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5598B1 - 드럼식 세탁기 - Google Patents

드럼식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5598B1
KR101145598B1 KR1020090079606A KR20090079606A KR101145598B1 KR 101145598 B1 KR101145598 B1 KR 101145598B1 KR 1020090079606 A KR1020090079606 A KR 1020090079606A KR 20090079606 A KR20090079606 A KR 20090079606A KR 101145598 B1 KR101145598 B1 KR 101145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inner door
opening
latch mechanism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9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7019A (ko
Inventor
마사루 안도
히로유끼 노무라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19937A external-priority patent/JP484505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19747A external-priority patent/JP471126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19936A external-priority patent/JP4711268B2/ja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27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7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5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5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1 도어 방식과 같은 개폐 조작에 의해 외부 도어와 내부 도어의 양쪽 개폐를 가능하게 한, 드럼식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드럼식 세탁기는, 전방면에 외부 상자 개구부가 형성된 외부 상자와, 외부 상자 내에 탄성 지지되어, 외부 상자 개구부에 대향하는 수조 개구부가 형성된 수조와, 외부 상자 개구부를 개폐하는 외부 도어와, 수조 개구부를 개폐하는 내부 도어와, 결합에 의해 외부 도어를 폐색 상태로 유지하는 외부 도어 래치 기구(1O)와, 결합에 의해 내부 도어를 폐색 상태로 유지하는 내부 도어 래치 기구(23)와, 외부 상자의 전방면에 설치된 도어 개방 버튼(8)을 구비한다. 도어 개방 버튼(8)을 누르는 조작에 따라서, 외부 도어 래치 기구(10)의 결합 및 내부 도어 래치 기구(23)의 결합이 해제된다.
드럼식 세탁기, 도어 개방 버튼, 외부 도어 래치 기구, 외부 도어, 수조 개구부

Description

드럼식 세탁기 {DRUM TYPE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드럼식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 상자 및 수조의 양쪽에 각각을 개폐하는 도어가 설치되어 있는, 드럼식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프론트 로딩(앞으로 넣음)식의 드럼식 세탁기가 알려져 있다. 드럼식 세탁기는 일반적으로, 외관을 구성하는 외부 상자와, 외부 상자에 내포되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수조와, 그 수조에 회전 가능하게 내포되는 드럼을 구비한다. 외부 상자 및 수조에는, 각각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각각의 개구부는 수밀 유지를 위한 패킹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드럼식 세탁기의 드럼 내에 의류를 투입하고, 각종 설정 버튼 및 운전 개시 버튼을 조작하면, 세탁 공정, 헹굼 공정, 탈수 공정, 나아가 건조 공정까지 일관해서 행하거나, 또는 각 공정을 단독으로 행하는 제어가 이루어져, 의류의 세탁에 제공된다.
그러나 각 공정, 특히 탈수 공정 시는, 의류의 치우침에 수반하여, 수조가 이상 진동을 야기한다. 외부 상자 개구부와 수조 개구부 사이를 접속하는 도어 패킹은 고무 강성이 크기 때문에, 이 도어 패킹을 거쳐서 수조의 진동이 외부 상자로 전달된다. 이러한 이상 진동 저감을 위해 유체 밸런서의 부착이나, 탈수 운전 초기의 언밸런스 검지 제어가 이루어져 있지만, 수조의 이상 진동을 완전히 억제할 수는 없어, 이것에 의한 소음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곤란했다.
외부 상자와 수조의 양쪽에 각각을 개폐하는 도어를 설치하고, 도어 패킹을 폐지하면, 수조 진동의 외부 상자로의 전파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외부 도어와 내부 도어를 설치하면, 세탁물의 출입 시마다 외부 도어와 내부 도어의 양쪽을 개폐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드럼식 세탁기에 있어서,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외부 도어와 내부 도어를 와이어 기구에 의해 접속해서 외부 도어의 개방과 함께 내부 도어도 개방하고, 작동기를 외부 도어의 배면에 설치해서 외부 도어의 폐색 시에 내부 도어도 폐색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80401호 공보 참조).
종래의 1 도어 방식의 드럼식 세탁기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조 및 외부 상자의 수밀 확보를 위한 도어 패킹을 뗄 수 없어, 정음(소음이 거의 없는)성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했다. 또한, 단순히 외부 상자와 수조의 양쪽에 도어를 설치한 것만으로는, 세탁물의 출입 시마다 외부 도어와 내부 도어의 양쪽을 각각 개폐해야만 해, 특허 문헌 1의 기술에서는, 와이어 기구가 지나치게 길면 수조의 진동에 의해 와이어 기구가 외부 상자나 수조에 충돌하고, 와이어 기구가 지나치게 짧으면 수조의 진동이 외부 상자로 전달되어서, 소음을 발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 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그 주된 목적은, 외부 상자와 수조와의 개구를 도어 패킹으로 접속하지 않도록 해서 수조의 진동이 외부 상자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 상자와 수조와의 개구에 설치한 외부 도어와 내부 도어의 양쪽 개폐를 1 도어 방식과 같은 조작으로 가능하게 한, 정음성과 조작성이 높은 드럼식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어떤 국면에 관한 드럼식 세탁기는, 전방면에 외부 상자 개구부가 형성된 외부 상자와, 외부 상자 내에 탄성 지지되어, 외부 상자 개구부에 대향하는 수조 개구부가 형성된 수조와, 외부 상자 개구부를 개폐하는 외부 도어와, 수조 개구부를 개폐하는 내부 도어와, 결합에 의해 외부 도어를 폐색 상태로 유지하는 외부 도어 래치 기구와, 결합에 의해 내부 도어를 폐색 상태로 유지하는 내부 도어 래치 기구와, 외부 상자의 전방면에 설치된 도어 개방 버튼을 구비한다. 도어 개방 버튼을 누르는 조작에 따라서, 외부 도어 래치 기구의 결합 및 내부 도어 래치 기구의 결합이 해제된다.
상기 드럼식 세탁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도어 개방 버튼과 외부 도어 래치 기구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구비한다. 도어 개방 버튼을 누르는 조작에 따라서, 와이어가 외부 도어 래치 기구의 일부를 잡아당겨, 당해 외부 도어 래치 기구의 일부를 이동시켜 외부 도어 래치 기구의 결합을 해제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도어 래치 기구와 내부 도어 래치 기구를 연결하는 다른 와이어를 더 구비한다. 도어 개방 버튼을 누르는 조작에 따라서, 다른 와이어가 내부 도어 래치 기구의 일부를 잡아당겨, 당해 내부 도어 래치 기구의 일부를 이동시켜서 내부 도어 래치 기구의 결합을 해제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도어 래치 기구는 외부 도어용 래치와, 외부 도어용 래치가 삽입 관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래치 시트를 포함하고, 래치 시트가 이동해서 외부 도어 래치 기구의 결합이 해제된다.
바람직하게는, 내부 도어 래치 기구는 내부 도어용 래치와, 내부 도어용 래치가 결합하는 구멍부가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내부 도어용 래치는 축부와 압박 수단을 갖는다. 축부는, 내부 도어용 래치를 축부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압박 수단은 내부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내부 도어용 래치를 압박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관한 드럼식 세탁기는, 전방면에 외부 상자 개구부가 형성된 외부 상자와, 외부 상자 내에 탄성 지지되어, 외부 상자 개구부에 대향하는 수조 개구부가 형성된 수조와, 외부 상자 개구부를 개폐하는 외부 도어와, 수조 개구부를 개폐하는 내부 도어와, 외부 도어와 내부 도어 사이의 공간을 이동 가능한 레버를 구비한다. 레버는, 일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외부 도어와 내부 도어를 일체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일방향과 반대인 다른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외부 도어와 내부 도어를 이격시킨다.
상기 드럼식 세탁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레버는 외부 도어에 부착되어 있으며, 내부 도어와 대향하는 접속면을 포함한다. 내부 도어의 접속면에 대향하 는 위치에는, 레버가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할 때 접속면과 연결하는 접속부가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접속면은, 평활하게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는, 접속면 상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접속면에 연결한다.
바람직하게는, 드럼식 세탁기는 레버를 이동시키는 모터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레버는 외부 도어의 내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내부 도어와 대향하는 접속면을 포함한다. 드럼식 세탁기는, 지지부를 더 구비한다. 지지부는 모터의 구동력을 받아서 이동하고, 접속면에 대하여 반대면 측으로부터 레버를 지지함으로써 레버를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바람직하게는, 드럼식 세탁기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외부 도어를 폐색 상태로 유지하는 외부 도어 래치 기구와, 모터의 구동력을 받아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토퍼를 더 구비한다. 스토퍼는, 레버가 다른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외부 도어 래치 기구와 결합해서 외부 도어 래치 기구의 회전을 방해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관한 드럼식 세탁기는, 전방면에 외부 상자 개구부가 형성된 외부 상자와, 외부 상자 내에 탄성 지지되어, 외부 상자 개구부에 대향하는 수조 개구부가 형성된 수조와, 외부 상자 개구부를 개폐하는 외부 도어와, 수조 개구부를 개폐하는 내부 도어와, 수조의 전방면에 부착되어, 내부 도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부를 구비한다. 힌지부는,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제1 축 및 제2 축과, 제1 축 및 제2 축을 연결하는 연결체를 포함한다. 내부 도어는, 제1 축을 회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또한 제2 축을 회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수조에 지지되어 있다. 수조의 외부를 연결체의 가동 범위로 하도록, 힌지부는 형성되어 있다.
상기 드럼식 세탁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수조의 전방면에 고정된 고정구를 구비한다. 제1 축은, 고정구에 지지되어 있다. 연결체는, 내부 도어가 닫혔을 때 고정구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결체의 고정구에 대향하는 측의 표면에는, 탄성체가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결체는, 수조의 전방면에 대하여 볼록하게 만곡하는 만곡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기에 의하면, 1 도어 방식과 같은 개폐 조작에 의해 외부 도어와 내부 도어의 양쪽을 개폐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이 우수하며, 또한 세탁기의 운전 중에는 외부 도어와 내부 도어를 격리시킴으로써, 외부 상자의 진동 및 소음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과 관련하여 이해되는 본 발명에 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도면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구성 요소는, 특별히 기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본 발명에 있어서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개수, 양 등에 언급할 경우, 특별히 기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상기 개수 등은 예시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반드시 그 개수, 양등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식 세탁기(1)는, 그 외곽을 구성하는 외부 상자(2)를 구비하고 있으며, 외부 상자(2)의 상부에는 조작 키나 표시부를 갖는 조작 패널(3)과, 외부 도어(6)와 내부 도어(20)를 일체 개방하기 위한 도어 개방 버튼(8)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 패널(3)의 이면측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4)가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설정 조작 또는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을 따라서, 세탁 공정, 헹굼 공정, 탈수 공정, 건조 공정의 각 공정을 연속 또는 단독으로 실행한다.
외부 상자(2)의 전방면(도 2의 좌측)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의 외부 상자 개구부(5)가 형성되어 있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상자 개구부(5)를 폐쇄하는 원형의 외부 도어(6)가 설치되고, 외부 도어(6)의 우단부측에는 외부 도어(6)의 개폐 시에 파지하기 위한 외부 핸들(7)이 설치되어 있다. 외부 상자(2)의 내부에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수조(18)가, 안쪽(도 2의 우측)이 하방이 되도록 수평에 대하여 10 내지 20°정도 경사시켜서, 복수의 서스펜션(41)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설치되어 있다. 수조(18)에는, 그 원통축의 전방측(도 2의 좌측)의 면에, 외부 상자 개구부(5)에 대향하는 원형의 수조 개구부(19)가 형성되어 있고, 수조 개구부(19)를 개폐 가능하게 폐쇄하는 원형의 내부 도어(20)가 부착되어 있다.
내부 도어(20)는, 외부 도어(6)와 대향해서 배치되고, 외부 도어(6)의 내면측에는 레버 기구(60)가 설치되고, 내부 도어(20)의 외면측에는 마그네트부(80)가 설치되어 있다. 내부 도어(20)에는, 드럼(32)의 내측을 향해서 돌출시킨 돌출부(42)가 설치되고, 수조 개구부(19)의 내주면에는 고무 등의 탄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밀봉 부재(43)가 설치되어 있다. 내부 도어(20)의 폐색 상태에서는, 내부 도어(20)의 돌출부(42) 및 내부 도어(20) 배면측의 외주 단부가 밀봉 부재(43)에 접촉하여, 수조 개구부(19)를 수밀하게 유지하고 있다.
수조(18)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이 있는 통 모양의 드럼(32)이, 베어링(3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수조(18)의 바닥부에는, 드럼(32)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35)가 드럼(32)에 연결되어 설치되어 있고, 모터 케이스(36)에 의해 그 외주가 덮어져 있다. 드럼(32)의 주위벽에는,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다수의 작은 구멍(33)과, 둘레 방향 120°간격으로 배플(3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드럼(32)에는 수조 개구부(19)와 대향하는 원형의 드럼 개구부(38)가 형성되어 있고, 그 외주에는 단면 형상 대략 L 형상의 교축부(39)가 형성되고, 또한 그 외주에는, 유체 밸런서(40)가 설치되어 있다.
외부 상자(2)의 후방 상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수도가 접속되는 급수 입구(44)가 설치되어 있고, 수조(18)의 내부와 급수 경로(46)를 통해서 연통되어 있다. 급수 경로(46)의 도중에는, 급수 밸브(45)와, 도시하지 않은 세제 케이스가 설치되어 있다. 외부 상자(2)의 하부에는, 수조(18)의 저면에 접속하는 배수 덕트(48)와, 배수 덕트(48)와 외부 상자(2)의 외부를 연통하는 배수 호스(49)와, 제어부(4)로부터의 지시를 기초로 하여 개폐하는 배수 밸브(47)와, 실보무라지 등을 포집하는 린트 필터(5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배수 덕트(48)에는 세탁 운전 중의 배수 덕트(48)의 물을 수조(18)에 재공급하는 순환 펌프(50)와 순환 덕트(51)가 더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외부 상자(2)의 내부에는,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주지의 도시하지 않은 건조 유닛이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도어(6)에는 개폐 시의 회전의 지지축인 회전축(99)과, 회전축(99)과는 반대측의 우단부 부근에 설치되는 래치(11)와, 레버 본체(61)가 부착되어 있다. 외부 상자(2)의 내측에는, 래치 시트(16) 및 벽부(17)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것들과 래치(11)가 결합함으로써, 외부 도어(6)는 폐색 상태가 된다. 또한, 래치(11), 래치 시트(16) 및 벽부(17)는, 외부 도어 래치 기구(10)에 포함된다.
내부 도어(20)에는, 개폐 시의 요동의 지지점이 되는 힌지부(90)와, 그 반대측의 우단부 부근에 설치되는 결합 부재(28)가 부착되어 있다. 수조(18)의 전방측에는, 래치(24)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것과 결합 부재(28)가 결합함으로써, 내부 도어(20)가 폐색 상태가 된다. 또한, 래치(24) 및 결합 부재(28)는, 내부 도어 래치 기구(23)에 포함된다. 힌지부(90)는, 힌지 본체(91)와, 내부 도어(20)의 개폐 시에 제1 회전 중심이 되는 제1 축(92) 및 제2 회전 중심이 되는 제2 축(93)과, 힌지 본체(91)를 내부 도어(20)에 연결하는 연결부(94)와, 힌지부(90)를 수조(18)의 전방면에 고정하는 고정구(96)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외부 도어(6)에는 힌지부(90)와 대향하는 부분에 오목부(98)가 마련되어 있다.
도 3의 상태에서는, 레버 본체(61)와 내부 도어(20)는 서로 떨어져 있으므로, 이 상태에서 수조(18)가 이상 진동해도, 외부 도어(6)와 내부 도어(20) 사이에서 수조(18)의 진동이 직접 외부 상자(2)로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드럼식 세탁기(1)의 운전 중에는 도 3의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세탁기 전체의 진동을 억제하고 그것에 의한 소음의 발생도 억제한, 드럼식 세탁기(1)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레버 기구(6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 기구(60)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레버 본체(61)와, 레버 본체(61)의 회전의 구동력원인 모터(64)를 구비한다.
레버 본체(61)의 한쪽 면에는, 후술하는 내부 도어(20) 측의 자착부(21)가 자착하는 자착면(62)이 형성되어 있고, 서로 자착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자착부(21)가 자착면(62) 위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평활한 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자착면(62)은 자성체 재료를 표면으로서 형성해도 좋고, 자착부(21)와의 자착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로 표면을 수지 등의 미끄러지기 쉽고 흠집이 나기 어려운 재료로 피복해도 좋다. 또한, 레버 본체(61)의 자착면(62)의 이면(63)에는, 링크 레버(67, 69, 72)와 스토퍼(76)가 배치되어 있다.
모터(64)에는, 모터(64)에 의해 왕복 구동되는 작동기(65)가 부착되어 있으며, 작동기(65)는 링크부(66)를 통해서 링크 레버(67)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링크 레버(67)의 일단부의 타단부는, 링크부(68)를 통해서 링크 레버(69)의 일단부 와 연결하고, 링크 레버(69)의 타단부는, 링크부(71)를 통해서 링크 레버(72)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링크 레버(67, 72)는, 작동기(65)의 이동(도 5의 좌우) 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링크 레버(69)는 지지축(70)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링크 레버(67)에는 이면(63)을 향해서 세워 설치하도록 지지부(73)가 일체 성형되어 있다. 스토퍼(76)는, 모터(64)의 구동력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의 상태에 있어서는, 스토퍼(76)는 래치(11)를 향해서 돌출하여 결합하고 있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11)는 회전축인 축부(13)와, 래치 시트(16) 및 벽부(17)와 결합하는 갈고리부(12)와, 스토퍼(76)와 결합함으로써 래치(11)의 회전을 규제하는 걸림부(14)를 갖는다. 도 3 내지 도 5의 상태에서는, 래치(11)는, 스토퍼(76)와 걸림부(14)가 결합한 로크 상태이므로, 드럼식 세탁기(1)의 운전 중에는, 외부 도어(6)는 개방할 수 없다. 이 상태에서는, 실수로 도어 개방 버튼(8)을 눌러도 외부 도어(6)가 개방되지 않으므로, 드럼식 세탁기(1)의 운전 중의 외부 도어(6)의 개방에 의한 안전면 등의 다양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 본체(61)의 이면(63)에는, 보강용의 복수의 리브(61c)와, 돌기부(74)가 형성되어 있다. 레버 본체(61)의 측면에는, 레버 기구(60)에 레버 본체(6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돌기(61a)와, 링크 레버(72)의 타단부와 연결하는 결합 돌기(61b)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74)는, 그 선단부에 표면이 만곡한 만곡면(74a)을 갖고, 지지부(73)가 만곡면(74a) 위를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레버 본체(61)는 지지 돌기(61a) 주위로 회전한다. 또한, 한 쌍 의 지지 돌기(61a) 중 한쪽에는, 레버 본체(61)를 압박하는 압박 수단인 스프링(75)이 부착되어 있다. 자착면(62)을 자착부(21)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스프링(75)은 레버 본체(61)를 압박하고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모터(64)를 구동한 것에 의해, 작동기(65)는 도면 중의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수반하여, 링크 레버(67)는 도면 중의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링크 레버(69)는 지지축(70) 주위로 회전하고, 링크 레버(72)는 도면 중의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있다.
링크 레버(72)의 도면 중의 우측 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결합 돌기(61b)가 이동해서 레버 본체(61)가 자착부(21)를 향해서 회전한다. 그것과 동시에 지지부(73)는, 링크 레버(67)와 함께 도면 중의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레버 본체(61)와 지지부(73)의 이동에 수반하여, 도 3 내지 도 5의 상태에서는 헐겁게 끼움 오목부(63a)와 대향하는 위치에 있었던 지지부(73)가, 돌기부(74)의 만곡면(74a) 위를 미끄럼 이동하고, 지지부(73)와 돌기부(74)가 결합함으로써, 레버 본체(61)는 지지부(73)에 지지된다. 또한, 모터(64)의 구동에 수반하여, 스토퍼(76)는 모터(64)의 내부에 격납되고, 걸림부(14)와의 결합이 해제된다. 그것에 수반하여, 래치(11)는 축부(13) 주위로 회전할 수 있는 로크 해제 상태가 되어, 외부 도어(6)의 개폐가 가능해진다.
제품 편차나 세탁물량의 많고 적음에 의한 수조(18)의 변위 등에 의해, 외부 상자(2)의 내부에서의 내부 도어(20)의 위치는 반드시 일정하지는 않다. 이로 인해, 모터(64)를 구동력원으로서, 자착면(62)과 자착부(21)가 접촉할 때까지 레버 본체(61)가 회전 구동하도록 하면, 내부 도어(20)와 외부 도어(6)를 확실하게 연결시킬 수 있어, 사용상 바람직하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부 도어 래치 기구(10) 및 내부 도어 래치 기구(23)에는, 그 결합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를 설치하고 있다. 외부 도어 래치 기구(10) 및 내부 도어 래치 기구(23)의 양쪽 결합을 검지한 후에, 모터(64)로 레버 본체(61)를 구동해서 내부 도어(20)와 외부 도어(6)와의 연결을 해제시키는 것이, 안전상 바람직하다. 이것들의 관점에서, 전동 작동기인 모터(64)에 의해 레버 본체(61)를 구동시키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 본체(61)는, 도면 중 반시계 방향으로의 레버 본체(61)의 회전에 의해, 자착부(21)가 자착면(62)에 접촉하고, 서로의 자력에 의해 내부 도어(20)와 외부 도어(6)는 일체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로 인해, 외부 핸들(7)에 의한 개방 조작에 의해, 외부 도어(6)와 내부 도어(20)의 양쪽을 열 수 있고, 또한 외부 도어(6)의 폐색 조작에 의해, 외부 도어(6)와 내부 도어(20)의 양쪽을 닫을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그네트부(80)는 외곽을 구성하는 케이스(81)와, 자착면(62)과 접촉하는 슬라이더(82)와, 케이스(81)의 내부에 유지되는 마그네트(83)와, 이면 덮개(84)를 구비한다. 슬라이더(82)는 마그네트(83)와 자착면(62)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자착면(62)과 슬라이더(82)의 미끄럼 이동에 의한 서로의 흠집내기를 억제하고 있다. 이면 덮개(84)의 걸림 갈고리부(84a)가 내부 도어(20)의 부착부와 결합하여, 자착부(21)가 구성된다.
여기에서, 마그네트(83)는, 예를 들어 네오듐 자석, 사마륨 자석, 페라이트 자석이나 다른 임의의 영구 자석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기계적 강도의 향상이나 내식성의 향상을 위해, 마그네트(83)에는 니켈 도금이나 에폭시 수지 도포 등의 표면 처리가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마그네트부(80)로서는, 전자석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슬라이더(82)는 자착면(62)과 접촉해서 미끄럼 이동하므로, 내마모성이 우수한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착면(62)을 자성체를 갖는 금속 재료(예를 들어,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인 JIS SUS430)로 형성하는 경우, 자착면(62)에 흠집이 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슬라이더(82)는 수지 재료, 예를 들어 고 내마모성을 갖는 POM(폴리옥시메틸렌) 수지로 슬라이더(8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도어 래치 기구(10)는 래치(11)와, 래치 시트(16) 및 벽부(17)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도어 래치 기구(23)는, 내부 도어(20)에 부착된 가동부(27)와, 수조(18)에 부착된 고정부(26)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가동부(27)는, 가동부(27)로부터 고정부(26)를 향해 돌출해서 형성되는 결합 부재(28)와, 고정부(26)와 대향하는 면의 일부를 오목하게 한 삽입 관통 구멍(30)을 갖는다. 고정부(26)는 래치(24)와, 삽입 관통부(29)를 갖는다. 래치(24)는 결합 부재(28)가 고정부(26)에 근접하면, 결합 부재(28)에 형성된 결합 구멍(28a)과 결합하고, 삽입 관통부(29)는 삽입 관통 구멍(30)에 삽입 관통된다. 래치(24)는, 결합 구멍(28a)에 결합하는 갈고리부(24a)와, 결합 부재(28)의 선단부와 접촉하는 아암부(24b)와, 래치(24)의 회전축인 축부(25)를 갖는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개방 버튼(8)과 외부 도어 래치 기구(10)는, 와이어(9a)에 의해, 외부 도어 래치 기구(10)와 내부 도어 래치 기구(23)는, 와이어(9a)와 다른 다른 와이어로서의 와이어(9b)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도어 개방 버튼(8)을 누르는 조작을 행하면, 도 15 중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9a)가 상방을 향해[외부 도어 래치 기구(10)의 설치 위치로부터 도어 개방 버튼(8)의 설치 위치를 향하는 방향] 인장되고, 외부 도어 래치 기구(10)의 일부가 인장되어서 상방으로 이동하고, 또한 도중에 장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바꾸게 된 와이어(9b)가 인장되므로, 내부 도어 래치 기구(23)도 인장되어, 내부 도어 래치 기구(23)의 일부도 이동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외부 도어 래치 기구(10) 및 내부 도어 래치 기구(23)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래치(11)는, 그 갈고리부(12)가 외부 상자(2)에 고정된 벽부(17)에 형성되는 관통 구멍(17a)을 관통하고, 벽부(17)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래치 시트(16)의 개구부(16a)로부터 내부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도 16의 상태에 있어서, 벽부(17)의 일부는 개구부(16a)에 대향하고,이 벽부(17)의 일부와 갈고리부(12)가 대향함으로써, 이 벽부(17)의 일부와 갈고리부(12)가 결합하여, 외부 도어 래치 기구(10)가, 외부 도어(6)를 폐색 상태로 유지한다.
도 16의 상태에서, 도어 개방 버튼(8)이 눌려지면, 와이어(9a)를 통해서 인장력이 작용하고, 래치 시트(16)가 벽부(17)와 갈고리부(12)의 대향 면적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상태를 도 17에 도시한다. 도 17에서는, 도면 중의 직 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래치 시트(16)가 도면 중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고, 래치(11)는 도면 중의 곡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축부(13) 주위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 또한 도어 개방 버튼(8)을 누른 상태를 도 18에 도시한다. 도 18에서는, 도면 중의 직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래치 시트(16)가 도면 중의 상부 방향으로 더 이동하고, 래치(11)는 도면 중의 곡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축부(13) 주위로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고 있다. 그 결과, 벽부(17)와 갈고리부(12)와의 대향은 해제, 즉 갈고리부(12)와 벽부(17)와의 결합은 없어져, 외부 도어(6)의 로크 상태가 해제된다. 도 18의 상태로부터, 외부 도어(6)의 개방 방향[외부 도어(6)가 벽부(17)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외부 도어(6)가 이동하면, 래치(11)는 래치 시트(16) 및 벽부(17)로부터 벗겨져, 외부 도어(6)는 자유롭게 개방할 수 있다.
도 19에서는, 갈고리부(24a)는 결합 부재(28)에 형성된 결합 구멍(28a)의 내부로 인입한 결합 상태이며, 내부 도어(20)가 고정부(26)에 고정되므로, 내부 도어(20)의 폐색 상태를 유지한 로크 상태가 된다. 또한,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부(25)에는, 래치(24)를 도 19 중의 시계 방향으로 압박하는 압박 수단으로서의 스프링(25a)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25a)의 압박 방향에는, 아암부(24b)에 접촉해서 회전을 규제하는 유지 아암부(31)가 설치되어 있고, 래치(24)와 결합 부재(28)와의 결합 상태를 유지한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 아암부(31)에는, 와이어(9b)가 걸리는 핀(31a)이 부재 표면으로부터 돌기해서 설치되어 있다. 도 15를 참조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어 개방 버튼(8)이 눌려지면 와이어(9b)에 장력이 발생하므로, 핀(31a)에 도 20 중의 상부 방향으로의 인장력이 작용하여, 유지 아암부(31)가 도 20 중의 상부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술한 도어 개방 버튼(8)의 누름에 수반하여 유지 아암부(31)가 이동하여, 아암부(24b)와의 접촉 상태가 해제되면,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24)가 축부(25) 주위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갈고리부(24a)는 결합 구멍(28a)의 외부로 벗겨진 결합 해제 상태가 되어, 결합 부재(28)를 포함하는 가동부(27)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로크 해제 상태가 된다. 이 래치(24)의 회전에 의해, 아암부(24b)가 도 21에 도시하는 좌측 방향으로 결합 부재(28)를 압박하므로, 결합 부재(28)는, 도 21에 도시하는 좌측 방향[내부 도어(20)가 개방하는 방향]으로 압박된다.
도 22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결합 부재(28)가 아암부(24b)로부터 압박됨으로써, 외부 도어(6)와 내부 도어(20)는 일체가 되어 개방하는 방향으로 압박된다. 레버 본체(61)의 회전에 수반하여, 스토퍼(76)에 의한 래치(11)의 로크 상태가 해제되므로, 그 후의 도어 개방 버튼(8)의 누름에 의해, 외부 도어 래치 기구(10)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고, 계속해서 내부 도어 래치 기구(23)의 결합 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외부 도어(6)와 내부 도어(20)가 일체적으로 개방한다. 즉, 도어 개방 버튼(8)을 누르는 1 조작에 의해, 외부 도어(6) 및 내부 도어(20)의 양쪽 모두에 조금 개방한 미세 개방 상태가 된다.
이 미세 개방 상태에 있어서 외부 도어(6) 및 내부 도어(20)가 폐색 상태로부터 이동한 개방 각도는, 임의의 각도이면 된다. 단, 광각으로 도어를 개방하면 사용자에게 부딪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예를 들어 10°이상 30° 이하의 범위로 개방 각도를 설정하면 좋다. 이 상태에서 외부 핸들(7)을 파지해서 외부 도어(6)를 개방하면, 용이하게 외부 도어(6) 및 내부 도어(20)의 양쪽을 여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외부 도어(6)와 내부 도어(20)가 일체로 열린 상태로부터, 전방면측으로부터 외부 도어(6)를 눌러, 외부 도어(6)를 외부 상자(2)를 향해 이동시키는 조작에 의해, 외부 도어(6)와 내부 도어(20)의 양쪽을 닫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내부 도어(20)와 외부 도어(6)의 양쪽이 열린 후에, 도어 개방 버튼(8)으로부터 손을 떼어 누름 해제 상태로 하면, 와이어(9a)에 작용하고 있던 장력은 해제되고, 래치 시트(16) 및 벽부(17)는 도 18의 상태로부터 도 16의 상태로 복귀하여, 갈고리부(12)가 벽부(17)와 결합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외부 도어(6)를 닫으면, 외부 도어 래치 기구(10)는 결합 상태가 된다. 또한, 와이어(9b)에 작용하는 장력도 해제되므로, 유지 아암부(31)는 도 21의 상태로부터 아랫 쪽으로 이동하여, 굴곡부(24c)에 접촉한다. 여기에서, 래치(24)는 스프링(25a)의 압박력에 의해 회전 상태로 유지되고 있으므로, 유지 아암부(31)는 굴곡부(24c)와 접촉한 상태로 지지된다. 그 후, 내부 도어(20)가 닫히면, 결합 부재(28)로부터 아암부(24b)에 대하여 도 21에 나타내는 우측 방향을 향하는 힘이 더해지므로, 래치(24)가 축부(25) 주위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도 19의 상태로 복귀되어, 내부 도어 래치 기구(23)는 결합 상태가 된다.
여기에서, 제품 격차 등에 의해, 수조(18)가 외부 상자(2) 내에서 후방으로 변위되어 버리면, 본래, 내부 도어 래치 기구(23)가 결합 상태가 되는 소정 위치까지 내부 도어(20)를 이동시켜도, 내부 도어 래치 기구(23)가 결합 상태가 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그로 인해 외부 도어(6)는,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상기 소정 위치보다도 내부 도어(20)를 닫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16을 참조하여, 래치 시트(16) 내부로 인입한 래치(11)의 도면 중 우측의 헤드부(11a)(도 6 참조)의 선단부면과 그것과 대향하는 래치 시트(16) 면과의 사이에는 간극(G1)이 있다. 래치(11)의 도면 중 상측의 갈고리부의 돌출측과는 반대인 면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그것과 대향하는 래치 시트(16)의 면과의 사이에 간극(G2)이 존재한다. 이에 의해, 외부 도어(6)를 벽부(17)에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외부 도어(6)를 다시 이동시키면, 외부 도어(6)와 일체화되어 있는 내부 도어(20)도, 내부 도어(20)가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내부 도어(20)와 외부 도어(6)를 확실히 일체로 열기 위해서는, 외부 도어 래치 기구(10)의 결합 상태가 해제된 이후에, 내부 도어 래치 기구(23)의 결합 상태가 해제될 필요가 있다. 그로 인해, 외부 도어 래치 기구(10)의 결합 상태의 해제에 필요한 와이어(9a)의 인장 이동 길이(이것을 스트로크라 칭함)가, 내부 도어 래치 기구(23)의 결합 상태의 해제에 필요한 와이어(9b)의 스트로크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내부 도어 래치 기구(23)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한 와이어(9b)의 스트로크를 10 ㎜로 설정한 경우, 외부 도어 래치 기구(10)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한 와이어(9a)의 스트로크를, 그것보다 작은 5 ㎜로 설정함으로써, 내부 도어(20)와 외부 도어(6)의 양쪽이 조금 열린 미세 개방 상태를 확실히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내부 도어(20)의 개폐 시에 사용되는 힌지부(90)에 대해 설명한다.
힌지부(90)는,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략 판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체로서의 힌지 본체(91)의 한쪽 단부에 제1 축(92)이, 다른 쪽의 단부에 제1 축(92)과 축선 방향이 평행한 제2 축(93)이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제1 축(92)에는 고정구(96)가 제1 축(92) 주위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제2 축(93)에는 연결부(94)가 제2 축(93) 주위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고정구(96)는, 수조(18)의 전방면 외측에 부착 고정되고, 연결부(94)는 내부 도어(20)의 배면에 부착되어 있다. 즉, 내부 도어(20)는 제1 축(92) 및 제2 축(93)에 의해, 수조(18)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힌지 본체(91)에는, 복수의 리브(95)가 힌지 본체(91)의 표면으로부터 돌기해서 형성되어 있고, 내부 도어(20)를 지지하기 위해서 충분한 강도가 확보되어 있다.
힌지 본체(91)는, 도 27에 나타내는 단면 형상이 직선 형상인 평판(91a)과, 단면 형상이 곡선 형상인 곡판(91b)을 포함한다. 평판(91a)은, 고정구(96)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곡판(91b)은, 고정구(96)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수조(18)의 전방면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구부리게 되어 있으며, 수조(18)의 전방면에 대하여 볼록 형상으로 만곡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힌지 본체(91)의 고정구(96)에 대향하는 측의 면에는, 고정구(96) 측으로 돌출해서 접촉하도록 탄성체(97)가 부착되어 있다. 그로 인해, 내부 도어(20)가 닫힐 때의 힌지 본 체(91)와 고정구(96)의 충돌이 방지되어, 힌지 본체(91)와 고정구(96) 중 어느 한쪽의 파손이나 변형 등의 문제 발생이 억제되어 있다. 여기에서, 탄성체(97)로서는, 예를 들어 고무나 스프링 등의 주지의 탄성 재료를 적용할 수 있다.
도 27 및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 본체(91)가 제1 축(92) 주위로 회전하는 범위는, 제1 축(92)보다도 수조(18)의 외측 범위에 한정되고 있으며, 힌지부(90)를 회전시키기 위한 공간은, 수조(18)의 전방 외부에만 확보되어 있으면 된다. 환언하면, 수조(18)의 내측에는, 힌지부(90)를 이동시키기 위한 공간을 고려할 필요는 없다. 그로 인해, 드럼(32)을, 수조(18)의 전단부까지 채워서 배치할 수 있으므로, 제품 깊이를 작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의 구성을 구비하는 힌지부(90)를 사용하여, 드럼식 세탁기(1)의 내부 도어(20)가 개방하는 형태에 대해서, 이하 설명한다. 도 29 및 도 30에 나타내는 45°개방 상태에 이르기까지는, 내부 도어(20)는, 주로 제1 축(92) 주위로 회전한다. 제1 축(92) 주위에 힌지 본체(91)가 회전하면, 내부 도어(20) 및 제2 축(93)을 수조(18)의 전방측을 향해 이동하고, 제2 축(93)과 회전축(99)이 드럼식 세탁기(1)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거의 동일한 위치의 상태가 된다. 제1 축(92) 주위의 회전과 동시에 내부 도어(20)는, 제2 축(93) 주위로도 회전해서 외부 도어(6)와 내부 도어(20)와의 대략 평행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때, 자착부(21)는, 자착면(62)에 자착한 상태에서 자착면(62) 위를 미끄럼 이동하고, 외부 도어(6)와 내부 도어(20)가 일체의 상태에서 개방된다. 여기에서, 자착면(62)은 평활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자착부(21)는 자착면(62) 위를 원활하게 미끄럼 이동하므로, 보다 확실하게 내부 도어(20)와 외부 도어(6)가 일체인 상태에서 개폐시킬 수 있다.
내부 도어(20)는, 45°개방 상태로부터 도 31 및 도 32에 나타내는 완전 개방 상태에 이르기까지는, 주로 제2 축(93) 주위로 회전함으로써 열린다. 이때, 자착부(21)는, 자착면(62)에 자착한 상태에서 자착면(62) 위를 다시 미끄럼 이동하고, 내부 도어(20)와 외부 도어(6)가 일체의 상태에서 개방된다. 이와 같이, 내부 도어(20)가, 제1 축(92) 및 제2 축(93)의 복수의 회전축을 갖는 힌지부(90)에 의해 수조(18)에 대하여 회전하므로, 외부 도어(6)와 내부 도어(20)를 용이하게 일체로 여는 것이 가능해진다.
반대로, 외부 도어(6)와 내부 도어(20)가 일체로 열려 있는 상태로부터, 외부 도어(6)를 전방면 측으부터 눌러, 외부 도어(6)를 외부 상자(2)를 향해 이동시키는 조작에 의해, 외부 도어(6)와 내부 도어(20)를 용이하게 일체로 닫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본 실시 형태의 드럼식 세탁기(1)에서는, 1 도어 방식의 드럼식 세탁기와 같은 개폐 조작에 의해, 외부 도어(6)와 내부 도어(20)의 양쪽을 개폐할 수 있다.
외부 도어 및 내부 도어가 사용되는 드럼식 세탁기에 있어서, 내부 도어를, 회전축이 하나의 힌지 기구에 의해 수조에 지지되어 있던 경우, 내부 도어를 일정한 각도 개방시키기 위해서는, 외부 도어 힌지를 외부 상자 측면측 부근에 또는 내부 도어 힌지를 외부 상자 좌우 방향 중앙 부근에 형성할 필요가 있었다. 즉, 외부 도어를 크게 또는 내부 도어를 작게 할 필요가 있었다. 내부 도어를 작게 하면 드럼 내로의 세탁물의 출입 작업성이 저하되고, 외부 도어를 크게 하면 좁은 공간 에서는 외부 도어를 완전 개방으로 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실시 형태의 드럼식 세탁기(1)에서는, 회전축을 복수 갖는 힌지부(90)를 사용하여, 내부 도어(20)를 입체적으로 회전시키므로, 내부 도어(20)의 소경화나 외부 도어(6)의 대경화의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이하, 도 33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드럼식 세탁기(1)의 도어가 개방되는 순서에 대해, 순서대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드럼식 세탁기(1)는, 운전 종료 후에, 레버 기구(60)가 이동해서 내부 도어(20)와 외부 도어(6)를 일체화시키는 동시에, 래치(11)에 대한 로크를 해제시키도록 제어되어 있다. 우선, 사용자는 드럼식 세탁기(1)가 운전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해(S101), 운전 중이면, 조작 패널(3)에 설치된 일시 정지 버튼을 눌러서(S102), 드럼식 세탁기(1)의 운전을 일시 정지시킨다. 이 상태에서, 조작 패널(3)에 설치된 로크 해제 버튼을 누르면(S103),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터(64)가 작동하고, 레버 본체(61)가 이동해서 내부 도어(20)와 외부 도어(6)는 일체화되는 동시에, 스토퍼(76)가 이동해서 래치(11)의 회전을 규제하는 로크가 해제된다(S104).
한편, 공정(S101)에서 드럼식 세탁기(1)가 운전 중이 아니거나 또는 공정(S104)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 개방 버튼(8)을 누르면(S105), 도 13 내지 도 22를 참조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와이어(9a, 9b)가 이동하여(S106), 외부 도어 래치 기구(10)의 래치(11)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고(S107), 계속해서 내부 도어 래치 기구(23)의 래치(24)의 결합 상태가 해제된다(S108). 여기에서, 스프링(25a)의 탄성력에 의해 아암부(24b)가 결합 부재(28)를 압박하여, 내부 도어(20)에 개방력이 작용하면, 일체화된 내부 도어(20) 및 외부 도어(6)가, 도 22에 나타내는 미세 개방 상태가 된다(S109). 그리고 사용자가 도어 개방 버튼(8)의 누름을 그만두면(S110), 와이어(9a, 9b)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고(S111), 사용자가 외부 핸들(7)을 조작하면, 내부 도어(20) 및 외부 도어(6)는 일체가 되어 회전한다(S112).
이하, 도 34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드럼식 세탁기(1)의 도어가 폐색되는 순서에 대해, 순서대로 설명한다. 우선, 외부 도어(6) 및 내부 도어(20)의 양쪽이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는 드럼(32)의 내부에 세탁물을 투입하고(S201), 외부 도어(6)를 회전 조작해서 도어를 닫는다(S202). 도어를 열 때와 마찬가지로, 도어를 닫을 때에도, 내부 도어(20) 및 외부 도어(6)는 일체가 되어 회전한다. 외부 도어(6)를 닫아 가면, 내부 도어 래치 기구(23)(S203)와 외부 도어 래치 기구(10)가 결합 상태가 된다(S204).
이 상태에서, 조작 패널(3)에 설치된 세탁 개시 버튼을 조작하면(S205), 외부 도어 래치 기구(10)의 래치(11)의 결합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와 내부 도어 래치 기구(23)의 래치(24)의 결합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가 모두 결합 상태인지의 여부를 검출한다(S206). 이때, 래치(11, 24)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결합 상태가 이상하면, 드럼식 세탁기(1)를 일시 정지 상태로 하여, 표시나 소리로 사용자에게 알린다.
래치(11, 24)의 양쪽이 결합 상태가 정상이면, 레버 본체(61)를 밀착 상태로부터 괴리 상태로 이동시킨다. 이때, 내부 도어(20)는 내부 도어 래치 기구(23)에 의해 기계적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내부 도어(20)와 외부 도어(6)가 이격된 상태 가 된다. 동시에, 스토퍼(76)에 의해 래치(11)가 회전이 규제된 상태가 되어, 외부 도어(6)를 개방할 수 없는 로크 상태가 되고(S207), 그 후 세탁이 개시된다(S208).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드럼식 세탁기는, 종래의 1 도어 방식의 드럼식 세탁기와 같은 조작, 즉 도어 개방 버튼(8)의 누름 및 외부 핸들(7)의 조작에 의해 외부 도어(6)와 내부 도어(20)의 양쪽을 개방하고, 외부 도어(6)를 폐색시키는 조작에 의해 외부 도어(6)와 내부 도어(20)의 양쪽을 폐색할 수 있어, 조작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드럼식 세탁기는, 운전 중에는 외부 도어(6)와 내부 도어(20)를 이격시킨 면진 상태로 함으로써, 수조(18)가 진동한 경우라도 그 진동이 외부 상자(2)로 전파되는 것을 억제하여, 외부 상자(2)의 진동 및 소음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술한 설명과 일부 중복되는 부분도 있지만, 본 실시 형태의 특징적인 구성을 이하, 열거한다. 본 실시 형태의 드럼식 세탁기(1)는, 전방면에 외부 상자 개구부(5)가 형성된 외부 상자(2)와, 외부 상자(2) 내에 탄성 지지되어, 외부 상자 개구부(5)에 대향하는 수조 개구부(19)가 형성된 수조(18)와, 외부 상자 개구부(5)를 개폐하는 외부 도어(6)와, 수조 개구부(19)를 개폐하는 내부 도어(20)를 구비한다. 또한 드럼식 세탁기(1)는, 결합에 의해 외부 도어(6)를 폐색 상태로 유지하는 외부 도어 래치 기구(10)와, 결합에 의해 내부 도어(20)를 폐색 상태로 유지하는 내부 도어 래치 기구(23)와, 외부 상자(2)의 전방면에 설치된 도어 개방 버튼(8)을 구비한다. 도어 개방 버튼(8)을 누르는 조작에 따라서, 외부 도어 래치 기구(10)의 결합 및 내부 도어 래치 기구(23)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와 같이 하면, 1 도어 방식의 드럼식 세탁기와 같은, 도어 개방 버튼(8)을 누르는 조작에 의해 외부 도어(6)와 내부 도어(20)의 양쪽을 개방 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드럼식 세탁기(1)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드럼식 세탁기(1)는, 도어 개방 버튼(8)과 외부 도어 래치 기구(10)를 연결하는 와이어(9a)를 구비한다. 도어 개방 버튼(8)을 누르는 조작에 따라서, 와이어(9a)가 외부 도어 래치 기구(10)의 일부인 래치 시트(16)를 인장하여 이동시키고, 외부 도어 래치 기구(10)의 결합을 해제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간단한 구성에 의해, 도어 개방 버튼(8)의 조작에 의해 외부 도어 래치 기구(10)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는 구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드럼식 세탁기(1)는, 외부 도어 래치 기구(10)와 내부 도어 래치 기구(23)를 연결하는 와이어(9b)를 더 구비한다. 도어 개방 버튼(8)을 누르는 조작에 따라서, 와이어(9b)가 내부 도어 래치 기구(23)의 일부인 유지 아암부(31)을 인장하여 이동시켜서 내부 도어 래치 기구(23)의 결합을 해제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간단한 구성에 의해, 도어 개방 버튼(8)의 조작에 의해 내부 도어 래치 기구(23)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는 구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외부 도어 래치 기구(10)는, 래치(11)와, 래치(11)가 삽입 관통되는 개구부(16a)가 형성된 래치 시트(16)를 포함하고, 래치 시트(16)가 이동해서 외부 도어 래치 기구(10)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와 같이 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외부 도어 래치 기구(10)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는 구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내부 도어 래치 기구(23)는, 래치(24)와, 래치(24)가 결합하는 결합 구멍(28a)이 형성된 결합 부재(28)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하면, 래치(24)의 결합 부재(28)와의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내부 도어 래치 기구(23)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어, 간단한 구성으로 내부 도어 래치 기구(23)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는 구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래치(24)는 축부(25)와 스프링(25a)을 갖는다. 축부(25)는, 래치(24)를 축부(25)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스프링(25a)은 내부 도어(2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래치(24)를 압박한다. 이와 같이 하면, 스프링(25a)의 탄성력에 의해, 래치(24)를 축부(25) 주위로 회전시키고, 동시에 내부 도어(20)에 대하여 내부 도어(20)가 개방되는 방향의 힘을 작용시킬 수 있다. 내부 도어(20)를 개방하기 위한 다른 기구를 내부 도어 래치 기구(23)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 간단한 구성의 내부 도어 래치 기구(23)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드럼식 세탁기(1)는, 전방면에 외부 상자 개구부(5)가 형성된 외부 상자(2)와, 외부 상자(2) 내에 탄성 지지되어, 외부 상자 개구부(5)에 대향하는 수조 개구부(19)가 형성된 수조(18)와, 외부 상자 개구부(5)를 개폐하는 외부 도어(6)와, 수조 개구부(19)를 개폐하는 내부 도어(20)를 구비한다. 또한 드럼식 세탁기(1)는, 외부 도어(6)와 내부 도어(20) 사이의 공간을 이동 가능한 레버 본체(61)를 구비한다. 레버 본체(61)는, 일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외부 도어(6)와 내부 도어(20)를 일체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일방향과 반대인 다른 방향 으로 이동함으로써 외부 도어(6)와 내부 도어(20)를 이격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레버 본체(61)를 일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외부 도어(6)와 내부 도어(20)를 일체화함으로써, 1 도어 방식의 드럼식 세탁기와 같은 개폐 조작에 의해 외부 도어(6)와 내부 도어(20)의 양쪽을 개폐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이 우수하다. 또한, 드럼식 세탁기(1)의 운전 중에는, 레버 본체(61)를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외부 도어(6)와 내부 도어(20)를 완전히 분리시킴으로써, 외부 상자(2)의 진동 및 소음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레버 본체(61)는 외부 도어(6)에 부착되어 있으며, 내부 도어(20)와 대향하는 접속면으로서의 자착면(62)을 포함한다. 내부 도어(20)의 자착면(62)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레버 본체(61)가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할 때 자착면(62)과 연결하는, 접속부로서의 자착부(21)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레버 본체(61)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자착부(21)를 자착면(62)에 자착시킬 수 있어, 외부 도어(6)와 내부 도어(20)를 확실하게 일체화시킬 수 있다.
또한, 자착면(62)은 평활하게 형성되어 있다. 자착부(21)는 자착면(62) 위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자착면(62)에 자착한다. 이와 같이 하면, 자착부(21)가 자착면(62)에 대하여 상대 이동해도, 자력의 작용에 의한 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내부 도어(20)와 외부 도어(6)를 일체로 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양쪽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드럼식 세탁기(1)는 레버 본체(61)를 이동시키는 모터(64)를 더 구비한다. 이와 같이 하면, 전동 작동기인 모터(64)에 의해 레버 본체(61)를 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드럼(32)의 진동에 따라 수조(18)의 위치에 편차가 발생한 경우라도, 내부 도어(20)와 외부 도어(6)를 확실히 일체화할 수 있다.
또한, 레버 본체(61)는 외부 도어(6)의 내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내부 도어(20)와 대향하는 자착면(62)을 포함한다. 드럼식 세탁기(1)는, 지지부(73)를 더 구비한다. 지지부(73)는, 모터(64)의 구동력을 받아서 이동하고, 자착면(62)에 대하여 반대측인 이면(63) 측으로부터 레버 본체(61)를 지지함으로써, 레버 본체(61)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간단한 구성에 의해 레버 본체(61)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드럼식 세탁기(1)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부 도어(6)를 폐색 상태로 유지하는 외부 도어 래치 기구(10)와, 모터(64)의 구동력을 받아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토퍼(76)를 더 구비한다. 스토퍼(76)는, 레버 본체(61)가 다른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외부 도어 래치 기구(10)와 결합해서 외부 도어 래치 기구(10)의 회전을 방해한다. 이와 같이 하면, 드럼식 세탁기(1)의 운전 중에 외부 도어(6)가 실수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드럼식 세탁기(1)는, 전방면에 외부 상자 개구부(5)가 형성된 외부 상자(2)와, 외부 상자(2) 내에 탄성 지지되어, 외부 상자 개구부(5)에 대향하는 수조 개구부(19)가 형성된 수조(18)와, 외부 상자 개구부(5)를 개폐하는 외부 도어(6)와, 수조 개구부(19)를 개폐하는 내부 도어(20)를 구비한다. 또한 드럼식 세탁기(1)는, 수조(18)의 전방면에 부착되어, 내부 도어(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부(90)를 구비한다.
힌지부(90)는,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제1 축(92) 및 제2 축(93)과, 제1 축(92) 및 제2 축(93)을 연결하는 연결체로서의 힌지 본체(91)를 포함한다. 내부 도어(20)는, 제1 축(92)을 회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또한 제2 축(93)을 회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수조(18)에 지지되어 있다. 수조(18)의 외부를 힌지 본체(91)의 가동 범위로 하도록, 힌지부(90)는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외부 도어(6)와 내부 도어(20)를 일체화시켰을 때, 1 도어 방식의 드럼식 세탁기와 같은, 외부 도어(6)를 개폐시키는 조작에 의해 외부 도어(6)와 내부 도어(20)의 양쪽을 개폐할 수 있으므로, 드럼식 세탁기(1)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힌지 본체(91)의 가동 범위를 수조(18)의 외부로 하고, 수조(18)의 내측으로 힌지부(90)를 이동시키기 위한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드럼식 세탁기(1)의 세탁 시의 작업성의 악화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드럼식 세탁기(1)는, 수조(18)의 전방면에 고정된 고정구(96)를 구비한다. 제1 축(92)은, 고정구(96)에 지지되어 있다. 힌지 본체(91)는, 내부 도어(20)가 닫혔을 때 고정구(96)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고정구(96)에 의해 힌지 본체(91)의 회전 이동이 차단되므로, 힌지 본체(91)의 가동 범위를 확실하게 수조(18)의 외부로 규정할 수 있다.
또한, 힌지 본체(91)의 고정구(96)에 대향하는 측의 표면에는, 탄성체(97)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내부 도어(20)가 닫혔을 때의 힌지 본체(91)와 고정구(96)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힌지 본체(91)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힌지 본체(91)는 한쪽 단부에 있어서 제1 축(92)과 결합하고, 다른 쪽의 단부에 있어서 제2 축(93)과 결합한다. 이와 같이 하면, 힌지 본체(91)를 경량화시켜, 힌지 본체(91)의 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힌지 본체(91)는 수조(18)의 전방면에 대하여 볼록하게 만곡하는 만곡부로서의 곡판(91b)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하면, 제1 축(92) 주위로 힌지 본체(91)를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곡판(91b)에 연결된 제2 축(93)이 드럼식 세탁기(1)의 보다 바깥(전방)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그 상태에서 제2 축(93) 주위로 내부 도어(20)를 회전시켜, 내부 도어(20)의 완전 개방 상태를 쉽게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을 행했지만, 금회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에서는 없으며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게시되고,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드럼식 세탁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드럼식 세탁기의 측방으로부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외부 도어와 내부 도어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의 외부 도어 및 내부 도어 주변의 모식 단면도이다.
도 4는 레버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화살표 V 방향으로부터 본 레버 기구의 모식도이다.
도 6은 외부 도어용 래치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레버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의 상태로부터 레버 본체가 회전한 후의 레버 기구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화살표 Ⅸ 방향으로부터 본 레버 기구의 모식도이다.
도 10은 레버 본체가 회전한 후의 외부 도어 및 내부 도어 주변의 모식 단면도이다.
도 11은 마그네트부를 측방으로부터 본 모식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 중의 화살표 ⅩⅡ 방향으로부터 본 마그네트부의 모식도이다.
도 13은 외부 도어 래치 기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4는 내부 도어 래치 기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5는 외부 도어 래치 기구 및 내부 도어 래치 기구를 연결하는 연결 기구 의 개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은 외부 도어 래치 기구의 결합이 해제되는 제1 과정에 대해서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17은 외부 도어 래치 기구의 결합이 해제되는 제2 과정에 대해서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18은 외부 도어 래치 기구의 결합이 해제되는 제3 과정에 대해서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19는 내부 도어 래치 기구의 래치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20은 유지 아암부를 이동시키는 와이어 기구의 모식도이다.
도 21은 내부 도어 래치 기구의 래치의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22는 래치 기구의 결합 상태가 해제된 후의 외부 도어 및 내부 도어 주변의 모식 단면도이다.
도 23은 힌지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힌지부의 정면도이다.
도 25는 힌지부의 측면도이다.
도 26은 힌지부의 평면도이다.
도 27은 내부 도어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힌지부의 단면도이다.
도 28은 내부 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힌지부의 단면도이다.
도 29는 외부 도어가 45°개방 상태에서의 드럼식 세탁기의 사시도이다.
도 30은 외부 도어가 45°개방 상태에서의, 외부 도어 및 내부 도어 주변의 모식 단면도이다.
도 31은 외부 도어가 완전 개방 상태에서의 드럼식 세탁기의 사시도이다.
도 32는 외부 도어가 완전 개방 상태에서의, 외부 도어 및 내부 도어 주변의 모식 단면도이다.
도 33은 드럼식 세탁기의 도어가 개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4는 드럼식 세탁기의 도어가 폐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드럼식 세탁기
2 : 외부 상자
3 : 조작 패널
5 : 외부 상자 개구부
6 : 외부 도어
7 : 외부 핸들
8 : 도어 개방 버튼
9a, 9b : 와이어
10 : 외부 도어 래치 기구
11, 24 : 래치
11a : 헤드부
12 : 갈고리부
13 : 축부
14 : 걸림부
16 : 래치 시트
16a : 개구부
17 : 벽부
17a : 관통 구멍
18 : 수조
19 : 수조 개구부
20 : 내부 도어
21 : 자착부
23 : 내부 도어 래치 기구
24a : 갈고리부
24b : 아암부
24c : 굴곡부
25 : 축부
25a : 스프링
26 : 고정부
27 : 가동부
28 : 결합 부재
28a : 결합 구멍
29 : 삽입 관통부
30 : 삽입 관통 구멍
31 : 유지 아암부
31a : 핀
32 : 드럼
40 : 유체 밸런서
41 : 서스펜션
60 : 레버 기구
61 : 레버 본체
61a : 지지 돌기
61b : 결합 돌기
61c : 리브
62 : 자착면
63 : 이면
63a : 헐겁게 끼움 오목부
64 : 모터
65 : 작동기
66 : 링크부
67, 69, 72 : 링크 레버
68, 71 : 링크부
70 : 지지축
73 : 지지부
74 : 돌기부
74a : 만곡면
75 : 스프링
76 : 스토퍼
80 : 마그네트부
81 : 케이스
82 : 슬라이더
83 : 마그네트
84 : 이면 덮개
84a : 걸림 갈고리부
90 : 힌지부
91 : 힌지 본체
91a : 평판
91b : 곡판
92 : 제1 축
93 : 제2 축
94 : 연결부
95 : 리브
96 : 고정구
97 : 탄성체
98 : 오목부
99 : 회전축

Claims (16)

  1. 전방면에 외부 상자 개구부가 형성된 외부 상자와,
    상기 외부 상자 내에 탄성 지지되어, 상기 외부 상자 개구부에 대향하는 수조 개구부가 형성된 수조와,
    상기 외부 상자 개구부를 개폐하는 외부 도어와,
    상기 수조 개구부를 개폐하는 내부 도어와,
    결합에 의해 상기 외부 도어를 폐색 상태로 유지하는 외부 도어 래치 기구와,
    결합에 의해 상기 내부 도어를 폐색 상태로 유지하는 내부 도어 래치 기구와,
    상기 외부 상자의 상기 전방면에 설치된 도어 개방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도어 개방 버튼을 누르는 조작에 따라서, 상기 외부 도어 래치 기구의 결합 및 상기 내부 도어 래치 기구의 결합이 해제되고, 상기 외부 도어 및 상기 내부 도어의 양쪽이 조금 열린 미세 개방 상태가 되는,
    드럼식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 버튼과 상기 외부 도어 래치 기구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 개방 버튼을 누르는 조작에 따라서, 상기 와이어가 상기 외부 도어 래치 기구의 일부를 인장하여 이동시켜서 상기 외부 도어 래치 기구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드럼식 세탁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도어 래치 기구와 상기 내부 도어 래치 기구를 연결하는 다른 와이어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도어 개방 버튼을 누르는 조작에 따라서, 상기 다른 와이어가 상기 내부 도어 래치 기구의 일부를 인장하여 이동시켜서 상기 내부 도어 래치 기구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드럼식 세탁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도어 래치 기구는, 외부 도어용 래치와, 상기 외부 도어용 래치가 삽입 관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래치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 시트가 이동해서 상기 외부 도어 래치 기구의 결합이 해제되는,
    드럼식 세탁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어 래치 기구는, 내부 도어용 래치와, 상기 내부 도어용 래치가 결합하는 구멍부가 형성된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드럼식 세탁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어용 래치는, 축부와 압박 수단을 갖고, 상기 축부는, 상기 내부 도어용 래치를 상기 축부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압박 수단은, 상기 내부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상기 내부 도어용 래치를 압박하는,
    드럼식 세탁기.
  7. 전방면에 외부 상자 개구부가 형성된 외부 상자와,
    상기 외부 상자 내에 탄성 지지되어, 상기 외부 상자 개구부에 대향하는 수조 개구부가 형성된 수조와,
    상기 외부 상자 개구부를 개폐하는 외부 도어와,
    상기 수조 개구부를 개폐하는 내부 도어와,
    상기 외부 도어와 상기 내부 도어 사이의 공간을 이동 가능한 레버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 본체는, 일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외부 도어와 상기 내부 도어를 일체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일방향과 반대인 다른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외부 도어와 상기 내부 도어를 이격시키고,
    상기 레버 본체는, 상기 외부 도어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 도어와 대향하는 평활하게 형성된 접속면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도어의 상기 접속면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상기 레버 본체가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접속면 상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접속면과 연결하는 접속부가 설치되어 있는,
    드럼식 세탁기.
  8. 삭제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본체를 이동시키는 모터를 더 구비하는,
    드럼식 세탁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본체는, 상기 외부 도어의 내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 도어와 대향하는 접속면을 포함하고,
    상기 드럼식 세탁기는, 지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받아서 이동하고, 상기 접속면에 대하여 반대면 측으로부터 상기 레버 본체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레버 본체를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드럼식 세탁기.
  12. 제10항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외부 도어를 폐색 상태로 유지하는 외부 도어 래치 기구와,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받아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토퍼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레버 본체가 상기 다른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상기 외부 도어 래치 기구와 결합해서 상기 외부 도어 래치 기구의 회전을 방해하는,
    드럼식 세탁기.
  13. 전방면에 외부 상자 개구부가 형성된 외부 상자와,
    상기 외부 상자 내에 탄성 지지되어, 상기 외부 상자 개구부에 대향하는 수조 개구부가 형성된 수조와,
    상기 외부 상자 개구부를 개폐하는 외부 도어와,
    상기 수조 개구부를 개폐하는 내부 도어와,
    상기 수조의 전방면에 부착되어, 상기 내부 도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수조의 전방면에 대하여 볼록 형상으로 만곡하는 판 형상의 연결체와, 상기 연결체의 한쪽 단부에 설치된 제1 축과, 상기 제1 축과 축선 방향이 평행하게 상기 연결체의 다른 단부에 설치된 제2 축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도어는, 상기 제1 축을 회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또한 상기 제2 축을 회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수조에 지지되어 있어 있으며,
    상기 수조의 외부를 상기 연결체의 가동 범위로 하도록, 상기 힌지부는 형성되어 있는,
    드럼식 세탁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전방면에 고정된 고정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축은 상기 고정구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연결체는 상기 내부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고정구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드럼식 세탁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의 상기 고정구에 대향하는 측의 표면에는, 탄성체가 설치되어 있는,
    드럼식 세탁기.
  16. 삭제
KR1020090079606A 2008-08-28 2009-08-27 드럼식 세탁기 KR1011455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19747 2008-08-28
JP2008219937A JP4845058B2 (ja) 2008-08-28 2008-08-28 ドラム式洗濯機
JPJP-P-2008-219937 2008-08-28
JPJP-P-2008-219936 2008-08-28
JP2008219747A JP4711267B2 (ja) 2008-08-28 2008-08-28 ドラム式洗濯機
JP2008219936A JP4711268B2 (ja) 2008-08-28 2008-08-28 ドラム式洗濯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7019A KR20100027019A (ko) 2010-03-10
KR101145598B1 true KR101145598B1 (ko) 2012-05-15

Family

ID=42178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9606A KR101145598B1 (ko) 2008-08-28 2009-08-27 드럼식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55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8710A1 (ko) * 2015-07-29 201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8597U (ko) 1985-09-30 1987-04-11
JP2005514134A (ja) * 2002-01-09 2005-05-19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洗濯機及び乾燥機用ドアと、これを含む洗濯機及び乾燥機
JP2006255195A (ja) 2005-03-17 2006-09-28 Sanyo Electric Co Ltd ドラム式洗濯機
JP2006280401A (ja) * 2005-03-31 2006-10-19 Sharp Corp ドラム式洗濯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8597U (ko) 1985-09-30 1987-04-11
JP2005514134A (ja) * 2002-01-09 2005-05-19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洗濯機及び乾燥機用ドアと、これを含む洗濯機及び乾燥機
JP2006255195A (ja) 2005-03-17 2006-09-28 Sanyo Electric Co Ltd ドラム式洗濯機
JP2006280401A (ja) * 2005-03-31 2006-10-19 Sharp Corp ドラム式洗濯機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8710A1 (ko) * 2015-07-29 201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CN111549499A (zh) * 2015-07-29 2020-08-18 三星电子株式会社 洗衣机
US10767300B2 (en) 2015-07-29 2020-09-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CN111549499B (zh) * 2015-07-29 2021-07-13 三星电子株式会社 洗衣机
US11834768B2 (en) 2015-07-29 2023-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US11834767B2 (en) 2015-07-29 2023-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7019A (ko) 201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11267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4845058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542376B1 (ko) 세탁기용 도어
US9273425B2 (en)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859335B2 (en) Washing machine
US8123312B2 (en) Door assembly
JP2006280401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187069B1 (ko) 도어 어셈블리
EP1486604A2 (en) Door locking mechanism
KR20170076451A (ko) 세탁기
EP3372723B1 (en) Washing machine
JP6660828B2 (ja) 衣類処理装置
MY137341A (en) Washing machine
KR20070070780A (ko) 세탁기의 도어 핸들
KR101727897B1 (ko) 세탁기의 도어 어셈블리
JP4711268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145598B1 (ko) 드럼식 세탁기
CN114729491B (zh) 洗涤装置
KR101730421B1 (ko) 세탁물 처리기기
JP2019180470A (ja) 洗濯機
JP2023009780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072643B1 (ko) 세탁기 탑커버의 결합구조
KR101691811B1 (ko)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79428A (ko) 각형 손잡이부를 갖는 드럼 세탁기
KR20130123542A (ko) 드럼세탁기용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