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8503B1 -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8503B1
KR102188503B1 KR1020190004720A KR20190004720A KR102188503B1 KR 102188503 B1 KR102188503 B1 KR 102188503B1 KR 1020190004720 A KR1020190004720 A KR 1020190004720A KR 20190004720 A KR20190004720 A KR 20190004720A KR 102188503 B1 KR102188503 B1 KR 102188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rotection member
smart device
display protection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4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7320A (ko
Inventor
조성호
김중기
차명진
정재용
Original Assignee
(주)화이트스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이트스톤 filed Critical (주)화이트스톤
Publication of KR20200017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29C63/04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by folding, winding, bending or the like
    • B29C63/044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by folding, winding, bending or the like continu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8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29C35/080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5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way of applying the adhesi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를 보호하는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부착장치를 통해 간편하고 실수 없이 디스플레이에 부착한 후 경화시킬 수 있도록 한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스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양 측면을 따라 가이드가 형성되며 일측부에 핀 결합부가 마련된 본체; 본체의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되는 측면 돌출부가 마련되며 그 중심부에 점착 조성물의 토출 위치를 결정하는 토출홀이 마련되는 슬라이딩바; 및 핀 결합부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보호부재가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상부에 놓여질 때 디스플레이 보호부재의 일측을 디스플레이와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DISPLAY PROTECTOR ADHERING APPARATUS FOR A SMART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를 보호하는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부착장치를 통해 간편하고 실수 없이 디스플레이에 부착한 후 경화시킬 수 있도록 한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기기(Mobile / Tablet)는 고가의 제품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에 플랫(Flat) 또는 2.5D, 3D 커버 글래스(Cover Glass)를 적용하여 터치 패널(Touch Panel)을 보호하고 있는 구조이다. 이러한 커버 글래스는 물리적 충격 또는 낙하 등의 요인에 의하여 손상 또는 파손될 위험이 높다.
커버 글래스가 손상 또는 파손되어 수리할 경우 스마트 기기의 약 30~40% 수준의 비용이 소요되며, 수리를 위하여 적게는 2시간 내지 2일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외관이 좋지 않으며, 표면이 날카로워 부상 및 동작 불량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 기기의 커버 글래스가 손상 또는 파손될 경우 고가의 수리 비용으로 인하여 전술한 불편함, 위험성을 감수하고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하고, 스크래치 등의 적은 손상은 무시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일반 소비자도 손쉽게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손쉽게 보호 글래스나 보호 필름을 부착할 수 있는 개선책이 요구된다.
또한 스마트 기기의 대리점 등 도소매업자의 경우 스마트 기기의 판매 시 보호 글래스나 보호 필름 등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서비스로 부착시켜주는 경우가 많아 수요가 많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도 요구된다.
특히 하나의 기기에서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부착함과 아울러 경화 작업을 할 수 있는 새로운 개선책이 요구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6-0022755호(주식회사 화이트스톤) 2016. 03. 02.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를 보호하는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부착장치를 통해 간편하고 실수 없이 디스플레이에 부착한 후 경화시킬 수 있도록 한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양 측면을 따라 가이드가 형성되며 일측부에 핀 결합부가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의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되는 측면 돌출부가 마련되며 그 중심부에 점착 조성물의 토출 위치를 결정하는 토출홀이 마련되는 슬라이딩바; 및 상기 핀 결합부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보호부재가 상기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상부에 놓여질 때 상기 디스플레이 보호부재의 일측을 상기 디스플레이와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핀을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양 측면을 따라 가이드가 형성되며 일측부에 핀 결합부가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의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되는 측면 돌출부가 마련된 슬라이딩바; 및 상기 핀 결합부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보호부재가 상기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상부에 놓여질 때 상기 디스플레이 보호부재의 일측을 상기 디스플레이와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핀을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점착 조성물이 내장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로 내장된 조성물을 토출하는 점착제 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보호부재와 디스플레이 사이의 점착 조성물을 자외선을 포함하는 열매체를 이용하여 경화시키는 경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슬라이딩바의 위치를 특정시켜 점착 조성물의 토출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돌출부는 상하로 돌출되며 일측은 슬라이딩을 위한 블레이드로 사용되고 타측은 상기 위치 설정부에 고정되는 결합부가 구성되며, 상기 위치 설정부는 상기 결합부에 대응되는 홈일 수 있다.
상기 측면 돌출부는 하부로 돌출되며 상기 측면 돌출부와 근접되는 영역의 상기 슬라이딩바에는 복수의 지지홈이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딩바의 이동 시 상기 복수의 지지홈은 상기 가이드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핀에는 이탈 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슬라이딩바가 상기 본체의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 최종적으로 상기 핀의 이탈 부재와 충돌되어 상기 핀을 이탈시킬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바에는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슬라이딩바의 슬라이딩 시 상기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및 방법은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를 보호하는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동작하는 부착장치를 통해 간편하고 실수 없이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부착하고 경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을 이용하여 스마트 기기에 점착 조성물을 토출하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점착 조성물 토출 후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부착하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과정을 통해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부착하는 경우 점착 조성물의 확산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과정을 통해 점착 조성물이 확산된 후 이를 경화시키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본체 및 하판에 스마트 기기가 수용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보호부재가 핀에 의해 지지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보호부재(D)는 보호 글래스나 보호 필름를 포함하고, 평면 표시영역뿐만 아니라 곡면 표시영역을 갖는 디스플레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보호부재(D)는 전체적으로 납작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가장자리가 굴곡지게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D) 부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기기(S)를 감싸도록 구성되며 스마트 기기(S)의 디스플레이 양 측면을 따라 가이드(11)가 형성되며 스마트 기기(S)의 디스플레이 일측에 대응하는 부분에 핀 결합부(12)가 구성된 본체(10)와, 디스플레이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고 본체(10)의 가이드(11)를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는 측면 돌출부(21)가 구성되며, 그 중심부에 점착 조성물 토출 위치를 결정하는 토출홀(22)을 포함하는 슬라이딩바(20)와, 본체(10)의 핀 결합부(12)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보호부재(D)가 스마트 기기(S)의 디스플레이 상부에 놓여질 때 디스플레이 보호부재(D)의 일측을 디스플레이와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핀(30)을 포함한다.
한편, 점착 조성물을 내장하며 슬라이딩바(20)의 토출홀(22)에 결합되어 내장된 조성물을 토출하는 점착제 용기(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점착 조성물은 광 중합 또는 열 중합 방식으로 경화될 수 있고, 자외선(UV) 중합성 올리고머 및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 중합성 올리고머는 변성아크릴계 올리고머, 폴리에스테르계 올리고머, 에폭시계 올리고머, 우레탄계 올리고머, 폴리에테르계 올리고머, 폴리아크릴계 올리고머, 실리콘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광중합 개시제는 벤조인 에테르계 화합물, 아민류 화합물, 알파 하이드록시 케톤(a-hydroxy ketone)계 화합물, 페닐 글리옥실레이트(phenyl glyoxylate)계 화합물, 아크릴 포스파인 옥사이드파 (acyl phosphineoxide)계 화합물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체(10)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보호부재(D)와 디스플레이 사이의 점착 조성물을 자외선을 포함하는 열매체를 이용하여 경화시키는 경화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화부(50)는 UV(자외선)를 이용하거나 열을 제공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V를 이용하는 경화부(50) 내부에 UV 램프를 마련할 수 있고, 열을 이용하는 경우 경화부(50) 내부에 히팅 코일 등의 가열 수단을 마련할 수 있다.
본체(10)에는 슬라이딩바(20)의 위치를 특정시켜 점착 조성물의 토출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설정부(13)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홈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슬라이딩바(20)의 측면 돌출부(21)는 상하로 돌출되며 일측은 슬라이딩을 위한 블레이드로 사용되고 타측은 본체(10)의 위치 설정부(13)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슬라이딩바(20)를 뒤집어서 본체(10)의 위치 설정부(13)에 결합하면 정확한 점착 조성물 토출 위치를 유지하는 브릿지 구조가 되고, 슬라이딩바(20)를 다시 뒤집으면 본체(10)의 가이드(11)에 대응 배치되며, 이를 슬라이딩하면 디스플레이 보호부재(D)를 스마트 기기(S)의 디스플레이에 부착할 수 있다.
핀(30)에는 이탈을 위한 이탈 부재(31)가 포함되며, 슬라이딩바(20)가 본체(10)의 가이드(11)를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하면 최종적으로 핀(30)의 이탈 부재(31)와 충돌하여 핀(30)을 이탈시킬 수 있다.
한편, 슬라이딩바(20)의 중앙 토출홀(22)을 포함하는 일부 영역은 슬라이딩 시 디스플레이 보호부재(D) 가압을 위해 돌출된 돌출부(23)를 구성할 수 있으며, 그 가압이 너무 강하지 않도록 본체(10)의 가이드(11)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된 구성에서 본체(10)의 가이드(11)는 본체(10)의 양 끝단에 형성된 경사부를 가진 영역일 수 있다.
스마트 기기(S)와 본체(10)는 하판(60) 상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하판(60) 없이 임의의 평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를 이용한 실제 디스플레이 보호부재(D) 부착 과정을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을 이용하여 스마트 기기(S)에 점착 조성물을 토출하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기기(S)의 디스플레이 표면에서 이물질을 제거한 후 스마트 기기(S)에 본체(10)를 결합한다(도 2a).
스마트 기기(S)에 본체(10)를 결합한 후 핀(30)을 본체(10)의 핀 결합부(12)에 결합한다. 이 때 필요하다면 스마트 기기(S)의 측면과 본체(10)의 측면 부분 이격 영역을 채우는 보강 부재를 더 적용할 수 있으며, 도시된 도면에서는 이러한 측면 보강 부재를 디스플레이 양 측면에 적용하였다(도 2b).
슬라이딩바(20)를 뒤집어서 본체(10)의 위치 설정부(13)인 홈에 끼워 점착 조성물 토출 위치를 설정한다(도 2c).
슬라이딩바(20)의 중앙에 형성된 토출홀(22)에 점착 조성물이 담겨 있는 점착제 용기(40)를 결합한 후 용기를 조작하여 점착 조성물을 스마트 기기(S)의 디스플레이에 토출한다(도 2d).
도 3은 점착 조성물 토출 후 디스플레이 보호부재(D)를 부착하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 조성물이 스마트 기기(S)의 디스플레이의 정해지 위치에 정해진 양만큼 토출되었는 지 확인한다(도 3a). 점착제 용기(40)의 토출부 뚜껑이나 마감제가 토출된 점착 조성물에 같이 배출되는 경우 해당 뚜껑이나 마감제를 제거하는 과정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보호부재(D)를 스마트 기기(S)의 디스플레이에 맞추어 배치하되, 핀(30)에 의해 디스플레이 보호부재(D)의 일측이 이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보호부재(D)가 점착 조성물에 곧바로 닿지 않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슬라이딩바(20)를 본체(10)의 가이드(11)에 맞추어 핀(30)의 반대편 디스플레이 위치에 준비한다(도 3b).
이제 슬라이딩바(20)를 본체(10)의 가이드(11)에 맞추어 핀(30)의 방향(도시된 도면에서는 하부에서 상부로)으로 슬라이딩하면 슬라이딩바(20)의 일부와 핀(30)의 이탈 부재(31)가 충돌하면서 핀(30)이 이탈되며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보호부재(D)가 스마트 기기(S)의 디스플레이로 하강한다(도 3c). 이때, 슬라이딩바(20)의 돌출부(23)가 디스플레이 보호부재(D)를 가압하여 디스플레이 보호부재(D)가 점착 조성물이 확산되도록 할 수 있는데, 그 가압이 너무 강하면 안되기 때문에 슬라이딩바(20)가 본체(10)의 측면에 마련된 경사를 가진 가이드(11)를 따라 진행하면서 점차 압력이 낮아지게된다. 이러한 경사를 통해서 슬라이딩바(20)가 핀(30)과 충돌하게 된다.
이렇게 디스플레이 보호부재(D)가 스마트 기기(S)의 디스플레이로 하강하면 그 사이에 위치한 점착 조성물이 디스플레이 보호부재(D)와 스마트 기기(S)의 디스플레이 사이를 채우면서 확산된다(도 3d).
이러한 확산은 슬라이딩바(20)에 의해 디스플레이 보호부재(D)가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순차적으로 접착되면서 이동하는 방식이므로 기포가 포함되는 등의 실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과정을 통해 디스플레이 보호부재(D)를 부착하는 경우 점착 조성물의 확산을 보인 예시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 조성물이 토출된 위치에서 점차 전체 영역으로 확산되는 것(도 4a, 도4 b)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과정을 통해 점착 조성물이 확산된 후 이를 경화시키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 조성물이 디스플레이 보호부재(D)와 스마트기기의 디스플레이 사이에 완전히 확산되도록 대기한다(도 5a).
점착 조성물이 디스플레이 보호부재(D)와 스마트기기의 디스플레이 사이에 완전히 확산되면, 본체(10)의 상부 경화부(50)를 배치한 후 디스플레이 보호부재(D)와 디스플레이 사이의 점착 조성물(경우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도 경화시킬 수 있음)을 자외선을 포함하는 열매체를 이용하여 경화시킨다(도 5b).
통상 수초~수십초 정도의 경화가 끝나면 경화부(50)와 본체(10)를 제거한다(도 5c).
이후 스마트 기기(S)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보호부재(D)의 부착 상태를 확인한다(도 5d).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미숙련자라 하더라도 간편하게 스마트 기기(S)에 디스플레이 보호부재(D)를 실수 없이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본체 및 하판에 스마트 기기가 수용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보호부재가 핀에 의해 지지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장치(1a)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와, 본체(100)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슬라이딩바(200)와, 본체(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보호부재(D)의 일측부를 지지하는 핀(300)과, 스마트 기기(S)의 디스플레이로 점착 조성물을 토출시키는 점착제 용기(40)와, 디스플레이 보호부재(D)와 디스플레이 사이의 점착 조성물을 자외선을 포함하는 열매체를 이용하여 경화시키는 경화부(50)와, 본체(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본체(100)와 스마트 기기(S)를 지지하는 하판(600)을 포함한다.
본체(10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110)가 마련되고 이 가이드(110)는 전술한 실시예의 가이드(11)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체(100)의 일측 상면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형상의 핀 결합부(120)가 마련되고, 핀 결합부(120)의 상면부에는 한 쌍의 결합 돌기(121)가 이격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결합 돌기(121)에는 핀(300)이 결합홀(310)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본체(100)의 상면부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테두리(140)가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이 돌출 테두리(140)의 내벽에는 복수의 홀더(150)와 복수의 얼라인 돌기(160)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홀더(1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테두리(140)의 내벽에 한 쌍이 이격 마련될 수 있고, 이 홀더(150)에는 전술한 보강 부재가 끼워 맞춤 결합되어 스마트 기기(S)를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얼라인 돌기(160)는 디스플레이 보호부재(D)를 얼라인 하는 것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테두리(140)의 내벽에 총 4 개가 이격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본체(100)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지지 다리(170)가 이격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지지 다리(170)는 본체(100)를 하판(600)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시킬 수 있다.
슬라이딩바(200)는, 본체(100)의 상부에 마련된 가이드(11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디스플레이 보호부재(D)를 스마트 기기(S)의 디스플레이 방향으로 가압하여 밀착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슬라이딩바(200)의 하측 단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측면 돌출부(210)가 마련되고, 한 쌍의 측면 돌출부(210)는 위치 설정부(130)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측면 돌출부(210)와 근접된 영역의 슬라이딩바(20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홈(240)이 마련된다. 본 실시 예에서 지지홈(240)은 슬라이딩바(200)를 본체(10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시킬 때 본체(100)에 마련된 가이드(110)에 끼워져 지지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슬라이딩바(200)의 하측 중앙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40)가 마련되고, 이 돌출부(240)는 디스플레이 보호부재(D)를 스마트 기기(S)의 디스플레이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슬라이딩바(20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홈(250)이 마련되고, 이 가이드 홈(250)은 복수의 손가락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이드 홈(250)을 통해 슬라이딩바(200)를 쉽게 잡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핀(3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보호부재(D)의 일측부를 지지하는 것으로, 핀 결합부(1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핀(3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결합홀(310)을 통해 핀 결합부(120)에 마련된 결합 돌기(121)에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점착제 용기(40)와 경화부(50)와 하판(600)은 전술한 실시예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1a :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10 : 본체 11 : 가이드
12 : 핀 결합부 13 : 위치 설정부
20 : 슬라이딩바 21 : 측면 돌출부
22 : 토출홀 23 : 돌출부
30 : 핀 31 : 이탈 부재
40 : 점착제 용기 50 : 경화부
60 : 하판
100 : 본체 110 : 가이드
120 : 핀 결합부 121 : 결합 돌기
130 : 위치 설정부 140 : 돌출 테두리
150 : 홀더 160 : 얼라인 돌기
170 : 지지 다리 200 : 슬라이딩바
210 : 측면 돌출부 230 : 돌출부
240 : 지지홈 250 : 가이드 홈
300 : 핀 310 : 결합홀
600 : 하판

Claims (10)

  1.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양 측면을 따라 가이드가 형성되며 일측부에 핀 결합부가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의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되는 측면 돌출부가 마련되며 그 중심부에 점착 조성물의 토출 위치를 결정하는 토출홀이 마련되는 슬라이딩바; 및
    상기 핀 결합부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보호부재가 상기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상부에 놓여질 때 상기 디스플레이 보호부재의 일측을 상기 디스플레이와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핀을 포함하고,
    상기 핀에는 이탈 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슬라이딩바가 상기 본체의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 최종적으로 상기 핀의 이탈 부재와 충돌되어 상기 핀을 이탈시키는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2.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양 측면을 따라 가이드가 형성되며 일측부에 핀 결합부가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의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되는 측면 돌출부가 마련된 슬라이딩바; 및
    상기 핀 결합부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보호부재가 상기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상부에 놓여질 때 상기 디스플레이 보호부재의 일측을 상기 디스플레이와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핀을 포함하고,
    상기 핀에는 이탈 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슬라이딩바가 상기 본체의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 최종적으로 상기 핀의 이탈 부재와 충돌되어 상기 핀을 이탈시키는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점착 조성물이 내장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로 내장된 조성물을 토출하는 점착제 용기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보호부재와 디스플레이 사이의 점착 조성물을 자외선을 포함하는 열매체를 이용하여 경화시키는 경화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슬라이딩바의 위치를 특정시켜 점착 조성물의 토출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면 돌출부는 상하로 돌출되며 일측은 슬라이딩을 위한 블레이드로 사용되고 타측은 위치 설정부에 고정되는 결합부가 구성되며, 상기 위치 설정부는 상기 결합부에 대응되는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측면 돌출부는 하부로 돌출되며 상기 측면 돌출부와 근접되는 영역의 상기 슬라이딩바에는 복수의 지지홈이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딩바의 이동 시 상기 복수의 지지홈은 상기 가이드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8. 삭제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바에는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슬라이딩바의 슬라이딩 시 상기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경사지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KR1020190004720A 2018-08-08 2019-01-14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KR1021885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92593 2018-08-08
KR1020180092593 2018-08-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320A KR20200017320A (ko) 2020-02-18
KR102188503B1 true KR102188503B1 (ko) 2020-12-08

Family

ID=69638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4720A KR102188503B1 (ko) 2018-08-08 2019-01-14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85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351B1 (ko) * 2020-07-02 2021-10-28 (주)화이트스톤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반자동 부착장치
KR102341789B1 (ko) * 2020-07-09 2021-12-22 (주)화이트스톤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슬라이딩 부착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2202B2 (ja) * 1992-03-31 2001-07-03 日鉱金属株式会社 アパーチャグリル用素材
KR101135144B1 (ko) 2011-10-18 2012-04-16 박광준 휴대폰용 보호 필름 부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2202U (ja) * 2012-12-25 2013-03-14 許瑞峯 フィルムの貼り付け装置
KR20160022755A (ko) 2014-08-20 2016-03-02 서경림 모바일 단말기의 보호부재 부착케이스
KR20170071886A (ko) * 2015-12-16 2017-06-26 안효민 간편한 액정 필름 부착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2202B2 (ja) * 1992-03-31 2001-07-03 日鉱金属株式会社 アパーチャグリル用素材
KR101135144B1 (ko) 2011-10-18 2012-04-16 박광준 휴대폰용 보호 필름 부착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82202 UR
블로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320A (ko) 2020-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8503B1 (ko)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CN109383016B (zh) 智能设备的液晶显示器保护部件粘贴装置和粘贴方法
CN105164187B (zh) 生产包括固化的粘合剂片材的层合物的方法
TW305949B (ko)
JP2005148748A5 (ko)
JP5926350B2 (ja) 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7063758B2 (en) Laminating apparatus and laminating method
WO2016184086A1 (zh) 保压夹具
JP2006209012A (ja) レンズシート、透過型スクリーン、及びレンズシートの生産方法
JP2005250469A (ja) レンズ、透過型スクリーン、及びレンズの製造方法
KR101423848B1 (ko) 충전 장치
KR101442932B1 (ko) 충전 장치
JP2002216958A (ja) 貼合装置及び貼合方法
KR102341789B1 (ko)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슬라이딩 부착장치
CN101273288B (zh) 光漫射板及背光装置
JPH0379314A (ja) 光学部品の製造方法および光学部品製造用金型
KR20180077928A (ko) 기판-글래스 합착 방법
KR101945861B1 (ko)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및 부착방법
KR20190118367A (ko) 하중을 이용한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및 방법
KR102455420B1 (ko)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JP7054940B2 (ja) 保護部材取り付け装置及び保護部材取り付け方法
KR101303861B1 (ko) 디스플레이카드의 가공방법
KR102473856B1 (ko) 단말기 보호부재 부착용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가이드 지그장치
KR102400793B1 (ko) 젤네일 스티커 제조장치와 상기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젤네일 스티커
TWM581997U (zh) Mobile phone protector paste fixture (2)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