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6011B1 -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차량의 관리제어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차량의 관리제어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6011B1
KR101146011B1 KR1020110012573A KR20110012573A KR101146011B1 KR 101146011 B1 KR101146011 B1 KR 101146011B1 KR 1020110012573 A KR1020110012573 A KR 1020110012573A KR 20110012573 A KR20110012573 A KR 20110012573A KR 101146011 B1 KR101146011 B1 KR 101146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obile device
controller
data
management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2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경
Original Assignee
이상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경 filed Critical 이상경
Priority to KR1020110012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60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을 운행하기 위한 사용자의 모바일기기를 통해 차량의 기본적인 구동 및 관리를 수행하기 위해 모바일기기와 차량의 연동수단으로 별도의 컨트롤러를 구성하여 차량의 구동 및 차량의 유지관리가 보다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차량의 관리제어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의 구동상태 및 각 구성의 유지상태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차량관리 컴퓨터와; 상기 차량관리 컴퓨터에서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여 통신수행 가능한 데이터 형태로 변환 생성하여 출력하고, 차량의 구동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스위칭회로가 내장된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와 통신수행되어 차량관리 컴퓨터와 연동되고, 상기 컨트롤러를 통해 수신한 차량의 구동상태 및 각 구성의 유지상태의 데이터를 시청각 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상기 차량의 스위칭회로를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전송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모바일기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모바일기기에 차량을 관리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차량을 운행하기 위해 컨트롤러와 상기 모바일기기를 데이터통신 가능하게 연결시키고 차량을 운행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관리 컴퓨터에서는 차량의 운행시 구동상태 및 각 구성의 유지상태에 대한 감지신호를 컨트롤러로 전송하고, 컨트롤러에 전송된 감지신호는 제어부를 통해 통신수행되기 위한 데이터로 변환생성되어 모바일기기로 전송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기기로 전송된 데이터는 모바일기기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모바일기기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수행한다.

Description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차량의 관리제어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CAR MANAGEMENT/CONTROL SYSTEM AND ADMINISTRATION METHOD FOR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차량의 관리제어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차량을 운행하기 위한 사용자의 모바일기기를 통해 차량의 기본적인 구동 및 관리를 수행하기 위해 모바일기기와 차량의 연동수단으로 별도의 컨트롤러를 구성하여 차량의 구동 및 차량의 유지관리가 보다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차량의 관리제어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차량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트립컴퓨터(trip computer)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트립컴퓨터는 차량내의 계기판 또는 차량용 모니터에 모니터링 내용이 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차량의 모니터링은 차량의 구동 상태, 또는 고장 상태 등을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표시하는 것을 의미하며, 종래의 차량 모니터링 장치는 차량의 특정 전자 장치의 동작 상태 또는 고장 상태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트립컴퓨터 및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전자장치에 대한 전문지식이 요구되어 전문적인 차량 정비소를 통해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 의해 차량의 사용자는 자신의 차량에 대한 정확한 상태를 인지하지 못한 채로 차량 정비소에서 요구하는 차량의 정비를 수행하기 때문에 과도한 정비비용을 지출하게 되며, 보다 정확한 시기의 정비를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노출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휴대폰이나 PDA와 같은 모바일기기에 차량 모니터링을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을 탑재하여 차량 제어 시스템과 연결한 후 차량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모니터링 방법은 모바일기기와 차량의 트립컴퓨터가 블루투스 등의 단거리 통신모듈로 연결되어 차량의 구동 상태 또는 고장 상태 등을 감지하여 모바일기기의 단말기에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모바일기기와 연동하는 모니터링 방법은 단지 차량의 구동상태 또는 고장상태 만을 감지하여 표시할 뿐 차량의 구동 및 고장상태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수단이 결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차량의 시동을 거는 등의 차량 구동을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차량의 운행시 확인되는 주행상태와 차량의 운행 및 유지보수시 확인되는 차량 각 구성의 상태 등이 실시간 또는 선택적으로 확인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유지관리가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관리제어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의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의 구동상태 및 각 구성의 유지상태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차량관리 컴퓨터와; 상기 차량관리 컴퓨터에서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여 통신수행 가능한 데이터 형태로 변환 생성하여 출력하고, 차량의 구동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스위칭회로가 내장된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와 통신수행되어 차량관리 컴퓨터와 연동되고, 상기 컨트롤러를 통해 수신한 차량의 구동상태 및 각 구성의 유지상태의 데이터를 시청각 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상기 차량의 스위칭회로를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전송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모바일기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차량관리 컴퓨터는 차량의 각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가 내장된 일렉트로닉컨트롤유닛(Electronic Control Unit; ECU) 또는 일렉트로닉컨트롤유닛과 트립컴퓨터(Trip Computer)의 데이터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차량관리 컴퓨터의 데이터 또는 차량관리 컴퓨터에서 감지하지 못하는 구성에 결합된 감지수단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모바일기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키입력된 스위칭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차량관리 컴퓨터의 데이터를 모바일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로 생성하여 출력하고, 상기 모바일기기를 통해 입력된 스위칭신호에 의해 각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를 통해 수신한 차량관리 컴퓨터의 데이터를 모바일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과; 상기 제어부를 통해 수신한 각 구성의 스위칭신호에 의해 차량의 각 구성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컨트롤러와 모바일기기는 상호 무선통신되고, 무선통신 방식으로 무선랜이 적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모바일기기에 차량을 관리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차량을 운행하기 위해 컨트롤러와 상기 모바일기기를 데이터통신 가능하게 연결시키고 차량을 운행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관리 컴퓨터에서는 차량의 운행시 구동상태 및 각 구성의 유지상태에 대한 감지신호를 컨트롤러로 전송하고, 컨트롤러에 전송된 감지신호는 제어부를 통해 통신수행되기 위한 데이터로 변환생성되어 모바일기기로 전송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기기로 전송된 데이터는 모바일기기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모바일기기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수행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컨트롤러에서는 차량관리 컴퓨터의 감지신호를 지속적으로 수신하여 이를 실시간으로 데이터 변환생성한 후 모바일기기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거나, 특정 시간 또는 차량의 운행여부에 따라 선택적인 시점이나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해 모바일기기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컨트롤러에서 변환생성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할 경우, 모바일기기에서는 차량의 운행시 구동상태 및 각 구성의 유지상태에 대한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시점에서 안내메시지 또는 경고음이나 음성안내메시지로 출력되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는 모바일기기를 통해 차량의 리모콘 시동, 도어락 등의 차량 구동과, 운행시 차량의 컨디션 체크 등의 모니터링과 실시간 또는 선택적인 차계부 확인이 가능하게 되어 차량의 구동, 운행 및 유지보수를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기기를 통해 차량의 운행시 주의메시지 및 차량의 연료를 비롯한 각종 소모품에 대한 안내표시를 경고음이나 음성안내 등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차량의 운행 및 유지보수를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뿐만아니라, 본 발명은 차량관리 프로그램이 무선랜을 통해 모바일기기와 연결되어 이들 간의 통신수행시 발생되는 비용지출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사용자의 경제적 이익을 제공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관리제어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관리제어 시스템이 운영되기 위한 과정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관리제어 시스템의 리모콘 기능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관리제어 시스템의 모니터링 기능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관리제어 시스템의 차계부 기능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관리제어 시스템의 경고/안내 기능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관리제어 시스템의 주유소 알림기능 사용상태도.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차량관리 시스템은 차량관리 컴퓨터(10), 컨트롤러(30), 모바일기기(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량관리 컴퓨터(10)는 차량(C)에 설치되어 차량의 구동상태 및 각 구성의 유지상태를 감지하여 출력하도록 한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차량관리 컴퓨터(10)는 대표적으로 일렉트로닉컨트롤유닛(Electronic Control Unit; ECU)과 트립컴퓨터(trip computer)로 적용된다. 이때, 상기 차량관리 컴퓨터(10)는 일렉트로닉컨트롤유닛을 단독으로 적용하는 것을 기본 형태로 하여 일렉트로닉컨트롤유닛과 트립컴퓨터를 병합적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C)은 기본적인 차량관리 컴퓨터(10)가 장착된 경우 특별한 구성 추가없이 본 발명으로 적용되며, 차량관리 컴퓨터(10)가 장착되지 않은 경우 엔진을 비롯한 차량(C)의 각 구성부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각종 센서, 계측기, 릴레이 등의 구성을 설치하여 후술할 컨트롤러(30)와 연결시켜 이를 차량관리 컴퓨터(10)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30)는 차량관리 컴퓨터(10)에서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여 통신수행 가능한 데이터 형태로 변환 생성하여 출력하고, 차량(C)의 구동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스위칭회로가 내장되어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컨트롤러(30)는 입력부(31), 제어부(32), 통신모듈(33), 구동부(34)로 이루어진다.
상기 입력부(31)는 차량관리 컴퓨터(10)의 데이터 또는 차량관리 컴퓨터(10)에서 감지하지 못하는 구성에 결합된 감지수단(각종 센서 등)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모바일기기(20)에서 사용자에 의해 키입력된 스위칭신호를 입력 받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입력부(31)는 차량관리 컴퓨터(10), 즉 차량의 각 구성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각각 구분하여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32)는 입력부(31)를 통해 입력된 차량관리 컴퓨터(10)의 데이터를 모바일기기(20)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로 생성하여 출력하고, 상기 모바일기기(20)를 통해 입력된 스위칭신호에 의해 각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제어부(32)는 주로 마이크로 컴퓨터가 적용되며 이외에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의 제어소자가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통신모듈(33)은 제어부(32)를 통해 수신한 차량관리 컴퓨터(10)의 데이터를 모바일기기(20)로 전송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와 같은 통신모듈(33)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무선랜, 블루투스, CDMA가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모듈(33)은 상기 무선통신 방식 중 무선랜으로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무선랜은 모바일기기(20) 자체에서 차량관리 컴퓨터(10)와 통신가능한 일정한 감지영역을 갖게 되어, 예로써, 집안에서 차량(C)을 구동시키고 차량(C)의 상태정보 등을 확인하여 차량(C)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블루투스의 경우 차량관리 컴퓨터(10)와 모바일기기(20) 간의 통신영역이 너무 협소하여 사용자가 모바일기기(20)를 휴대하고 차량(C) 내에 탑승한 경우에만 차량(C)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되며, CDMA의 경우 차량관리 컴퓨터(10)와 모바일기기(20)의 통신영역이 넓기는 하지만 기지국, 중계기를 통해야만 통신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사용요금이 부과되기 때문에 무선랜을 사용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34)는 제어부(32)를 통해 수신한 각 구성의 스위칭신호에 의해 차량의 각 구성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드라이버이다. 이때, 상기 차량의 구동되는 각 구성은 예로써, 차량(C)의 시동을 걸기위한 스타트모터, 도어락을 수행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등의 여러 구성을 의미한다.
상기 모바일기기(20)는 컨트롤러(30)와 통신수행되어 차량관리 컴퓨터(10)와 연동되도록 한 휴대폰, PDA 등의 통신기기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모바일기기(20)는 상기 컨트롤러(30)를 통해 수신한 차량의 구동상태 및 각 구성의 유지상태의 데이터를 시청각 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상기 차량(C)의 스위칭회로를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전송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프로그램은 차량관리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특정의 인터넷 사이트 등을 통해 다운로드 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모바일기기(20)를 최근 출시되는 스마트폰으로 적용되면 상기 차량관리 프로그램을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손쉽게 다운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모바일기기(20)는 차량(C)의 구동상태와 함께 차량이 주행되는 상태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GPS(21)를 갖추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GPS(21)는 모바일기기(20)에 기본으로 내장된 형태가 주종이며, 이와 연동하여 네비게이션 및 각종 차량정비소, 주유소 등의 길안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관리제어 시스템이 운영되는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관리제어 시스템의 운영과정은 사용자가 모바일기기(20)에 차량(C)을 관리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S10) 이후, 사용자는 상기 차량(C)을 운행하기 위해 컨트롤러(30)와 상기 모바일기기(20)를 데이터통신 가능하게 연결시키고 차량(C)을 운행한다.(S20) 여기서, 차량(C)을 운행하기 위해 사용자의 모바일기기(20)는 도 3에서와 같이 차량(C)의 시동을 걸거나 도어락을 구동시키는 리모콘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차량(C)을 운행하게 되면, 상기 차량관리 컴퓨터(10)에서는 차량(C)의 운행시 구동상태 및 각 구성의 유지상태에 대한 감지신호를 컨트롤러(30)로 전송하게 된다.(S30) 이와 같이 컨트롤러(30)에 전송된 감지신호는 제어부(32)를 통해 통신수행되기 위한 데이터로 변환생성되어 모바일기기(20)로 전송된다.(S40) 이때, 상기 모바일기기(20)로 전송된 데이터는 모바일기기(2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모바일기기(2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된다.(S50)
상기와 같이 차량의 운행에 대한 디스플레이 상태는 도 4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상에 차량(C)의 계기판이 표시되어 흡사 트립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상태와 같은 화면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디스플레이 과정은, 상기 컨트롤러(30)에서 차량관리 컴퓨터(10)의 감지신호를 지속적으로 수신하여 이를 실시간으로 데이터 변환생성한 후 모바일기기(20)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S51)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과정은 특정 시간 또는 차량의 운행여부에 따라 선택적인 시점이나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해 모바일기기(20)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다.(S52)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상태는 차량의 운행 중 또는 운행후 도 5에서와 같이 차계부 형태의 화면이 출력되도록 하여 차량의 운행 중 차량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체크하거나, 차량(C)을 운행하지 않는 상태에서 가장 최근 차량(C) 운행에 따른 차량(C)의 상태를 체크할 수 있게 된다.(S53)
도 6은 상기 관리제어 시스템의 운영과정의 추가된 실시예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추가 실시예는 상기 컨트롤러(30)에서 변환생성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할 경우를 나타낸다.
이는, 상기 컨트롤러(30)에서 실시간 데이터를 전송받을 경우 모바일기기(20)에서는 차량(C)의 운행시 구동상태 및 각 구성의 유지상태에 대한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시점에서 안내메시지 또는 경고음이나 음성안내메시지로 출력되도록 한 것이다.
도 7은 상기 관리제어 시스템의 운영과정의 더 추가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추가 실시예는 전술한 모바일기기(20)의 GPS(21) 기능을 이용하여 차량(C) 연료가 일정량 이하가 되는 시점에서 주변의 주유소를 검색하여 표시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GPS(21)와 모바일기기(20)를 통해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경우 더욱 정확한 주유소 위치의 검색 및 이에 따른 차량(C) 운행 중의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10: 차량관리 컴퓨터
20: 모바일기기
30: 컨트롤러

Claims (7)

  1. 차량(C)에 설치되어 차량의 구동상태 및 각 구성의 유지상태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차량관리 컴퓨터(10)와;
    상기 차량관리 컴퓨터(10)에서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여 통신수행 가능한 데이터 형태로 변환 생성하여 출력하고, 차량(C)의 구동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스위칭회로가 내장된 컨트롤러(30)와;
    상기 컨트롤러(30)와 통신수행되어 차량관리 컴퓨터(10)와 연동되고, 상기 컨트롤러(30)를 통해 수신한 차량의 구동상태 및 각 구성의 유지상태의 데이터를 시청각 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상기 차량(C)의 스위칭회로를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전송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모바일기기(20);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30)는
    차량관리 컴퓨터(10)의 데이터 또는 차량관리 컴퓨터(10)에서 감지하지 못하는 구성에 결합된 각종 센서, 계측기 또는 릴레이와 같은 감지수단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모바일기기(20)에서 사용자에 의해 키입력된 스위칭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31)와;
    상기 입력부(31)를 통해 입력된 차량관리 컴퓨터(10)의 데이터를 모바일기기(20)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로 생성하여 출력하고, 상기 모바일기기(20)를 통해 입력된 스위칭신호에 의해 각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2)와;
    상기 제어부(32)를 통해 수신한 차량관리 컴퓨터(10)의 데이터를 모바일기기(20)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33)과;
    상기 제어부(32)를 통해 수신한 각 구성의 스위칭신호에 의해 차량의 각 구성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34);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30)와 모바일기기(20)는 상호 무선통신되고, 무선통신 방식으로 무선랜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차량의 관리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관리 컴퓨터(10)는
    차량(C)의 각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가 내장된 일렉트로닉컨트롤유닛(Electronic Control Unit; ECU) 또는 일렉트로닉컨트롤유닛과 트립컴퓨터(Trip Conputer)의 데이터를 상기 컨트롤러(3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차량의 관리제어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사용자가 모바일기기(20)에 차량(C)을 관리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차량(C)을 운행하기 위해 컨트롤러(30)와 상기 모바일기기(20)를 데이터통신 가능하게 연결시키고 차량(C)을 운행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관리 컴퓨터(10)에서는 차량(C)의 운행시 구동상태 및 각 구성의 유지상태에 대한 감지신호를 컨트롤러(30)로 전송하고, 컨트롤러는 차량관리 컴퓨터(10)에서 감지하지 못하는 구성에 결합된 각종 센서, 계측기 또는 릴레이와 같은 감지수단에 의해 전송된 감지신호와 상기 차량관리 컴퓨터에서 전송신호를 제어부(32)를 통해 통신수행되기 위한 데이터로 변환생성되어 모바일기기(20)로 전송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기기(20)로 전송된 데이터는 모바일기기(2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모바일기기(2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30)에서는 차량관리 컴퓨터(10)의 감지신호를 지속적으로 수신하여 이를 실시간으로 데이터 변환생성한 후 모바일기기(20)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거나, 특정 시간 또는 차량의 운행여부에 따라 선택적인 시점이나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해 모바일기기(20)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며,
    상기 컨트롤러(30)에서 변환생성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할 경우, 모바일기기(20)에서는 차량(C)의 운행시 구동상태 및 각 구성의 유지상태에 대한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시점에서 안내메시지 또는 경고음이나 음성안내메시지로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관리제어 시스템 운영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110012573A 2011-02-12 2011-02-12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차량의 관리제어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1146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573A KR101146011B1 (ko) 2011-02-12 2011-02-12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차량의 관리제어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573A KR101146011B1 (ko) 2011-02-12 2011-02-12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차량의 관리제어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6011B1 true KR101146011B1 (ko) 2012-05-16

Family

ID=46272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2573A KR101146011B1 (ko) 2011-02-12 2011-02-12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차량의 관리제어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60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1085A (ko) * 2013-05-03 2014-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상태 정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4116A (ko) * 2002-10-21 2004-04-28 에스케이 주식회사 차량 장착 단말기 및 차량 종합 관리 서버와, 이 차량장착 단말기를 사용한 차량 종합 관리 시스템
KR20100122332A (ko) * 2009-05-12 2010-1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모바일 차량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4116A (ko) * 2002-10-21 2004-04-28 에스케이 주식회사 차량 장착 단말기 및 차량 종합 관리 서버와, 이 차량장착 단말기를 사용한 차량 종합 관리 시스템
KR20100122332A (ko) * 2009-05-12 2010-1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모바일 차량 관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1085A (ko) * 2013-05-03 2014-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상태 정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126035B1 (ko) * 2013-05-03 2020-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상태 정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27064B2 (ja) 画像表示システム
JP5233043B2 (ja) 建設機械の送受信システムにおける運転操作ガイダンス装置
US9136719B2 (en) Vehicular charge control apparatus and vehicular charge control system
US20180130268A1 (en) Driving behavior monitoring system
JP2007026212A (ja) 作業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装置
KR20060097836A (ko)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 점검 정보 제공 시스템및 그 방법
KR20110096335A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스마트키 및 이를 포함한 시스템
WO2013183128A1 (ja) 位置情報送信装置、位置情報送信システム、車両
KR101049538B1 (ko) 차량위치를 표시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위치표시방법
KR101427717B1 (ko) 스마트 통신기기와 통신 가능한 화면표시기를 이용한 택시 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N102135426A (zh) 基于双向遥控模式的激光扫平仪及其遥控方法
KR101146011B1 (ko)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차량의 관리제어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1675364B1 (ko) 비콘을 이용한 차량용 obd 단말기와의 페어링 방법 및 차량용 obd 단말기
JP2007276573A (ja) 車両盗難検知装置
KR20190047287A (ko) 출차 지원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5305034B2 (ja) 操作システム
JP2005206073A (ja) タイヤ空気圧監視装置
KR101470206B1 (ko) 이동 단말기 기반의 범용 통합 차량 제어 시스템
JP5640958B2 (ja) 車両情報表示装置
KR20080063693A (ko) 차량 항법 방법 및 그 장치
KR100859198B1 (ko) Rfid와 gps를 이용한 이동형 위치 확인 시스템
JP5599167B2 (ja) 道路維持作業車用集中操作機
KR20100040398A (ko) 진동 감지 네비게이션 및 그 방법
WO2005020622A1 (en) Antenna module for remote engine starting of vehicle and method for displaying vehicle information using the antenna module
KR20080088081A (ko) 차량간 차속 및 위치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