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0327B1 - 지하구조물의 일부를 토압지지체로 활용한 지하구조물 철거방법 - Google Patents

지하구조물의 일부를 토압지지체로 활용한 지하구조물 철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0327B1
KR101140327B1 KR1020090062943A KR20090062943A KR101140327B1 KR 101140327 B1 KR101140327 B1 KR 101140327B1 KR 1020090062943 A KR1020090062943 A KR 1020090062943A KR 20090062943 A KR20090062943 A KR 20090062943A KR 101140327 B1 KR101140327 B1 KR 101140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underground
earth pressure
wall
bas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2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6923A (ko
Inventor
이충규
김영식
Original Assignee
김영식
이충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식, 이충규 filed Critical 김영식
Publication of KR20100036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6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02D13/02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specially adapted for placing or removing bulk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9/00Removing sheet piles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or parts thereof
    • E02D9/02Removing sheet piles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or parts thereof by withdra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6Separating, lifting, removing of buildings; Making a new sub-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구조물을 철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지하구조물을 철거함에 있어 토압을 받는 지하옹벽을 기둥부분과 벽체부분으로 구분하여 먼저 지하옹벽의 벽체부분만을 철거함과 아울러 되메우기하고, 이러한 지하옹벽의 벽체부분 철거와 되메우기를 반복하여 마무리한 후에야 비로소 지하옹벽의 기둥부분을 인발하여 철거한다는데 기술적 특징이 있다. 다시 말해, 본원발명은 지하구조물을 철거함에 있어 지하구조물의 일부를 되메우기 과정에서도 철거하지 않고 존치시켜 철거과정에서 지하옹벽에 작용하는 토압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토압지지용 가설구조체로 활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철거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설치하던 가설구조체(옹벽지지파일 내지 레이커파일 등)를 생략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전반적으로 가설작업이 개선되어 공사비를 절감하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지하구조물, 지하옹벽, 철거, 기둥, 토압지지체, 분리

Description

지하구조물의 일부를 토압지지체로 활용한 지하구조물 철거방법{Underground removal method using partial members of underground as earth pressure supporting structure}
본 발명은 지하구조물을 철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구조물을 철거함에 있어 지하구조물의 일부를 되메우기 과정에서도 철거하지 않고 존치시켜 철거과정에서 지하옹벽에 작용하는 토압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토압지지용 가설구조체로 활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이 노후화되면 철거하게 된다. 특히 건축물의 지하부분 즉, 지하구조물의 지하옹벽은 토압을 받고 있는 부분이어서 지하옹벽의 철거와 동시에 토압지지력 상실로 지하옹벽 배후의 지반이 붕괴될 수 있기 때문에, 지하구조물의 철거는 토압지지력 상실을 보충하여 지반의 안정성을 꾀하면서 진행할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지하구조물의 철거에서 토압지지력의 보충은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토압지지용 가설구조체를 함께 설치하는 것으로 해결하여 왔다.
도 1은 토압지지용 가설구조체로 옹벽지지파일과 수평버팀대를 설치하여 지하구조물을 철거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이 방법은 하향식으로 수평버팀대를 설치하면서 지하옹벽의 내측구조물(내부기둥, 보, 슬래브 등)을 철거하고, 지하옹벽 내측면에 접하게 옹벽지지파일을 설치한 다음, 상향식으로 수평버팀대 제거와 동시에 지하옹벽을 철거하면서 되메우기를 실시하고, 마지막으로 옹벽지지파일을 인발 제거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이 방법은 철거과정에서 지하옹벽이 받는 토압을 수평버팀대가 수평지지하는 한편 옹벽지지파일이 수직지지하는 구조가 된다. 하지만, 이 방법은 수평버팀대가 마주보는 지하옹벽을 연결하여 설치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큰 규모의 지하구조물 철거에는 적용하기 곤란하다. 왜냐하면 수평버팀대가 길어짐에 따라 자재비용이 증가하고 설치작업량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이 방법은 옹벽지지파일을 지하옹벽에 접하게 설치하기 때문에 옹벽지지파일 배후에 위치하는 부분의 지하옹벽 철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도 2는 특허 제10-736241호를 보여주는데, 특허 제10-736241호는 토압지지용 가설구조체로 레이커파일과 경사버팀대를 설치하여 지하구조물을 철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지하옹벽이 붕괴하지 않게 하면서 지하옹벽 내측구조물의 중간부분을 철거하고, 철거된 중간부분에서 레이커파일을 지반에 정착하도록 설치하고, 하향식으로 철거되지 않은 지하옹벽 내측구조물의 나머지부분을 철거하면서 지하옹벽과 레이커파일을 연결하는 경사버팀대(레이커)를 설치한 다음, 상향식으로 경사버 팀대 제거와 동시에 지하옹벽을 철거하면서 되메우기를 실시하고, 마지막으로 레이커파일을 인발 제거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이 방법은 지하옹벽이 받는 토압을 경사버팀대가 경사지지하는 한편 레이커파일이 수직지지하는 구조가 된다. 이 방법은 도 1의 수평버팀대 설치방법에 비해 짧은 길이의 경사버팀대를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하지만, 이 방법은 레이커파일을 지반에 정착시키기 위해 천공작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특수의 천공장비가 필요하고 천공소음이 발생하고 나아가 지반이 교란될 수 있다는 문제를 수반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를 개선하고자 개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기술적 과제를 가진다.
첫째, 가설작업을 개선한 지하구조물 철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철거할 지하구조물 주변의 지반조건에 무관하게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지하구조물 철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토압을 받는 지하옹벽을 기둥부분과 벽체부분으로 구분하여 먼저 지하옹벽의 벽체부분만을 철거함과 아울러 되메우기하고, 지하옹벽의 벽체부분 철거와 되메우기를 반복하여 마무리한 후에 지 하옹벽의 기둥부분을 인발하여 철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 철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지하구조물을 철거함에 있어 지하옹벽의 일부를 되메우기 과정에서도 철거하지 않고 존치시켜 철거과정에서 지하옹벽에 작용하는 토압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토압지지체로 활용하기 때문에, 지하구조물 철거를 위한 가설작업을 간소화하거나 아예 생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반적으로 가설작업이 개선되어 공사비를 절감하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둘째, 별도의 가설구조체(옹벽지지파일 내지 레이커파일)를 지반에 정착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철거할 지하구조물 주변의 지반조건에 무관하게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더군다나, 가설구조체를 지반에 정착 설치하기 위한 천공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천공작업에 수반되는 각종 문제점(장비사용문제, 소음발생문제, 지반교란문제 등)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구조물 철거방법에 대한 개요도이다.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하구조물을 철거함에 있어 토압을 받는 지하옹벽(100)을 기둥부분(110)과 벽체부분(120)으로 구분하여 먼저 지하옹벽의 벽체부분(120)만을 철거함과 아울러 되메우기하고, 지하옹벽의 벽체부분(120) 철거와 되메우기를 반복하여 마무리한 후에야 비로소 지하옹벽의 기둥부분(110)을 인발하여 철거한다는데 기술적 특징이 있다. 즉, 지하옹벽(100)의 일부를 되메우기 과정에서도 철거하지 않고 존치시켜 철거과정에서 지하옹벽에 작용하는 토압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토압지지용 가설구조체로 활용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종래 철거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설치하던 가설구조체(옹벽지지파일 내지 레이커파일 등)를 생략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기술적인 특징이 구현되는 본 발명은 지하옹벽의 내측구조물(200)의 구체적인 철거양상에 따라 크게 2가지로 구분되는데, 지하옹벽의 내측구조물(200)을 일시에 전부 철거하는 방식과, 지하옹벽의 내측구조물(200)의 일부만을 먼저 철거하고 나머지를 나중에 지하옹벽(100)과 함께 철거하는 방식이 그것이다.
실시예1. 지하옹벽의 내측구조물을 일시에 전부 철거하는 방식
도 4a 내지 도 4d는 지하옹벽의 내측구조물(200)을 일시에 전부 철거한 후에 지하옹벽(100)을 철거함으로써 지하구조물을 철거하게 되는 방식을 단계적으로 보여준다.
(a)지하옹벽의 내측구조물 철거단계- 도 4a
지하옹벽(100)을 남겨둔 채 지하옹벽의 내측구조물(200)만을 전부 철거하는 단계로서, 남아있는 지하옹벽(100)이 토압에 의해 무너지지 않을 정도로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수평버팀대(300)를 설치하면서 지하옹벽의 내측구조물(200)을 철거하는 단계이다. 지하구조물이 다층의 구조물이라면 내측구조물(내부기둥, 보, 슬래브) 철거와 수평버팀대(300) 설치를 상부에서 하부로 하향식으로 반복하면서 최하층까지 진행하도록 한다(도 1의 (b)참조).
본 단계가 진행되면, 지하구조물은 도 4a에서와 같이 지하옹벽(100)만이 존치하여 수평버팀대(300)에 의해 지지되는 한편 지하옹벽(100) 내측으로 지반바닥이 노출된 상태가 된다.
(b)지하옹벽의 일부철거와 되메우기 실시단계-도 4b
지하옹벽(100)을 기둥부분(110)과 벽체부분(120)으로 구분하여 벽체부분(120)만을 철거하는 한편 되메우기를 실시하는 단계로서, 지하옹벽(100) 내측의 지반바닥에서부터 소정 높이만큼 철거함과 아울러 남아있는 지하옹벽(100)이 토압에 의해 무너지지 않을 정도로 안정성이 확보되게 하면서 되메우기를 실시하는 단계이다. 아울러, 되메우기와 동시에 또는 되메우기를 마친 후에는 지하옹벽(100)의 토압에 대한 안정성을 해지지 않는 위치(철거위치)의 수평버팀대(300)는 제거하도록 한다.
본 단계는 지하옹벽(100)의 내측에서 가운데 부분을 먼저 되메우기하고 이어 지하옹벽의 벽체부분(120)을 철거함과 동시에 철거된 부분을 되메우기하는 과정으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지하옹벽의 벽체부분(120)이 철거될 때 철거된 부분에서의 토압지지력 상실시간을 최소화하여 존치하는 지하옹벽(100)이 안정적으 로 토압을 지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철거작업을 진행하기에 앞서 전체 지하옹벽(100)에 대해 기둥부분(110)과 벽체부분(120)을 구획하여 표시하는 작업을 진행하도록 하며, 벽체부분(120)의 철거작업은 휠쏘우커팅(whill saw cutting) 장비로서 부분부분 절개한 후 인양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도록 한다.
본 단계가 진행되면 도 4b에서와 같이, 지하구조물의 하부는 지하옹벽의 기둥부분(110)만이 되메우기된 지반에 매입되는 상태가 되는 한편, 지하구조물의 상부는 지하옹벽(100)이 수평버팀대(300)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부의 지하옹벽(100)은 되메우기에 의해 매입된 하부의 지하옹벽 기둥부분(110)이 지지하게 되고, 아울러 상부의 지하옹벽(100)에 가해지는 토압은 수평버팀대(300)에 의해 지지된다.
(c)반복단계- 도 4c
상기 (b)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로서, 상향식으로 지하옹벽(100)의 일부철거와 되메우기를 반복 실시하여 마무리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가 진행되면 지하구조물은 도 4c에서와 같이 지하옹벽의 기둥부분(110)만이 되메우기된 지반에 매입된 상태가 된다. 즉, 수평버팀대(300)는 전부 제거되고 지하옹벽의 벽체부분(120)은 전부 철거되고 아울러 되메우기까지 마무리되어 지하옹벽의 기둥부분(110)만이 기둥파일 형태로 존치하게 되는 것이다.
(d)지하옹벽의 기둥부분 철거단계- 도 4d
지하옹벽의 기둥부분(110)을 인발하여 철거하는 단계이다. 지하옹벽의 기둥부분(110)은 기둥파일 형태로 지반에 매입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통상 파일인발장치로서 철거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지하옹벽의 기둥부분(110)이 지중에 단단하게 매입된 상태라면 공기압 또는 수압으로 관입 설치되는 인발용 케이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인발용 케이싱을 관입 설치하면서 기둥부분(110)의 주변 지반을 연악하게 한 후에 기둥부분(110)을 인발하고, 이어 인발용 케이싱을 인발하는 것이다. 이로써 지하구조물의 철거가 완료된다.
한편, 철거할 지하구조물에서 지하옹벽(100)이 상부에 비해 하부가 더 두껍게 시공되어 단턱이 형성된 경우라면 지하옹벽의 기둥부분(110)에도 단턱이 형성될 텐데, 이 경우에는 지하옹벽의 기둥부분(110)을 인발할 때 단턱이 되메우기된 지반에 걸리기 때문에 인발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 5에서와 같이 지하옹벽의 기둥부분(110)의 단턱에 경사연결판(111)을 설치할 것을 제안한다. 다만, 이때 경사연결판(111)의 설치작업은 상기 (b)단계에서 되메우기에 의해 지하옹벽의 기둥부분(110)의 단턱이 묻히기 전(바람직하게는 지하옹벽을 기둥부분과 벽체부분으로 구분한 후 벽체부분을 철거하기 전)에 진행하도록 한다.
실시예2. 지하옹벽의 내측구조물 일부만을 먼저 철거하고 나머지를 나중에 지하옹벽과 함께 철거하는 방식
도 6a 내지 도 6d는 지하옹벽의 내측구조물(200)의 일부만을 먼저 철거하고 나머지를 나중에 지하옹벽(100)과 함께 철거함으로써 지하구조물을 철거하게 되는 방식을 단계적으로 보여준다.
(a)지하옹벽의 내측구조물 철거단계- 도 6a
지하옹벽(100)과 함께 지하옹벽의 내측구조물(200)의 일부를 남겨두면서 지하옹벽의 내측구조물(200)의 나머지 일부만을 철거하는 단계로서, 지하옹벽의 내측구조물(200)에서 지하옹벽(100)과 만나는 외곽부분(210)을 내부기둥(211)과 층간슬래브(212, 보가 일체화된 경우 포함)가 포함된 상태로 1스팬 이상 남겨둔 채 지하옹벽의 내측구조물의 중간부분(220)만을 철거하는 단계이다. 다만, 철거작업은 존치하는 구조물이 토압에 의해 무너지지 않을 정도로 안정성이 확보되게 하면서 진행되어야 한다. 도 6a는 1스팬 범위에서 내부기둥(211)과 층간슬래브(212)가 존치되는 예를 보여주고 있다. 한편, 지하구조물이 다층의 구조물이라면 본 단계의 철거작업은 하향식으로 반복하면서 최하층까지 진행하도록 한다.
철거작업으로 존치하는 구조물은 지하옹벽(100)과 지하옹벽의 내측구조물의 외곽부분(210, 내부기둥과 층간슬래브가 포함된 상태로 1스팬 이상)이 될 텐데, 이때 존치하는 구조물에서 지하옹벽의 내측구조물의 외곽부분(210)은 토압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지하옹벽(100)이 받는 토압이 층간슬래브(212)를 통해 내부기둥(211)으로 전달되면서 분산 지지되는 것이다. 다만, 존치하는 구조물만으로 토압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상태라면 별도의 가설토압지지체를 설치할 필요가 없을 것이나, 그렇지 않은 상태라면 추가적인 가설토압지지체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가설토압지지체는 수평버팀대(300)나 인장보강대(400) 형태로 지하옹벽의 내측구조물(200)에서 외곽부분의 층간슬래브(212)에 정착하게 설치할 수 있다. 수평버팀대(300)는 도 7b에서와 같이 철거된 중간부분(220)에 토압을 전달하는 형태로 수평으로 설치되며, 인장보강대(400)는 도 7c에서와 같이 존치하는 외곽부분의 층간슬래브(212) 단부에 인장을 보강하는 형태로 설치된다.
특히, 가설토압지지체로서 인장보강대(400)는 도 7a에서와 같은 토압지지메카니즘 결과를 감안한 것인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인장보강대(400)로 도 7c에서와 같이, 지하옹벽의 내측구조물(200)에서 외곽부분의 층간슬래브(212) 단부에 서로 이격하게 고정 위치하는 2개 이상의 정착대(410);와, 긴장된 상태로 상기 정착대(410)에 정착 설치되는 긴장재(420, tendon);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제안한다. 상기 정착대(410)는 별도 준비하여 설치할 수도 있으나, 별도 준비하지 않고 기존의 슬래브철근을 유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슬래브철근을 정착대(410)로 유용하기 위해서는 지하옹벽의 내측구조물의 중간부분(220)에 대한 철거과정에서 외곽부분의 층간슬래브(212) 단부로부터 슬래브철근이 돌출되게 철거작업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정착대(410)는 층간슬래브(212) 단부에서 동일한 길이로 돌출되게 할 수도 있으나(도 7b의 (ⅰ)), 가운데에서 인장력이 가장 크게 작용한다는 것을 감안하면 가운데에서 단부로 갈수록 점점 짧아지는 길이로 돌출되게 하는 것(도 7b의 (ⅱ))이 바람직하다.
(b)존치하는 구조물의 일부철거와 되메우기 실시단계- 도 6b
존치하는 구조물에서 지하옹벽(100)은 기둥부분(110)과 벽체부분(120)으로 구분하여 벽체부분(120)만을 철거하고 지하옹벽의 내측구조물의 외곽부분(210)은 내부기둥(211)만을 남겨둔 채 나머지 부분을 철거하는 한편 되메우기를 실시하는 단계로서, 지하옹벽(100) 내측의 지반바닥에서부터 소정 높이만큼 철거함과 아울러 남아있는 구조물이 토압에 의해 무너지지 않을 정도로 안정성이 확보되게 하면서 되메우기를 실시하는 단계이다. 만약 상기 (a)단계에서 가설토압지지지체를 설치하였다면, 철거위치에 있는 가설토압지지체는 지하옹벽의 내측구조물의 외곽부분(210) 철거과정에서 제거하도록 한다.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2에서도 본 단계는 지하옹벽(100)의 내측에서 가운데 부분을 먼저 되메우기하고, 이어 철거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되메우기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철거작업을 진행하기에 앞서 전체 지하옹벽(100)에 대해 기둥부분(110)과 벽체부분(120)을 구획하여 표시하는 작업을 선행하고, 철거작업은 휠쏘우커팅(whill saw cutting) 장비로서 절개한 후 인양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나아가, 본 단계는 철거 대상부분을 철거한 후에 존치하는 구조물의 내부기둥(211) 주변을 되메우기하기 앞서 내부기둥(211)을 마찰저감형 피복재(500)로 둘러싸도록 설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면서 진행할 수 있는데, 이는 하기의 (d)단계에서 내부기둥(211)을 용이하게 인발하여 철거하기 위함이다.
도 8a는 케이싱 타입의 마찰저감형 피복재(500)를 보여주는데, 케이싱 타입의 마찰저감형 피복재는 종방향으로 분할된 파이프(510)와 분할된 파이프를 연결하는 연결구(520)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마찰저감형 피복재(500)는 분할된 파이프(510)로 내부기둥(211)을 둘러싼 상태에서 연결구(520)로 분할된 파이프(510) 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이용된다. 케이싱 타입의 마찰저감형 피복재(500)가 설치되면 되메우기는 마찰저감형 피복재(500) 바깥으로 이루어지므로 내부기둥(211)과 되메우기 지반 사이에는 마찰저감형 피복재(파이프)를 경계로 자연스럽게 공극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내부기둥(211)은 되메우기 지반에 의한 마찰저항을 받지 않기 때문에 용이하게 인발할 수 있게 된다. 케이싱 타입의 마찰저감형 피복재(500)에는 종래 지중 매설관으로 시공되는 이중벽관을 적절히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
도 8b는 이중필름 타입의 마찰저감형 피복재(500)를 보여주는데, 이중필름 타입의 마찰저감형 피복재(500)는 제1,2필름(530a, 530b) 사이에 윤활유에 의한 비마찰층(540)이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마찰저감형 피복재(500)는 제1필름(530a)으로 내부기둥(211)을 둘러싼 상태에서 접착제 등으로 부착하는 방식으로 이용되며, 상기 마찰저감형 피복재(500)는 제1,2필름(530a, 530b)과 비마찰층(540)을 적층시킨 제품상태로 준비되거나 도 8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적층 시공과정을 통해 현장에서 직접 준비될 수 있다. 이중필름 타입의 마찰저감형 피복재(500)가 설치되면 되메우기는 마찰저감형 피복재(500) 바깥으로 이루어지므로 내부기둥(211)과 되메우기 지반 사이에는 윤활유에 의한 비마찰층이 마련되며, 이에 따라 내부기둥(211)은 되메우기 지반에 의한 마찰저항을 받지 않기 때문에 용이하게 인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내부기둥(211)은 마찰저감형 피복재(500)에서 제1,2필름(530a, 530b)이 비마찰층에 의해 서로 분리됨에 따라 인발되며, 인발된 내부기둥(211)은 제1필름(530a)이 부착된 상태가 된다. 특히 이중필름 타입의 마찰저감형 피복재(500)에서 제2필름(530b)은 그 표면이 거칠게 처리되거나 그 표면에 접착제가 처 리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2필름(530b)과 되메우기 지반 사이의 마찰저항을 극대화하여 비마찰층(540)에 의한 제1,2필름(530a, 530b)의 용이한 분리를 유도하기 위함이다.
본 단계가 진행되면 지하구조물은 도 6b에서와 같이 그 하부는 지하옹벽의 기둥부분(110)과 내부기둥(211)이 되메우기된 지반에 매입되는 상태가 되고, 그 상부는 지하옹벽(100)과 지하옹벽의 내측구조물의 외곽부분(210)이 그 자체 또는 가설토압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c)반복단계- 도 6c
상기 (b)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로서, 상향식으로 존치하는 구조물의 일부철거와 되메우기를 실시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가 진행되면 지하구조물은 도 6c에서와 같이 지하옹벽의 기둥부분(110)과 내부기둥(211)만이 되메우기된 지반에 매입된 상태가 된다. 즉, 지하옹벽의 기둥부분(110)과 내부기둥(211)만이 기둥파일 형태로 존치하게 되는 것이다.
(d)기둥 철거단계- 도 6d
지하옹벽의 기둥부분(110)과, 지하옹벽의 내측구조물에서 외곽부분의 내부기둥(211)을 인발하여 철거하는 단계이다. 통상적인 파일인발장치로서 철거할 수 있으며, 이로써 지하구조물의 철거가 완료된다.
특히, 상기 (b)단계에서 내부기둥(211) 주변으로 마찰저감형 피복재(500)를 설치하였다면 내부기둥(211)을 더욱 용이하게 인발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지하구조물의 철거가 완료되더라도 마찰저감형 피복재(500)는 지중에 매설된 상태로 존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마찰저감형 피복재(500)는 철거 완료된 대지에 새로운 공사를 수행할 때 제거하면 된다.
본 실시예2에서도 실시예1에서와 마찬가지로 철거할 지하구조물에서 지하옹벽(100)이 상부에 비해 하부가 더 두껍게 시공되어 단턱이 형성되게 된 경우라면, 도 5에서와 같이 지하옹벽의 기둥부분(110)의 단턱에 경사연결판(111)을 설치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부가 및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지하구조물 철거방법을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구조물 철거방법에 대한 개요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구조물 철거방법의 일실시예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구조물 철거방법에서 지하옹벽의 기둥부분에 경사연결판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구조물 철거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구조물 철거방법을 따를 때의 토압 전달메커니즘과 가설토압지지체를 설치한 예를 도시한다.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구조물 철거방법에서 내부기둥을 인발하기 위한 구체적은 방안을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지하옹벽
110: 기둥부분
111: 경사연결판
120: 벽체부분
200: 지하옹벽의 내측구조물(미표시부호)
210: 외곽부분
211: 내부기둥
212: 층간슬래브
220: 중간부분
300: 수평버팀대
400: 인장보강대
410: 정착대
420: 긴장재
500: 마찰저감형 피복재
510: 파이프
520: 연결구
530a, 530b: 필름
540: 비마찰층

Claims (8)

  1. 토압을 받는 지하옹벽(100)을 기둥부분(110)과 벽체부분(120)으로 구분하여 먼저 지하옹벽의 벽체부분(120)만을 철거함과 아울러 되메우기하고, 지하옹벽의 벽체부분(120) 철거와 되메우기를 반복하여 마무리한 후에 지하옹벽의 기둥부분(110)을 인발하여 철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의 일부를 토압지지체로 활용한 지하구조물 철거방법.
  2. 제1항에서,
    지하구조물 철거방법은,
    (a)지하옹벽(100)을 남겨둔 채 지하옹벽의 내측구조물(200)을 전부 철거하되, 지하옹벽(100)이 토압에 의해 무너지지 않을 정도로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지하옹벽(100)에 수평버팀대(300)를 설치하면서 철거하는 단계;
    (b)지하옹벽(100)을 기둥부분(110)과 벽체부분(120)으로 구분하여 벽체부분(120)만을 철거하되, 지하옹벽(100) 내측의 지반바닥에서부터 소정 높이만큼 철거함과 아울러 존치하는 지하옹벽(100)이 토압에 의해 무너지지 않을 정도로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되메우기를 실시하는 단계;
    (c)상기 (b)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d)지하옹벽의 기둥부분(110)을 인발하여 철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b)단계에는 철거위치의 수평버팀대(300)를 제거하는 과정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의 일부를 토압지지체로 활용한 지하구조물 철거방법.
  3. 제1항에서,
    지하구조물 철거방법은,
    (a)지하옹벽(100)은 물론 지하옹벽의 내측구조물(200)에서 지하옹벽(100)과 만나는 외곽부분(210)을 내부기둥(211)과 층간슬래브(212)가 포함된 상태로 1스팬 이상 남겨둔 채, 지하옹벽의 내측구조물의 중간부분(220)만을 철거하되, 존치하는 구조물이 토압에 의해 무너지지 않을 정도로 안정성이 확보되게 하면서 철거하는 단계;
    (b)존치하는 구조물에서 지하옹벽(100)은 기둥부분(110)과 벽체부분(120)으로 구분하여 벽체부분(120)만을 철거하는 한편 지하옹벽의 내측구조물의 외곽부분(210)은 내부기둥(211)만을 남겨둔 채 철거하되, 지하옹벽(100) 내측의 지반바닥에서부터 소정 높이만큼 철거함과 아울러 존치하는 구조물이 토압에 의해 무너지지 않을 정도로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되메우기를 실시하는 단계;
    (c)상기 (b)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d)지하옹벽의 기둥부분(110)과, 지하옹벽의 내측구조물에서 외곽부분의 내부기둥(211)을 인발하여 철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의 일부를 토압지지체로 활용한 지하구조물 철거방법.
  4. 제3항에서,
    상기 (a)단계에는 지하옹벽의 내측구조물(200)에서 외곽부분의 층간슬래브(212)에 가설토압지지체로서 수평버팀대(300)를 설치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고,
    상기 (b)단계에는 철거위치의 수평버팀대(300)를 제거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의 일부를 토압지지체로 활용한 지하구조물 철거방법.
  5. 제3항에서,
    상기 (a)단계에는 지하옹벽의 내측구조물(200)에서 외곽부분(210)에 가설토압지지체로서 인장보강대(400)를 설치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되, 상기 인장보강대(400)는 지하옹벽의 내측구조물(200)에서 외곽부분의 층간슬래브(212) 단부에 서로 이격하게 고정 위치하는 2개 이상의 정착대(410);와, 긴장된 상태로 상기 정착대(410)에 정착 설치되는 긴장재(4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며,
    상기 (b)단계에는 철거위치의 인장보강대(400)를 제거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의 일부를 토압지지체로 활용한 지하구조물 철거방법.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지하옹벽(100)은 하부가 더 두껍게 시공되어 단턱이 형성된 상태이며,
    상기 (b)단계에는 되메우기에 의해 지하옹벽의 기둥부분(110)의 단턱이 묻히기 전에 지하옹벽의 기둥부분(110)의 단턱에 경사연결판(111)을 설치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의 일부를 토압지지체로 활용한 지하구조물 철거방법.
  7.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b)단계에는, 철거 대상부분을 철거한 후에 존치하는 구조물의 내부기둥(211) 주변을 되메우기하기 앞서 내부기둥(211)을 마찰저감형 피복재(500)로 둘러싸도록 설치하는 고정이 더 포함되되,
    상기 마찰저감형 피복재(500)는, 종방향으로 분할된 파이프(510)와 분할된 파이프를 연결하는 연결구(520)로 구성된 케이싱 타입의 것으로, 분할된 파이프(510)로 내부기둥(211)을 둘러싼 상태에서 연결구(520)로 분할된 파이프(510)를 연결하여 설치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의 일부를 토압지지체로 활용한 지하구조물 철거방법.
  8.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b)단계에는, 철거 대상부분을 철거한 후에 존치하는 구조물의 내부기둥(211) 주변을 되메우기하기 앞서 내부기둥(211)을 마찰저감형 피복재(500)로 둘러싸도록 설치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되,
    상기 마찰저감형 피복재(500)는, 제1,2필름(530a, 530b) 사이에 윤활유에 의한 비마찰층(540)이 형성된 이중필름 타입의 것으로, 제1필름(530a)으로 내부기둥을 둘러싼 상태에서 부착하여 설치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의 일부를 토압지지체로 활용한 지하구조물 철거방법.
KR1020090062943A 2008-09-30 2009-07-10 지하구조물의 일부를 토압지지체로 활용한 지하구조물 철거방법 KR1011403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96057 2008-09-30
KR1020080096057 2008-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923A KR20100036923A (ko) 2010-04-08
KR101140327B1 true KR101140327B1 (ko) 2012-05-03

Family

ID=42214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943A KR101140327B1 (ko) 2008-09-30 2009-07-10 지하구조물의 일부를 토압지지체로 활용한 지하구조물 철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03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129B1 (ko) * 2019-02-20 2020-02-24 (주)옥당산업 지하 구조물을 지지체로 활용한 건물 지하층 철거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52016B (zh) * 2010-06-11 2011-12-14 中国二十二冶集团有限公司 地下墙体超长竖筋一次安装脚手架施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4746A (ja) 2007-03-30 2008-11-13 Kanto Kiso Kogyo Kk 地下構造物の解体撤去工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4746A (ja) 2007-03-30 2008-11-13 Kanto Kiso Kogyo Kk 地下構造物の解体撤去工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129B1 (ko) * 2019-02-20 2020-02-24 (주)옥당산업 지하 구조물을 지지체로 활용한 건물 지하층 철거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923A (ko) 2010-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98817A1 (en) Method for constructing structure
JP2008013926A (ja) 既存建物の基礎補強工法
KR101176592B1 (ko) 긴장재를 이용한 엄지말뚝 흙막이 시공 방법
KR102218604B1 (ko) 말뚝 본체와 경사 그라운드 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 방법
JP2006328716A (ja) 既設構造物のアンダーピニング構造及び方法、並びに、既設構造物の近くに新設構造物を構築する方法
KR20090029993A (ko) 강막작용에 의하여 지지되는 흙막이벽을 이용한 지하구조물및 지하구조물 구축공법
KR20120093547A (ko) 톱다운식 지하증축 시공방법
JP5038170B2 (ja) 構造物の建て替え方法
KR100876853B1 (ko) 테두리보용 데크판을 이용한 무지주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JP2012112121A (ja) 直接基礎下地盤の掘削方法及び既設建物の免震化方法
KR101140327B1 (ko) 지하구조물의 일부를 토압지지체로 활용한 지하구조물 철거방법
KR20100094140A (ko) 건물벽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JP3761323B2 (ja) 建造物の建て替え方法
KR102249947B1 (ko) 회수가능한 수평파일과 굴착면의 경사도를 이용한 비개착공법
JP2009127251A (ja) 建造物の建て替え方法
JP7338119B2 (ja) 浮上り抑制構造、及び逆打ち工法
JP3761307B2 (ja) 建造物の建て替え方法
KR20130100878A (ko) 복합 강관파일을 이용한 건축물
JP4833949B2 (ja) コンクリート一体型構真柱
KR101481073B1 (ko) 지하구조물의 철거방법
KR100615149B1 (ko) 콘크리트 지상구조물의 역타설공법
JP7182485B2 (ja) 建物の構築方法
KR101257905B1 (ko) 매입말뚝을 이용한 기초 공법
JP2009203690A (ja) アースアンカーおよびその撤去方法
KR102611456B1 (ko) 리모델링 공사용 수평 부분 역타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