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6691B1 - 자동 개폐형 수용장을 갖춘 입출고용 운반차 - Google Patents

자동 개폐형 수용장을 갖춘 입출고용 운반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6691B1
KR101146691B1 KR1020110146484A KR20110146484A KR101146691B1 KR 101146691 B1 KR101146691 B1 KR 101146691B1 KR 1020110146484 A KR1020110146484 A KR 1020110146484A KR 20110146484 A KR20110146484 A KR 20110146484A KR 101146691 B1 KR101146691 B1 KR 101146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oods
information
entry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6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두수
이병욱
Original Assignee
한국호쿠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호쿠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호쿠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6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66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26Means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ailboards or side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03Adaptations for loading in or on a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06Q10/0875Itemisation or classification of parts, supplies or services, e.g. bill of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류창고에서 물품의 이송을 담당하면서 해당 물품의 입,출고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자동 개폐형 수용장을 갖춘 입출고용 운반차에 관한 것으로, 물품을 수용하는 함과, 상기 함을 개폐하도록 구동체에 의해 동작하는 도어를 갖춘 수용장; 발신수단의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감지수단; 상기 구동체의 위치정보와 물품의 입,출고 정보를 저장하고, 수신된 상기 위치신호를 확인해서 현 위치를 추적하고, 상기 입,출고 정보를 검색해서 상기 현 위치에 대응하는 해당 물품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도어가 열리도록 상기 입,출고 정보에 포함된 해당 위치정보의 구동체를 제어하는 컴퓨터; 및 상기 수용장, 감지수단 및 컴퓨터를 지지하면서 이동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개폐형 수용장을 갖춘 입출고용 운반차{Cart having the cabinet}
본 발명은 물류창고에서 물품의 이송을 담당하면서 해당 물품의 입,출고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자동 개폐형 수용장을 갖춘 입출고용 운반차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물류창고에는 판매 또는 조립 등을 기다리는 다양한 물품들이 보관된다. 이때, 상기 물품은 관리자가 보다 빠르고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물류창고 내 지정된 위치에 보관되고, 상기 위치는 별도로 기록돼 관리된다. 따라서, 관리자는 해당 기록을 확인하면서 물류창고에 보관된 다양한 종류의 물품을 신속하면서도 효과적으로 검색해 출고할 수 있고, 아울러 지정된 위치에 해당 물품을 입고해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물류창고는 그 목적에 따라 규모에 차이가 있고, 보관되는 물품에도 차이가 있으며, 입,출고 모습에도 차이가 있다.
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양한 생산지에서 물품이 집결되는 대형 물류창고에서는 상기 물품 출고시 동종의 다수 물품을 하나로 포장해 처리한다. 이는 불필요한 포장을 줄여서 입,출고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운송 중량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대형 물류창고는 대량의 동종물품을 입고 및 출고하는데 유리한 구조를 이루므로, 사업주와 사업주 간의 물류거래방식인 BtoB(Business to Business) 거래 체제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반면, 전자상거래 또는 홈쇼핑용 주문판매 대상 물품을 보관하는 중,소형 물류창고에서는 상기 물품 출고시 주문자에게 배달하기 위해서 각 물품별로 포장을 해 처리한다. 즉, 중,소형 물류창고에서는 대량의 이종물품을 소비자의 구매에 따라 선택적으로 입고 및 출고하는데 유리한 구조를 이루므로, 사업주와 소비자 간의 물류거래방식인 BtoC(Business to Consumer) 거래체계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결국, 후자(後者)의 경우 물품에 대한 입,출고를 진행하는 관리자는 물류창고에서 이루어지는 물품에 대한 입고와 출고 작업의 빈번한 반복과, 물품 보관에 대한 비효율적인 관리 시스템의 한계로 인해서 물류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종래 물류창고에서는 보관중인 물품을 입,출고하기 위해 물품을 싣고 운반할 수 있는 운반차를 이용한다. 운반차는 물품을 구분해 실을 수 있는 수용장을 갖추고서, 관리자가 인력(수동) 또는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결국, 관리자는 운반차와 함께 물류창고를 이동하면서 물품이 보관된 수납장 사이를 통행하고, 지정된 동선 또는 스케줄에 따라 수납장과 운반차 간의 물품 교환을 진행하면서 물품의 입고 또는 출고를 완료할 수 있다.
그런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주문판매 대상 물품에 대한 입,출고의 경우, 종래에는 출고 대상 물품을 물류창고 내 수납장에서 검색 및 인출해 운반차로 옮기고, 이들을 집하장으로 모아 수집한 후, 각 물품들에 대해 포장과 송장(명세서) 부착을 진행해 발송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결국, 각 운반차를 조작해 물품을 입,출고하는 사용자는 집하장까지 물품을 운반하는 동안 해당 물품과 출고 내용을 정확히 매치해서 기록해야 하고, 집하장의 또 다른 관리자는 상기 사용자의 기록과 입,출하 기록을 재확인하면서 해당 물품의 포장과 송장 부착을 별도로 수행해야 하므로, 업무의 번거로움이 발생함은 물론 물품의 최종 배송시까지 물품의 바뀜이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곤란함이 있었다.
물론, 이러한 곤란함은 잦은 실수를 발생시켰고, 특히 입,출고 작업이 능숙하지 못한 초보자의 경우 상기 실수는 빈번할 수밖에 없었다.
한편, 물류창고에서 이루어지는 종래 입,출고는 입고와 출고가 별도로 이루어졌다. 즉, 작업자가 집하장에서 입고할 물품을 운반차에 싣고 물류창고를 순회하면서 상기 입고 작업을 완료한 후 다시 집하장에 복귀하고, 출고리스트를 받아 다시 빈 운반차를 끌고 물류창고를 순회하면서 상기 출고 작업을 완료한 후 다시 집하장으로 복귀하는 것이다. 즉, 종래에는 입고와 출고 작업을 위해 적어도 두 번 이상의 물류창고 순회가 불가피한 것이다. 물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BtoB 거래체계에 어울리는 대형 물류창고에서는 물품의 대량 입고와 출고를 위해 전술한 입,출고 방식이 유리할 것이나, BtoC 거래체계가 적용된 물류창고에서는 실시간으로 주문이 이루어지는 다양한 소비자의 다양한 주문 물품에 대한 신속한 출고와, 출고된 물품을 보완하기 위한 다양한 물품의 입고가 바로바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종래 입고 및 출고 방식으로는 BtoC 거래체계에 따른 물류관리를 이루는데 한계가 있었다.
결국, 물류창고에서 물품의 입,출고를 보다 효과적으로 실시하고, 초보자도 혼선없이 안정적이면서도 정확한 입,출고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되었다.
한편, 운반차에 구성된 수용장에는 물품의 보호를 위한 도어가 구성될 수 있다. 도어는 물품을 수용장에 수납한 후 해당 함을 폐구함으로써 운반차의 이동과정 중 물품이 이탈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물품의 이탈 가능성에 의한 주의로 인해 운반차의 이동속도를 제한해야 하는 불리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점에도 불구하고 수용장에 도어를 구성할 경우, 물품의 입,출고 과정에서 도어의 개폐 작업을 추가로 수행해야 하는 불편이 있고, 특히 물품이 어느 위치에 수납되어 있는지를 일견해 확인하는데도 한계가 있으므로, 오히려 작업이 지연되는 불리함이 있었다.
또한, 출고 대상 물품의 혼선방지를 위해 특정 물품은 상기 수용장의 지정된 위치에만 수납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수용장에는 동일한 형태의 도어가 동일하게 배열되므로 관리자는 오히려 출고 대상 물품의 수납 위치에 혼란을 일으킬 수 있고, 이로 인해 관리자는 잘못된 위치에 해당 출고 대상 물품을 수납시킬 수도 있었다. 물론 관리자의 이러한 잘못을 통해 해당 출고 대상 물품은 서로 뒤바뀌어 처리될 수 있고, 이는 곧바로 소비자의 불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 또한 도어가 구성된 수용장이 해결해야할 중요한 문제점이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물품이 수용장으로부터 낙하하는 문제를 방지하면서도 입,출고 과정에서 물품을 보호하는 도어의 개폐 작업을 일일이 수행하거나 물품의 위치를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최소화한 자동 개폐형 수용장을 갖춘 입출고용 운반차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물품의 입,출고 관리가 신뢰할 수 있게 처리되고, 주문 확인시 포장과 송장 부착을 실시간으로 처리해서 신속한 상품 발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자동 개폐형 수용장을 갖춘 입출고용 운반차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품을 수용하는 함과, 상기 함을 개폐하도록 구동체에 의해 동작하는 도어를 갖춘 수용장;
발신수단의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감지수단;
상기 구동체의 위치정보와 물품의 입,출고 정보를 저장하고, 수신된 상기 위치신호를 확인해서 현 위치를 추적하고, 상기 입,출고 정보를 검색해서 상기 현 위치에 대응하는 해당 물품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도어가 열리도록 상기 입,출고 정보에 포함된 해당 위치정보의 구동체를 제어하는 컴퓨터; 및
상기 수용장, 감지수단 및 컴퓨터를 지지하면서 이동하는 이동수단;
을 포함하는 자동 개폐형 수용장을 갖춘 입출고용 운반차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품을 수용하는 함과, 구동체의 탄발력으로 상기 함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잠그는 스토퍼를 갖춘 수용장;
발신수단의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감지수단;
상기 스토퍼의 위치정보와 물품의 입,출고 정보를 저장하고, 수신된 상기 위치신호를 확인해서 현 위치를 추적하고, 상기 입,출고 정보를 검색해서 상기 현 위치에 대응하는 해당 물품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도어가 열리도록 상기 입,출고 정보에 포함된 해당 위치정보의 스토퍼를 제어하는 컴퓨터; 및
상기 수용장, 감지수단 및 컴퓨터를 지지하면서 이동하는 이동수단;
을 포함하는 자동 개폐형 수용장을 갖춘 입출고용 운반차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운반차가 입고 정보의 해당 위치에 도착하면, 해당 물품이 수납된 함의 도어가 자동으로 개구되므로, 사용자는 물품의 위치를 찾기 위해 수용장의 함을 일일이 검색하는 수고를 피할 수 있고, 출고 정보의 해당 위치에 도착하면, 해당 물품이 수납될 함의 도어가 자동으로 개구되므로, 사용자는 물품을 수납할 함을 찾고 해당 함의 도어를 여는 수고를 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운반차에 물품 입,출고를 위한 장비가 집적되면서 사용자는 운반차에서 입,출고 작업은 물론 명세서 출력과 포장까지 일괄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운반차의 자가 위치인식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물품의 입,출고 위치를 손쉽게 인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초보자도 입,출고 작업을 쉽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차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출고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차가 물류창고에서 동작 중인 일실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반차가 통과하는 물류창고의 바닥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반차에 구성된 컴퓨터에 출력되고 있는 물류창고의 가상이미지와 업무현황리스트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차가 물류창고에서 동작 중인 다른 실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용장의 측면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A' 원을 확대해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7의 'B' 원을 확대해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용장의 다른 실시 예의 측면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차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출고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운반차(100)는 사용자가 자신의 운반차(100)에서 물품의 입,출고 및 관리를 일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운반차(100)는 이동을 위한 이동수단(110)과, 물품을 보관하는 수용장(120)과, 물품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정보를 입출력하도록 입출력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터(130)와, 관리서버(300)와 컴퓨터(130)의 통신을 실시간으로 중계하는 통신수단(140)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운반차(100)에서 사용자가 출고되는 물품과 관련한 명세서, 영수증, 송장 등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프린터(150)와, 물품을 포장하는 포장수단(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물류창고에서 해당 물품이 위치한 장소를 운반차(100)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감지수단(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감지수단(170)은 물류창고 곳곳에 분산 설치된 발신수단(200)의 위치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위치신호는 이동수단(110) 및/또는 컴퓨터(130)의 입출력장치를 통해 발현(도 5(a) 참조)되어서, 사용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위치신호가 이동수단(110) 및/또는 컴퓨터(130)를 통해 발현되는 내용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다시 언급한다.
운반차(100)는 물품이 보관된 물류창고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이동하면서 물품을 이송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해당 물품을 포장까지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운반차(100)에서 물품의 입,출고를 동시에 할 수 있음은 물론 해당 물품에 대한 명세서, 영수증, 송장 등을 출력하고, 더 나아가 해당 물품을 포장해서 출고 즉시 배송 가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발신수단(200)은 물류창고 곳곳에 설치되어서 지정된 위치신호를 발신하고, 상기 위치신호를 통해 운반차(100)가 현위치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발신수단(200)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상세히 한다.
관리서버(300)는 입,출고 대상 물품을 해당 운반차(100)에게 실시간으로 통지하면서 물류창고에 보관되는 물품을 총괄할 수 있고, 운반차(100)의 이동상황을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 물류창고에 보관된 물품이 전자상거래의 대상 물품이고, 관리서버(300)가 전자상거래 사이트 또는 홈쇼핑 등의 운영 서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이트에서 매매가 이루어져서 상기 매매의 대상 물품을 신속히 배송해야 할 경우, 관리서버(300)는 물류창고에서 상기 물품을 출고하기 위해 인근 운반차(100)로 상기 물품에 대한 출고 정보를 전송하고, 운반차(100)는 이를 수신해서 상기 물품에 대한 출고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결국, 관리서버(300)는 운반차(100)에 입,출고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해서 이를 지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물품의 출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운반차(100)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이동수단(110)은 운반차(100)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물류창고의 바닥과 맞물려 회전하는 바퀴(111)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인력 또는 별도로 공급되는 동력에 의해 운반차(100)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원활히 이동하도록 한다.
운반차(100)가 수동 방식인 경우 사용자는 인력으로 운반차(100)를 밀거나 끌어서 이동시킬 수 있고, 운반차(100)가 자동 방식인 경우 바퀴(111)는 모터(112; 도 4 참조)의 동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운반차(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참고로, 모터(112)는 배터리(113)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에너지원으로 해 구동하고, 모터(112)의 구동은 컴퓨터(130)에 의해 제어된다.
이동수단(110)은 물류창고 내에서 운반차(100)의 기동성과 조향성이 향상되도록 3륜 또는 4륜 바퀴(111) 구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외에도 물류창고 바닥에 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될 수도 있고, 천장에 설치된 케이블에 걸려서 이를 따라 이동하도록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결국 이동수단(110)은 운반차(100)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라면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계속해서, 이동수단(110)은 브레이크를 더 포함한다. 브레이크는 바퀴(111)의 회전을 강제로 제동하는 것으로서, 컴퓨터(130)의 제어를 받아 바퀴(111)의 회전을 정지시켜서 이동중인 운반차(100)가 강제로 정차할 수 있도록 한다. 결국, 사용자는 운반차(100)의 정차를 통해 인근 지역에서 입고 또는 출고 작업을 진행해야 함을 인지할 수 있고, 컴퓨터(130)의 입출력장치에서 출력되는 대상 물품의 구체적인 정보를 통해 상기 지역에서의 입고 또는 출고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는 패드의 마찰력을 이용해서 바퀴(111)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방식이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데, 그 동작 구조와 구성요소는 공지,공용의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상기 브레이크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수용장(120)은 이동수단(110)에 지지되며, 하나 이상의 물품을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함(121)을 갖는다. 함(121)에는 물류창고로의 입고를 위한 물품이 보관될 수도 있고, 물류창고로부터 출고된 물품이 보관될 수도 있다.
또한, 수용장(120)의 함(121)에는 컴퓨터(130)의 본체가 탑재될 수도 있고, 프린터(150) 및/또는 포장수단(160)이 탑재될 수도 있다.
한편, 수용장(120)의 함(121)은 도어(122)에 의해 개폐된다. 도어(122)는 미닫이 방식 또는 여닫이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나, 공간의 활용 효율을 높이기 위해 도시한 바와 같이 여닫이 방식의 적용이 바람직할 것이다.
계속해서, 도어(122)는 사용자가 인력으로 쉽게 열 수 있지만 평상시에는 닫힌 상태를 유지해야 하고, 이를 위해 도어(122)를 잠그는 스토퍼(123)가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도어(122)의 상단부가 함(121) 입구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스토퍼(123)는 함(121) 입구의 바닥에 배치되어서, 도어(122)의 하단부가 스토퍼(123)에 걸려 상기 회동이 제한되도록 했다.
하지만, 도어(122)의 회동방향 및 고정위치와, 스토퍼(123)의 배치 위치는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어(122) 및 스토퍼(123)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면을 참고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용장의 측면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A' 원을 확대해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7의 'B' 원을 확대해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장(120)의 함(121) 입구에는 도어(122)가 여닫이 구조로 배치된다. 이를 위해 도어(122)는 상단부에 설치되는 힌지 구조의 구동체(122a)를 갖추고서, 구동체(122a)를 매개로 상기 입구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때 구동체(122a)는 토션스프링(미도시함)에 의해 상기 입구가 개구되는 방향으로 회동하므로, 하층에 위치한 도어(122')와 같이 스토퍼(123)로부터 고정이 해제되면, 도어(122')는 상기 토션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전방으로 회동해 돌출되면서 사용자가 함(121)의 입구가 개구됨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결국, 도어(122, 122')는 스토퍼(123)에 의해 함(121) 입구의 폐구 상태를 유지하고, 스토퍼(123)의 고정이 해제되면 구동체(122a)에 구성된 토션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전방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입구를 개구해, 사용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계속해서, 스토퍼(123)는 상기 입구 바닥에 배치되면서 도어(122)가 회동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으로서, 솔레노이드(123a)와, 솔레노이드(123a)에 삽입돼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플런저(123b)와, 플런저(123b)를 탄발 지지하는 스프링(123c)으로 구성된다.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런저(123b)는 스프링(123c)에 의해 지지되면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를 통해 도어(122)가 회동하지 않도록 고정한다. 그러나,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터(130)의 제어를 통해 솔레노이드(123a)에 전기가 인가되면, 플런저(123b)는 스프링(123c)의 탄발력 이상의 힘을 받아 하방으로 이동하고, 이로 인해 도어(122)는 전방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입구를 개구한다. 결국, 사용자는 상기 입구에 해당하는 함(121)의 개구 상태를 인지하고, 상기 함(121)에 위치한 물품을 인출하거나, 해당 함(121)으로 출고 대상 물품을 수납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스토퍼(123)는 수용장(120)의 함(121)에 각각 구성될 수 있고, 컴퓨터(130)는 스토퍼(123)의 동작을 제어한다. 스토퍼(123)의 동작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컴퓨터(130)를 설명하면서 상세히 한다.
한편,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123)는 사용자의 인력에 의해 상하로의 승,하강이 가능해야 한다. 따라서, 도어(122)와 접하는 플런저(123b)의 일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도어(122)가 외력을 받아 이동할 때 플런저(123b)가 스프링(123c)에 저항해 하강할 수 있도록 한다. 결국, 도어(122)가 열리거나 닫힐 때 플런저(123b)는 도어(122)의 횡압력을 받아 상,하로 승,하강하므로, 인력으로도 도어(122)를 개폐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구동체(122a)에는 여닫이 방식의 도어(122)를 강제로 회동시키는 토션스프링이 내장된 것으로 제시하였으므로, 평상시 도어(122)는 함(121)을 폐구하기 위해 스토퍼(123)가 필수로 구성되어야 한다. 하지만, 구동체(122a)에 토션스프링을 내장하는 대신 유사시 구동체(122a)가 도어(122)의 회전축(미도시함)을 강제로 회전시켜서 개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구동체(122a)는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전기모터가 적용될 수 있다.
결국, 스토퍼(123)는 구동체(122a)가 탄발체인 경우 도어(122)를 지지하기 위해 구성되고, 구동체(122a)가 모터와 같이 자발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구성인 경우 구성되지 않는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용장의 다른 실시 예의 측면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용장(120')의 함(121) 입구에는 도어(122", 122a")가 서랍방식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서랍방식의 도어(122", 122a")는 물품 수용기능을 갖추면서 함(121) 폐구 기능까지 갖는다.
계속해서, 도어(122", 122a")의 배면에는 도어(122", 122a")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구동체(122a')가 배치되고, 도어(122", 122a")와 접하는 함(121)의 내면에는 스토퍼(123')가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스토퍼(123')가 도어(122", 122a")의 저면과 접하도록 함(121)의 바닥면에 배치되었다. 여기서, 스토퍼(123')에 대한 구조와 동작 방식은 앞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계속해서, 스토퍼(123')에 구성된 플런저(미인출함)의 삽입을 위해 도어(122", 122a")의 해당 일면에는 걸림홈(122b)이 형성된다. 결국, 스토퍼(123')의 플런저가 걸림홈(122b)과 맞물리면 도어(122", 122a")는 위층의 도어(122")와 같이 구동체(122a')의 탄발력에 저항해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컴퓨터(130)의 제어를 받은 스토퍼(123')의 동작으로 플런저가 걸림홈(122b)과 분리되면 도어(122", 122a")는 아래층의 도어(122a")와 같이 구동체(122a')의 탄발력에 의해 전방으로 밀리면서 열린다.
이외에도 수용장에 설치된 함을 폐구하는 도어를 자동으로 개구하는 구조는 다양할 수 있는데, 서랍방식의 도어 배면에 구동체(122a')를 솔레노이드(미도시함)로 적용해서 유사시 상기 솔레노이드에 설치된 플런저가 상기 도어의 배면을 밀어내면서 상기 도어가 강제로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고, 상기 도어의 외면에 구동체(122a')를 회전롤(미도시함)로 해 밀착시켜서 유사시 상기 회전롤의 회전을 통해 서랍방식의 상기 도어가 강제로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이 경우 서랍방식의 도어를 지지하는 스토퍼(123')가 구성되지 않을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 있다.
또한, 미닫이방식의 도어인 경우도 역시 도어의 이동방향으로 솔레노이드 또는 회전롤이 예시되는 구동체를 배치시켜서 미닫이방식의 상기 도어가 강제로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입고 대상 물품을 수용장(120)의 하부에 위치한 함에 수납하고, 출고 대상 물품을 상부에 위치한 함에 수납할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입고 대상 물품과 출고 대상 물품이 수용장(120)의 특정 위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터(130)는 운반차(100)를 통해 입,출고되는 물품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정보를 입출력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입출력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물품의 입,출고 상황이 입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컴퓨터(130)는 이동수단(110), 통신수단(140), 프린터(150), 포장수단(160), 감지수단(170) 및 스토퍼(123)의 동작을 제어하면서, 운반차(100)의 전체적인 움직임을 제어한다.
컴퓨터(130)는 통상적인 PC 형태로 실시될 수 있고, 상기 입출력장치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용이한 모니터와 키보드 또는 리더기와 같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리더기를 실시하기 위해 입출고 물품에는 리더기가 인식할 수 있는 바코드 또는 QR코드 등이 기재될 수 있고, 상기 코드에는 물품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므로, 사용자가 물품을 입고 또는 출고할 때 상기 리더기로 해당 물품에 기재된 코드를 읽으면 컴퓨터(130)에 자동으로 상기 정보가 입력된다.
컴퓨터(130)의 동작에 대한 좀 더 구체적인 설명은 이동수단(110), 통신수단(140), 프린터(150), 포장수단(160) 및 감지수단(170)을 설명하면서 상세히 기술한다.
통신수단(140)은 운반차(100)의 컴퓨터(130)와 관리서버(30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매체로서,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나 운반차(100)가 복잡한 물류창고 내에서 간섭없이 원활한 움직임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통신수단(140)에 적용된 통신은 무선 방식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 적용된 통신수단(140)의 적용 방식은 와이브로,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와이파이, 와이맥스, 지그비, 블루투스, UWB(ultra wideband),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SWAP(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 등 다양할 수 있다.
계속해서, 통신수단(140)을 매개로 컴퓨터(130)와 관리서버(300)는 실시간으로 통신할 수 있고, 상기 통신을 통해 물품에 대한 입,출고 상황이 실시간으로 공유되면서 사용자는 출고해야할 물품을 신속히 정리해 출고 절차를 밟을 수 있으며, 관리서버(300)에서는 물류창고에서 진행되는 특정 물품에 대한 구체적인 입,출고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프린터(150)는 컴퓨터(130)의 제어를 받아 동작하면서 특정 물품에 대한 정보를 명세서, 영수증 또는 송장 등(이하 '명세서')의 형태로 출력한다. 프린터(150)는 출고된 물품의 발송을 위해 상기 물품을 집하장으로 우선 옮겨야 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물류창고 내 수납장에서 해당 물품의 인출 즉시 상기 물품에 대한 명세서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물품을 집하장으로 이송하고, 집하장의 관리자는 물품을 일일이 체크해서 해당 물품 관련 명세서를 출력해야 하는 2중의 업무 부담을 줄일 수 있다.
포장수단(160)은 물품을 발송하기 위해 포장하는 공지,공용의 기기로서, 사용자는 수납장에서 인출한 물품을 포장수단(160)에 넣어서 포장하고, 프린터(150)로부터 출력한 해당 명세서를 붙여서 출하시킬 수 있다. 특정 물품에 대한 포장수단(160)의 포장 작업은 컴퓨터(130)에 기록될 수 있고, 컴퓨터(130)는 해당 기록을 저장해서 상기 물품에 대한 최종 출고 준비 여부를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다.
포장수단(160)은 진공포장과 같이 물품을 진공으로 포장할 수 있는 공지,공용의 기기가 적용될 수 있다.
감지수단(170)은 발신수단(200)으로부터 발하는 위치신호를 수신해서 이를 컴퓨터(130)로 전송하는 것으로서, 발신수단(200)이 발신하는 위치신호 전용 수신장치가 적용된다. 참고로, 발신수단(200)은 자성체일 수 있고, 따라서 해당 발신수단(200)의 위치신호는 자기신호일 수 있다. 그러므로 감지수단(170)은 상기 자기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공지,공용의 자기감지기가 적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발신수단(200)은 RFID 태그일 수 있고, 따라서 해당 발신수단(200)의 위치신호는 라디오주파수일 수 있다. 그러므로 감지수단(170)은 상기 라디오주파수를 감지하기 위한 공지,공용의 주파수수신기가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운반차(100)와, 이 운반차(100)를 포함한 입출고시스템에 대해 도면을 참고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차가 물류창고에서 동작 중인 일실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반차가 통과하는 물류창고의 바닥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반차에 구성된 컴퓨터에 출력되고 있는 물류창고의 가상이미지와 업무현황리스트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운반차(100)는 물류창고 내에서 그 위치가 추적되고, 이렇게 추적된 운반차(100)의 위치는 관리서버(300)는 물론 해당 운반차(100) 자체에서 상기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운반차(100)의 이러한 자기 위치 인식 기능을 활용해서 사용자는 지정된 위치의 수납장에 놓인 물품을 인출해서 운반차(100)에 옮기거나, 지정된 위치의 수납장으로 운반차(100)에 놓인 물품을 인출해서 입고할 수도 있다.
발신수단(20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장 통로 곳곳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된다. 일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1통로 입구에는 발신수단(200) 하나를 매설하고, 2통로 입구에는 발신수단(200) 두 개를 매설하며, 3통로 입구에는 발신수단(200) 세 개를 매설한다. 또한, 입구 사이에는 일정 간격으로 발신수단(200)을 매설한다. 한편, 이렇게 매설된 발신수단(200)의 위치는 컴퓨터(130)에 입력되므로, 발신수단(200)의 위치신호 수신이 없다가 갑자기 하나, 둘 또는 세 개의 위치신호가 감지수단(170)을 통해 수신되면 1통로, 2통로 또는 3통로로 운반차(100)가 진입했음을 인지한다. 계속해서, 상기 통로 진입 후 상기 통로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발신수단(200)의 위치신호가 감지되면, 컴퓨터(130)는 상기 위치신호를 카운팅하면서 운반차(100)의 이동 정도를 연산한다. 물론, 이렇게 연산된 운반차(100)의 이동거리는 운반차(100)의 현재 위치로 추적될 수 있고, 이렇게 추적된 위치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터(130)의 모니터(131)를 통해 출력되어서, 사용자가 운반차(100)의 현재 위치를 내비게이션처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운반차(10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을 할 수 있고, 통로 진입 후 곧바로 이탈할 수도 있으므로, 통로 입구에 매설된 발신수단(200)의 위치신호와, 통로에 일정 간격으로 매설된 발신수단의 위치신호는 서로 구분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통로에 일정 간격으로 매설된 발신수단의 위치신호는 위치에 따라 서로 구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물류창고에 설치된 발신수단(200)과, 발신수단(200)의 위치신호를 수신해서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본 발명에 따른 운반차(100)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1) 입,출고 위치 자동 확인기능
사용자는 컴퓨터(130)에 입고 및/또는 출고 정보를 입력해 기록한 후 해당 운반차(100)를 이용해 물류창고로 진입한다. 여기서, 입고 정보란 특정 물품의 정보와 상기 물품이 입고되어야 할 위치를 포함하고, 출고 정보란 특정 물품의 정보와 상기 물품의 위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입,출고 정보에는 수용장(120)에 수납될 함(121)의 위치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물품을 입,출고할 때 해당 물품이 위치할 함(121)의 위치정보가 컴퓨터(130)에 등록되도록 해서, 입,출고 정보가 팝업되면 해당 함(121)의 스토퍼(123)가 컴퓨터(130)에 의해 제어돼 도어(122)가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물품의 위치가 통로 이름, 수납장 열, 층으로 표현된다.
물류창고로 진입한 운반차(100)는 사용자의 유도에 따라 이동하면서 임의 통로로 진입하고, 이때부터 발신수단(200)으로부터 발신되는 위치신호를 감지수단(170)이 수신하면서 현재 위치를 확인한다.
운반차(100)의 이동 중 컴퓨터(130)는 수신되는 위치신호에 따라 입고 정보 또는 출고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색하고, 상기 위치신호에 해당하는 물품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러한 확인 과정에서 특정 위치에 물품 정보의 존재가 확인되면, 컴퓨터(130)는 이동수단(110)의 브레이크를 조작해서 운반차(100)를 정차시키고, 모니터(131)를 통해 해당 위치에 인접한 물품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컴퓨터(130)는 해당 물품 정보와 관련한 함(121)의 스토퍼(123)를 작동시켜서 도어(122)가 회동되도록 하고, 사용자는 동작한 도어(122)의 해당 함(121)에 위치한 물품을 입고하거나, 해당 함(121)으로 출고 대상 물품을 수납시켜서 신속한 입,출고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131)를 확인해서 해당 물품에 대한 입고 또는 출고 작업을 진행하고, 운반차(100)의 이동을 속행한다.
결국, 사용자는 입,출고 리스트를 일일이 확인할 필요 없이 운반차(100)의 동작 상태만을 통해 입,출고를 진행할 수 있으므로, 초보자도 신속히 일처리를 진행할 수 있고, 입,출고의 누락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 입,출고 작업 자동 기록 기능
운반차(100)의 물류창고 내 이동이 발신수단(200)의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감지수단(170)을 통해 시간대별로 추적되고, 물품에 대한 입고 및 출고 상황이 사용자의 입력, 프린터(150) 및/또는 포장수단(160)의 동작 등에 따라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간대별로 운반차(100)의 위치정보와 프린터(150) 및/또는 포장수단(160)의 동작정보와 입고 및 출고 정보로 생성돼 기록되면서, 사용자는 물품 입,출고에 대한 별도의 기록을 수행하지 않고, 입,출고 업무에만 집중하면 되는 편리함이 있다. 이를 위해 컴퓨터(130)는 현재 시각에 대한 실시간 확인이 가능해야 하고, 이를 위해 무선 인터넷 접속 상태를 유지하거나 관리서버(300)와의 접속 상태를 유지해야 할 것이다.
3) 입고 위치 관리 기능
전술한 바와 같이, 운반차(100)는 물류창고를 순회하면서 입고와 출고 작업을 동시에 진행하면서, 수납장에서 물품이 출고된 빈 자리 정보를 컴퓨터(130)에 바로 기록하고, 이를 통해 빈 자리에 대한 위치와 그 범위 등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정확히 파악해 다음 물품 입고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결국, 물류창고의 수납장에 대한 공간 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 입,출고 작업을 동 시간대에 병행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운반차의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차가 물류창고에서 동작 중인 다른 실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신수단(200')은 RFID 태그가 적용되고, 감지수단(170)은 RFID 태그가 적용된 발신수단(200')에 상응하는 RFID 판독기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발신수단(200')으로부터 발신되는 위치신호는 라디오주파수일 수 있고, 해당 라디오주파수에는 통로, 수납장 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100; 운반차 110; 이동수단 120; 수용장
130; 컴퓨터 131; 모니터 140; 통신수단
150; 프린터 160; 포장수단 170; 감지수단
200, 200'; 발신수단 300; 관리서버

Claims (7)

  1. 물품을 수용하는 함과, 상기 함의 입구를 개폐하도록 구동체에 의해 동작하는 도어를 갖춘 수용장;
    발신수단의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감지수단;
    상기 구동체의 위치정보와 물품의 입,출고 정보를 저장하고, 수신된 상기 위치신호를 확인해서 현 위치를 추적하고, 상기 입,출고 정보를 검색해서 상기 현 위치에 대응하는 해당 물품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도어가 열리도록 상기 입,출고 정보에 포함된 해당 위치정보의 구동체를 제어하는 컴퓨터; 및
    상기 수용장, 감지수단 및 컴퓨터를 지지하면서 이동하는 이동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폐형 수용장을 갖춘 입출고용 운반차.
  2. 물품을 수용하는 함과, 구동체의 탄발력으로 상기 함의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잠그는 스토퍼를 갖춘 수용장;
    발신수단의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감지수단;
    상기 스토퍼의 위치정보와 물품의 입,출고 정보를 저장하고, 수신된 상기 위치신호를 확인해서 현 위치를 추적하고, 상기 입,출고 정보를 검색해서 상기 현 위치에 대응하는 해당 물품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도어가 열리도록 상기 입,출고 정보에 포함된 해당 위치정보의 스토퍼를 제어하는 컴퓨터; 및
    상기 수용장, 감지수단 및 컴퓨터를 지지하면서 이동하는 이동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폐형 수용장을 갖춘 입출고용 운반차.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함에 삽탈되는 서랍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폐형 수용장을 갖춘 입출고용 운반차.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구동체를 매개로 상기 입구에 여닫이 방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입구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구동체는 토션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폐형 수용장을 갖춘 입출고용 운반차.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컴퓨터의 제어를 통해 전기가 인가되는 솔레노이드;
    상기 솔레노이드에 삽입돼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플런저; 및
    상기 플런저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발지지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폐형 수용장을 갖춘 입출고용 운반차.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바퀴와, 상기 바퀴를 제동하는 브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는 상기 현 위치에 대응하는 해당 물품 정보 검색 시 상기 운반차가 정차하도록 상기 브레이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폐형 수용장을 갖춘 입출고용 운반차.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컴퓨터에 제어되어 상기 바퀴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폐형 수용장을 갖춘 입출고용 운반차.
KR1020110146484A 2011-12-29 2011-12-29 자동 개폐형 수용장을 갖춘 입출고용 운반차 KR101146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484A KR101146691B1 (ko) 2011-12-29 2011-12-29 자동 개폐형 수용장을 갖춘 입출고용 운반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484A KR101146691B1 (ko) 2011-12-29 2011-12-29 자동 개폐형 수용장을 갖춘 입출고용 운반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6691B1 true KR101146691B1 (ko) 2012-05-22

Family

ID=46272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6484A KR101146691B1 (ko) 2011-12-29 2011-12-29 자동 개폐형 수용장을 갖춘 입출고용 운반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66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5066B1 (ko) 2016-07-22 2018-10-05 한국기계연구원 검체보관장치와 검체관리시스템 그리고 검체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
KR20220041386A (ko) * 2020-09-25 2022-04-01 싸이스트 주식회사 키오스크형 능동시약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능동시약관리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411A (ja) * 1995-07-03 1997-01-21 Murata Mach Ltd ピッキング台車システム
KR20110096392A (ko) * 2010-02-22 2011-08-30 씨제이 지엘에스 주식회사 Rfid를 포함하는 디지털 카트 피킹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411A (ja) * 1995-07-03 1997-01-21 Murata Mach Ltd ピッキング台車システム
KR20110096392A (ko) * 2010-02-22 2011-08-30 씨제이 지엘에스 주식회사 Rfid를 포함하는 디지털 카트 피킹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5066B1 (ko) 2016-07-22 2018-10-05 한국기계연구원 검체보관장치와 검체관리시스템 그리고 검체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
KR20220041386A (ko) * 2020-09-25 2022-04-01 싸이스트 주식회사 키오스크형 능동시약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능동시약관리방법
KR102432871B1 (ko) * 2020-09-25 2022-08-16 싸이스트 주식회사 키오스크형 능동시약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능동시약관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2491B2 (en) Transfer station configured to handle cargo and cargo receptacle sorting method
US10351399B2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of controlling motorized transport units in fulfilling product orders
RU2562087C2 (ru) Оборудование для укладки не имеющих поддонов упаковок различных размеров на стеллажи товарного склада
KR101691329B1 (ko) 무인배송시스템 및 무인배송방법
US20240013144A1 (en) Fully automated self-service store
JP5448809B2 (ja) 自動保管分配システム
CN108492475B (zh) 一种取货地点和相应的计算机可读介质
CN105009004B (zh) 具有可连接的库存保持器的库存系统
CN109716368A (zh) 在交付地点处设基地的自主地面载具
JP5651014B2 (ja) 自動小売装置及びその操作方法
JP2020007148A (ja) 無人配送車両による無人配送システム
WO2016012742A1 (en) Same-day order fulfilment and delivery means and apparatus therefor
KR20180076865A (ko) 물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21019596A1 (ja) 物流システム
US1155118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exceptions to orders collected by autonomous vehicles
US11806879B2 (en) Shipping system and control system for secure package delivery
KR101146691B1 (ko) 자동 개폐형 수용장을 갖춘 입출고용 운반차
CN109377550A (zh) 一种三维立体无人超市
CN112093346B (zh) 一种减少货物停留时间的物流系统及方法
JP5196223B2 (ja) 物品処理システム
CN110870632B (zh) 智能货柜和门店管理系统
JP2017039597A (ja) 自動倉庫システム
EP3861891A1 (en) Storage and picking system
JP7474857B2 (ja) 制御装置、配送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US20230316848A1 (en) Robotic vending machin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