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9993A - 강막작용에 의하여 지지되는 흙막이벽을 이용한 지하구조물및 지하구조물 구축공법 - Google Patents

강막작용에 의하여 지지되는 흙막이벽을 이용한 지하구조물및 지하구조물 구축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9993A
KR20090029993A KR1020070095241A KR20070095241A KR20090029993A KR 20090029993 A KR20090029993 A KR 20090029993A KR 1020070095241 A KR1020070095241 A KR 1020070095241A KR 20070095241 A KR20070095241 A KR 20070095241A KR 20090029993 A KR20090029993 A KR 20090029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wall
deck plate
underground structur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5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미파슨스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미파슨스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미파슨스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70095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9993A/ko
Publication of KR20090029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99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02D17/083Shoring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막작용에 의하여 지지되는 흙막이벽을 이용한 지하구조물 및 지하구조물 구축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탑다운 공법을 이용하여 지하구조물을 구축함에 있어서,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시공되는 흙막이벽; 상기 흙막이벽이 형성하는 공간 내부에 시공되는 구조물 본체의 본체기둥; 상기 흙막이벽의 엄지말뚝에 결합되는 수평브래킷; 상기 이웃하는 수평브래킷의 상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것으로, 흙막이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받침보; 일단이 상기 받침보 상부에 설치되고 타단이 이웃하는 수직부재에 결합되는 것으로, 구조물 본체를 구성하는 철골보; 상기 철골보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구조물 합벽의 내측 경계선과 일치하거나 구조물 합벽의 내측 경계선보다 내측에 위치되는 제1경계부 및 제1경계부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엄지말뚝에 연결되는 제2경계부로 이루어지는 데크플레이트; 상기 데크플레이트 위에 타설되는 슬래브 콘크리트; 및, 상기 흙막이벽과 데크플레이트의 제1경계부 및 제2경계부가 형성하는 공간을 통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합벽;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막작용에 의하여 지지되는 흙막이벽을 이용한 지하구조물 및 지하구조물 구축공법에 관한 것이다.
탑다운 공법, 강막작용, 흙막이벽, 지하구조물

Description

강막작용에 의하여 지지되는 흙막이벽을 이용한 지하구조물 및 지하구조물 구축공법{Underground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with retaining wall supported by rigid diaphragm}
본 발명은 강막작용에 의하여 지지되는 흙막이벽을 이용한 지하구조물 및 지하구조물 구축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탑다운 공법을 이용하여 지하구조물을 구축함에 있어서,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시공되는 흙막이벽; 상기 흙막이벽이 형성하는 공간 내부에 시공되는 구조물 본체의 본체기둥; 상기 흙막이벽의 엄지말뚝에 결합되는 수평브래킷; 상기 이웃하는 수평브래킷의 상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것으로, 흙막이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받침보; 일단이 상기 받침보 상부에 설치되고 타단이 이웃하는 수직부재에 결합되는 것으로, 구조물 본체를 구성하는 철골보; 상기 철골보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구조물 합벽의 내측 경계선과 일치하거나 구조물 합벽의 내측 경계선보다 내측에 위치되는 제1경계부 및 제1경계부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엄지말뚝에 연결되는 제2경계부로 이루어지는 데크플레이트; 상기 데크플레이트 위에 타설되는 슬래브 콘크리트; 및, 상기 흙막이벽과 데크플레이트의 제1경계부 및 제2경계부가 형성하는 공간을 통하여 타설되는 콘크 리트로 이루어진 합벽;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막작용에 의하여 지지되는 흙막이벽을 이용한 지하구조물 및 지하구조물 구축공법에 관한 것이다.
탑다운 공법은 굴착공사 이전에 지하 외부 벽체와 지하층 기둥을 미리 시공한 다음, 단계별로 지하층 슬래브와 토공사를 반복해 가면서 위에서 아래로 지하구조물을 형성하는 공법이다. 이러한 탑다운 공법은 특히 도심지의 대규모 구조물을 위한 굴착공사에도 안정적이며, 구조물의 1층 바닥 선시공으로 인한 작업장의 조기확보 및 지상과 지하의 동시 시공으로 인한 공기단축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공법이다.
이러한 탑다운 공법에서는 굴착 후 흙막이벽을 지지하기 위하여 가설 스트럿 공법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가설 스트럿 공법은 가설재로 인한 협소한 작업공간 문제, 가설재의 해체에 따른 공기증대 및 주변 지반 교란 염려, 스트럿의 좌굴이나 비틀림으로 인한 안정성 문제 등을 유발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흙막이벽을 지지하는 스트럿을 가설재가 아닌 영구보 부재로 사용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즉, 흙막이벽에 띠장과 테두리보를 연결한 다음, 테두리보를 보 부재와 연결하고 그 위에 슬래브를 타설하는 방법으로 지하구조물을 구축하였다. 그러나 이 방법은 습식공사 병행으로 인한 공기증가 문제가 있다. 아울러 합벽보다 테두리보가 먼저 시공되므로 테두리보 하부에 위치하는 합벽 부근에서 콘크리트 미충진 및 샌트 스트리크(sand streak) 현 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하자를 보수하더라도 다시 누수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안이 제기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안들 역시 복수 층의 지하 벽체를 연속 타설하면서, 슬래브 선타설로 인한 콘크리트 미충진 문제, 흙막이 벽체의 토압 전달 시스템 및 시공성·경제성을 동시에 만족시키기 어려웠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테두리보나 가설재 등의 시공단계가 생략되고 철골 건식작업으로 공종이 단순화되어 공기단축 및 공사관리가 용이한 강막작용에 의하여 지지되는 흙막이벽을 이용한 지하구조물 및 지하구조물 구축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복수 층의 지하 벽체를 연속 타설함과 동시에 합벽을 구성하는 콘크리트의 우수한 품질을 기대할 수 있는 강막작용에 의하여 지지되는 흙막이벽을 이용한 지하구조물 및 지하구조물 구축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토압으로 인한 횡하중 및 수직하중은 각각 엄지말뚝 주위의 슬래브 및 수평브래킷과 받침보가 분담하도록 함으로써, 흙막이 벽체의 토압 전달 시스템을 만족할 수 있는 강막작용에 의하여 지지되는 흙막이벽을 이용한 지하구조물 및 지하구조물 구축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탑다운 공법을 이용하여 지하구조물을 구축함에 있어서,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시공되는 흙막이벽; 상기 흙막이벽이 형성하는 공간 내부에 시공되는 구조물 본체의 본체기둥; 상기 흙막이벽의 엄지말뚝에 결합되는 수평브래킷; 상기 이웃하는 수평브래킷의 상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것으로, 흙막이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받침보; 일단이 상기 받침보 상부에 설치되고 타단이 이웃하는 수직부재에 결합되는 것으로, 구조물 본체를 구성하는 철골보; 상기 철골보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구조물 합벽의 내측 경계선과 일치하거나 구조물 합벽의 내측 경계선보다 내측에 위치되는 제1경계부 및 제1경계부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엄지말뚝에 연결되는 제2경계부로 이루어지는 데크플레이트; 상기 데크플레이트 위에 타설되는 슬래브 콘크리트; 및, 상기 흙막이벽과 데크플레이트의 제1경계부 및 제2경계부가 형성하는 공간을 통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합벽;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막작용에 의하여 지지되는 흙막이벽을 이용한 지하구조물 및 지하구조물 구축공법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첫째, 본 발명의 강막작용에 의하여 지지되는 흙막이벽을 이용한 지하구조물 및 지하구조물 구축공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테두리보나 가설재 등의 시공단계가 생략되고 철골 건식작업으로 공종이 단순화되므로 공기단축 및 공사관리가 용이하다.
둘째, 본 발명의 강막작용에 의하여 지지되는 흙막이벽을 이용한 지하구조물 및 지하구조물 구축공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복수 층의 지하 벽체를 연속 타설함과 동시에 합벽을 구성하는 콘크리트의 우수한 품질을 기대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강막작용에 의하여 지지되는 흙막이벽을 이용한 지하구조물 및 지하구조물 구축공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흙막이 벽체의 토압 전달 시스템을 만족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강막작용에 의하여 지지되는 흙막이벽(100)을 이용한 지하구조물 구축공법의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강막작용에 의하여 지지되는 흙막이벽(100)을 이용한 지하구조물 구축공법은 우선 (a)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흙막이벽(100)을 시공하고, 흙막이벽(100)이 형성하는 공간 내부에 구조물의 본체를 이루는 본체기둥(200)을 시공하는 단계가 선행된다. 여기에서 흙막이벽(100)은 엄지말뚝(110)과 토류판으로 구성되는 통상의 흙막이벽(100)이나 CIP, 슬러리월 등의 흙막이벽(100)을 모두 포함한다. 본체기둥(200)은 지하 굴토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수직으로 항타하여 매입한다.
다음으로 (b)상기 흙막이벽(100)의 엄지말뚝(110)에 수평브래킷(300)을 결합한다.
수평브래킷(300)을 시공하기 전에 우선 소정의 깊이만큼 지하 굴착이 선행되어야 한다. 여기에서 수평브래킷(300)은 후에 설치되는 받침보(400)를 걸쳐 놓기 위한 부분으로, 도1에서는 수평브래킷(300)의 실시예로 H형강을 흙막이벽(100)의 엄지말뚝(110)과 연직으로 수평 설치하였다. 수평브래킷(300)은 상부에서 작용하는 수직하중을 전달받아 흙막이벽(100)에 전달하는데, 여기에서 수평브래킷(300)과 엄지말뚝(110)의 결합은 엄지말뚝(110)으로 쓰이는 철골부재에 수평브래킷(300)을 용접하여 실시하였다.
그리고 (c)상기 이웃하는 수평브래킷(300)의 상부를 가로질러 흙막이벽(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받침보(400)를 시공한 다음, (d)일단이 상기 받침보(400) 상부에 설치되고 타단이 이웃하는 수직부재에 결합되는 철골보(500)를 시공한다. 이때 철골보(500)는 구조물 본체를 구성하는 구조재이다.
상기 (c)단계에서 시공되는 받침보(400)는 상부의 수직하중을 충분히 분담할 수 있도록 H형강의 플랜지가 수평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시공하며, 받침보(400)는 후에 타설된 합벽(800) 콘크리트가 통과될 수 있도록 흙막이벽(100)에서 소정의 길이만큼 이격된 곳에 위치시킨다.
아울러 구조물의 본체를 구성하는 철골보(500)는 상부에 위치하는 데크플레이트(600)의 처짐을 방지하고 상부에서 작용하는 하중을 흙막이벽(100)에 전달시키는 부분으로, 데크플레이트(600)의 주방향이 흙막이벽(100)을 향하고 있을 때에는 추가적인 철골가설보나 매립보를 설치하여 보강 가능하다. 한편 철골보(500)는 도2에서와 같이, 엄지말뚝(110)과 내부 본 철골보(500)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엄지말뚝(110)에 철골보(500)를 용접하는 등으로 직접 결합시켜 지지한다. 그러나 엄지말 뚝(110)과 내부 본 철골보(500)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2, 도3a 및 도3b에서 설명되겠지만, 별도의 횡보강 브래킷(660)이나 경사버팀대(900)을 이용하여 철골보(500)를 지지한다.
다음으로 철골보(500)의 설치가 완료된 다음에는 (e)상기 철골보(500) 상부에 데크플레이트(600)를 시공한다. 여기에서 데크플레이트(600)는 구조물 합벽(800)의 내측 경계선과 일치하거나 구조물 합벽(800)의 내측 경계선보다 내측에 위치되는 제1경계부(610)와 제1경계부(610)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엄지말뚝(110)에 연결되는 제2경계부(620)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제2경계부(620)는 흙막이벽(100)과 직접 긴결되는 부분으로, 도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웃하는 제2경계부(6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하여 합벽(800)을 구성하는 콘크리트가 직접 타설되게 되므로, 종래 슬래브 하부에 위치하는 합벽(800)의 콘크리트 미충진 등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특히, 제2경계부(620)는 흙막이벽(100)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대면하는 흙막이벽(100)을 슬래브 강막작용에 의하여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슬래브는 슬래브 자체의 변형을 일으키지 않고 토압으로 인한 횡하중을 수직부재인 흙막이벽(100)에 전달한다.
아울러 (f)상기 데크플레이트(600) 위에 슬래브 콘크리트(700)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완성한다. 그리고 위와 같은 과정으로 한 개 층의 수평부재를 완성한 다 음에는 (g)상기 (c)~(f)단계를 기초 레벨까지 반복하여 지하 구조물의 수평부재를 완성한다.
이렇게 지하 구조물을 구성하는 수평부재의 시공이 완료된 다음에는 (h)상기 흙막이벽(100)과 데크플레이트(600)의 제1경계부(610) 및 제2경계부(620)가 형성하는 공간을 통하여 콘크리트를 연속 타설하여 합벽(800)을 완성함으로써 지하 구조체의 공사를 완료한다.
다음으로 도2는 강막작용에 의하여 지지되는 흙막이벽(100)을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3a 및 도3b는 각각 도1의 A-A' 및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2에서는 강막작용에 의하여 지지되는 흙막이벽(100)을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구성요소로 흙막이벽(100), 흙막이벽(100)의 엄지말뚝(110)에 결합되는 수평브래킷(300), 그리고 상기 수평브래킷(300) 상부에 차례로 설치되는 받침보(400), 철골보(500), 데크플레이트(600) 및 슬래브 콘크리트(700)를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데크플레이트(600) 상부에는 수평근(630)이 설치될 수 있는데, 수평근(630)은 슬래브 콘크리트(700)를 타설하기 전에 미리 데크플레이트(600) 상부에 시공하여 두는 것으로, 수평근(630)의 일단은 합벽(800)에 정착된다.
또한 도2에서는 일단이 엄지말뚝(110)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1경계부(610) 근처에 위치하는 받침보(400) 또는 철골보(500)에 결합되는 경사버팀대(900)를 볼 수 있다. 경사버팀대(900)는 철골보(500)를 추가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철근 또는 턴버클 또는 철재앵글을 사용할 수 있다. 도3a는 도2의 A-A'에 따른 단면도로서 경사버팀대(900)가 철골보(500)에 긴결되어 있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경사버팀대(900)는 슬래브 콘크리트(700)를 타설하기 전에 미리 긴결시켜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도3b와 같이, 상기 흙막이벽(100)과 데크플레이트(600)의 제1경계부(61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양단이 각각 흙막이벽(100)과 데크플레이트(600)의 제1경계부(610)에 결합되는 수평연결플레이트(640) 및, 상기 수평연결플레이트(640) 상부에 타설되는 횡보강 콘크리트(7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평연결플레이트(640) 및 횡보강 콘크리트(710)는 흙막이벽(100)의 추가적인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부분으로 상기 데크플레이트(600)의 제2경계부(620)가 위치하는 부분을 제외한 흙막이벽(100)과 데크플레이트(600)의 제1경계부(610) 사이에 설치된다. 이때 합벽(800)을 위한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입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을 마련해 둔다.
아울러 경사버팀대(900) 외에 철골보(500)를 지지하기 위한 부재로서, 도3b와 같이 횡보강 앵글(650) 및 횡보강 브래킷(660)을 설치한다. 횡보강 앵글(650)은 데크플레이트(600)의 제1경계부(610) 근처에 위치하는 철골보(500)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두 변이 각각 철골보(500)의 상부 및 측부에 결합된다. 그리고 횡보강 브래킷(660)은 양단이 각각 흙막이벽(100)과 철골보(500) 측부에 결합된 횡보강 앵 글(650) 부분에 결합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도1은 강막작용에 의하여 지지되는 흙막이벽을 이용한 지하구조물 구축공법의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2는 강막작용에 의하여 지지되는 흙막이벽을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3a 및 도3b는 각각 도1의 A-A' 및 B-B'에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흙막이벽 110: 엄지말뚝
200: 본체기둥 300: 수평브래킷
400: 받침보 500: 철골보
600: 데크플레이트 610: 제1경계부
620: 제2경계부 630: 수평근
640: 수평연결플레이트 650: 횡보강 앵글
660: 횡보강 브래킷 700: 슬래브 콘크리트
710: 횡보강 콘크리트 800: 합벽
900: 경사버팀대

Claims (9)

  1. 탑다운 공법을 이용하여 지하구조물을 구축함에 있어서,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시공되는 흙막이벽(100);
    상기 흙막이벽(100)이 형성하는 공간 내부에 시공되는 구조물 본체의 본체기둥(200);
    상기 흙막이벽(100)의 엄지말뚝(110)에 결합되는 수평브래킷(300);
    상기 이웃하는 수평브래킷(300)의 상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것으로, 흙막이벽(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받침보(400);
    일단이 상기 받침보(400) 상부에 설치되고 타단이 이웃하는 수직부재에 결합되는 것으로, 구조물 본체를 구성하는 철골보(500);
    상기 철골보(500)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구조물 합벽(800)의 내측 경계선과 일치하거나 구조물 합벽(800)의 내측 경계선보다 내측에 위치되는 제1경계부(610) 및 제1경계부(610)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엄지말뚝(110)에 연결되는 제2경계부(620)로 이루어지는 데크플레이트(600);
    상기 데크플레이트(600) 위에 타설되는 슬래브 콘크리트(700); 및,
    상기 흙막이벽(100)과 데크플레이트(600)의 제1경계부(610) 및 제2경계부(620)가 형성하는 공간을 통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합벽(800);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막작용에 의하여 지지되는 흙막이벽(100)을 이용한 지하구조물.
  2. 제1항에서,
    상기 데크플레이트(600) 상부에 설치되는 수평근(63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막작용에 의하여 지지되는 흙막이벽(100)을 이용한 지하구조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일단이 엄지말뚝(110)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1경계부(610) 근처에 위치하는 받침보(400) 또는 철골보(500)에 결합되는 경사버팀대(9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막작용에 의하여 지지되는 흙막이벽(100)을 이용한 지하구조물.
  4. 제3항에서,
    상기 경사버팀대(900)는 철근 또는 턴버클 또는 철재앵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막작용에 의하여 지지되는 흙막이벽(100)을 이용한 지하구조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흙막이벽(100)과 데크플레이트(600)의 제1경계부(61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양단이 각각 흙막이벽(100)과 데크플레이트(600)의 제1경계부(610)에 결합되는 수평연결플레이트(640); 및,
    상기 수평연결플레이트(640) 상부에 타설되는 횡보강 콘크리트(71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막작용에 의하여 지지되는 흙막이벽(100)을 이용한 지하구조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데크플레이트(600)의 제1경계부(610) 근처에 위치하는 철골보(500)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두 변이 각각 철골보(500)의 상부 및 측부에 결합되는 횡보강 앵글(650); 및,
    양단이 각각 흙막이벽(100)과 철골보(500) 측부에 결합된 횡보강 앵글(650) 부분에 결합되는 경사방향의 횡보강 브래킷(66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막작용에 의하여 지지되는 흙막이벽(100)을 이용한 지하구조물.
  7. 탑다운 공법을 이용하여 지하구조물을 구축함에 있어서,
    (a)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흙막이벽(100)을 시공하고, 흙막이벽(100)이 형성하는 공간 내부에 구조물의 본체를 이루는 본체기둥(200)을 시공하는 단계;
    (b)상기 흙막이벽(100)의 엄지말뚝(110)에 수평브래킷(300)을 결합하는 단계;
    (c)상기 이웃하는 수평브래킷(300)의 상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것으로, 흙막이벽(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받침보(400)를 시공하는 단계;
    (d)일단이 상기 받침보(400) 상부에 설치되고 타단이 이웃하는 수직부재에 결합되는 것으로, 구조물 본체를 구성하는 철골보(500)를 시공하는 단계;
    (e)상기 철골보(500)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구조물 합벽(800)의 내측 경계선과 일치하거나 구조물 합벽(800)의 내측 경계선보다 내측에 위치되는 제1경계부(610) 및 제1경계부(610)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엄지말뚝(110)에 연결되는 제2경계부(620)로 이루어지는 데크플레이트(600)를 시공하는 단계;
    (f)상기 데크플레이트(600) 위에 슬래브 콘크리트(700)를 타설하는 단계;
    (g)상기 (c)~(f)단계를 기초 레벨까지 반복하여 수행하는 단계; 및,
    (h)상기 흙막이벽(100)과 데크플레이트(600)의 제1경계부(610) 및 제2경계부(620)가 형성하는 공간을 통하여 콘크리트를 연속 타설하여 합벽(800)을 형성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막작용에 의하여 지지되는 흙막이벽(100)을 이용한 지하구조물 구축공법.
  8. 제7항에서,
    상기 (f)단계 이전에 일단이 엄지말뚝(110)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1경계부(610) 근처에 위치하는 받침보(400) 또는 철골보(500)에 결합되는 경사버팀대(900)를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막작용에 의하여 지지되는 흙막이벽(100)을 이용한 지하구조물 구축공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서,
    상기 (e)단계 이후에 상기 데크플레이트(600) 수평근(630)을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막작용에 의하여 지지되는 흙막이벽(100)을 이용한 지하구조물 구축공법.
KR1020070095241A 2007-09-19 2007-09-19 강막작용에 의하여 지지되는 흙막이벽을 이용한 지하구조물및 지하구조물 구축공법 KR200900299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241A KR20090029993A (ko) 2007-09-19 2007-09-19 강막작용에 의하여 지지되는 흙막이벽을 이용한 지하구조물및 지하구조물 구축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241A KR20090029993A (ko) 2007-09-19 2007-09-19 강막작용에 의하여 지지되는 흙막이벽을 이용한 지하구조물및 지하구조물 구축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9993A true KR20090029993A (ko) 2009-03-24

Family

ID=40696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5241A KR20090029993A (ko) 2007-09-19 2007-09-19 강막작용에 의하여 지지되는 흙막이벽을 이용한 지하구조물및 지하구조물 구축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9993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918B1 (ko) * 2009-05-18 2010-01-27 (주)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을 위해 채널에 의한 나뭇가지형 스틸프레임을 이용한 역타공법
KR101034853B1 (ko) * 2010-06-22 2011-05-17 (주)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흙막이벽의 전면 지지를 통한 지하구조물의 역타 시공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요철표면 대응형 거푸집
KR101107567B1 (ko) * 2011-01-04 2012-01-25 주식회사 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Rc 구조물 역타 공법을 위한 보구조체와 수직 강재부재의 접합장치, 전용지지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WO2012044091A2 (ko) * 2010-09-30 2012-04-05 (주)바로건설기술 지하 구조물 구축장치 및 공법
CN103758134A (zh) * 2014-01-24 2014-04-30 中国建筑股份有限公司 一种组合双排桩支护体系及其施工方法
KR20160012352A (ko) * 2014-07-23 2016-02-03 주식회사 액트파트너 콘크리트 충진 강관기둥과 합성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역타공법
CN105735325A (zh) * 2016-04-20 2016-07-06 山东大学 一种集约化的永久支护装配式地下室结构体系及施工方法
KR101703946B1 (ko) * 2016-01-15 2017-02-23 (주)골든엔지니어링 영구보 지지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지중구조물 시공방법
CH714141A1 (fr) * 2017-09-13 2019-03-15 Creabeton Materiaux Sa Paroi de soutènement comportant des pieux préfabriqués, pieu pour une telle paroi et procédé de montage d'une telle paroi.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918B1 (ko) * 2009-05-18 2010-01-27 (주)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을 위해 채널에 의한 나뭇가지형 스틸프레임을 이용한 역타공법
WO2010134731A2 (ko) * 2009-05-18 2010-11-25 (주)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을 위해 채널에 의한 나뭇가지형 스틸프레임을 이용한 역타공법
WO2010134731A3 (ko) * 2009-05-18 2011-01-27 (주)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을 위해 채널에 의한 나뭇가지형 스틸프레임을 이용한 역타공법
KR101034853B1 (ko) * 2010-06-22 2011-05-17 (주)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흙막이벽의 전면 지지를 통한 지하구조물의 역타 시공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요철표면 대응형 거푸집
WO2012044091A3 (ko) * 2010-09-30 2012-06-21 (주)바로건설기술 지하 구조물 구축장치 및 공법
WO2012044091A2 (ko) * 2010-09-30 2012-04-05 (주)바로건설기술 지하 구조물 구축장치 및 공법
KR101107567B1 (ko) * 2011-01-04 2012-01-25 주식회사 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Rc 구조물 역타 공법을 위한 보구조체와 수직 강재부재의 접합장치, 전용지지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03758134A (zh) * 2014-01-24 2014-04-30 中国建筑股份有限公司 一种组合双排桩支护体系及其施工方法
KR20160012352A (ko) * 2014-07-23 2016-02-03 주식회사 액트파트너 콘크리트 충진 강관기둥과 합성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역타공법
KR101703946B1 (ko) * 2016-01-15 2017-02-23 (주)골든엔지니어링 영구보 지지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지중구조물 시공방법
CN105735325A (zh) * 2016-04-20 2016-07-06 山东大学 一种集约化的永久支护装配式地下室结构体系及施工方法
CN105735325B (zh) * 2016-04-20 2018-01-23 山东大学 一种集约化的永久支护装配式地下室结构体系及施工方法
CH714141A1 (fr) * 2017-09-13 2019-03-15 Creabeton Materiaux Sa Paroi de soutènement comportant des pieux préfabriqués, pieu pour une telle paroi et procédé de montage d'une telle paroi.
WO2019053615A1 (fr) * 2017-09-13 2019-03-21 Creabeton Matériaux Sa Paroi de soutènement comportant des pieux préfabriqués, et pieu pour une telle paroi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29993A (ko) 강막작용에 의하여 지지되는 흙막이벽을 이용한 지하구조물및 지하구조물 구축공법
KR100866162B1 (ko) 의자형 자립식 흙막이벽의 시공방법
KR101388521B1 (ko) 지지말뚝이 설치된 교량의 교각기초 하부에 지하구조물을 구축하는 방법
KR100982827B1 (ko) 바닥슬래브에 가설 흙막이 벽의 토압을 지지시키면서지하실 합벽을 후시공하는 공법
CN107142856A (zh) 桥台改造方法、桥台、桥台改造的桥墩及顶升改造的桥梁
KR101640449B1 (ko) 터널 갱구부 개착 구축공법
KR101648704B1 (ko) 지중벽체 구조물
KR20130006420A (ko) 신설 지하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101655217B1 (ko) 터널 갱구부 개착 구축공법
KR101148272B1 (ko) 미끄럼 골거푸집(scf)을 활용한 지하실 하향공법
JP4881555B2 (ja) 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
JP2017096063A (ja) 山留掘削工法及び躯体構築方法
KR101169462B1 (ko) 포스트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역타설 시공방법
KR101296857B1 (ko) 토압 지지력이 강화된 바닥보를 구비하는 지하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011805B1 (ko) 파일기초부를 횡단하는 지중구조물 시공 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축조된 지중구조물
KR101358471B1 (ko) 복합 강관파일을 이용한 건축물
KR200370107Y1 (ko) 흙막이벽의 테두리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 구조체
KR101198286B1 (ko)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을 위한 역타지지공법용 논웨일 스트러트 시스템 및 이에 의한 지하구조물의 역타 시공방법
KR102490872B1 (ko) 강봉 억지말뚝의 인장력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시공방법
KR100912574B1 (ko) 조립식 버팀보를 이용한 흙막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터파기 방법
KR20090043625A (ko) 변단면 철골보를 이용한 지하층의 슬래브 시공 방법
KR101473218B1 (ko) 지하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0903508B1 (ko) 지하실 외벽과 격리 시공하는 &#39;시&#39;형띠장 흙막이공법(=&#39;시&#39;형띠장 흙막이공법)
CN105421488A (zh) 地下复合围护体系中基础底板换撑的施工方法
JP6584979B2 (ja) 地下タンク構造の構築方法、地下タンク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