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8406B1 -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8406B1
KR101148406B1 KR1020050093472A KR20050093472A KR101148406B1 KR 101148406 B1 KR101148406 B1 KR 101148406B1 KR 1020050093472 A KR1020050093472 A KR 1020050093472A KR 20050093472 A KR20050093472 A KR 20050093472A KR 101148406 B1 KR101148406 B1 KR 101148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etadata
information
editing
upd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3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2047A (ko
Inventor
히데끼 안도
가즈오 이도
노보루 오야
미쯔또시 신까이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52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2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8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8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보다 용이하게 콘텐츠 데이터의 파괴 편집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다. 갱신 메타 데이터 특정부(303)는,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처리부(302)에 의한 파괴 편집 처리에 의해 영향을 받는(갱신이 필요가 있는) 메타 데이터를 특정하여, 갱신이 필요하다고 판정된 경우, 파괴 편집 처리에 대응하도록,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부(304)는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를 갱신하고,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부(306)는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를 갱신한다. 또한, 프록시 데이터 갱신부(305)는 프록시 데이터를 갱신한다.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 갱신부(308)는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을 갱신한다. 클립 기입부(309)는, 이상의 처리에 의해 갱신된 클립의 각 데이터를 광 디스크(12)에 기록시킨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편집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Figure R1020050093472
광 디스크, 소재 데이터, 메타 데이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퍼스널 컴퓨터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프로그램 제작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광 디스크의 기록 영역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3은 도 1의 광 디스크에 기록된 파일의 디렉토리 구조의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4는 도 1의 광 디스크에 기록된 파일의 디렉토리 구조의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5는 도 1의 광 디스크에 기록된 파일의 디렉토리 구조의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6은 AV 독립 포맷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7은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파일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8은 UMID의 기본적인 구성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KLV 패킷의 기본적인 구성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LTC 변화점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기본 UMID 변화점, 시각 정보 변화점, 위치 정보 변화점, 및 인물 정보 변화점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KLV 패킷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13은 비파괴 편집의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
도 14는 파괴 편집의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
도 15는 파일 사이의 참조 관계의 모습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을 적용한 도 1의 편집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7은 도 16의 시스템 제어부의 상세한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8은 도 17의 클립 파괴 편집부의 상세한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9는 도 17의 에디트 리스트 갱신부의 상세한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0은 파괴 편집 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1은 클립 파괴 편집 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2는 클립 파괴 편집 처리의 예를 나타낸, 도 21에 계속되는 플로우차트.
도 23은 에디트 리스트 갱신 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4는 에디트 리스트 갱신 처리의 예를 나타낸, 도 23에 계속되는 플로우차트.
도 25는 음성 데이터를 삽입하는 경우의 데이터 갱신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을 적용한 퍼스널 컴퓨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로그램 제작 시스템
11 : 캠코더
12 : 광 디스크
13 : 편집 장치
21 : 소재 데이터
22 : 메타 데이터
23 : 완전 패키지 데이터
221 : 시스템 제어부
222 : 조작 입력부
223 : 제어 정보 입력부
224 : 제어 정보 출력부
231 : 입력부
232 : 기록 신호 처리부
233 : 정보 처리부
234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235 : 메타 데이터 처리부
236 : 드라이브 제어부
237 : 픽업부
238 : 스핀들 구동부
239 : 재생 신호 처리부
240 : 출력부
251 : 소재 데이터 입력부
252 : 메타 데이터 입력부
253 : 정보 다중화부
254 : 정보 분해부
255 : 소재 데이터 출력부
256 : 메타 데이터 출력부
261 : 제어부
271 : 클립 파괴 편집부
272 : 참조 에디트 리스트 검색부
273 : 에디트 리스트 갱신부
274 : 인덱스 파일 갱신부
275 : 디스크 인포메이션 파일 갱신부
276 : 부정합 처리부
281 : 입력 제어부
282 : 통신 제어부
283 : 기입 제어부
284 : 판독 제어부
285 : 편집 갱신 처리 제어부
286 : 출력 제어부
301 : 클립 판독부
302 :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처리부
303 : 갱신 메타 데이터 특정부
304 :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부
305 : 프록시 데이터 갱신부
306 :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부
307 : 부족 메타 데이터 생성부
308 :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 갱신부
309 : 클립 기입부
311 : 갱신 확인 처리부
312 : 부정합 정보 생성부
331 : 에디트 리스트 판독부
332 : 편집 부분 확인부
333 : 에디트 리스트 파일 갱신부
334 :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부
335 :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부
336 :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부
337 : 프록시 데이터 갱신부
338 : 부족 메타 데이터 생성부
339 : 에디트 리스트 기입부
341 : 갱신 확인 처리부
342 : 부정합 정보 생성부
400 : 퍼스널 컴퓨터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 2001-292421호 공보
본 발명은,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예를 들면 보다 용이하게 콘텐츠 데이터의 파괴 편집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 VTR(Video Tape Recorder)에서,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 등의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 매체인 테이프 디바이스에 기록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테이프 디바이스에는, 그 콘텐츠 데이터만이 기록되어 있었다. 콘텐츠 데이터에 예를 들면 타임 코드 등의 메타 데이터가 부가되는 경우도 있었지만, 이 메타 데이터는, 테이프 디바이스에서, 콘텐츠 데이터와 함께 시간축을 따라 기록되어 있었다. 따라서, 이 콘텐츠 데이터의 일부를 재기입하는 등의 편집이 행해진 경우, 메타 데이터는, 그 콘텐츠 데이터의 편집 부분에 대응하는(부수하는) 부분만이 갱신된다.
이것에 대하여, 최근,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 등의 콘텐츠 데이터를, 광 디스크나 하드디스크 등의 랜덤 액세스가 가능한 기록 매체를 이용하여, 비선형으로 기록하는 방법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그 경우, 기록된 각 콘텐츠 데이터는, 파일 시스템에 의해, 각각, 파일(클립)로서 관리된다.
예를 들면, 영상이나 음성 등으로 이루어지는 텔레비전 프로그램 등의 경우, 그 콘텐츠 데이터는, 화상 파일, 음성 파일, 및 메타 데이터 파일 등의 복수의 파일의 집합으로서 관리된다. 이 때, 이들의 파일을 관리하거나, 재생하기 위한 정보로서의 메타 데이터도 생성된다. 즉, 이와 같이 비선형으로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되는 경우, 그 콘텐츠 데이터에는, VTR의 경우보다도 많은 메타 데이터가 부가된다.
따라서, VTR의 경우와 같이, 콘텐츠 데이터를 재기입하는 등의 편집을 행하는 경우, 각 파일의 내용의 정합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그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메타 데이터의 내용도 맞추어서 갱신할 필요가 생긴다.
종래의 경우, 이와 같이 비선형으로 기록된 데이터의 편집에서는, 편집 장치는, 편집 대상의 원래의 데이터는 갱신하지 않고서, 편집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편집 결과를 도출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을 새롭게 생성하고 있었다(비파괴 편집을 행하고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그러나, 이러한 비파괴 편집에서는, 원래의 데이터를 남긴 채 편집 결과로 되는 파일을 새롭게 생성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콘텐츠 데이터의 일부를 다른 콘텐츠 데이터로 덮어쓰기 하는 편집인 경우, 기록 매체의 기록 영역을 불필요하게 소비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광 디스크 등의 비선형으로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인 경우라도, VTR의 경우와 같이, 편집 대상의 콘텐츠 데이터를 실제로 갱신하는 「파괴 편집」을 행하는 것이 요구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그 경우, 유저는,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를 파괴 편집할 때에, 이들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메타 데이터의 갱신 작업을, 각 메타 데이터에 대하여 1개씩 행하지 않으면 않되고, 각 데이터의 정합성을 정확하게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예를 들면, 파괴 편집된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의 시간축 상의 편집 구간 내에 대응하는 메타 데이터만을 갱신하는 방법에서는, 시간의 개념을 갖지 않는 메타 데이터는 재기입 대상으로 되지는 않고, 파괴 편집된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와, 그 메타 데이터와의 정합성, 및 복수 존재하는 메타 데이터 사이의 정합성이 유지되지 않는다. 이 정합성의 유지는, 파괴 편집되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메타 데이터의 수나 종류가 증가함에 따라서, 보다 곤란하게 된다. 또한, 만약 메타 데이터의 정합성이 무너진 경우, 유저가 그것을 인식할 수 없다고 하는 과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예를 들면 콘텐츠 데이터를 파괴 편집할 때에, 그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메타 데이터도 갱신하여, 각 데이터의 정합성을 유지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콘텐츠 데이터의 파괴 편집을 정확하게 행하고, 메타 데이터에 기초한 기기나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는, 소재 데이터에 대하여 데이터를 실제로 갱신하는 파괴 편집을 행하는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수단과,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수단에 의한 소재 데이터의 파괴 편집에 의해 영향을 받는 메타 데이터를 특정하는 메타 데이터 특정 수단과, 메타 데이터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메타 데이터를 갱신하는 제1 메타 데이터 갱신 수단과, 편집 대상인 데이터를 갱신하지 않은 비파괴 편집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에디트 리스트(edit list)로서, 상기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수단에 의해 파괴 편집된 상기 소재 데이터를 참조하는 상기 에디트 리스트를 검색하는 에디트 리스트 검색 수단과, 상기 에디트 리스트 검색 수단에 의해 검색된 상기 에디트 리스트를 갱신하는 에디트 리스트 갱신 수단과, 상기 에디트 리스트 갱신 수단에 의해 갱신된 상기 에디트 리스트의 메타 데이터를 갱신하는 제2 메타 데이터 갱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를 판독하는 콘텐츠 데이터 판독 수단과,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기입하는 콘텐츠 데이터 기입 수단을 더 구비하며,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수단은, 콘텐츠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기록 매체에 의해 판독된 콘텐츠 데이터의 소재 데이터를 파괴 편집하고, 콘텐츠 데이터 기입 수단은, 상기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수단에 의해 파괴 편집된 상기 소재 데이터, 및 상기 제1 메타 데이터 갱신 수단에 의해 갱신된 상기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콘텐츠 데이터, 및 상기 에디트 리스트 갱신 수단에 의해 갱신된 상기 에디트 리스트, 및 상기 제2 메타 데이터 갱신 수단에 의해 갱신된 상기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입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수단은, 소재 데이터를 파괴 편집함과 함께, 소재 데이터에 부가되는 식별 정보를 갱신하고, 메타 데이터 특정 수단은,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수단에 의해 파괴 편집되는 소재 데이터의 식별 정보를 갖는 메타 데이터를 특정하고, 제1 메타 데이터 갱신 수단은, 메타 데이터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메타 데이터에 포함되는,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수단에 의해 파괴 편집되는 소재 데이터의 식별 정보를,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수단에 의해 갱신된 식별 정보로 갱신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타 데이터 갱신 수단은, 소재 데이터에 부가되는 메타 데이터 중에서, 소재 데이터의 재생 시에서의 메타 데이터의 재생에 리얼타임성이 요구되는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를 갱신하는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 수단과, 소재 데이터에 부가되는 메타 데이터 중에서, 소재 데이터의 재생 시에서의 메타 데이터의 재생에 리얼타임성이 요구되지 않는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를 갱신하는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 수단을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수단에 의한 파괴 편집에 맞추어서, 소재 데이터의 저해상도의 데이터인 프록시 데이터를 갱신하는 프록시 데이터 갱신 수단을 더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수단에 의한 파괴 편집에 맞추어서, 콘텐츠 데이터에 포함되는 각 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 정보를 갱신하는 관리 정보 갱신 수단을 더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타 데이터 갱신 수단에 의한 메타 데이터의 갱신을 행하는지의 여부를 유저에게 확인하는 메타 데이터 갱신 확인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메타 데이터 갱신 수단은, 유저가 갱신을 허가한 경우에만, 메타 데이터를 갱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저는, 본래, 갱신이 필요한 메타 데이터의 일부만을 갱신할지, 또는 전부를 갱신할지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메타 데이터 갱신 확인 수단에 의한 확인 결과, 유저가 갱신을 허가하지 않는 경우, 파괴 편집된 소재 데이터와, 소재 데이터에 대응하는 메타 데이터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부정합에 관한 정보인 부정합 정보를 생성하는 부정합 정보 생성 수단을 더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보 처리 방법은, 소재 데이터에 대하여 데이터를 실제로 갱신하는 파괴 편집을 행하는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스텝과,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스텝의 처리에 의한 소재 데이터의 파괴 편집에 의해 영향을 받는 메타 데이터를 특정하는 메타 데이터 특정 스텝과, 메타 데이터 특정 스텝의 처리에 의해 특정된 메타 데이터를 갱신하는 제1 메타 데이터 갱신 스텝과, 편집 대상인 데이터를 갱신하지 않은 비파괴 편집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에디트 리스트로서, 상기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스텝의 처리에 의해 파괴 편집된 상기 소재 데이터를 참조하는 상기 에디트 리스트를 검색하는 에디트 리스트 검색 스텝과, 상기 에디트 리스트 검색 스텝의 처리에 의해 검색된 상기 에디트 리스트를 갱신하는 에디트 리스트 갱신 스텝과, 상기 에디트 리스트 갱신 스텝의 처리에 의해 갱신된 상기 에디트 리스트의 메타 데이터를 갱신하는 제2 메타 데이터 갱신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는, 소재 데이터에 대하여 데이터를 실제로 갱신하는 파괴 편집을 행하는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스텝과,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스텝의 처리에 의한 소재 데이터의 파괴 편집에 의해 영향을 받는 메타 데이터를 특정하는 메타 데이터 특정 스텝과, 메타 데이터 특정 스텝의 처리에 의해 특정된 메타 데이터를 갱신하는 제1 메타 데이터 갱신 스텝과, 편집 대상인 데이터를 갱신하지 않은 비파괴 편집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에디트 리스트로서, 상기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스텝의 처리에 의해 파괴 편집된 상기 소재 데이터를 참조하는 상기 에디트 리스트를 검색하는 에디트 리스트 검색 스텝과, 상기 에디트 리스트 검색 스텝의 처리에 의해 검색된 상기 에디트 리스트를 갱신하는 에디트 리스트 갱신 스텝과, 상기 에디트 리스트 갱신 스텝의 처리에 의해 갱신된 상기 에디트 리스트의 메타 데이터를 갱신하는 제2 메타 데이터 갱신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에서는, 소재 데이터에 대하여 데이터를 실제로 갱신하는 파괴 편집이 행해져, 그 소재 데이터의 파괴 편집에 의해 영향을 받는 메타 데이터가 특정되어, 그 특정된 메타 데이터가 갱신된다.
<실시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지만, 청구항에 기재된 구성 요건과,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구체예와의 대응 관계를 예시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이 기재는,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을 서포트하는 구체예가, 발명의 실시 형태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실시 형태 중에는 기재되어 있지만, 구성 요건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여기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는 구체예가 있었다고 하여도, 그것은, 그 구체예가, 그 구성 요건에 대응하는 것이 아닌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반대로, 구체예가 구성 요건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여기에 기재되어 있었다고 하여도, 그것은, 그 구체예가, 그 구성 요건 이외의 구성 요건에는 대응하지 않는 것인 것을 의미하는 것도 아니다.
또한, 이 기재는, 발명의 실시 형태에 기재되어 있는 구체예에 대응하는 발명이, 청구항에 모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바꾸어 말하면, 이 기재는, 발명의 실시 형태에 기재되어 있는 구체예에 대응하는 발명으로, 이 출원의 청구항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는 발명의 존재, 즉, 장래, 분할 출원되거나, 보정에 의해 추가되는 발명의 존재를 부정하거나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콘텐츠를 형성하는 소재 데이터(예를 들면, 도 4의 화상 데이터 파일 또는 음성 데이터 파일), 및 상기 소재 데이터에 부가되는 메타 데이터(예를 들면, 도 4의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파일 또는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파일)에 의해 구성되는 콘텐츠 데이터(예를 들면, 도 4의 클립 디렉토리)를 처리하는 정보 처리 장치(예를 들면, 도 1의 편집 장치)가 제공된다. 이 정보 처리 장치는, 소재 데이터에 대하여 데이터를 실제로 갱신하는 파괴 편집(예를 들면, 도 14의 파괴 편집 처리)을 행하는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수단(예를 들면, 도 18의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부)와,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수단에 의한 소재 데이터의 파괴 편집에 의해 영향을 받는 메타 데이터를 특정하는 메타 데이터 특정 수단(예를 들면, 도 18의 갱신 메타 데이터 특정부)와, 메타 데이터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메타 데이터를 갱신하는 메타 데이터 갱신 수단(예를 들면, 도 18의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부 및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부)를 구비한다.
기록 매체(예를 들면, 도 1의 광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를 판독하는 콘텐츠 데이터 판독 수단(예를 들면, 도 18의 클립 판독부)과,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기입하는 콘텐츠 데이터 기입 수단(예를 들면, 도 18의 클립 기입부)을 더 구비하며,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수단은, 콘텐츠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기록 매체에 의해 판독된 콘텐츠 데이터의 소재 데이터를 파괴 편집하고, 콘텐츠 데이터 기입 수단은,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수단에 의해 파괴 편집된 소재 데이터, 및 메타 데이터 갱신 수단에 의해 갱신된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기입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수단은, 소재 데이터를 파괴 편집함과 함께, 소재 데이터에 부가되는 식별 정보(예를 들면, 도 8의 확장 UMID)를 갱신하고, 메타 데이터 특정 수단은,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수단에 의해 파괴 편집되는 소재 데이터의 식별 정보를 갖는 메타 데이터를 특정하고, 메타 데이터 갱신 수단은, 메타 데이터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메타 데이터에 포함되는,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수단에 의해 파괴 편집되는 소재 데이터의 식별 정보를,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수단에 의해 갱신된 식별 정보로 갱신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메타 데이터 갱신 수단은, 소재 데이터에 부가되는 메타 데이터 중에서, 소재 데이터의 재생 시에서의 메타 데이터의 재생에 리얼타임성이 요구되는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예를 들면, 도 4의 리얼 메타 데이터 파일)를 갱신하는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 수단(예를 들면, 도 18의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부)과, 소재 데이터에 부가되는 메타 데이터 중에서, 소재 데이터의 재생 시에서의 메타 데이터의 재생에 리얼타임성이 요구되지 않는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예를 들면, 도 4의 논 리얼 메타 데이터 파일)을 갱신하는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 수단(예를 들면, 도 18의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부)을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수단에 의한 파괴 편집에 맞추어서, 소재 데이터의 저해상도의 데이터인 프록시 데이터(예를 들면, 도 4의 로우 레졸루션 데이터 파일)를 갱신하는 프록시 데이터 갱신 수단(예를 들면, 도 18의 프록시 데이터 갱신부)을 더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수단에 의한 파괴 편집에 맞추어서, 콘텐츠 데이터에 포함되는 각 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 정보(예를 들면, 도 4의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를 갱신하는 관리 정보 갱신 수단(예를 들면, 도 18의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 갱신부)을 더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메타 데이터 갱신 수단에 의한 메타 데이터의 갱신을 행하는지의 여부를 유저에게 확인하는 갱신 확인 수단(예를 들면, 도 18의 갱신 확인 처리부)을 더 구비하며, 메타 데이터 갱신 수단은, 유저가 갱신을 허가한 경우에만, 메타 데이터를 갱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저는, 본래, 갱신이 필요한 메타 데이터의 일부만을 갱신할지, 또는 전부를 갱신할지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갱신 확인 수단에 의한 확인의 결과, 유저가 갱신을 허가하지 않는 경우, 파괴 편집된 소재 데이터와, 소재 데이터에 대응하는 메타 데이터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부정합에 관한 정보인 부정합 정보를 생성하는 부정합 정보 생성 수단(예를 들면, 도 18의 부정합 정보 생성부)을 더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콘텐츠를 형성하는 소재 데이터(예를 들면, 도 4의 화상 데이터 파일 또는 음성 데이터 파일), 및 상기 소재 데이터에 부가되는 메타 데이터(예를 들면, 도 4의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파일 또는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파 일)에 의해 구성되는 콘텐츠 데이터(예를 들면, 도 4의 클립 디렉토리)를 처리하는 정보 처리 장치(예를 들면, 도 1의 편집 장치)의 정보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이 정보 처리 방법은, 소재 데이터에 대하여 데이터를 실제로 갱신하는 파괴 편집(예를 들면, 도 14의 파괴 편집 처리)을 행하는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스텝(예를 들면, 도 21의 스텝 S33)과,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스텝의 처리에 의한 소재 데이터의 파괴 편집에 의해 영향을 받는 메타 데이터를 특정하는 메타 데이터 특정 스텝(예를 들면, 도 21의 스텝 S34)과, 메타 데이터 특정 스텝의 처리에 의해 특정된 메타 데이터를 갱신하는 메타 데이터 갱신 스텝(예를 들면, 도 21의 스텝 S39 또는 도 22의 스텝 S55)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콘텐츠를 형성하는 소재 데이터(예를 들면, 도 4의 화상 데이터 파일 또는 음성 데이터 파일), 및 상기 소재 데이터에 부가되는 메타 데이터(예를 들면, 도 4의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파일 또는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파일)에 의해 구성되는 콘텐츠 데이터(예를 들면, 도 4의 클립 디렉토리)에 관한 처리를 컴퓨터(예를 들면, 도 1의 편집 장치)에 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이 프로그램은, 소재 데이터에 대하여 데이터를 실제로 갱신하는 파괴 편집(예를 들면, 도 14의 파괴 편집 처리)을 행하는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스텝(예를 들면, 도 21의 스텝 S33)과,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스텝의 처리에 의한 소재 데이터의 파괴 편집에 의해 영향을 받는 메타 데이터를 특정하는 메타 데이터 특정 스텝(예를 들면, 도 21의 스텝 S34)과, 메타 데이터 특정 스텝의 처리에 의해 특정된 메타 데이터를 갱신하는 메타 데이터 갱신 스텝(예를 들면, 도 21의 스텝 S39 또는 도 22의 스텝 S55)을 포함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프로그램 제작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서, 프로그램 제작 시스템(1)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방송 등에서 방송되는 프로그램(콘텐츠)을 제작하는 시스템이다. 프로그램 제작 시스템(1)은, 캠코더(11) 및 편집 장치(13)를 갖고 있다.
캠코더(11)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얻어진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 등의 소재 데이터(21)나 그 메타 데이터(22) 등을 기록 매체인 광 디스크(12)에 기록하는 장치이고, 프로그램 제작 행정의 1개인 취재 작업에 이용된다.
편집 장치(13)는, 광 디스크(12)에 기록되어 있는 소재 데이터(21)나 메타 데이터(22)를 편집하여, 예를 들면 복수의 데이터를 이음매 정합하거나, 불필요한 부분을 삭제하거나, 음성을 삽입하거나, 자막 등의 문자 데이터를 삽입하는 것으로 하여, 콘텐츠로서 완성된 데이터인 완전 패키지 데이터(23)를 생성하는 장치로서, 프로그램 제작 행정의 1개인 편집 작업에 이용된다.
광 디스크(12)는, 예를 들면 CD(Compact Disc)나 DVD(Digital Versatile Disc) 등의 대용량 기록 매체로서, 소재 데이터(21)나 메타 데이터(22) 등을 기록한다. 이 광 디스크(12)는, 랜덤 액세스 가능한 기록 매체이고, 각 데이터를 파일로서 비시계열적으로(비선형으로) 관리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편집 장치(13)는, 메타 데이터(12)에 기록되어 있는 임의의 파일에 대하여, 그 기록순에 관계 없이 액세스 가능하게 된다.
즉, 프로그램 제작 시스템(1)에서, 캠코더(11)와 편집 장치(13)는, 랜덤 액세스 가능한 광 디스크(12)를 통하여 소재 데이터(21)나 메타 데이터(22)를 교환한다.
도 2는, 도 1의 광 디스크(12)의 기록 영역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에서, 광 디스크(12)의 기록 영역(30)은, 교체 영역(31), 파일 시스템(32A, 32B),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영역(NRT(Non Real Time) 영역)(33), 및 클립 영역(34)을 갖는다.
교체 영역(31)은, 그 외의 영역에, 상처, 오염, 제조 불량, 또는 기록 수명 등에 의한 읽기 및 쓰기 불량 영역이 발생한 경우, 읽기 및 쓰기 불량 영역의 대체로서 이용되는 영역이다. 파일 시스템(32A, 32B)은, NRT 영역(33)이나 클립 영역(34)에 기록된 데이터를 파일로서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가 기록된다.
NRT 영역(33)은, 클립 영역(34)에 기록되는 클립에 대응하는 메타 데이터인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NRT: Non Real Time metadata)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이다. 클립이란, 1개의 콘텐츠를 형성하는 데이터의 집합이고, 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화상 데이터의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메타 데이터로 구성되는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RT: Real Time metadata), 및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의 저해상도의 데이터인 프록시 데이터 등에 의해 구성된다.
클립이란, 촬영자가 촬상을 개시하여 종료하기까지의 1회의 촬상 처리를 나 타내는 단위이다. 즉, 1개의 클립의 화상 신호는, 통상적으로, 복수의 프레임의 화상 신호로 이루어진다. 또한, 클립은, 1회의 촬상 처리를 나타내는 것 뿐만 아니라, 그 촬상 처리의 촬상 개시로부터 촬상 종료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경우에도 이용된다. 또한, 클립은, 그 1회의 촬상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화상 데이터의 길이나 데이터량을 나타내거나, 그 화상 데이터 자체를 나타내기도 하는 경우에도 이용되고, 그 1회의 촬상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또는 관련되는) 각종 데이터의 길이나 데이터량을 나타내거나, 그 각종 데이터의 집합체 그 자체를 나타내기도 하는 경우에도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클립에 포함되는 데이터로서, 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의 소재 데이터 외에, 그 소재 데이터에 관련하는 각종 메타 데이터, 그 소재 데이터의 저해상도의 데이터인 프록시 데이터, 또는 그 소재 데이터의 재생 방법 등을 제어하는 플레이 리스트 데이터 등도 포함된다.
예를 들면, 도 1의 취재 작업에서, 캠코더(11)가 행하는 1회의 촬영(녹화 개시로부터 녹화 종료까지)에 의해 얻어지는 데이터군이 1개의 클립이다. 또한, 예를 들면 편집 장치(13)에서의 편집 작업에 의해 복수의 화상 데이터가 이음매 정합된 경우, 그 편집 결과로 되는 1개의 화상 데이터(및 그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각 데이터)가 1개의 클립으로 된다.
클립의 소재 데이터에 부가되는 메타 데이터로서는, 그 판독 처리에서 리얼타임성이 요구되는 내용의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와, 그 판독 처리에서 리얼타임성이 요구되지 않는 내용의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가 존재한다.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RT)로서는, 예를 들면 화상 신호의 프레임의 위치를 시, 분, 초 등의 소정의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하는 LTC(Linear Time Code), 각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이고, 파일의 선두 프레임로부터의 상대적인 위치 정보인 FTC(File Time Code), 그 프레임의 화상 신호의 신호 특성을 나타내는 유저 비트(UB: User Bit), 프레임을 식별하기 위한 ID인 UMID(Unique Material Identifier), 비디오 카메라에 의한 촬상이 행해진 위치를 나타내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의 정보, 화상 신호나 음성 신호 등의 엣센스 데이터의 내용에 관한 정보이다 엣센스 마크, ARIB(Association of Radio Industries and Businesses) 메타 데이터, 촬상이 행해진 비디오 카메라의 설정/제어 정보 등이 있다. 또한, ARIB 메타 데이터는, 표준화 단체인 ARIB에서 표준화된, SDI(Serial Digital Interface) 등의 통신 인터페이스용 메타 데이터이다. 또한, 비디오 카메라의 설정/제어 정보란, 예를 들면 IRIS(아이리스) 제어값이나, 화이트 밸런스/블랙 밸런스의 모드, 렌즈의 줌이나 포커스에 관한 렌즈 정보 등의 정보이다.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는, 클립 전체에 대한 메타 데이터이다.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NRT)로서는, 예를 들면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LTC를 프레임 번호(FTC)에 대응시킨 변환 테이블, UMID, GPS의 정보, 또는 그 밖의 정보 등이 있다. 또한, 프레임이란, 화상 신호의 단위이고, 1 화면분의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또는, 그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각종 데이터)의 것이다. 또한, 클립이란, 촬영자가 촬상을 개시하여 종료하기까지의 1회의 촬상 처리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즉, 1개의 클립의 화상 신호는, 통상적으로, 복수의 프레임의 화상 신호로 이루어 진다.
이러한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및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는, 어떠한 단위의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부가되어도 된다. 이하에서는,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가 프레임마다 화상 데이터에 부가되고,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가 클립마다 화상 데이터에 부가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즉, 이하에서는,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는, 화상 신호에 대하여, 프레임마다 부가되는 프레임 메타 데이터이고, 부가된 프레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는, 화상 신호에 대하여, 클립마다 부가되는 클립 메타 데이터이고, 부가된 클립 전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통상적으로, 화상 데이터는, 클립마다 파일화되어, 파일 시스템에 의해 관리된다. 이러한 경우,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마다의 메타 데이터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와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는, 전술한 이외의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와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에서 동일한 내용의 데이터를 포함시키도록 하여도 되고, 전술한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로서의 각 데이터를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로 하여도 되고, 반대로,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로서 전술한 각 데이터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로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엣센스 마크, ARIB 메타 데이터, 또는 비디오 카메라의 설정/제어 정보 등을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로 하여도 되고,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및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의 양방에 포함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UMID나 GPS의 정보 등을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에 포함시키도록 하여도 되고,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및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의 양방에 포함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 영역(34)에는, 예를 들면 클립(34A), 클립(34B), … 등과 같이, 각 클립의 데이터가 순서대로 기록된다. 도 2에서, 클립 영역(34)의 클립이 아직 기록되어 있지 않는 영역은 미사용 영역(34C)이다. 또한, 클립(34A)은, 클립(34A)에 속하는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보디 A, 푸터 정보 F_A, 및 헤더 정보 H_A에 의해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클립(34B)은, 클립(34B)에 속하는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보디 B, 푸터 정보 F_B, 및 헤더 정보 H_B에 의해 구성된다.
광 디스크(12)에서는, 파일 시스템(32A, 32B)의 관리 정보에 의해, 각 데이터는 파일로서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관리된다.
광 디스크(12)에 기록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파일 시스템으로서는, 어떠한 방식의 것을 이용하여도 되고, 예를 들면 UDF(Universal Disk Format)이나 ISO9660(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9660) 등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광 디스크(12) 대신에 하드디스크 등의 자기 디스크를 이용한 경우, 파일 시스템으로서, FAT(File Allocation Tables), NTFS(New Technology File System), HFS(Hierarchical File System), 또는 UFS(Unix(등록상표) File System) 등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전용의 파일 시스템을 이용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파일 시스템에서는, 광 디스크(12)에 기록된 데이터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디렉토리 구조 및 파일에 의해 관리된다.
도 3에서, 루트 디렉토리(ROOT)(51)에는,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 등의 소재 데이터에 관한 정보, 및 소재 데이터의 편집 결과를 나타내는 에디트 리스트 등이, 하위의 디렉토리에 배치되는 PROAV 디렉토리(52)가 설치된다. 또한, 루트 디렉토리(51)에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구성표 데이터 등도 설치된다.
PROAV 디렉토리(52)에는, 디스크 메타 파일(DISCMETA.XML)(53), 광 디스크(12)에 기록되어 있는 모든 클립 및 에디트 리스트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 등을 포함하는 인덱스 파일(INDEX.XML)(54), 그 복제의 인덱스 파일(INDEX.BUP)(55), 디스크 인포메이션 파일(DISCINFO.XML)(56), 그 복제의 디스크 인포메이션 파일(DISKINFO.BUP)(57), 클립의 데이터가 하위의 디렉토리에 설치되는 클립 루트 디렉토리(CLPR)(58), 및 에디트 리스트의 데이터가 하위의 디렉토리에 설치되는 에디트 리스트 루트 디렉토리(EDTR)(59)가 설치된다.
클립 루트 디렉토리(58)에는, 광 디스크(12)에 기록되어 있는 클립의 데이터가, 클립마다 다른 디렉토리로 나누어서 관리되어 있고, 예를 들면 도 3의 경우, 3개의 클립의 데이터가, 클립 디렉토리(C0001)(61), 클립 디렉토리(C0002)(62), 및 클립 디렉토리(C0003)(63)의 3개의 디렉토리로 나누어지고 관리되어 있다. 즉, 광 디스크(12)에 기록된 최초의 클립의 각 데이터는, 클립 디렉토리(61)의 하위의 디렉토리의 파일로서 관리되어, 2번째로 광 디스크(12)에 기록된 클립의 각 데이터는, 클립 디렉토리(62)의 하위의 디렉토리의 파일로서 관리되어, 3번째로 광 디스크(12)에 기록된 클립의 각 데이터는, 클립 디렉토리(63)의 하위의 디렉토리의 파일로서 관리된다.
또한, 에디트 리스트 루트 디렉토리(59)에는, 광 디스크(12)에 기록되어 있는 에디트 리스트가, 그 편집 처리마다 다른 디렉토리로 나누어서 관리되어 있고, 예를 들면 도 3의 경우, 4개의 에디트 리스트가, 에디트 리스트 디렉토리(E0001)(64), 에디트 리스트 디렉토리(E0002)(65), 에디트 리스트 디렉토리 (E0003)(66), 및 에디트 리스트 디렉토리(E0004)(67)의 4개의 디렉토리에 나뉘어 관리되어 있다. 즉, 광 디스크(12)에 기록된 클립의 1회째의 편집 결과를 나타내는 에디트 리스트는, 에디트 리스트 디렉토리(64)의 하위의 디렉토리의 파일로서 관리되고, 2회째의 편집 결과를 나타내는 에디트 리스트는, 에디트 리스트 디렉토리(65)의 하위의 디렉토리의 파일로서 관리되고, 3회째의 편집 결과를 나타내는 에디트 리스트는, 에디트 리스트 디렉토리(66)의 하위의 디렉토리의 파일로서 관리되고, 4회째의 편집 결과를 나타내는 에디트 리스트는, 에디트 리스트 디렉토리(67)의 하위의 디렉토리의 파일로서 관리된다.
전술한 클립 루트 디렉토리(58)에 설치되는 클립 디렉토리(61)의 하위의 디렉토리에는, 최초로 광 디스크(12)에 기록된 클립의 각 데이터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일로서 설치되고, 관리된다.
도 4의 경우, 클립 디렉토리(61)에는, 이 클립을 관리하는 파일인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C0001C01.SMI)(71), 이 클립의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인 화상 데이터 파일(C0001V01.MXF)(72), 각각 이 클립의 각 채널의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8개의 파일인 음성 데이터 파일(C0001A01.MXF 내지 C0001A08.MXF)(73 내지 80), 이 클립의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저해상도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인 프록시 데이터 파일(C0001S01.MXF)(81), 이 클립 전체에 대응하는 메타 데이터이고, 예를 들면 LTC(Linear Time Code)와 프레임 번호를 대응시키는 변환 테이블 등의, 리얼타임성이 요구되지 않는 메타 데이터인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인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파일(C0001M01.XML)(82), 이 클립의 화상 데이터의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메타 데이터로, 예를 들면 LTC 등의, 리얼타임성이 요구되는 메타 데이터인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인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파일(C0001R01.BIM)(83), 및 화상 데이터 파일(72)의 프레임 구조(예를 들면,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등에서의 픽쳐마다의 압축 형식에 관한 정보나, 파일의 선두로부터의 오프셋 어드레스 등의 정보)가 기술된 파일인 픽쳐 포인터 파일(C0001I01.PPF)(84) 등의 파일이 설치된다.
도 4의 경우, 재생 시에 리얼타임성이 요구되는 데이터이다, 화상 데이터, 프록시 데이터, 및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는, 각각 1개의 파일로서 관리되어, 판독 시간이 증가하지 않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음성 데이터도, 재생 시에 리얼타임성이 요구되지만, 7.1 채널 등과 같은 음성의 다채널화에 대응하기 위해, 8 채널준비되고, 각각, 다른 파일로서 관리되어 있다. 즉, 음성 데이터는 8개의 파일로서 관리되도록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음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파일은, 7개 이하라도 되고, 9개 이상이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화상 데이터, 프록시 데이터, 및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도, 경우에 따라서, 각각, 2개 이상의 파일로서 관리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도 4에서, 리얼타임성이 요구되지 않는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는, 리얼타임성이 요구되는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와 다른 파일로서 관리된다. 이것은, 화상 데이터 등의 통상의 재생중에 필요가 없는 메타 데이터를 판독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재생 처리의 처리 시간이나, 처리에 필요한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파일(82)은, 범용성을 갖게 하기 위해서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식으로 기술되어 있지만,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파일(83)은, 재생 처리의 처리 시간이나 처리에 필요한 부하를 경감시키기 위해서, XML 형식의 파일을 컴파일한 BIM 형식의 파일이다.
도 4에 도시된 클립 디렉토리(61)의 파일의 구성예는, 광 디스크(12)에 기록되어 있는 각 클립에 대응하는 모든 클립 디렉토리에서 적용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그 외의 클립 디렉토리(62, 63)에서도, 도 4에 도시된 파일의 구성예를 적용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 3의 에디트 리스트 루트 디렉토리(59)의 하위의 디렉토리에서의 파일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에디트 리스트 루트 디렉토리(59)에 설치되는 에디트 리스트 디렉토리(65)의 하위의 디렉토리에는, 광 디스크(17)에 기록된 클립의 각 데이터의 2회째의 편집 결과에 관한 정보인 에디트 리스트의 데이터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일로서 설치되고, 관리된다.
도 5의 경우, 에디트 리스트 디렉토리(65)에는, 이 편집 결과(에디트 리스트)를 관리하는 파일인 에디트 리스트 파일(E0002E01.SMI)(91), 이 편집 후의 소재 데이터(편집에 이용된 전체 클립의 소재 데이터 중에서, 편집 후의 데이터로서 추출된 부분) 전체에 대응하는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또는 그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새롭게 생성된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인 에디트 리스트용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파일(E0002M01.XML)(92), 플레이 리스트 파일(E0002P01.SMI)(93), 플레이 리스트용 픽쳐 포인터 파일(C0001I01.PPF)(94), 플레이 리스트용 화상 데이터 파일(E0002V01.BMX)(95), 플레이 리스트용 음성 데이터 파일(E0002A01.BMX 내지 E0002A04.BMX)(96 내지 99), 플레이 리스트용 프록시 데이터 파일(E0002S01.BMX)(100), 및 플레이 리스트용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파일(E0002R01.BBM)(101) 등의 파일이 설치된다.
도 5에서, 리얼타임성이 요구되지 않는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는, 리얼타임성이 요구되는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와 다른 파일로서 관리된다. 이것은, 재생 수순(플레이 리스트)을 이용하여 화상 데이터 등을 재생 중에(편집 결과의 재현 중에), 필요가 없는 메타 데이터를 판독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재생 처리의 처리 시간이나, 처리에 필요한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에디트 리스트용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파일(92)은, 편집 결과에 기초하여, 편집에 사용된 클립의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클립 루트 디렉토리(58)의 하위의 디렉토리에 존재하는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파일)에 기초하여 생성된 새로운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이다. 예를 들면, 편집이 행해지면, 도 4의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파일(82)에 포함되는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로부터, 편집 후의 소재 데이터에 대응하는 부분이 추출되어, 이들을 이용하여, 편집 후의 소재 데이터를 1 클립으로 하는 새로운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가 재구성되어, 에디트 리스트용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파일로서 관리된다. 즉, 편집 후의 소재 데이터에는, 편집 후의 소재 데이터를 1클립으로 하는 새로운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가 부가되어, 그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가 1개의 에디트 리스트용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파일로서 관리된다. 따라서, 이 에디트 리스트용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파일은, 편집마다 생성된다.
또한, 이 에디트 리스트용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파일(92)은, 범용성을 갖게 하기 위해서, XML 형식으로 기술된다.
또한, 화상 데이터, 프록시 데이터, 및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는, 경우에 따라서, 각각, 복수의 파일로서 관리되도록 하여도 된다. 마찬가지로, 음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파일의 수는, 3개 이하라도 되고, 5개 이상이어도 된다.
도 5에 도시된 에디트 리스트 디렉토리(65)의 파일의 구성예는, 모든 에디트 리스트(편집 결과)에서 적용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그 외의 에디트 리스트 디렉토리(64, 66, 또는 67)에서도, 도 5에 도시된 파일의 구성예를 적용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는, 용이하게 각 데이터를 각각 따로따로 편집(AV(Audio Visual) 독립 편집)할 수 있도록 화상 데이터 파일(72), 및 음성 데이터 파일(73 내지 80)과 같이 각각 독립한 파일로서 관리된다. 도 6은, 이와 같이 관리되는 화상 데이터 파일(72), 및 음성 데이터 파일(73 내지 80)의 포맷(AV 독립 포맷)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AV 독립 포맷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데이터나 오디오 데이터가, 각각 통합하여 배치된 파일로 된다.
또한, AV 독립 포맷의 비디오 파일의 보디에는, 광 디스크(12)의 섹터 길이의 정수배의 픽쳐 아이템이 통합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보디 전체의 크기도, 광 디스크(12)의 섹터 길이의 정수배로 되어 있다. 즉, AV 독립 포맷의 비디오 파일의 보디는, 섹터 얼라인먼트(sector alignment)가 된 크기로 되어 있다.
또한, MXF에서는, 인덱스 테이블은 옵션이고, 도 6의 비디오 파일에서는(후술하는 오디오 파일이라도 마찬가지임), 인덱스 테이블을 채용하지 않는다.
AV 독립 포맷에서는, WAVE 형식의 오디오 데이터(음성 데이터)가, 채널마다의 파일의 보디에, KLV(Key Length Value) 구조로 배치되고, 또한, 그 보디에, 헤더와 푸터가 부가되어, 오디오 파일이 구성된다.
즉, AV 독립 포맷에서는, 8 채널의 오디오 데이터에 대하여, 각 채널의 오디오 파일이, 독립적으로 구성된다. 각 채널의 오디오 파일은, 그 채널의 오디오 데이터를 WAVE 형식으로 하고, 또한 통합하여 KLV 구조화한 것이, 보디에 배치되고, 또한, 그 보디에, 헤더와 푸터가 부가되어 구성된다.
또한, AV 독립 포맷의 오디오 파일의 보디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어떤 채널의 WAVE 형식의 오디오 데이터를 통합하여 KLV 구조화한 것이 배치되지만, 이 오디오 데이터 전체의 크기가, 광 디스크(12)의 섹터 길이의 정수배가 된다고는 한하지 않는다. 따라서, 섹터 얼라인먼트를 하기 위해서, AV 독립 포맷의 오디오 파일의 보디에는, KLV 구조의 오디오 데이터 후에, 섹터 얼라인먼트를 취하는 데 필요 한 만큼의 KLV 구조의 필러가 배치된다.
이상과 같이, AV 독립 포맷에서는, 비디오 데이터가 통합하여 비디오 파일에 배치됨과 함께, 각 채널의 오디오 데이터가 통합하여, 그 채널의 오디오 파일에 배치되므로,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 각각을 따로따로 편집하는 AV 독립 편집 등의 편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화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프록시 데이터, 및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의 각 데이터는, 광 디스크(12)에 기록될 때, 재생 시의 리얼타임성을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각각 소정의 시간마다 분할되어, 분할된 각종 데이터가 연륜 데이터로서 통합되고 기록된다.
즉, 광 디스크(12)에는, 각 데이터의 상호 대응하는 부분에서 구성되는 연륜 데이터가 연속하도록 기록된다.
도 7은, 도 4의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파일(C0001R01.BIM)(83)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파일(120)은, 재생을 위한 참조 정보가 저장되는 디코드 정보(DecoderInit)(121)와 메타 데이터 본체인 이니셜 디스크립션(Initial Description)(122)에 의해 구성된다.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의 각 프레임에 부가되는 메타 데이터이다. 즉, 리얼 메타 데이터 파일(120)은, 각 프레임에 대한 메타 데이터(프레임 유닛(FUU(Fragment Update Unit)))의 집합으로서 구성된다. 이니셜 디스크립션(122)은, 프레임 유닛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인 프레임 유닛수 정보(Number of FUU)(123)를 갖고, 그 프레임 유닛수 정보(123)에 계속해서, FUU(124A), FUU(124B), FUU(124C), FUU(124D), …와 같이, 각 프레임에 대한 프레임 유닛이 연속한다. 또한, 선두의 FUU(124A)는, 선두 정보를 나타내는 FUU이고,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타깃 머티리얼 필러로서 구성된다. 이 FUU(124A)에 계속해서, 화상 데이터의 선두 프레임인 프레임 번호 0의 프레임에 대한 FUU(124B)가 배치되고, 또한 계속해서, 프레임 번호 1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FUU(124C), 프레임 번호 2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FUU(124D), …와 같이 구성된다. 또한, 프레임 유닛수 정보(123)의 값은, 이상의 구성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의 프레임수+1」로 된다.
프레임 유닛에는, 예를 들면 대응하는 프레임의 LTC, 대응하는 프레임의 UMID, 및 대응하는 프레임의 엣센스 마크 등의 정보에 의해 구성되는 KLV 패킷 등이 기술된다.
도 8은, 그 UMID의 기본적인 구성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에서 확장 UMID(131)는, 64 바이트의 식별 정보로서, 화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메타 데이터 등, 모든 소재를 글로벌 유니크하게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이다. UMID에는, 최저한 필요한 기본 정보를 포함하는 기본 UMID(132)와, 기본 UMID(132)에 확장 정보인 소스팩(133)을 부가한 확장 UMID(131)가 존재한다.
즉, 64 바이트의 확장 UMID(131)는, 32 바이트의 기본 UMID(132)과, 32 바이트의 소스팩(133)에 의해 구성된다. 기본 UMID(132)는, 12 바이트의 유니버설 라벨(141), 1 바이트의 데이터 길이(142), 3 바이트의 인스턴스 번호(143), 및 16 바이트의 머티리얼 번호(144)에 의해 구성된다.
유니버설 라벨(141)에는, 이 ID가 SMPTE(Society of Motion Picture and Television Engineers)로 정의된 UMID인 것을 나타내는 보편적인 라벨 정보가 저장된다. 유니버설 라벨(141)은, 10 바이트의 UMID를 나타내는 고정 헤더와, 1 바이트의, 이 UMID가 할당되는 대상 AV 소재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와, 1 바이트의 UMID의 각 필드값의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정보에 의해 구성된다. 데이터 길이(142)에는, 이 UMID의 데이터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즉, 데이터 길이(142)의 값은, 기본 UMID인 경우 32 바이트가 되어, 확장 UMID인 경우 64 바이트가 된다. 인스턴스 번호(143)는, 인스턴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하는 필드이고, 여기에는 머티리얼 번호(144)의 값이 동일한 소재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가 저장된다. 예를 들면, 동일한 데이터를 복수회 카피(복제)한 경우에, 그 복제 방법에 의해서 인스턴스 번호(143)의 값을 변경하여 식별함으로써, 이들의 복제된 데이터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이 인스턴스 번호(143)에 의해 UMID를 소재의 글로벌 유니크한 식별 이외의 식별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머티리얼 번호(144)는, 글로벌 유니크하게 소재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가 저장되는 필드이고, 시각 정보인 타임 스냅, 글로벌 유니크한 장치 식별 정보, 및 난수에 의해 구성된다.
소스팩(133)은, 기본 UMID(132)에 대한 확장 정보이고, 8 바이트의 시각 정보(145), 12 바이트의 위치 정보(146), 및 12 바이트의 인물 정보(147)에 의해 구성된다.
시각 정보(145), 위치 정보(146), 및 인물 정보(147)는, 모두, UMID를 할당 하는 소재의 생성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즉, 시각 정보(145)에는 생성 시각이, 위치 정보(146)에는 생성한 장소를 나타내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가, 인물 정보(147)에는 생성한 인물에 관한 정보가, 각각 저장된다.
도 9는, KLV 패킷의 기본적인 구성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에서, KLV 패킷(150)은, 키 데이터(Key)(151), 길이 데이터(Length)(152), 및 밸류 데이터(Value)(153)로 이루어지는 KLV 부호화된 데이터이다. 이 포맷은, SMPTE335M/RP214에 준거하고 있다.
KLV 패킷(150)의 키 데이터(151)는, KLV 부호화된 데이터 항목을 나타내는 식별자이다. 이 식별자에는, SMTPE의 메타 데이터 사전에 정의된, 각 종 데이터 항목에 대응하는 식별자가 이용된다. KLV 패킷(150)의 길이 데이터(152)는, 밸류 데이터(153)의 길이를 바이트 단위로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KLV 패킷(150)의 밸류 데이터(153)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문서 등과 같이, 텍스트 데이터 등의 데이터 본체로 이루어지는 데이터이다. 즉, KLV 패킷(150)은, 키 데이터(151)에 도시된 데이터 항목의 데이터이고, 길이 데이터(152)에 도시된 데이터 길이의 데이터이고, 또한 밸류 데이터(153)에 도시된 데이터를 부호화한 것이다.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에 포함되는 각 데이터는, 이러한 데이터 구조의 KLV 패킷이다, 전술한 각 종 데이터에 의해 구성된다. 이들의 복수의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는, 그 각 데이터의 내용으로부터, 크게는, 필수 부분과 선택 부분의 2개로 나누어진다. 필수 부분은, 전 프레임에 대응하는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이고, LTC, 유저 비트, UMID, 및 엣센스 마크 등의 그 밖의 KLV 데이터를 포함하는 각 종 데이터에 의해 구성되고, 선택 부분은, 필요에 따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로 구성된다. 선택 부분에 포함되는 데이터로서, 예를 들면 ARIB 메타 데이터나 비디오 카메라의 설정/제어 정보 등의 데이터 등이 있다.
또한, 이 필수 부분과 선택 부분의 각각의 데이터 길이는, 모두 미리 정해진 고정 길이이다. 또한,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는, SDI 등의 동기계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한 데이터 전송에 대응하기 위해, 리얼타임성이 요구되는 데이터일 필요가 있기 때문에, 광 디스크(12) 등에 고속으로 기입 및 판독을 할 수 있도록, 필수 부분(및 선택 부분)을 BIM(BInary Format for MPEG-7) 형식의 1개의 파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3의 인덱스 파일(54)에 대하여 설명한다. 인덱스 파일은, 광 디스크(12) 내에 기록된 파일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파일이고, 클립 루트 디렉토리의 밑에 저장되는 클립에 대해서는, 클립 테이블로서 기술되어 있다. 클립 테이블에는, 관리하는 클립이 UMID를 이용하여 지정되어 있다. 또한, 그 클립을 구성하는 각 데이터도 각각의 UMID를 이용하여 지정된다. 또한, 인덱스 파일은, 에디트 리스트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관리하고, 에디트 리스트의 UMID를 이용하여 관리하는 에디트 리스트를 지정한다.
다음으로, 도 4의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파일(82)에 포함되는 정보에 대하여 설명한다.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파일(82)은, 그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파일(82)과 동일한 클립 디렉토리 내에 존재하는 화상 데이터 파일이나 음성 데 이터 파일에 관한, 리얼타임성이 요구되지 않는, 그 클립 전체에 대한 부가 정보이다.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파일(82)에서는, 그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파일(82)이 부가되는 클립(클립 인포메이션 파일(71))의 UMID, LTC의 변화가 비선형으로 되는 프레임의 일람 정보인 LTC 변화점 테이블(LtcChangeTable)이 포함된다. 또한, 클립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인 「릴 번호」 등에 의해 구성되는 티피컬 유저 비트(TypicalUbit)도 포함된다. 또한,「릴 번호」는, 클립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용되는 정보이고, VTR 에서 빈번하게 이용되어 있던 정보이다.
또한,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파일(82)에는, 화상 데이터의 각 프레임의 UMID(BodyUmid)에 포함되는 기본 정보인 기본 UMID(Basic)의 값이 변화하는 프레임의 일람 정보인 기본 UMID 변화점 테이블(BodyUmidBasicChangeTable), 화상 데이터의 각 프레임의 UMID(BodyUmid)의 시각 정보(When)의 값이 변화하는 프레임의 일람 정보인 시각 정보 변화점 테이블(BodyUmidWhenChangeTable), 화상 데이터의 각 프레임의 UMID(BodyUmid)의 위치 정보(Where)의 값이 변화하는 프레임의 일람 정보인 위치 정보 변화점 테이블(BodyUmidWhereChangeTable), 및 화상 데이터의 각 프레임의 UMID(BodyUmid)의 인물 정보(Who)의 값이 변화하는 프레임의 일람 정보인 인물 정보 변화점 테이블(BodyUmidWhoChangeTable)이 포함된다.
또한,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파일(82)에는, KLV 패킷이 부가된 프레임의 일람 정보인 KLV 패킷 테이블(Klv Packet Table)도 포함된다. 또한, 화상 데이터 의 비디오 포맷에 관한 정보, 음성 데이터의 오디오 포맷에 관한 정보, 데이터의 기록이나 편집에 이용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에 관한 정보, 유저 정보,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파일(82)이 대응하는 클립의 타이틀 정보, 및 임의의 메모 정보(디스크립션) 등도 포함된다.
다음으로, 전술한 LTC 변화점 테이블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LTC 변화점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그래프에서, 횡축은 시각 T(프레임수)를 나타내고, 종축은 LTC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LTC는 타임 코드이기 때문에, 촬영 화상 데이터에서, 그 값은 통상 1 프레임씩 단조롭게 증가한다(선형으로 변화한다). 그러나, 예를 들면 편집 작업에 의해 복수의 클립이 연결되거나, 일부의 프레임이 삭제되거나, LTC의 값 자체가 편집되거나 하면, LTC의 값은, 반드시 선형으로 변화한다고는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단조 증가로부터 단조 감소로 변화하는 등, LTC의 값의 변화의 방법이 변하는 경우가 있다(비선형으로 변화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LTC의 값의 변화의 방법이 변하는 프레임을 변화점이라고 칭한다.
도 10에서, 예를 들면 프레임(161) 내지 프레임(164)이 변화점이다. 예를 들면, 프레임(161)의 경우, 그 직전까지는 1 프레임 진행할 때마다(횡축우측 방향로 진행할 때마다) LTC의 값이 소정량 증가(단조 증가)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프레임(161) 이후의 프레임에서는, 프레임이 진행되어도 LTC의 값은 변화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LTC의 값의 변화의 방법이 변하기 때문에, 프레임(161)은 변화점이다.
프레임(162) 내지 프레임(164)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그 전후로 LTC의 변화의 방법이 변하기 때문에 변화점으로 된다. 이 프레임(161) 내지 프레임(164)과 같은 변화점을 추출하여, 프레임 번호와 LTC의 값을 테이블화한 것이 LTC 변화점 테이블로 되고,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82)에 등록된다.
이러한 LTC 변화점 테이블은, 예를 들면 LTC에 기초하여 프레임을 검색할 때 등에 이용된다.
다음으로, 전술한 기본 UMID 변화점 테이블, 시각 정보 변화점 테이블, 위치 정보 변화점 테이블, 및 인물 정보 변화점 테이블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기본 UMID 변화점, 시각 정보 변화점, 위치 정보 변화점, 및 인물 정보 변화점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그래프에서, 횡축은 시각 T(프레임수)를 나타내고, 종축은 화상 데이터의 각 프레임의 UMID의 구성(Basic, When, Who, Where)를 나타내고 있다.
UMID의 구성은, 도 8에 도시된 대로이고, 기본 정보(Basic), 시각 정보(When), 위치 정보(Where), 및 인물 정보(Who)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 프레임에 할당된 UMID에서 이들의 정보가 변화하는 프레임이 변화점으로서 테이블화된다.
예를 들면, 도 11에서, 0 프레임으로부터 99 프레임까지의 프레임에는, UMID가 부가되어 있지 않고, 기본 정보(Basic), 시각 정보(When), 위치 정보(Where), 및 인물 정보(Who) 모두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100 프레임으로부터 199 프레임까지의 프레임에는, 기본 정보만을 갖고 있는 기본 UMID가 부가되어 있다. 따라서, 100 프레임은, 기본 정보(Basic)의 변화점으로 된다.
또한, 100 프레임으로부터 199 프레임까지의 프레임에는, 기본 정보만을 갖고 있는 기본 UMID가 부가되어 있지만, 200 프레임으로부터 299 프레임까지의 프레임에는, 기본 정보(Basic), 시각 정보(When), 위치 정보(Where), 및 인물 정보(Who)의 모두를 갖는 확장 UMID가 부가되어 있다. 따라서, 200 프레임은, 시각 정보(When), 위치 정보(Where), 및 인물 정보(Who)의 변화점으로 된다.
이러한 각 정보의 변화점이 추출되어, 각각, 변화점 테이블로서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82)에 등록된다.
다음으로, 전술한 KLV 패킷 테이블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KLV 패킷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의 횡축은 시각 T(프레임수)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12는, 어떤 프레임 번호의 프레임에 어떠한 KLV 패킷이 부가되어 있는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예를 들면, 도 12에서, 프레임 번호 「0」의 선두 프레임에는 「녹화 개시(RecStart)」를 나타내는 엣센스 마크가 KLV 패킷으로서 부가되어 있고, 프레임 번호 「200」 내지 「300」의 프레임에는 「Japan」이라는 문자열(키워드(KeyWords))이 KLV 패킷으로서 부가되어 있고, 프레임 번호 「400」의 프레임에는 「플래시(Flash)」가 모여들 수 있었던 것을 나타내는 엣센스 마크가 KLV 패킷으로서 부가되어 있고, 프레임 번호 「500」의 프레임에는 「일본어」를 나타내는 엣센스 마크가 KLV 패킷으로서 부가되어 있고, 프레임 번호 「600」 내지 「700」의 프레임에는 「US」라는 문자열(키워드(KeyWords))가 KLV 패킷으로서 부가되어 있고, 프레임 번호 「800」의 최종 프레임에는 「녹화 종료(RecEnd)」를 나타내는 엣센스 마크가 KLV 패킷으로서 부가되어 있다.
이러한 KLV 패킷이 부가된 프레임에 대한 정보가 테이블화되어,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82)에 등록된다.
또한, 전술한 화상 데이터의 비디오 포맷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의 포맷의 규격(port), 화상 데이터의 코덱의 규격(videoCodec), 녹화 시의 1초간의 프레임수(recFps), 재생 시의 1초간의 프레임수(playFps), 1 화면 화상의 화소수(pixel, num Of VerticalLine), 및 스캔 방식(VideoScan)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음성 데이터의 오디오 포맷은, 예를 들면 채널마다 오디오 포맷에 관한 정보로서, 음성 데이터의 채널 번호(cast), 신호의 신호 방식(port), 코덱 방식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데이터의 기록이나 편집에 이용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면 하드웨어의 제조 메이커명(manufacturer), 코드 번호(serialNO), 모델명(modelName), 하드웨어명(hardware), 및 소프트웨어의 버전 정보(software)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도 5의 에디트 리스트 파일에 대하여 설명한다. 에디트 리스트 파일는, 클립의 비파괴 편집의 편집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이고, 그 편집 결과의 재생 방법에 대해서도 기술되어 있다.
에디트 리스트 파일의 XML 기술은, 크게 나누어서, 헤더부와, 보디부에 의해 구성된다. 헤더부에는, 동일한 에디트 리스트 디렉토리에 존재하는 에디트 리스트 메타 데이터 파일의 정보가 기술되어 있고, 보디부에는, 편집에 이용되는 클립이 UMID를 이용하여 지정되어 있고, 그 클립을 이용한 편집 결과의 정보가 재생 방법과 동시에 기술되어 있다. 즉, 에디트 리스트 파일의 XML 기술에는, UMID에서 지정하는 클립의 비파괴 편집의 편집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은 구성의 데이터의 편집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1의 편집 장치(13)가 광 디스크(12)에 기록되어 있는 소재 데이터(21)나 메타 데이터(22)를 편집하는 경우, 편집 대상의 소재 데이터(21)나 메타 데이터(22)를 갱신하는 방법(파괴 편집)과, 편집 대상의 소재 데이터(21)나 메타 데이터(22)는 그대로로 하여, 편집 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새롭게 생성하는 방법(비파괴 편집)이 있다.
도 13은, 비파괴 편집의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광 디스크(12)의 기억 영역에서의 비파괴 편집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상단은 편집 전의 광 디스크(12)의 기억 영역의 구성을 나타내고, 하단은 편집 후의 광 디스크(12)의 기억 영역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3의 상단에서 클립(34A)의 보디 A의 일부분을 덮어쓰기하면, 비파괴 편집인 경우,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의 클립(34A)은 그대로로 되어, 미사용 영역(34C)에 클립(34A)의 덮어쓰기 결과인 클립(34A)'(보디 A', 푸터F_A', 및 헤더 H_A')가 새롭게 기록된다. 따라서, 비파괴 편집이 행하여지면, 편집 결과가 새롭게 기록되는 만큼, 미사용 영역(34C)의 용량이 적어진다. 단, 편집 전의 클립(34A)이 남겨져 있기 때문에, 유저는, 편집 후라도, 편집 전의 클립(34A)를 용이하 게 얻을 수 있다.
이것에 대하여, 도 14는, 파괴 편집의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광 디스크(12)의 기억 영역에서의 파괴 편집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상단은 편집 전의 광 디스크(12)의 기억 영역의 구성을 나타내어, 하단은 편집 후의 광 디스크(12)의 기억 영역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4의 상단에서 클립(34A)의 보디 A의 일부분을 덮어쓰기하면, 파괴 편집인 경우,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의 클립(34A)은, 갱신되어 덮어쓰기 결과인 클립(34A')(보디 A', 푸터F_A', 및 헤더 H_A')으로 된다. 따라서, 편집 전과 편집 후에 데이터량이 변화하지 않은 경우, 파괴 편집이 행해져도, 미사용 영역(34C)의 용량은 변화하지 않는다. 단, 편집 전의 클립(34A)이 남겨져 있지 않기 때문에, 유저는, 편집 후에 편집 전의 클립(34A)을 용이하게 얻을 수 없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광 디스크(12)에 기록되어 있는 소재 데이터(21)나 메타 데이터(22)는, 다른 데이터가 UMID를 이용하여 참조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파괴 편집인 경우, 복수의 파일에서 데이터의 내용을 공유하여 있을 때 뿐만 아니라, 편집 대상의 파일이 UMID를 이용하여 다른 파일에 참조되어 있을(링크되어 있을) 때, 그 링크를 유지하기 위해, 편집 대상의 파일의 UMID의 변화에 맞추어서, 그 파일을 참조하는 다른 파일도 갱신할 필요가 발생한다.
도 15는, 광 디스크(12)에서의, 각 파일의 참조 관계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에서, 실선의 화살표가 UMID를 이용한 참조 관계이고, 점선의 화살표가 디렉토리나 파일명 등을 이용한 참조 관계이고, 화살표의 방향이 참조하는 방향 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인덱스 파일(INDEX)(171)은, 클립(CLIP)(181) 내지 클립(CLIP)(184)(정확하게는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CLIPINFO)(191) 내지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CLIPINFO)(194)), 및 에디트 리스트 파일(EDITLIST)(185) 및 에디트 리스트 파일(EDITLIST)(186)의 각각을, UMID를 이용하여 참조하고 있다. 또한, 디스크 인포메이션 파일(DISCINFO)172은, 디렉토리나 파일명 등을 이용하여, 클립(181)(정확하게는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191)), 클립(183)(정확하게는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193)), 클립(184)(정확하게는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194)), 및 에디트 리스트 파일(186)를 참조하고 있다.
또한, 클립(181)에서,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191)은, UMID를 이용하여, 화상 데이터 파일(VIDEO)(201), 음성 데이터 파일(AUDIO)(202), 및 로우 레졸루션 데이터 파일(PROXY)(204)을 참조하고 있다. 또한,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191)은, 디렉토리나 파일명 등을 이용하여,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파일(RTMETA)(203)을 참조하고 있다. 또한, 클립(181)(정확하게는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191))은, 디렉토리나 파일명 등을 이용하여,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파일(NRTMETA)(211)을 참조하고 있다.
클립(182) 내지 클립(184)에 대해서도 클립(181)의 경우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예를 들면, 클립(182) 내지 클립(184)(정확하게는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192) 내지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194))은, 각각,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파일(212) 내지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파일(214)을 참조하고 있다.
또한, 에디트 리스트 파일(EDITLIST)(185)은, UMID를 이용하여, 클립(181) 내지 클립(183)(정확하게는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191) 내지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193))을 참조하고 있다. 즉, 에디트 리스트 파일(185)은, 클립(181) 내지 클립(183)의 편집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에디트 리스트 파일(185)은, 디렉토리나 파일명 등을 이용하여, 에디트 리스트용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파일(NRTMETA)(215)을 참조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에디트 리스트 파일(EDITLIST)(186)은, UMID를 이용하여, 클립(183) 및 클립(184)(정확하게는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193) 및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194))을 참조하고 있다. 즉, 에디트 리스트 파일(186)은, 클립(183) 및 클립(184)의 편집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에디트 리스트 파일(186)은, 디렉토리나 파일명 등을 이용하여, 에디트 리스트용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파일(NRTMETA)(216)을 참조하고 있다.
광 디스크(12)에서는, 이와 같이 각 파일이 다른 파일을 참조하고 있어, 복잡한 참조 관계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콘텐츠를 이용하여, 화상 데이터 파일(201) 및 음성 데이터 파일의 일부를 파괴 편집하면, 그 편집에 수반하여,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파일(203), 및 로우 레졸루션 데이터 파일(204)의 내용의 갱신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화상 데이터 파일(201)의 UMID가 변경됨으로써,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191)을 갱신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191)의 갱신에 의해서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191)의 UMID도 갱신되므로, 인덱스 파일 (171), 디스크 인포메이션 파일(172), 및 에디트 리스트 파일(185)의 갱신도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도 1의 편집 장치(13)는, 광 디스크(12)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파괴 편집하는 경우, 광 디스크(12) 내의 모든 파일의 참조 관계를 편집 후도 유지하여, 재생 시 등에서 부정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편집 대상의 파일뿐만 아니라, 그 파일을 참조하는 다른 파일도 갱신한다.
도 16은, 본 발명을 적용한 도 1의 편집 장치(13)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6에서, 편집 장치(13)는, 시스템 제어부(221), 조작 입력부(222), 제어 정보 입력부(223), 제어 정보 출력부(224), 입력부(231), 기록 신호 처리부(232), 정보 처리부(23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4), 메타 데이터 처리부(235), 드라이브 제어부(236), 픽업부(237), 스핀들 구동부(238), 재생 신호 처리부(239), 및 출력부(240)를 갖고 있다.
시스템 제어부(221)는, 편집 장치(13)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이고, 도시하지 않는 연산부, 제어부, 및 기억부 등을 갖고, 점선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 장치(13)를 구성하는 각 부의 제어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조작 입력부(222)는, 예를 들면 키보드나 버튼 등의 입력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되고, 유저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접수하여, 그 정보를 시스템 제어부(221)에 공급한다.
제어 정보 입력부(223)는, 편집 장치(13)의 외부로부터, 소재 데이터나 메타 데이터 등의 콘텐츠에 관한 정보 이외의 정보를 제어 정보로서 접수하고, 그것을 시스템 제어부(221)에 공급한다. 제어 정보 출력부(224)는, 시스템 제어부(221)에 공급되는 소재 데이터나 메타 데이터 등의 콘텐츠에 관한 정보 이외의 정보를 편집 장치(13)의 외부에 출력한다.
입력부(231)는, 편집 장치(13)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접수하는 처리부로서, 편집 장치(13)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소재 데이터(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 등)을 접수하는 소재 데이터 입력부(251)와, 편집 장치(13)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메타 데이터(리얼타임 메타 데이터나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등)을 접수하는 메타 데이터 입력부(252)를 갖고 있다. 소재 데이터 입력부(251)는, 입력된 소재 데이터를 기록 신호 처리부(232)에 공급하여, 메타 데이터 입력부(252)는, 입력된 메타 데이터를 기록 신호 처리부(232)에 공급한다.
기록 신호 처리부(232)는, 입력부(231)로부터 공급되는 소재 데이터나 메타 데이터 등에 대하여 신호 처리를 행하여, 각 데이터를 전송용의 포맷으로부터 기록용의 포맷으로 변환하는 등의 처리를 행한다. 기록 신호 처리부(232)는, 신호 처리한 데이터를 정보 처리부(233)에 공급한다.
정보 처리부(233)는, 시스템 제어부(221)에 제어되어, 소재 데이터의 편집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정보 처리부(233)는, 복수의 데이터를 다중화하는 정보 다중화부(253)와, 1개의 정보를 복수로 분해하는 정보 분해부(254)를 갖고, 합성이나 분할 등의 처리를 행한다. 이들의 편집 대상의 소재 데이터나 메타 데이터는, 기록 신호 처리부(23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4), 또는 드라이브 제어부(236) 등로부터 공급된다. 정보 처리부(233)는, 이와 같이 공급된 소재 데이터 나 메타 데이터를 취득하면, 시스템 제어부(221)에 제어되어 소재 데이터의 편집을 행하고, 이들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4), 드라이브 제어부(236), 또는 재생 신호 처리부(239)에 공급한다. 또한, 메타 데이터의 편집은 메타 데이터 처리부(235)에 있어서 행해진다. 따라서, 정보 처리부(233)는, 메타 데이터가 공급되면 그것을 메타 데이터 처리부(235)에 공급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4)는, 예를 들면 이더넷(등록상표) 등의 LAN(Local Area Network)이나 인터넷에 접속되는 인터페이스이고, 동일한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편집 장치(13) 이외의 통신 장치와 통신을 행함으로써, 다른 장치에 의해 소재 데이터나 메타 데이터 등을 취득하여, 이들을 정보 처리부(233)에 공급하거나, 정보 처리부(233)로부터 공급된 소재 데이터나 메타 데이터 등을, 다른 장치에 공급하기도 한다. 메타 데이터 처리부(235)는, 시스템 제어부(221)에 제어되어 정보 처리부(233)로부터 공급되는 메타 데이터를 편집하여, 편집한 메타 데이터를 정보 처리부(233)로 되돌려준다.
드라이브 제어부(236)는, 편집 장치(13)의, 광 디스크(12)가 장착되는 도시하지 않는 드라이브의 각 부를 제어하는 처리부이다. 드라이브 제어부(236)는, 예를 들면 시스템 제어부(221)에 제어되어, 드라이브에 장착된 광 디스크(12)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하거나, 광 디스크(12)에 정보를 기록하기도 하는 처리를 행하는 픽업부(237)나, 드라이브에 장착된 광 디스크(12)의 구동을 제어하는 스핀들 구동부(238)를 제어한다. 그리고, 드라이브 제어부(236)는, 픽업부(237) 및 스핀들 구동부(238)를 제어하여, 픽업부(237)에 의해 판독된 데이터를 정보 처리부 (233)에 공급한다. 또한, 드라이브 제어부(236)는, 픽업부(237) 및 스핀들 구동부(238)를 제어하여, 정보 처리부(233)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를, 픽업부(237)를 통하여 광 디스크(12)에 기입한다(기록시킨다).
픽업부(237)는, 드라이브 제어부(236)에 제어되어, 드라이브에 장착된 광 디스크(12)에 대하여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광 디스크(12)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판독하고, 그것을 드라이브 제어부(236)에 공급하거나, 드라이브 제어부(236)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를 광 디스크(12)에 기입하거나 한다. 그 때, 픽업부(237)는, 드라이브 제어부(236)에 제어되어, 광 디스크(12)에 대하여 그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광 디스크(12)의 반경 방향에 대한 액세스 위치의 제어를 행한다. 스핀들 구동부(238)는, 드라이브에 장착된 광 디스크(12)의 주로 회전 운동을 제어하여, 픽업부(237)에 의한 광 디스크(12)의 회전 방향에 대한 액세스 위치의 제어를 행한다.
재생 신호 처리부(239)는, 정보 처리부(233)로부터 공급되는 출력 신호(또는 재생 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를 행하여, 예를 들면 각 데이터를 기록용의 포맷으로부터 전송용 포맷으로 변환하는 등의 처리를 행한다. 재생 신호 처리부(239)는, 신호 처리한 데이터를 출력부(240)에 공급한다.
출력부(240)는, 편집 장치(13)의 외부에 대하여,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처리부이고, 재생 신호 처리부(239)로부터 공급되는 소재 데이터(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 등)를 외부에 출력하는 소재 데이터 출력부(255)와, 재생 신호 처리부(239)로부터 공급되는 메타 데이터(리얼타임 메타 데이터나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등)를 외부에 출력하는 메타 데이터 출력부(256)를 갖고 있다. 또한, 출력부(240)가 디스플레이나 스피커 등의 출력 디바이스를 갖고 있고, 재생 신호 처리부(239)로부터 공급되는 재생 신호를, 그 출력 디바이스로부터 출력하도록 하여도 된다.
전술한 각 부는, 시스템 제어부(221)에 제어되어 동작하고, 광 디스크(12)에 기록되어 있는 소재 데이터(21)나 메타 데이터(22)의 편집이나 출력(재생)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도 17은, 도 16의 시스템 제어부(221)의 상세한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7에서, 시스템 제어부(221)는, 제어부(261), 클립 파괴 편집부(271), 참조 에디트 리스트 검색부(272), 에디트 리스트 갱신부(273), 인덱스 파일 갱신부(274), 디스크 인포메이션 파일 갱신부(275), 부정합 처리부(276), 입력 제어부(281), 통신 제어부(282), 기입 제어부(283), 판독 제어부(284), 편집 갱신 처리 제어부(285), 및 출력 제어부(286)에 의해 구성된다. 이들은 3개의 층으로 분리되고 있고, 시스템 제어부(221)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261)가 가장 상위의 층을 구성하여, 클립 파괴 편집부(271), 참조 에디트 리스트 검색부(272), 에디트 리스트 갱신부(273), 인덱스 파일 갱신부(274), 디스크 인포메이션 파일 갱신부(275), 및 부정합 처리부(276)가, 목적의 처리를 실행하는 위에서 2번째의 층을 구성하고, 입력 제어부(281), 통신 제어부(282), 기입 제어부(283), 판독 제어부(284), 편집 갱신 처리 제어부(285), 및 출력 제어부(286)가, 편집 장치(13)의 시스템 제어부 (221) 이외의 처리부를 제어하는 최하위의 층을 구성한다.
제어부(261)는, 클립 파괴 편집부(271), 참조 에디트 리스트 검색부(272), 에디트 리스트 갱신부(273), 인덱스 파일 갱신부(274), 디스크 인포메이션 파일 갱신부(275), 또는 부정합 처리부(276)가 실행하는 처리의 개시나 종료를 제어하거나, 다른 처리와의 제휴를 제어하기도 한다. 또한, 제어부(261)는, 조작 입력부(222)로부터 공급되는 조작 입력 정보나 제어 정보 입력부(223)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전술한 각 부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61)는, 제어 정보를 제어 정보 출력부(224)에 공급함으로써, 제어 정보 출력부(224)를 통하여 편집 장치(13)의 외부에 출력한다. 또한, 출력부(261)는, 출력 제어부(286)를 제어하여, 소재 데이터나 메타 데이터의 출력에 관한 처리를 제어한다.
클립 파괴 편집부(271)는, 입력 제어부(281), 통신 제어부(282), 기입 제어부(283), 판독 제어부(284), 및 편집 갱신 처리 제어부(285)를 제어하여, 클립의 화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프록시 데이터, 및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등의 파괴 편집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클립 파괴 편집부(271)는, 입력 제어부(281)를 통하여 입력부(231) 및 기록 신호 처리부(232)를 제어하여, 편집 장치(13)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소재 데이터나 메타 데이터를 정보 처리부(233)에 공급시킨다. 또한, 클립 파괴 편집부(271)는, 통신 제어부(282)를 통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4)를 제어하여, 다른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소재 데이터나 메타 데이터를 정보 처리부(233)에 공급시키거나, 정보 처리부(233)로부터 출력되는 편집 결과를 다른 장치에 공급시키기도 한다. 또한, 클 립 파괴 편집부(271)는, 기입 제어부(283)를 통하여 드라이브 제어부(236)를 제어하여, 정보 처리부(233)로부터 출력되는 편집 결과를 광 디스크(12)에 기입하게 한다. 또한, 클립 파괴 편집부(271)는, 판독 제어부(284)를 통하여 드라이브 제어부(236)를 제어하여, 광 디스크(12)에 기록되어 있는 편집 대상의 소재 데이터나 메타 데이터를 판독하여, 정보 처리부(233)에 공급시킨다. 또한, 클립 파괴 편집부(271)는, 편집 갱신 처리 제어부(285)를 통하여 정보 처리부(233)나 메타 데이터 처리부(235)를 제어하여, 소재 데이터나 메타 데이터의 편집에 관한 처리를 행하게 한다.
참조 에디트 리스트 검색부(272)는, 판독 제어부(284) 및 편집 갱신 처리 제어부(285)를 제어하여, 파괴 편집되는 클립을 참조하는 에디트 리스트의 검색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참조 에디트 리스트 검색부(272)는, 판독 제어부(284)를 통하여 드라이브 제어부(236)를 제어하여, 광 디스크(12)에 기록되어 있는 에디트 리스트를 판독하여, 정보 처리부(233)에 공급시킨다. 또한, 참조 에디트 리스트 검색부(272)는, 편집 갱신 처리 제어부(285)를 통하여 정보 처리부(233)나 메타 데이터 처리부(235)를 제어하여, 판독하게 한 에디트 리스트를 참조시켜, 파괴 편집되는 클립을 참조하는 에디트 리스트를 검색하는 처리를 실행시킨다.
에디트 리스트 갱신부(273)는, 기입 제어부(283) 및 편집 갱신 처리 제어부(285)를 제어하여, 참조 에디트 리스트 검색부(272)에 검색된 에디트 리스트의 갱신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에디트 리스트 갱신부(273) 는, 기입 제어부(283)를 통하여 드라이브 제어부(236)를 제어하여, 갱신된 에디트 리스트를 광 디스크(12)에 기입하게 한다. 또한, 에디트 리스트 갱신부(273)는, 편집 갱신 처리 제어부(285)를 통하여 정보 처리부(233)나 메타 데이터 처리부(235)를 제어하여, 파괴 편집된 클립을 참조하는 에디트 리스트를 그 파괴 편집에 따라서 갱신시킨다.
인덱스 파일 갱신부(274)는, 기입 제어부(283), 판독 제어부(284), 및 편집 갱신 처리 제어부(285)를 제어하여, 광 디스크(12)에 기록되어 있는 인덱스 파일의 갱신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인덱스 파일 갱신부(274)는, 기입 제어부(283)를 통하여 드라이브 제어부(236)를 제어하여, 갱신된인덱스 파일을 광 디스크(12)에 기입하게 한다. 또한, 인덱스 파일 갱신부(274)는, 판독 제어부(284)를 통하여 드라이브 제어부(236)를 제어하여, 광 디스크(12)에 기록되어 있는 인덱스 파일을 판독하고, 그것을 정보 처리부(233)에 공급시킨다. 또한, 인덱스 파일 갱신부(274)는, 편집 갱신 처리 제어부(285)를 통하여 정보 처리부(233)나 메타 데이터 처리부(235)를 제어하여, 인덱스 파일을, 실행된 클립의 파괴 편집에 따라서 갱신시킨다.
디스크 인포메이션 파일 갱신부(275)는, 기입 제어부(283), 판독 제어부(284), 및 편집 갱신 처리 제어부(285)를 제어하여, 광 디스크(12)에 기록되어 있는 디스크 인포메이션 파일의 갱신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디스크 인포메이션 파일 갱신부(275)는, 기입 제어부(283)를 통하여 드라이브 제어부(236)를 제어하여, 갱신된 디스크 인포메이션 파일을 광 디스크(12)에 기 입하게 한다. 또한, 디스크 인포메이션 파일 갱신부(275)는, 판독 제어부(284)를 통하여 드라이브 제어부(236)를 제어하여, 광 디스크(12)에 기록되어 있는 디스크 인포메이션 파일을 판독하고, 그것을 정보 처리부(233)에 공급시킨다. 또한, 디스크 인포메이션 파일 갱신부(275)는, 편집 갱신 처리 제어부(285)를 통하여 정보 처리부(233)나 메타 데이터 처리부(235)를 제어하여, 디스크 인포메이션 파일을, (디스크 인포메이션 파일이 파괴 편집된 클립을 참조하고 있는 경우) 실행된 클립의 파괴 편집에 따라서 갱신시킨다.
부정합 처리부(276)는, 기입 제어부(283) 및 편집 갱신 처리 제어부(285)를 제어하여, 예를 들면 유저의 지시 등에 기초하여, 예를 들면 파괴 편집된 파일을 참조하는 다른 파일을 갱신하지 않는 등, 굳이 파일 사이에서 정합을 취하지 않도록 한 경우에 생성된, 그것을 나타내는 부정합 정보의 출력이나 기록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부정합 처리부(276)는, 기입 제어부(283)를 통하여 드라이브 제어부(236)를 제어하여, 생성된 부정합 정보를 광 디스크(12)에 기입하게 한다. 또한, 부정합 처리부(276)는, 편집 갱신 처리 제어부(285)를 통하여 정보 처리부(233)나 메타 데이터 처리부(235)를 제어하여, 생성된 부정합 정보를 취득하고, 그것을 제어부(261)에 공급한다. 또한, 부정합 처리부(276)는, 정보 처리부(233)나 메타 데이터 처리부(235)에서 생성된 부정합 정보를, 제어부(261)에 공급하여, 예를 들면 제어 정보 출력부(224)를 통하여 편집 장치(13)의 외부에 출력시키거나, 출력 제어부(286)를 통하여 출력부(240)로부터 편집 장치(13)의 외부에 출력시키기도 한다.
입력 제어부(281)는, 입력부(231) 및 기록 신호 처리부(232)를 제어하여, 편집 장치(13)의 외부로부터 입력부(231)에 입력되는 소재 데이터나 메타 데이터를 접수하는 처리를 실행시킨다. 통신 제어부(282)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4)를 제어하여, 다른 장치와의 통신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기입 제어부(283)는, 드라이브 제어부(236)를 제어하여, 광 디스크(12)에 대한 데이터의 기입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판독 제어부(284)는, 드라이브 제어부(236)를 제어하여, 광 디스크(12)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판독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편집 갱신 처리 제어부(285)는, 정보 처리부(233) 및 메타 데이터 처리부(235)를 제어하여, 예를 들면 정보 처리부(233)가 유지하고 있는 소재 데이터의 파괴 편집에 관한 처리를 행하거나, 메타 데이터 처리부(235)가 유지하고 있는 메타 데이터의 파괴 편집에 관한 처리를 행하기도 한다. 출력 제어부(286)는, 재생 신호 처리부(239) 및 출력부(240)를 제어하여, 정보 처리부(233)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의 편집 장치(13)의 외부에의 출력에 관한 처리를 실행한다.
도 18은, 도 17의 클립 파괴 편집부(271)의 상세한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8에서, 클립 파괴 편집부(271)는, 클립 판독부(301),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처리부(302), 갱신 메타 데이터 특정부(303),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부(304),프록시 데이터 갱신부(305),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부(306), 부족 메타 데이터 생성부(307),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 갱신부(308), 클립 기입부(309), 갱신 확인 처리부(311), 및 부정합 정보 생성부(312)를 갖고 있다.
클립 판독부(301)는, 판독 제어부(284)를 제어하여, 제어부(261)에 의해 지정된 파괴 편집을 행하는 클립을 광 디스크(12)에 의해 판독하게 한다.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처리부(302)는, 편집 갱신 처리 제어부(285)를 제어하여, 광 디스크(12)에 의해 판독한 소재 데이터의 파괴 편집 처리를 행한다. 갱신 메타 데이터 특정부(303)는, 편집 갱신 처리 제어부(285)를 제어하여,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처리부(302)에 의한 파괴 편집 처리에 의해 영향을 받는(갱신이 필요가 있는) 메타 데이터를 특정한다.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부(304)는, 갱신 메타 데이터 특정부(303)에 의해서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의 갱신이 필요라고 판정된 경우, 편집 갱신 처리 제어부(285)를 제어하여,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처리부(302)가 행한 파괴 편집 처리에 대응하도록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를 갱신한다. 그 때,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부(304)는, 갱신 확인 처리부(311)를 제어하여, 유저가 리얼타임 데이터의 갱신을 허가할지의 여부를 확인시키고, 또한 갱신이 허가되지 않은 경우, 부정합 정보 생성부(312)를 제어하여, 파일 사이에서 부정합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부정합 정보를 생성시킨다. 프록시 데이터 갱신부(305)는, 편집 갱신 처리 제어부(285)를 제어하여,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처리부(302)가 행한 파괴 편집 처리에 대응하도록 프록시 데이터를 갱신한다.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부(306)는, 갱신 메타 데이터 특정부(303)에 의해서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의 갱신이 필요하다고 판정된 경우, 편집 갱신 처리 제어부(285)를 제어하여,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처리부(302)가 행한 파괴 편집 처리에 대응하도록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를 갱신한다. 그 때,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부(306)는, 갱신 확인 처리부(311)를 제어하여, 유저가 논 리얼타임 데이터의 갱신을 허가할지의 여부를 확인시키고, 또한 갱신이 허가되지 않은 경우, 부정합 정보 생성부(312)를 제어하여, 파일 사이에서 부정합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부정합 정보를 생성시킨다.
부족 메타 데이터 생성부(307)는, 편집 갱신 처리 제어부(285)를 제어하여, 예를 들면 소재 데이터의 파괴 편집 처리에 의해, 지금까지 존재하지 않은 새로운 메타 데이터를 부가할 필요가 발생한 경우 등과 같이,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부(304)의 갱신, 및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부(306)의 갱신에 의해서도 메타 데이터가 부족한 경우, 그 부족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한다.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 갱신부(308)는, 편집 갱신 처리 제어부(285)를 제어하여,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처리부(302)가 행한 파괴 편집 처리에 대응하도록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을 갱신한다. 클립 기입부(309)는, 기입 제어부(283)를 제어하여, 이상의 처리부에 의해 갱신된 클립의 각 데이터를 광 디스크(12)에 기록시킨다.
갱신 확인 처리부(311)는, 제어부(261)를 통하여 조작 입력부(222)나 제어 정보 출력부(224) 등을 제어하여, 메타 데이터를 갱신할지의 여부를 유저에게 확인하고, 그 확인 결과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부(304) 또는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부(306)에 공급한다. 부정합 정보 생성부(312)는,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부(304)에서의 갱신 처리, 또는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부(306)에서의 갱신 처리에 있어서 파일 사이에서 부정합이 발생하는 경우, 그 것을 나타내는 부정합 정보를 생성한다.
도 19는, 도 17의 에디트 리스트 갱신부(273)의 상세한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9에서, 에디트 리스트 갱신부(273)는, 에디트 리스트 판독부(331), 편집 부분 확인부(332), 에디트 리스트 파일 갱신부(333),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부(334),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부(335),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부(336),프록시 데이터 갱신부(337), 부족 메타 데이터 생성부(338), 에디트 리스트 기입부(339), 갱신 확인 처리부(341), 및 부정합 정보 생성부(342)를 갖고 있다.
에디트 리스트 판독부(331)는, 판독 제어부(284)를 제어하여, 제어부(261)에 의해 지정된, 갱신을 행하는 에디트 리스트를 광 디스크(12)에 의해 판독하게 한다. 편집 부분 확인부(332)는, 편집 갱신 처리 제어부(285)를 제어하여, 클립의 파괴 편집에 대응하여 갱신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편집 부분을 확인한다. 에디트 리스트 파일 갱신부(333)는, 편집 갱신 처리 제어부(285)를 제어하여, 에디트 리스트의 갱신 처리를 행한다.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부(334)는, 클립의 파괴 편집에 의해서, 에디트 리스트용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의 갱신이 필요한 경우,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 처리를 행한다.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부(335)는, 플레이 리스트용의 소재 데이터인 편집 결과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편집 갱신 처리 제어부(285)를 제어하여, 소재 데이터를 파괴 편집한다.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부(336)는, 편집 결과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편집 갱신 처리 제어부(285)를 제어하여,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를 갱신한다. 프록시 데이터 갱신부(337)는, 편집 결과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편집 갱신 처리 제어부 (285)를 제어하여, 프록시 데이터를 갱신한다. 부족 메타 데이터 갱신부(338)는, 편집 갱신 처리 제어부(285)를 제어하여, 예를 들면 소재 데이터의 파괴 편집 처리에 의해, 지금까지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메타 데이터를 부가할 필요가 발생한 경우 등과 같이,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부(334)의 갱신, 및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부(336)의 갱신에 의해서도 메타 데이터가 부족한 경우, 그 부족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한다. 에디트 리스트 기입부(339)는, 기입 제어부(283)를 제어하여, 이상의 처리부에 의해 갱신된 에디트 리스트의 각 데이터를 광 디스크(12)에 기록시킨다.
갱신 확인 처리부(341)는, 제어부(261)를 통하여 조작 입력부(222)나 제어 정보 출력부(224) 등을 제어하여, 에디트 리스트용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를 갱신할지의 여부를 유저에게 확인하고, 그 확인 결과를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부(334)에 공급한다. 부정합 정보 생성부(342)는,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부(334)에서의 갱신 처리에 있어서 파일 사이에서 부정합이 발생하는 경우, 그 것을 나타내는 부정합 정보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은 구성의 편집 장치(13)가 실행하는 각 처리의 흐름에 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편집 장치(13)의 드라이브에 광 디스크(12)가 장착된 상태에서, 유저가 편집 장치(13)의 조작 입력부(222)를 조작하여, 새로운 클립을 편집 장치(13)에 입력하고, 그 입력한 클립을 이용하여 광 디스크(12)에 기록되어 있는 클립을 파괴 편집하도록 지시한 경우, 시스템 제어부(221)의 제어부(261)는, 파괴 편집 처리를 행하여, 클립의 파괴 편집에 관한 처리를 개시한다.
도 20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파괴 편집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파괴 편집 처리가 개시되면, 최초로, 클립 파괴 편집부(271)는, 스텝 S1에서, 지정된 클립의 파괴 편집을 행하는 클립 파괴 편집 처리를 실행한다. 클립 파괴 편집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클립 파괴 편집 처리가 종료하면, 참조 에디트 리스트 검색부(272)는, 스텝 S2에서, 판독 제어부(284) 및 편집 갱신 처리 제어부(285)를 제어하여, 광 디스크(12)에 기록되어 있는 에디트 리스트를 1개씩 판독하여 조사하여, 파괴 편집된 클립을 참조하는 에디트 리스트를 검색한다. 그리고, 참조 에디트 리스트 검색부(272)는, 그 검색 결과를 제어부(261)에 공급한다. 제어부(261)는, 스텝 S3에서, 그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파괴 편집된 클립을 참조하는 에디트 리스트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참조하는 에디트 리스트가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 제어부(261)는, 그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스텝 S4에서, 갱신하는 에디트 리스트를 선택한다. 스텝 S5에서, 에디트 리스트 갱신부(273)는, 기입 제어부(283), 판독 제어부(284), 및 편집 갱신 처리 제어부(285)를 제어하여, 제어부(261)에 지정된 에디트 리스트를 클립의 파괴 편집 결과에 정합시키도록 갱신하는 에디트 리스트 갱신 처리를 실행한다. 에디트 리스트 갱신 처리가 종료하면, 제어부(261)는, 스텝 S6에서, 그 갱신 결과와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갱신할 미 처리의 에디트 리스트가 존재할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미처리의 에디트 리스트가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 제어부(261)는, 처리를 스텝 S4로 되돌리고, 그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즉, 제어부(261)는, 에디트 리스트 갱신부(273)에, 모든 갱신할 에디트 리스트에 대하여 에디트 리스트 갱신 처리(단계 S5)를 실행시킨다. 그리고, 스텝 S6에서, 갱신할 미 처리의 에디트 리스트가 존재하지 않는다고(갱신할 에디트 리스트를 모두 갱신하였다고) 판정한 경우, 제어부(261)는, 처리를 스텝 S7로 진행시킨다.
또한, 스텝 S3에서, 참조 에디트 리스트 검색부(272)로부터 공급된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파괴 편집된 클립을 참조하는 에디트 리스트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제어부(261)는, 스텝 S4 내지 스텝 S6의 처리를 생략하여, 스텝 S7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스텝 S7에서, 인덱스 파일 갱신부(274)는, 판독 제어부(284)를 제어하여, 광 디스크(12)에 기록되어 있는 인덱스 파일을 판독한다. 인덱스 파일을 판독한 인덱스 파일 갱신부(274)는, 스텝 S8에서, 편집 갱신 처리 제어부(285)를 제어하여, 판독한 인덱스 파일을, 클립의 파괴 편집에 정합하도록 갱신한다.
예를 들면, 인덱스 파일 갱신부(274)는, 화상 데이터 파일이 갱신되면, 그 UMID가 갱신되므로, 인덱스 파일에 포함되는 화상 데이터 파일의 UMID의 값을 갱신한다. 이 파괴 편집에 의해, 화상 데이터 파일의 파일명, 프레임 레이트, 포맷 등이 변화했을 때는, 인덱스 파일 갱신부(274)는, 인덱스 파일에 포함되는 화상 데이터 파일에 관한 각 정보도 갱신한다.
또한, 통상적으로, 이 파괴 편집에 의해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도 갱신되므 로,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의 UMID도 갱신된다. 따라서, 인덱스 파일 갱신부(274)는, 인덱스 파일에 포함되는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의 UMID도 새로운 UMID에 갱신한다. 이 때,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의 파일명 등이 변화한 경우, 인덱스 파일 갱신부(274)는, 인덱스 파일에 포함되는 이들의 정보도 갱신한다.
또한, 화상 데이터 파일의 파괴 편집과 함께 음성 데이터 파일도 파괴 편집된 경우, 각 채널의 음성 데이터 파일의 UMID도 갱신된다. 따라서, 그 경우, 인덱스 파일 갱신부(274)는, 인덱스 파일에 포함되는 음성 데이터 파일의 UMID의 값을 새로운 UMID의 값에 갱신한다. 음성 데이터 파일의 파일명 등이 변화한 경우, 인덱스 파일 갱신부(274)는, 인덱스 파일에 포함되는 이들의 정보에 대해서도 갱신한다. 또한, 인덱스 파일 갱신부(274)는, 갱신된 음성 데이터의 모든 채널에 대하여 이러한 갱신 처리를 행하고, 인덱스 파일에 포함되는 음성 데이터 파일에 관한 정보를 갱신한다. 또한, 인덱스 파일 갱신부(274)는, 프록시 데이터 파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파일, 및 난리얼 메타 데이터 파일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갱신 처리를 행하고, 필요에 따라, 인덱스 파일에 포함되는, 이들의 파일에 대한 정보를 갱신한다.
또한, 인덱스 파일에 포함되는 복수의 클립을 파괴 편집하는 경우도, 인덱스 파일 갱신부(274)는, 각클립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갱신 처리를 행하여, 각각에 포함되는 각 파일에 대한 정보를 필요에 따라 갱신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인덱스 파일에는, 클립 외에, 에디트 리스트에 대한 정보도 포함되고 있다. 클립의 파괴 편집에 수반하여 에디트 리스트가 갱신된 경우, 인덱스 파일 갱신부(274)는, 그 에디트 리스트의 갱신도 인덱스 파일에 반영시킨다. 즉, 인덱스 파일 갱신부(274)는, 에디트 리스트의 갱신에 정합하도록 인덱스 파일에 포함되는, 그 에디트 리스트에 관한 정보를 갱신한다.
이상과 같이, 인덱스 파일 갱신부(274)는, 예를 들면 UMID 등, 인덱스 파일의, 파괴 편집된 화상 데이터 파일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그 파괴 편집에 수반하여 갱신된 정보를 모두 갱신한다.
도 20으로 되돌아가, 스텝 S8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인덱스 파일을 갱신하면, 인덱스 파일 갱신부(274)는, 스텝 S9에서, 기입 제어부(283)를 제어하여 인덱스 파일을 기입한다.
스텝 S10에서, 디스크 인포메이션 파일 갱신부(275)는, 판독 제어부(284)를 제어하여, 광 디스크(12)에 기록되어 있는 디스크 인포메이션 파일을 판독한다. 디스크 인포메이션 파일을 판독한 디스크 인포메이션 파일 갱신부(275)는, 스텝 S11에서, 편집 갱신 처리 제어부(285)를 제어하여, 판독한 디스크 인포메이션 파일을, 클립의 파괴 편집에 정합하도록 갱신한다.
스텝 S11에서 디스크 인포메이션 파일을 파괴 편집하면, 디스크 인포메이션 파일 갱신부(275)는, 스텝 S12에서 기입 제어부(283)를 제어하여, 갱신한 디스크 인포메이션 파일을 광 디스크(12)에 기입하게 한다.
스텝 S13에서, 부정합 처리부(276)는, 스텝 S1의 클립 파괴 편집 처리나 스텝 S5의 에디트 리스트 갱신 처리에 있어서 부정합 정보가 생성된 경우, 기입 제어부(283)를 제어하고, 그 부정합 정보를 광 디스크(12)에 기입하게 한다. 또한, 부 정합 처리부(276)는, 스텝 S14에서, 편집 갱신 처리 제어부(285)를 제어하여, 생성된 부정합 정보를 취득하여, 제어부(261)를 통하여 제어 정보 출력부(224)에 공급하여, 그 부정합 정보를 편집 장치(13)의 외부에 출력하는 부정합 정보 출력 처리를 행한다.
부정합 정보 출력 처리가 종료하면, 부정합 처리부(276)는, 파괴 편집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도 20의 스텝 S1에서 실행되는 클립 파괴 편집 처리의 상세 내용을 도 21 및 도 22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최초로, 도 21의 스텝 S31에서, 클립 파괴 편집부(271)의 클립 판독부(301)(도 18)는, 판독 제어부(284)를 제어하여, 드라이브에 장착된 광 디스크(12)로부터, 유저 등에 지정된 클립을 판독한다. 판독한 클립이 정보 처리부(233)또는 메타 데이터 처리부(235)에 공급되면,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처리부(302)는, 스텝 S32에서, 파괴 편집의 준비를 하여, 예를 들면 입력 제어부(281)나 통신 제어부(282)를 제어하여 파괴 편집에 이용하는 새로운 클립의 데이터를 취득하는 등의 처리를 행한다.
준비가 갖추어지면,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처리부(302)는, 스텝 S33에서, 편집 갱신 처리 제어부(285)를 제어하여,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 등의 소재 데이터를 파괴 편집한다.
그 경우,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처리부(30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의 소재 데이터의 보디 그 자체뿐만 아니라, 헤더나 푸터도 필요에 따라 갱신 한다.
소재 데이터의 파괴 편집이 종료하면, 갱신 메타 데이터 특정부(303)는, 스텝 S34에서, 소재 데이터의 파괴 편집에 수반하여, 갱신이 필요한 메타 데이터를 특정하여, 그 특정 결과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부(304)에 공급한다.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부(304)는, 스텝 S35에서, 그 특정 결과에 기초하여,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의 갱신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갱신이 필요한 메타 데이터로서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가 지정되어 있고,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의 갱신이 필요하다라고 판정한 경우,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부(304)는, 처리를 스텝 S36으로 진행시킨다.
스텝 S36에서,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부(304)는,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의 갱신 가부를 유저에게 확인할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유저에게 확인한다고 판정한 경우, 처리를 스텝 S37로 진행시킨다. 갱신 확인 처리부(311)는, 제어부(261)를 통하여 조작 입력부(222)나 제어 정보 출력부(224)를 제어하는 등하여 갱신 확인 처리를 행한다.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부(304)는, 그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스텝 S38에서,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를 갱신할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유저가 갱신을 허가하는 등하여 갱신한다고 판정한 경우, 스텝 S39로 처리를 진행시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레임 단위의 구성의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의, 소재 데이터의 갱신 부분에 대응하는 프레임에 부가되는 부분의 정보(보디 UMID나 KLV 패킷 등)를 갱신한다.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를 갱신한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부(304)는, 스텝 S41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또한, 스텝 S35에서,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의 갱신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부(304)는,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를 갱신하지 않고서 처리를 스텝 S41로 진행시킨다. 또한, 스텝 S36에서, 갱신 가부를 유저에게 확인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갱신 확인 처리부(311)는, 갱신 확인 처리를 행하지 않고 스텝 S39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또한, 스텝 S38에서, 유저가 허가하지 않는 등,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를 갱신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부정합 정보 생성부(312)는, 소재 데이터와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와의 부정합을 나타내는 부정합 정보를 생성한다. 부정합 정보를 생성한 부정합 정보 생성부(312)는, 처리를 스텝 S41로 진행시킨다.
스텝 S41에서, 프록시 데이터 갱신부(305)는, 편집 갱신 처리 제어부(285)를 제어하여, 소재 데이터의 갱신에 따라서 프록시 데이터를 갱신한다. 프록시 데이터의 갱신이 종료하면, 프록시 데이터 갱신부(305)는, 처리를 도 22의 스텝 S51에 공급한다.
도 22의 스텝 S51에서,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부(306)는,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부(304)를 통하여 취득한 특정 결과에 기초하여,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의 갱신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특정 결과에 있어서 갱신이 필요한 메타 데이터로서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 즉,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의 갱신이 필요하다라고 판정한 경우,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부(306)는, 스텝 S52에서,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의 갱신 가부를 유저에게 확인할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유저에게 확인한다고 판정한 경우, 처리를 스텝 S53 로 진행시킨다. 그 스텝 S53에서, 갱신 확인 처리부(311)는, 제어부(261)를 통하여 조작 입력부(222)나 제어 정보 출력부(224)를 제어하는 등하여 갱신 확인 처리를 행한다.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부(304)는, 그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스텝 S54에서,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를 갱신할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유저가 갱신을 허가하는 등하여 갱신한다고 판정한 경우, 스텝 S55로 처리를 진행시켜, 전술한 구성의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를 갱신한다.
예를 들면, LTC 변화점, 보디 UMID 변화점, 혹은 KLV 패킷 등에 관한 각 종 테이블, 또는, 그 밖의 정보가, 소재 데이터의 파괴 편집에 따라서 갱신된다.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를 갱신한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부(306)는, 스텝 S57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또한, 스텝 S51에서,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의 갱신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부(306)는,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를 갱신하지 않고서 처리를 스텝 S57로 진행시킨다. 또한, 스텝 S52에서, 갱신 가부를 유저에게 확인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갱신 확인 처리부(311)는, 갱신 확인 처리를 행하지 않고 스텝 S55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또한, 스텝 S54에서, 유저가 허가하지 않는 등,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를 갱신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부정합 정보 생성부(312)는, 소재 데이터와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와의 부정합을 나타내는 부정합 정보를 생성한다. 부정합 정보를 생성한 부정합 정보 생성부(312)는, 처리를 스텝 S57로 진행시킨다.
스텝 S57에서, 부족 메타 데이터 생성부(307)는, 생성하지 않은 부족 메타 데이터가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 처리를 스텝 S58로 진행시켜, 부족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여, 처리를 스텝 S59로 진행시킨다. 또한, 스텝 S57에서, 부족 메타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부족 메타 데이터 생성부(307)는, 스텝 S58의 처리를 생략하여, 스텝 S59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스텝 S59에서,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 갱신부(308)는, 편집 갱신 처리 제어부(285)를 제어하여, 소재 데이터의 파괴 편집에 따라서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을 갱신한다. 갱신이 완료되면, 클립 기입부(309)는, 처리를 스텝 S60으로 진행시켜, 기입 제어부(283)를 제어하여, 갱신된 클립의 각 파일을 광 디스크(12)에 기입하게 한다. 기입이 완료되면, 클립 파괴 편집부(271)는, 클립 파괴 편집 처리를 종료하여, 도 20의 스텝 S1로 처리를 되돌리고, 그 이후의 처리를 행하게 한다.
다음으로, 도 20의 스텝 S5에서 실행되는 에디트 리스트 갱신 처리의 상세 내용을 도 23 및 도 24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최초로, 도 23의 스텝 S81에서, 에디트 리스트 갱신부(273)의 에디트 리스트 판독부(331)(도 19)는, 판독 제어부(284)를 제어하여, 드라이브에 장착된 광 디스크(12)로부터, 제어부(261)에 지정된 에디트 리스트를 판독한다. 판독된 에디트 리스트가 정보 처리부(233) 또는 메타 데이터 처리부(235)에 공급되면, 편집 부분 확인부(332)는, 스텝 S82에서, 클립의 편집 부분을 확인한다.
예를 들면, 클립으로부터 일부분의 프레임을 추출하는 에디트 리스트인 경우, 추출되지 않는 프레임이 파괴 편집되어 있더라도 편집 결과에는 영향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면 클립에서, 클립 전체나 각 파일 전체에 대한 정보(UMID 등 )이 변화하지 않고, 클립의 파괴 편집이 편집 결과에 영향하지 않은 것 같은 경우, 에디트 리스트 갱신부(273)는, 에디트 리스트의 갱신을 행하지 않는다.
에디트 리스트 파일 갱신부(333)는, 편집 부분 확인부(332)에 의한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스텝 S83에서 갱신이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갱신이 필요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 스텝 S84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스텝 S84에서, 갱신 확인 처리부(341)는, 갱신 가부를 유저에게 확인할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확인한다고 판정한 경우, 스텝 S85에서, 제어부(261)를 통하여 제어 정보 출력부(224) 및 조작 입력부(222)를 제어하여 갱신 확인 처리를 행한다.
에디트 리스트 파일 갱신부(333)는, 스텝 S86에서, 갱신 확인 처리의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에디트 리스트 파일을 갱신할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갱신한다고 판정한 경우, 스텝 S87로 처리를 진행시켜, 에디트 리스트 파일을 갱신한다. 그리고, 스텝 S88에서,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부(334)는, 갱신한 에디트 리스트 파일에 대응하는 에디트 리스트용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가 존재할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 스텝 S89에서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를 갱신한다.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를 갱신한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부(334)는, 처리를 도 24의 스텝 S101로 진행시킨다.
또한, 도 23의 스텝 S88에서, 갱신한 에디트 리스트 파일에 대응하는 에디트 리스트용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부(334)는, 스텝 S89의 처리를 생략하여, 처리를 도 24의 스텝 S101로 진행시킨다.
도 24의 스텝 S101에서,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부(335)는, 에디트 리스트 파일 대응하는 편집 결과를 나타내는 소재 데이터 등의 편집 결과 데이터가 존재할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 스텝 S102로 처리를 진행시켜, 소재 데이터를 파괴 편집한다. 또한,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부(336)는 스텝 S103에서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를 갱신하고, 프록시 데이터 갱신부(337)는 스텝 S104에서 프록시 데이터를 갱신한다. 프록시 데이터의 갱신이 종료하면, 프록시 데이터 갱신부(337)는, 스텝 S105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또한, 스텝 S101에서, 에디트 리스트 파일 대응하는 편집 결과를 나타내는 소재 데이터 등의 편집 결과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부(335)는, 스텝 S102 내지 스텝 S104의 처리를 생략하고, 스텝 S105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스텝 S105에서, 부족 메타 데이터 생성부(338)는, 생성하지 않은 부족 메타 데이터가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 처리를 스텝 S106으로 진행시켜, 부족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여, 처리를 스텝 S107로 진행시킨다. 또한, 스텝 S105에서, 부족 메타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부족 메타 데이터 생성부(307)는, 스텝 S106의 처리를 생략하여, 스텝 S107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스텝 S107에서, 에디트 리스트 기입부(339)는, 기입 제어부(283)를 제어하여, 갱신된 에디트 리스트의 각 파일을 광 디스크(12)에 기입하게 한다. 기입이 완료되면, 에디트 리스트 기입부(339)는, 에디트 리스트 갱신 처리를 종료하여, 도 20의 스텝 S5로 처리를 되돌리고, 그 이후의 처리를 행하게 한다.
또한, 도 23의 스텝 S83에서, 에디트 리스트의 갱신이 필요가 없다고 판정된 경우, 에디트 리스트 파일 갱신부(333)는, 에디트 리스트 갱신 처리를 종료하여, 도 20의 스텝 S5로 처리를 되돌리고, 그 이후의 처리를 행하게 한다.
또한, 도 23의 스텝 S86에서, 갱신 확인 처리의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에디트 리스트 파일을 갱신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에디트 리스트 파일 갱신부(333)는, 처리를 스텝 S90으로 진행시킨다. 부정합 정보 생성부(342)는, 스텝 S90에서, 부정합 정보를 생성하면 에디트 리스트 갱신 처리를 종료하여, 도 20의 스텝 S5로 처리를 되돌리고, 그 이후의 처리를 행하게 한다.
이상과 같이 파괴 편집 처리를 행함으로써, 편집 장치(13)는, 콘텐츠 데이터를 파괴 편집할 때에, 그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메타 데이터도 갱신하여, 각 데이터의 정합성을 유지함으로써, 유저는, 보다 용이하게 콘텐츠 데이터의 파괴 편집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도 25는, 광 디스크(12)에 기록되어 있는 클립에 음성 데이터를 삽입(파괴 편집)하는 경우에 갱신되는, 주된 메타 데이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5에 도시된 표에서 위에서부터 1행째(No.1)는, 인덱스 파일(INDEX)의 클립 테이블(clipTable)에서의 클립 요소(clip)의 UMID 속성(umid)의 값을,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의 UMID(No.6)를 참조하여 복사함으로써 갱신하는 것이 표시되고 있다.
또한, 위에서부터 2행째(No.2)는, 인덱스 파일(INDEX)의 클립 테이블(clipTable)에서의 클립(clip)의 오디오 요소(audio)의 UMID 속성(umid)의 값을, 음성 데이터 파일의 UMID(AUDIO MXF MP UMID)(No.14)를 참조하여 복사함으로써 갱 신하는 것이 표시되고 있다.
또한, 위에서부터 3행째(No.3)는, 인덱스 파일(INDEX)의 클립 테이블(clipTable)에서의 클립(clip)의 서브 스트림 요소(subStream)의 UMID 속성(umid)의 값을, 프록시 데이터 파일의 UMID(PROXY MXF MP UMID)(No.17)를 참조하여 복사함으로써 갱신하는 것이 표시되고 있다.
또한, 위에서부터 4행째(No.4)는, 디스크 인포메이션 파일(DISCINFO)의 히스토리 요소(sequential.history.discinfo)의 클립 ID 속성(clipId)의 값을, (테이프 라이크 재생인 경우만) 재생 위치를 보존함으로써 갱신하는 것이 표시되고 있다.
또한, 위에서부터 5행째(No.5)는, 디스크 인포메이션 파일(DISCINFO)의 히스토리 요소(sequential.history.discinfo)의 FTC 속성(ftc)의 값을, (테이프 라이크 재생인 경우만) 재생 위치를 보존함으로써 갱신하는 것이 표시되고 있다.
또한, 위에서부터 6행째(No.6)는,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CLIPINFO)의 스마일 요소(smil)의 UMID 속성(umid)의 값을, 신규 생성함으로써 갱신하는 것이 표시되고 있다.
또한, 위에서부터 7행째(No.7)는,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CLIPINFO)의 오디오 요소(audio)의 src 속성(에 포함되는 UMID)의 값을, 음성 데이터 파일의 UMID(AUDIO MXF MP UMID)(No.14)를 참조하여 복사함으로써 갱신하는 것이 표시되고 있다.
또한, 위에서부터 8행째(No.8)는,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CLIPINFO)의 ref 요소(ref)의 src 속성(에 포함되는 UMID)의 값을, 프록시 데이터 파일의 UMID(PROXY MXF MP UMID)(No.17)를 참조하여 복사함으로써 갱신하는 것이 표시되고 있다.
또한, 위에서부터 9행째(No.9)는,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파일(NRT)의 타깃 머티리얼 요소(TargetMaterial)의 UMID 속성(umidRef)의 값을,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의 UMID(No.6)를 참조하여 복사함으로써 갱신하는 것이 표시되고 있다.
또한, 위에서부터 10행째(No.10)는,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파일(NRT)의 라스트 업데이트 요소(LastUpdate)의 value 속성의 값을, 엣센스의 갱신 일시(즉, 음성 데이터를 삽입한 일시)로 함으로써 갱신하는 것이 표시되고 있다.
또한, 위에서부터 11행째(No.11)는,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파일(NRT)의 논 리얼타임 메타 요소(NonRealTimeMeta의 라스트 업데이트 속성(lastUpdate)(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파일 자신의 갱신 일시)의 값을, No.10의 값에 근사하는 값으로 갱신하는 것이 표시되고 있다.
No.10의 값은, 실제로 콘텐츠가 인서트된 시각이고, No.11의 값은, 논 리얼 메타 데이터 파일(NRT)이 갱신된 시각이다. 이들의 값은 동일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제로는, 시스템 처리 상 상호 시간차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단, 이 시간차는 매우 작은 값이기 때문에, No.11의 값은, No.10의 값과 거의 일치하는 값(No.10의 값에 근사하는 값)으로 갱신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위에서부터 12행째(No.12)는,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파일(RT)의 타깃 머티리얼 요소(TargetMaterial.FragmentUpdatePayload.HeaderFuu)의 UMID 속성의 값을,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의 UMID(No.6)를 참조하여 복사함으로써 갱신하는 것이 표시되고 있다.
또한, 위에서부터 13행째(No.13)는, 음성 데이터 파일(AUDIO)의 헤더 메타 데이터(HeaderMetadata)의 프리페이스 요소(PrefaceSet)의 라스트 모디파이드 데이트 속성(LastModifiedDate)(MXF 파일 갱신 일시)의 값을, 전술한 No.11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이유에 의해, 음성 데이터를 삽입한 일시에 근사하는 값으로 함으로써 갱신하는 것이 표시되고 있다.
또한, 위에서부터 14행째(No.14)는, 음성 데이터 파일(AUDIO)의 머티리얼 패키지 요소(MaterialPackageSet)의 패키지 UID 속성(PackageUID)의 값을,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의 UMID(No.6)에 기초하여 신규 클립 생성 시간과 동일한 방법으로 생성함으로써 갱신하는 것이 표시되고 있다.
또한, 위에서부터 15행째(No.15)는, 음성 데이터 파일(AUDIO)의 머티리얼 패키지 요소(MaterialPackageSet)의 패키지 모디파이드 데이트 속성(PackageModifiedDate)의 값을, 전술한 No.11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이유에 의해, No.10의 값에 근사하는 값으로 갱신하는 것이 표시되고 있다.
또한, 위에서부터 16행째(No.16)는, 프록시 데이터 파일(PROXY)의 헤더 메타 데이터(HeaderMetadata)의 프리페이스 요소(PrefaceSet)의 라스트 모디파이드 데이트 속성(LastModifiedDate)(MXF 파일 갱신 일시)의 값을, 전술한 No.11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이유에 의해, 음성 데이터를 삽입한 일시에 근사하는 값으로 함으로써 갱신하는 것이 표시되고 있다.
또한, 위에서부터 17행째(No.17)는, 프록시 데이터 파일(PROXY)의 머티리얼 패키지 요소(MaterialPackageSet)의 패키지 UID 속성(PackageUID)의 값을, 클립 인 포메이션 파일의 UMID(No.6)에 기초하여 신규 클립 생성 시간과 동일한 방법으로 생성함으로써 갱신하는 것이 표시되고 있다.
또한, 위에서부터 18행째(No.18)는, 프록시 데이터 파일(PROXY)의 머티리얼 패키지 요소(MaterialPackageSet)의 패키지 모디파이드 데이트 속성(PackageModifiedDate)의 값을, 전술한 No.11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이유에 의해, No.10의 값에 근사하는 값으로 갱신하는 것이 표시되고 있다.
이상과 같이, 편집 장치(13)의 각 부는, 소재 데이터의 파괴 편집에 따라서, 그 소재 데이터에 대응하는 각 종 메타 데이터를 정합하도록 갱신한다. 이에 의해, 유저는, 보다 용이하게 콘텐츠 데이터의 파괴 편집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에 의해, 메타 데이터에 기초를 둔 기기나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보장할 수 있다.
전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도 1의 편집 장치(13)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퍼스널 컴퓨터로서 구성되도록 하여도 된다.
도 26에서, 퍼스널 컴퓨터(40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401)는, ROM(Read Only Memory)(40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 또는 기억부(413)로부터 RAM(Random Access Memory)(403)에 로드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각 종 처리를 실행한다. RAM(403)에는 또한, CPU(401)이 각 종 처리를 실행하는 위에 있어 필요한 데이터 등도 적절하게 기억된다.
CPU(401), ROM(402), 및 RAM(403)은, 버스(404)를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 다. 이 버스(404)에는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410)도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410)에는,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입력부(411), CRT, LCD 등으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지는 출력부(412), 하드디스크 등으로 구성되는 기억부(413), 모뎀등으로 구성되는 통신부(414)가 접속되어 있다. 통신부(414)는,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처리를 행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410)에는 또한, 필요에 따라 드라이브(415)가 접속되어,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혹은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미디어(421)가 적절하게 장착되어, 이들로부터 판독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필요에 따라 기억부(413)에 인스톨된다.
전술한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네트워크나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이 기록 매체는, 예를 들면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와는 별도로, 유저에게 프로그램을 배신하기 위해 배포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자기 디스크(플렉시블 디스크를 포함함), 광 디스크(CD-ROM(Compact Disk-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k)를 포함함), 광 자기 디스크(MD(Mini-Disk)(등록상표)를 포함함), 혹은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리무버블 미디어(421)에 의해 구성되는 것뿐만 아니라, 장치 본체에 미리 조립된 상태에서 유저에게 배신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ROM(402)이나, 기억부(413)에 포함되는 하드디스크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스텝은, 기재된 순서를 따라 시계열적으로 행해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더라도, 병렬적 혹은 개별로 실행되는 처리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은, 복수의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장치 전체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면 보다 용이하게 콘텐츠 데이터의 파괴 편집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에 의해, 메타 데이터에 기초를 둔 기기나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보장할 수 있다.

Claims (10)

  1. 콘텐츠를 형성하는 소재 데이터, 및 상기 소재 데이터에 부가되는 메타 데이터에 의해 구성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처리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상기 소재 데이터에 대하여 데이터를 실제로 갱신하는 파괴 편집을 행하는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수단과,
    상기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수단에 의한 상기 소재 데이터의 파괴 편집에 의해 영향을 받는 메타 데이터를 특정하는 메타 데이터 특정 수단과,
    상기 메타 데이터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상기 메타 데이터를 갱신하는 제1 메타 데이터 갱신 수단과,
    편집 대상인 데이터를 갱신하지 않은 비파괴 편집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에디트 리스트(edit list)로서, 상기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수단에 의해 파괴 편집된 상기 소재 데이터를 참조하는 상기 에디트 리스트를 검색하는 에디트 리스트 검색 수단과,
    상기 에디트 리스트 검색 수단에 의해 검색된 상기 에디트 리스트를 갱신하는 에디트 리스트 갱신 수단과,
    상기 에디트 리스트 갱신 수단에 의해 갱신된 상기 에디트 리스트의 메타 데이터를 갱신하는 제2 메타 데이터 갱신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판독하는 콘텐츠 데이터 판독 수단과,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입하는 콘텐츠 데이터 기입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수단은, 상기 콘텐츠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된 콘텐츠 데이터의 소재 데이터를 파괴 편집하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 기입 수단은, 상기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수단에 의해 파괴 편집된 상기 소재 데이터, 및 상기 제1 메타 데이터 갱신 수단에 의해 갱신된 상기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콘텐츠 데이터, 및 상기 에디트 리스트 갱신 수단에 의해 갱신된 상기 에디트 리스트, 및 상기 제2 메타 데이터 갱신 수단에 의해 갱신된 상기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수단은, 상기 소재 데이터를 파괴 편집함과 함께, 상기 소재 데이터에 부가되는 식별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메타 데이터 특정 수단은, 상기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수단에 의해 파괴 편집되는 소재 데이터의 식별 정보를 갖는 메타 데이터를 특정하고,
    상기 제1 메타 데이터 갱신 수단은, 상기 메타 데이터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상기 메타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수단에 의해 파괴 편집되는 소재 데이터의 식별 정보를, 상기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수단에 의해 갱신된 식별 정보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타 데이터 갱신 수단은,
    상기 소재 데이터에 부가되는 상기 메타 데이터 중, 상기 소재 데이터의 재생 시에서의 상기 메타 데이터의 재생에 리얼타임성이 요구되는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를 갱신하는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 수단과,
    상기 소재 데이터에 부가되는 상기 메타 데이터 중, 상기 소재 데이터의 재생 시에서의 상기 메타 데이터의 재생에 리얼타임성이 요구되지 않는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를 갱신하는 논 리얼타임 메타 데이터 갱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수단에 의한 파괴 편집에 맞추어서, 상기 소재 데이터의 저해상도의 데이터인 프록시 데이터를 갱신하는 프록시 데이터 갱신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수단에 의한 파괴 편집에 맞추어서,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포함되는 각 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 정보를 갱신하는 관리 정보 갱신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타 데이터 갱신 수단에 의한 상기 메타 데이터의 갱신을 행하는지의 여부를 유저에게 확인하는 메타 데이터 갱신 확인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메타 데이터 갱신 수단은, 상기 유저가 갱신을 허가한 경우에만, 상기 메타 데이터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데이터 갱신 확인 수단에 의한 확인 결과, 상기 유저가 갱신을 허가하지 않는 경우, 파괴 편집된 상기 소재 데이터와, 상기 소재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메타 데이터 사이에서 발생하는 부정합에 관한 정보인 부정합 정보를 생성하는 부정합 정보 생성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9. 콘텐츠를 형성하는 소재 데이터, 및 상기 소재 데이터에 부가되는 메타 데이터에 의해 구성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처리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소재 데이터에 대하여 데이터를 실제로 갱신하는 파괴 편집을 행하는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스텝과,
    상기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스텝의 처리에 의한 상기 소재 데이터의 파괴 편집에 의해 영향을 받는 메타 데이터를 특정하는 메타 데이터 특정 스텝과,
    상기 메타 데이터 특정 스텝의 처리에 의해 특정된 상기 메타 데이터를 갱신하는 제1 메타 데이터 갱신 스텝과,
    편집 대상인 데이터를 갱신하지 않은 비파괴 편집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에디트 리스트로서, 상기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스텝의 처리에 의해 파괴 편집된 상기 소재 데이터를 참조하는 상기 에디트 리스트를 검색하는 에디트 리스트 검색 스텝과,
    상기 에디트 리스트 검색 스텝의 처리에 의해 검색된 상기 에디트 리스트를 갱신하는 에디트 리스트 갱신 스텝과,
    상기 에디트 리스트 갱신 스텝의 처리에 의해 갱신된 상기 에디트 리스트의 메타 데이터를 갱신하는 제2 메타 데이터 갱신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0. 콘텐츠를 형성하는 소재 데이터, 및 상기 소재 데이터에 부가되는 메타 데이터에 의해 구성되는 콘텐츠 데이터에 관한 처리를, 컴퓨터에 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소재 데이터에 대하여 데이터를 실제로 갱신하는 파괴 편집을 행하는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스텝과,
    상기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스텝의 처리에 의한 상기 소재 데이터의 파괴 편집에 의해 영향을 받는 메타 데이터를 특정하는 메타 데이터 특정 스텝과,
    상기 메타 데이터 특정 스텝의 처리에 의해 특정된 상기 메타 데이터를 갱신하는 제1 메타 데이터 갱신 스텝과,
    편집 대상인 데이터를 갱신하지 않은 비파괴 편집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에디트 리스트로서, 상기 소재 데이터 파괴 편집 스텝의 처리에 의해 파괴 편집된 상기 소재 데이터를 참조하는 상기 에디트 리스트를 검색하는 에디트 리스트 검색 스텝과,
    상기 에디트 리스트 검색 스텝의 처리에 의해 검색된 상기 에디트 리스트를 갱신하는 에디트 리스트 갱신 스텝과,
    상기 에디트 리스트 갱신 스텝의 처리에 의해 갱신된 상기 에디트 리스트의 메타 데이터를 갱신하는 제2 메타 데이터 갱신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50093472A 2004-10-06 2005-10-05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11484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94028A JP4179262B2 (ja) 2004-10-06 2004-10-06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JP-P-2004-00294028 2004-10-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2047A KR20060052047A (ko) 2006-05-19
KR101148406B1 true KR101148406B1 (ko) 2012-05-24

Family

ID=36378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3472A KR101148406B1 (ko) 2004-10-06 2005-10-05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43037B2 (ko)
JP (1) JP4179262B2 (ko)
KR (1) KR101148406B1 (ko)
CN (1) CN18156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87409B2 (ja) * 2005-11-11 2011-05-25 ソニー株式会社 撮像再生装置
US7987160B2 (en) * 2006-01-30 2011-07-26 Microsoft Corporation Status tool to expose metadata read and write queues
JP4172500B2 (ja) * 2006-05-30 2008-10-29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5046561B2 (ja) * 2006-05-31 2012-10-10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制御装置および記録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821462B2 (ja) * 2006-06-29 2011-11-24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方法、再生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760572B2 (ja) 2006-06-30 2011-08-31 ソニー株式会社 編集装置および編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285512B2 (ja) * 2006-07-31 2009-06-24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記録方法、再生装置、再生方法、記録再生装置、記録再生方法、撮像記録装置及び撮像記録方法
JP4737003B2 (ja) * 2006-08-10 2011-07-27 ソニー株式会社 編集装置、編集方法、編集プログラムおよび編集システム
JP4761555B2 (ja) * 2006-08-23 2011-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932152B1 (ko) 2006-08-23 2009-12-16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데이터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967572B2 (ja) * 2006-09-29 2012-07-04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JP4659714B2 (ja) * 2006-09-29 2011-03-30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及びコンテンツ管理方法
JP4961988B2 (ja) * 2006-12-13 2012-06-27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制御装置、記録制御方法
JP2008186499A (ja) * 2007-01-29 2008-08-14 Sony Corp ドライブ装置、記録メディアの取り扱い可能性報知方法、記録メディアの取り扱い動作制御方法および記録メディア
KR100961444B1 (ko) * 2007-04-23 2010-06-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검색하는 방법 및 장치
JP4360428B2 (ja) * 2007-07-19 2009-11-11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記録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078641B1 (ko) * 2008-07-14 2011-11-01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감각 재생 장치에 관계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응용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61078A (ko) * 2008-11-28 2010-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는 컨텐츠 소비 방법 및 그 장치
CN102017648B (zh) * 2009-03-04 2014-07-3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元数据生成管理装置、元数据生成系统、元数据生成管理用集成电路及元数据生成管理方法
JP5381454B2 (ja) * 2009-07-23 2014-01-08 ソニー株式会社 映像音声記録装置及び編集方法
DE102012201534B4 (de) * 2011-12-09 2018-08-30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orrichtung zur Zwischenspeicherung einer skalierbaren Original-Datei
JP2014081974A (ja) * 2012-10-12 2014-05-08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14204324A (ja) * 2013-04-05 2014-10-27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記録方法および再生装置
FR3019959B1 (fr) * 2014-04-11 2018-05-04 Trixell Procede de calibration d'un imageur numerique
KR102260665B1 (ko) * 2015-08-28 2021-06-04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콘텐츠 편집 s/w 활용을 위한 비디오 렌더링 시스템
US10122729B2 (en) * 2016-03-21 2018-11-06 Alfresco Software, Inc. Management of collaborative content item modification
JP6662762B2 (ja) * 2016-12-19 2020-03-11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KR102336997B1 (ko) 2017-08-16 2021-12-08 삼성전자 주식회사 서버,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978110B2 (en) * 2018-03-30 2021-04-1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238869B2 (en) * 2019-10-04 2022-02-01 Red Box Recorder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reconstructing metadata from audio outputs
KR102260628B1 (ko) * 2020-02-13 2021-06-03 이인현 협력적 스타일 트랜스퍼 기술을 이용한 이미지 생성 시스템 및 방법
US11573937B2 (en) 2020-10-09 2023-02-07 Bank Of Americ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resolving metadata structure discrepanci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4913A (ja) * 2001-02-16 2002-08-30 Canon Inc データ管理方法及び装置及び記憶媒体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2435A (en) * 1996-04-12 1998-12-22 Avid Technology, Inc. Digital multimedia editing and data management system
WO2002054762A1 (fr) * 2000-12-28 2002-07-11 Sony Corporation Procédé et dispositif de création de contenus
US7191190B2 (en) * 2001-03-27 2007-03-13 Microsoft Corporation Meta data management for media content objects
US7287222B2 (en) * 2002-01-31 2007-10-23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at determines effectiveness of metadata for editing information content
JP4335492B2 (ja) 2002-03-05 2009-09-30 キヤノン株式会社 動画像管理方法及び装置
JPWO2004021701A1 (ja) 2002-08-27 2005-12-22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4110525A (ja) 2002-09-19 2004-04-08 Canon Inc 電子バインダシステム、該システムの管理用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EP1584157B1 (en) 2003-01-16 2006-11-02 Sony United Kingdom Limited Video/audio network
JP2004334459A (ja) * 2003-05-07 2004-11-25 Nec Corp 記録再生装置、記録再生方法、および記録再生プログラム
JP4048561B2 (ja) * 2003-06-26 2008-02-2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US7177883B2 (en) * 2004-07-15 2007-02-13 Hitachi,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hierarchical storage management based on data value and user interes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4913A (ja) * 2001-02-16 2002-08-30 Canon Inc データ管理方法及び装置及び記憶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2047A (ko) 2006-05-19
JP4179262B2 (ja) 2008-11-12
CN1815612B (zh) 2010-05-26
US20060112124A1 (en) 2006-05-25
JP2006109160A (ja) 2006-04-20
CN1815612A (zh) 2006-08-09
US7743037B2 (en) 2010-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8406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JP3677779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KR101413264B1 (ko) 기록 및 재생장치 및 콘텐츠 관리방법
US7881587B2 (en) Playback apparatus, playback method, and program for the same
JPWO2003079359A1 (ja) データ記録方法、データ記録装置、データ記録媒体、データ再生方法及びデータ再生装置
EP2058814A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reating a photo movie based on still images when finalizing on optical disc
US8437604B2 (en) Information process apparatus and method, program, and record medium
US7882059B2 (en) Information process apparatus and method, program record medium, and program
JP4048561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US832074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program, and record medium
CN100562938C (zh) 信息处理设备和方法
US804634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reproducing metadata and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101352037A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计算机程序
JP2005032315A (ja) 記録再生装置及びその方法
US8085317B2 (en) Information process apparatus and method, program record medium, and program
WO2004112032A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4264829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507515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2005004424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4321425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8186542A (ja) 記録装置、記録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2006107641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