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7212A - 분리 합체형 기능성 가발 - Google Patents

분리 합체형 기능성 가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7212A
KR20070077212A KR1020070066363A KR20070066363A KR20070077212A KR 20070077212 A KR20070077212 A KR 20070077212A KR 1020070066363 A KR1020070066363 A KR 1020070066363A KR 20070066363 A KR20070066363 A KR 20070066363A KR 20070077212 A KR20070077212 A KR 20070077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g
hair
separated
functional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6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범
Original Assignee
이충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충범 filed Critical 이충범
Priority to KR1020070066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7212A/ko
Publication of KR20070077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72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41Bases for wigs
    • A41G3/005Bases for wigs made of a net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08Fastening thereof
    • A41G3/0033Fastening thereof by mechanical fasteners, e.g. clasps or comb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66Planting hair on bases for wi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91Sweat absorbing means or deodor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머리의 앞 상단부 또는 머리 전체에 모발이 없거나 엉성한 경우에 쓰는 가발의 CAP 구조로써 적당량의 가공 처리된 人毛를 CAP에 수공으로 심어 頭部(두부)의 外面(외면)에 부분으로 분리하여 쓰면 Clips으로 부착하고 조립하여 쓸 때에는 목덜미 부근에 밴드를 이용하여 걸고리에 걸어 쓰는 전두로 계절과 탈모의 진전 상황에 따라 부분으로 분리 또는 전두로 합체(合體)하여 쓸 수 있는 기능성 가발로서의 효과와 머리 보호의 효과가 있다.
가르마 부위, 부분 가발의 본체, 가는 자크, 고정 Clips, 양 지지동선, 파우다 팻치, 육각모노망(BN망), 스트렛치망, 고정 밴드, 걸고리(사이즈 조절)

Description

분리 합체형 기능성 가발{separation union form able wig}
도 1은 의 가발을 합체한 이면(裏面)을 본 평면도
도 2는 가는 자크 또는 찍찍이
도 3 은 모발과 가발을 연결하는 Clips
도 4는 분리 했을 때의 앞부분 CAP
도 5는 분리 했을 때의 전두의 아래쪽 부분
도 6은 합체하여 전체를 쓴 CAP 모양
도 7은 완성품을 쓴 모양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가르마 부위(미색 육각망 또는 갈색 천연모시)
2. 유선형 앞라인(미색올스킨 또는 갈색 천연모시 재봉과 잔머리처리)
3. 부분 가발의 본체(육각망 또는 흑진주색 천연모시)
4. 가는 자크 or 찍찍이
5. 고정 Clips(4군데)
6. 부분 가발의 변두리라인(밤색천 or 흑진주색 천연모시 재봉처리-0.7cm이하)
7. 양 지지동선(0.08×0.4×4cm 이하:귀머리 부위)
8. 파우다 팻치(양귀머리 부위의 지지대)
9. 육각모노망(BN망)
10. 중앙 지지라인
11. 스트렛치망(3단 이음신축망)
12. 덧 밴드
13. 고정 밴드
14. 목덜미지지 BN망(3×15cm이하 : 돌출부분 1.8cm)
15. 덧 밴드 고정고리
16. 걸고리(사이즈 조절)
[문헌1] IPC코드 - A41G 5/00
출원번호 10-1995-0023611(1995.08.01)
공개번호 10-1997-0009643(1997.03.27)
[문헌2] IPC코드 - A41G 5/00
출원번호 10-1995-0000052(1995.01.04)
공개번호 10-1996-0028850(1996.08.17)
[문헌3] IPC코드-A41G 5/00
출원번호 10-2000-0023492(2000.05.02)
등록번호 10-0368605-0000(2003.01.07)
[문헌4] IPC코드 A41G 5/00(2006.01)
출원번호 20-2006-0012117(2006.05.17)
등록번호 20-0422959-0000(2006.07.26)
원출원번호 10-2006-0044051(2006.05.17)
본 고안은 탈모의 부위가 작은면적에서 급속히 진행되어 먼저 마련했던 작은 부분가발로는 해결되지 않거나 계절의 변화와 어떤 상황의 변화에 쉽게 대처되지 않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부분과 전체가발의 분리합체형의 기능성 가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가발은 부분이나 전두로만 따로따로 쓰야 하므로 이러한 변화된 상황들을 해결하기가 극히 어렵고 제작등의 많은 시간이 걸리는 등 불편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와 불편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탈모부위가 경우에 따라 급속히 진행되어 부분으로 쓰기 힘들 때 전체가발로 합체하여 쓸 수 있고 더운 여름이나 추운겨울에도 계절에 맞춰 쉽게 분리 또는 합체하여 쓸 수 있으며 필요와 상황에 따라 부분 또는 전체가발로 수시로 응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기능성 가발을 제공하는데 최대의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頭部(두부)의 탈모부위의 大小에 따 라 전체 또는 부분으로 합체와 분리를 계절과 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분리합체형의 기능성 가발에 관한 것으로 가공처리된 모발을 심는 얇은 검정 또는 갈색 육각망 또는 흑진주색 천연모시(3)로 된소재의 CAP에 앞이마의 모발이 난 첫라인 형태를 따른 유선형(2) 잔머리 처리 기법으로 자연스러움을 더하였다.
전체 가발로 합체 될 때 쓰이는 신축망사의 3단 이음(11)과 양쪽 귀머리 부위의 부드러운 파우다 팻치의 지지대(8)와 지지동선(7)이 착용감을 더욱 좋게하여 신축망사부위(11) 상단의 BN망(9)과 부분가발의 변두리라인(6)에 작고 얇은 작크나 찍찍이(4)로 서로 쉽게 합체 또는 분리될 수 있게 하여 전체가발과 부분가발로 수시로 변형할 수 있는 기능성 가발로 고안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천연 모시를 사용하게 되면 여름철에는 땀의 흡수와 매출능력이 뛰어나 원할한 혈액순환을 도우므로 상쾌감을 더해준다.
또한 부분으로 착용할 때는 클립(Clips)부착방법으로 전문가의 관리가 전혀 필요치 않으며 자신이 직접 벗고 싶을 때 벗고 쓰고 싶을 때도 모자처럼 10여초에 모양까지 낼 수가 있어 탈부착이 자유로운 초간편 가발이다.
또한 목덜미 부위 양편에는 고정밴드(13)와 덧밴드(12)의 이단으로 졸임장치가 되어있어 안정감을 더해준다.
또한 무엇보다도 탈모로 인하여 흉하고 부자연스러운 결함으로 사회활동이나 자신감이 저하되고 위축된 감정에서 이를 보강하고 커버함으로서 자신감이 생기고 생활에도 활력이 생기게 된다.
또한 탈모로 인하여 건조하고 추운겨울에는 체온감소를 막아 몸을 보호하고 체온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과 더운 여름에는 가볍고 통풍이 원활하므로 과다한 자외선, 분진, 공중에 떠도는 납, 아연 등, 중금속의 두피침투로부터 막아 심각한 피부염증과 피부암등을 예방할 수 있다.
앞서 상기한 바와 같이 쉽게 분리 또는 합체하여 변신할 수 있는 기능성 가발로서 어떤 중대한 사건이나 누명과 같은 억울한 일들, 국가적 차원의 중대사 등을 밝혀야 할 경우에 그 담당 형사 등이나, 민간인 탐정원, 국가정보원등이 변신을 요할 때 이의 착용은 최대의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분리합체형 기능성 가발의 효과를 살펴보면 부분에서 전체로 조립 및 분리 착용이 매우 용이하여 순식간(20여초)에 이뤄지므로 어떤 범죄용의자를 잡거나 확인해서 바른판결을 위한 보조기구가 될 수 있으며 탈모가 작은 부분에서 급속한 탈모진전으로 인해 부분가발이 불가할 때 전체로 합체 하여 즉시 대체함으로서 직장이나 사회생활을 하는데 제때에 대처가 가능하며 더운 여름에는 부분가발로 맨살에 따가운 햇살을 자연스레 막아주고 과다한 자외선으로부터의 피부질환 발생을 방지하여 주며 바닷가 바람이 찬곳이나 추운겨울이나 우천시나 등산 등에는 전체를 씀으로서 매우 편리하고 체온유지에도 유익하다.
또한 실내에서나 식사때에도 벗어진 머리를 일반 모자처럼 벗지 않아도 되므로 외관상의 체신을 유지하는데도 큰 도움이 된다.

Claims (3)

  1. 탈모 또는 대머리 부위에 그 면적과 계절의 변화와 필요에 따라 부분 또는 전체로 손쉽게 번갈아 쓸 수 있는 분리 합체의 기능성가발로서 그 CAP의 내용에 관한 것으로 가공처리된 모발을 심은 가는 검정 육각망 또는 흑진주색 천연모시의 소재로 만든 CAP과 신축망사로 된 전두의 부위에 작은 작크 또는 찍찍이로 연결하여 분리 또는 합체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합체형의 기능성 가발
  2. 분리된 부분가발의 경우 CAP의 앞라인에 미색망 또는 얇은 스킨(0.03mm)으로 이마 위 모발의 첫시작 라인의 유선형(ㅈ) 모양을 따라 유연한 굴곡 식모(植毛)로 잔머리 처리하여 올백(All-Back)모양도 자연스레 연출할 수 있게 하였으며, 전두로 조립, 합체되었을 때 11번의 점선표시와 같이 신축망의 3단이음으로 되어있고 양귀머리 부위의 지지동선(7)에 귀 지지대(8)가 에워싸고있어 착용감과 안정감이 뛰어난 분리합체형 가발
  3. 가르마 부위(1)에도 통풍이 잘되는 미색육각망 또는 갈색의 천연모시를 넓게(10∼11cm)사용하여 본인의 머리 피부색과 같은 색을 낼 수 있게 하였고 가르마도 마음대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고안된 부분과 전체 가발의 분리합체형 기능성 가발
KR1020070066363A 2007-07-03 2007-07-03 분리 합체형 기능성 가발 KR200700772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363A KR20070077212A (ko) 2007-07-03 2007-07-03 분리 합체형 기능성 가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363A KR20070077212A (ko) 2007-07-03 2007-07-03 분리 합체형 기능성 가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7212A true KR20070077212A (ko) 2007-07-25

Family

ID=38501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6363A KR20070077212A (ko) 2007-07-03 2007-07-03 분리 합체형 기능성 가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721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980B1 (ko) * 2009-12-14 2012-05-15 박명원 분리형 가발
KR101948793B1 (ko) * 2017-12-29 2019-06-03 창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전통 가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980B1 (ko) * 2009-12-14 2012-05-15 박명원 분리형 가발
KR101948793B1 (ko) * 2017-12-29 2019-06-03 창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전통 가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912932U (zh) 紧贴调节式多功能头饰
US7971278B2 (en) Hat cover and frame
KR100866347B1 (ko) 모자에 장착하는 햇빛 차단용 얼굴가리개
US20110173739A1 (en) Invisible zipper ponytail cap
KR101177258B1 (ko) 가발제품의 내부 안쪽으로 볼륨 캡이 탈,부착되는 구조를 이루어서 볼륨업과 라인업 기능을 갖도록 제공되는 가발
US20110107500A1 (en) Headgear for protection against environmental effects
KR20070077212A (ko) 분리 합체형 기능성 가발
KR200473814Y1 (ko) 가발 탈착 모자
KR101666935B1 (ko) 차양막을 구비하는 상부 개방형 모자
CN201139099Y (zh) 遮光、御寒工装帽
KR200434565Y1 (ko) 탈부착 모자와 고글이 구비된 방한용 마스크
KR20100104128A (ko) 다기능 모자
KR200449159Y1 (ko) 자외선 차단용 인디펜던트 타입 마스킹 칼라
CN201076029Y (zh) 美容护脸罩
CN204949663U (zh) 一种全防护太阳帽
RU148042U1 (ru) Защитный головной убор (варианты)
KR200418518Y1 (ko) 차양모
KR20110011800U (ko) 크기 조절이 가능한 차양모자
RU117274U1 (ru) Защитная маска
KR102315084B1 (ko) 모자 전면부에 밴드를 걸쳐 고정하여 얼굴과 목귀를 동시에 보호하는 자외선 차단 마스크
KR100680756B1 (ko) 차양모
KR101626963B1 (ko) 모자 결합형 타월
KR200458395Y1 (ko) 장식기능이 강화된 햇빛가리개 모자
KR200416084Y1 (ko) 차양막을 갖는 차양모자
JP5046070B2 (ja) 顔面と首の日よけ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