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8947B1 - 시료채취장치 - Google Patents

시료채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8947B1
KR101148947B1 KR1020100007679A KR20100007679A KR101148947B1 KR 101148947 B1 KR101148947 B1 KR 101148947B1 KR 1020100007679 A KR1020100007679 A KR 1020100007679A KR 20100007679 A KR20100007679 A KR 20100007679A KR 101148947 B1 KR101148947 B1 KR 101148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ample
slide
sample collection
spr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7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7981A (ko
Inventor
문형태
백동연
나선하
원종무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7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8947B1/ko
Publication of KR20110087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7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8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894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료채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운반차량에 적재된 원료에서 시료를 채취하는 시료채취부와, 시료채취부와 결합되어 시료채취부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와, 승하강부가 장착되는 프레임부와,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시료채취부에서 낙하되는 시료를 저장호퍼로 이송시키는 이송벨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반차량에 적재되어 반입되는 원료를 자동으로 채취하여 정확한 표준 데이터를 산출함으로써 생산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시료채취장치{APPARATUS FOR GATHERING SAMPLE}
본 발명은 시료채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반차량에 적재되어 반입되는 원료를 자동으로 채취하여 정확한 표준 데이터를 산출함으로써 생산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료채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강산업에서는 다양한 성분의 원료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원료는 운반차량에 의해 공장 및 하역부두에서 지정된 장소까지 운반된다.
이렇게 운반되는 원료로부터 하역작업을 하기 전에 성분 측정 및 입도 관리를 위해서 시료를 채취하게 되는데, 이는 원료의 성분이 철강제품의 품질을 경정하는 주요한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시료를 자동으로 채취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고 원료의 정확한 표준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료채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료채취장치는: 운반차량에 적재된 원료에서 시료를 채취하는 시료채취부; 상기 시료채취부와 결합되어 상기 시료채취부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 상기 승하강부가 장착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상기 시료채취부에서 낙하되는 시료를 저장호퍼로 이송시키는 이송벨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료채취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회전체에 맞물려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체; 및 상기 이동체에 장착되는 버킷을 구비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체는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로부터 회전 동력을 공급받는 상부스프로켓과,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스프로켓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체는 상기 상부스프로켓과 상기 하부스프로켓에 맞물리게 상기 상부스프로켓과 상기 하부스프로켓을 둘러싸는 체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스프로켓의 회전에 의해 무한궤도식 회전을 이룬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킷은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시료채취부와 결합되는 슬라이드부를 구비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에는 모터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에는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고, 상기 슬라이드부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랙기어가 구비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라이드부에는 상기 슬라이드부의 상한위치 도달을 감지하는 상위치센서와, 상기 슬라이드부의 하한위치 도달을 감지하는 하위치센서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시료채취부에서 낙하되는 시료를 상기 이송벨트부로 안내하는 안내호퍼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료채취장치에 의하면, 시료채취 작업을 자동화함으로써 작업시간이 단축됨에 따라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료채취장치에 의하면, 지정된 위치에서 시료를 채취할 수 있어 시료채취의 표준화를 이룰 수 있을 뿐 아니라, 원료의 정확한 표준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어 생산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채취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채취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채취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채취장치에서 슬라이드부가 상한위치에 도달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채취장치에서 슬라이드부가 하한위치에 도달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채취장치의 제어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료채취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채취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채취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채취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채취장치에서 슬라이드부가 상한위치에 도달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채취장치에서 슬라이드부가 하한위치에 도달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채취장치(1)는 시료채취부(100), 승하강부(200), 프레임부(300), 이송벨트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지면에 설치되는 지지대(S) 상에 위치한다.
지지대(S)는 시료채취장치(1)의 하측에 원료(M)를 적재한 운반차량(V)이 출입할 수 있도록 시료채취장치(1)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킨다.
지지대(S)의 상단부에는 프레임부(300)가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시료채취장치(1)는 프레임부(300)에 의해 지지대(S) 상에 위치하고, 전후방으로 이동된다.
시료채취부(100)는 운반차량(V)에 적재된 원료(M)에서 시료를 채취한다. 이러한 시료채취부(100)는 하우징(110), 회전체(120), 구동부(130), 이동체(140), 버킷(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우징(110)은 내부에 회전체(120) 등의 각종 부품이 장착되도록 시료채취부(100) 본체의 외형을 이룬다. 하우징(110)은 이동체(140)가 무한궤도식 회전을 이룰 때 이동체(140)의 회전 가이드 역할을 한다. 즉, 하우징(110)은 양단부에서 이동체(140)의 좌측과 우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이동체(140)가 무한궤도식 회전을 할 때 회전체(1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회전체(12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체(120)는 하우징(110)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스프로켓(121)과, 하우징(110)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스프로켓(122)을 구비한다.
상부스프로켓(121)은 구동부(130)와 연결되어 구동부(130)로부터 제공받는 동력을 통해 회전된다.
상부스프로켓(121)이 회전되면 상부스프로켓(121) 및 하부스프로켓(122)과 맞물려 있는 이동체(140)가 무한궤도식 회전을 하게 되고, 이동체(140)에 장착되는 버킷(150)이 순환 왕복이동을 하게 되면서 운반차량(V)의 원료(M)를 굴삭 및 적재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스프로켓(121)이 구동부(130)에 연결되어 이로부터 동력을 제공받게 되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므로 하부스프로켓(122)에 구동부(130)가 연결되거나 또는 상부스프로켓(121) 및 하부스프로켓(122) 모두가 구동부(130)로부터 직접 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구동부(130)는 회전체(120)가 회전되도록 회전체(120)에 회전 동력을 제공한다. 구동부(130)는 회전체(120)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므로, 그 설치 위치는 특정부위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상부스프로켓(121)에 인접한 하우징(11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시료채취부(100)가 결합되는 슬라이드부(22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동체(140)는 회전체(120)에 맞물려 회전체(120)의 회전에 의해 무한궤도식 회전을 이룬다. 이동체(140)는 상부스프로켓(121)과 하부스프로켓(122)에 맞물리고 상부스프로켓(121)의 외주면과 하부스프로켓(122)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순환형의 체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부스프로켓(121)이 구동부(130)에 의해 회전되는 경우 상부스프로켓(121)과 맞물려 있는 이동체(140)는 타원형의 경로를 이루는 무한궤도식 회전을 하게 된다.
버킷(150)은 이동체(140)에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버킷(150)은 이동체(140)의 무한궤도식 회전 방향을 따라 이동체(140)의 외측면에 장착된다.
이동체(140)가 무한궤도식 회전을 하게 되면 버킷(150) 역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버킷(150)이 슬라이드부(220)에 충돌되지 않도록 슬라이드부(220)에는 버킷(150)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홈부(222)가 형성된다.
버킷(150)은 운반차량(V)의 원료(M)를 굴삭 및 적재할 수 있도록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박스(Box) 형상으로 형성된다.
버킷(150)은 이동체(140)를 따라 상부스프로켓(121)에서 하부스프로켓(122)으로 이동할 때는 개구부가 하방을 향하고 하부스프로켓(122)에서 상부스프로켓(121)으로 이동할 때는 개구부가 상방을 향하면서 운반차량(V)의 원료(M)를 굴삭 및 적재하게 된다.
승하강부(200)는 시료채취부(100)와 결합되어 시료채취부(100)를 승하강시킨다. 이러한 승하강부(200)는 고정부(210), 슬라이드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정부(210)는 프레임부(300)에 장착되고, 슬라이드부(22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하부에 가이드홈부(212)가 형성된다. 가이드홈부(212)는 후술할 슬라이드부(220)의 가이드레일(223)을 상부, 하부 및 측부에서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고정부(210)는 모터(213)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211)이 구비된다. 피니언(211)은 고정부(2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모터(213)로부터 회전 동력을 제공받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고정부(210)의 하면측에 배치되는 피니언(211)은 고정부(210)를 관통하는 피니언축(미도시)에 의해 고정부(210)의 상면측에 배치되는 모터(213)와 연결된다. 이로써 모터(213)에 전원이 공급되면 회전 동력이 피니언축을 통해 피니언(211)에 전달되어 피니언(211)이 회전하게 된다.
슬라이드부(220)는 고정부(21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체결부재(B)에 의해 시료채취부(100)와 결합된다.
슬라이드부(220)는 상부에 가이드레일(223)이 구비된다. 가이드레일(223)은 슬라이드부(220)의 상면에 볼트(미도시)에 의해 결합되고, 슬라이드부(220)의 상부보다 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가이드레일(223)은 고정부(210)의 가이드홈부(212)에 안착되어 가이드홈부(212)에 의해 상부, 하부 및 측부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므로, 슬라이드부(220)는 상하 슬라이드 이동될 때 흔들림이 억제된다.
슬라이드부(220)에는 고정부(210)의 피니언(211)과 맞물리는 랙기어(221)가 구비된다. 랙기어(221)는 슬라이드부(220)의 상면측에 슬라이드부(22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랙기어(221)와 맞물려 있는 피니언(211)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슬라이드부(220)는 하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피니언(21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슬라이드부(220)는 상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슬라이드부(220)에는 상위치센서(226) 및 하위치센서(227)가 구비된다. 상위치센서(226)는 슬라이드부(220)가 상한위치에 도달하였음을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C)에 송신하고, 하위치센서(227)는 슬라이드부(220)가 하한위치에 도달하였음을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C)에 송신한다.
상위치센서(226) 및 하위치센서(227)는 슬라이드부(220)가 상하 슬라이드 이동될 때 가이드홈부(212)의 외측 둘레면과 접촉되도록 슬라이드부(220)의 측면에 장착된다. 물론, 상위치센서(226) 및 하위치센서(227)는 슬라이드부(220)가 상한위치 및 하한위치에 도달하였음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그 설치위치가 상술한 부위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할 것이다.
가이드홈부(212)는 내측 둘레면이 가이드레일(223)을 둘러쌈으로써 슬라이드부(220)의 상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고, 외측 둘레면이 슬라이드부(220)의 상하 슬라이드 이동 시 상위치센서(226) 또는 하위치센서(227)와 접촉하게 되어 슬라이드부(220)가 상한위치 또는 하한위치에 도달하였음을 인식시킨다.
프레임부(300)는 지지대(S)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310)과, 수직프레임(310) 사이를 잇는 복수의 수평프레임(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수직프레임(310)은 지지대(S)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로써, 이송벨트부(400)에 적재된 시료를 일렬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저장호퍼(H) 중 원하는 저장호퍼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수평프레임(320)에는 승하강부(200), 구체적으로 고정부(210)가 장착되고, 또 다른 수평프레임(320)에는 이송벨트부(400)가 설치된다. 물론 고정부(210)와 이송벨트부(400)는 동일한 수평프레임(320)에 설치될 수 있다.
이송벨트부(400)는 브라켓(330)에 의해 수평프레임(320)에 설치된다. 이송벨트부(400)는 버킷(150)에 적재된 시료가 상부스프로켓(121)을 지나면서 하방으로 낙하되면 이를 받아 저장호퍼(H)측으로 이송시킨다. 이러한 이송벨트부(400)는 통상의 벨트컨베이어와 동일한 작동원리를 가지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송벨트부(400)는 수직프레임(310)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나 시료를 저장호퍼(H)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방향이라면 위 방향에 한정되지 아니하여도 됨은 물론이다.
브라켓(330)에는 버킷(150)에서 낙하되는 시료를 이송벨트부(400)로 안내하는 안내호퍼(340)가 구비된다.
안내호퍼(34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구멍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버킷(150)에서 낙하되는 시료가 다른 곳으로 낙하되지 않고이송벨트부(400) 상에 낙하되도록 안내한다.
안내호퍼(340)의 최하단부의 폭은 이송벨트부(400) 상에 낙하된 시료가 이후 낙하되는 시료에 밀려 이송벨트부(400)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이송벨트부(400)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채취장치의 제어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료채취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원료(M)를 적재한 운반차량(V)이 지지대(S) 하부에 도착하면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또는 도착감지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시료채취장치(1)의 작동이 이루어진다.
모터(213)의 구동에 의해 고정부(210)의 피니언(211)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피니언(211)과 맞물려 있는 랙기어(221)가 설치된 슬라이드부(220)는 하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슬라이드부(220)의 하방 이동으로 인해 슬라이드부(220)와 체결부재(B)에 의해 결합되는 시료채취부(100) 또한 하방으로 이동된다.
모터(213)에 전원이 공급됨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구동부(130)에 전원이 공급되면 구동부(130)와 연결되는 상부스프로켓(121)이 회전되고, 상부스프로켓(121)과 하부스프로켓(122)에 맞물려 있는 이동체(140)는 타원형의 경로를 이루는 무한궤도식 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이동체(140)에 장착되는 버킷(150) 역시 타원형의 경로를 이루면서 상부스프로켓(121)과 하부스프로켓(122) 사이를 순환하게 된다.
슬라이드부(220)는 하한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하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슬라이드부(220)의 하한위치는 하우징(110)의 최하단부가 운반차량(V)에 적재된 원료(M)의 표층으로부터 500mm 하부에 도달하게 된 때에 슬라이드부(220)가 위치하는 지점이다.
즉, 하우징(110)의 최하단부가 원료(M)의 표층으로부터 500mm 하부에 도달하게 되면, 가이드홈부(212)의 외측 둘레면이 슬라이드부(220)의 상부 측면에 설치되는 하위치센서(227)와 접촉하게 된다(도 5 참조).
하위치센서(227)는 가이드홈부(212)와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를 제어부(C)에 송신하고, 제어부(C)는 이를 토대로 모터(213)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이로써 슬라이드부(220) 및 시료채취부(100)는 더 이상 하방으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제어부(C)는 모터(213)에 전원 공급을 차단함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구동부(13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버킷(150)이 더 이상 순환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슬라이드부(220)가 하한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버킷(150)은 타원형의 경로를 이루면서 운반차량(V)의 원료(M)를 굴삭 및 적재 이송하므로, 시료채취 작업을 보다 단시간에 완료할 수 있게 되고, 지정된 위치에서 시료를 간편하게 채취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C)는 버킷(150)의 순환 이동을 정지시킨 후 모터(213)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모터(213)는 피니언(211)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슬라이드부(220)가 상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한다.
한편, 슬라이드부(220)의 상방 이동시 버킷(150)은 순환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버킷(150) 내에 적재된 시료는 그대로 상방으로 이송된다.
슬라이드부(220)는 상한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슬라이드부(220)의 상한위치는 하우징(110)의 최상단부가 안내호퍼(340) 입구와 일렬로 배치된 때에 슬라이드부(220)가 위치하는 지점이다.
즉, 하우징(110)의 최상단부가 안내호퍼(340) 입구와 일렬로 배치되면, 가이드홈부(212)의 외측 둘레면이 슬라이드부(220)의 하부 측면에 설치되는 상위치센서(226)와 접촉하게 된다(도 4 참조).
상위치센서(226)는 가이드홈부(212)와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를 제어부(C)에 송신하고, 제어부(C)는 이를 토대로 모터(213)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이로써 슬라이드부(220) 및 시료채취부(100)는 더 이상 상방으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제어부(C)는 모터(213)에 전원 공급을 차단함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구동부(130)에 전원을 공급하여 버킷(150)이 다시 순환 이동되도록 한다.
버킷(150)은 상부스프로켓(121)을 지나면서 개구부가 하방을 향하게 되므로, 버킷(150) 내에 적재된 시료는 버킷(150)이 상부스프로켓(121)을 지나면서 하방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렇게 낙하된 시료는 하부에 배치되는 안내호퍼(340)에 의해 이송벨트부(400)로 안내되고, 이후 이송벨트부(400)에 의해 저장호퍼(H)측으로 이송된다. 저장호퍼(H)로 이송된 시료는 시험실로 운반되어 원료의 표준 데이터를 산출하는데 활용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시료채취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운반차량에서의 시료채취가 아닌 다른 장비에서의 시료채취에도 본 발명의 시료채취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시료채취장치 100 : 시료채취부
120 : 회전체 140 : 이동체
150 : 버킷 200 : 승하강부
210 : 고정부 220 : 슬라이드부
300 : 프레임부 340 : 안내호퍼
400 : 이송벨트부

Claims (8)

  1. 운반차량에 적재된 원료에서 시료를 채취하는 시료채취부;
    상기 시료채취부와 결합되어 상기 시료채취부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
    상기 승하강부가 장착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상기 시료채취부에서 낙하되는 시료를 저장호퍼로 이송시키는 이송벨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료채취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회전체에 맞물려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체; 및
    상기 이동체에 장착되는 버킷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채취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로부터 회전 동력을 공급받는 상부스프로켓과,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스프로켓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체는 상기 상부스프로켓과 상기 하부스프로켓에 맞물리게 상기 상부스프로켓과 상기 하부스프로켓을 둘러싸는 체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스프로켓의 회전에 의해 무한궤도식 회전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채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은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채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시료채취부와 결합되는 슬라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채취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모터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에는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고, 상기 슬라이드부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랙기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채취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에는 상기 슬라이드부의 상한위치 도달을 감지하는 상위치센서와, 상기 슬라이드부의 하한위치 도달을 감지하는 하위치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채취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시료채취부에서 낙하되는 시료를 상기 이송벨트부로 안내하는 안내호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채취장치.
KR1020100007679A 2010-01-28 2010-01-28 시료채취장치 KR101148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679A KR101148947B1 (ko) 2010-01-28 2010-01-28 시료채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679A KR101148947B1 (ko) 2010-01-28 2010-01-28 시료채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981A KR20110087981A (ko) 2011-08-03
KR101148947B1 true KR101148947B1 (ko) 2012-05-23

Family

ID=44926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7679A KR101148947B1 (ko) 2010-01-28 2010-01-28 시료채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89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463B1 (ko) * 2014-12-12 2015-04-21 (주)지산종합기술 간선 하수관거에 적용가능한 맨홀삽입형 자동채수기
KR101524491B1 (ko) * 2014-12-12 2015-06-01 (주)지산종합기술 맨홀삽입형 자동승강 채수장치
KR20230096768A (ko) 2021-12-23 2023-06-30 주식회사 엔씨씨테크 코크스 시료 채취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2093A (en) 1998-10-08 2000-05-16 Pavement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ampling aggregate material
KR20030035446A (ko) * 2001-10-31 2003-05-09 주식회사 포스코 주석 도금강판의 시편 채취장치
KR100713085B1 (ko) 2007-02-12 2007-05-02 (주)삼우기계 시료 자동 채취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2093A (en) 1998-10-08 2000-05-16 Pavement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ampling aggregate material
KR20030035446A (ko) * 2001-10-31 2003-05-09 주식회사 포스코 주석 도금강판의 시편 채취장치
KR100713085B1 (ko) 2007-02-12 2007-05-02 (주)삼우기계 시료 자동 채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981A (ko) 201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24326B (zh) 全自动智能履带板冲裁生产线
KR102181281B1 (ko) 물품이송장치
CN206013759U (zh) 自动配煤、称重皮带给料机
CN1334447A (zh) 组合计量装置及系统
KR101148947B1 (ko) 시료채취장치
KR102182465B1 (ko) 파이프 절단장치
CN111807082A (zh) 一种装载码料机头
CN109047581A (zh) 一种自动切割钢筋的机械设备
KR102089144B1 (ko)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
KR20110103745A (ko) 절삭칩 공급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절삭칩 반송장치
KR101295597B1 (ko)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KR101291542B1 (ko)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JP2003013467A (ja) 土砂垂直搬送装置
CN210286542U (zh) 一种物料运转输送装置
KR101544692B1 (ko) 일체형 소금 수거 및 적재 장치
CN210455386U (zh) 一种茶叶包装自动上料机
KR101281771B1 (ko) 낙광 이송 장치
KR101320125B1 (ko) 벨트컨베이어용 잔류수 제거장치
KR20130059890A (ko) 연속식 하역기의 로터리피더용 이송장치
CN110733871A (zh) 物料传送设备
KR101167165B1 (ko) 부착광 부착 방지장치
KR20150095036A (ko) 일체형 소금 수거 및 적재 장치
KR20150021998A (ko) 연속언로더
CN218289395U (zh) 一种具有清理堵塞结构的沥青骨料进料装置
KR20130059888A (ko) 연속식 하역기의 로터리피더용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