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6827B1 - 가죽의 인위적인 특수문양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가죽의 인위적인 특수문양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6827B1
KR101146827B1 KR1020120014845A KR20120014845A KR101146827B1 KR 101146827 B1 KR101146827 B1 KR 101146827B1 KR 1020120014845 A KR1020120014845 A KR 1020120014845A KR 20120014845 A KR20120014845 A KR 20120014845A KR 101146827 B1 KR101146827 B1 KR 101146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ther
sheath
blade
fabric
leather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4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덕진
Original Assignee
장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덕진 filed Critical 장덕진
Priority to KR1020120014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68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BMECHANICAL TREATMENT OR PROCESSING OF SKINS, HIDES OR LEATHER IN GENERAL; PELT-SHEARING MACHINES; INTESTINE-SPLITTING MACHINES
    • C14B1/00Manufacture of leather; Machines or devices therefor
    • C14B1/44Mechanical treatment of leather surfaces
    • C14B1/56Ornamenting, producing designs, embos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BMECHANICAL TREATMENT OR PROCESSING OF SKINS, HIDES OR LEATHER IN GENERAL; PELT-SHEARING MACHINES; INTESTINE-SPLITTING MACHINES
    • C14B1/00Manufacture of leather; Machines or devices therefor
    • C14B1/44Mechanical treatment of leather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And Processing Of Natural Fur Or Leather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죽의 인위적인 특수문양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우피와 같은 천연가죽의 표면에 비늘 형태의 요철을 인위적으로 형성하고자 비늘 일측면에 칼집(knife cutting)을 가죽표면에 형성함으로써, 실제의 뱀가죽 또는 악어가죽과 같은 파충류 가죽의 외관을 구현할 수 있어 보다 저렴한 제조비용으로 럭셔리하고 고급스러운 가죽 원단을 얻을 수 있고, 비늘에 칼집을 형성하는 블레이드와 가죽 원단이 이루는 각도, 블레이드와 가죽 원단 간의 거리, 칼집 형성시 가죽 원단을 잡아주는 지지부재와 가죽 원단 간의 거리, 블레이드에 의해 형성된 칼집을 균일하게 압착시키는 압착롤러와 가죽 원단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를 구비하고, 제어부에 의해 이러한 조절부를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가죽 표면에 손상을 입히지 않으면서도 최적의 깊이와 면적을 갖는 칼집을 형성할 수 있으며, 블레이드와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칼집형성부와, 칼집을 압착시키는 압착부로 이루어진 단위 유닛을 병렬로 복수개 배치하고 제어부에 의해 이들 단위 유닛 간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일회적인 가공에 의해 넓은 면적의 비늘 문양의 특수 무늬에 칼집을 형성할 수 있어 종전 수작업에 의한 것보다 작업 능률의 향상시킬 수 있는 가죽의 인위적인 특수문양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표면에 비늘 형태의 요철이 형성된 가죽 원단이 놓여지는 작업대; 상기 작업대 상의 가죽 원단을 일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용 구동드럼; 상기 가죽 원단의 비늘 일측면에 칼집을 형성하는 블레이드; 및 칼집 형성시 상기 가죽 원단을 잡아주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죽의 인위적인 특수문양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죽의 인위적인 특수문양 제조장치{Device for making special artificial effect on the surface of leather}
본 발명은 가죽의 인위적인 특수문양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우피와 같은 천연가죽의 표면에 비늘 형태의 요철을 인위적으로 형성하고자 비늘 일측면에 칼집(knife cutting)을 가죽표면에 형성함으로써, 실제의 뱀가죽 또는 악어가죽과 같은 파충류 가죽의 외관을 구현할 수 있어 보다 저렴한 제조비용으로 럭셔리하고 고급스러운 가죽 원단을 얻을 수 있고, 비늘에 칼집을 형성하는 블레이드와 가죽 원단이 이루는 각도, 블레이드와 가죽 원단 간의 거리, 칼집 형성시 가죽 원단을 잡아주는 지지부재와 가죽 원단 간의 거리, 블레이드에 의해 형성된 칼집을 균일하게 압착시키는 압착롤러와 가죽 원단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를 구비하고, 제어부에 의해 이러한 조절부를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가죽 표면에 손상을 입히지 않으면서도 최적의 깊이와 면적을 갖는 칼집을 형성할 수 있으며, 블레이드와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칼집형성부와, 칼집을 압착시키는 압착부로 이루어진 단위 유닛을 병렬로 복수개 배치하고 제어부에 의해 이들 단위 유닛 간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일회적인 가공에 의해 넓은 면적의 비늘 문양의 특수 무늬에 칼집을 형성할 수 있어 종전 수작업에 의한 것보다 작업 능률의 향상시킬 수 있는 가죽의 인위적인 특수문양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죽재질의 아이템으로 패션을 완성하고자 하는 시도는 계속하여 있어 왔다. 특히, 여성용 핸드백이나 남성용 지갑 등은 뱀가죽이나 악어가죽과 같은 파충류의 가죽으로 제조할 경우 고급스럽고 럭셔리한 외관을 제공하여 선호도가 높다.
그러나, 파충류의 가죽은 단위면적이 크지 않고 취급이 용이하지 않으며 공급량이 많지 않은 관계로 단가가 비싸 일반인들이 이용하기에는 부담스러운 면이 있다.
반면, 우피나 양피 같은 포유류의 가죽은 단위면적이 크고 취급이 용이하며 생산량이 많기 때문에 단가가 상대적으로 낮아 가죽제품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포유류의 가죽은 파충류 가죽 특유의 비늘 문양이 없기 때문에 럭셔리한 느낌을 제공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공급량이 많은 가축의 가죽을 이용하면서도, 파충류의 가죽과 같이 비늘을 표현할 수 있으며, 비늘 문양만 이미테이션(imitation)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의 비늘과 같이 일측면이 일부 개방되어 있는 형태의 특수문양의 가죽을 제조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보다 저렴한 제조비용으로 럭셔리하고 고급스러운 가죽 원단을 얻을 수 있고, 가죽 표면에 손상을 입히지 않으면서도 최적의 깊이와 면적을 갖는 칼집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일회적인 가공에 의해 넓은 면적의 비늘에 칼집을 형성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가죽의 인위적인 특수문양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가죽의 인위적인 특수문양 제조장치는 표면에 비늘 형태의 요철이 형성된 가죽 원단이 놓여지는 작업대; 상기 작업대 상의 가죽 원단을 일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용 구동드럼; 상기 가죽 원단의 비늘 일측면에 칼집을 형성하는 블레이드; 및 칼집 형성시 상기 가죽 원단을 잡아주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가죽 원단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가죽 원단 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용 구동드럼은 제1 이송용 구동드럼과 제2 이송용 구동드럼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이송용 구동드럼은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이송용 구동드럼의 상부에는 상기 블레이드에 의해 형성된 칼집을 균일하게 압착시키는 압착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우피와 같은 천연가죽의 표면에 비늘 형태의 요철을 인위적으로 형성하고자 비늘 일측면에 칼집을 형성함으로써, 실제의 뱀가죽 또는 악어가죽과 같은 파충류 및 양서류 가죽의 외관을 구현할 수 있어 보다 저렴한 제조비용으로 럭셔리하고 고급스러운 가죽 원단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비늘에 칼집을 형성하는 블레이드와 가죽 원단이 이루는 각도, 블레이드와 가죽 원단 간의 거리, 칼집 형성시 가죽 원단을 잡아주는 지지부재와 가죽 원단 간의 거리, 블레이드에 의해 형성된 칼집을 압착시키는 압착롤러와 가죽 원단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를 구비하고, 제어부에 의해 이러한 조절부를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가죽 표면에 손상을 입히지 않으면서도 최적의 깊이와 면적을 갖는 칼집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블레이드와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칼집형성부와, 칼집을 균일하게 압착시키는 압착부로 이루어진 단위 유닛을 병렬로 복수개 배치하고 제어부에 의해 이들 단위 유닛 간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일회적인 가공에 의해 넓은 면적의 비늘 문양의 특수 무늬에 칼집을 형성할 수 있어 종전 수작업에 의한 것보다 작업 능률의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죽의 인위적인 특수문양 제조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우측면도,
도 4는 도 3 중 스크래치부와 압착부의 확대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죽의 인위적인 특수문양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가죽의 일례를 도시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죽의 인위적인 특수문양 제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 중 스크래치부와 압착부의 확대도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죽의 인위적인 특수문양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가죽의 일례를 도시한 사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죽의 인위적인 특수문양 제조장치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작업대(10), 구동모터(20), 구동풀리(22), 제1 이송용 구동드럼(24), 제2 이송용 구동드럼(26), 칼집형성부(30), 압착부(5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작업대(10)는 가죽 원단이 놓여지는 부분이다. 가죽 원단은 우피와 같은 천연가죽이며, 천연가죽의 표면에는 비늘 형태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비늘 형태의 요철은 프레스(press) 등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요철의 형성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구동모터(20)는 구동풀리(22)를 통해 제1 이송용 구동드럼(24)과 제2 이송용 구동드럼(26)에 회전동력을 제공한다.
이송용 구동드럼(24, 26)은 작업대(10) 상의 가죽 원단을 일 방향(도 2를 기준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송한다. 이송용 구동드럼(24, 26)은 제1 이송용 구동드럼(24)과 제2 이송용 구동드럼(26)을 포함한다.
제1 이송용 구동드럼(24)은 칼집형성부(30)의 하부, 구체적으로는 블레이드(32)와 지지부재(40)의 하부에 구비되어, 칼집 형성시 받침대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칼집이 형성된 가죽 원단을 압착부(50) 방향으로 이송한다.
제2 이송용 구동드럼(26)은 압착부(50)의 하부, 구체적으로는 압착롤러(52)의 하부에 접촉되어, 블레이드(32)에 의해 형성된 칼집을 압착시킴과 동시에 압착된 가죽 원단을 이송한다.
칼집형성부(30)는 가죽 원단이 움직이지 않도록 누른 상태로 비늘 일측면에 칼집을 형성하여, 뱀 또는 악어와 같은 실제의 파충류 가죽과 마찬가지로 표피에 대해서 비늘 일부를 이격시킴으로써, 비늘이 표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일정 정도 들릴 수 있도록 한다.
칼집형성부(30)는 블레이드(32), 제1 각도조절부(34), 제1 높이조절부(36), 전후진 구동부(38), 제1 구동케이블(39), 지지부재(40), 제2 구동케이블(41), 제2 높이조절부(42), 및 제2 각도조절부(44)를 포함한다.
블레이드(32)는 가죽 원단의 비늘 일측면에 칼집을 형성한다. 블레이드(32)는 제1 구동케이블(39)에 의해 전후진 구동부(38)에 연결되어, 전진시 비늘의 일측면에 칼집을 형성하고 후진시 원위치로 복귀한다.
표피에 대하여 비늘 일부를 이격시켜 비늘이 표피로부터 들리도록 하면서도 표피가 천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블레이드(32)의 전진 거리, 가죽 원단과 블레이드(32)가 이루는 각도, 가죽 원단과 블레이드(32) 단부 간의 거리(블레이드의 높이)를 정밀하게 조절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제어부(미도시)는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이러한 변수들을 입력받아 전후진 구동부(38)와 제1 각도조절부(34) 및 제1 높이조절부(36)를 제어함으로써, 정확한 위치에 적절한 각도와 깊이로 칼집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각도조절부(34)는 블레이드(32)와 가죽 원단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제1 각도조절부(34)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적절한 각도로 칼집이 형성되도록 한다. 블레이드(32)와 가죽 원단이 이루는 각도가 임계값 미만이면 비늘의 일측면에 칼집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고 비늘 표면에 스크래치만 남기게 되고, 임계값을 초과하면 칼집의 면적은 좁아지고 깊이가 지나치게 깊어져서 가죽 원단의 강도가 약해지거나 천공이 발생하게 된다.
제1 높이조절부(36)는 블레이드(32)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블레이드(32)와 가죽 원단 간의 거리를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제1 높이조절부(36)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적절한 깊이로 칼집이 형성되도록 한다.
전후진 구동부(38)는 블레이드(32)가 전진 및 후진하도록 하고, 전진 및 후진 거리를 조절한다. 일례로, 전후진 구동부(38)는 유압에 의해 블레이드(32)의 전후진을 조절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전후진 방식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전후진 구동부(38)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비늘 하나당 적절한 면적의 칼집이 형성되도록 한다. 블레이드(32)의 전진거리가 임계값 미만이면 비늘에 형성되는 칼집의 면적이 지나치게 좁아지고, 임계값을 초과하면 칼집의 면적이 비늘 하나를 초과하게 된다.
제1 구동케이블(39)은 전후진 구동부(38)와 블레이드(32) 사이에 구비되어 전후진 구동부(38)의 구동력을 블레이드(32)에 전달한다.
지지부재(40)는 제1 이송용 구동드럼(24)의 상부에 위치하여 블레이드(32)의 칼집 형성시 가죽 원단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제2 구동케이블(41)은 전후진 구동부(38)와 지지부재(40) 사이에 구비되어 전후진 구동부(38)의 구동력을 지지부재(40)에 전달한다. 제2 구동케이블(41)은 가죽 원단이 이동할 때에는 지지부재(40)를 상부 방향으로 이격시켜 가죽 원단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칼집 형성시에는 지지부재(40)를 하부 방향으로 전진시켜 가죽 원단을 정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높이조절부(42)는 지지부재(40)의 측방에 구비되어 지지부재(40)의 높이를 조절한다. 지지부재(40)의 높이가 임계값 미만이면 전후진 구동부(38)에 의한 지지부재(40)의 전진시 가죽 원단에 덴트(dent)가 발생할 수 있고, 임계값을 초과하면 지지부재(40)가 최대로 전진하더라도 가죽 원단을 충분히 고정시킬 수 없게 된다. 제2 높이조절부(42)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지지부재(40)의 높이를 적정선에 맞춘다.
제2 각도조절부(44)는 원하는 단위의 작업이 종료되거나 다른 종류의 작업으로 변경시 지지부재(40)를 충분히 들어올려 가죽 원단의 교체를 비롯한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압착부(50)는 블레이드(32)에 의해 형성된 칼집을 부분적으로 압착시켜, 비늘과 칼집이 자연스러운 형태가 되도록 한다. 자연 상태의 파충류 또는 양서류 비늘은 평상시에는 표피와 맞닿아 있는 상태이나, 블레이드(32)에 의해 칼집이 형성되면 비늘이 표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가 된다. 압착부(50)는 이와 같이 표피로부터 이격된 비늘을 부분적으로 압착하여 자연 상태의 파충류 또는 양서류 비늘과 유사한 형태로 만든다.
압착부(50)는 압착롤러(52)와 제3 높이조절부(54) 및 제3 각도조절부(56)를 포함한다.
압착롤러(52)는 제2 이송용 구동드럼(26)의 상부에 구비되어, 블레이드(32)에 의해 형성된 칼집을 균일하게 압착시킨다.
제3 높이조절부(54)는 압착롤러(52)의 높이를 조절한다. 압착롤러(52)의 높이가 임계값 미만이면 가죽 원단에 가해지는 압착력이 지나치게 높아 가죽 원단의 표면이 손상될 수 있고, 임계값을 초과하면 칼집에 가해지는 압력이 지나치게 낮아 자연스러운 상태의 비늘이 형성되기 어렵다. 제3 높이조절부(54)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압착롤러(52)의 높이를 최적으로 조절한다.
제3 각도조절부(56)는 원하는 단위의 작업이 종료되거나 다른 종류의 작업으로 변경시, 그리고 압착롤러(52)의 교체시 압착롤러(52)를 충분히 들어올려 이러한 작업들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압착부(50)는 도 3과 같이 블레이드와 압착롤러의 조합으로 형성되어, 압착롤러가 칼집의 압착 기능을 수행하면서 지지부재처럼 가죽 원단을 잡아주는 기능도 아울러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압착부는 도 4와 같이 블레이드없이 압착롤러 만으로 구성되어, 칼집의 압착기능만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집형성부(30)와 압착부(50) 한 쌍(이하, "단위 유닛"이라 한다)이 일렬로 배열되어 칼집 형성과 칼집 압착을 순차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작업 능률의 향상을 위해 이러한 단위 유닛 복수개가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단위 유닛 간의 간격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비늘 간의 간격에 부합되도록 조절된다. 이와 같은 단위 유닛 간의 간격 조절은 제어부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비늘 간의 간격에 맞추어 단위 유닛 간의 간격이 조절되면 도 5에서의 A 비늘의 좌측에 있는 비늘들과 A 비늘 및 A 우측에 있는 비늘들이 일회의 가공으로 동시에 칼집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죽의 인위적인 특수문양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비늘(A) 형상의 요철과 칼집(B)이 형성된 가죽이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비늘과의 유사성을 높이고 칼집에 의해 비늘이 떨어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칼집(B)은 비늘(A)의 하부 곡선(도 5의 비늘에서 짙은 색으로 나타난 부분)까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작업대 20 - 구동모터
22 - 구동풀리 24 - 제1 이송용 구동드럼
26 - 제2 이송용 구동드럼 30 - 칼집형성부
50 - 압착부

Claims (5)

  1. 표면에 비늘 형태의 요철이 형성된 가죽 원단이 놓여지는 작업대;
    상기 작업대 상의 가죽 원단을 일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용 구동드럼;
    상기 가죽 원단의 비늘 일측면에 칼집을 형성하는 블레이드; 및
    칼집 형성시 상기 가죽 원단을 잡아주는 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죽의 인위적인 특수문양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가죽 원단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죽의 인위적인 특수문양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가죽 원단 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죽의 인위적인 특수문양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용 구동드럼은 제1 이송용 구동드럼과 제2 이송용 구동드럼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이송용 구동드럼은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죽의 인위적인 특수문양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용 구동드럼의 상부에는 상기 블레이드에 의해 형성된 칼집을 균일하게 압착시키는 압착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죽의 인위적인 특수문양 제조장치.
KR1020120014845A 2012-02-14 2012-02-14 가죽의 인위적인 특수문양 제조장치 KR101146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845A KR101146827B1 (ko) 2012-02-14 2012-02-14 가죽의 인위적인 특수문양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845A KR101146827B1 (ko) 2012-02-14 2012-02-14 가죽의 인위적인 특수문양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6827B1 true KR101146827B1 (ko) 2012-05-22

Family

ID=46272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4845A KR101146827B1 (ko) 2012-02-14 2012-02-14 가죽의 인위적인 특수문양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68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548B1 (ko) * 2018-07-12 2018-09-13 주식회사 태광앤코리아 가죽 패턴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패턴 가죽
KR20220066037A (ko) * 2019-10-31 2022-05-23 판게아 메이드 인크. 패턴화된 천연 가죽 시트, 및 천연 가죽의 패턴화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9737B1 (ko) * 1992-03-11 1995-08-26 박범찬 요철무늬가 형성된 모조피혁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861346B1 (ko) 2008-03-27 2008-10-01 백철운 피혁원단의 습식 가공장치 및 그 가공방법
KR101015775B1 (ko) 2009-12-01 2011-02-22 한상조 다색 무늬 피혁의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9737B1 (ko) * 1992-03-11 1995-08-26 박범찬 요철무늬가 형성된 모조피혁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861346B1 (ko) 2008-03-27 2008-10-01 백철운 피혁원단의 습식 가공장치 및 그 가공방법
KR101015775B1 (ko) 2009-12-01 2011-02-22 한상조 다색 무늬 피혁의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548B1 (ko) * 2018-07-12 2018-09-13 주식회사 태광앤코리아 가죽 패턴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패턴 가죽
KR20220066037A (ko) * 2019-10-31 2022-05-23 판게아 메이드 인크. 패턴화된 천연 가죽 시트, 및 천연 가죽의 패턴화 방법
KR102477332B1 (ko) 2019-10-31 2022-12-13 판게아 메이드 인크. 패턴화된 천연 가죽 시트, 및 천연 가죽의 패턴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41239B (zh) 一种五金块的打孔装置
CN202174881U (zh) 机械雕刻机
KR101146827B1 (ko) 가죽의 인위적인 특수문양 제조장치
CN103507136B (zh) 全自动仿古木地板加工机
CN207391454U (zh) 一种可自动上料的高速皮料切割机
CN207170664U (zh) 一种鞋底腰铁冲压设备
CN202029616U (zh) 木板热辊压花机
CN113005241B (zh) 一种皮革制品皮料裁剪缝线加工工艺
CN104308940B (zh) 一种扇骨仿形加工装置
CN206170209U (zh) Pvc瓦配件成型自动裁边装置
CN108901630B (zh) 一种食用菌木段栽培打孔机
CN205130767U (zh) 一种木板雕花机
CN107718214A (zh) 一种树木剥皮机
CN101112268B (zh) 牙刷修毛用拨毛机构
CN102729306B (zh) 一种仿古木板表面砍刀痕的加工方法及砍刀痕加工装置
CN204382020U (zh) 修坯机的精修磨圆装置
CN204397012U (zh) 电感线圈引脚单面削薄机
CN204450822U (zh) 倾斜式精修磨圆装置
CN204560918U (zh) 一种模拟手工的洋葱切头去尾剥皮一体机
CN105850525A (zh) 一种核桃插皮舌接接穗切削机
CN208430192U (zh) 一种汽车座椅皮套生产用皮革切割装置
CN103263063B (zh) 一种果子开口机
CN106696587A (zh) 一种浮雕麦秆画制作工艺
CN207452156U (zh) 一种毛皮切割装置
CN205727193U (zh) 一种核桃插皮舌接接穗切削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