2011-10-11 2013-04-12 Csp A Innovazione Nelle Ict Scarl Metodo e sistema per generare un segnale modulato nonché metodo e sistema per elaborare un segnale modulato
US9853712B2 (en) 2014-02-17 2017-12-26 Ubiqomm Llc Broadband access system via drone/UAV platforms
US9859972B2 (en) 2014-02-17 2018-01-02 Ubiqomm Llc Broadband access to mobile platforms using drone/UAV background
US9853715B2 (en) * 2014-02-17 2017-12-26 Ubiqomm Llc Broadband access system via drone/UAV platforms
US9479964B2 (en) 2014-04-17 2016-10-25 Ubiqomm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fading in a broadband access system using drone/UAV platforms
US9614608B2 (en) 2014-07-14 2017-04-04 Ubiqomm Llc Antenna beam management and gateway design for broadband access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UAV) platforms
KR101926720B1 (ko) 2014-08-14 2018-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에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CN106797295B (zh) * 2014-10-05 2020-07-03 Lg 电子株式会社 在wlan中基于单个资源单元分配无线资源的方法和装置
CN107113140B (zh) 2014-10-06 2020-08-28 Lg 电子株式会社 在wlan中在包括导频音调的资源单元上发送数据的方法和装置
US9762422B2 (en) 2014-10-09 2017-09-12 Qualcomm Incorporated Tone-phase-shift keying: a new modulation scheme for SC-FDMA
US10264554B2 (en) 2014-10-16 2019-04-1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allocating wireless resources in bandwidths of different sizes in wireless LAN
US9571180B2 (en) 2014-10-16 2017-02-14 Ubiqomm Llc Unmanned aerial vehicle (UAV) beam forming and pointing toward ground coverage area cells for broadband access
US9712228B2 (en) 2014-11-06 2017-07-18 Ubiqomm Llc Beam forming and pointing in a network of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for broadband access
EP3664351B1 (en) 2015-02-25 2021-03-3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signal by using resource unit including plurality of subcarriers
US9660718B2 (en) 2015-05-13 2017-05-23 Ubiqomm, LLC Ground terminal and UAV beam pointing in a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for network access
US9590720B2 (en) 2015-05-13 2017-03-07 Ubiqomm Llc Ground terminal and gateway beam pointing toward a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for network access
US10461891B2 (en) * 2015-12-18 2019-10-29 Qualcomm Incorporated Staggered pilot placement
JP6686637B2 (ja) * 2016-03-31 2020-04-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
US9980267B2 (en) 2016-05-06 2018-05-22 Bridgewest Finance Llc Unmanned aerial vehicle (UAV) beam pointing and data rate optimization for high throughput broadband access
US10536314B2 (en) * 2016-06-03 2020-01-14 Centre Of Excellence In Wireless Technology OFDMA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performing OFDM based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S2875356T3 (es) * 2016-07-29 2021-11-10 Asustek Comp Inc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un sistema de comunicación inalámbrica para facilitar una comunicación de acceso inicial entre un dispositivo móvil y una célula de red que admite múltiples numerologías
CN111294154B (zh) * 2016-08-11 2024-01-12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和设备
US10313686B2 (en) 2016-09-20 2019-06-04 Gopro,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compressing video content using adaptive projection selection
EP3301986A1 (en) * 2016-09-30 2018-04-0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Improved uplink resource allocation among different ofdm numerology schemes
US10805907B2 (en) * 2016-09-30 2020-10-13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control channel for multiple numerologi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MX2019004877A (es) * 2016-11-04 2019-06-20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odo para transmitir datos, dispositivo terminal y dispositivo de red.
US11283575B2 (en) 2016-11-10 2022-03-22 Qualcomm Incorporated Sequence generation for systems supporting mixed numerologies
KR20180058668A (ko) * 2018-03-08 2018-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에서 효율적 톤 채널 이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174255B (es) 1989-06-20 1994-05-02 Alcatel Nv Procedimiento y dispositivo de evaluacion del debito de circuitos virtuales que utilizan una via de transmision de multiplexaje asincronico temporal
US6389057B1 (en) 1996-12-23 2002-05-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ccess technique of channel hopping communications system
JP3726986B2 (ja) 1997-08-07 2005-12-14 ソニー株式会社 通信方法、送信装置、受信装置及びセルラー無線通信システム
DE19747369A1 (de) 1997-10-27 1999-05-06 Siemens Ag Übertragungskanalschätzung in Telekommunikationssystemen mit drahtloser Telekommunikation
WO2000016586A1 (en) 1998-09-16 2000-03-23 Com21 Multi-channel support for virtual private networks in a packet to atm cell cable system
JP3438681B2 (ja) 1999-11-18 2003-08-18 日本電気株式会社 Ds−cdma基地局間非同期セルラにおける初期同期方法
JP2002330433A (ja) 2001-04-27 2002-11-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伝送システム
AU2002326995A1 (en) 2001-09-19 2003-04-01 Bay Microsystems, Inc. Vertical instruction and data processing in a network processor architecture
JP2004356725A (ja) 2003-05-27 2004-12-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ランダムアクセス信号受信装置及びランダムアクセス信号受信方法
EP1641305A1 (en) 2003-06-30 2006-03-2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Receiver apparatus
JP4287432B2 (ja) 2003-10-23 2009-07-01 シャープ株式会社 Ofdm送受信装置
KR100594597B1 (ko) * 2003-10-24 2006-06-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향링크 신호 구성 방법 및 그장치와, 이를 이용한 동기화 및 셀 탐색 방법과 그 장치
CA2556301C (en) * 2004-03-05 2011-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pilot signal in communication system using ofdm scheme
JP4366589B2 (ja) 2004-03-31 2009-11-18 日本電気株式会社 キャリア検出方法/プログラム/プログラム記録媒体/回路、受信機
JP2005303822A (ja) 2004-04-14 2005-10-27 Toshiba Corp 無線通信装置及び起動制御方法
AU2005239262B2 (en) * 2004-04-28 2008-04-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preamble sequence for adaptive antenna system i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8452316B2 (en) 2004-06-18 2013-05-28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tilizing orthogonal multiplexing
FR2872358B1 (fr) 2004-06-23 2006-09-29 Comsis Sa Decodeur numerique pour systeme de transmission numerique sans fil utilisant un code spatio-temporel lineaire
US7583586B2 (en) 2004-07-02 2009-09-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pilot signal in communication system using OFDM scheme
US10355825B2 (en) * 2004-07-21 2019-07-16 Qualcomm Incorporated Shared signaling channel for a communication system
CN100438685C (zh) 2004-09-20 2008-11-26 上海贝尔阿尔卡特股份有限公司 处理多用户/多业务的方法及设备
EP1816666B1 (en) * 2004-10-29 2016-02-03 Fujitsu Ltd. Communication device by multicarrier transmissio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JP2006180235A (ja) 2004-12-22 2006-07-06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受信機
KR100594086B1 (ko) * 2005-01-04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채널 추정을 위한 적응적 파일럿 할당 방법 및 장치
KR100880991B1 (ko) * 2005-06-16 2009-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안테나를 이용한 파일럿 송수신장치 및 방법
US7535972B2 (en) * 2005-06-24 2009-05-19 Broadcom Corporation Programmable transmitter
US7835315B2 (en) * 2005-08-23 2010-11-16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dressing in a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
US20070153876A1 (en) 2005-12-30 2007-07-05 Zhouyue Pi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dressing to support multiple acces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70237068A1 (en) * 2006-04-06 2007-10-11 Qi Bi Method of providing pilot signals for uplink power control
US8477593B2 (en) 2006-07-28 2013-07-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signaling for data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362562B2 (ja) * 2006-07-28 2013-12-11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フラッシュ型シグナリングのためのデータ符号化装置及び装置
US20080063105A1 (en) * 2006-09-13 2008-03-13 Via Telecom, Inc.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preamble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1/L2 Control Channel Structure for E-UTRA Downlink : R1-061181", NTT DoCoMo et al., 3GPP TSG RAN WG1 Meeting 45, 2006.05.12.
"UE Identity in L1/L2 Downlink Control Signalling : R1-061684", SHARP, 3GPP TSG RAN WG1 AD-HOC, 2006.06.3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545276A (ja) 2009-12-17
KR20090042942A (ko) 2009-05-04
CA2730345A1 (en) 2008-01-31
BR122020005502A2 (pt) 2020-10-13
WO2008014473A3 (en) 2008-11-13
CA2658280A1 (en) 2008-01-31
CA2658280C (en) 2015-04-28
EP2047624A2 (en) 2009-04-15
EP3544213A1 (en) 2019-09-25
RU2009107097A (ru) 2010-09-10
US8902861B2 (en) 2014-12-02
JP2012157015A (ja) 2012-08-16
US20080025267A1 (en) 2008-01-31
EP2712110A2 (en) 2014-03-26
US8477593B2 (en) 2013-07-02
JP5710523B2 (ja) 2015-04-30
EP2712110B1 (en) 2019-05-22
US20100284377A1 (en) 2010-11-11
JP5185268B2 (ja) 2013-04-17
RU2407176C2 (ru) 2010-12-20
EP2712110A3 (en) 2017-04-26
CA2730345C (en) 2014-07-08
WO2008014473A2 (en) 2008-01-31
BRPI0714370A2 (pt) 2013-04-24
EP2047624B1 (en) 2019-07-17
BRPI0714370B1 (pt) 2020-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922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JP4125712B2 (ja) 直交周波数分割多重方式を使用する通信システムでの適応変調及びコーディング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6181128B2 (ja) シグナリングチャネルを用いたアップリンクチャネル推定
KR10095604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한된 호핑
EP2566090B1 (en) Adaptive pilot structure to assist channel estimation in spread spectrum systems
CA2620168C (en) Configurable pilo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6105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pilot signal with a cell identification in an OFDM system
IL197038A (en) Signal transmission with limited distribution to a particular loc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JP2010539807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のための多重ビーコンシンボル
EP2041887A1 (en) Enabling mobile switched antennas
TWI382698B (zh) 於無線通訊系統中用於資料傳輸傳送訊號之方法及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