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8014B1 -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8014B1
KR101148014B1 KR1020067017181A KR20067017181A KR101148014B1 KR 101148014 B1 KR101148014 B1 KR 101148014B1 KR 1020067017181 A KR1020067017181 A KR 1020067017181A KR 20067017181 A KR20067017181 A KR 20067017181A KR 101148014 B1 KR101148014 B1 KR 101148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support tube
windshield wiper
wiper devic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7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5864A (ko
Inventor
위르겐 랍프
하이코 볼츠
하랄트 레머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60125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5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8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8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88Wiper arrangement for crash protection or impact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13Modular wiper assembly
    • B60S1/0422Modular wiper assembly having a separate transvers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3Attachment of the wiper assembly to the vehicle
    • B60S1/0433Attachement of a wiper modular assembly to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 Gears, Cam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부품들(12, 14, 16, 18, 20)을 포함하는 특히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10)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부품들은 적어도 하나의 와이퍼 샤프트(16)에 장착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와이퍼 베어링(14)을 지지하는 지지관(12)이다. 또한,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10)에서 와이퍼 샤프트(16)가 구동기(18)에 의해 방사방향 운동을 할 수 있는 기어장치(20)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 지지관(12)에 변형 소자(38, 42)가 배치되고, 상기 변형 소자는 규정된 축방향 힘 F이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10)의 부품들(12, 14, 16, 18, 20) 중 하나에 작용함으로써 변형될 수 있다.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와이퍼 베어링, 와이퍼 샤프트, 지지관

Description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Windshield wiping device, especially for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의 전제부에 따른 특히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와이퍼 샤프트를 지지하는 와이퍼 베어링을 가진 예컨대 지지관과 같은 다수의 부품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들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들은 와이퍼 샤프트를 구동기에 의해 방사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특히 진자 운동 시킬 수 있는 기어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예컨대 EP A 0 739 792호에는, 보행자가 와이퍼 샤프트에 충돌시 차량으로부터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가 분리될 수 있도록 설정 파괴점이 배치됨으로써 상기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가 차량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설정 파괴점은 와이퍼 샤프트에 작용하는 축방향 힘의 방향과 강도에 따라 항상 최적은 아니다. 또한, 보행자가 차체의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의 영역 내에 부딪히고 와이퍼 샤프트에 직접 부딪히지 않는 경우에, 문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체의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영역 내에 부딪히는 보행자를 최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독립 청구항의 특징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는 바람직하게,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의 부품들 중 하나에 축방향 힘이 작용함으로써 변형될 수 있는 변형 소자가 지지관에 제공된다. 이로 인해 보행자가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의 와이퍼 샤프트에 직접 부딪히지 않을 때에도 보행자를 최적으로 보호하는 것이 보장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저렴하고 제조가 간단하다.
종속 청구항에 구현된 조치에 의해 독립 청구항에 제시된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와 개선이 이루어진다.
변형 소자가 지지관의 저항 횡단면의 축소부로 형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의 제조를 복잡하게 하고 비용을 증가시키는 다른 부품들이 필요 없기 때문이다.
변형 소자가 지지관 내에 축방향 홈으로 형성되면, 특히 저렴하고 제조가 간단하다.
또한, 지지관이 다수의 관 부분들을 포함하고 변형 소자가 상기 관 부분들 중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지지관의 변형 소자가 와이퍼 베어링과 지지관의 추가 관 부분 사이의 연결 부품으로 형성되면 특히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와이퍼 베어링과 지지관 사이의 추가 연결 부품이 생략될 수 있기 때문이다.
충돌하는 보행자를 특히 양호하게 보호하는 것은, 와이퍼 베어링이 차체에 고정될 수 있음으로써, 그리고 와이퍼 베어링과 차체 사이의 연결부에 배치된 추가의 변형 소자가 제공됨으로써 달성된다.
변형 소자는 와이퍼 샤프트에 규정된 축방향 힘이 작용함으로써 변형될 수 있으면, 차체로부터 돌출한 와이퍼 샤프트에 부딪히는 보행자는 특히 양호하게 보호된다.
변형시 변형 소자는 계속해서 에너지를 흡수하므로, 충돌로 인한 에너지는 충돌하는 보행자 대신 변형 소자에 전달되고, 이로써 보행자는 더욱 양호하게 보호된다.
또한, 규정된, 특히 더 큰 추가의 축방향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 변형 소자는 파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이 도면에 도시되고 하기의 설명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의 와이퍼 베어링 및 지지관 일부의 상세도.
도 3은 도 1의 변형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의 사시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10)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10)는 다수의 부품들(12, 14, 16, 18, 20)을 포함하고, 특히 지지관(12)의 단부에 와이퍼 베어링(14)이 고정된다. 와이퍼 베어링(14)에 각각 와이퍼 샤프트(16)가 장착된다. 상기 와이퍼 샤프트는 구동기(18)에 의해 기어장치(20)를 이용하여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다. 기어장치(20)는 피동 크랭크(22)를 포함하고, 상기 피동 크랭크는 구동기(18)에 의해 왕복 운동할 수 있거나 또는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피동 크랭크(22)에 2개의 커넥팅 로드들(24)이 힌지 연결되고, 피동 크랭크(22)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기 커넥팅 로드 단부들에서 각각의 구동 크랭크(26)가 진자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넥팅 로드(24)는 볼 조인트(28)에 의해 구동 크랭크(26)에 연결된다. 구동 크랭크(26)는 다시 와이퍼 샤프트(16)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상기 와이퍼 샤프트는 작동시 왕복 운동을 실시한다.
와이퍼 베어링(14)은 와이퍼 샤프트(16)를 지지하는 성형관(30)을 포함한다. 고정 섹션(32)이 성형관(30)과 일체로 상기 성형관(30)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 섹션은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10)를 차체에 고정하는데 이용된다. 지지관(12)에 고정하기 위해 와이퍼 베어링(14)은 실질적으로 바 형태의 고정 소켓(34)을 갖고, 상기 고정 소켓은 지지관(12) 내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관과 크림핑된다.
변형예에서, 지지관(12)은 중공식이 아니라 중실 재료로 이루어지고 와이퍼 베어링(14)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변형예에서 고정 섹션(32)은 지지관(12)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10)의 지지관(12)의 부분과 와이퍼 베어링(14)이 도시된다. 성형관(30), 고정 섹션(32) 및 고정 소켓(34)은 플라스틱 사출성형 방법으로 일체로 캐스팅된다. 성형관(30)에 와이퍼 샤프트(16)가 지지되고, 상기 성형관(30)의 자유 단부(36)에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가진 와이퍼 암이 고정될 수 있고, 와이퍼 암과 와이퍼 블레이드는 명확함을 위해 도시되지 않는다. 와이퍼 샤프트(16)의 자유 단부(36)는 조립된 위치에서 차체로부터 돌출한다.
금속으로 형성된 지지관(12)은 횡단면으로 볼 때 내부가 중공이다. 상기 지지관의 벽에 다수의 홈(38)들이 배치되고, 상기 홈들은 변형 소자로 이용된다. 홈들(38)은 1 내지 5 cm의 긴 형상이다. 홈(38)의 길이는 지지관(12)의 길이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다. 홈(38)의 폭은 약 0.5 내지 5 mm이다. 이 경우 4개의 홈들(38)이 배치되고, 상기 홈들은 성형(stellate fashion)으로, 각각 90˚오프셋 되어 지지관(12)의 벽 내에 배치된다. 이로써 지지관의 축소된 저항 횡단면이 얻어지므로, 보행자가 와이퍼 샤프트의 자유 단부(36)에 충돌시 지지관(12)은 에너지를 흡수하면서 변형된다. 변형예에서, 물론 2개, 3개 또는 다수의 홈들(38)이 배치될 수 있고, 이때 상기 홈들은 지지관(12)의 둘레에 적절히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10)의 변형예가 도시된다. 도 1의 도면 부호들은 동일한 부품에 상응하게 다시 사용된다. 여기에서는 도 1과 상이한 부분들만 설명된다. 나머지 부분들은 동일하게 형성된다.
여기에서 지지관(12)은 다수의 부분으로 형성되고, 구동기(18)가 고정된 제 1 관 부분(40)을 포함한다. 또한, 지지관(12)은 추가 관 부분으로서 변형 소자(42)를 포함하고, 상기 변형 소자는 긴 형상 및 관형으로 형성된다. 변형 소자(42)의 연장부 단부에서 상기 변형 소자는 제 1 관 부분(40)을 둘러싸고, 상기 제 1 관 부분 위에 크림핑 된다. 변형 소자(42)의 연장부의 반대편 단부에서 상기 변형 소자(42)는 와이퍼 베어링(14)의 고정 소켓(34)에 크림핑 된다. 관형 변형 소자(42)의 벽 두께는, 제 1 관 부분(40)의 벽 두께보다 약간 작게 선택된다.
규정된 축방향 힘이 와이퍼 샤프트(16)의 자유 단부(36)에, 또는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의 구동기(18) 또는 기어장치(20)에 작용하면, 변형 소자(42)는 구부러질 수 있으므로, 와이퍼 샤프트(16) 또는 기어장치(20) 및 구동기(18)는 에너지를 흡수하면서 뒤로 물러날 수 있다.
번형 소자의 길이는 1.5 내지 10 cm이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 변형 소자는 제 1 관 부분(40)과 동일한 벽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이를 위해 더 낮은 인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특히 변형 소자(42)는 제 1 관 부분(40) 위로 수축, 크림핑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비-형상끼워맞춤 및/또는 형상끼워맞춤 방식으로 제 1 관 부분(40)에 결합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서 변형 소자(42)는 제 1 관 부분(40) 내로 삽입되고 지지관(12)보다 낮은 인성 재료로 이루어진 중실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특징들의 임의의 조합도 가능하다.

Claims (9)

  1.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10)로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관(12), 적어도 하나의 와이퍼 베어링(14), 적어도 하나의 와이퍼 샤프트(16), 구동기(18) 및 상기 와이퍼 샤프트(16)를 선회 운동을 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어장치(2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관(12)에 적어도 하나의 변형 소자(38, 42)가 제공되고, 상기 변형 소자는 규정된 제 1 축방향 힘(F)이 상기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10)의 상기 지지관(12), 상기 와이퍼 베어링(14), 상기 와이퍼 샤프트(16), 상기 구동기(18) 및 상기 기어장치(20) 중 하나에 작용함으로써 변형될 수 있는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형 소자(38, 42)는 상기 지지관(12) 내에 축방향 홈으로서 형성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12)의 벽에 형성된 상기 홈(38)은 상기 지지관(12)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홈의 길이가 1 내지 5㎝의 긴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홈(38)의 폭은 0.5 내지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홈(38)은 상기 지지관(12)의 벽 내에상기 지지관의 원주를 따라 서로 오프셋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12)의 상기 변형 소자(42)는 상기 지지관(12)의 제 1 관 부분(40)과 상기 와이퍼 베어링(14) 사이의 추가 관 부분의 형태인 연결 부품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관 부분(40)에 구동기(18)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베어링(14)은 차체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와이퍼 베어링(14)과 차체 사이의 연결부에 배치된 다른 변형 소자(38, 42)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소자(38, 42)는 상기 규정된 제 1 축방향 힘(F)보다 더 큰 제 2 축방향 힘(F2)의 작용시 파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8. 삭제
  9. 삭제
KR1020067017181A 2004-02-26 2005-01-27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KR1011480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09303.2 2004-02-26
DE102004009303A DE102004009303A1 (de) 2004-02-26 2004-02-26 Scheibenwisch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PCT/EP2005/050354 WO2005082688A1 (de) 2004-02-26 2005-01-27 Scheibenwisch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5864A KR20060125864A (ko) 2006-12-06
KR101148014B1 true KR101148014B1 (ko) 2012-05-25

Family

ID=34853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7181A KR101148014B1 (ko) 2004-02-26 2005-01-27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720747B1 (ko)
KR (1) KR101148014B1 (ko)
CN (1) CN100584670C (ko)
BR (1) BRPI0506580A (ko)
DE (2) DE102004009303A1 (ko)
ES (1) ES2341462T3 (ko)
WO (1) WO200508268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77012A1 (en) * 2000-11-09 2003-04-24 Joachim Zimmer Wiper housing and method for producing a wiper housin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03976C2 (de) * 1989-02-10 1997-07-03 Teves Gmbh Alfred Wischeranlage
EP0916559B1 (en) * 1997-10-22 2004-12-29 Nissan Motor Co., Ltd. Wiper device for vehicle
DE19806855C2 (de) * 1998-02-19 2002-06-27 Bosch Gmbh Robert Wischerträger
DE10329570A1 (de) * 2003-06-30 2005-01-20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77012A1 (en) * 2000-11-09 2003-04-24 Joachim Zimmer Wiper housing and method for producing a wiper hou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20747B1 (de) 2010-03-17
CN100584670C (zh) 2010-01-27
KR20060125864A (ko) 2006-12-06
EP1720747A1 (de) 2006-11-15
BRPI0506580A (pt) 2007-04-10
DE102004009303A1 (de) 2005-09-15
CN1926016A (zh) 2007-03-07
DE502005009228D1 (de) 2010-04-29
WO2005082688A1 (de) 2005-09-09
ES2341462T3 (es) 2010-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7862B1 (ko)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KR20060123565A (ko)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US8156604B2 (en) Windscreen wiping device, particularly for a motor vehicle
US20080222828A1 (en) Windscreen Wiper Device,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JP2005145093A (ja) 車両用ワイパ装置
US20120317739A1 (en) Windshield wiper device
US9487173B2 (en) Molding for a motor vehicle for transmitting an impact force to a hood sensor
ES2216223T3 (es) Amortiguador de rebotes para un vehiculo automovil.
KR101148014B1 (ko)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JP4295317B2 (ja) ウインドワイパ装置
JP2004512231A (ja) ワイパーケーシングと、ワイパーケーシングを制作する方法
US6862772B2 (en) Wiper arm
KR101141953B1 (ko)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JP2006507976A (ja) 特に自動車のためのウインドシールドワイパ装置
US7581278B2 (en) Window-wiping device, particularly for a motor vehicle
KR100808389B1 (ko) 자동차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US7281293B2 (en) Windshield wiper device,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ES2325019T3 (es) Dispositivo de limpiaparabrisas, en especial para un vehiculo de motor.
KR101138073B1 (ko) 와이어를 구비한 조향축의 충격 흡수 구조
ES2277089T3 (es) Sistemas de limpiaparabrisas.
KR101204520B1 (ko) 충돌에너지 흡수가 가능한 자동차의 조향 컬럼
KR100260114B1 (ko) 자동차 조향컬럼의 충격 흡수장치
CN111746469A (zh) 一种雨刮及车辆
KR100580038B1 (ko)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 구조
KR20070047582A (ko)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조향 컬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