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4897B1 - 로워암부시용 방향성 측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로워암부시용 방향성 측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4897B1
KR101144897B1 KR1020100106442A KR20100106442A KR101144897B1 KR 101144897 B1 KR101144897 B1 KR 101144897B1 KR 1020100106442 A KR1020100106442 A KR 1020100106442A KR 20100106442 A KR20100106442 A KR 20100106442A KR 101144897 B1 KR101144897 B1 KR 101144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arm
arm bush
unit
moving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6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5112A (ko
Inventor
이원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화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화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화신
Priority to KR1020100106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4897B1/ko
Publication of KR20120045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5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4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489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로워암부시용 방향성 측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로워암부시용 방향성 측정장치는: 방향돌기를 구비하는 로워암부시를 장착공간으로 공급하는 피더부와, 장착공간에 있는 로워암부시를 측정공간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이동부와 연결되며 측정공간에 위치하는 로워암부시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와, 회전부의 동작으로 회전되는 방향돌기의 위치를 비접촉방식으로 측정하는 센서부 및 방향돌기의 방향이 설정된 방향을 향하도록 센서부의 측정값을 입력받아 이동부와 회전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로워암부시용 방향성 측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APPARATUS FOR MEASURING DIRECTION OF LOWER ARM BUSH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로워암부시용 방향성 측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로워암부시가 방향성을 가지며 다음 공정으로 이동되어 생산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로워암부시용 방향성 측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현가장치는 승차감 및 주행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한 중요한 장치이다. 현가장치는 차체를 차륜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차륜으로부터 제공되는 진동을 억제하거나 신속하게 감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현가장치에는 차륜을 차체에 연결하고 아울러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로워암이 사용된다.
로워암은, 현가장치의 왼쪽에 부착되는 레프트타입과, 오른쪽에 부착되는 라이트타입으로 구분되어 제작된다.
로워암이 차체에 연결되는 부분에는, 서스펜션 또는 엔진의 차체측 연결부위를 받쳐주는 로워암부시가 장착된다.
이러한 로워암부시는 자체의 탄성 변형을 이용하여, 서스펜션이나 엔진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 등을 흡수하여 차량의 정숙성을 향상시킨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레프트타입의 로워암과 라이트타입의 로워암에는 각각 방향성이 다른 로워암부시가 설치되며, 로워암부시의 방향성을 확인하는 작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생산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로워암부시가 방향성을 가지며 로워암의 조립공정으로 공급되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로워암부시용 방향성 측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로워암부시용 방향성 측정장치는: 방향돌기를 구비하는 로워암부시를 장착공간으로 공급하는 피더부와, 장착공간에 있는 로워암부시를 측정공간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이동부와 연결되며 측정공간에 위치하는 로워암부시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와, 회전부의 동작으로 회전되는 방향돌기의 위치를 비접촉방식으로 측정하는 센서부 및 방향돌기의 방향이 설정된 방향을 향하도록 센서부의 측정값을 입력받아 이동부와 회전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이동부는, 고정 설치되는 안내레일과,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패널과, 이동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로워암부시의 하측으로 삽입되는 지지부재 및 제어부의 제어신호로 동작되며 안내레일을 따라 지지부재와 이동패널을 이동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부는, 이동패널에 고정되며 제어부의 제어신호로 동작되는 회전제어모터 및 회전제어모터와 지지부재를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센서부는, 방향돌기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광선을 발광하는 광센서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측정공간에 위치하는 로워암부시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방향돌기의 양측에 위치하는 위치홀에 삽입시켜 로워암부시의 방향성을 확인하는 위치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위치확인부는, 측정공간의 상측에 설치되며 측정공간에 위치하는 로워암부시를 향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이동로드를 구비하는 구동실린더와, 구동실린더와 이격 설치되며 위치홀을 향한 방향으로 위치확인핀이 설치되는 동작패널 및 구동로드에 상부스토퍼가 고정되며 상부스토퍼와 연결되어 동작패널을 관통하는 몸체부의 하측에 하부스토퍼가 구비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위치확인부는, 상부스토퍼와 동작패널의 사이에 위치하는 몸체부의 외측을 권선하며 설치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로워암부시용 방향성 측정장치의 제어방법은: 피더부를 통해 장착공간으로 로워암부시를 공급하는 공급단계와, 장착공간으로 공급되는 로워암부시를 이동부를 이용해 측정공간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단계와, 회전부를 동작시켜 측정공간으로 이동된 로워암부시를 회전시키는 회전단계와, 측정공간에서 회전되는 로워암부시의 방향돌기가 설정된 방향으로 위치하는지 여부를 센서부를 이용해 비접촉식으로 측정하는 제1측정단계와, 방향돌기가 설정된 방향으로 위치하면 로워암부시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정지단계 및 방향돌기의 양측에 구비되는 위치홀에 위치확인핀을 삽입시켜 방향돌기의 위치를 확인하는 제2측정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급단계 이후에, 장착공간으로 공급되는 로워암부시의 유무를 공급확인센서로 측정하여 제어부로 측정값을 전달하는 공급확인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측정단계는, 측정광선을 발광하는 광센서부재를 이용하여 방향돌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측정단계는, 측정공간의 상측에 설치되는 구동실린더의 동작으로 로워암부시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되는 위치확인핀이 방향돌기의 양측에 구비되는 위치홀로 삽입되어 방향돌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로워암부시용 방향성 측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센서부의 동작으로 로워암부시의 방향성이 1차 측정되며, 로워암부시에 구비되는 위치홀에 위치확인핀이 삽입되어 로워암부시의 방향성이 2차 측정되므로, 로워암부시가 방향성을 가지며 로워암의 조립공정으로 이동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워암부시용 방향성 측정장치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워암부시용 방향성 측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확인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의 요부 구성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더부를 통해 로워암부시가 장착공간으로 공급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재의 동작으로 지지부재가 로워암부시를 측정공간으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의 동작으로 지지부재와 로워암부시가 회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확인핀이 로워암부시의 위치홀로 하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확인핀이 로워암부시의 위치홀에 삽입되지 못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워암부시의 위치홀이 센서부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워암부시용 방향성 측정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워암부시용 방향성 측정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로워암부시용 방향성 측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자동차용 부품공장에서 사용되는 로워암부시용 방향성 측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워암부시용 방향성 측정장치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워암부시용 방향성 측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확인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의 요부 구성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더부를 통해 로워암부시가 장착공간으로 공급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재의 동작으로 지지부재가 로워암부시를 측정공간으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의 동작으로 지지부재와 로워암부시가 회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확인핀이 로워암부시의 위치홀로 하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확인핀이 로워암부시의 위치홀에 삽입되지 못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워암부시의 위치홀이 센서부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워암부시용 방향성 측정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과 도 2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워암부시용 방향성 측정장치(1)는, 방향돌기(12)를 구비하는 로워암부시(10)를 장착공간(24)으로 공급하는 피더부(20)와, 장착공간(24)에 있는 로워암부시(10)를 측정공간(66)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30)와, 이동부(30)와 연결되며 측정공간(66)에 위치하는 로워암부시(1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70)와, 회전부(70)의 동작으로 회전되는 방향돌기(12)의 위치를 비접촉방식으로 측정하는 센서부(80) 및 방향돌기(12)의 방향이 설정된 방향을 향하도록 센서부(80)의 측정값을 입력받아 이동부(30)와 회전부(7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도 1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로워암부시(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에는 중공을 형성하는 내측통공(16)이 구비된다.
로워암부시(10)의 방향성을 표시하기 위한 방향돌기(12)는, 내측통공(16)의 외측에서 일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워암부시(10)를 장착공간(24)으로 공급하는 피더부(20)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로워암부시(10)의 이동을 안내하는 공급관로부재(22)를 포함한다.
공급관로부재(22)는 로워암부시(10)를 장착공간(24)으로 이동하며, 로워암부시(10)가 장착공간(24)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공급확인센서(26)가 장착공간(24)과 접하는 공급관로부재(22)에 설치된다.
도 1과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공간(24)에 있는 로워암부시(10)를 측정공간(66)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30)는, 고정부재(32)에 고정 설치되는 안내레일(34)과, 안내레일(34)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패널(40)과, 이동패널(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로워암부시(10)의 하측으로 삽입되는 지지부재(50) 및 제어부(150)의 제어신호로 동작되며 안내레일(34)을 따라 지지부재(50)와 이동패널(40)을 이동시키는 구동부재(60)를 포함한다.
고정부재(32)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안내레일(34)이 설치되며, 이러한 안내레일(34)의 외측을 감싸며 이동되는 홀더부재(36)가 이동패널(40)의 저면에 고정된다.
이동패널(40)은, 홀더부재(36)가 고정되는 베이스부재(42)와, 베이스부재(42)에 고정되며 지지부재(5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내측에 베어링이 설치되는 회전지지부재(44)와, 회전제어모터(72)가 고정되는 모터지지부재(46) 및 회전제어모터(72)의 구동으로 상하(도 1기준) 동작되는 장착돌기(64)가 걸리는 걸림부재(48)를 포함한다.
회전지지부재(44)에 지지부재(50)의 몸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지지부재(50)의 상측(이하 도 1기준)에는 로워암부시(10)의 내측통공(16)으로 삽입되어 로워암부시(10)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삽입돌기(52)가 설치된다.
지지부재(50)의 하측에는 회전제어모터(72)의 동력을 전달받는 기어부재(54)가 설치된다.
이러한 이동패널(40)과 지지부재(50)를 상하 이동시키는 구동부재(60)는 이동패널(40)의 하측에 설치되며, 이동패널(40)의 걸림부재(48)에 걸리는 장착돌기(64)가 구동부재(60)의 구동로드(62)에 장착된다.
구동부재(60)의 동작으로 구동로드(62)와 구동로드(62)에 장착된 장착돌기(64)는 이동패널(40)과 같이 상하 이동된다.
이동패널(40)의 동작으로 지지부재(50)도 상측으로 이동되어 장착공간(24)에 위치한 로워암부시(10)를 센서부(80)가 위치하는 측정공간(66)으로 이동시킨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70)는, 이동부(30)와 연결되어 측정공간(66)에 위치하는 로워암부시(10)를 회전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동력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70)는, 이동패널(40)에 고정되며 제어부(150)의 제어신호로 동작되는 회전제어모터(72) 및 회전제어모터(72)와 지지부재(50)를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76)를 포함한다.
회전제어모터(72)는 모터지지부재(46)에 장착되어 베이스부재(42)에 고정되며, 회전제어모터(72)의 축기어(74)는 지지부재(50)의 기어부재(54)와 동력전달부재(76)로 연결되어 회전동력이 전달된다.
도 1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70)의 동작으로 회전되는 로워암부시(10)에서 방향돌기(12)의 위치를 비접촉방식으로 측정하는 센서부(80)는, 방향돌기(12)를 측정하기 위하여 측정광선을 발광하는 광센서부재(82)를 포함한다.
광센서부재(82)는 서로 다른 위치의 방향돌기(12)를 측정하기 위하여 제1센서(84)와 제2센서(86)로 구성된다.
로워암부시(10)는 일측으로만 방향돌기(12)가 돌출 형성되며, 이러한 방향돌기(12)가 설치된 방향과 반대 방향에는 위치홀(14)이 구비된다.
로워암부시(10)가 레프트타입의 로워암에 공급되는 경우와 라이트타입의 로워암에 공급되는 경우, 방향돌기(12)는 로워암부시(10)의 중심인 내측통공(16)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한다.
이러한 방향돌기(12)의 설정위치를 측정하기 위하여, 제1센서(84)는 내측통공(16)의 하측에 위치하는 방향돌기(12)를 센싱하며, 제2센서(86)는 내측통공(16)의 상측에 위치하는 방향돌기(12)를 센싱한다.
제1센서(84)와 제2센서(86)는 각각 설정위치로 광선을 조사하며, 회전되는 로워암부시(10)의 방향돌기(12)가 설정위치에 위치하면, 방향돌기(12)로 조사된 광선이 제1센서(84) 또는 제2센서(86)로 반사되어 방향돌기(12)의 위치가 확인된다.
이러한 제1센서(84)와 제2센서(86)는 센서브라켓(88)에 파지되어 측정공간(66)의 양측에 서로 엇갈리는 상태로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공간(66)의 상측에 위치하는 위치확인부(90)는, 로워암부시(10)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방향돌기(12)의 양측에 위치하는 위치홀(14)에 삽입되어 로워암부시(10)의 방향성을 확인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확인부(90)는, 측정공간(66)의 상측에 설치되며 측정공간(66)에 위치하는 로워암부시(10)를 향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이동로드(94)를 구비하는 구동실린더(92)와, 구동실린더(92)와 이격 설치되며 위치홀(14)을 향한 방향으로 위치확인핀(98)이 설치되는 동작패널(96) 및 구동로드(62)에 상부스토퍼(102)가 고정되며 상부스토퍼(102)와 연결되어 동작패널(96)을 관통하는 몸체부(104)의 하측에 하부스토퍼(106)가 구비되는 스토퍼부(100)를 포함한다.
고정부재(32)의 상측에 지지브라켓(120)이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며, 이러한 지지브라켓(120)에 구동실린더(92)가 장착된다.
구동실린더(92)의 이동로드(94)는 지지브라켓(120)의 하측에서 스토퍼부(100)의 상부스토퍼(102)와 몸체부(104)에 체결된다. 몸체부(104)는 동작패널(96)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동작패널(96)의 하측에 위치하는 몸체부(104)의 하단에는 하부스토퍼(106)가 설치된다.
상부스토퍼(102)는 지지브라켓(120)의 하측에 걸리며, 하부스토퍼(106)는 동작패널(96)의 하측에 걸리게 설치된다.
동작패널(96)의 하측에는 로워암부시(10)의 위치홀(14)과 대응하는 위치확인핀(98)이 돌출된 상태로 동작패널(96)에 설치된다.
로워암부시(10)의 위치홀(14)은 서로 마주하며 2개씩 설치되므로, 이를 확인하는 위치확인핀(98)은 동작패널(96)의 하측에 2개 구비된다.
이러한 위치확인부(90)에는, 상부스토퍼(102)와 동작패널(96)의 사이에 위치하는 몸체부(104)의 외측을 권선하며 설치되는 스프링부재(108)가 구비되어, 위치확인핀(98)이 위치홀(14)이 아닌 다른 부분에 접하는 경우, 완충역활을 하여 위치확인부(90)의 파손을 방지한다.
위치확인핀(98) 및 동작패널(96)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바(110)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가이드바(110)는 관 형상의 베어링부재(114)와 지지브라켓(120)을 관통하여 동작패널(96)에 고정되며, 가이드바(110)의 상측은 가이드스토퍼(112)가 설치된다.
가이드스토퍼(112)의 상하 이동을 측정하는 동작확인센서(130)는 고정브라켓(132)으로 고정되며, 이러한 고정브라켓(132)은 지지브라켓(120)에 고정된다.
도 1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공간(66)으로 이동되어 방향성이 측정된 로워암부시(10)를 파지하여 이동시키는 파지부(140)가 측정공간(66)의 양측에 위치한다.
파지부(140)는 로워암부시(10)의 외측을 파지하는 핑거부재(142)를 구비하며, 이러한 파지부(140)는 직선이동수단(도시생략)에 의해 다음 공정으로 로워암부시(10)를 이동시킨다.
센서부(80)와 공급확인센서(26)와 동작확인센서(130)의 측정값은 제어부(150)로 전달되며, 제어부(150)는 이러한 측정값을 입력받아 구동부재(60)와 회전제어모터(72) 및 구동실린더(92)에 제어신호를 보내서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워암부시용 방향성 측정장치(1)의 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워암부시용 방향성 측정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워암부시용 방향성 측정장치(1)의 제어방법은, 피더부(20)를 통해 장착공간(24)으로 로워암부시(10)를 공급하는 공급단계를 갖는다.(S10)
로워암부시(10)는 피더부(20)의 공급관로부재(22)를 따라 장착공간(24)으로 연이어 공급되며, 이러한 공급관로부재(22)는 단순한 관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컨베이어밸트를 구비할 수도 있다.
공급단계 이후에, 장착공간(24)으로 공급되는 로워암부시(10)의 유무를 공급확인센서(26)로 측정하여 제어부(150)로 측정값을 전달하는 공급확인단계를 갖는다.(S20)
장착공간(24)을 향하여 설치되는 공급확인센서(26)의 동작으로 로워암부시(10)가 장착공간(24)에 공급되면, 이를 측정하여 제어부(150)로 측정값을 전송한다.
장착공간(24)으로 공급되는 로워암부시(10)를 이동부(30)를 이용해 측정공간(66)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단계를 갖는다.(S30)
제어부(150)는 구동부재(60)를 동작시켜 구동로드(62)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이에 연결되는 장착돌기(64)와 이동패널(40)의 걸림부재(48) 및 지지부재(50)도 상측으로 이동된다.
지지부재(50)의 삽입돌기(52)가 로워암부시(10)의 내측통공(16)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면, 로워암부시(10)는 장착공간(24)에서 측정공간(66)으로 이동된다.
로워암부시(10)의 이동이 완료되면, 회전부(70)를 동작시켜 측정공간(66)으로 이동된 로워암부시(10)를 회전시키는 회전단계를 갖는다.(S40)
구동로드(62)의 상측 이동이 완료되면, 제어부(150)는 회전제어모터(72)를 동작시켜 지지부재(50)를 회전시키므로, 지지부재(50)에 걸려있는 로워암부시(10)도 측정공간(66)에서 회전한다.
측정공간(66)에서 회전되는 로워암부시(10)의 방향돌기(12)가 설정된 방향으로 위치하는지 여부를 센서부(80)를 이용해 비접촉식으로 측정하는 제1측정단계를 갖는다.(S50)
로워암부시(10)가 레프트타입의 로워암에 공급되는 경우와 라이트타입의 로워암에 공급되는 경우에 따라 제1센서(84) 또는 제2센서(86)가 동작된다.
로워암부시(10)의 내측통공(16)을 중심으로 양측에 제1센서(84)와 제2센서(86)가 설치되며, 로워암부시(10)와 같이 회전되는 방향돌기(12)가 제1센서(84) 또는 제2센서(86)에 감지된다.
방향돌기(12)가 전방(도 11기준 하측)으로 위치한 상태로 로워암부시(10)가 정지되어 파지부(140)에 파지되는 경우, 제1센서(84)만 동작된다.
제1센서(84)가 동작되는 경우, 회전되는 방향돌기(12)가 제1센서(84)의 조사가 이루어지는 설정위치에 위치하면, 이를 측정하여 제어부(150)로 측정값을 전송한다.
센서부(80)는, 측정광선을 발광하는 광센서부재(82)를 이용하여 방향돌기(12)의 위치를 측정한다.
방향돌기(12)가 설정된 방향(도 11기준 하측)으로 위치하면 로워암부시(1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정지단계를 갖는다.(S60)
방향돌기(12)가 설정된 방향으로 위치하면, 제어부(150)는 회전제어모터(72)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회전제어모터(72)의 동작이 정지되면, 지지부재(50)와 로워암부시(10)의 회전이 정지되므로, 방향돌기(12)는 설정된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정지된다.
로워암부시(10)의 회전이 정지되면, 방향돌기(12)의 양측에 구비되는 위치홀(14)에 위치확인핀(98)을 삽입시켜 방향돌기(12)의 위치를 확인하는 제2측정단계를 갖는다.(S70)
제어부(150)가 측정공간(66)의 상측(이하 도 1기준)에 설치되는 구동실린더(92)를 동작시키면, 이동로드(94)가 측정공간(66)에 있는 로워암부시(10)를 향하여 하측으로 이동한다.
이동로드(94)의 동작으로 동작패널(96)이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동작패널(96)의 하측에 구비되는 위치확인핀(98)이 방향돌기(12)와 마주하는 위치홀(14)로 삽입된다.
위치확인핀(98)이 위치홀(14)로 삽입되면, 동작패널(96)과 같이 이동되는 가이드스토퍼(112)가 베어링부재(114)의 상측에 걸린다.
가이드스토퍼(112)가 동작확인센서(130)의 하측으로 이동하면, 비접촉방식으로 전방의 가이드스토퍼(112) 및 가이드바(110)의 유무를 확인하는 동작확인센서(130)는, 가이드스토퍼(112)가 전방에 없음을 측정하여 제어부(150)로 측정값을 전송한다.
제어부(150)는 위치확인핀(98)이 위치홀(14)로 삽입된 여부를 확인하면, 구동실린더(92)를 동작시켜 위치확인핀(98)을 상승시킨 후, 파지부(140)를 동작시켜 측정공간(66)에 설정된 방향성으로 놓여진 로워암부시(10)를 파지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송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워암부시(10)의 방향성이 설정된 방향성과 상이한 경우, 위치확인핀(98)은 위치홀(14)에 삽입되지 못하며, 이로 인하여 동작패널(96)은 스토퍼부(100)의 몸체부(104)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된다.
동작패널(96)과 상부스토퍼(102)의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부재(108)는 압축되면서 충격을 위치확인핀(98)을 통해 동작패널(96)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한다.
동작패널(96)과 연결되는 가이드바(110)와 가이드스토퍼(112)는 상측으로 이동되며, 동작확인센서(130)가 가이드스토퍼(112) 또는 가이드바(110)를 센싱하여 제어부(150)로 측정값을 보낸다.
제어부(150)는 이동로드(94)의 하강이 완료된 상태에서, 동작확인센서(130)를 통하여 가이드스토퍼(112)나 가이드바(110)가 측정되면, 위치확인핀(98)이 위치홀(14)로 삽입되지 못함으로 판단하여, 위치확인핀(98)을 상승시키고, 다시 로워암부시(10)를 회전시켜 방향돌기(12)를 측정하여 정지시키는 동작을 반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로워암부시용 방향성 측정장치(1) 및 그 제어방법은, 센서부(80)의 동작으로 로워암부시(10)의 방향성이 1차 측정되며, 로워암부시(10)에 구비되는 위치홀(14)에 위치확인핀(98)이 삽입되어 로워암부시(10)의 방향성이 2차 측정되므로, 로워암부시(10)가 방향성을 가지며 로워암의 조립공정으로 이동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자동차용 부품공장에서 사용되는 로워암부시용 방향성 측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로워암부시를 사용하는 다른 공장에서도 본 발명에 의한 로워암부시용 방향성 측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로워암부시용 방향성 측정장치
10: 로워암부시 12: 방향돌기
14: 위치홀 16: 내측통공
20: 피더부 22: 공급관로부재
24: 장착공간 26: 공급확인센서
30: 이동부 32: 고정부재
34: 안내레일 36: 홀더부재
40: 이동패널 42: 베이스부재
44: 회전지지부재 46: 모터지지부재
48: 걸림부재 50: 지지부재
52: 삽입돌기 54: 기어부재
60: 구동부재 62: 구동로드
64: 장착돌기 66: 측정공간
70: 회전부 72: 회전제어모터
74: 축기어 76: 동력전달부재
80: 센서부 82: 광센서부재
84: 제1센서 86: 제2센서
88: 센서브라켓 90: 위치확인부
92: 구동실린더 94: 이동로드
96: 동작패널 98: 위치확인핀
100: 스토퍼부 102: 상부스토퍼
104: 몸체부 106: 하부스토퍼
108: 스프링부재 110: 가이드바
112: 가이드스토퍼 114: 베어링부재
120: 지지브라켓 130: 동작확인센서
132: 고정브라켓 140: 파지부
142: 핑거부재 150: 제어부

Claims (11)

  1. 방향돌기를 구비하는 로워암부시를 장착공간으로 공급하는 피더부;
    장착공간에 있는 상기 로워암부시를 측정공간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와 연결되며, 측정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로워암부시를 회전시키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동작으로 회전되는 상기 방향돌기의 위치를 비접촉방식으로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방향돌기의 방향이 설정된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을 입력받아 상기 이동부와 상기 회전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워암부시용 방향성 측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고정 설치되는 안내레일;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패널;
    상기 이동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로워암부시의 하측으로 삽입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로 동작되며,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이동패널을 이동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워암부시용 방향성 측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이동패널에 고정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로 동작되는 회전제어모터; 및
    상기 회전제어모터와 상기 지지부재를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워암부시용 방향성 측정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방향돌기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광선을 발광하는 광센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워암부시용 방향성 측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측정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로워암부시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방향돌기의 양측에 위치하는 위치홀에 삽입시켜 상기 로워암부시의 방향성을 확인하는 위치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워암부시용 방향성 측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확인부는,
    측정공간의 상측에 설치되며, 측정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로워암부시를 향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이동로드를 구비하는 구동실린더;
    상기 구동실린더와 이격 설치되며, 위치홀을 향한 방향으로 위치확인핀이 설치되는 동작패널; 및
    구동로드에 상부스토퍼가 고정되며, 상기 상부스토퍼와 연결되어 상기 동작패널을 관통하는 몸체부의 하측에 하부스토퍼가 구비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워암부시용 방향성 측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확인부는,
    상기 상부스토퍼와 상기 동작패널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몸체부의 외측을 권선하며 설치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워암부시용 방향성 측정장치.
  8. 피더부를 통해 장착공간으로 로워암부시를 공급하는 공급단계;
    장착공간으로 공급되는 상기 로워암부시를 이동부를 이용해 측정공간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단계;
    회전부를 동작시켜 측정공간으로 이동된 상기 로워암부시를 회전시키는 회전단계;
    측정공간에서 회전되는 상기 로워암부시의 방향돌기가 설정된 방향으로 위치하는지 여부를 센서부를 이용해 비접촉식으로 측정하는 제1측정단계;
    상기 방향돌기가 설정된 방향으로 위치하면 상기 로워암부시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정지단계; 및
    상기 방향돌기의 양측에 구비되는 위치홀에 위치확인핀을 삽입시켜 상기 방향돌기의 위치를 확인하는 제2측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워암부시용 방향성 측정장치의 제어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단계 이후에,
    장착공간으로 공급되는 로워암부시의 유무를 공급확인센서로 측정하여 제어부로 측정값을 전달하는 공급확인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워암부시용 방향성 측정장치의 제어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정단계는,
    측정광선을 발광하는 광센서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방향돌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워암부시용 방향성 측정장치의 제어방법.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정단계는,
    측정공간의 상측에 설치되는 구동실린더의 동작으로 상기 로워암부시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되는 상기 위치확인핀이 상기 방향돌기의 양측에 구비되는 위치홀로 삽입되어 상기 방향돌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워암부시용 방향성 측정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00106442A 2010-10-29 2010-10-29 로워암부시용 방향성 측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144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442A KR101144897B1 (ko) 2010-10-29 2010-10-29 로워암부시용 방향성 측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442A KR101144897B1 (ko) 2010-10-29 2010-10-29 로워암부시용 방향성 측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112A KR20120045112A (ko) 2012-05-09
KR101144897B1 true KR101144897B1 (ko) 2012-05-14

Family

ID=46271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6442A KR101144897B1 (ko) 2010-10-29 2010-10-29 로워암부시용 방향성 측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48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828B1 (ko) * 2021-06-18 2023-08-31 서진산업 주식회사 비전검사를 이용한 부시 자동 압입시스템
CN115945399A (zh) * 2023-02-13 2023-04-11 彭宗臣 一种衬套双工位往复检测工业机器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8447A (ja) 1997-10-08 1999-04-30 Kayaba Ind Co Ltd スリット位置検出装置
KR20040006580A (ko) * 2002-07-12 2004-01-24 평화정공 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힌지 어셈블리의 부시 누락 검사장치
KR20110098539A (ko) * 2010-02-26 2011-09-01 주식회사화신 현가부재용 조립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8447A (ja) 1997-10-08 1999-04-30 Kayaba Ind Co Ltd スリット位置検出装置
KR20040006580A (ko) * 2002-07-12 2004-01-24 평화정공 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힌지 어셈블리의 부시 누락 검사장치
KR20110098539A (ko) * 2010-02-26 2011-09-01 주식회사화신 현가부재용 조립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112A (ko) 201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38300B (zh) 一种全自动板料安装机械手装置
KR101144897B1 (ko) 로워암부시용 방향성 측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41955A (ko) 리어액슬의 서포터 조립장치
CN207771223U (zh) 转子压装系统
KR101211425B1 (ko) 로워암부시용 방향성 측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5476243A (zh) 一种大型罐体焊缝打磨机
JP2016159739A (ja) 台車装置及び作業システム
KR20100114968A (ko) 자동차 쇽업저버용 부품 자동 용접장치
KR101894216B1 (ko) 쇽업쇼버용 용접장치
KR101503015B1 (ko) 볼트 자동 조립 장치
KR101254051B1 (ko) 파이프용 용접 자동화장치
KR101563915B1 (ko) 강관 내면 용접설비
CN213318580U (zh) 一种随行夹具升降定位装置
CN107214263B (zh) 罐体套合装置
KR20160131658A (ko) 자동차 캐리어 조립체의 자동 검사장치
CN104843446B (zh) 一种基于多车型的搬运装备
JP5181779B2 (ja) 作業装置及び作業機
CN211225305U (zh) 一种遥控器检测设备上料自动翻转机构
CN113845023A (zh) 一种车身升降翻转吊具及其使用方法
CN218310286U (zh) 一种角铁件冲压装置
KR101340785B1 (ko) 볼 베어링 유닛의 자동화 조립장치
KR101146516B1 (ko) 튜브용 쇼트피닝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29920B1 (ko) 튜브용 쇼트피닝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5666022A (zh) 一种可转动的并联薄板件柔性夹具
CN109014765B (zh) 机器人底座内外环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