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2190B1 - 반복학습을 통한 암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암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반복학습을 통한 암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암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2190B1
KR101142190B1 KR1020100003448A KR20100003448A KR101142190B1 KR 101142190 B1 KR101142190 B1 KR 101142190B1 KR 1020100003448 A KR1020100003448 A KR 1020100003448A KR 20100003448 A KR20100003448 A KR 20100003448A KR 101142190 B1 KR101142190 B1 KR 101142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ization
deck
test
learning
correct ans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3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3289A (ko
Inventor
이철용
Original Assignee
(주)모퉁이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퉁이돌 filed Critical (주)모퉁이돌
Priority to KR1020100003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2190B1/ko
Priority to PCT/KR2010/004933 priority patent/WO2011087193A1/ko
Publication of KR20110083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3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09B7/04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a further expla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복학습을 통한 암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암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영어 단어와 같은 외국어 단어 또는 문장들의 암기 대상을 반복적으로 학습하여 암기함에 있어서, 사용자 또는 시스템이 설정한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경우나 사용자 또는 시스템이 설정한 특정 학습량에 도달한 경우에는 반드시 반복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암기 효율을 가장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반복학습을 통한 암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암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반복학습을 통한 암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암기 시스템{Memorizing method with repeat learning and memorizing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복학습을 통한 암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암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반복 학습의 횟수를 줄이면서도 효과적으로 데이터에 대한 암기를 하기 위해서, 반복학습을 하는 주기를 사용자 또는 시스템이 설정하고, 학습자가 암기를 하지 못한 암기대상의 경우에는 해당 암기대상의 학습시점으로부터 해당 주기가 도래하는 경우에만 반복학습을 진행하도록 하여 암기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반복학습을 통한 암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암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어학이나 기타 학습에 있어서, 암기는 모든 학습의 수준을 올리는데 기본이며 밑거름이 된다. 따라서 학습자는, 어학의 경우를 예를 들면, 단어의 암기 등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소요하게 되나, 이와 같은 암기를 위한 학습은 반복적인 학습인 관계로 자칫 그 과목이나 학습에 대한 흥미 자체를 잃게 하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암기를 위하여 수행하는 반복 학습을 보다 효율적으로 보다 재미있게 수행하기 위하여 많은 학습 방법들이 제안되었으며, 이를 이용한 단어 등의 암기에 적용되는 다양한 반복학습 시스템이 개발 및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반복학습 시스템의 경우에는 별 다른 제약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는 언제든지 반복학습을 할 수 있어서, 실제로 학습(단어 암기)을 한 후에 바로 암기여부를 확인할 경우, 완전히 숙지하지 못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암기여부를 확인하는 시점에서는 암기가 된 것으로 착각하여 반복학습의 기회를 상실할 수 있어, 결국 암기의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최초의 학습(단어 암기) 후에 상당한 시간이 경과한 후 다시 암기를 하는 경우에는 전에 학습한 내용의 재생효과가 떨어져 반복학습이 주는 암기 효과를 제대로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반복학습에 있어서는 암기하지 못하는 내용만을 골라서 재생효과를 최대화하는 시점에서 반복학습을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나, 이와 같은 학습방법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반복학습 방법 및 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반복 학습의 횟수를 줄이면서도 효과적으로 암기를 하기 위해서, 반복학습을 하는 주기를 사용자 또는 시스템이 설정하고, 학습자가 암기를 하지 못한 암기대상의 경우에는 해당 암기대상을 학습한 시점으로부터 해당 주기가 도래하는 경우에만 반복학습을 진행하도록 하여 암기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반복학습을 통한 암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암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저장장치에 저장되어진 암기대상으로 이루어진 학습자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복수의 암기대상을 추출하여 테스트 그룹을 생성하는 제1단계;
상기 테스트 그룹 중의 각 암기대상의 암기여부를 테스트하는 문제를 생성하여 표시장치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 장치를 통한 입력에 따라 정답입력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테스트를 통과한 암기대상은 정답 데크로 저장하고, 통과하지 못한 암기대상은 시간정보와 함께 오답 데크에 저장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의 수행 중에, 상기 정답 데크에 저장된 암기대상의 수가 지정개수에 도달하는 경우, 정답 데크에 저장된 암기대상으로부터 복수의 암기대상을 추출하여 (테스트그룹으로 설정하고) 추출된 각 암기대상의 암기여부를 테스트하는 문제를 생성하여 표시장치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 장치를 통한 입력에 따라 정답입력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테스트를 통과한 암기대상은 차기 정답 데크로 저장하고, 통과하지 못한 암기대상은 시간정보와 함께 오답 데크에 저장하고 다시 제2단계로 복귀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2단계가 상기 테스트 그룹 중의 모든 암기대상에 대하여 완료된 후, 오답 데크에 저장된 암기대상 중에서 상기 저장된 시간정보와 현재시간과의 차이가 사용자 또는 시스템이 설정한 암기대상의 반복학습 요청시간을 넘긴 암기대상이 존재하면, 이를 추출하여 테스트 그룹으로 설정하여 상기 제2단계로 이동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1단계로 이동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학습을 통한 암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암기대상으로 이루어진 학습자료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저장장치;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되어진 암기대상으로 이루어진 학습자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복수의 암기대상을 추출하여 테스트 그룹을 생성하는 제1단계; 상기 테스트 그룹 중의 각 암기대상의 암기여부를 테스트하는 문제를 생성하여 표시장치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 장치를 통한 입력에 따라 정답입력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테스트를 통과한 암기대상은 정답 데크로 저장하고, 통과하지 못한 암기대상은 시간정보와 함께 오답 데크에 저장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의 수행 중에, 상기 정답 데크에 저장된 암기대상의 수가 지정개수에 도달하는 경우, 정답 데크에 저장된 암기대상으로부터 복수의 암기대상을 추출하여 (테스트그룹으로 설정하고) 추출된 각 암기대상의 암기여부를 테스트하는 문제를 생성하여 표시장치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 장치를 통한 입력에 따라 정답입력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테스트를 통과한 암기대상은 차기 정답 데크로 저장하고, 통과하지 못한 암기대상은 시간정보와 함께 오답 데크에 저장하고 다시 제2단계로 복귀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2단계가 상기 테스트 그룹 중의 모든 암기대상에 대하여 완료된 후, 오답 데크에 저장된 암기대상 중에서 상기 저장된 시간정보와 현재시간과의 차이가 사용자 또는 시스템이 설정한 암기대상의 반복학습 요청시간을 넘긴 암기대상이 존재하면, 이를 추출하여 테스트 그룹으로 설정하여 상기 제2단계로 이동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1단계로 이동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문제의 표시 및 답안의 입력을 수행하는 입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학습을 통한 암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반복학습을 통한 암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암기 시스템에 따르면, 반복 학습의 횟수를 줄이면서도 효과적으로 암기를 하기 위해서, 반복학습을 하는 주기를 사용자 또는 시스템이 설정하고, 학습자가 암기를 하지 못한 암기대상의 경우에는 해당 암기대상을 학습한 시점으로부터 해당 주기가 도래하는 경우에만 반복학습을 진행하도록 하여 암기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반복학습을 통한 암기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의 흐름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반복학습을 통한 암기방법의 실시를 위한 컴퓨터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반복학습을 통한 암기방법에 관한 것으로, 저장장치에 저장되어진 암기대상으로 이루어진 학습자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복수의 암기대상을 추출하여 테스트 그룹을 생성하는 제1단계;
상기 테스트 그룹 중의 각 암기대상의 암기여부를 테스트하는 문제를 생성하여 표시장치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 장치를 통한 입력에 따라 정답입력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테스트를 통과한 암기대상은 정답 데크로 저장하고, 통과하지 못한 암기대상은 시간정보와 함께 오답 데크에 저장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의 수행 중에, 상기 정답 데크에 저장된 암기대상의 수가 지정개수에 도달하는 경우, 정답 데크에 저장된 암기대상으로부터 복수의 암기대상을 추출하여 (테스트그룹으로 설정하고) 추출된 각 암기대상의 암기여부를 테스트하는 문제를 생성하여 표시장치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 장치를 통한 입력에 따라 정답입력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테스트를 통과한 암기대상은 차기 정답 데크로 저장하고, 통과하지 못한 암기대상은 시간정보와 함께 오답 데크에 저장한 후, 다시 제2단계로 복귀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2단계가 상기 테스트 그룹 중의 모든 암기대상에 대하여 완료된 후, 오답 데크에 저장된 암기대상 중에서 상기 저장된 시간정보와 현재시간과의 차이가 사용자 또는 시스템이 설정한 암기대상의 반복학습 요청시간을 넘긴 암기대상이 존재하면, 이를 추출하여 테스트 그룹으로 설정하여 상기 제2단계로 이동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1단계로 이동하는 제4단계(다시 말하면, 상기 제2단계, 즉 상기 테스트 그룹에 속한 모든 암기대상에 대하여 정답여부 체크를 완료된 후, 상기 1단계로 이동하기 전에 오답 데크에 저장된 암기대상 중에서 상기 저장된 시간정보와 현재시간과의 차이가 사용자 또는 시스템이 설정한 암기대상의 반복학습 요청시간을 넘긴 암기대상이 존재하면, 이를 추출하여 테스트 그룹으로 설정하여 상기 제2단계와 같은 방식으로 테스트 그룹의 정답여부를 통한 데크 이동을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1단계로 이동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암기해야 할 대상인 암기대상이 일정한 학습자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진 경우에 이들을 일정한 개수의 그룹으로 나누어 학습하도록 하는 설정을 사용자가 테스트 그룹 생성 전에 먼저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고, 또는 최초 학습자의 경우에도 이미 다른 곳에서 학습한 경험이 있을 수도 있으므로, 바로 테스트 그룹 생성(이때는 시스템에서 설정한 테스트 그룹의 단어 개수 설정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음.)을 실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암기를 위한 학습방법으로는 암기 대상을 계속적으로 반복하여 표시하거나, 해당 내용을 읽어주는 소리를 나게 하거나, 이들을 함께 구현하는 등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고 해당 표시나 소리 등의 반복횟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후에 암기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테스트 그룹 생성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학습단계를 진행한 후에, 임의로 또는 학습한 암기대상을 기준으로 복수의 암기대상을 추출하여 테스트 그룹을 생성한다. 다음으로 생성된 테스트 그룹에 대하여 암기여부를 확인하는 테스트를 실시한다. 상기 테스트 방법으로는 객관식이나 주관식 또는 단답형, 괄호 채우기 등의 방법을 통하여 이를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정답인 경우에는 암기가 된 것으로 판단하여 정답 데크(1차 암기가 이루어진 것을 저장하는 DB)로 암기대상을 저장하고, 오답인 경우에는 암기가 이루어지지 못한 것이므로 판단하여 오답 데크(암기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을 저장하는 DB)로 암기대상을 저장하는데, 이때 오답 데크로 저장되어지는 각 암기대상에 대하여 시간정보를 함께 저장한다. 상기 시간정보는 각 암기대상의 테스트 시간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모든 테스트 그룹 내의 암기대상에 대하여 테스트가 완료되면, 오답에 대해서는 학습이 요구되므로, 상기 오답 처리된 암기대상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정답을 알려주면서 이를 다시 학습하는 단계를 선택적으로 더 추가할 수 있다. 이 단계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시간정보는 이와 같은 오답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지는 학습시간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한 set의 테스트 그룹에 대한 수행이 완료되고 나면, 오답 데크에 저장된 암기대상 중에서 각 암기대상과 함께 저장된 시간정보를 통하여 현재시간을 기준으로 사용자 또는 시스템이 설정한 반복학습 설정시간이 경과한 암기대상이 있는지 확인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즉, 테스트 또는 재학습 이후에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암기대상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이러한 암기대상(일반적으로는 이전 set들에서 진행한 암기대상이 된다.)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들을 테스트 그룹으로 만들어 상기 테스트 절차를 수행하여, 일정한 시간이 되면 반복학습이 반드시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나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암기대상이 없는 경우에는 다시 학습자료DB로부터 새로운 테스트 그룹을 생성하는 제1단계를 수행하여 계속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이와 같은 반복의 종료는 별도의 종료 또는 메인 메뉴로 돌아가는 버튼을 두어 이를 종료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set의 테스트 그룹에 대한 수행이 완료된 이후에 바로 상기와 같이 다음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한 set의 테스트 그룹에 대한 수행이 완료된 이후에 메뉴(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가 pop-up되어 오답 데크에 저장된 암기대상의 오답확인작업(반복학습 요청시간을 넘긴 오답에 대한)을 재차 진행할 것인지 아니면, 바로 제1단계로 돌아가 새 학습을 할 것인지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프로세스만으로는 반복학습의 반복회수가 적으므로 이를 증가시키고, 반복시간을 적절히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제3단계를 수행한다. 즉, 상기 제2단계를 수행하게 되면, 정답 데크 및 오답 데크에 각각 저장되는 암기대상의 수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단계의 수행 중에, 상기 정답 데크에 저장된 암기대상의 수가 사용자 또는 시스템에 지정한 지정개수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다시 암기를 유지하고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테스트를 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정답 데크에 지정된 수가 충분히 큰 경우에는 바로바로 반복학습을 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시간 이후에 다시 복습하는 효과를 가져와 상기 시간설정과 유사한 형태로 일정시간이 도달한 후에 테스트를 보게 되어 반복학습의 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지정개수에 도달하게 되면, 정답 데크에 저장된 암기대상으로부터 복수의 암기대상을 추출하여 추출된 각 암기대상을 기준으로 상기 테스트와 유사한 형태로 테스트를 실시한다. 즉, 암기여부를 테스트하는 문제를 생성하여 표시장치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 장치를 통한 입력에 따라 정답입력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테스트를 통과한 암기대상은 차기 정답 데크로 저장하고, 통과하지 못한 암기대상은 시간정보와 함께 오답 데크에 저장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이러한 과정이 종료되면 다시 제2단계로 복귀하는 제3단계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과정은 그 내부적으로 상기와 같은 별도의 루프를 더 형성하도록 하여 암기대상의 반복학습의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정답 데크의 개수도 증가하여야 한다. 즉, 상기 제3단계의 수행 중에, 상기 차기 정답 데크에 저장된 암기대상의 수가 지정개수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제3단계의 수행은 중단되고, 차기 정답 데크에 저장된 암기대상으로부터 복수의 암기대상을 추출하여 추출된 각 암기대상의 암기여부를 테스트하는 문제를 생성하여 표시장치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 장치를 통한 입력에 따라 정답입력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테스트를 통과한 암기대상은 차차기 정답 데크로 저장하고, 통과하지 못한 암기대상은 시간정보와 함께 오답 데크에 저장하고 다시 제3단계로 복귀하는 차기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별도의 루프는 상기 내용을 반복하는 다수의 루프를 내부에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차기단계는, 상기 차기단계의 수행 중에, 상기 차기단계의 n 차수에 해당하는 반복 단계를 내부적으로 더 수행하고, 최종적으로 마지막 차수에서는 테스트를 통과한 암기대상은 마스터 데크로 저장하고, 통과하지 못한 암기대상은 시간정보와 함께 오답 데크에 저장하고 다시 이전단계로 복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최초의 테스트로부터 다수 차수의 정답 데크를 통과하여 마스터 데크로 저장된 암기대상은 이전에 수행한 문제패턴과 다른 새로운 문제 패턴을 이용하여 다시 상기와 같은 최초의 테스트로부터 다수 차수의 정답 데크를 통과하여 제2 마스터 데크에 저장되는 과정을 다시 한 번 거치도록 이를 수행할 수 있고, 이후에 또 다른 문제패턴으로 이를 다시 수행하도록 하여, 다수의 문제 패턴에 대하여 동일한 암기대상에 대하여 암기여부를 테스트 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수의 설정된 문제 패턴들을 모두 마치고 마지막 정답 데크의 테스트까지 통과한 암기대상은 최종적으로 최종 마스터 데크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마스터 데크에 저장된, 동일한 암기대상에 대하여 다른 테스트 문제 패턴으로 상기 제1단계 내지 제4단계를 포함하는 반복학습을 통한 암기방법을 적어도 한번은 반복 실시하는 것이 다양한 방식으로 암기여부를 확인하고, 암기대상의 암기기간을 증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를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는데, 여기서는 단어 암기를 예를 들어 설명한 도 1 내지 도 3을 기준으로 이를 설명하나, 이는 단어 암기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고, 반복학습을 통하여 암기를 하는 모든 경우에 이를 적용할 수 있다.
먼저, 여기에 사용되어지는 학습자료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는 영문단어의 한글 뜻으로 구성된 데이터와 영문 단어로만 된 데이터로 나누어진다.
사용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메뉴화면을 통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레벨별로 나누어진 복수의 단어 데이터들 중에 학습할 복수의 단어 데이터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복수의 단어 데이터는 테스트그룹(사용자신규학습데이터베이스)으로 이동하게 된다.
테스트그룹(사용자신규학습데이터베이스)에 쌓인 복수의 단어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여 학습을 진행하게 되는데, 이때 복수의 테스트그룹들(신규학습데이터들)을 별도로 불러오는 것이 아닌 사용자가 학습을 진행할 신규학습데이터 개수의 수를 설정하여 10개 혹은 20개씩(학습데이터베이스에서 학습을 위해 불러들이는 개수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 데이터를 묶어서 불러들이게 되고, 불러들인 최초 신규학습데이터가 화면에 하나씩 표시되면서 사용자가 단어 학습(학습 후 테스트 또는 바로 테스트하는 과정)을 진행하게 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의 화면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다.
(묶음으로 불러온 테스트그룹(신규학습데이터)의 테스트(부가적으로 오답에 대한 복습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를 마치면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신규학습데이터베이스에 있는 복수의 신규학습데이터를 다시 10개 혹은 20개로 묶어서 불러와 학습을 연속해서 진행하게 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다.)
이때 상기 프로그램 및 DB는 서버 등에 저장되어 수행되어질 수 있고, 사용자는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이를 수행하는데, 이때 표시되는 화면은 크게 4영역으로 나뉘게 되며 데이터가 노출되는 데이터표시영역과 데이터의 노출방식을 따라 사용자가 선택 혹은 입력을 행하게 할 수 있는 사용자액션영역, 사용자의 액션에 의해 정답 혹은 오답 처리가 데이터에 쌓일 수 있는 n개의 데크영역(도면에는 5개의 데크 영역), 마지막으로 단어학습방식 등을 변경할 수 있는 환경설정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표시영역에 노출된 신규단어데이터와 함께 데이터에 맞는 음성이 노출되고, 사용자는 액션영역에서 올바른 액션방식(예를 들어 영어단어가 나온 후 이에 대한 올바른 한글 뜻을 복수의 선택항목에서 맞추는 선택하는 학습방식의 경우, 하나의 올바른 단어 뜻과 올바르지 못한 다수의 단어 뜻 중 올바른 답의 뜻을 선택하는 액션)을 취하게 되면, 단어데이터는 제1정답 데크로 이동한다. 상기 테스트 과정에 대한 화면의 구체적인 예는 도 7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다.
그러나 사용자가 올바른 액션방식을 액션영역에서 취하지 못했을 경우(잘못된 뜻을 선택 했을 경우), 오답으로 간주, 오답 데크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10개 내지 20개(학습데이터베이스에서 학습을 위해 불러들이는 개수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의 신규단어데이터에 대한 test를 모두 완료하게 되면 맞추지 못한 단어는 오답 데크(도면에서는 1번째 데크)에 쌓이고 맞춘 단어는 제1정답 데크(도면에서는 2번째 데크)에 쌓인 상태가 된다.
이때 1번째 데크인 오답 데크에 쌓여있는 오답처리단어가 자동으로 데이터표시영역에 노출되어 올바른 정답을 데이터와 음성으로 확인시키는 작업, 즉 오답 확인 작업이 자동으로 진행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이러한 오답 확인 작업에서 나오는 단어데이터의 자동 노출 횟수나 음성반복 횟수를 조절할 수 있으며, 각 오답단어데이터의 재확인 작업이나 오답단어 전체를 여러 번 반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오답확인 작업을 마치면, 다시금 학습데이터베이스에서 묶음단위로 새로운 학습 데이터를 불러와 데이터 학습을 진행하게 된다.
- 오답 데크에서의 학습 방식
사용자가 데이터를 확인하고 올바르지 못한 액션을 취했을 경우(즉, 오답 처리된 단어데이터), 해당 데이터가 쌓이게 된다.
10개 혹은 20개의 데이터의 학습을 마치게 되면, 1번째 데크(오답 데크)에 쌓인 단어 데이터들을 음성과 함께 사용자가 정한 반복회수에 맞추어 자동으로 노출되고 사용자가 오답 단어 데이터를 확인해야 한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단어데이터 묶음의 테스트가 진행되면서 오답 처리된 단어데이터가 쌓이고 단어묶음의 테스트가 끝나면 오답단어데이터의 확인 작업이 진행된다.
또한, 1번째 데크(오답 데크)에 쌓인 모든 단어 데이터들은 최초에 test한 시간이 각 단어데이터마다 내장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1번째 데크(오답 데크)의 오답처리단어데이터에 대한 re-test를 진행할 수 있는데, 1번째 데크(오답 데크)에 있는 모든 단어데이터의 re-test를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이미 설정한 반복학습 시간을 경과한 단어데이터에 한해 자동으로 re-test가 진행된다.
예를 들어 1번째 데크(오답 데크) re-test를 위한 시간설정을 20분으로 했을 경우, 20분이 지난 단어데이터에 한해 re-test가 진행되고 정답 처리된 단어 데이터는 2번째 데크(정답 데크)로 이동하고 재차 오답 처리된 단어데이터는 1번 데크의 맨 뒤로 이동되면서 re-test한 시간을 기준으로 다시 20분이 지난 후에 2차 re-test를 진행할 수 있다.
- 제1정답 데크에서의 학습 방식
사용자가 신규학습단어데이터를 확인하고 올바른 사용자액션을 취한 경우(정답 처리된 경우), 2번째 데크(제1정답 데크)에 단어데이터가 쌓이게 된다.
2번째 데크(제1정답 데크)는 사용자가 단어데이터의 시간 설정대신에 데크의 최대 단어데이터제한개수 및 제 1정답 데크의 제한 개수 도달 시에 re-test를 진행할 단어데이터의 개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데크 최대 데이터 제한 개수를 60으로 설정하고 re-test 단어 데이터 개수를 20개로 설정했을 경우, 60개의 단어 데이터가 2번째 데크(제1정답 데크)에 쌓이면 60개의 단어 데이터 중 학습시간 상으로 오래된 순서(즉, 가장 먼저 쌓인 단어데이터부터)부터 10개(사용자 설정가능)의 단어데이터를 불러내어 re-test가 자동 진행된다.
re-test에서 정답 처리된 경우는 3번째 데크(제2정답 데크)에 정답처리한 시간대로 쌓이게 되고 오답 처리된 경우는 다시 1번째 데크(오답 데크)에 오답 처리된 시간 순서대로 쌓이게 된다.
여기서 신규단어데이터를 test하거나 1번째 데크(오답 데크)에서 re-test를 진행하는 도중 2번째 데크(제1정답 데크)의 최대개수제한설정에 도달하게 되면, test는 모두 일시 정지되며 2번째 데크(제1정답 데크)의 re-test가 먼저 진행되고 re-test에서 틀린 단어데이터의 오답 확인 작업을 마친 후에 이전에 중지되었던 학습이 재개된다.
-제2정답 데크에서의 학습 방식
2번째 데크(제1정답 데크)에서의 re-test를 통해 오답 처리된 단어는 제1테크(오답데크)로 이동하고 정답 처리된 단어 데이터들이 시간 순서에 맞추어 3번째 데크(제2정답데크)에 쌓이게 되고, 2번째 데크(제1정답 데크)와 마찬가지로 최대개수제한과 re-test 단어 데이터 개수가 설정된 3번째 데크(제2정답데크)에 설정된 제한개수에 도달하게 되면 현재 수행중인 2번째 데크(제1정답 데크) re-test가 중지되고 3번째 데크(제2정답데크)의 re- test가 수행된다.
마찬가지로 정답 처리되면 4번째 데크(제3정답 데크)로, 오답 처리되면 1번째 데크(오답 데크)로 단어데이터의 test 시간이 저장되어 이동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3번째 데크(제2정답데크)에서의 re-test가 완료되면 이미 최대개수제한에 도달한 상태인 2번째 데크(제1정답 데크)의 re-test가 진행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3번째 Deck(제2정답 데크)의 re-test가 완료되면, re-test에서 틀린 단어데이터(즉, 오답 Deck으로 넘어간 단어데이터)의 오답 확인 작업을 마친 후에 이전에 중지되었던 2번째 Deck(제1정답 데크)의 re-test가 재개된다.
-제3정답 데크에서의 학습 방식
3번째 데크(제2정답 데크)의 re-test가 진행되면서 정답 처리된 단어 데이터들이 학습한 순서에 맞추어 4번째 데크(제3정답 데크)에 쌓이게 되고, 4번째 데크(제 3정답 데크)도 마찬가지로 최대개수제한과 re-test 단어 데이터 개수의 설정이 내장되어 있어, 제한된 한계 개수에 도달하게 되면 자동으로 3번째 데크(제2정답데크)의 re-test가 중단되고 4번째 데크(제3정답데크)의 re-test가 진행된다.
마찬가지로 정답 처리되면 5번째 데크(제4정답 데크)로, 오답 처리되면 1번째 데크(오답 데크)로 test한 시간이 내장되어 이동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4번째 데크(제3정답데크)의 re-test가 완료되면, 3번째 데크(제2정답데크)의 re-test와 2번째 데크(제1정답데크)의 re-test가 순차적으로 진행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4번째 Deck(제3정답 데크)의 re-test가 완료되면, re-test에서 틀린 단어데이터(즉, 오답 Deck으로 넘어간 단어데이터)의 오답 확인 작업을 마친 후에 이전에 중지되었던 3번째 Deck(제2정답 데크)의 re-test가 재개된다.
-마지막 정답 데크에서의 학습 방식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학습자는 n개의 정답 데크를 설정하여 상기 방식으로 반복학습을 진행할 수 있으며, 마지막 정답 테크에 도달하여 최대개수제한과 re-test 단어 데이터 개수 설정에 의해, re-test가 진행되는 단어 데이터 중 오답 처리된 단어데이터는 1번 데크인 오답 데크로 test한 시간이 내장되어 이동한다.
그리고 정답 처리된 단어 데이터 중 학습패턴을 모두 마친 단어데이터의 경우에는 마스터카드로 이동하고 아직 모든 학습패턴을 수행하지 못한 단어데이터는 신규학습데이터베이스로 다시 이동하여 다른 학습패턴으로 상기 1단계부터 4단계까지의 과정을 재차 반복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마지막 데크의 re-test가 완료하면 re-test에서 틀린 단어데이터(즉, 오답 Deck으로 넘어간 단어데이터)의 오답 확인 작업을 마친 후에 이전에 중지되었던 마지막 데크의 전 데크에 대한 re-test가 재개된다.
- 마스터 카드로의 이동: 암기대상 학습의 완료
이와 같은 테스트에서 데이터의 표시 방식은 먼저 기술한, 영어단어가 나온 후 이에 대한 올바른 한글 뜻을 복수의 선택항목에서 맞추는 선택하는 학습방식(①)(도 8에 그 구체적인 예를 도시한다.)과 한글의 뜻이 먼저 나온 상태에서 올바른 영어단어를 복수의 선택항목에서 선택하는 학습방식(②), 그리고 한글의 뜻에 맞는 올바른 영어철자를 입력하는 학습방식(③)으로 나눌 수 있고, 하나의 개별 학습 데이터는 ① -> ② -> ③의 순으로 학습이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마지막 데크의 테스트에서 정답 처리된 암기대상이 신규학습데이터베이스로 다시 이동하는 경우는 학습패턴 ① -> ② -> ③에서 ① 또는 ②를 마친 것들로 마지막 ③학습패턴을 마쳐야 하기 때문이다. 마지막 데크에서 ① -> ② -> ③ 학습패턴을 모두 마치고 re-test에서 정답 처리된 단어 데이터는 100% 암기하고 이해했다는 의미로 최종적으로 마스터카드데이터로 이동하여 학습을 중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바, 이는 암기대상으로 이루어진 학습자료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저장장치;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되어진 암기대상으로 이루어진 학습자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복수의 암기대상을 추출하여 테스트 그룹을 생성하는 제1단계; 상기 테스트 그룹 중의 각 암기대상의 암기여부를 테스트하는 문제를 생성하여 표시장치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 장치를 통한 입력에 따라 정답입력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테스트를 통과한 암기대상은 정답 데크로 저장하고, 통과하지 못한 암기대상은 테스트한 시간정보와 함께 오답 데크에 저장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의 수행 중에, 상기 정답 데크에 저장된 암기대상의 수가 지정개수에 도달하는 경우, 정답 데크에 저장된 암기대상으로부터 복수의 암기대상을 추출하여 추출된 각 암기대상의 암기여부를 테스트하는 문제를 생성하여 표시장치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 장치를 통한 입력에 따라 정답입력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테스트를 통과한 암기대상은 차기 정답 데크로 저장하고, 통과하지 못한 암기대상은 시간정보와 함께 오답 데크에 저장하고 다시 제2단계로 복귀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2단계가 상기 테스트 그룹 중의 모든 암기대상에 대하여 완료된 후, 오답 데크에 저장된 암기대상 중에서 상기 저장된 시간정보와 현재시간과의 차이가 설정시간이상인 암기대상이 존재하면, 이를 추출하여 테스트 그룹으로 설정하여 상기 제2단계로 이동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1단계로 이동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문제의 표시 및 답안의 입력을 수행하는 입출력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는 일반적인 온라인 교육 방식에 적용되는 시스템을 이에 적용할 수 있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로 상기 저장장치 및 제어부는 서버에 구축되고, 상기 입출력장치는 개인용 단말기가 이에 해당하며, 상기 서버와 개인용 단말기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되어는 프로세스는 본 발명의 암기방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앞에서 기술한 다양한 변형 형태로 이를 추가적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킨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Claims (5)

  1. 저장장치에 저장되어진 암기대상으로 이루어진 학습자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복수의 암기대상을 추출하여 테스트 그룹을 생성하는 제1단계;
    상기 테스트 그룹 중의 각 암기대상의 암기여부를 테스트하는 문제를 생성하여 표시장치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 장치를 통한 입력에 따라 정답입력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테스트를 통과한 암기대상은 정답 데크로 저장하고, 통과하지 못한 암기대상은 시간정보와 함께 오답 데크에 저장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의 수행 중에, 상기 정답 데크에 저장된 암기대상의 수가 지정개수에 도달하는 경우, 정답 데크에 저장된 암기대상으로부터 복수의 암기대상을 추출하여 추출된 각 암기대상의 암기여부를 테스트하는 문제를 생성하여 표시장치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 장치를 통한 입력에 따라 정답입력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테스트를 통과한 암기대상은 차기 정답 데크로 저장하고, 통과하지 못한 암기대상은 테스트한 시간정보와 함께 오답 데크에 저장하고 다시 제2단계로 복귀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2단계가 상기 테스트 그룹 중의 모든 암기대상에 대하여 완료된 후, 오답 데크에 저장된 암기대상 중에서 상기 저장된 시간정보와 현재시간과의 차이가 사용자 또는 시스템이 설정한 암기대상의 반복학습 요청시간을 넘긴 암기대상이 존재하면, 이를 추출하여 테스트 그룹으로 설정하여 상기 제2단계로 이동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1단계로 이동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학습을 통한 암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의 수행 중에, 상기 차기 정답 데크에 저장된 암기대상의 수가 지정개수에 도달하는 경우, 차기 정답 데크에 저장된 암기대상으로부터 복수의 암기대상을 추출하여 추출된 각 암기대상의 암기여부를 테스트하는 문제를 생성하여 표시장치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 장치를 통한 입력에 따라 정답입력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테스트를 통과한 암기대상은 차차기 정답 데크로 저장하고, 통과하지 못한 암기대상은 시간정보와 함께 오답 데크에 저장하고 다시 제3단계로 복귀하는 차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학습을 통한 암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기단계는
    상기 차기단계의 수행 중에, 상기 차기단계의 n 차수에 해당하는 반복 단계를 내부적으로 더 수행하고, 최종적으로 마지막 차수에서는 테스트를 통과한 암기대상은 마스터 데크로 저장하고, 통과하지 못한 암기대상은 시간정보와 함께 오답 데크에 저장하고 다시 이전단계로 복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학습을 통한 암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데크에 저장된, 동일한 암기대상에 대하여 다른 테스트 문제 패턴으로 상기 제1단계 내지 제4단계를 포함하는 반복학습을 통한 암기방법을 적어도 한번은 반복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학습을 통한 암기방법.
  5. 암기대상으로 이루어진 학습자료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저장장치;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되어진 암기대상으로 이루어진 학습자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복수의 암기대상을 추출하여 테스트 그룹을 생성하는 제1단계; 상기 테스트 그룹 중의 각 암기대상의 암기여부를 테스트하는 문제를 생성하여 표시장치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 장치를 통한 입력에 따라 정답입력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테스트를 통과한 암기대상은 정답 데크로 저장하고, 통과하지 못한 암기대상은 시간정보와 함께 오답 데크에 저장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의 수행 중에, 상기 정답 데크에 저장된 암기대상의 수가 지정개수에 도달하는 경우, 정답 데크에 저장된 암기대상으로부터 복수의 암기대상을 추출하여 추출된 각 암기대상의 암기여부를 테스트하는 문제를 생성하여 표시장치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 장치를 통한 입력에 따라 정답입력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테스트를 통과한 암기대상은 차기 정답 데크로 저장하고, 통과하지 못한 암기대상은 시간정보와 함께 오답 데크에 저장하고 다시 제2단계로 복귀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2단계가 상기 테스트 그룹 중의 모든 암기대상에 대하여 완료된 후, 오답 데크에 저장된 암기대상 중에서 상기 저장된 시간정보와 현재시간과의 차이가 설정시간이상인 암기대상이 존재하면, 이를 추출하여 테스트 그룹으로 설정하여 상기 제2단계로 이동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1단계로 이동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문제의 표시 및 답안의 입력을 수행하는 입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학습을 통한 암기 시스템.
KR1020100003448A 2010-01-14 2010-01-14 반복학습을 통한 암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암기 시스템 KR101142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448A KR101142190B1 (ko) 2010-01-14 2010-01-14 반복학습을 통한 암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암기 시스템
PCT/KR2010/004933 WO2011087193A1 (ko) 2010-01-14 2010-07-27 반복학습을 통한 암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암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448A KR101142190B1 (ko) 2010-01-14 2010-01-14 반복학습을 통한 암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암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289A KR20110083289A (ko) 2011-07-20
KR101142190B1 true KR101142190B1 (ko) 2012-05-04

Family

ID=44304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3448A KR101142190B1 (ko) 2010-01-14 2010-01-14 반복학습을 통한 암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암기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42190B1 (ko)
WO (1) WO201108719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946B1 (ko) * 2013-05-13 2013-11-27 김미정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드로잉기법 기반의 영어 말하기 학습 기구
KR101572052B1 (ko) 2014-07-21 2015-11-26 이은정 영어단어 학습 장치 및 그 운용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599A (ko) 2020-06-30 2022-01-06 김선경 플래시카드를 이용한 학습시스템 및 그 학습방법
KR102405520B1 (ko) 2021-12-20 2022-06-07 김상원 학습 내용의 장기 기억 지원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
KR102495054B1 (ko) * 2022-01-10 2023-02-06 김상원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어휘 학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학습 지원 서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1334A (ja) * 1993-04-12 1994-10-28 Hitachi Ltd 記憶支援方法および装置
KR100438466B1 (ko) * 2002-10-09 2004-07-07 이영희 인터넷학습시스템 및 그 학습방법
JP2008203817A (ja) 2007-01-26 2008-09-04 Kenji Murakami 記憶継続指標を含む学習用システム
KR20100038049A (ko) * 2009-09-23 2010-04-12 김선효 오토 피드백 언어학습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865U (ko) * 1998-03-14 1999-10-15 추강수 영어단어 암기용 전자수첩
KR20000066469A (ko) * 1999-04-16 2000-11-15 이하용 휴대용 단어 암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2040915A (ja) * 2000-07-19 2002-02-08 Shuzo Inagaki 暗記補助システム
KR20080100857A (ko) * 2006-12-20 2008-11-21 오주창 라운드방식을 이용한 단어반복학습 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1334A (ja) * 1993-04-12 1994-10-28 Hitachi Ltd 記憶支援方法および装置
KR100438466B1 (ko) * 2002-10-09 2004-07-07 이영희 인터넷학습시스템 및 그 학습방법
JP2008203817A (ja) 2007-01-26 2008-09-04 Kenji Murakami 記憶継続指標を含む学習用システム
KR20100038049A (ko) * 2009-09-23 2010-04-12 김선효 오토 피드백 언어학습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946B1 (ko) * 2013-05-13 2013-11-27 김미정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드로잉기법 기반의 영어 말하기 학습 기구
KR101572052B1 (ko) 2014-07-21 2015-11-26 이은정 영어단어 학습 장치 및 그 운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289A (ko) 2011-07-20
WO2011087193A1 (ko) 201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2190B1 (ko) 반복학습을 통한 암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암기 시스템
Dunlosky et al. Do students use testing and feedback while learning? A focus on key concept definitions and learning to criterion
CN105159924A (zh) 学习资源推送方法和系统
CN102074135A (zh) 一种题库建置方法及装置
CN105070130A (zh) 水平测评方法和系统
CN109254991A (zh) 一种语言学习方法及装置
CN101807356A (zh) 英文程度定位方法
CN107203514A (zh) 智能教学习题生成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127552B1 (ko) 외국어 단어 암기방법 및 그 장치
Stoffová Computer games as a tool for the development of algorithmic thinking
CN112348725A (zh) 基于大数据的知识点难度定级方法
JP2011075824A (ja) 監視画面試験装置
Salekhova et al. The Principles of Designing an Expert System in Teaching Mathematics.
KR101586715B1 (ko) 학습자 테스트 결과에 기초하여 문제군 및 학습지를 생성하는 방법, 시스템,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erri et al.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learning time in physical education (ALT-PE) and skill concepts acquisition and retention
CN109686181A (zh) 一种编程教学方法、装置及系统
CN116521566A (zh) 测试数据生成方法及装置
CN114691903A (zh) 一种智能课程测试方法及系统、电子设备、存储介质
Kostadinova et al. Automated system for generating and validation a learning tests
Jiménez-Hernández et al. Using a serious video game to support the learning of tree traversals
Vaneck et al. A tool for evaluating computer programs from students
Bagley et al. Second-grade students’ use of visual programming to learn multiplication: Leveraging the concept of iteration
US20040081952A1 (en) Online learning system
CN117094861B (zh) 语言学习控制测试系统
Saengkeaw Application of association rule mining with concept-effect relationship model for learning diagno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