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4630B1 - 액상 사료첨가제 - Google Patents

액상 사료첨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4630B1
KR101144630B1 KR1020100031859A KR20100031859A KR101144630B1 KR 101144630 B1 KR101144630 B1 KR 101144630B1 KR 1020100031859 A KR1020100031859 A KR 1020100031859A KR 20100031859 A KR20100031859 A KR 20100031859A KR 101144630 B1 KR101144630 B1 KR 101144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stock
feed additive
selenium
present
german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1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2638A (ko
Inventor
서용일
이영임
손화섭
Original Assignee
서용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용일 filed Critical 서용일
Priority to KR1020100031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4630B1/ko
Publication of KR20110112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2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4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46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 사료첨가제에 관한 것으로, 게르마늄, 셀레늄, 천연 식이유황 및, 백금을 포함하고 있어, 액상 사료첨가제를 가축이 섭취할 시, 게르마늄, 셀레늄, 천연 식이유황 및, 백금이 가축의 체내에 흡수되어, 가축의 면역력과 육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액상 사료첨가제{Liquefied Animal Feed Additive}
본 발명은 사료 첨가제에 관한 것으로, 가축의 면역력을 증강시키며, 가축의 성장을 촉진하는 액상 사료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가축사육은 점차적으로 대형화, 기업화 추세로 가고 있다. 이에 한정된 공간에서 생산성 및 경제성을 높이기 위하여 밀집사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밀집사육은 좁은 공간에 많은 가축을 모아 놓고 사육하기 때문에, 가축이 쉽게 질병에 노출되어 폐사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가축의 폐사를 막기 위해 사료에 항생제 또는 항균제 등을 함유하는 첨가제가 보조적으로 혼합되어 사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첨가제 사용은, 가축의 첨가제 남용을 유발시켰고, 이러한 첨가제 남용은 결국 가축의 질병에 대한 면역력을 저하시켜, 가축의 질병 예방을 위해 더욱 많은 첨가제가 사용되는 악순환이 반복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첨가제 남용은 가축의 특정 질병에 대한 내성, 항병성 저하를 발생시켜, 가축의 자연적 면역력이 약화되고 만성질병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첨가제의 사용은 가축의 건강을 해칠 뿐만 아니라, 성장성을 악화시키고 육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초래하였고, 이로 인해 가축의 성장을 향상시키기 위한 첨가제에 성장 호르몬을 함유시킴으로써, 성장 호르몬의 남용을 발생시켰다.
따라서 상기 첨가제를 첨가한 사료로 사육된 가축은 생체 농축현상으로 인해 첨가제에 포함된 유해물질이 체외로 배출되지 않고 체내에 축적되어, 이를 사람이 섭취할 경우 인체에 치명적인 결과가 유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최근 들어 상기와 같은 항생제의 사용이 자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예로, 가축 사료 내에 첨가하는 성장촉진 항생물질(AGPs; Antibiotic Growth Promoters)은 질병예방의 목적 외에 증체량과 사료효율을 개선시키는 등 생산성 증진을 위해 널리 사용되어져 왔으나 최근 이에 대한 논란이 크게 일면서 세계적으로 그 사용을 자제하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특히 유럽연합(EU)에서는 2004년도부터 항생제 사용을 규제하기 시작하여 2006년 1월부터는 사료내 항생제 첨가를 전면 금지한 바 있고, 각 국가들도 동물용 의약품 안전사용기준을 강화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2004년 12월부터 항생제 사용범위를 54종에서 25종으로 감축한 후 그 숫자가 점차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상기 첨가제를 대체할 친환경적인 첨가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발명된 것으로서, 항생제 또는 항균제 등을 함유한 첨가제를 자연친화적으로 대체하여, 가축의 성장 및 육질향상을 촉진시킴은 물론, 유해물질이 인체에 축적되지 않도록 하는 액상 사료첨가제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려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게르마늄, 셀레늄, 천연 식이유황 및, 백금나노솔트를 물에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게르마늄 15중량%, 셀레늄 15중량%, 천연 식이유황 15중량% 및, 백금나노솔트 15중량%가 물 40중량%에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게르마늄, 셀레늄, 천연 식이유황 및, 백금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가축의 면역력과 육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사료첨가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사료첨가제는, 13~17중량%의 게르마늄, 13~17중량%의 셀레늄, 13~17중량%의 천연 식이유황(MSM; Methyl Sulfoneyl Methane), 13~17중량%의 백금나노솔트가 38~42중량%의 물에 혼합되어 제조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게르마늄, 셀레늄, 천연 식이유황, 백금나노솔트를 13~17중량%로 하고, 물을 38~42중량%로 하였지만, 게르마늄, 셀레늄, 천연 식이유황, 백금나노솔트를 각각 15중량%로 하고, 물을 40중량%로 하였을 시, 최적의 효과를 얻는 액상 사료첨가제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게르마늄은 유해산소제거, 항암작용, 갱년기 장애 개선, 간질환 완화, 신장병 완화, 면역기능 활성화 및, 자연치유력 향상 등의 효과가 있는 통상의 것으로, 이러한 게르마늄은 광물 또는 식물 등에서 얻을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금속 게르마늄을 사용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게르마늄을 금속 게르마늄으로 사용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천연 게르마늄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천연 게르마늄은 현미 등의 정제되지 않은 곡류나 마늘, 해조류, 인삼 등에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셀레늄은 우리 몸에 필수적인 미량원소로써 비타민 E와 같은 항산화 작용, 노화방지, 면역기능 향상, 중금속 해독작용, 피부미용과 탈모증의 예방과 치료, 각종 성인병의 예방과 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통상의 것으로, 이러한 셀레늄은 광물 또는 식물 등에서 얻을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금속 셀레늄을 사용하기로 한다. 이때 셀레늄은 나노화된 액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셀레늄을 금속 셀레늄으로 사용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천연 셀레늄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천연 셀레늄은 현미 등의 정제되지 않은 곡류나 마늘, 해조류, 인삼 등에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식이유황(MSM; Methyl Sulfoneyl Methane)은 해독작용, 정화작용, 살균작용, 뼈 강화작용, 이뇨 및 변비 억제작용 등에 효과가 있는 통상의 것으로,과일, 야채, 생선, 해산물, 및 육고기 등에서 얻을 수 있다.
상기 백금나노솔트는 백금나노수에 소금을 혼합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즉 교반기(미도시)에 소금, 물, 백금나노수를 순차적으로 투입한 후, 이를 교반하면 백금과 소금이 결합되어 백금나노솔트가 생성된다. 이때 교반기로부터 물을 제거하면 순수 백금나노솔트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백금나노솔트에 포함된 백금은 적정체온 유지, 피로회복, 혈액순환 촉진, 균형잡힌 영양분 공급, 체내의 노폐물?중금속?농약 배출, 진통작용, 상처 회복 촉진, 체내 적정수분 유지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사료첨가제의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사료첨가제를 가축 사료에 첨가하여 평사에서 사육시험을 실시하였다.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사료첨가제를 사료와 함께 4주간 섭취한 가축의 폐사율을 다른 비교예들과 비교한 표로서, 표 1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사료첨가제의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때 표 1에서, 비교예 1은 항생제 무첨가 사료, 비교예 2는 항생제 첨가 사료,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사료첨가제 첨가 사료를 나타낸다.
구분 닭 폐사율 돼지 폐사율 소 폐사율
비교예 1 10% 10% 10%
비교예 2 2% 2% 2%
실시예 2.5% 2.5% 2.5%
상기 표 1를 살펴보면 닭, 돼지, 소에 비교예 1를 이용하여 4주간 사육하였을 시, 각각의 가축이 10%의 폐사율을 보였다.
또한 상기 비교예 2를 이용하여 4주간 닭, 돼지, 소를 사육하였을 시, 각각의 가축이 2%의 폐사율을 보였다.
이를 통해 가축이 사료와 항생제를 동시에 섭취하였을 시, 폐사율일 매우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가축이 사료와 함께 항생제를 섭취할 경우, 종래 기술에서 밝힌 바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러나 상기 가축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섭취할 경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2와 거의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종래의 문제가 해결된다.
표 2는 동일 조건 하에서 가축을 16주간 사양하였을 시 나타낸 것으로서, 표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사료첨가제의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구분 닭 폐사율 돼지 폐사율 소 폐사율
비교예 1 10% 10% 10%
비교예 2 8% 8% 8%
실시예 2.5% 2.5% 2.5%
상기 표 2를 살펴보면 닭, 돼지, 소에 비교예 1를 이용하여 16주간 사육하였을 시, 각각의 가축이 10%의 폐사율을 보였다.
또한 상기 비교예 2를 이용하여 16주간 닭, 돼지, 소를 사육하였을 시, 각각의 가축이 8%의 폐사율을 보였다.
이를 통해 가축이 사료와 항생제를 장시간 섭취하였을 시, 폐사율일 매우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가축이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면서, 항생제가 더 이상 항생작용을 하지 못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항생제는 가축의 질병을 예방하기보다는, 오히려 가축 체내에 축적되어 2차로 가축을 섭취하는 인간에게 해로운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상기 가축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섭취할 경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장기간 섭취하더라도 효과의 변화가 거의 없다.
표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사료첨가제를 섭취하여 사육된 돼지가 출하될 시의 육질 성분을 나타낸 것으로서, 표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사료첨가제의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때 표 3에서, 비교예 1은 항생제 무첨가 사료를 섭취하여 사육된 돼지의 육질 성분, 비교예 2는 항생제 첨가 사료를 섭취하여 사육된 돼지의 육질성분, 실시예은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사료첨가제 첨가 사료를 섭취하여 사육된 돼지를 나타낸다.
성분 비교예 1 비교예2 실시예
포화지방산(%) 41 43 34
불포화지방산(%) 59 57 66
상기 표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비교예 1 및 비교예 2 보다 불포화 지방산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를 섭취한 사람은, 포화지방산 보다 인체에 유익한 불포화 지방산을 많이 섭취하기 때문에, 육식을 선호하는 수요자가 성인병 걱정 없이 육식을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사료첨가제는 가축의 면역력을 키우고, 육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액상 사료첨가제는 게르마늄, 셀레늄, 천연 식이유황 및, 백금의 성분이 가축의 성장에 도움을 주는 것은 물론, 가축에 축적된 성분이 가축을 섭취하는 사람에게 전달되어, 각 성분의 효능이 사람에게 이롭게 작용한다.
즉,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게르마늄, 셀레늄, 천연 식이유황 및, 백금의 기능 및 효과가 가축을 섭취한 사람에게도 적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액상 사료첨가제는 친환경 웰빙을 선호하는 육류 소비자에게 안성맞춤인 육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농가의 소득을 증진시키는 부가적 효과도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게르마늄 15중량%, 셀레늄 15중량%, 천연 식이유황 15중량% 및, 백금나노솔트 15중량%가 물 40중량%에 혼합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사료첨가제.
  2. 삭제
KR1020100031859A 2010-04-07 2010-04-07 액상 사료첨가제 KR101144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859A KR101144630B1 (ko) 2010-04-07 2010-04-07 액상 사료첨가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859A KR101144630B1 (ko) 2010-04-07 2010-04-07 액상 사료첨가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638A KR20110112638A (ko) 2011-10-13
KR101144630B1 true KR101144630B1 (ko) 2012-05-14

Family

ID=45028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1859A KR101144630B1 (ko) 2010-04-07 2010-04-07 액상 사료첨가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46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7377B1 (ko) 2020-08-19 2022-07-07 청록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정제 봉독과 게르마늄을 이용한 친환경 무항생제 소 사육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2998A (ja) 2001-09-25 2003-04-02 Harumi Sangyo Kk 家畜類の養殖用飼料
KR20030061045A (ko) * 2002-01-07 2003-07-18 이상철 황토법제 유황물(水) 제조방식과 조성물
KR20040040515A (ko) * 2002-11-07 2004-05-13 박성근 오리 성장발육 촉진제의 제조방법
KR20050054890A (ko) * 2005-05-18 2005-06-10 서희동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2998A (ja) 2001-09-25 2003-04-02 Harumi Sangyo Kk 家畜類の養殖用飼料
KR20030061045A (ko) * 2002-01-07 2003-07-18 이상철 황토법제 유황물(水) 제조방식과 조성물
KR20040040515A (ko) * 2002-11-07 2004-05-13 박성근 오리 성장발육 촉진제의 제조방법
KR20050054890A (ko) * 2005-05-18 2005-06-10 서희동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638A (ko) 2011-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5436B1 (ko) 천연 유황 성분이 포함된 양계용 사료를 이용한 양계 방법
KR101532922B1 (ko) 바이오가스 부산물을 함유한 젖소 사료 첨가제
CN103609899B (zh) 猪用抗腹泻促生长绿色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KR101864351B1 (ko) 축산용 사료
KR101889859B1 (ko) 항균성 및 성장 촉진 효과를 가지는 동물 사료 첨가제
KR101568466B1 (ko) 민물뱀장어 친어 양식용 사료
CN104522390A (zh) 一种对虾工厂化养殖的饲料添加剂
KR101532208B1 (ko) 바이오가스 부산물을 함유한 닭 혼합 사료 및 그 제조방법
Olusola et al. Growth performance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fed processed soybean meal based diets supplemented with phytase
KR20210017464A (ko) 노니를 이용한 반려동물용 항염증 영양보조제 및 이의 제조방법
JP4854226B2 (ja) 飼料用添加物
CN102669497A (zh) 一种增加鲤鱼免疫力的饲料
KR101144630B1 (ko) 액상 사료첨가제
KR101604223B1 (ko) 옥, 광물질, 해조류, 거저리 및 바실러스 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해삼 사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839486A (zh) 一种具有肝脏保护功效的黄颡鱼饲料添加剂及其应用
US9248155B2 (en) Supplement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CN106615906A (zh) 一种雏鸡饲料
CN106804968A (zh) 一种雏鸡饲料
KR100639294B1 (ko) 양계용 천연광석물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양계용 건강기능성보조사료 및 그 제조방법
CN104940499A (zh) 一种虹鳟鱼抗寄生虫的中药
CN111011601A (zh) 一种动物饲料用天然复合抗氧化剂及其制备方法
CN105660991A (zh) 一种动物饲料添加剂
KR102371548B1 (ko) 중성화된 암컷 반려동물용 식품 조성물
CN107624965A (zh) 一种富硒配方饲料
CA2851952C (en) Supplement composition and methods of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