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8081B1 - 와이어로프 변형량 측정지그 및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와이어로프 변형량 측정지그 및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8081B1
KR101148081B1 KR1020090132903A KR20090132903A KR101148081B1 KR 101148081 B1 KR101148081 B1 KR 101148081B1 KR 1020090132903 A KR1020090132903 A KR 1020090132903A KR 20090132903 A KR20090132903 A KR 20090132903A KR 101148081 B1 KR101148081 B1 KR 101148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measuring
bearing
block
uppe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2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6249A (ko
Inventor
최윤서
김상휘
은종호
우갑주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2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8081B1/ko
Publication of KR20110076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6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8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8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01L1/2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resistance strain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9/00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 G01N19/08Detecting presence of flaws or irregulari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01N3/14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generated by dead weight, e.g. pendulum; generated by springs ten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Abstract

와이어로프 변형량 측정지그 및 측정방법이 개시된다. 이 측정지그는 상호 이격 배치된 복수의 수직지지봉과; 복수의 수직지지봉 상부에 결합된 상부블록과; 상부블록의 제1베어링수용공 내에서 선택적으로 회전 또는 고정되는 제1베어링과; 상부블록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고, 복수의 수직지지봉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중간블록과; 와이어로프를 제1베어링에 대해 선택적으로 로킹 또는 로킹 해제시키는 제1로킹유닛과; 와이어로프를 중간블록 대해 선택적으로 로킹 또는 로킹 해제시키는 제2로킹유닛과; 와이어로프에 매달린 추의 중량에 따라 와이어로프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측정유닛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추의 중량에 의한 와이어로프의 길이 변형량과 와이어로프의 자전에 의한 길이 변형량을 구별하여 측정할 수 있고, 와이어로프의 자전에 의한 회전 변형량도 측정할 수 있다.
와이어로프, 변형, 측정, 지그

Description

와이어로프 변형량 측정지그 및 측정방법{WIRE ROPE DEFORMATION MEASURING JIG AND METHOD}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 변형량 측정지그 및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와이어로프는 일반적으로 가늘고 긴 다수의 와이어(wire)를 꼬아 스트랜드(strand)를 만든 후 복수의 스트랜드를 코어(core) 주위에 꼬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여기서 와이어와 스트랜드의 꼬임 방향이 동일한 것을 '자전형' 와이어로프라고 부를 수 있고, 꼬임 방향이 반대인 것을 '비자전형' 와이어로프라고 부를 수 있다. 자전형 와이어로프는 인장력이 작용할 때 와이어들 간의 마찰력이 적어서 수명이 길고 연성이 좋은 반면에, 인장력이 작용할 때 와이어로프의 자전에 의해 길이 변형량이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비자전형 와이어로프는 자전형 와이어로프와 반대로 와이어로프의 자전은 발생하지 않지만 와이어들 간의 마찰력이 증가하여 수명이 저하되고 연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종래 와이어로프 테스트 지그는 자전형 와이어로프와 비자전형 와이어로프를 구별하지 않고 인장테스트를 수행함으로써 와이어로프의 인장력에 의한 길이 변형 량과 자전으로 인한 길이 변형량을 구별하여 측정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와이어로프의 인장력에 의한 길이 변형량과 자전으로 인한 길이 변형량을 구별하여 측정할 수 있는 와이어로프 변형량 측정지그 및 측정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호 이격 배치된 복수의 수직지지봉과; 복수의 수직지지봉 상부에 결합되고, 제1베어링수용공이 형성된 상부블록과; 상부블록의 제1베어링수용공 내에서 선택적으로 회전 또는 고정 가능하게 장착되고, 와이어로프가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제1베어링과; 상부블록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고, 복수의 수직지지봉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와이로프가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중간블록과; 와이어로프를 제1베어링에 대해 선택적으로 로킹 또는 로킹 해제시키는 제1로킹유닛과; 중간블록과 결합되어 와이어로프를 중간블록에 대해 선택적으로 로킹 또는 로킹 해제시키는 제2로킹유닛과; 상부블록 및 중간블록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된 와이어로프에 매달린 추의 중량에 따라 와이어로프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측정유닛을 포함하는 와이어로프 변형량 측정지그가 제공된다.
상기한 측정지그는 중간블록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고, 복수의 수직지지봉과 결합된 하부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블록과 하부블록은 각각 복수의 수직지지봉과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측정유닛은, 상부블록과 중간블록 사이에 연결되어 와이어로프의 길이 변형량을 측정하는 길이측정부와; 상부블록 또는 중간블록에 설치되어 와이어로프의 회전 변형량을 측정하는 회전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측정유닛은 길이 변형량 및 회전 변형량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길이측정부는 와이어 엔코더를 포함할 수 있고, 회전측정부는 눈금측정부 또는 로터리 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측정지그는, 제1베어링을 상부블록의 제1베어링수용공 내에 선택적으로 회전 또는 고정시키는 제1회전선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회전선택부는 상부블록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제1나사홈에 나사 결합되는 제1고정나사와; 상부블록의 외부에서 제1고정나사에 결합된 제1레버를 포함할 수 있고, 제1레버의 회전에 따라 제1고정나사가 제1나사홈 내에서 전진 또는 후진함에 의하여 제1베어링이 제1베어링수용공 내에서 선택적으로 회전 또는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측정지그는 중간블록에 형성된 제2베어링수용공 내에서 선택적으로 회전 또는 고정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베어링과, 상기 제2베어링을 상기 제2베어링수용공 내에서 선택적으로 회전 또는 고정시키는 제2회전선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회전선택부는 중간블록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제2나사홈에 나사 결합되는 제2고정나사와; 중간블록의 외부에서 제2고정나사에 결합된 제2레버를 포함할 수 있고, 제2베어링은 제2레버의 회전에 따라 제2고정나사가 제2나사홈 내에서 전진 또는 후진함에 의하여 제2베어링수용공 내에서 선택적으로 회전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제1로킹유닛은 제1베어링에 결합되고 와이어로프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제1지지부재와; 제1지지부재에 결합되고 와이어로프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제1가이드나사와; 제1가이드나사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확장 또는 수축 가능하게 배치된 제1조임부재와; 제1가이드나사와 나사 결합하여 제1조임부재를 선택적으로 조이거나 조임 해제하는 제1조임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로킹유닛은 중간블록에 결합되고 와이어로프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제2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에 결합되고 와이어로프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제2가이드나사와; 제2가이드나사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확장 또는 수축 가능하게 배치된 제2조임부재와; 제2가이드나사와 나사 결합하여 제2조임부재를 선택적으로 조이거나 조임 해제하는 제2조임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조임부재 및 제2조임부재는 각각 절두 원추형의 형상을 갖고, 제1조임너트 및 상기 제2조임너트는 각각 제1조임부재 및 제2조임부재의 외주면 상에서 승강 가능하다.
제1로킹유닛 및 제2로킹유닛은 각각, 제1조임부재 및 상기 제2조임부재의 내측에 배치되고 와이어로프를 탄성적으로 감싸는 제1탄성부재 및 제2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측정지그는, 하부블록의 하부로 연장된 와이어로프의 말단에 배치된 추걸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부블록의 상부에 배치된 설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블록, 상기 중간블록 및 상기 하부블록은 각각 원반형일 수 있고, 수직지지봉의 개수는 3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은 와이어로프 변형량 측정지그를 이용하여 와이어로프 변형량을 측정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와이어로프에 추를 매달지 않은 상태에서, 제1로킹유닛 및 제2로킹유닛을 이용하여 와이어로프를 제1베어링 및 중간블록에 대해 각각 로킹하는 단계와; 측정유닛을 이용하여 상부블록과 중간블록 사이의 제1거리를 측정하는 단계와; 와이어로프에 추를 매단 상태에서, 제1베어링이 고정상태에 있을 때, 측정유닛을 이용하여 상부블록과 중간블록 사이의 제2거리를 측정하는 단계와; 제2거리에서 제1거리를 감산하여 추의 중량에 의한 와이어로프의 길이 변형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와이어로프에 추를 매단 상태에서, 제1베어링이 회전상태에 있을 때, 측정유닛을 이용하여 상부블록과 중간블록 사이의 제3거리를 측정하는 단계와; 제3거리에서 제2거리를 감산하여 와이어로프의 자전에 의한 길이 변형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측정유닛을 이용하여 와이어로프의 자전에 의한 회전 변형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변형량 측정지그 및 측정방법에 의하면, 추의 중량에 의한 와이어로프의 길이 변형량과 와이어로프의 자전에 의한 길이 변형량을 구별하여 측정할 수 있고, 와이어로프의 자전에 의한 회전변형량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형,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구성이나 작용 등 외에도 다른 구성이나 작용 등을 더 포함할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변형량 측정지그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변형량 측정지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변형량 측정지그에서 상부블록 부위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상부블록 부위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상부블록 부위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변형량 측정지그에서 중간블록 부위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중간블록 부위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도 1을 중심으로 설명하되, 상부블록 부위에 대해서는 도 3a 및 도 3b 를 참조하여 설명하고, 하부블록 부위에 대해서는 도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측정부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물론 필요한 경우, 본 발명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도면의 순서에 상관없이 필요한 부분을 참조하여 설명토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변형량 측정지그는, 복수의 수직지지봉(40)과; 상부블록(10)과; 중간블록(20)과; 제1로킹유닛(50)과; 제2로킹유닛(60)과; 측정유닛(100, 1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변형량 측정지그는 제1베어링(70)(도 3a 및 도 3b)과, 제2베어링(170)(도 4a 및 도 4b)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수직지지봉(40)은 상호 이격되게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수직지지봉(40)의 개수는 후술하는 중간블록(20)의 요동을 방지하기 위한 최소 개수로서 3개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하지 않는다. 복수의 수직지지봉(40)은 방사상 대칭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비대칭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부블록(10)은 복수의 수직지지봉(4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블록(10)은 복수의 수직지지봉(40)에 고정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위치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슬라이딩에 의해 위치를 이동한 후 고정될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블록(10)의 중앙 영역에는 제1베어링수용공(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베어링수용공(12)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베어링(70)이 장착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베어링수용공(12)의 둘레에는 복수 의 관통공(11)이 형성될 수 있고, 이 관통공(11)에 복수의 수직지지봉(40)이 결합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상부블록(10)이 수직지지봉(4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한 경우로서, 수직지지봉(40)이 후술하는 설치부재(120)와 일체로 형성되어 관통공(11)을 관통하고 있는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수직지지봉(40)과 설치부재(120)는 별도로 제작되어 각각 상부블록(10)의 하면과 상면에 독립적으로 고정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복수의 관통공(11)이 필요치 않을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블록(10)에는 횡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홈(13)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나사홈(13)의 나사산 길이가 상부블록(10)의 외측면에서 제1베어링수용공(12)에 인접한 영역에 이르기까지 연장된 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나사산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 나사홈(13)에는 후술하는 제1회전선택부(80)의 제1고정나사(82)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블록(10)의 형상은 원반형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으며 다각형 플레이트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가능하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블록(20)은 상부블록(10)의 하방에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수직지지봉(4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중간블록(20)의 중앙 영역에는 제2베어링(170)이 장착되는 제2베어링수용공(22)이 형성될 수 있고, 그 둘레에는 복수의 수직지지봉(4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통과하는 복수의 관통공(21)이 형성될 수 있다. 중간블록(20)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복수 개로 할 수 있다.
상부블록(10)과 중간블록(20) 사이의 거리는 테스트하고자 하는 와이어로프(1)의 길이에 따라 다양하게 조정 가능하다. 상부블록(10)과 마찬가지로 중간블록(20)의 형상도 원반형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하지 않는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블록(20)에는 횡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홈(23)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나사홈(23)의 나사산 길이가 중간블록(20)의 외측면에서 제2베어링수용공(22)에 인접한 영역에 이르기까지 연장된 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나사산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 나사홈(23)에는 후술하는 제2회전선택부(180)의 제2고정나사(182)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변형량 측정지그는 중간블록(20)의 하방에 이격 배치된 하부블록(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블록(30)은 복수의 수직지지봉(40)에 고정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위치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수직지지봉(4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한 후 고정 결합될 수도 있다. 하부블록(30)의 중앙 영역에는 와이어로프(1)가 통과하는 관통공(31)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블록(30)의 형상도 원반형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는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베어링(70)은 상부블록(10)의 제1베어링수용공(12) 내에 선택적으로 회전 또는 고정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면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베어링(70)의 예로서 부싱(bushing) 형태의 베어링이 도시되어 있지만, 롤러베어링이나 볼베어링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베어링이 사용될 수 있다. 제1베어링(70)의 중앙 영역에는 와이어로프(1)가 통과하는 관통공(7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베어링(70)의 선택적인 회전 또는 고정은 제1회전선택부(8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회전선택부(8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블록(10)의 나사홈(13)에 나사 결합되는 제1고정나사(82)와 제1고정나사(82)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제1레버(8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레버(81)의 회전에 따라 제1고정나사(82)는 전진하거나 후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고정나사(82)의 선단부에 형성된 접촉부(83)가 제1베어링(70)에 대해 가압 접촉되거나 이격되어 제1베어링(70)을 선택적으로 회전 또는 고정시킬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베어링(170)은 중간블록(20)의 제2베어링수용공(22) 내에 선택적으로 회전 또는 고정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2베어링(170)이 제2베어링수용공(22) 내에서 회전 가능한 상태에 있는 경우에, 제2베어링(170)은 중간블록(20)과 함께 수직지지봉(40)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예컨대 제2베어링수용공(22)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제2베어링의 축방향 이동을 구속하는 단턱(미도시)을 각각 형성함에 의하여 얻을 수 있다. 제2베어링(170)도 제1베어링(70)과 마찬가지로 부싱(bushing) 형태의 베어링 외에도 롤러베어링이나 볼베어링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베어링이 사용될 수 있다. 제2베어링(170)의 중앙 영역에는 와이어로프(1)가 통과하는 관통공(17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베어링(170)의 선택적인 회전 또는 고정은 제2회전선택부(180)에 의해 이 루어질 수 있다. 제2회전선택부(18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중간블록(20)의 나사홈(23)에 나사 결합되는 제2고정나사(182)와 제2고정나사(182)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제2레버(18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레버(181)의 회전에 따라 제2고정나사(182)는 전진하거나 후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고정나사(182)의 선단부에 형성된 접촉부(183)가 제2베어링(170)에 대해 가압 접촉되거나 이격되어 제2베어링(170)을 선택적으로 회전 또는 고정시킬 수 있다.
제1로킹유닛(50)은 제1베어링(70)과 결합되어 와이어로프(1)를 제1베어링(70)에 대해 선택적으로 로킹 또는 로킹 해제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로킹유닛(50)은 제1베어링(70)의 상부에 결합되어 제1베어링(70)과 함께 회전하거나 고정되는 제1지지부재(54)와; 제1지지부재(54)의 상부에 결합된 제1가이드나사(52)와; 제1가이드나사(52)의 상부에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대략 절두 원추형의 형상을 갖는 제1조임부재(53)와; 제1가이드나사(52)와 나사 결합되고 제1조임부재(53)의 원추형 외주면과 슬라이딩 접촉하는 제1조임너트(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부재(54), 제1가이드나사(52) 및 제1조임부재(53)의 중앙 영역에는 와이어로프(1)가 통과하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조임부재(53)의 관통공에는 와이어로프(1)를 탄성적으로 감싸는 제1탄성부재(55)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1로킹유닛(50)은 제1조임너트(51)가 제1가이드나사(52)와 나사 결합을 유지하면서 승강함에 따라 와이어로프(1)를 제1베어링(70)에 대해 선택적으로 로킹하거나 로킹 해제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조임너트(51)가 상방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제1조임너트(51)가 제1조임부재(53)의 원추형 외주면 중에서 상대적으로 지름이 작은 영역과 접촉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1조임부재(53)는 제1탄성부재(55)의 탄성력에 의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로프(1)에 대한 제1조임부재(53)의 조임이 해제되어 제1베어링(70)에 대한 와이어로프(1)의 로킹이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로프(1)는 제1베어링(70)의 회전이나 고정에 대해 자유롭게 될 수 있다.
반면에,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조임너트(51)가 하방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제1조임너트(51)가 제1조임부재(53)의 원추형 외주면 중에서 상대적으로 지름이 큰 영역과 접촉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1조임부재(53)는 탄성력을 이기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수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로프(1)에 대한 제1조임부재(53)의 조임 작용에 의하여 제1베어링(70)에 대한 와이어로프(1)의 로킹이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로프(1)는 제1베어링(70)과 함께 선택적으로 회전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제2로킹유닛(60)은 제2베어링(170)과 결합되어 와이어로프(1)를 제2베어링(170)에 대해 선택적으로 로킹 또는 로킹 해제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로킹유닛(60)은 제2베어링(170)의 상부에 결합되어 제2베어링(170)과 함께 회전하거나 고정되는 제2지지부재(64)와; 제2지지부재(64)의 상부에 결합된 제2가이드나사(62)와; 제2가이드나사(62)의 상부에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대략 절두 원추형의 형상을 갖는 제2조임부 재(63)와; 제2가이드나사(62)와 나사 결합되고 제2조임부재(63)의 원추형 외주면과 슬라이딩 접촉하는 제2조임너트(6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지지부재(64), 제2가이드나사(62) 및 제2조임부재(63)의 중앙 영역에는 와이어로프(1)가 통과하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2조임부재(63)의 관통공에는 와이어로프(1)를 탄성적으로 감싸는 제2탄성부재(65)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2로킹유닛(60)은 제2조임너트(61)가 제2가이드나사(62)와 나사 결합을 유지하면서 승강함에 따라 와이어로프(1)를 제2베어링(170)에 대해 선택적으로 로킹하거나 로킹 해제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로킹과 로킹 해제를 위한 구체적인 동작은 제1로킹유닛(50)에 대해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반복 설명을 생략한다.
측정유닛(100, 1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측정부(100)와 회전측정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길이측정부(100)는 와이어로프(1)의 하단부에 추를 매달았을 때 와이어로프(1)의 길이 변형량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블록(10)과 중간블록(20) 사이에 배치된 와이어 엔코더(wire encoder)로서 마련될 수 있다.
회전측정부(110)는 와이어로프(1)의 하단부에 추를 매달았을 때 와이어로프(1)의 자전에 의한 회전 변형량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블록(10)의 상부 중앙 영역에 배치된 눈금부(111)와, 지지부재(54)에 형성된 지시선(112)을 포함하는 눈금측정부로서 마련될 수 있다. 눈금부(111)와 지시선(112)은 서로 반대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과 달리, 회전측정 부(110)는 로터리 엔코더(rotary encoder)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회전측정부(110)가 상부블록(10)에 설치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회전측정부(110)는 중간블록(2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측정유닛(100, 110)은 측정된 와이어로프의 길이 변형량 및 회전 변형량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참조번호 90은 와이어로프(1)의 말단부에 결합되어 추를 매달 수 있는 추걸이를 나타내고, 참조번호 12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측정지그를 갠트리 등에 설치할 수 있는 설치부재를 나타낸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2베어링(170)이 제2베어링수용공(22) 내에서 선택적으로 회전 또는 고정 가능하고 이에 따라 와이어로프(1)가 중간블록(20)에 대해 선택적으로 회전 또는 고정 가능하도록 구성되었지만, 제2베어링(170)의 장착 없이 제2로킹유닛(60)의 제2지지부재(64)가 중간블록(20)에 직접 결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와이어로프(1)가 중간블록(20)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2베어링수용공(22)과 제2회전선택부(180)가 필요치 않게 된다. 또한 중간블록(20)에는 와이어로프(1)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만 형성하면 된다. 물론 이 관통공으로는 제2베어링수용공(22)이 활용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측정지그를 이용하여 와이어로프의 길이 변형량 및 회전 변형량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3a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로킹유닛(50)의 제1조임너트(51)와 제2로킹유닛(60)의 제2조임너트(61)를 각각 상방으로 이동시켜 와이어로 프(1)의 로킹을 해제한 상태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로프(1)를 배치할 수 있다.
다음에, 테스트하고자 하는 와이어로프(1)의 길이에 맞게, 예컨대 1m 간격으로 상부블록(10)과 중간블록(20)의 간격을 조정한 후, 제1로킹유닛(50)의 제1조임너트(51)와 제2로킹유닛(60)의 제2조임너트(61)를 각각 하방으로 이동시켜 와이어로프(1)를 로킹할 수 있다. 이때 중간블록(20)은 도 1에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A"위치에 있을 수 있다. 즉, "A"위치는 와이어로프(1)에 추의 중량이 가해지기 전의 초기위치라고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길이측정부(100)에 의하여 와이어로프(1)의 변형 전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부블록(10)과 중간블록(20)의 간격을 미리 조정한 다음에 와이어로프(1)의 변형 전 길이를 측정하는 예를 들었지만, 상기 간격 조정과 변형 전 길이 측정은 동시에 행해질 수 있다.
중간블록이 초기위치(A)에 있을 때, 제1베어링(70)은 회전상태에 있을 수도 있고 고정상태에 있을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베어링(70)이 고정상태에 있는 경우를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이 경우, 제2베어링(170)은 고정상태에 있다.
제1베어링(70)이 고정상태에 있을 때, 제1베어링(70)에 대해 로킹되어 있는 와이어로프(1)는 자전이 저지될 수 있다. 이 상태는 와이어로프(1)의 자전으로 인한 길이 변형을 배제할 수 있는 상태다.
이 상태에서 추걸이(90)에 측정용 추를 매달면 중간블록(20)은 도 1에 점선 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B"위치로 하강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길이측정부(100)를 이용하여 변형된 와이어로프(1)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B"위치에서 측정된 와이어로프(1)의 길이에서 "A"위치에서 측정된 와이어로프(1)의 길이를 빼면 추의 중량에 의하여 늘어난 와이어로프(1)의 변형량을 산출할 수 있다.
다음에, 제1회전선택부(80)를 이용하여 제1베어링(70)을 회전 가능한 상태로 돌린다. 제1베어링(70)의 회전이 가능해짐에 따라 제1베어링(70)에 로킹되어 있는 와이어로프(1)도 자전이 가능해진다.
와이어로프(1)의 자전으로 인해 와이어로프(1)의 길이는 더 늘어날 수 있고, 중간블록(20)은 도 1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C"위치로 더 하강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길이측정부(100)를 이용하여 추의 중량 및 와이어로프(1)의 자전에 의하여 늘어난 와이어로프(1)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C"위치에서 측정된 와이어로프(1)의 길이에서 "B"위치에서 측정된 와이어로프(1)의 길이를 빼면 와이어로프(1)의 자전에 의하여 늘어난 변형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회전측정부(110)를 이용하여 와이어로프(1)의 자전에 의한 회전 변형량을 예컨대 회전각도 단위로 측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측정된 와이어로프의 길이, 길이 변형량 및 회전 변형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도시되지 않은 표시부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 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변형량 측정지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변형량 측정지그에서 상부블록 부위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상부블록 부위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로서, 제1로킹유닛이 로킹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상부블록 부위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로서, 제1로킹유닛이 로킹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변형량 측정지그에서 중간블록 부위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로서, 제2로킹유닛이 로킹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중간블록 부위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로서, 제2로킹유닛이 로킹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상부블록 20: 중간블록
30: 하부블록 40: 수직지지봉
50,60: 조임유닛 51,61: 조임너트
52,62: 가이드나사 53,63: 조임부재
54,64: 지지부재 55,65: 탄성부재
70,170: 베어링 80,180: 회전선택부
81,181: 레버 82,182: 고정나사
83,183: 접촉부 90: 추걸이
100: 길이측정부 110: 회전측정부
120: 설치부재

Claims (14)

  1. 상호 이격 배치된 복수의 수직지지봉과;
    상기 복수의 수직지지봉 상부에 결합되고, 제1베어링수용공이 형성된 상부블록과;
    상기 상부블록의 제1베어링수용공 내에서 선택적으로 회전 또는 고정 가능하게 장착되고, 와이어로프가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제1베어링과;
    상기 상부블록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수직지지봉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와이어로프가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중간블록과;
    상기 제1베어링과 결합되고, 와이어로프를 상기 제1베어링에 대해 선택적으로 로킹 또는 로킹 해제시키는 제1로킹유닛과;
    상기 중간블록과 결합되어 와이어로프를 상기 중간블록에 대해 선택적으로 로킹 또는 로킹 해제시키는 제2로킹유닛과;
    상기 상부블록 및 상기 중간블록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된 와이어로프에 매달린 추의 중량에 따라 와이어로프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측정유닛을 포함하는 와이어로프 변형량 측정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블록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수직지지봉과 결합된 하부블록을 더 포함하는 와이어로프 변형량 측정지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유닛은, 상기 상부블록과 상기 중간블록 사이에 연결되어 와이어로프의 길이 변형량을 측정하는 길이측정부와; 상기 상부블록 또는 상기 중간블록에 설치되어 와이어로프의 회전 변형량을 측정하는 회전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변형량 측정지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측정부는 와이어 엔코더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측정부는 눈금측정부 또는 로터리 엔코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변형량 측정지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유닛은 상기 길이 변형량 및 회전 변형량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변형량 측정지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어링을 상기 상부블록의 제1베어링수용공 내에서 선택적으로 회전 또는 고정시키는 제1회전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와이어로프 변형량 측정지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선택부는 상기 상부블록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제1나사홈에 나사 결합되는 제1고정나사와; 상기 상부블록의 외부에서 상기 제1고정나사에 결합된 제1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레버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고정나사가 상기 제1나사홈 내에서 전진 또는 후진함에 의하여 상기 제1베어링이 상기 제1베어링수용공 내에서 선택적으로 회전 또는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변형량 측정지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로킹유닛은 상기 제1베어링에 결합되고 와이어로프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1지지부재에 결합되고 와이어로프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제1가이드나사와; 상기 제1가이드나사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확장 또는 수축 가능하게 배치된 제1조임부재와; 상기 제1가이드나사와 나사 결합하여 상기 제1조임부재를 선택적으로 조이거나 조임 해제하는 제1조임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로킹유닛은 상기 중간블록에 결합되고 와이어로프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제2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에 결합되고 와이어로프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제2가이드나사와; 상기 제2가이드나사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확장 또는 수축 가능하게 배치된 제2조임부재와; 상기 제2가이드나사와 나사 결합하여 상기 제2조임부재를 선택적으로 조이거나 조임 해제하는 제2조임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변형량 측정지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임부재 및 상기 제2조임부재는 각각 절두 원추형의 형상을 갖고, 상기 제1조임너트 및 상기 제2조임너트는 각각 상기 제1조임부재 및 상기 제2조임부재의 외주면 상에서 승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변형량 측정지그.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로킹유닛 및 제2로킹유닛은 각각, 상기 제1조임부재 및 상기 제2조임부재의 내측에 배치되고 와이어로프를 탄성적으로 감싸는 제1탄성부재 및 제2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변형량 측정지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블록의 상부에 배치된 설치부재를 더 포함하는 와이어로프 변형량 측정지그.
  12. 제1항에 따른 와이어로프 변형량 측정지그를 이용하여 와이어로프 변형량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와이어로프에 추를 매달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로킹유닛 및 상기 제2로킹유닛을 이용하여 와이어로프를 상기 제1베어링 및 상기 중간블록에 대해 각각 로 킹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블록과 상기 중간블록 사이의 제1거리를 측정하는 단계와;
    와이어로프에 추를 매단 상태에서, 상기 제1베어링이 고정상태에 있을 때, 상기 측정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블록과 상기 중간블록 사이의 제2거리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2거리에서 상기 제1거리를 감산하여 추의 중량에 의한 와이어로프의 길이 변형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와이어로프 변형량 측정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와이어로프에 추를 매단 상태에서, 상기 제1베어링이 회전상태에 있을 때, 상기 측정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블록과 상기 중간블록 사이의 제3거리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3거리에서 상기 제2거리를 감산하여 와이어로프의 자전에 의한 길이 변형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와이어로프 변형량 측정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와이어로프에 추를 매단 상태에서, 상기 측정유닛을 이용하여 와이어로프의 자전에 의한 회전 변형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와이어로프 변형량 측정방법.
KR1020090132903A 2009-12-29 2009-12-29 와이어로프 변형량 측정지그 및 측정방법 KR101148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903A KR101148081B1 (ko) 2009-12-29 2009-12-29 와이어로프 변형량 측정지그 및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903A KR101148081B1 (ko) 2009-12-29 2009-12-29 와이어로프 변형량 측정지그 및 측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6249A KR20110076249A (ko) 2011-07-06
KR101148081B1 true KR101148081B1 (ko) 2012-05-22

Family

ID=44916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2903A KR101148081B1 (ko) 2009-12-29 2009-12-29 와이어로프 변형량 측정지그 및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808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474B1 (ko) * 2015-05-26 2016-10-1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충격완화장치가 장착된 복수 시험편의 직렬식 하중 부가장치
KR20180027669A (ko) * 2016-09-05 2018-03-15 (주) 철도안전연구소 교량 거더의 처짐 측정 장치
KR20240032457A (ko) 2022-09-02 2024-03-12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이어의 트위스트 인장시험 시스템
KR20240032447A (ko) 2022-09-02 2024-03-12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이어의 트위스트 인장 시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20792A (zh) * 2019-07-12 2019-09-10 济南文腾试验仪器有限公司 一种100吨拉扭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6875A (en) 1981-12-14 1984-01-24 Rca Corporation Strain measurement
JPH10221049A (ja) 1997-02-10 1998-08-21 Tokyo Seiko Co Ltd ロープ伸び測定装置及びロープ伸び測定方法
KR20080038565A (ko) * 2006-10-30 2008-05-07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현수 시스템의 케이블 장력 측정을 위한 표준 실험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6875A (en) 1981-12-14 1984-01-24 Rca Corporation Strain measurement
JPH10221049A (ja) 1997-02-10 1998-08-21 Tokyo Seiko Co Ltd ロープ伸び測定装置及びロープ伸び測定方法
KR20080038565A (ko) * 2006-10-30 2008-05-07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현수 시스템의 케이블 장력 측정을 위한 표준 실험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474B1 (ko) * 2015-05-26 2016-10-1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충격완화장치가 장착된 복수 시험편의 직렬식 하중 부가장치
KR20180027669A (ko) * 2016-09-05 2018-03-15 (주) 철도안전연구소 교량 거더의 처짐 측정 장치
KR101941076B1 (ko) 2016-09-05 2019-01-30 (주) 철도안전연구소 교량 거더의 처짐 측정 장치
KR20240032457A (ko) 2022-09-02 2024-03-12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이어의 트위스트 인장시험 시스템
KR20240032447A (ko) 2022-09-02 2024-03-12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이어의 트위스트 인장 시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6249A (ko) 201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8081B1 (ko) 와이어로프 변형량 측정지그 및 측정방법
CN101855158B (zh) 绳检查装置
JP4731207B2 (ja) 既設アンカーの荷重測定方法および既設アンカーの再緊張方法
KR101260966B1 (ko) 각도조절용 앵커브라켓을 구비한 강연선 인장장치
JP6170810B2 (ja) エレベータの主ロープテンション計測装置及び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RU17155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спытания ограждения кровли
KR200443692Y1 (ko) 교량 강교박스 슬리브 구간의 안전진단시설
EP2643670B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testing the load-supporting capability of a lifting fixture
KR101049900B1 (ko) 긴장부재 어셈블리
CN1325363C (zh) 绳的防摆动装置,修理和更换该装置的时间的检测方法,和该装置的制造方法
CN107328645B (zh) 薄壁杆件试验装置和试验方法
CN107024330B (zh) 一种模态实验平台及其使用方法
JP2015090346A (ja) タイヤ試験機の校正装置及びタイヤ試験機の校正方法
KR20150027214A (ko) 반응기에서 고체 입자의 분배
JP5984520B2 (ja) 綱車の主索溝摩耗測定装置
JP3127625U (ja) 材料試験機
CN109578778B (zh) 静力试验装置及传感器安装座
JP6218483B2 (ja) エレベータの主索固定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CN215261712U (zh) 角游隙测量装置
CN215114347U (zh) 负载角游隙测量装置
KR100365315B1 (ko) 엘리베이터 하중측정장치
CN216113255U (zh) 一种用于变位测量的可调节导向支架
CN201464225U (zh) 深海定深自动释放装置
CN111397783A (zh) 悬索桥主缆索股制造的钢丝张力检测装置
KR101583241B1 (ko) 강연선 재인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