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2871B1 - 키오스크형 능동시약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능동시약관리방법 - Google Patents

키오스크형 능동시약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능동시약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2871B1
KR102432871B1 KR1020200124515A KR20200124515A KR102432871B1 KR 102432871 B1 KR102432871 B1 KR 102432871B1 KR 1020200124515 A KR1020200124515 A KR 1020200124515A KR 20200124515 A KR20200124515 A KR 20200124515A KR 102432871 B1 KR102432871 B1 KR 102432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gent
information
kiosk
user
regis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1386A (ko
Inventor
박혁진
Original Assignee
싸이스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싸이스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싸이스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4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2871B1/ko
Publication of KR20220041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1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06Q10/0875Itemisation or classification of parts, supplies or services, e.g. bill of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1/00Enclosures; Chambers
    • B01L1/50Enclosures; Chambers for storing hazardous materials in the laboratory, e.g. cupboards, wast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4Labware with identification means
    • B01L3/545Labware with identification means for laboratory contain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4Calendaring for a resou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5Align devices or objects to ensure defined positions relative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4Exchange or ejection of cartridges, containers or reservo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2Identification, exchange or storage of information
    • B01L2300/023Sending and receiving of information, e.g. using bluetoo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2Identification, exchange or storage of information
    • B01L2300/025Displaying results or values with integrated mea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오스크형 능동시약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능동시약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키오스크형태로서 시약관리의 편의성을 개선시켜줄 수 있고, 시약 관리에 있어서 화합물질 관리 법규를 적용하여 해당 시약관리의 적법성을 키오스크형태의 단말에서 바로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통지를 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약관리 편의성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키오스크형 능동시약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능동시약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키오스크형 능동시약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능동시약관리방법{Kiosk Type Active Reagent Management System and Manag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키오스크형 능동시약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능동시약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키오스크 형태로서 시약관리의 편의성을 개선시켜줄 수 있고, 시약 관리에 있어서 화학물질 관리 법규를 적용하여 해당 시약관리의 적법성을 키오스크형태의 단말에서 바로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통지를 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약관리 편의성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키오스크형 능동시약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능동시약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학교, 기업, 관공서 등의 실험실내에서 사용하는 화학약품, 시약 등을 여러 사용자들이 쉽게 접근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하여 어느 사용자가 어떤 물질을 어떻게 얼마나 많은 양을 사용하였는지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실험실내의 화학약품, 시약 등의 입, 출고의 관리는 관리자가 수기로 기록하여 보관, 관리하고 있다. 단순한 시건 장치를 이용하여 보관하는 경우, 물품 사용 시 사용자가 관리자에게 오프라인으로 사용 요청을 하고 관리자는 사용 물품의 유, 무를 확인하여 사용허가를 인가한다. 이후 사용자는 물품을 출고 사용 후 반납 시, 다시 관리자에게 허가를 득한 후 물품을 보관 관리한다. 이 모든 과정이 오프라인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물품의 관리는 수기 기록으로 유지 관리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시약이나 의약품은 상대적으로 고가인 경우가 많고 온도나 습도 등과 같은 보관 환경에 민감한 영향을 받으며, 대부분의 경우, 보관 조건과 유효기간 등이 정해져 있으며, 유효 기간이 경과하여 역가가 저하되거나 소실된 시약이나 약품을 사용하게 되면 정확한 실험 결과를 얻지 못하여, 잘못된 결론으로 유도될 수 있다. 따라서, 실험실이나 연구실 등에서의 시약 관리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며, 유효 역가를 보유한 시약을 적기에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실험실이나 연구실의 관리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종래 이러한 시약이나 약품의 보관 및 취급은 실험실 또는 연구실 내의 여러 시약장 내에 보관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수많은 시약들을 단순한 기억에 의존하거나, 시약 라벨을 일일이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찾아야만 하고, 시약의 반납 또는 반출 시 번거롭고 수고스럽게 수기로 관리 대장에 기록함이 통상적이었으며, 이러한 관리 기장을 컴퓨터에 기록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기록매체가 종이인가 컴퓨터 메모리인가의 차이만 있을 뿐 번거롭고 수고스럽기는 마찬가지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방법에 있어서는, 특정 시약을 찾기 위해서는 작성된 목록을 일일이 확인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음과 아울러, 실수로 목록상의 시약장과는 다른 시약장에 시약을 보관한 경우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 여러 시약장들을 전부 찾아보아야만 하는 불편이 있음은 물론, 데이터베이스화를 위한 수기 또는 컴퓨터 타이핑 시 정보 기록 누락이 발생할 우려가 있어 시약 저장 정보의 정확성과 신속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크다.
한편, “유해화학물질관리법”은 2015년에 화학물질의 정의 및 분류 부분과 관리부분으로 분리-제정된바 있고, '화학물질의 유해성 및 위해성평가' 부분은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화평법)로, '유해화학물질의 안전관리'부분은 「화학물질관리법」(화관법)로 분리 및 제정되었다.
한편, “화평법”, “화관법”의 제정 배경에는 빈번하게 발생하였던 대형 화학물질 사고가 있었다. 최근 국내에서 피해 정도가 컸던 화학 사고는, 2012년 9월 27일 구미 액체 불화수소 누출사고로서, 이 사고 후 위험물에 대한 관심이 사회적 이슈로써 증폭되었고, 추후 지디 불산 누출, 삼성전자 불산 누출, 웅진폴리실리콘 염산 누출, 신영이엔티 염산 누출, LG실트론 폐혼산 누출 등 화학물질 관련 사고가 연이어 발생하여 근로자 및 인근주민의 피해를 가져와 생태계 및 자연환경에 손상을 주었다. 한편 2014~2018년까지 5년 동안 총 1,089건의 실험실 사고가 발생하였으며(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실안전사고 발생원인으로는 경험훈련 미숙 25%에 이어, 유해 위험물 취급부주의가 19%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연구실 안전관련 통계, 미래창조과학부, 2014).
한편, 상기 화평법 및 화관법에 따른 화학물질의 관리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다양한 연구소, 중소 규모 사업장 등에서는 전적으로 이들 사용자 기관에서 자체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화평법 및 화관법에 따라 특별 관리되어야 하는 화학물질 및 이들에 대한 관리법은 매우 많고, 2020년 현재 화학물질을 생산/취급/판매하는 주체가 직접 통제하여야 하는 법령 조항은 총 27개의 조항에 해당하고, 향후 보다 많은 조항이 세밀하게 적용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화평법 및 화관법에 따른 규제가 증가함에 따라, 일일이 함유 성분 및 그 함량, 입/출고 및 보관량에 따른 관리 방법 지정, 모든 물질에 대한 관련 법령 확인 및 규제 준수, 각종 보고서의 생성과 제출 등을 각각의 기관, 기업 들이 하여야 하고, 법령 및 이에 대한 판단이 복잡해지기 때문에, 이에 따른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상당한 인력과 인프라가 필요해졌다.
특히, 중소규모의 업체에서 이와 같이 비대해지는 화평법 및 화관법에 대응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고, 단순 입출고 관리 시스템으로는 이를 해결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키오스크 형태로서 시약관리의 편의성을 개선시켜줄 수 있고, 시약 관리에 있어서 화학물질 관리 법규를 적용하여 해당 시약관리의 적법성을 키오스크형태의 단말에서 바로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통지를 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약관리 편의성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키오스크형 능동시약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능동시약관리방법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스크형 능동시약관리장치로서, 키오스크하부프레임; 상기 키오스크하부프레임에서 돌출 및 삽입될 수 있고, 시약을 보관할 수 있는 1 이상의 트레이; 상기 크오스크하부프레임에 배치되어, 키오스크형 능동시약관리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복수의 바퀴; 상기 키오스크하부프레임에 결합된 키오스크본체; 상기 키오스크본체에 배치되고, 전자기신호 발생장치 혹은 프린팅출력장치로 구현되어, 시약병의 식별정보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는 식별태그출력기; 상기 키오스크본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모듈; 시약병에 붙여진 식별태그를 전자기신호 방식 혹은 이미지인식 방식으로 인식할 수 있는 시약리더모듈; 시약병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전자저울모듈; 및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시약등록, 시약입고, 혹은 시약재입고에 따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시약관리 관련 데이터를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키오스크형 능동시약관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시약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전자저울모듈로부터 해당 시약의 무게를 수신하는 단계; 및 해당 시약에 따른 식별정보를 상기 식별태그출력기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시약등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약정보는 시약명칭, 성분명, 및 CAS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시약입고, 혹은 시약재입고에 따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때, 상기 식별태그출력기를 통해 출력된 상기 식별정보가 기록된 식별태그가 시약리더모듈에 의하여 인식되어 사용자가 해당 시약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등록하고자 하는 시약이 혼합물 형태의 시약인 경우에 상기 시약정보는, 단일의 시약명칭, 혼합물을 구성하는 각각의 물질에 대한 성분명, 및 혼합물을 구성하는 각각의 물질에 대한 CAS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시약등록, 시약입고, 혹은 시약재입고에 따라 해당 시약장에 보관되는 시약들의 재고정보를 포함하는 시약장정보를 관리하고, 기설정된 정규화된 법령정보를 해당 시약장의 재고정보에 적용하여, 상기 정규화된 법령정보에 따른 규칙에 대한 위배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디스플레임모듈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통지를 수행하는 법령적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에는, 관리되는 시약에 대한 CAS번호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정규화된 법령정보는 CAS번호에 따른 화학물질에 대한 법령정보에 해당하고, 상기 법령적용부는 CAS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정규화된 법령정보를 적용하여 위배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정규화된 법령정보는, 특정단일 시약, 및 상기 특정단일 시약의 보관허용치에 대한 법령정보; 동일한 시약장에 보관될 수 없는 복수의 시약에 대한 법령정보; 및 동일한 시약장에 보관될 수 없는 복수의 시약의 보관허용치 총합에 대한 법령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등록된 시약이 혼합물 형태의 시약인 경우에는, 해당 시약에 대한 단일의 시약명칭, 혼합물을 구성하는 각각의 물질에 대한 성분명, 및 혼합물을 구성하는 각각의 물질에 대한 CAS번호를 포함되어 있고, 상기 정규화된 법령정보는 CAS번호에 따른 화학물질에 대한 법령정보에 해당하고, 상기 법령적용부는 CAS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정규화된 법령정보를 적용하여 위배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능동형시약관리장치를 통하여 등록, 입고 혹은 재입고를 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입력정보에 기초하여 예비적으로 시약장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업데이트된 시약장정보에 대해 정규화된 법령정보를 적용하는 단계; 상기 업데이트된 시약장정보에 상기 정규화된 법령정보에 위배되는 사항이 없는 경우에는 등록, 입고 혹은 재입고에 따른 시약장정보의 업데이트를 완료하는 단계; 및 상기 업데이트된 시약장정보에 상기 정규화된 법령정보에 위배되는 사항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능동형시약관리장치를 통하여 등록, 입고 혹은 재입고를 하는 과정에서, 해당 위배사항을 통지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에는 사용자별 물질취급 관련 교육이수에 대한 정보 및 특정 물질 각각에 대한 필요 교육이수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능동형시약관리장치를 통하여 등록, 입고 혹은 재입고를 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입력정보에 기초하여, 등록, 입고 혹은 재입고를 하고자 하는 시약에 상기 특정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해당 사용자의 상기 특정물질에 대한 필요 교육이수가 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해당 사용자의 상기 특정물질에 대한 필요 교육이수가 충족되지 않는 경우에, 등록, 입고 혹은 재입고를 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해당 미충족 내역에 대한 통지 혹은 해당 등록, 입고 혹은 재입고를 하는 과정의 중단을 수행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교육정보적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에는 특정 규칙에 따른 보고서템플릿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시약등록, 시약입고, 혹은 시약재입고에 따른 특정 시약 혹은 특정 사용자 혹은 사업장에 대한 행위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행위데이터 및 상기 보고서템플릿에 기초하여 특정 규칙에 따른 시약관리보고서를 자동적으로 생성하는 보고서작성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고 혹은 출고 등을 하고자 하는 시약들을 키오스크형태의 능동시약관리장치에 거치하고, 입고 혹은 출고 등에 대한 정보를 해당 장치에서 바로 기입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당 사업장 단위 혹은 해당 시약장 단위에서 법규에 따라 시약관리를 하고 있는지를 등록, 입고, 혹은 출고 등의 과정에서 바로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관리조치를 취함으로써, 시약관리에 대한 관련 법규 준수에 대한 별도의 관리 인력 없이, 적법하게 시약관리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약관리 관련 법규들이 개정되고, 복잡해지더라고, 이를 바로 능동시약관리장치에 업데이트를 함으로써, 개정된 법규에 대해 용이하게 따라갈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당 사업장 내의 사용자들의 특정 물질관리에 대한 교육이수내역을 키오스크 장치에 기록하고, 사용자가 특정 물질을 등록, 입고, 출고 등을 하고자 할 때, 교육이수 내역을 확인하여, 이에 대한 통지 혹은 금지를 함으로써, 교육이수내역에 대한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형 능동시약관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형 능동시약관리장치의 전자적 구성들의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시약등록부의 동작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시약등록부에 의하여 등록되는 시약에 대한 정보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시약입고부의 동작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시약출고부의 동작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시약재입고부의 동작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법령적용부의 데이터 처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법령적용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처리하는 데이터의 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법령적용부가 수행하는 세부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법령적용부의 동작을 데이터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정보적용부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고서작성모듈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4는 보고서템플릿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혹은 '~모듈'등은 1 이상의 물리적 부재, 1 이상의 하드웨어, 1 이상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혹은 1 이상의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할 수 있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다른 내용을 지시하지 않는 “한”과, “상기”와 같은 단수 표현들은 복수 표현들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일 예로, “컴포넌트 표면(component surface)”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컴포넌트 표면들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형 능동시약관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키오스크형 능동시약관리장치는 키오스크하부프레임(2000); 상기 키오스크하부프레임(2000)에서 돌출 및 삽입될 수 있고, 시약을 보관할 수 있는 1 이상의 트레이(2100); 상기 크오스크하부프레임에 배치되어, 키오스크형 능동시약관리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복수의 바퀴(2400); 상기 키오스크하부프레임(2000)에 결합된 키오스크본체(1000); 상기 키오스크본체(1000)에 배치되고, 전자기신호 발생장치 혹은 프린팅출력장치로 구현되어, 시약병의 식별정보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는 식별태그출력기(1200); 상기 키오스크본체(1000)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모듈(1100); 시약병에 붙여진 식별태그를 전자기신호 방식 혹은 이미지인식 방식으로 인식할 수 있는 시약시약리더모듈(1300)(1300); 시약병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전자저울모듈(2200); 및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시약등록, 시약입고, 혹은 시약재입고에 따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시약관리 관련 데이터를 관리하는 제어부(300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시약의 폐기에 따른 인터페이스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능동시약관리장치는 후술하는 보고서자동출력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린터모듈(2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능동시약관리장치는 이동 가능한 키오스크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처리하고자 하는 시약을 트레이(2100)에 넣고, 장치를 해당 시약장으로 이동시킨 후에, 시약장 앞에서, 키오스형 능동시약관리시스템을 조작하여 관련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컨트롤패널부(1110)가 구비될 수 있고, 이와 같은 컨트롤패널부(1110)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0)에 터치디스플레이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0)에서 출력되는 인터페이스를 보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0)에서의 터치입력 혹은 별도의 컨트롤패널부(1110)에서의 버튼 등의 입력을 통하여 시약관리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서버와 연결이 되는 형태가 아닌, 이동형 키오스크형 능동시약관리장치임이 바람직하고, 관리데이터 및 관리로직은 키오스크형 능동시약관리장치에 저장되어 있음으로써, 소규모 연구시설 혹은 사업장에서 보다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형 능동시약관리장치의 전자적 구성들의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식별태그출력기(1200)는 식별바코드, QR이미지, 혹은 다른 식별이미지를 출력하는 간이 프린팅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식별태그출력기(1200)로 출력된 식별종이 혹은 식별태그를 해당 시약병에 붙이고, 이후 입고, 출고, 혹은 재출고 시에는 해당 시약병에 붙여진 식별종이 혹은 식별태그를 시약리더모듈(1300)에 읽힘으로써 해당 시약에 대한 정보를 쉽게 입력할 수 있다.
혹은, 상기 식별태그출력기(1200)는 RFID 등의 근거리통신을 이용하여 IC칩에 해당 정보를 기록하고, 해당 RFID태그를 해당 시약병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시약리더모듈(1300)은 RFID리더로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시약리더모듈(1300)은 상기 식별태그출력기(1200)에 의하여 생성된 태그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장치로서, 이미지센서 혹은 RFID 시약리더모듈(1300)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약리더모듈(1300)은 해당 식별정보를 읽을 수 있다.
전자저울모듈(2200)은 시약병의 무게를 측정하는 용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능동시약관리장치의 경우 해당 시약의 무게를 상기 전자저울모듈(2200)에 의하여 측정하고, 자동적으로 해당 시약의 무게 정보를 기록함으로써, 등록, 입고, 재입고 시의 해당 시약의 무게를 기록하여, 해당 시약의 사용량, 혹은 재고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부(1110)는 키오스크본체(1000)에 입력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이고, 이는 디스플레이모듈(1100)과 통합되어, 터치디스플레이형태의 컨트롤패널부(1110)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모듈(1100)은 시약 등록, 입고, 출고, 및 재입고와 관련된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사용자에게 통지 등을 수행한다.
프린터모듈(2300)은 보고서작성모듈(3800) 등의 동작에 의하여 자동생성된 문서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3000)는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시약등록, 시약입고, 혹은 시약재입고에 따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시약관리 관련 데이터를 관리한다.
상기 제어부(3000)는 시약관리를 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프로세서 및 시약 등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3000)에서 DB를 제외한 블록모듈은 프로그램으로 실행되는 요소들에 해당함이 바람직하다.
사용자정보수신부(3100)는, 능동시약관리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수신하고, 필요시 해당 사용자의 정보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다. 상기 사용자의 정보는 사용자 ID/PW 방식이나 혹은 안면인식, 지문인식 등의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시약등록부(3200)는 신규 시약을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고, 시약입고부(3300)는 등록된 시약을 입고하는 절차를 수행하고, 시약출고부(3400)는 입고된 시약을 출고하는 절차를 수행하고, 시약재입고부(3500)는 출고된 시약을 다시 재입고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시약등록부(3200), 시약입고부(3300), 시약출고부(3400), 및 시약재입고부(3500)의 동작에 따라 해당 시약에 대한 재고정보, 및 행위(예를 들어, 출고, 입고, 재입고) 등에 대한 정보가 제어부(3000)의 DB에 기록되고, 사용자는 DB에 저장된 정보로부터 가공된 해당 시약, 혹은 해당 사용자 등 별로 정렬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혹은 특정 시약이 어느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조회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시약관리시스템의 동작 및 기능에 대해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법령적용부(3600)는 기설정된 정규화된 법령정보를 해당 시약장의 재고정보에 적용하여, 상기 정규화된 법령정보에 따른 규칙에 대한 위배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0)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통지를 수행한다.
교육정보적용부(3700) 및 보고서작성모듈(3800)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시약등록부(3200)의 동작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제어부(3000)의 시약등록부(32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시약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100); 상기 전자저울모듈(2200)로부터 해당 시약의 무게를 수신하는 단계(S110); 및 해당 시약에 따른 식별정보를 상기 식별태그출력기(1200)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S120);를 수행한다.
이후 사용자는 시약병에 상기 식별정보가 출력된 식별태그를 붙이는 과정을 수행한다(S130).
상기 시약등록부(3200), 시약입고부(3300), 시약출고부(3400), 및 시약재입고부(3500)의 동작 전에 사용자 정보를 입력 혹은 사용자정보를 인증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시약정보는 시약명칭, 성분명, 및 CAS번호를 포함한다. CAS번호(CAS Registry Number)는 이제까지 알려진 모든 화합물, 중합체 등을 기록하는 번호이다. 미국 화학회 American Chemical Society에서 운영하는 번호체계이고, 2020년 기준으로 158,000,000 개의 유기 화학 물질과 68,000,000 개의 시퀀스가 기록되어 있으며, 매주 대략 50,000개의 새 기록이 추가된다. 날마다 새로운 물질 약 15,000건이 함께 업데이트된다.
본 발명에서는 시약등록과정에서 CAS번호를 입력하게 한다. 상이한 명칭의 시약이더라도, CAS번호가 동일한 물질에 해당할 수 있고, CAS번호를 기반으로 법령적용부(3600)가 동작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법령적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4는 시약등록부(3200)에 의하여 등록되는 시약에 대한 정보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의 (A)에 도시된 형태는 시약형태가 단일물질인 경우에 해당한다. 명칭은 해당 시약의 명칭에 해당하고, 이는 시약의 ID정보에 해당할 수도 있다.
성분명은 Ethanol 등의 해당 시약의 성분의 명칭에 해당한다.
CAS는 해당 시약의 물질의 CAS번호에 해당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약의 보관유효기간, 사용목적, 전자저울모듈(2200)에 의하여 측정된 무게, 해당 시약을 보관하고자 하는 시약장정보, 식별태그출력기(1200)에서 출력되는 식별정보와 관련된 식별태그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등록 이후, 시약에 대한 등록정보는 해당 시약에 대하여, 등록, 입고, 출고, 혹은 재입고의 수행에 따른 사용자의 정보가 포함된 사용자사용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사용량은 출고시의 무게와 재입고시의 무게의 차이로 결정될 수도 있다.
또한, 시약등록부(3200), 시약입고부(3300), 시약출고부(3400), 및 시약재입고부(3500)의 동작이 완료되는 경우, 해당 시약에 대한 잔량정보가 추가될 수도 있다.
한편, 화평법 및 화관법 등의 법규의 적용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록하고자 하는 시약이 혼합물 형태의 시약인 경우에 상기 시약정보는, 단일의 시약명칭, 혼합물을 구성하는 각각의 물질에 대한 성분명, 혼합물을 구성하는 각각의 물질에 대한 CAS번호, 및 혼합물을 구성하는 각각의 물질에 대한 무게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CAS번호는 메인CAS번호, 혹은 서브CAS번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무게정보는 상기 전자저울모듈(2200)로 총량을 측정하고, 사용자가 각각의 성분들에 대한 함량%정보를 입력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기존의 방식에서는 화평법 및 화관법 등을 적용하기 위해, 혼합물 시약에서의 각 개별성분이 문제가 되는지 여부를 별도로 체크하여야 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혼합물의 경우 단일 시약 명칭에서, 각각의 CAS번호, 각각의 무게를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입력하고, 법령적용부(3600)는 시약단위로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CAS번호를 기반으로 동작함으로써, 혼합물에 대한 화평법 및 화관법의 적용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시약입고부(3300)의 동작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시약입고부(3300)의 동작에서는 우선 입고하고자 하는 시약장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는다(S200). 이후 사용자가 해당 시약병의 식별태그를 인식시키고(S210), 해당 시약을 시약장에 넣는다. 이후, 해당 시약에 대한 정보가 변경된다(S220).
도 6은 시약출고부(3400)의 동작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시약출고부(3400)의 동작에서는 우선 출고하고자 하는 시약병의 식별태그를 인식시키고(S300), 해당 시약을 시약장을 출고한다. 이후, 해당 시약에 대한 정보가 변경된다(S310).
도 7은 시약재입고부(3500)의 동작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시약재입고부(3500)의 동작에서는 우선 재입고하고자 하는 시약장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는다(S320). 이후 사용자가 해당 시약병의 식별태그를 인식시키고(S330), 무게측정모듈에 의하여 무게를 측정하고(S340), 해당 시약을 시약장에 넣는다. 이후, 해당 시약에 대한 정보가 변경된다(S350). 능동시약관리장치는 입고 혹은 출고시의 무게와 재입고시의 무게의 차이로 사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도 8은 법령적용부(3600)의 데이터 처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3000)는, 시약등록, 시약입고, 혹은 시약재입고에 따라 해당 시약장에 보관되는 시약들의 재고정보를 포함하는 시약장정보를 관리한다.
상기 법령적용부(3600)는 기설정된 정규화된 법령정보를 해당 시약장의 재고정보에 적용하여, 상기 정규화된 법령정보에 따른 규칙에 대한 위배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디스플레임모듈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통지를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3000)에는, 관리되는 시약에 대한 CAS번호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정규화된 법령정보는 CAS번호에 따른 화학물질에 대한 법령정보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시약명에 관계 없이 정확하게 기설정된 정규화된 법령정보를 적용하여, 법령위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법령적용부(3600)는 CAS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정규화된 법령정보를 적용하여 위배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능동시약관리시스템은 각각의 시약장에 저장된 시약들의 물질 각각에 대한 CAS번호 및 각각의 물질의 용량(혹은 무게)가 저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정보를 시약장정보로 칭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법령적용부(3600)는 상기 시약등록부(3200), 시약입고부(3300), 시약출고부(3400), 및 시약재입고부(3500)의 동작 과정 중에 해당 행위가 이루어졌을 때의 예비 시약장정보에 대하여 정규화된 법령정보를 적용하여, 사용자통지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시약등록, 입고, 출고, 혹은 재입고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해당 과정이 법령정보에 위배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을 줌으로써, 사용자의 시약관리의 편의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법령적용부(36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처리하는 데이터의 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규화된 법령정보는, 특정단일 시약, 및 상기 특정단일 시약의 보관허용치에 대한 법령정보; 동일한 시약장에 보관될 수 없는 복수의 시약에 대한 법령정보; 및 동일한 시약장에 보관될 수 없는 복수의 시약의 보관허용치 총합에 대한 법령정보;를 포함한다.
도 9의 (A)는 동일한 시약장에 보관될 수 없는 복수의 시약에 대한 법령정보가 적용되는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정규화된 법령정보에 CAS#1 과 CAS#2에 따른 화학물질이 동일 시약장에 보관되지 않음을 포함하고 있고, 도 9의 (A)와 같은 상태에서 혹은 상태가 되려고 할 때, 법령적용부(3600)는 사용자에게 위반통지를 수행한다.
도 9의 (B)는 특정단일 시약, 및 상기 특정단일 시약의 보관허용치에 대한 법령정보가 적용되는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정규화된 법령정보에 CAS#1에 해당하는 화학물질이 700g을 초과하지 못함이 저장되어 있고, 도 9의 (B)와 같은 상태에서 혹은 상태가 되려고 할 때, 법령적용부(3600)는 사용자에게 위반통지를 수행한다.
도 9의 (C)는 동일한 시약장에 보관될 수 없는 복수의 시약의 보관허용치 총합에 대한 법령정보가 적용되는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정규화된 법령정보에 CAS#1에 해당하는 화학물질과 CAS#2에 해당하는 화학물질의 총합이 1000g을 초과하지 못함이 저장되어 있고, 도 9의 (C)와 같은 상태에서 혹은 상태가 되려고 할 때, 법령적용부(3600)는 사용자에게 위반통지를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3000)는 등록된 시약이 혼합물 형태의 시약인 경우에는, 해당 시약에 대한 단일의 시약명칭, 혼합물을 구성하는 각각의 물질에 대한 성분명, 혼합물을 구성하는 각각의 물질에 대한 CAS번호, 및 혼합물을 구성하는 각각의 물질에 대한 무게(혹은 용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되어 있고, 상기 정규화된 법령정보는 CAS번호에 따른 화학물질에 대한 법령정보에 해당한다.
이 경우, 상기 법령적용부(3600)는 CAS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정규화된 법령정보를 적용하여 위배여부를 판단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복수의 혼합물이 보관되고, 다양한 법령을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 능동시약관리시스템에서 이에 대한 가이드를 즉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법령적용부(3600)가 수행하는 세부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법령적용부(3600)는 상기 시약등록부(3200), 시약입고부(3300), 시약출고부(3400), 시약재입고부(3500)의 동작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능동시약관리장치를 조작하고 있는 상황에서, 최종적으로 상황이 완료되기 전에 동작하여, 즉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위반여부 혹은 가이드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과정은 상기 시약등록부(3200), 시약입고부(3300), 시약출고부(3400), 및 시약재입고부(3500)의 동작 중에, 예비적으로 업데이트되는 시약장정보에 대해 상기 법령적용부(3600)를 호출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3000)는,
상기 능동형시약관리장치를 통하여 등록, 입고 혹은 재입고를 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입력정보에 기초하여 예비적으로 시약장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S400);
상기 업데이트된 시약장정보에 대해 정규화된 법령정보를 적용하는 단계(S410);
상기 업데이트된 시약장정보에 상기 정규화된 법령정보에 위배되는 사항이 없는 경우에는 등록, 입고 혹은 재입고에 따른 시약장정보의 업데이트를 완료하는 단계(S420, S430); 및
상기 업데이트된 시약장정보에 상기 정규화된 법령정보에 위배되는 사항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능동형시약관리장치를 통하여 등록, 입고 혹은 재입고를 하는 과정에서, 해당 위배사항을 통지하는 단계(S420, S440);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시약관리 과정에 따른 사용자와 키오스크형 능동시약관리시스템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법령위반 여부에 따른 가이드를 즉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법령적용부(3600)의 동작을 데이터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법령적용부(3600)는 CAS번호를 기반으로 법령위반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하나의 시약, 예를 들어 Chemical ID VT230으로 지칭되는 시약의 경우, 복수의 화학물질의 혼합물인 경우, 각각의 물질들의 CAS번호 및 각각의 물질의 함량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한편, 법령정보는 시약단위로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CAS번호 단위로 적용하고, CAS번호 각각에 대한 무게 혹은 함량에 적용됨으로써, 혼합물의 경우에도 정확한 법령판단을 가능하게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정보적용부(3700)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3000)에는 사용자별 물질취급 관련 교육이수에 대한 정보 및 특정 물질 각각에 대한 필요 교육이수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내부적으로 혹은 외부 법령에 따라 특정 화학물질의 경우, 특정 교육을 이수한 사람만이 관리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개인별 화학물질을 다루기 위한 교육이수 내역 및 해당 교육이수 내역에 현재 사용자의 행위가 부합되는지 여부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능동시약관리장치에서 판단함으로써, 보다 시약관리의 안정성 및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3000)는, 상기 능동형시약관리장치를 통하여 등록, 입고 혹은 재입고를 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입력정보에 기초하여, 등록, 입고 혹은 재입고를 하고자 하는 시약에 상기 특정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해당 사용자의 상기 특정물질에 대한 필요 교육이수가 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해당 사용자의 상기 특정물질에 대한 필요 교육이수가 충족되지 않는 경우에, 등록, 입고 혹은 재입고를 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해당 미충족 내역에 대한 통지 혹은 해당 등록, 입고 혹은 재입고를 하는 과정의 중단을 수행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교육정보적용부(3700)를 포함한다.
상기 교육정보적용부(3700)는 상기 법령적용부(3600)와 마찬가지로, 상기 시약등록부(3200), 시약입고부(3300), 시약출고부(3400), 및 시약재입고부(3500)가 동작하여, 사용자가 키오스크형 능동시약관리장치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동작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고서작성모듈(38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3000)에는 특정 규칙에 따른 보고서템플릿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3000)는 시약등록, 시약입고, 시약출고, 혹은 시약재입고에 따른 특정 시약 혹은 특정 사용자 혹은 사업장에 대한 행위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3000)는 상기 행위데이터 및 상기 보고서템플릿에 기초하여 특정 규칙에 따른 시약관리보고서를 자동적으로 생성하는 보고서작성모듈(3800)을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작성된 시약관리보고서는 전술한 프린터모듈(2300)을 통하여 인쇄될 수 있다.
도 14는 보고서템플릿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와 같이 저장된 보고서템플릿에 상기 행위데이터를 삽입하여, 시약관리보고서를 자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르면, 입고 혹은 출고 등을 하고자 하는 시약들을 키오스크형태의 능동시약관리장치에 거치하고, 입고 혹은 출고 등에 대한 정보를 해당 장치에서 바로 기입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당 사업장 단위 혹은 해당 시약장 단위에서 법규에 따라 시약관리를 하고 있는지를 등록, 입고, 혹은 출고 등의 과정에서 바로바로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관리조치를 취함으로써, 시약관리에 대한 관련 법규 준수에 대한 별도의 관리 인력 없이, 적법하게 시약관리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약관리 관련 법규들이 개정되고, 복잡해지더라고, 이를 바로 능동시약관리장치에 업데이트를 함으로써, 개정된 법규에 대해 용이하게 따라갈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당 사업장 내의 사용자들의 특정 물질관리에 대한 교육이수내역을 키오스크 장치에 기록하고, 사용자가 특정 물질을 등록, 입고, 출고 등을 하고자 할 때, 교육이수 내역을 확인하여, 이에 대한 통지 혹은 금지를 함으로써, 교육이수내역에 대한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키오스크형 능동시약관리장치로서,
    키오스크하부프레임;
    상기 키오스크하부프레임에서 돌출 및 삽입될 수 있고, 시약을 보관할 수 있는 1 이상의 트레이;
    상기 키오스크하부프레임에 배치되어, 키오스크형 능동시약관리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복수의 바퀴;
    상기 키오스크하부프레임에 결합된 키오스크본체;
    상기 키오스크본체에 배치되고, 전자기신호 발생장치 혹은 프린팅출력장치로 구현되어, 시약병의 식별정보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는 식별태그출력기;
    상기 키오스크본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모듈;
    시약병에 붙여진 식별태그를 전자기신호 방식 혹은 이미지인식 방식으로 인식할 수 있는 시약리더모듈;
    시약병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전자저울모듈; 및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시약등록, 시약입고, 혹은 시약재입고에 따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시약관리 관련 데이터를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 포함된 시약등록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시약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시약등록부를 통해 등록하고자 하는 시약이 혼합물 형태의 시약인 경우에 상기 시약정보는,
    단일의 시약명칭, 혼합물을 구성하는 각각의 물질에 대한 성분명, 혼합물을 구성하는 각각의 물질에 대한 CAS번호, 혼합물을 구성하는 각각의 물질에 대한 무게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시약등록, 시약입고, 혹은 시약재입고에 따라 해당 시약장에 보관되는 시약들에 포함되는 각각의 물질에 대한 CAS번호 및 각각의 물질의 무게정보를 포함하는 시약장정보를 관리하고,
    기설정된 정규화된 법령정보를 해당 시약장의 시약장정보에 적용하여, 상기 정규화된 법령정보에 따른 규칙에 대한 위배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통지를 수행하는 법령적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규화된 법령정보는 CAS번호에 따른 화학물질에 대한 법령정보에 해당하고,
    상기 법령적용부는 상기 시약장정보에 포함된 해당 시약장에 저장된 시약들의 물질 각각에 대한 CAS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정규화된 법령정보를 적용하여 위배여부를 판단하는, 키오스크형 능동시약관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약등록부는,
    상기 전자저울모듈로부터 해당 시약의 무게를 수신하는 단계; 및
    해당 시약에 따른 식별정보를 상기 식별태그출력기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시약입고, 혹은 시약재입고에 따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때, 상기 식별태그출력기를 통해 출력된 상기 식별정보가 기록된 식별태그가 시약리더모듈에 의하여 인식되어 사용자가 해당 시약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키오스크형 능동시약관리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규화된 법령정보는,
    특정단일 시약, 및 상기 특정단일 시약의 보관허용치에 대한 법령정보;
    동일한 시약장에 보관될 수 없는 복수의 시약에 대한 법령정보; 및
    동일한 시약장에 보관될 수 없는 복수의 시약의 보관허용치 총합에 대한 법령정보;를 포함하는, 키오스크형 능동시약관리장치.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능동시약관리장치를 통하여 등록, 입고 혹은 재입고를 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입력정보에 기초하여 예비적으로 시약장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업데이트된 시약장정보에 대해 정규화된 법령정보를 적용하는 단계;
    상기 업데이트된 시약장정보에 상기 정규화된 법령정보에 위배되는 사항이 없는 경우에는 등록, 입고 혹은 재입고에 따른 시약장정보의 업데이트를 완료하는 단계; 및
    상기 업데이트된 시약장정보에 상기 정규화된 법령정보에 위배되는 사항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능동시약관리장치를 통하여 등록, 입고 혹은 재입고를 하는 과정에서, 해당 위배사항을 통지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키오스크형 능동시약관리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사용자별 물질취급 관련 교육이수에 대한 정보 및 특정 물질 각각에 대한 필요 교육이수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능동시약관리장치를 통하여 등록, 입고 혹은 재입고를 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입력정보에 기초하여, 등록, 입고 혹은 재입고를 하고자 하는 시약에 상기 특정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해당 사용자의 상기 특정물질에 대한 필요 교육이수가 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해당 사용자의 상기 특정물질에 대한 필요 교육이수가 충족되지 않는 경우에, 등록, 입고 혹은 재입고를 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해당 미충족 내역에 대한 통지 혹은 해당 등록, 입고 혹은 재입고를 하는 과정의 중단을 수행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교육정보적용부를 포함하는, 키오스크형 능동시약관리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특정 규칙에 따른 보고서템플릿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시약등록, 시약입고, 혹은 시약재입고에 따른 특정 시약 혹은 특정 사용자 혹은 사업장에 대한 행위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행위데이터 및 상기 보고서템플릿에 기초하여 특정 규칙에 따른 시약관리보고서를 자동적으로 생성하는 보고서작성모듈을 더 포함하는, 키오스크형 능동시약관리장치.
KR1020200124515A 2020-09-25 2020-09-25 키오스크형 능동시약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능동시약관리방법 KR102432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515A KR102432871B1 (ko) 2020-09-25 2020-09-25 키오스크형 능동시약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능동시약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515A KR102432871B1 (ko) 2020-09-25 2020-09-25 키오스크형 능동시약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능동시약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386A KR20220041386A (ko) 2022-04-01
KR102432871B1 true KR102432871B1 (ko) 2022-08-16

Family

ID=81183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515A KR102432871B1 (ko) 2020-09-25 2020-09-25 키오스크형 능동시약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능동시약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287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691B1 (ko) * 2011-12-29 2012-05-22 한국호쿠쇼 주식회사 자동 개폐형 수용장을 갖춘 입출고용 운반차
KR101844485B1 (ko) * 2017-01-11 2018-04-02 박혁진 안전성이 개선된 시약관리 시스템 및 시약관리 방법
KR102116484B1 (ko) * 2019-08-28 2020-05-28 곽선기 화학물질 정보와 취급유형을 이용한 화학물질관련 법령이행정보 및 안전취급정보 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619B1 (ko) * 2018-03-16 2019-12-09 (주)이지지오 산업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691B1 (ko) * 2011-12-29 2012-05-22 한국호쿠쇼 주식회사 자동 개폐형 수용장을 갖춘 입출고용 운반차
KR101844485B1 (ko) * 2017-01-11 2018-04-02 박혁진 안전성이 개선된 시약관리 시스템 및 시약관리 방법
KR102116484B1 (ko) * 2019-08-28 2020-05-28 곽선기 화학물질 정보와 취급유형을 이용한 화학물질관련 법령이행정보 및 안전취급정보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386A (ko) 2022-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718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the development and manufacturing of a drug
US114754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guaranteeing authenticity of branded goods
WO2014138328A2 (en) Inventory tracking system
US20050055239A1 (en) Aircraft maintenance records server
KR102432871B1 (ko) 키오스크형 능동시약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능동시약관리방법
JPH0756794A (ja) 文書管理装置
Lightle et al. Segregation of duties in ERP: an automated assessment tool enables internal auditors at MeadWestvaco to enhance their SOD control reviews throughout the enterprise
Zimak Cost of Quality (COQ): Which collection system should be used?
KR20230100846A (ko) 의약품 칭량 관리 시스템
World Health Organization Policy paper on traceability of medical products
US202102792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violations of segregation of duties in software systems
JP2011008308A (ja) 個品情報管理装置及び方法
US20060004687A1 (en) Web-based event correction and prevention system
JPH11203349A (ja) 資産管理システム及び端末装置
Killa Case Study 14: Marketing and Supply Applications
Gilb Advanced requirements specification: Quantifying the qualitative
CN116797219A (zh) 基于网页收银台的药品支付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Iqbal et al. Forward Engineering Completeness for Software by Using Requirements Validation Framework (S).
Rodríguez-Pérez Data Integrity and Compliance: A Primer for Medical Product Manufacturers
CN212624137U (zh) 一种实验设备与危险料剂管理系统
Gilb 2 Quantifying The Qualitative: How to Avoid Vague Requirements by Clear Specification Language
JP2000211709A (ja) 容器入り試薬の管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18005310A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
Manual Asset Management
Brower Validation of Commercial-Off-the Shelf (COTS) Softw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