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1789B1 -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슬라이딩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슬라이딩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1789B1
KR102341789B1 KR1020200084723A KR20200084723A KR102341789B1 KR 102341789 B1 KR102341789 B1 KR 102341789B1 KR 1020200084723 A KR1020200084723 A KR 1020200084723A KR 20200084723 A KR20200084723 A KR 20200084723A KR 102341789 B1 KR102341789 B1 KR 102341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smart device
base frame
protection member
display pro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4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용
차명진
권빈희
Original Assignee
(주)화이트스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이트스톤 filed Critical (주)화이트스톤
Priority to KR1020200084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17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5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way of applying the adhesive
    • B29C65/527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way of applying the adhesive by gravity only, e.g. by po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02Position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aligning, indexing or cent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슬라이딩 부착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슬라이딩 부착장치는, 스마트 기기가 탈착 결합되는 제1 공간부가 마련된 하부 지그; 및 제1 공간부와 대응되는 제2 공간부가 마련되어 상기 하부 지그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상부 지그를 포함하고, 상부 지그에는 일측부에서 타측부로 경사지게 마련되며 디스플레이 보호부재가 지지되는 지지면부가 마련되고, 상부 지그에는 가압 부재가 마련되며, 가압 부재는 상부 지그를 하부 지그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시 스마트 기기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의 방향으로 가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슬라이딩 부착장치{DISPLAY PROTECTOR SLIDING TYPE ADHERING APPARATUS FOR SMART DEVICE}
본 발명은,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상 점착제 부착방식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액상 점착제 이동에 의한 부착 불량을 감소할 수 있고, 부착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슬라이딩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기기(Mobile / Tablet)는 고가의 제품으로 전면에 평면(Flat) 또는 2.5D, 3D 커버 글래스(Cover Glass)를 적용하여 터치 패널(Touch Panel)을 보호하고 있는 구조이다.
이러한 커버 글래스는 물리적 충격, 또는 낙하 등의 요인에 의하여 손상 또는 파손될 수 있다.
커버 글래스가 손상 또는 파손되어 수리할 경우 스마트기기의 약 30~40% 수준의 비용이 소요되며, 수리를 위하여 적게는 2시간 내지 2일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외관이 좋지 않으며, 표면이 날카로워 부상 및 동작 불량을 유발할 수 있다.
액상 점착제를 이용하여 커버 글래스를 부착하는 방식은 부착자의 숙련도 및 부착방법에 따라 기포 등 부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착 불량을 내재하고 있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35053호(주식회사 화이트스톤) 2019. 10. 16.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액상 점착제 부착방식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액상 점착제 이동에 의한 부착 불량을 감소할 수 있고, 부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슬라이딩 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가 탈착 결합되는 제1 공간부가 마련된 하부 지그; 및 상기 제1 공간부와 대응되는 제2 공간부가 마련되어 상기 하부 지그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상부 지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지그에는 일측부에서 타측부로 경사지게 마련되며 디스플레이 보호부재가 지지되는 지지면부가 마련되고, 상기 상부 지그에는 가압 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상부 지그를 상기 하부 지그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시 상기 스마트 기기에 부착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상기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의 방향으로 가압시키는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슬라이딩 부착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지그는, 상기 하부 지그의 상면부에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제1 공간부가 마련되는 상부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서 상기 하부 지그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 지그의 측벽에 지지되는 복수의 가이드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 돌기는 상기 상부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부 중앙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지그는, 상기 상부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부에 마련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지그는, 상기 상부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하부 지그의 상면부가 접하는 영역을 일부 절개하여 마련되어 상기 상부 지그의 슬라이딩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제1 절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지그는, 상기 상부 베이스 프레임이 상면부에 슬라이딩 이동되는 하부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하부 베이스 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하부 베이스 프레임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지지 다리는 상기 가이드바와 같은 높이로 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지그는, 상기 제1 공간부가 마련된 상기 하부 베이스 프레임의 측벽에 마련되어 상기 제1 공간부로 삽입 결합되는 상기 스마트 기기를 얼라인하여 가이드 하는 복수의 제1 얼라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지그는, 상기 복수의 제1 얼라인부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부 베이스 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부착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보호부재의 얼라인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제2 얼라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지그에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부착시키는 점착제를 공급하는 점착제 토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토출부는, 상기 점착제가 통과되는 토출홀이 마련되는 토출 바디; 및 상기 토출 바디의 양측에 마련되어 상기 상부 지그에 마련된 제1 결합홈에 탈착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 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토출부는, 상기 토출홀에 탈착 결합되며 상기 점착제가 저장되는 점착제 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지그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 지그로 흘러내리는 점착제를 흡수하는 흡수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부 지그에는 일측부에서 타측부로 경사지게 마련되며 디스플레이 보호부재가 지지되는 지지면부가 마련되고, 상부 지그에 마련되는 가압 부재에 의해 상부 지그를 하부 지그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시 스마트 기기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의 방향으로 가압시킴으로써 액상 점착제 부착방식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액상 점착제 이동에 의한 부착 불량을 감소할 수 있고, 부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슬라이딩 부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배면 사시도로써 점착제 토출부의 점착제 용기가 제외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개략적인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하부 지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상부 지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예의 작동도로써 스마트 기기를 하부 지그에 결합시킨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 예의 작동도로써 하부 지그에 스마트 기기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 지그를 하부 지그에 슬라이딩 결합시킨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실시 예의 작동도로써 점착제 토출부를 이용하여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접착제를 떨어트린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실시 예의 작동도로써 상부 지그에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지지시킨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실시 예의 작동도로써 상부 지그를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스마트 기기의 상부에 부착시킨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실시 예에서 스마트 기기는 스마트폰(Mobile)이나 태블릿(Tablet)을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는 평면(Flat) 또는 2.5D, 3D 커버 글래스(Cover Glass)나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슬라이딩 부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배면 사시도로써 점착제 토출부의 점착제 용기가 제외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개략적인 좌측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하부 지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상부 지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실시 예의 작동도로써 스마트 기기를 하부 지그에 결합시킨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슬라이딩 부착장치(1)는, 스마트 기기(M)가 탈착 결합되는 제1 공간부(S1)가 마련된 하부 지그(100)와, 제1 공간부(S1)와 대응되는 제2 공간부(S2)가 마련되어 하부 지그(100)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상부 지그(200)와, 상부 지그(200)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보호부재(P)를 부착시키는 점착제를 공급하는 점착제 토출부(300)와, 하부 지그(100)에 결합되어 하부 지그(100)로 흘러내리는 점착제를 흡수하는 흡수 부재(400)를 구비한다.
하부 지그(100)는, 상부 지그(200)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베이스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의 저면부에 마련되어 하부 프레임을 바닥으로부터 이격 시키는 복수의 지지 다리(120)와, 제1 공간부(S1)가 마련된 하부 베이스 프레임(110)의 내벽에 마련되어 제1 공간부(S1)로 삽입되는 스마트 기기(M)의 얼라인을 가이드하는 제1 얼라인부(130)와, 제1 얼라인부(13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하부 베이스 프레임(110)에 마련되어 스마트 기기(M)의 디스플레이부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보호부재(P)의 얼라인을 가이드하는 제2 얼라인부(140)를 포함한다.
하부 지그(100)의 하부 베이스 프레임(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제1 공간부(S1)가 마련된 사각형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하부 프레임의 세로 방향 상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결합홈(111)이 마련되고, 이 제1 결합홈(111)에는 흡수 부재(400)가 탈착 가능하게 끼워 맞춤 또는 접착제를 포함하는 부착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하부 지그(100)의 복수의 지지 다리(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베이스 프레임(110)의 네 모서리와, 네 모서리 사이의 중앙에 마련되어 하부 베이스 프레임(110)을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하부 지그(100)의 제1 얼라인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간부(S1)가 마련된 하부 베이스 프레임(110)의 내벽에 마련되어 제1 공간부(S1)로 삽입되어 끼워 맞춤 결합되는 스마트 기기(M)의 얼라인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얼라인부(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을 기준으로 하부가 뾰족하게 돌출된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하부 베이스 프레임(110)과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하부 지그(100)의 제2 얼라인부(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면부에 돌출되게 마련되어 스마트 기기(M)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보호부재(P)의 얼라인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얼라인부(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베이스 프레임(110)의 세로 방향 상부와 하부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하부 베이스 프레임(110)의 세로 방향 상부에 마련되는 한 쌍의 제2 얼라인부(140)는 그 하부에 마련되는 한 쌍의 제2 얼라인부(140)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하부 베이스 프레임(110)의 하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얼라인부(140)와 근접된 영역에는 한 쌍의 절개홈이 이격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절개홈에는 무게부가 탈착 가능하게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고, 이 무게부는 초음파 지문인식 모델의 스마트 기기(M)에 디스플레이 보호부재(P)를 부착 시 디스플레이 보호부재(P)를 가압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지그(200)의 가압 부재(240)를 디스플레이 보호부재(P)를 스마트 기기(M)의 디스플레이부 방향으로 먼저 가압한 후 무게부의 일측부를 한 쌍의 절개홈에 결합시킨 후 타측부로 디스플레이 보호부재(P)를 가압할 수 있다.
상부 지그(200)는, 하부 지그(10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보호부재(P)를 스마트 기기(M)의 디스플레이부로 하강시킴과 아울러 점착제 토출부(300)의 결합 장소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부 지그(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제2 공간부(S2)가 마련된 상부 베이스 프레임(210)과, 상부 베이스 프레임(210)의 저면부에 마련되어 하부 베이스 프레임(110)의 측벽에 지지되는 복수의 가이드바(220)와, 상부 베이스 프레임(210)에 마련되어 디스플레이 보호부재(P)를 지지하는 지지면부(230)와, 상부 베이스 프레임(210)에 마련되어 상부 베이스 프레임(210)의 슬라이딩 이동 시 디스플레이 보호부재(P)를 스마트 기기(M)의 디스플레이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240)와, 상부 베이스 프레임(210)의 상면부에 마련되는 손잡이(250)와, 가압 부재(240)가 마련된 영역의 상부 베이스 프레임(210)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단턱부(260)를 포함한다.
상부 지그(200)의 상부 베이스 프레임(2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제2 공간부(S2)가 마련된 사각형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부 베이스 프레임(210)의 상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결합홈(211)이 마련되고, 제2 결합홈(211)에는 점착제 토출부(300)의 결합 다리(320) 탈착 가능하게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상부 베이스 프레임(210)의 일측부 즉, 가압 부재(240)가 마련된 영역의 상부 베이스 프레임(21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절개부(212)와 제2 절개부(213)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절개부(212)는 상부 베이스 프레임(210)과 하부 지그(100)의 상면부가 접하는 영역을 일부 절개하여 마련되어 상부 지그(2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절개부(213)는 제1 절개부(212)가 마련된 상부 베이스 프레임(210)의 영역을 상부 방향으로 절개하여 마련될 수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이격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제2 절개부(213)는 상부 지그(200)의 슬라이딩 이동 시 도 2를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얼라인부(140)의 이동 통로로 제공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가압 부재(240)가 마련된 영역과 대향되는 영역의 상부 베이스 프레임(21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절개부(214)가 마련된다. 본 실시 예에서 제3 절개부(21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지그(200)를 하부 지그(100)에 끝까지 슬라이딩 결합 시 한 쌍의 제2 얼라인부(140)에 지지되어 상부 지그(20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할수 있다.
상부 지그(200)의 가이드바(2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베이스 프레임(210)의 저면부에 마련되며 하부 베이스 프레임(110)의 측벽에 지지되어 상부 베이스 프레임(21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가이드바(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베이스 프레임(210)의 저면부 모서리에 네개가 마련될 수 있고, 복수의 지지 다리(120)와 하단부 높이가 같게 마련될 수 있다.
상부 지그(200)의 지지면부(2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베이스 프레임(210)의 내벽에 일측부에서 타측부로 경사지게 마련되어 디스플레이 보호부재(P)를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지지면부(230)에 디스플레이 보호부재(P)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부 지그(200)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지지면부(230)에 지지된 디스플레이 보호부재(P)는 지지면부(230)로부터 스마트 기기(M)의 디스플레이부로 떨어진다(도 11 참고). 이때 디스플레이 보호부재(P)는 지지면부(230)의 경사가 낮은 부분에서 먼저 떨어지고, 지지면부(230)가 경사져 있어 디스플레이 보호부재(P)는 완만하게 낙하되므로 기포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지지면부(230)는 상부 베이스 프레임(210)의 내벽에 한 쌍이 마련될 수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부재(240)와 근접된 영역의 경사가 가장 낮고 가압 부재(240)와 멀어질수록 경사가 높아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부 지그(200)의 가압 부재(2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절개부(212)가 마련된 영역의 상부 베이스 프레임(210)에 마련되어 상부 지그(200)가 하부 지그(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시 상부 지그(200)에서 떨어지는 디스플레이 보호부재(P)를 스마트 기기(M)의 디스플레이부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가압 부재(2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베이스 프레임(210)의 중앙에 하부로 납작하게 돌출된 돌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부 지그(200)의 손잡이(2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베이스 프레임(210)의 상면부에 마련되며 사용자는 손잡이(250)를 잡고 상부 지그(200)를 일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손잡이(250)는 상부 베이스 프레임(210)과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되어 상부 베이스 프레임(210)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될 수도 있다.
상부 지그(200)의 단턱부(26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부재(240)가 마련된 영역의 상부 베이스 프레임(210)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단턱부(260) 또는 손잡이(250)를 선택적으로 잡고 상부 지그(200)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점착제 토출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베이스 프레임(210)에 결합되어 스마트 기기(M)의 디스플레이부로 액상의 점착제를 떨어트릴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점착제 토출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제가 통과되는 토출홀(311)이 마련되는 토출 바디(310)와, 토출 바디(310)의 양측에 마련되어 상부 지그(200)에 마련된 제1 결합홈(111)에 탈착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 다리(320)와, 토출홀(311)에 탈착 결합되며 내부에 액상의 점착제가 저장되는 점착제 용기(330)를 포함한다.
점착제 토출부(300)의 토출 바디(3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부 베이스 프레임(210)의 세로 방향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점착제가 스마트 기기(M)의 디스플레이부의 중앙에 토출되므로 점착제 부착 시작점의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흡수 부재(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베이스 프레임(110)에 마련된 한 쌍의 제1 결합홈(111)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보호부재(P)를 스마트 기기(M)의 디스플레이부에 부착시 흘러내리는 액상의 점착제를 흡수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흡수 부재(400)는 스펀지를 포함하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고, 제1 결합홈(111)에 끼워 맞춤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도 8은 본 실시 예의 작동도로써 하부 지그(100)에 스마트 기기(M)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 지그(200)를 하부 지그(100)에 슬라이딩 결합시킨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실시 예의 작동도로써 점착제 토출부(300)를 이용하여 스마트 기기(M)의 디스플레이부에 접착제를 떨어트린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실시 예의 작동도로써 상부 지그(200)에 디스플레이 보호부재(P)를 지지시킨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실시 예의 작동도로써 상부 지그(200)를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디스플레이 보호부재(P)를 스마트 기기(M)의 상부에 부착시킨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실시 예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보호부재(P)를 스마트 기기(M)의 디스플레이부에 부착하는 과정을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기기(M)를 하부 지그(100)에 삽입시켜 하부 지그(100)에 결합시킨다. 이때, 스마트 기기(M)의 얼라인은 하부 지그(100)에 마련된 복수의 제1 얼라인부(130)(도 2 참고)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기기(M)는 하부 지그(100)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결합될 수도 있고, 그 반대로 결합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지그(200)를 하부 지그(100)의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시킨다. 이때, 점착제 토출부(300)는 상부 지그(200)에 같이 결합되어 이동될 수도 있고, 상부 지그(200)를 하부 지그(100)에 결합시킨 후에 상부 지그(2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그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 용기에 저장된 액상의 점착제를 스마트 기긱의 디스플레이부의 상부에 떨어트린 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지그(200)의 지지면부(230)에 디스플레이 보호부재(P)를 올려놓는다.
이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지그(200)를 좌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디스플레이 보호부재(P)의 좌측부가 먼저 스마트 기기(M)의 디스플레이부에 접촉되도록 하강되고, 계속해서 상부 지그(200)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보호부재(P)는 스마트 기기(M)의 디스플레이부의 상면부에 안착되어 디스플레이부에 부착된다.
마지막으로, 경화 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보호부재(P)를 스마트 기기(M)의 디스플레이부에 경화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슬라이딩 부착장치
100 : 하부 지그 110 : 하부 베이스 프레임
111 : 제1 결합홈 120 : 지지 다리
130 : 제1 얼라인부 140 : 제2 얼라인부
200 : 상부 지그 210 : 상부 베이스 프레임
211 : 제2 결합홈 212 : 제1 절개부
213 : 제2 절개부 214 : 제3 절개부
220 : 가이드바 230 : 지지면부
240 : 가압 부재 250 : 손잡이
260 : 단턱부 300 : 점착제 토출부
310 : 토출 바디 311 : 토출홀
320 : 결합 다리 330 : 점착제 용기
400 : 흡수 부재 M : 스마트 기기
P :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S1 : 제1 공간부
S2 : 제2 공간부

Claims (13)

  1. 스마트 기기가 탈착 결합되는 제1 공간부가 마련된 하부 지그; 및
    상기 제1 공간부와 대응되는 제2 공간부가 마련되어 상기 하부 지그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상부 지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지그에는 일측부에서 타측부로 경사지게 마련되며 디스플레이 보호부재가 지지되는 지지면부가 마련되고,
    상기 상부 지그에는 가압 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상부 지그를 상기 하부 지그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시 상기 스마트 기기에 부착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상기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의 방향으로 가압시키고,
    상기 상부 지그는, 상기 하부 지그의 상면부에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제1 공간부가 마련되는 상부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상부 베이스 프레임에서 상기 하부 지그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 지그의 측벽에 지지되는 복수의 가이드바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지그는, 상기 상부 베이스 프레임이 상면부에 슬라이딩 이동되는 하부 베이스 프레임; 상기 하부 베이스 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하부 베이스 프레임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다리; 상기 제1 공간부가 마련된 상기 하부 베이스 프레임의 측벽에 마련되어 상기 제1 공간부로 삽입 결합되는 상기 스마트 기기를 얼라인하여 가이드 하는 복수의 제1 얼라인부 및 상기 복수의 제1 얼라인부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부 베이스 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부착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보호부재의 얼라인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제2 얼라인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슬라이딩 부착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상부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부 중앙에 마련되는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슬라이딩 부착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그는,
    상기 상부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부에 마련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슬라이딩 부착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그는,
    상기 상부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하부 지그의 상면부가 접하는 영역을 일부 절개하여 마련되어 상기 상부 지그의 슬라이딩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제1 절개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슬라이딩 부착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 다리는 상기 가이드바와 같은 높이로 지면을 지지하는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슬라이딩 부착장치.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그에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부착시키는 점착제를 공급하는 점착제 토출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슬라이딩 부착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토출부는,
    상기 점착제가 통과되는 토출홀이 마련되는 토출 바디; 및
    상기 토출 바디의 양측에 마련되어 상기 상부 지그에 마련된 제1 결합홈에 탈착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 다리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슬라이딩 부착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토출부는,
    상기 토출홀에 탈착 결합되며 상기 점착제가 저장되는 점착제 용기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슬라이딩 부착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그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 지그로 흘러내리는 점착제를 흡수하는 흡수 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슬라이딩 부착장치.

















KR1020200084723A 2020-07-09 2020-07-09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슬라이딩 부착장치 KR102341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723A KR102341789B1 (ko) 2020-07-09 2020-07-09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슬라이딩 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723A KR102341789B1 (ko) 2020-07-09 2020-07-09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슬라이딩 부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1789B1 true KR102341789B1 (ko) 2021-12-22

Family

ID=79164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723A KR102341789B1 (ko) 2020-07-09 2020-07-09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슬라이딩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178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144B1 (ko) * 2011-10-18 2012-04-16 박광준 휴대폰용 보호 필름 부착장치
KR102035053B1 (ko) 2017-08-04 2019-10-22 (주)화이트스톤 스마트 기기의 액정화면 보호부재 부착장치 및 부착방법
KR20200017320A (ko) * 2018-08-08 2020-02-18 (주)화이트스톤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144B1 (ko) * 2011-10-18 2012-04-16 박광준 휴대폰용 보호 필름 부착장치
KR102035053B1 (ko) 2017-08-04 2019-10-22 (주)화이트스톤 스마트 기기의 액정화면 보호부재 부착장치 및 부착방법
KR20200017320A (ko) * 2018-08-08 2020-02-18 (주)화이트스톤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08100B1 (ja) スマートデバイスの液晶画面の保護部材の付着装置およびその付着方法
KR102341789B1 (ko)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슬라이딩 부착장치
CN107620757A (zh) 贴泡棉装置及贴泡棉方法
KR101718701B1 (ko) 자동차용 배터리 커버 교정장치
CN109229524B (zh) 电子产品贴膜装置和贴膜方法
KR102188503B1 (ko)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CN106363918B (zh) 手机电池、显示屏支撑板贴合辅助治具
CN210411390U (zh) 滑动片的高速点胶机
KR102455420B1 (ko)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KR20180077928A (ko) 기판-글래스 합착 방법
KR101945861B1 (ko)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및 부착방법
CN207421066U (zh) 贴泡棉装置
KR102318351B1 (ko)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반자동 부착장치
KR102318350B1 (ko)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자동부착장치
TW200611054A (en) Optical device, proj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optical device
CN210853054U (zh) 一种药品分装引导机构
ATE263727T1 (de) Flugzeugbeladevorrichtung
CN219750284U (zh) 一种滴眼液用铝塑包装机
CN216469183U (zh) 一种具有防护结构的塑料托盘
KR102362895B1 (ko) 폴더블 폰용 보호필름 부착 지그
CN211077447U (zh) 一种基于视觉的扬声器点胶机器人的自动上下料机构
CN218536190U (zh) 一种玩具画板
KR101644006B1 (ko) 백라이트유닛 조립장치에 적용되는 집진장치
KR101299631B1 (ko) 테이프 부착장치
KR20180077929A (ko) 기판-글래스 합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