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5265B1 - 렌즈모듈 본딩용 노즐 - Google Patents

렌즈모듈 본딩용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5265B1
KR101145265B1 KR1020120022761A KR20120022761A KR101145265B1 KR 101145265 B1 KR101145265 B1 KR 101145265B1 KR 1020120022761 A KR1020120022761 A KR 1020120022761A KR 20120022761 A KR20120022761 A KR 20120022761A KR 101145265 B1 KR101145265 B1 KR 101145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adhesive
lens module
lens assembly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2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요섭
오석용
Original Assignee
박요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요섭 filed Critical 박요섭
Priority to KR1020120022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52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5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5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5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gl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모듈의 홀더와 렌즈조립체 사이에 접착제를 토출하여 본딩하는 렌즈모듈 본딩용 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 번의 토출로 접착제를 홀더와 렌즈조립체의 결합 부위 전체를 본딩시킬 수 있으며, 접착제게 어느 한 곳으로 집중됨이 없이 균등하게 분산되어 홀더와 렌즈조립체 결합부위 전체에 토출되고, 분리 가능하게 조립결합되는 내부몸체와 외부몸체로 구성하여 유로에 남이 있는 접착제의 제거가 편리하고, 토출된 접착제가 렌즈조립체 내측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렌즈모듈 본딩용 노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모듈 본딩용 노즐은 상부에서 내부로 형성되는 주입부와, 상기 주입부 단부에서 외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부를 포함하는 내부몸체와, 상기 내부몸체가 삽입결합되고, 내면과 상기 내부몸체의 외면 사이에 상기 관통부와 연결되는 배출부를 형성하는 외부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렌즈모듈의 홀더와 렌즈조립체 사이로 접착제를 토출한다.

Description

렌즈모듈 본딩용 노즐{Nozzle for bonding lens-module}
본 발명은 렌즈모듈의 홀더와 렌즈조립체 사이에 접착제를 토출하여 본딩하는 렌즈모듈 본딩용 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 번의 토출로 접착제를 홀더와 렌즈조립체의 결합 부위 전체를 본딩시킬 수 있으며, 접착제게 어느 한 곳으로 집중됨이 없이 균등하게 분산되어 홀더와 렌즈조립체 결합부위 전체에 토출되고, 분리 가능하게 조립결합되는 내부몸체와 외부몸체로 구성하여 유로에 남이 있는 접착제의 제거가 편리하고, 토출된 접착제가 렌즈조립체 내측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고, 특히 가압력이 일정하고 접착제를 정량 토출하는 렌즈모듈 본딩용 노즐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노즐이 사용되는 렌즈모듈 본딩장치는 렌즈모듈의 렌즈조립체를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면서 접착제를 토출하여 별도의 고정노브 없이도 홀더에 렌즈조립체를 안정적으로 접착 고정시는 렌즈모듈 본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렌즈모듈(10)은 일반적으로 홀더(11)와, 홀더(11)에 내장되는 다수의 광학렌즈(13a~13d)와, 광학렌즈들(13a~13d) 사이에 개재되어 광학렌즈들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하는 스페이서(15a~15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홀더(11)에는 광학렌즈 외에도 적외선을 차단하는 적외선필터가 내장되기도 하고, 적외선필터가 스페이서의 역할을 겸하기도 한다. 여기서, 스페이서를 통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의 광학렌즈(적외선필터를 포함할 수 있음) 조립체를 렌즈조립체(13)라고 한다.
렌즈조립체(13)는 각 광학렌즈의 형상뿐만 아니라 광학렌즈(13a~13d) 상호 간의 평행 배열여부와, 광학렌즈(13a~13d) 상호 간의 이격거리 등에 의해 촬영되는 화상의 선명도, 색감, 명암 등이 결정되므로, 렌즈조립체(13)는 홀더(11) 내부에서 제 위치에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래서 렌즈모듈(10)의 렌즈조립체(13)는 접착제로 홀더(11)에 본딩하여 렌즈조립체가 홀더에 장기간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접착제를 홀더(11)와 렌즈조립체(13) 사이로 토출하는 작업에는 노즐이 사용된다.
노즐은 상부의 주입구를 통해 접착제를 주입받고, 하부의 배출구를 통해 주입된 접착제를 외부로 토출하는데, 일반적인 노즐은 배출구가 하부 중앙에 형성된다.
그래서 렌즈모듈(10)을 본딩하는데 사용하는 노즐은 배출구가 가늘고 길게 형성되고, 작업자가 노즐의 배출구를 홀더(11)와 렌즈조립체(13)의 결합부위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접착제가 결합부위에 토출되도록 한다.
이처럼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노즐을 이동시키면서 접착제를 토출하는 방식의 종래기술은 작업자의 세심한 주의가 요구되고, 접착제가 결합 부위 전체에 걸쳐 균등하게 토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접착제가 렌즈조립체(13) 내측에 토출되어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본딩 작업이 끝난 후에는 노즐의 내부 유로에 남아 있는 접착제를 제거하여 다음의 본딩 작업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는데, 종래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노즐은 내부의 접착제를 제거하기 쉽지 않다.
그리고 렌즈모듈(10)의 렌즈조립체(13)는 접착제로 홀더(11)에 본딩하여 렌즈조립체가 홀더에 장기간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데, 렌즈조립체(13)와 홀더(11) 사이에 직접 접착제를 토출하는 경우에는 렌즈조립체(13)를 구성하는 광학렌즈들(13a~13d)과 스페이서(15a~15c)들이 토출된 접착제가 경화되어 굳기 전까지 미세한 움직임도 없이 정확한 위치에 그대로 정지되어 있기 쉽지 않다.
그래서 종래기술에서는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홀더(11)에 렌즈조립체(13)를 삽입한 후에 홀더(11)에 고정노브(17)를 삽입하여 렌즈조립체(13) 위를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렌즈조립체(13)의 미세 움직임을 방지한 후에, 고정노브(17)에 접착제를 토출하여 고정노브(17)와 함께 홀더(11)와 렌즈조립체(13)를 고정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고정노브(17)를 사용하여 렌즈모듈(10)의 홀더(11)와 렌즈조립체(13)를 본딩하는 종래기술은 고정노브(17)가 별도로 필요하고, 고정노브(17)는 렌즈조립체(13)를 가압한 상태에러 밀리지 아니하도록 홀더(11)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되어야 하므로 고정노브(17)의 삽입 작업이 불편하고, 홀더(11)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되어 렌즈조립체(13)를 가압하는 고정노브(17)는 토출된 접착제가 경화되어 굳기까지 미세하게 움직일 위험이 완전히 제거된 것이 아니어서 본딩 작업된 렌즈모듈(10)의 불량품이 발생된다.
따라서, 제조원가의 상승과 제조공정의 추가를 가져오는 고정노브를 사용하지 아니하면서도 렌즈조립체를 홀더에 정확한 위치에 장기간 안정적으로 본딩하여 고정시킬 수 있고 불량품의 발생도 적은 렌즈모듈 본딩장치의 필요성이 강력하게 제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노즐을 사용할 때에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본딩 품질이 달라지는 문제와, 본딩 작업 완료 후에 노즐 내부 유로에 남아 있는 접착제를 제거하기 어려운 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렌즈모듈 본딩용 노즐로서, 한번의 토출로 정량의 접착제를 홀더와 렌즈조립체 결합 부위 전체에 균등하게 토출하고, 토출된 접착제가 렌즈조립체 내측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고, 본딘 작업 후에는 내부 유로에 남아 있는 접착제의 제거가 편리한 렌즈모듈 본딩용 노즐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이러한 노즐이 사용되는 본딩장치는 별도의 고정노브를 사용하지 아니하여 제조원가가 절감되고 작업 공정이 감축되어 생산성이 뛰어나고, 고정노브를 사용하지 아니하면서도 렌즈조립체를 홀더에 정위치에 안정적으로 본딩시켜 고정시켜 제품의 품질이 뛰어나고 불량품의 발생률이 현저하게 감소된 렌즈모듈 본딩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렌즈모듈 본딩용 노즐은
상부에서 내부로 형성되는 주입부와, 상기 주입부 단부에서 외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부를 포함하는 내부몸체와,
상기 내부몸체가 삽입결합되고, 내면과 상기 내부몸체의 외면 사이에 상기 관통부와 연결되는 배출부를 형성하는 외부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렌즈모듈의 홀더와 렌즈조립체 사이로 접착제를 토출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몸체의 외면에는 상기 관통부와 연결되는 배출홈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내부몸체의 외면에는 상기 관통부 하부로 외경이 짧아지는 단턱부가 형성되어 상기 배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내부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외부몸체의 하단 보다 돌출되고 상기 렌즈모듈의 렌즈조립체에 접촉되어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접착제가 렌즈조립체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모듈 본딩용 노즐은 한번의 토출로 접착제를 홀더와 렌즈조립체 전체에 정량으로 균등하게 토출하여 홀더와 렌즈조립체의 본딩 품질이 높고, 토출된 접착제는 렌즈조립체 내측으로 침투되는 것이 방지되어 접착제로 인해 렌즈모듈의 불량이 발생될 소지가 현격히 줄어들고, 본딩 작업 후에는 내부몸체와 외부몸체를 분리하여 유로에 남아 있는 접착제를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노즐이 사용되는 본딩장치는 렌즈모듈의 렌즈조립체를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여 임시 고정한 상태에서 접착제는 토출하여 렌즈조립체를 홀더에 본딩 고정시킴으로써 고정노브가 필요치 않고, 접착제가 경화되어 굳기 전까지 렌즈조립체를 가압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렌즈조립체의 고정이 완료 전에 렌즈조립체가 미세하게 움직여 불량이 발생할 소지가 적어, 제조원가를 절감하면서 생산성은 높이고 또한 렌즈모듈의 불량률도 현격하게 줄어든다.
도 1 은 고정노브가 사용되는 종래기술의 일례에 따른 렌즈모듈의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노즐이 사용된 렌즈모듈 본딩장치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수단의 렌즈모듈 가압 상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노즐의 사시도, 분해사시도, 단면도 및 접착제의 토출 상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례에 따른 노즐의 사시도, 분해사시도, 단면도 및 접착제의 토출 상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렌즈모듈 본딩용 노즐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노즐(20)이 사용되는 렌즈모듈 본딩장치는 도2 내지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디스펜서수단(D), 이동수단(M), 미세조절수단(R), 압력센서(P), 프레임(F), 지그(J)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컨트롤러, UV램프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면으로 특별히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렌즈모듈(10)의 본딩 작업시에 미세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렌즈모듈(10)에 침투되면 렌즈모듈(10)의 품질을 저하시키게 되므로 본딩장치는 외부와 차단된 공조실에 설치되고, 공조실에는 외부 공기를 필터를 통과시켜 이물질을 제거한 상태로 공조실로 공급하고 공조실 내부의 공기는 외부로 배출시키는 블로잉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F)에는 상기 이동수단(M), 디스펜서수단(D) 등이 설치되고, 상기 지그(J)가 올려진다.
상기 지그(J)는 상기 렌즈모듈(10)을 흔들림 없이 잡아주는 기구로서, 상기 렌즈모듈(10)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안착홈이 전후좌우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디스펜서수단(D)은 상기 지그(J)에 안착된 렌즈모듈(10)의 홀더(11) 내부로 접착제(1)를 토출하여 렌즈조립체(13)를 홀더(11)에 본딩하여 고정시키는 수단으로서, 접착제(1)가 수용 저장되는 저장용기(31)와, 저장용기(31)의 접착제(1)를 렌즈모듈(10)의 홀더(11)로 토출하는 노즐(20)과, 저장용기(31)의 접착제(1)가 노즐(20)로 정량씩 공급되도록 하는 밸브(33)와, 상기 저장용기(31)를 교체 가능하게 고정하는 브라켓(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디스펜서수단(D)은 본딩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도면은 2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밸브(33)는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온오프(개폐)가 제어되어, 렌즈모듈(10)마다 일정시간 동안 정량의 접착제(1)를 배출시킨다.
상기 노즐(20)은 주입되는 접착제(1)를 한 곳으로 치우침 없이 균등하게 분산하여 홀더(11)와 렌즈조립체(13) 사이로 토출시키고, 토출된 접착제(1)가 렌즈조립체(13)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노즐(2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상기 이동수단(M)은 상기 디스펜서수단(D)을 좌우로(X축 방향), 전후로(Y축 방향), 상하로(Z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디스펜서수단(D)의 노즐(20)이 렌즈모듈(10)의 홀더(11) 내부로 안정적으로 진입 및 후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수단(M)의 구동은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이동수단(M)은 디스펜서수단(D)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41)와, 전후로 이동시키는 전후이동부(43)와,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하강부(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승하강부(45)는 상기 좌우이동부(41)에 연결되는 연결판(451)과, 상기 연결판(451)에 구비되며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승하강레일(453)과, 상기 승하강레일(453)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승하강 이동하는 이동판(455)과, 상기 연결판(451)에 장착되며 상기 이동판(455)을 승하강 시키는 구동부(45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미세조절수단(R)은 상기 승하강부의 이동판과 상기 디스펜서수단(D)의 브라켓(35)을 연결하고, 상기 브라켓(35)을 좌우방향과 전후방향으로 미세하게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한다.
상기 미세조절수단(R)은 상기 브라켓(35)이 연결되는 본체(51)와, 상기 본체(51)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51)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회전으로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후조절레버(53)와,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좌우조절레버(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압력센서(P)는 상기 이동수단(M)의 승하강부에 의해 하강하는 상기 디스펜서수단(D)의 노즐(20)이 상기 렌즈모듈(10)의 렌즈조립체(13)를 가압하는 압력을 센싱하고, 센싱된 압력을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한다.
상기 압력센서(P)는 로드버튼(63)과, 상기 로드버튼(63)에 가해지는 하중에 비례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저항게이지를 포함하는 로드셀을 사용하였다. 상기 로드버튼(63)은 하우징(61)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로드버튼(63)이 눌려져 하중이 가해지면 하우징 내부의 저항게이지는 하중에 비례하여 저항값이 변화되고, 저항게이지는 변화한 저항값에 따라 달라진 전류(또는 전압)를 디지털 전기신호로 바꾸어 케이블(65)을 통해 컨트롤러로 전송한다.
상기 압력센서(P)로서 로드셀은 지지판(67)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판(67)은 상기 승하강부(45)의 연결판(451) 또는 승하강레일(453)에 연결되어, 상기 로드셀(P)은 상기 디스펜서수단(D)과 함께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되, 상하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로드셀(P) 하강하는 상기 디스펜서수단(D)에 연결된 가압판(69)에 의해 로드버튼(63)이 눌려져 하중을 받는다.
이하에서는 도4를 참조하여 구조를 개량한 본 발명에 따른 노즐(2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노즐(20)은 분리 가능하게 상호 조립결합되어 내외부에 배치되는 내부몸체(23)와 외부몸체(21)로 구성된다.
상기 노즐(20)은 하강하여 상기 렌즈모듈(10)의 홀더(11) 내부로 삽입되어 렌즈조립체(13)와 초기 접촉시에 렌즈조립체(13)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약간의 텐션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노즐(20)을 탄성체로 탄성지지하여 렌즈조립체(13)에 접촉시에 미세하게 밀리도록 하여 렌즈조립체(13)를 보호한다.
상기 내부몸체(23)에는 접착제(1)를 통과하는 유로로서, 상부에서 내부 소정위치까지 형성된 주입부(24)와, 상기 주입부(24) 내부 단부에서 외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부(25)를 갖고, 관통부(25)와 연결되는 외면 하부는 상기 외부몸체(21)의 내면과의 사이에 배출부(26)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관통부(25)는 다수개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접착제(1)를 외주연 전체로 분산하여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몸체(23)의 외면과 외부몸체(21)의 내면 사이의 배출부(26)는 상기 관통홀과 연결되도록 내부몸체(23) 외면에 배출홈(27)을 형성하여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내부몸체(23)의 관통홀 하부에 외경이 단턱부(28)를 두어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배출홈(27)을 배출부(26)로 사용하면 상기 단턱부(28)를 배출부(26)로 사용하는 것에 비해 접착제(1)가 신속하게 노즐(20) 외부로 배출되지만 렌즈조립체(13) 가장자리 전체에 접착제(1)가 본딩되기 어렵고, 반대로 상기 단턱부(28)를 배출부(26)로 사용하면 접착제(1)의 배출은 다소 느리지만 관통부(25)를 통과한 접착제(1)가 주변으로 퍼지면서 흘러내려 렌즈조립체(13) 가장자리 전체에 골고루 접착제(1)가 본딩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내부몸체(23)의 하부에는 상기 외부몸체(21)의 하단보다 돌출되고 상기 렌즈조립체(13) 표면에 접촉되어 내부몸체(23) 외면을 타고 흘러내린 접착제(1)가 렌즈조립체(13) 내부로 침투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돌출부(29)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외부몸체(21)는 상기 내부몸체(23)를 내부로 삽입 수용하고, 내면과 삽입 수용된 내부몸체(23)의 외면 사이에 접착제(1)가 흘러내리는 배출부(26)를 형성하고, 하부의 외면은 경사지고, 하단은 상기 내부몸체(23)의 하단 보다 위에 배치되어 배출부(26)를 통해 배출되는 접착제(1)가 렌즈모듈(10)의 홀더(11)와 렌즈조립체(13) 사이로 유입되도록 한다.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에 따른 노즐(70)을 도시한 것이다.
도5에 도시된 노즐(70)은 접착제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몸체(71)와, 상기 몸체(71) 하부에 연결되어 렌즈모듈(10)의 렌즈조립체(13) 표면을 가압하는 가압부재(77)와, 상기 가압부재(77) 외면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결합되고 상기 몸체(71) 하부에 연결되고 몸체(71)로부터 주입되는 접착제를 렌즈조립체(13)와 홀더(11) 사이로 토출하는 다수의 토출바늘(75)과, 상기 가압부재(77)와 토출바늘(75)을 상기 몸체(71)에 고정시키는 브라켓(7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부재(77)의 외면에는 상기 토출바늘(75)이 돌출되지 않도록 수용하는 수용홈(78)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토출바늘(75)의 하단보다 돌출되고 상기 렌즈조립체(13) 표면에 접촉되어 토출바늘(75)에서 토출된 접착제(1)가 렌즈조립체(13) 내부로 침투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돌출부(79)가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모듈(10) 본딩장치의 본딩 작업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렌즈모듈(10)이 안착된 지그(J)를 프레임(F) 위에 올려놓고, 이동수단(M)과 미세조절수단(R)을 통해 노즐(20)이 렌즈모듈(10)의 홀더(11) 내부로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세팅을 한다.
세팅이 완료된 후에 본딩장치를 가동시키면,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이동수단(M)이 디스펜서수단(D)을 전후, 좌우, 상하로 이동시켜 노즐(20)을 렌즈모듈(10)의 홀더(11)로 삽입시킨다.
하강하는 노즐(20)이 렌즈모듈(10)의 렌즈조립체(13)에 접촉되어 압력을 가하면 압력센서(P)로서 로드셀이 압력을 센싱하여 컨트롤러로 전송한다.
컨트롤러는 로드셀이 센싱하는 압력이 설정된 기준 압력에 도달합면 상기 이동수단(M)의 가동을 중지시킴과 동시에 디스펜서수단(D)을 가동시켜 정량의 접착제(1)를 노즐(20)을 통해 토출시킨다.
접착제(1)를 노즐(20)을 통해 홀더(11)와 렌즈조립체(13) 사이로 토출시킨 후에는 UV램프가 조사하는 UV가 접착제(1)를 경화시켜 홀더(11)와 렌즈조립체(13)가 안정적으로 본딩 고정되기까지 노즐(20)의 렌즈조립체(13) 가압상태를 유지시킨다.
접착제(1)의 경화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면 컨트롤러는 이동수단(M)을 가동시켜 서스펜서수단을 승강시켜 노즐(20)을 렌즈모듈(10)에서 이탈시키고, 다시 옆으로(또는 앞이나 뒤로) 이동시킨 후에 하강시켜 다른 렌즈모듈(10)의 홀더(11)로 노즐(20)을 삽입시킨 후에 위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지그(J)에 안착된 렌즈모듈(10) 모두에 대한 본딩 작업을 완료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렌즈모듈 본딩용 노즐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렌즈모듈
11 : 홀더 13 : 렌즈조립체
20 : 노즐
21 : 외부몸체 23 : 내부몸체
24 : 주입부 25 : 관통부
26 : 배출부 27 : 배출홈
28 : 단턱부
F : 프레임 J : 지그
D : 디스펜서수단
31 : 저장용기 33 : 밸브
35 : 브라켓
M : 이동수단
41 : 좌우이동부 43 : 전후이동부
45 : 승하강부 451 : 연결판
453 : 승하강레일 455 : 이동판
457 : 구동부
R : 미세조절수단
51 : 본체 53 : 전후조절레버
55 : 좌우조절레버
P : 압력센서(로드셀)
61 : 하우징 63 : 로드버튼
65 : 케이블 67 : 지지판
69 : 가압판

Claims (4)

  1. 삭제
  2. 상부에서 내부로 형성되는 주입부와, 상기 주입부 단부에서 외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부를 포함하는 내부몸체와,
    상기 내부몸체가 삽입결합되고, 내면과 상기 내부몸체의 외면 사이에 상기 관통부와 연결되는 배출부를 형성하는 외부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렌즈모듈의 홀더와 렌즈조립체 사이로 접착제를 토출하는 렌즈모듈 본딩용 노즐에 있어서,

    상기 내부몸체의 외면에는 상기 관통부와 연결되는 배출홈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모듈 본딩용 노즐.
  3. 상부에서 내부로 형성되는 주입부와, 상기 주입부 단부에서 외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부를 포함하는 내부몸체와,
    상기 내부몸체가 삽입결합되고, 내면과 상기 내부몸체의 외면 사이에 상기 관통부와 연결되는 배출부를 형성하는 외부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렌즈모듈의 홀더와 렌즈조립체 사이로 접착제를 토출하는 렌즈모듈 본딩용 노즐에 있어서,

    상기 내부몸체의 외면에는 상기 관통부 하부로 외경이 짧아지는 단턱부가 형성되어 상기 배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모듈 본딩용 노즐.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외부몸체의 하단 보다 돌출되고 상기 렌즈모듈의 렌즈조립체에 접촉되어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접착제가 렌즈조립체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모듈 본딩용 노즐.
KR1020120022761A 2012-03-06 2012-03-06 렌즈모듈 본딩용 노즐 KR101145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761A KR101145265B1 (ko) 2012-03-06 2012-03-06 렌즈모듈 본딩용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761A KR101145265B1 (ko) 2012-03-06 2012-03-06 렌즈모듈 본딩용 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5265B1 true KR101145265B1 (ko) 2012-05-23

Family

ID=46271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2761A KR101145265B1 (ko) 2012-03-06 2012-03-06 렌즈모듈 본딩용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526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6429A (ko) * 2004-08-17 2006-02-22 (주)엠텍코리아 소형 카메라 모듈의 포커싱 및 본딩을 위한 장치, 소형카메라 모듈 지지용 지그조립체 및 이들을 이용한 소형카메라 모듈의 포커싱 및 본딩 방법
KR20090109222A (ko) * 2008-04-15 2009-10-20 삼성전기주식회사 디스펜서
KR20100052816A (ko) * 2008-11-11 2010-05-20 (주) 에스에스피 듀얼 디스펜서를 가지는 카메라모듈 제작용 디스펜싱 장치와 이를 이용한 디스펜싱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6429A (ko) * 2004-08-17 2006-02-22 (주)엠텍코리아 소형 카메라 모듈의 포커싱 및 본딩을 위한 장치, 소형카메라 모듈 지지용 지그조립체 및 이들을 이용한 소형카메라 모듈의 포커싱 및 본딩 방법
KR20090109222A (ko) * 2008-04-15 2009-10-20 삼성전기주식회사 디스펜서
KR20100052816A (ko) * 2008-11-11 2010-05-20 (주) 에스에스피 듀얼 디스펜서를 가지는 카메라모듈 제작용 디스펜싱 장치와 이를 이용한 디스펜싱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0803B1 (ko) 렌즈모듈 본딩장치
US11607847B2 (en) Stereolithography apparatus with a container assembly
KR101927595B1 (ko) 다이 헤드 및 도공액 도포 방법
KR20120082338A (ko) 수지 도포 장치
KR101145265B1 (ko) 렌즈모듈 본딩용 노즐
TW201302317A (zh) 電糊塗布頭、電糊塗布裝置及電糊塗布方法
KR102188503B1 (ko)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KR101190639B1 (ko) 콘택트렌즈 성형용 주형몰드 공급장치
CN209901625U (zh) Lcd显示屏点胶装置
JP2013001446A (ja) 固形化粧料の製造装置
JP5836757B2 (ja) 板状物の研削方法
CN205353030U (zh) 一种气体自动进样器
KR20180077928A (ko) 기판-글래스 합착 방법
KR101674003B1 (ko) 정전기방지 필름 숙성장치 및 방법
KR102388619B1 (ko)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30108714A (ko) 절단 파이프 세척장치
KR102021940B1 (ko) 잔류염소 농도 측정기용 시약 주입 장치
TW201509601A (zh) 光纖頭研磨裝置
TW202003156A (zh) 半導體封裝件研磨機的研磨厚度調節裝置及方法
KR200417737Y1 (ko) 필터 조립시스템의 트랜스퍼 유닛구조
KR20140100838A (ko) 액정적하장치 및 액정적하장치의 이상 토출 감지 방법
KR102341789B1 (ko)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슬라이딩 부착장치
KR101474905B1 (ko)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의 합착장치
KR101499383B1 (ko) 틀니 성형장치
KR200417735Y1 (ko) 필터 조립시스템의 착탈식 흡착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