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5980B1 - 분리형 가발 - Google Patents

분리형 가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5980B1
KR101145980B1 KR1020090123972A KR20090123972A KR101145980B1 KR 101145980 B1 KR101145980 B1 KR 101145980B1 KR 1020090123972 A KR1020090123972 A KR 1020090123972A KR 20090123972 A KR20090123972 A KR 20090123972A KR 101145980 B1 KR101145980 B1 KR 101145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g
main body
head
separation
scal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3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7396A (ko
Inventor
박명원
Original Assignee
박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원 filed Critical 박명원
Priority to KR1020090123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5980B1/ko
Publication of KR20110067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7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5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5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41Bases for wi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08Fastening thereof
    • A41G3/0025Fastening thereof by adhesiv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08Fastening thereof
    • A41G3/0033Fastening thereof by mechanical fasteners, e.g. clasps or com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발을 착용하였을 때 가발의 일부분만을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고, 나머지 기발의 본체도 일부분을 두피와 쉽게 이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두피의 세척이 매우 편리하도록 개선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발을 구성하되 머리의 윗부분 및 뒷부분에 착용되는 본체부와 이마에 근접하는 부분에 착용되는 분리부로 구분하여 구성하고 본체부는 원래의 머리카락과 체결 또는 부착하는 방법으로 쉽게 분리되지 않는 방식으로 머리에 착용하며, 분리부는 양면접착제 방식으로 접착하는 방식으로 부착토록 하였고 본체부의 선단 양측에는 자리에는 지퍼 형식의 체결수단을 구성한 것으로서, 머리를 씻고자 할 때는 분리부를 제거한 다음 체결수단을 벌려 본체부의 내부 깊숙한 곳까지 손이 들어가 세척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가발, 두피세척, 분리부, 본체부, 체결수단

Description

분리형 가발{Separation type wig}
본 발명은 가발을 착용하였을 때 가발의 일부분만을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고, 나머지 가발의 본체도 일부분을 두피와 쉽게 이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두피의 세척이 매우 편리하도록 개선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현대인들은 많은 스트레스와 환경 및 유전 등의 영향으로 탈모가 많아지는 현실이므로 그에 따라 가발을 착용하는 경우도 점차 증대되고 있으며, 기타 연극이나 영화와 같은 연예 활동과 기타 여러 가지 목적으로 가발이 많이 사용된다.
그런데 가발 중에서도 머리의 좁은 일부분이 아니라 상당히 넓은 부분을 가려야 하는 경우에는 의도하지 않은데도 가발이 벗겨지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주변의 머리카락을 가발과 엮어나 접착제로 접착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착용하게 되는 가발의 제일 큰 문제점은 머리를 시원하게 감을 수 없다는 것으로서, 착용한 그 상태로 머리를 감으면 두피로 물은 들어갈 수는 있지만 두피에 직접 손이나 세척도구가 닿을 수는 없으므로 시원하거나 청결한 세척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항상 부족하고 상쾌하지 못한 느낌의 세척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또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가끔씩 가발을 완전히 제거하고 두피를 깨끗이 씻은 다음 다시 가발을 체결 또는 부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서 전문업소를 찾아 도움을 받아야 하는 등의 문제로 인해 비용의 발생과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가발을 착용한 다음 가발의 일부분을 용이하게 제거하거나 다시 부착할 수 있도록 하고 제거되지 않는 가발도 일부분을 벌려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발이 착용된 내부 깊숙한 곳까지 손을 집어넣어 두피를 깨끗하고 시원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발을 구성하되 머리의 윗부분 및 뒷부분에 착용되는 본체부와 이마에 근접하는 부분에 착용되는 분리부로 구분하여 구성하고 본체부는 원래의 머리카락과 체결 또는 부착하는 방법으로 쉽게 분리되지 않는 방식으로 머리에 착용하며, 분리부의 뒷부분은 본체부의 선단 아래로 삽입되면서 앞 부분은 이마 부분에 양면접착제 방식으로 접착하는 방식으로 부착토록 하였으며, 본체부의 선단 양측에는 자리에는 지퍼 형식의 체결수단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머리를 씻고자 할 때는 분리부를 제거한 다음 체결수단을 벌려 본체부의 내부 깊숙한 곳까지 손이 들어갈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분리부를 제거하고 본체의 일부를 젖혀 들어올리면서 내부까지 세척이 가능하도록 되었으므로 가발착용자들에게 최대의 불편점이라 할 수 있는 두피의 시원한 세척이 가발을 완전히 제거하 지 않고도 가능하게 된 것으로 두피세척을 위하여 가발 전체를 분리 후 새로 세팅하던 불편함이 없어지므로 매우 유용한 것이다.
또한, 분리부 또한 착용한 상태가 잘 표시 나지 않으면서 간편하게 분리와 착용이 가능하게 되는 본 발명은 가발착용자들의 편리성이 크게 제고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가발을 도시한 저면도, 도 2는 도 1의 지퍼 부분을 확대 도시한 상세도, 도 3은 도 1의 지퍼에 대한 결합 및 분리상태를 도시한 상세도, 도 4는 가발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분리부 분리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두부 세척시의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대체로 두부의 이마로부터 두부의 측부와 후부를 제외한 상부를 덮어주는 정도의 가발을 대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의 가발(1)은 가발 전체의 3분의 1 이내 크기이면서 이마의 윗부분으로부터 일정구간까지에 해당하는 분리부(10)와, 그 나머지 두부의 상부와 후면 일부까지에 해당하는 본체부(20)로 분리하여 구성한다.
분리부(10)와 본체부(20)는 분리부(10)의 위에 본체부(20)가 일부 구간 중첩되는 형태가 되도록 분리부(10)의 후단에 가모가 이식되지 않은 중첩부(11)를 형성하며, 본체부(20)의 중앙부가 오목한 곡선을 갖도록 형성되고 그 양측단은 상기 오목한 곡선에 대응되는 곡선형태로 구성하며, 분리부(10)는 이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한다.
이는 본체부(20)와 분리부(10)가 서로 자연스럽게 결합되면서 본체부(20)와 분리부(10)가 별도로 착용되어 연결되었다거나 가발이라는 표시가 최소화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본체부(20)와 두피 사이로 손을 넣을 때 좀 더 편하고 깊게 넣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도 한다.
본체부(20)의 분리부(10)와 중첩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공지된 체결수단(예: 가발 주변의 실제 머리카락을 가발의 위로 들어올려 가모와 접착하거나 결속구를 이용하여 결착하는 등)을 이용하여 머리에 고정되게 한다.
분리부(10)는 가장자리에 양면테이프 방식의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두피에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체부(20)의 선단부 양측, 즉 분리부(10)와 중첩되는 양측단 바로 뒤 부분에는 암수로 구성되어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돌출부(31)와 요입부(32)를 갖는 지퍼(30)를 구성하는데, 지퍼(30)는 돌출부(31) 측 또는 요입부(32) 측이 후두부에 가까운 쪽에서 연결되고 이마에 가까운 쪽은 분리된 '<'형으로 구성하며, 돌출부(31) 측과 요입부(32) 측 중에서 어느 한쪽은 본체부(20) 저면에 고정시키고 다른 측은 착용시 두피에 접착제로 고정(반딩처리라 함) 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가발은 착용시 본체부(20)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실제 머리카락과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착용을 하도록 하고, 분리부(10) 는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착용을 한다.
이때 분리부(10)의 가모가 이식되지 않은 중첩부(11)는 본체부(20)의 아래에 중첩되는 방식으로 착용된다.
이와 같은 착용상태에서 머리를 씻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분리부(10)를 두피로부터 제거한다. 분리부(10)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접착테이프로 부착된 상태이므로 용이하게 제거가 가능하다.
이후에는 본체부(20)의 앞쪽 양단에 구성된 지퍼(30)를 열어 주는데, 지퍼(30)의 돌출부(31)와 요입부(32)를 분리하여 열면 본체부(20)의 앞쪽 일부가 젖혀지면서 들릴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본체부(20)의 내부로 손을 집어넣을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고, 이에 따라 본체부(20)의 아래 깊숙한 곳까지 손을 집어넣어 두피를 씻을 수 있게 된다.
씻고 난 다음 두피와 가발을 말린 후에는 지퍼(30)의 돌출부(31)와 요입부(32)는 '<'형으로 연결된 상태이므로 돌출부(31)와 또는 요입부(32)를 힘들게 맞출 필요없이 가볍게 눌러 주기만 하면 돌출부(31)가 요입부(32)에 삽입되면서 지퍼(30)가 잠궈지는 되는 것이고, 이후에 분리부를 접착테이프로 머리에 고정시키면 착용이 완료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발을 도시한 저면도
도 2는 도 1의 지퍼 부분을 확대 도시한 상세도
도 3은 도 1의 지퍼에 대한 결합 및 분리상태를 도시한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분리부 분리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두부 세척시의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가발
10: 분리부
11: 중첩부
20: 본체부
30: 지퍼
31: 돌출부
32: 요입부

Claims (1)

  1. 두부의 이마로부터 두부의 상부를 초과하는 후면의 일부까지 가리는 정도의 가발을 대상으로 하고, 이마의 윗부분으로부터 두부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구간까지에 해당하는 분리부(10)와, 그 나머지 두부의 상부와 후면 일부까지에 해당하는 본체부(20)로 분리하여 구성하는 분리형 가발에 있어서,
    분리부(10)와 본체부(20)는 분리부(10)의 위에 본체부(20)가 일부 구간 중첩되는 형태가 되도록 분리부(10)의 후단에 가모가 이식되지 않은 중첩부(11)를 형성하여, 중첩부가 본체부의 아래로 삽입되어 중첩되도록 하고,
    본체부(20)의 중앙부가 오목한 곡선을 갖도록 형성되고 분리부(10)는 상기 오목한 곡선과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하며,
    본체부(20)의 분리부(10)와 중첩되는 양측단 바로 뒤 부분에 암수로 구성되어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돌출부(31)와 요입부(32)를 갖는 지퍼(30)를 각각 구성하되, 지퍼(30)는 돌출부(31) 측과 요입부(32) 측이 후두부에 가까운 쪽에서 연결되고 이마에 가까운 쪽은 분리된 '<'형으로 구성하며, 돌출부 측과 요입부 측 중에서 일측은 본체부(20) 저면에 고정시키고 다른 측은 착용시 두피에 접착제로 고정하여 지퍼를 개방하면 본체부의 내부로 손을 집어넣을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가발.
KR1020090123972A 2009-12-14 2009-12-14 분리형 가발 KR101145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972A KR101145980B1 (ko) 2009-12-14 2009-12-14 분리형 가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972A KR101145980B1 (ko) 2009-12-14 2009-12-14 분리형 가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396A KR20110067396A (ko) 2011-06-22
KR101145980B1 true KR101145980B1 (ko) 2012-05-15

Family

ID=44399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3972A KR101145980B1 (ko) 2009-12-14 2009-12-14 분리형 가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59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099B1 (ko) * 2011-07-12 2013-03-18 박명원 남성형 복합 탈모용 단계형 가발
KR101258366B1 (ko) * 2011-07-22 2013-04-30 박명원 부분 분리가 가능한 고정식 가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7212A (ko) * 2007-07-03 2007-07-25 이충범 분리 합체형 기능성 가발
KR100768385B1 (ko) 2006-08-24 2007-10-18 곽영식 탑 피스
KR20090084856A (ko) * 2006-11-21 2009-08-05 가부시키가이샤 아데랑스 홀딩스 가발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385B1 (ko) 2006-08-24 2007-10-18 곽영식 탑 피스
KR20090084856A (ko) * 2006-11-21 2009-08-05 가부시키가이샤 아데랑스 홀딩스 가발 및 그 제조 방법
KR20070077212A (ko) * 2007-07-03 2007-07-25 이충범 분리 합체형 기능성 가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396A (ko)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9719B2 (en) Swim cap, particularly for users having long hair
KR101145980B1 (ko) 분리형 가발
KR200410972Y1 (ko) 방한용 마스크
KR101305912B1 (ko) 모발 볼륨 업 부분 가발
KR101394554B1 (ko) 작업용 우의 모자
KR101040863B1 (ko) 머리 세척용 얼굴 커버
KR100770595B1 (ko) 가발
KR101258366B1 (ko) 부분 분리가 가능한 고정식 가발
KR200473814Y1 (ko) 가발 탈착 모자
KR101305343B1 (ko) 모발 볼륨 업 부분 가발
KR20090089498A (ko) 가방의 커버 착탈구조
KR200481932Y1 (ko) 여성용 스포츠 방한 모자
US20120225226A1 (en) Water-proof, removable and washable back pack cover
KR101373061B1 (ko) 지퍼가 구비된 모자
JP3118539U (ja) 洗髪用補助具
KR20130067351A (ko) 분리형 신발
JP3090122U (ja) 帽 子
KR20180113798A (ko) 귀마개 겸용 마스크
JP3103445U (ja) 洗髪用ケープ
JPH1193011A (ja) 開閉かつら
JP3077504U (ja) ゴーグルのヘッドバンドカバーの構造
KR20060104184A (ko) 부착이 용이한 가발 및 그 부착방법
KR20150030344A (ko) 고무장갑
KR200488491Y1 (ko) 착탈형 차양이 구비된 모자
KR200325776Y1 (ko) 수영모자가 구비된 수영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